KR20140009002A - 외부 입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 수신 장치 - Google Patents

외부 입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 수신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9002A
KR20140009002A KR1020130012988A KR20130012988A KR20140009002A KR 20140009002 A KR20140009002 A KR 20140009002A KR 1020130012988 A KR1020130012988 A KR 1020130012988A KR 20130012988 A KR20130012988 A KR 20130012988A KR 20140009002 A KR20140009002 A KR 201400090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ernal input
input device
call word
input terminal
call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12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743514B1 (ko
Inventor
차태환
박성우
이의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US13/926,253 priority Critical patent/US9288421B2/en
Priority to EP13176191.8A priority patent/EP2688291B1/en
Priority to MX2014015609A priority patent/MX337996B/es
Priority to IN915DEN2015 priority patent/IN2015DN00915A/en
Priority to BR112014030253A priority patent/BR112014030253A2/pt
Priority to RU2014153587/07A priority patent/RU2582070C1/ru
Priority to JP2013146097A priority patent/JP2014021493A/ja
Priority to PCT/KR2013/006243 priority patent/WO2014010981A1/en
Priority to CN201310293557.4A priority patent/CN103546788B/zh
Publication of KR201400090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90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7435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7435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7Providing Remote input by a user located remotely from the client device, e.g. at work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6Sound input; Sound output
    • G06F3/167Audio in a user interface, e.g. using voice commands for navigating, audio feedback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2Procedures used during a speech recognition process, e.g. man-machine dialogue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15/00Speech recognition
    • G10L15/28Constructional details of speech recognition systems
    • G10L15/30Distributed recognition, e.g. in client-server systems, for mobile phones or network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22Input-only peripherals, i.e. input devices connected to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e.g. global positioning system [GPS]
    • H04N21/4220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ntrolling a client device through a remote control device; Remote control devic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3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e.g. demultiplexing additional data from a digital video stream; Elementary client operations, e.g. monitoring of home network or synchronising decoder's clock; Client middleware
    • H04N21/439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 H04N21/4394Processing of audio elementary streams involving operations for analysing the audio stream, e.g. detecting features or characteristics in audio strea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 Circuits Of Receivers In General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외부 입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 수신 장치가 제공된다. 본 외부 입력 제어 방법은 외부 입력 단자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입력 장치의 호출어를 설정하고, 호출어와 호출어에 대응되는 외부 입력 단자를 매칭하여 저장하며,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면, 사용자 음성을 인식하여 사용자 음성에 호출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 음성에 상기 호출어가 포함된 경우, 호출어에 대응되는 외부 입력 단자를 활성화시켜, 호출어에 대응되는 외부 입력 단자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표시한다. 이에 의해, 사용자는 자신이 익숙한 단어를 호출어로 설정함으로써,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더욱 직관적으로 외부 입력 단자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Description

외부 입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 수신 장치{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input and Broadcasting receiving apparatus thereof}
본 발명은 외부 입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 수신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화형 음성 인식 시스템에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여 외부 입력을 제어하는 외부 입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 수신 장치에 관한 것이다.
다양한 외부 입력 장치를 이용하여 컨텐츠를 재생하고자 하는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해, TV와 같은 방송 수신 장치에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가 구비된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장치에는 AV 단자, 콤포넌트 단자 및 HDMI 단자와 같은 다양한 외부 입력 단자가 존재한다.
종래에는 외부 입력 단자를 활성화시키기 위하여 리모컨과 같은 제어 장치를 이용해왔다. 그러나, 리모컨과 같은 외부 장치를 이용하여 외부 입력 단자를 활성화시키는 경우, 사용자는 반드시 외부 장치를 손에 쥐고 있어야 하는 번거로움이 존재한다.
이러한 번거로움을 줄이기 위하여, 근래에는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외부 입력 단자를 활성화시키는 방법이 나타나고 있다. 그러나,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외부 입력 단자를 활성화시키는 경우, 방송 수신 장치는 기저장된 호출어만을 이용하여 외부 입력 단자를 전환해야 한다. 예를 들어, 외부 입력 단자를 "컴포넌트 단자"로 전환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컴포넌트 단자"라는 호출어를 발화해야 했다.
사용자가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외부 입력 단자를 전환하기 위하여, 사용자는 "컴포넌트"와 같은 익숙하지 않은 기술적 용어를 숙지해야 하는 불편함이 존재하였다. 뿐만 아니라, "컴포넌트"와 같은 기술적 용어는 사용자에게 오락적인(entertainment) 요소를 반감시켜, 사용자가 음성 인식을 이용하지 않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하게 된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외부 입력 단자를 전환하기 위하여, 사용자가 설정한 호출어를 외부 입력 단자와 매칭시켜 저장하고, 사용자가 설정한 호출어가 인식된 경우, 호출어에 대응되는 외부 입력 단자로 전환하는 외부 입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 수신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외부 입력 제어 방법은, 외부 입력 단자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입력 장치의 호출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호출어와 상기 호출어에 대응되는 외부 입력 단자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음성을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 음성에 상기 호출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음성에 상기 호출어가 포함된 경우, 상기 호출어에 대응되는 외부 입력 단자를 활성화시켜, 상기 호출어에 대응되는 외부 입력 단자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외부 입력 단자를 통해 새로운 외부 입력 장치 연결된 경우, 상기 외부 입력 단자를 통해 연결된 기존의 외부 입력 장치와 상기 새로운 외부 입력 장치가 동일한 외부 입력 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기존의 외부 입력 장치와 새로운 외부 입력 장치가 상이한 경우, 상기 새로운 외부 입력 장치의 호출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새로운 외부 입력 장치의 호출어와 상기 외부 입력 단자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동일한 외부 입력 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입력 단자를 통해 새로운 외부 입력 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기존의 외부 입력 장치와 상기 새로운 외부 입력 장치가 동일한 외부 입력 장치인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문의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UI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기존의 외부 입력 장치와 상기 새로운 외부 입력 장치가 동일한 외부 입력 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입력 단자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입력 장치의 호출어를 설정하기 위한 UI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I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전원이 최초로 온 된 경우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음성을 디지털 신호로 처리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신호를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디지털 신호에 대응되는 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텍스트 정보에 상기 호출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음성에 외부 입력 장치에 대한 제어 명령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외부 입력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호출어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에 기 저장된 호출어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호출어 중 하나일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와 외부 입력 장치를 연결하기 위한 외부 입력 단자; 상기 외부 입력 단자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입력 장치의 호출어를 설정하는 호출어 설정부; 상기 호출어와 상기 호출어에 대응되는 외부 입력 단자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 디스플레이부;및 상기 음성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 음성에 상기 호출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음성에 상기 호출어가 포함된 경우, 상기 호출어에 대응되는 외부 입력 단자를 활성화시켜, 상기 호출어에 대응되는 외부 입력 단자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입력 단자를 통해 새로운 외부 입력 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외부 입력 단자를 통해 연결된 기존의 외부 입력 장치와 상기 새로운 외부 입력 장치가 동일한 외부 입력 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기존의 외부 입력 장치와 새로운 외부 입력 장치가 상이한 경우, 상기 새로운 외부 입력 장치의 호출어를 설정하도록 상기 호출어 설정부를 제어하며, 상기 새로운 외부 입력 장치의 호출어와 상기 외부 입력 단자를 매칭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입력 단자를 통해 새로운 외부 입력 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기존의 외부 입력 장치와 상기 새로운 외부 입력 장치가 동일한 입력 장치인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문의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UI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기존의 외부 입력 장치와 상기 새로운 외부 입력 장치가 동일한 외부 입력 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호출어 설정부는, 상기 외부 입력 단자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입력 장치의 호출어를 설정하기 위한 UI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UI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전원이 최초로 온 된 경우 표시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음성 인식부는, 상기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음성을 디지털 신호로 처리하는 음성 신호 처리부; 상기 디지털 신호를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디지털 신호에 대응되는 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텍스트 정보에 상기 호출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음성에 외부 입력 장치에 대한 제어 명령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 입력 단자를 통해 상기 외부 입력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호출어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에 기 저장된 호출어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호출어 중 하나일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의해, 사용자는 자신이 익숙한 단어를 호출어로 설정함으로써,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더욱 직관적으로 외부 입력 단자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음성 인식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송 수신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어 설정을 위한 UI를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동일한 외부 입력 장치를 확인하기 위한 UI를 도시한 도면,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부 입력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대화형 음성 인식 시스템(10)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화형 음성 인식 시스템(10)은 방송 수신 장치(100), 제1 서버(200), 제2 서버(300) 및 외부 입력 장치(400)를 포함한다. 이때, 외부 입력 장치(400)는 VCR(video cassette recorder), DVD(Digital Versatile Disc), BD(Blue-ray Disc), 셋탑박스, 게임기, USB 장치일 수 있다.
음성 입력 장치에 의해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면, 방송 수신 장치(100)는 입력된 사용자의 음성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하여 제1 서버(200)로 전송한다. 방송 수신 장치(100)로부터 디지털 신호가 수신되면, 제1 서버(200)는 수신된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되는 디지털 신호를 텍스트 정보로 변환하고, 텍스트 정보를 방송 수신 장치(100)로 전송한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1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텍스트 정보를 바탕으로 방송 수신 장치(100)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장치(100)는 텍스트 정보를 바탕으로 외부 입력을 제어할 수 있다.
또는,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1 서버(200)로부터 수신된 텍스트 정보를 제2 서버(300)로 전송한다. 방송 수신 장치(100)로부터 텍스트 정보가 수신되면, 제2 서버(300)는 수신된 텍스트 정보에 대응되는 응답 정보를 생성하여 방송 수신 장치(100)로 전송한다. 이때, 응답 정보에는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응답 텍스트, 제어 신호, 및 컨텐츠 검색 결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응답 메시지는 사용자와 대화하는 것과 같이, 사용자 음성에 응답하는 텍스트 정보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음성이 "000를 검색해 줄래"인 경우, 응답 메시지는 "검색해 줄께"와 같은 사용자 음성에 응답하는 텍스트 정보일 수 있다. 제어 신호는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방송 수신 장치(100)를 제어하기 위한 신호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음성이 "채널을 000(채널명)로 바꿔줘"인 경우, 제어 신호는 방송 수신 장치(100)의 튜너가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채널을 선국하도록 제어하는 신호일 수 있다. 컨텐츠 검색 결과는 사용자의 컨텐츠 검색 요청에 응답하는 정보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음성이 "OOO(영화명)의 주인공은 누구야"인 경우, 컨텐츠 검색 결과는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영화의 주인공 검색 결과 정보이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응답 정보에 기초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하고 다양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방송 수신 장치(100)는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되는 응답 메시지를 음성 또는 텍스트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뉴스 몇 시에 해"와 같은 특정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을 문의하는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면,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2 서버(300)로부터 수신된 "오후 9시에 해"와 같은 해당 프로그램의 방송 시간 정보가 포함된 응답 정보를 음성 또는 텍스트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방송 수신 장치(100)는 사용자의 음성에 대응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방송 수신 장치(100)는 채널 변경을 위한 사용자의 음성이 입력되면, 해당 채널을 선국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이 경우, 방송 수신 장치(100)는 해당 기능에 대응되는 응답 메시지를 함께 제공할 수도 있다. 상술한 예의 경우, 방송 수신 장치(100)는 변경된 채널에 대한 정보 또는 채널 변경이 완료되었음을 나타내는 메시지를 음성 또는 텍스트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특히,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외부 입력 단자를 제어하기 위해, 방송 수신 장치(100)는 외부 입력 단자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입력 장치(400)의 호출어를 설정한다. 이때, 방송 수신 장치(100)는 호출어 설정을 위한 UI(User Interface)를 이용하여 외부 입력 장치(400)에 대한 호출어를 설정할 수 있다. 호출어 설정을 위한 UI는 방송 수신 장치(100)의 전원이 최초로 온 된 경우 또는 방송 수신 장치(100)에 새로운 외부 입력 장치(400)가 연결된 경우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방송 수신 장치(100)는 설정된 호출어와 호출어에 대응되는 외부 입력 단자를 매칭하여 저장한다. 이때, 방송 수신 장치(100)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 각각에 대해 호출어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외부 입력 단자를 전환하기 위한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면, 방송 수신 장치(100)는 제1 서버(200)를 이용하여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텍스트 정보를 수신한다.
그리고, 방송 수신 장치(100)는 사용자 음성에 외부 입력 장치(400)의 호출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텍스트 정보에 호출어가 포함된 경우, 방송 수신 장치(100)는 호출어에 대응되는 외부 입력 단자를 활성화시켜, 호출어에 대응되는 외부 입력 단자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대화형 음성 인식 시스템(10)을 통해 사용자는 자신이 원하는 용어를 외부 입력 단자를 활성화하기 위한 호출어로 설정함으로써,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더욱 직관적으로 외부 입력 단자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음성 인식을 위하여 제1 서버(200) 및 제2 서버(300)가 분리된 것으로 구현되었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제1 서버(200) 및 제2 서버(300)가 통합되어 구현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방송 수신 장치(100)에 대해 더욱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송 수신 장치(100)는 음성 인식부(110), 호출어 설정부(120), 저장부(130), 디스플레이부(140), 외부 입력 단자(150) 및 제어부(160)를 포함한다. 이때, 방송 수신 장치(100)는 TV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모니터, 프로젝터 등과 같은 장치일 수 있다.
음성 인식부(110)는 사용자가 발화한 음성을 인식하여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텍스트 정보를 출력한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음성 인식부(110)는 음성 신호 처리부(111), 통신부(112), 텍스트 결정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신호 처리부(111)는 마이크와 같은 음성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된 아날로그 형태의 사용자 음성을 디지털 신호로 변환한다. 그리고, 음성 신호 처리부(111)는 변환된 디지털 신호의 에너지를 계산하여 디지털 신호의 에너지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음성 신호 처리부(111)는 디지털 신호의 에너지가 기설정된 값 미만인 경우, 음성 신호 처리부(111)는 입력된 디지털 신호가 사용자 음성이 아닌 것으로 판단하여 다른 사용자 음성을 기다린다. 디지털 신호의 에너지가 기설정된 값 이상인 경우, 음성 신호 처리부(111)는 입력된 디지털 신호에서 노이즈를 제거한다. 특히, 음성 신호 처리부(111)는 입력된 디지털 신호에서 가정 환경에서 발생할 수 있는 돌발성 잡음(예를 들어, 에어컨 소리, 청소기 소리, 음악 소리 등)을 제거한다. 그리고, 음성 신호 처리부(111)는 노이즈가 제거된 디지털 신호를 통신부(112)로 출력한다.
통신부(112)는 노이즈가 제거된 디지털 신호를 외부의 제1 서버(200)로 전송하고, 제1 서버(200)로부터 디지털 신호에 대응되는 텍스트 정보를 수신한다. 한편, 제1 서버(200)는 기 저장된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하여 사용자 음성이 변환된 디지털 신호에 대응되는 텍스트 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텍스트 정보 출력부(113)는 제1 서버(200)를 통해 수신된 텍스트 정보를 제어부(160)로 출력한다.
호출어 설정부(120)는 외부 입력 단자(150)에 연결된 외부 입력 장치(400)의 호출어를 설정한다. 여기서 외부 입력 장치(400)의 호출어는 외부 입력 장치(400)가 연결된 외부 입력 단자(150)를 활성화하기 위한 명령어일 수 있다.
특히, 호출어 설정부(1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호출어 설정을 위한 UI(310)를 생성하여, 외부 입력 장치(400)의 호출어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설정할 수 있는 외부 입력 장치(400)의 호출어는 방송 수신 장치(100)에 방송 수신 장치(100)에 기 저장된 호출어 및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호출어 중 하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입력 장치(400)의 호출어는 VCR, DVD, BD, STB, 캠코더, 게임기 등과 같이 방송 수신 장치(100)에 기 저장된 호출어일 수 있으며, "비디오", "테레비" 및 "겜돌이"이 등과 같이 사용자가 지정한 호출어일 수 있다. 사용자가 지정한 호출어는 도 3에 도시된 UI(310) 중 "사용자 지정" 메뉴를 통해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호출어 설정부(120)는 복수의 외부 입력 단자(150) 각각에 연결된 복수의 외부 입력 장치에 대한 호출어를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출어 설정부(12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AV 단자"에 연결된 "VCR"의 호출어를 "비디오"로 설정할 수 있으며, "컴포넌트 단자"에 연결된 "DVD"의 호출어를 "DVD"로 설정할 수 있으며, "HDMI 단자"에 연결된 "BD"의 호출어를 "블루레이"로 설정할 수 있다.
저장부(130)는 방송 수신 장치(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및 프로그램을 저장한다.
특히, 저장부(130)는 호출어 설정부(120)에 의해 설정된 외부 입력 장치(400)의 호출어와 외부 입력 단자를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30)는 아래의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데이터베이스에 외부 입력 장치(400)의 호출어와 외부 입력 단자를 매칭시켜 저장할 수 있다.
외부 입력 단자 호출어
AV 단자 비디오
컴포넌트 단자 DVD
HDMI 단자 블루레이
디스플레이부(140)는 다양한 소스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표시한다. 특히, 디스플레이부(140)는 외부 입력 단자(150)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입력 장치로부터 수신된 영상 데이터를 표시할 수 있다.
외부 입력 단자(150)는 외부 입력 장치(400)와 연결되어 외부 입력 장치(400)로부터 다양한 데이터(예를 들어, 영상 데이터, 음성 데이터, 부가 데이터 등)를 수신한다. 외부 입력 단자(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AV 단자, 콤포넌트 단자, HDMI 단자, USB 단자 등이 포함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PC 단자와 같은 다른 외부 입력 단자가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16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방송 수신 장치(100)의 전반적이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특히, 제어부(160)는 음성 인식부(110)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 음성에 호출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사용자 음성에 호출어가 포함된 경우, 호출어에 대응되는 외부 입력 단자를 활성화시켜, 호출어에 대응되는 외부 입력 단자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디스플레이부(140)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음성 입력 장치에 사용자 음성이 입력된 경우, 제어부(160)는 음성 인식부(110)를 이용하여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텍스트 정보를 결정한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음성 인식부(110)로부터 입력된 텍스트 정보에 외부 입력 장치(400)의 호출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텍스트 정보에 외부 입력 장치(400)의 호출어가 포함된 경우, 제어부(160)는 호출어에 대응되는 외부 입력 단자(15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활성화된 외부 입력 단자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처리하여 디스플레이부(140)에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텍스트 정보가 "비디오로 전환"인 경우, 제어부(160)는 텍스트 정보에 외부 입력 장치의 호출어인 "비디오"가 포함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호출어인 "비디오"에 대응되는 "AV 단자"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AV 단자"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텍스트 정보가 "DVD를 틀어줘"인 경우, 제어부(160)는 텍스트 정보에 외부 입력 장치의 호출어인 "DVD"가 포함되었다고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호출어인 "DVD"에 대응되는 "콤포넌트 단자"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콤포넌트 단자"를 통해 수신되는 영상 데이터를 처리하여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한편, 외부 입력 단자(150)에 연결된 외부 입력 장치(400)의 전원이 온 되어 있지 않거나 영상을 출력하지 않는 경우, 제어부(160)는 외부 입력 장치(400)로부터 영상 데이터가 출력되기 전까지 대기 화면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60)는 외부 입력 단자(150)를 통해 새로운 외부 입력 장치가 연결된 경우, 외부 입력 단자(150)를 통해 연결된 기존의 외부 입력 장치와 새로운 외부 입력 장치가 동일한 외부 입력 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특히, 제어부(150)는 새로운 외부 입력 장치가 기존의 외부 입력 장치와 동일한지 여부를 문의하기 위한 UI를 이용하여 새로운 외부 입력 장치가 기존의 입력 장치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15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새로운 외부 입력 장치가 연결되었습니다. 이전 외부 입력 장치와 동일한 장치인가요?"라는 메시지가 포함된 UI(410)를 이용하여 새로운 외부 입력 장치가 기존의 입력 장치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기존의 외부 입력 장치와 새로운 외부 입력 장치가 상이한 경우, 제어부(160)는 새로운 외부 입력 장치의 호출어를 설정하도록 호출어 설정부(120)를 제어하며, 새로운 외부 입력 장치의 호출어와 외부 입력 단자를 매칭하여 저장부(130)에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AV 단자에 연결된 기존의 외부 입력 장치가 "VCR"이고, 새롭게 연결된 외부 입력 장치가 "STB"인 경우, 제어부(160)는 사용자의 입력에 따라 기존의 외부 입력 장치와 새로운 외부 입력 장치가 상이하다는 것을 판단할 수 있다. 그리고, 제어부(160)는 호출어 설정부(120)를 제어하여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호출어 설정을 위한 UI(310)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호출어 설정을 위한 UI(310)를 이용하여 "STB"의 호출어를 "테레비"라고 설정한 경우, 제어부(160)는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은 데이터베이스를 아래의 표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업데이트할 수 있다.
외부 입력 단자 호출어
AV 단자 테레비
컴포넌트 단자 DVD
HDMI 단자 블루레이
또한, 사용자 음성에 외부 입력 장치에 대한 제어 명령이 포함된 경우, 제어부(160)는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외부 입력 장치에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음성에 대응되는 텍스트 정보가 "블루레이를 틀어줘"인 경우, 제어부(160)는 "틀어줘"라는 텍스트 정보를 이용하여, "재생 명령"을 판단하고, HDMI 단자에 연결된 "BD"에 재생 명령의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입력 단자(400)가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는 HDMI 단자인 경우, 제어부(160)는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외부 입력 단자(150)를 통해 바로 전송할 수 있다. 외부 입력 단자(150)를 통해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없는 경우, 제어부(160)는 외부의 리모컨에 제어 신호를 전송하고, 외부의 리모컨이 외부 입력 장치(400)에 제어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방송 수신 장치(100)에 의해, 사용자가 자신이 익숙한 단어를 외부 입력 장치(400)의 호출어로 설정함으로써, 사용자는 음성 인식을 이용하여 더욱 직관적으로 외부 입력 단자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이하에서는 도 5를 참조하여, 방송 수신 장치(100)의 외부 입력 제어 방법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우선, 방송 수신 장치(100)는 외부 입력 단자에 연결된 외부 입력 장치(400)의 호출어를 설정한다(S505). 특히, 방송 수신 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입력 장치(400)의 호출어를 설정하기 위한 UI(310)를 이용하여 외부 입력 장치(400)의 호출어를 설정할 수 있다. 이때, 외부 입력 장치(400)의 호출어를 설정하기 위한 UI는 방송 수신 장치(100)의 전원이 최초로 온 된 경우에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그리고, 방송 수신 장치(100)는 호출어와 외부 입력 단자를 매칭하여 저장한다(S510). 예를 들어, 방송 수신 장치(100)는 표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호출어와 외부 입력 단자를 매칭하여 저장할 수 있다.
그리고, 방송 수신 장치(100)는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15).
사용자 음성이 입력된 경우(S515-Y), 방송 수신 장치(100)는 사용자 음성을 인식한다(S520). 이때, 방송 수신 장치(100)는 도 1에 도시된 제1 서버(200)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 그러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다른 방법으로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할 수 있다.
방송 수신 장치(100)는 인식된 사용자 음성에 호출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25).
사용자 음성에 호출어가 포함되었다고 판단된 경우(S525-Y), 방송 수신 장치(100)는 호출어에 대응되는 외부 입력 단자를 활성화시켜, 호출어에 대응되는 외부 입력 장치(400)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표시한다(S530).
그리고, 방송 수신 장치(100)는 외부 입력 단자에 새로운 외부 입력 장치가 연결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535).
새로운 외부 입력 장치가 연결된 경우(S535-Y), 방송 수신 장치(100)는 새로운 외부 입력 장치가 이전 외부 입력 장치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한다(S540). 구체적으로, 새로운 외부 입력 장치가 연결된 경우, 방송 수신 장치(1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UI(410)를 디스플레이하고,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은 UI(410)에 입력된 사용자 명령에 따라 새로운 외부 입력 장치가 이전 외부 입력 장치와 동일한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새로운 외부 입력 장치와 이전 외부 입력 장치가 상이한 경우(S540-N), 방송 수신 장치(100)는 새로운 외부 입력 장치에 대한 호출어를 설정한다(S545). 구체적으로, 방송 수신 장치(1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호출어 설정을 위한 UI(310)를 다시 디스플레이하여, 새로운 외부 입력 장치의 호출어를 설정할 수 있다.
그리고, 방송 수신 장치(100)는 새로운 호출어와 외부 입력 단자를 매칭하여 저장한다(S550).
상술한 바와 같은 외부 입력 제어 방법을 통해, 사용자는 더욱 익숙하고 재미있는 용어를 호출어로 설정하여 외부 입력 단자를 제어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외부의 제1 서버(200)를 이용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방송 수신 장치(100)의 내부에 구비된 제1 서버(200)와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음성인식 데이터 베이스를 이용하여 음성 인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실시예에서는 외부 입력 장치의 호출어를 설정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 특정 컨텐츠 또는 외부 링크에 대한 호출어를 설정하는 실시예 역시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적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호출어 설정부(120)는 사용자 입력에 따라 특정 컨텐츠 또는 외부 링크에 대한 호출어를 설정한다. 그리고, 음성 인식부(110)를 통해 사용자의 음성이 인식되면, 제어부(160)는 인식된 사용자 음성에 특정 컨텐츠 또는 외부 링크에 대한 호출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그리고, 사용자 음성에 특정 컨텐츠 또는 외부 링크에 대한 호출어가 포함된 경우, 제어부(160)는 사용자 음성에 포함된 호출어에 대응되는 특정 컨텐츠 또는 외부 링크를 실행시킬 수 있다. 이때, 사용자 음성에 특정 컨텐츠에 대한 호출어가 포함된 경우, 제어부(16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컨텐츠를 실행시킬 수 있고, 사용자 음성에 외부 링크에 대한 호출어가 포함된 경우, 제어부(160)는 외부 링크의 주소를 판단하여, 외부 링크에 접속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입력에 따라, 저장부(130)에 저장된 "컨텐츠 A"에 대한 호출어로 "A"라고 설정한 경우, 사용자 음성에 "A"가 포함되면, 제어부(160)는 저장부(130)에 저장된 컨텐츠 A를 실행시킬 수 있으며, "외부 링크 B"에 대한 호출어로 "B"라고 설정한 경우, 사용자 음성에 "B"가 포함되면, 제어부(160)는 바로 외부 링크에 접속하여 사용자에게 외부 링크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외부 입력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 코드는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 readable medium)에 저장될 수 있다.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구체적으로는, 상술한 다양한 어플리케이션 또는 프로그램들은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과 같은 비일시적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되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10: 음성 인식부 120: 호출어 설정부
130: 저장부 140: 디스플레이부
150: 외부 입력 단자 160: 제어부

Claims (16)

  1. 방송 수신 장치의 외부 입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외부 입력 단자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입력 장치의 호출어를 설정하는 단계;
    상기 호출어와 상기 호출어에 대응되는 외부 입력 단자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음성을 인식하여 상기 사용자 음성에 상기 호출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 음성에 상기 호출어가 포함된 경우, 상기 호출어에 대응되는 외부 입력 단자를 활성화시켜, 상기 호출어에 대응되는 외부 입력 단자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부 입력 제어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입력 단자를 통해 새로운 외부 입력 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외부 입력 단자를 통해 연결된 기존의 외부 입력 장치와 상기 새로운 외부 입력 장치가 동일한 외부 입력 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기존의 외부 입력 장치와 새로운 외부 입력 장치가 상이한 경우, 상기 새로운 외부 입력 장치의 호출어를 설정하는 단계; 및
    상기 새로운 외부 입력 장치의 호출어와 상기 외부 입력 단자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부 입력 제어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동일한 외부 입력 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입력 단자를 통해 새로운 외부 입력 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기존의 외부 입력 장치와 상기 새로운 외부 입력 장치가 동일한 외부 입력 장치인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문의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단계; 및
    상기 UI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기존의 외부 입력 장치와 상기 새로운 외부 입력 장치가 동일한 외부 입력 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부 입력 제어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설정하는 단계는,
    상기 외부 입력 단자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입력 장치의 호출어를 설정하기 위한 UI를 표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입력 제어 방법.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UI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전원이 최초로 온 된 경우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입력 제어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음성을 디지털 신호로 처리하는 단계;
    상기 디지털 신호를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디지털 신호에 대응되는 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텍스트 정보에 상기 호출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입력 제어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음성에 외부 입력 장치에 대한 제어 명령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상기 외부 입력 장치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외부 입력 제어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어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에 기 저장된 호출어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호출어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외부 입력 제어 방법.
  9. 방송 수신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방송 수신 장치와 외부 입력을 연결하기 위한 외부 입력 단자;
    상기 외부 입력 단자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입력 장치의 호출어를 설정하는 호출어 설정부;
    상기 호출어와 상기 호출어에 대응되는 외부 입력 단자를 매칭하여 저장하는 저장부;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음성을 인식하는 음성 인식부;
    디스플레이부;및
    상기 음성 인식부를 통해 인식된 사용자 음성에 상기 호출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사용자 음성에 상기 호출어가 포함된 경우, 상기 호출어에 대응되는 외부 입력 단자를 활성화시켜, 상기 호출어에 대응되는 외부 입력 단자로부터 수신되는 영상을 표시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방송 수신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입력 단자를 통해 새로운 외부 입력 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외부 입력 단자를 통해 연결된 기존의 외부 입력 장치와 상기 새로운 외부 입력 장치가 동일한 외부 입력 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하고, 상기 기존의 외부 입력 장치와 새로운 외부 입력 장치가 상이한 경우, 상기 새로운 외부 입력 장치의 호출어를 설정하도록 상기 호출어 설정부를 제어하며, 상기 새로운 외부 입력 장치의 호출어와 상기 외부 입력 단자를 매칭하여 상기 저장부에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외부 입력 단자를 통해 새로운 외부 입력 장치가 연결된 경우, 상기 기존의 외부 입력 장치와 상기 새로운 외부 입력 장치가 동일한 입력 장치인지 여부를 사용자에게 문의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디스플레이부를 제어하고, 상기 UI를 통해 입력된 사용자 입력에 따라 상기 기존의 외부 입력 장치와 상기 새로운 외부 입력 장치가 동일한 외부 입력 장치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어 설정부는,
    상기 외부 입력 단자를 통해 연결된 외부 입력 장치의 호출어를 설정하기 위한 UI를 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UI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의 전원이 최초로 온 된 경우 표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음성 인식부는,
    상기 사용자 음성이 입력되면, 상기 사용자 음성을 디지털 신호로 처리하는 음성 신호 처리부;
    상기 디지털 신호를 외부의 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서버로부터 상기 디지털 신호에 대응되는 텍스트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된 텍스트 정보에 상기 호출어가 포함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15.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사용자 음성에 외부 입력 장치에 대한 제어 명령이 포함된 경우, 상기 제어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생성하여 상기 외부 입력 단자를 통해 상기 외부 입력 장치에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16.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어는,
    상기 방송 수신 장치에 기 저장된 호출어 및 상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호출어 중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송 수신 장치.
KR1020130012988A 2012-07-12 2013-02-05 외부 입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 수신 장치 KR1017435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926,253 US9288421B2 (en) 2012-07-12 2013-06-25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input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EP13176191.8A EP2688291B1 (en) 2012-07-12 2013-07-11 Method of controlling external input of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by voice
IN915DEN2015 IN2015DN00915A (ko) 2012-07-12 2013-07-12
BR112014030253A BR112014030253A2 (pt) 2012-07-12 2013-07-12 método para controle de uma entrada externa de um equipamento receptor de transmissão, e equipamento receptor de transmissão.
MX2014015609A MX337996B (es) 2012-07-12 2013-07-12 Metodo para controlar entrada externa y aparato receptor de radiodifusion.
RU2014153587/07A RU2582070C1 (ru) 2012-07-12 2013-07-12 Способ управления внешним вводом и устройство приема вещания
JP2013146097A JP2014021493A (ja) 2012-07-12 2013-07-12 外部入力制御方法及びそれを適用した放送受信装置
PCT/KR2013/006243 WO2014010981A1 (en) 2012-07-12 2013-07-12 Method for controlling external input and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CN201310293557.4A CN103546788B (zh) 2012-07-12 2013-07-12 控制外部输入和广播接收装置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6137 2012-07-12
KR20120076137 2012-07-1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9002A true KR20140009002A (ko) 2014-01-22
KR101743514B1 KR101743514B1 (ko) 2017-06-07

Family

ID=50142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12988A KR101743514B1 (ko) 2012-07-12 2013-02-05 외부 입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 수신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JP (1) JP2014021493A (ko)
KR (1) KR101743514B1 (ko)
BR (1) BR112014030253A2 (ko)
IN (1) IN2015DN00915A (ko)
MX (1) MX337996B (ko)
RU (1) RU2582070C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6198A (ko) * 2015-09-24 201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수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KR20180069660A (ko) * 2016-12-15 2018-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인식 방법 및 장치
CN110556112A (zh) * 2018-05-30 2019-12-10 夏普株式会社 操作辅助装置、操作辅助系统以及操作辅助方法
US11687319B2 (en) 2016-12-15 2023-06-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peech recognition method and apparatus with activation word based on operating environment of the apparatu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113027B2 (en) 2017-12-28 2021-09-07 Sharp Kabushiki Kaisha Apparatus, system, and method that support operation to switch to input terminal to be activated among input terminals included in display apparatus
JP7044633B2 (ja) * 2017-12-28 2022-03-30 シャープ株式会社 操作支援装置、操作支援システム、及び操作支援方法
JP6936165B2 (ja) 2018-02-19 2021-09-15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制御装置、表示制御システム、及び表示制御方法
JP2019193134A (ja) * 2018-04-26 2019-10-31 シャープ株式会社 表示装置、テレビ受信装置及び表示方法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3064A (en) * 1997-05-14 1999-04-06 K2 Interactive Llc Speech recognition method and apparatus with voice commands and associated keystrokes
JP2001197379A (ja) * 2000-01-05 2001-07-1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機器設定装置、機器設定システムおよび機器設定処理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記録媒体
US7548858B2 (en) * 2003-03-05 2009-06-16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selective audible rendering of data to a user based on user input
US7752050B1 (en) * 2004-09-03 2010-07-06 Stryker Corporation Multiple-user voice-based control of devices in an endoscopic imaging system
US8032383B1 (en) * 2007-05-04 2011-10-04 Foneweb, Inc. Speech controlled services and devices using internet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36198A (ko) * 2015-09-24 2017-04-03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수행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장치
KR20180069660A (ko) * 2016-12-15 2018-06-25 삼성전자주식회사 음성 인식 방법 및 장치
US11687319B2 (en) 2016-12-15 2023-06-27 Samsung Electronics Co., Ltd. Speech recognition method and apparatus with activation word based on operating environment of the apparatus
CN110556112A (zh) * 2018-05-30 2019-12-10 夏普株式会社 操作辅助装置、操作辅助系统以及操作辅助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MX337996B (es) 2016-03-30
IN2015DN00915A (ko) 2015-06-12
JP2014021493A (ja) 2014-02-03
RU2582070C1 (ru) 2016-04-20
MX2014015609A (es) 2015-03-05
KR101743514B1 (ko) 2017-06-07
BR112014030253A2 (pt) 2017-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43514B1 (ko) 외부 입력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 수신 장치
US20200252677A1 (en) System for Controlling Electronic Devices by Means of Voice Commands, More Specifically a Remote Control to Control a Plurality of Electronic Devices by Means of Voice Commands
US11823682B2 (en) Display apparatus capable of releasing a voice input mode by sensing a speech finish and voice control method thereof
US9219949B2 (en) Display apparatus, interactive server, and method for providing response information
US8793136B2 (en) Method and apparatus for smart voice recognition
EP2688291B1 (en) Method of controlling external input of broadcast receiving apparatus by voice
CN104904227A (zh) 显示设备以及用于控制显示设备的方法
JP7293365B2 (ja) 映像表示装置及びその動作方法
KR20140002417A (ko) 디스플레이 장치, 전자 장치, 대화형 시스템 및 이들의 제어 방법
KR20140055502A (ko) 방송 수신 장치, 서버 및 그 제어 방법
KR20140008870A (ko) 컨텐츠 정보 제공 방법 및 이를 적용한 방송 수신 장치
US11907616B2 (en) Electronic apparatus,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WO2017128626A1 (zh) 一种音视频播放系统及方法
US20230336824A1 (en) Apparatus and system for providing content based on user utterance
KR20150108546A (ko) 사용자 단말기와 연계된 개인화 서비스 방법 및 시스템
JP2020061046A (ja) 音声操作装置、音声操作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音声操作システム
KR20220005590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그의 동작 방법
US20220415322A1 (en) Display device
JP2021092612A (ja) コマンド制御装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