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8668A - IoT POS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IoT POS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8668A
KR20140008668A KR1020120075464A KR20120075464A KR20140008668A KR 20140008668 A KR20140008668 A KR 20140008668A KR 1020120075464 A KR1020120075464 A KR 1020120075464A KR 20120075464 A KR20120075464 A KR 20120075464A KR 20140008668 A KR20140008668 A KR 201400086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ot
platform
pos
pos system
ser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5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37430B1 (ko
Inventor
이상신
원광호
김재호
안일엽
송민환
윤재석
Original Assignee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전자부품연구원 filed Critical 전자부품연구원
Priority to KR1020120075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37430B1/ko
Publication of KR201400086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86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37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3743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2Reservations, e.g. for tickets, services or ev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6Payments settled via telecommunication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20Point-of-sale [POS] network system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2Aspects of commerce using mobile devices [M-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3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 G06Q20/32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devices or networks using wireless devices
    • G06Q20/326Payment applications installed on the mobile de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ina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Economic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Information Transfer Between Computers (AREA)

Abstract

IoT POS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가 제공된다. 본 IoT POS 서비스 방법에 따르면, IoT POS 시스템을 통해 메뉴 정보 및 좌석 정보 등을 전송받아 모바일 기기로 예약 및 결제가 가능해지는바, 이와 같은 IoT POS 서비스에 의해 서비스 이용자는 보다 편리한 예약 및 결제가 가능해진다.

Description

IoT POS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Method for providing IoT POS service and computer readable recording medium applying the same}
본 발명은 IoT POS 서비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POS에 IoT 서비스를 적용한 IoT POS 서비스 방법에 관한 것이다.
사물 인터넷(IoT : Internet of Things)이라는 용어는 1998년 매사추세츠공과대학(MIT)의 Auto-ID 랩에서 처음 등장했다. 이후 2005년 ITU-T에서 `The Internet of Things`라는 연차 보고서가 발표되면서 사물 인터넷은 미래 정보기술(IT) 산업 혁명의 모든 구조를 담는 가장 기본틀이 될 것임을 예고한 바 있다. 보고서는 사물 인터넷을 "세상에서 존재하는 모든 사물(things)을 네트워크로 연결해 인간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에 언제 어디서나 서로 소통할 수 있도록 하는 새로운 정보통신 기반"이라고 정의했다. 즉, 사물 인터넷은 명실상부한 유비쿼터스 공간을 구현하기 위한 인프라로 볼 수 있다. 이러한 유비쿼터스 공간은 특정 기능이 내재된 컴퓨팅 기기들이 환경과 사물에 심어져 환경이나 사물 그 자체가 지능화되는 것부터 시작된다.
사물 인터넷 서비스는 우리에게 보다 편리하고 안전한 생활을 제공해주는 기술이다. 따라서, 다양한 이동통신사와 단말기 제조업체는 차세대 모바일 서비스로 떠오를 사물 인터넷 지원용 단말과 서비스 개발에 집중하고 있다.
하지만, 사물 인터넷은 현재 초기 단계로 서비스 제공을 위한 구체적인 모델이 정립되지 않은 상태이다. 따라서, 이와 같은 사물 인터넷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의 모색이 요청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스마트 기기로 예약 및 결제가 가능한 IoT POS 시스템을 이용한 IoT POS 서비스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POS(Internet of Things Point Of Sales) 시스템을 이용한 IoT POS 서비스 방법은, 모바일 기기가 P-플랫폼을 통해 상기 IoT POS 시스템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가 S-플랫폼을 통해 상기 IoT POS 시스템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IoT POS 고객용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는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가 상기 IoT POS 고객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메뉴 정보 및 좌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조회 요청을 상기 IoT POS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IoT POS 시스템이 메뉴 정보 및 좌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모바일 기기와 상기 IoT POS 시스템은, M-플랫폼을 통해 통신하거나 직접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검색단계는, IoT 장치들의 위치를 지도상에 아이콘 형태로 표시하거나 IoT 장치들을 텍스트 리스트로 표시하는 IoT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상기 IoT POS 시스템을 검색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IoT POS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기기가 상기 IoT POS 고객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IoT POS 고객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메뉴 정보 및 좌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조회 요청을 상기 IoT POS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POS 서비스 방법은, 상기 모바일 기기가 예약요청을 상기 IoT POS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예약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IoT POS 시스템이 요청된 예약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와 상기 IoT POS 시스템은, M-플랫폼을 통해 통신하거나 직접 통신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IoT POS 서비스 방법은, 상기 IoT POS 시스템이 결제 요청을 입력받으면, 상기 모바일 기기로 결제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기기가 상기 IoT POS 시스템과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와 상기 IoT POS 시스템은, M-플랫폼을 통해 통신하거나 직접 통신할 수 있다.
또한, 상기 IoT POS 시스템은, IoT 어댑터가 장착되어 있다. 그리고, IoT POS 시스템 또는 IoT 어댑터에 D-플랫폼이 설치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프로그램은 전술한 IoT POS 서비스 방법을 구현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에 따르면, IoT POS 시스템을 통해 메뉴 정보 및 좌석 정보 등을 전송받아 스마트 기기로 예약 및 결제가 가능해지는바, 이와 같은 IoT POS 서비스에 의해 서비스 이용자는 보다 편리한 예약 및 결제가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IoT : Internet of Things) 소프트웨어 플랫폼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POS 시스템의 설명에 제공되는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POS 시스템 관련 API 및 애플리케이션의 등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 그리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POS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물 인터넷(IoT : Internet of Things) 소프트웨어 플랫폼(100)의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물 인터넷 소프트웨어 플랫폼(100)은 D-플랫폼(110), P-플랫폼(120), M-플랫폼(130) 및 S-플랫폼(140)을 포함한다.
여기서, D-플랫폼(110)은 IoT 장치(115) 측에 설치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나타내고, P-플랫폼(120), M-플랫폼(130), 및 S-플랫폼(140)은 서버 컴퓨터 측에 각각 또는 함께 설치되는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나타낸다.
D-플랫폼(110)은 Device 플랫폼의 약자로, IoT 장치(115)에 직접 설치되거나 IoT 장치(115)에 장착되는 IoT 어댑터(adapter)에 설치되어, P-플랫폼(120) 및 M-플랫폼(130)과 연동하고, IoT 애플리케이션 및 IoT 웹사이트를 통해 스마트 기기와 연동한다.
여기서, IoT 장치(115)는 IoT가 적용된 일반적인 사물들(예를 들어, TV, 휴대폰, 냉장고, 청소기, 세탁기, 자동 판매기 등)을 나타낸다.
IoT 어댑터는 IoT 장치(115)에 장착되어 사물이 IoT 통신을 이용할 수 있게 해준다. IoT 어댑터는 근거리 무선통신, 와이파이(Wi-fi), 이더넷(Ethernet), 3G, LTE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있고, IoT 어댑터에 설치된 D-플랫폼(110)은 IoT 통신을 할 수 있도록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게 된다.
P-플랫폼(120)은 Planet 플랫폼의 약자로, IoT 장치(115) 관리, 이용자 관리, IoT 장치(115) 모니터링, IoT 장치(115) 검색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P-플랫폼(120)은 IoT 서비스 제공자(10)로부터 IoT 장치(115)에 대한 정보를 입력받아 IoT 장치(115)를 등록한다. 이때, IoT 장치(115)에 대한 정보는 장치 ID, 장치명, 모델명, 제조사, 위치정보, 장치상태정보 등을 포함하고, IoT 장치(115)에 대한 연결시 필요한 주소(예를 들어, IP 주소, MSISDN 등)가 포함된다.
그리고, P-플랫폼(120)은 IoT 서비스를 위한 IoT 애플리케이션을 등록 및 다운로드 하기 위해 S-플랫폼(130)에 접근하는 이용자에 대한 인증을 수행한다. 이용자 인증을 위해 P-플랫폼(120)은 이용자의 ID/PW, 전화번호 등의 개인 정보를 보유하고 있다.
또한, P-플랫폼(120)은 IoT 관련 매쉬업(Mash-up) 서비스를 개발하여 등록하는 개발자나 매쉬업 서비스를 이용하는 서비스 이용자를 인증하기 위한 서비스/개발자 인증을 수행한다.
뿐만 아니라, P-플랫폼(120)은 스마트 기기(예를 들어, 스마트폰, 태블릿 등)의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IoT 서비스 이용자의 IoT 서비스 접속을 인증한다.
M-플랫폼(130)은 Mash-up 플랫폼의 약자로, D-플랫폼(110)과 통신하여 IoT 애플리케이션이나 IoT 웹페이지를 통한 서비스 이용자의 제어 명령을 IoT 장치(115)에 전달한다.
또한, M-플랫폼(130)은 매쉬업 서비스 개발자(60)에 의해 개발된 IoT 매쉬업 서비스를 등록받는다. 즉, 매쉬업 서비스 개발자(60)는 IoT 매쉬업 서비스를 개발하여 M-플랫폼(130)에 등록하게 된다. 이때, 매쉬업 서비스 개발자(60)는 오픈 API 서버(150)로부터 제공된 IoT 오픈 API를 이용하여 IoT 매쉬업 서비스를 개발할 수도 있다.
IoT 장치들(115)은 M-플랫폼(130)에 자신들이 생성한 데이터들을 주기적으로 전송하며, 이에 M-플랫폼(130)은 IoT 장치(115)에서 생성된 데이터들을 수집하여 로그로 저장함으로서 다양한 IoT 매쉬업 서비스를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하는데 이용한다.
또한, M-플랫폼(130)은 IoT 매쉬업 서비스 이용에 따른 과금을 수행하며, IoT 장치들(115)에 대한 간략한 정보(예를 들어, ID, IP 주소 등)을 저장하고 있을 수 있다.
S-플랫폼(140)은 Store 플랫폼의 약자로, IoT 서비스를 위한 IoT 애플리케이션을 서비스 이용자에게 제공하는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기능을 제공한다. 이를 위해, S-플랫폼(140)은 애플리케이션 검색 기능을 제공한다. S-플랫폼(140)은 IoT 장치(115)의 ID를 기준으로 해당 IoT 장치(115)의 IoT 기능을 이용할 수 있는 IoT 애플리케이션을 검색해주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S-플랫폼(140)은 IoT 애플리케이션 개발자(50)에 의해 개발된 IoT 애플리케이션을 등록한다.
오픈 API 서버(150)는 IoT 서비스에 관련된 오픈 API를 관리 및 제공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IoT 장치(115)의 개발사는 IoT 장치(115)를 제조할 때 해당 IoT 장치(115)에 대한 오픈 API를 함께 개발하여, 관련 오픈 API를 오픈 API 서버(150)에 등록하여 저장하게 된다. 그러면, 오픈 API 서버(150)는 이와 같이 다양한 개발사들에 의해 개발된 IoT 장치(115) 각각에 대한 다양한 오픈 API를 등록 및 저장하여 관리하게 된다.
그리고, 오픈 API 서버(150)는 저장된 오픈 API를 IoT 서비스 관련 웹사이트, 매쉬업 서비스 사이트 및 애플리케이션를 개발하고자하는 개발자에게 제공한다. 따라서, 개발자들은 IoT 서비스 관련 웹사이트, 매쉬업 서비스 사이트 및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때 오픈 API 서버(150)로부터 관련 오픈 API를 제공받아, 제공된 오픈 API를 이용한 IoT 서비스를 개발할 수 있게 된다.
예를 들어, IoT 장치 제조사가 IoT 장치(115)에 대한 상태 정보(예를 들어, 고장 여부)를 제공하는 오픈 API를 오픈 API 서버(150)에 등록한 경우, 개발자는 해당 상태 정보 제공 오픈 API를 오픈 API 서버(150)에서 검색 및 이용하여 IoT 장치(115)의 상태를 조회하는 기능을 IoT 서비스 관련 웹사이트, 매쉬업 서비스 사이트 및 IoT 애플리케이션에 구현할 수 있게 된다.
한편, IoT 서비스 이용자는 모바일 기기의 일종인 스마트 기기(40)에 다운로드된 IoT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직접 IoT 장치(115)에 접근하여 IoT 서비스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때, IoT 장치(115)는 스마트 기기(40)와 M-플랫폼(130)의 중계를 통해 연결되거나 P2P(Peer to Peer) 통신을 통해 직접 연결되어 Io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이 경우, IoT 장치(115)의 D-플랫폼(110)은 스마트 기기(40)의 IoT 애플리케이션과 M-플랫폼(130)의 중계를 통해 간접 통신하거나 P2P 통신을 이용하여 직접 통신하게 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100)은 D-플랫폼(110), P-플랫폼(120), M-플랫폼(130), 및 S-플랫폼(140)이 서로 연동되어 다양한 IoT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장치(115)의 구성을 도시한 블럭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IoT 장치(115)는 장치 본체(210), IoT 어댑터(220)를 포함한다.
장치 본체(210)는 IoT 장치(115)의 본연의 기능을 제공하기 위한 장치 본체를 나타낸다. 예를 들어, IoT 장치(115)가 휴대폰인 경우는 장치 본체(210)는 휴대폰 본체를 나타낸다. 그리고, IoT 장치(115)가 전등인 경우 장치 본체(210)는 전등 본체를 나타낸다.
IoT 어댑터(220)는 IoT 장치(115)에 장착되어 IoT 통신이 가능하도록 지원한다. 즉, IoT 장치(115)는 IoT 어댑터(220)를 통해 외부와 통신을 할 수 있게 된다.
IoT 어댑터(220)는 디지털 I/O(221), 아날로그 I/O(223), D-플랫폼(110) 및 통신모듈(225)를 포함한다.
디지털 I/O(221)는 장치 본체(210)와 IoT 어댑터(220) 사이에 디지털 신호를 송수신한다. 그리고, 아날로그 I/O(223)는 장치 본체(210)와 IoT 어댑터(220) 사이에 아날로그 신호를 송수신한다.
D-플랫폼(110)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IoT 어댑터(220)에 설치될 수 있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IoT 장치(115)에 직접 설치될 수도 있다. 어떠한 경우든, D-플랫폼(110)은 P-플랫폼(120) 및 M-플랫폼(130)과 연동하고 IoT 애플리케이션 및 IoT 웹사이트를 통해 스마트 기기와 연동한다.
통신모듈(225)은 근거리 무선통신, 와이파이, 이더넷, 3G, LTE 중 적어도 하나를 통해 통신할 수 있는 통신 모듈을 포함하고 있다. 하지만, 통신모듈(225)은 나열된 통신 방식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외에도 IoT 서비스를 위한 다양한 통신 방식을 위한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을 이용하여, IoT POS(Point of Sales)를 구현할 수 있으며, 이하에서는 IoT POS 시스템에 대해, 도 3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IoT POS 시스템(300)에는 D-플랫폼(110)이 설치된다. 구체적으로, D-플랫폼(110)은 IoT POS 시스템(300)에 직접 설치될 수 있음은 물론 IoT POS 시스템(300)에 장착된 IoT 어댑터에 설치될 수도 있다. D-플랫폼(110)은 P-플랫폼(120) 및 M-플랫폼(130)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고객의 스마트 기기(40)는 P-플랫폼(120), M-플랫폼(130) 및 S-플랫폼(140)에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다. 그리고, 스마트 기기(40)는 IoT POS 시스템(300)에 직접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IoT POS 시스템(300)을 이용하여, IoT POS 서비스를 이용하게 되는 과정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POS 시스템(300) 관련 API 및 애플리케이션의 등록 과정을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흐름도이다. 도 4에서 POS 개발사는 도 1의 IoT 장치 개발사(20)에 대응되고, APP 개발사는 도 1의 애플리케이션 개발자(50)에 대응된다.
POS 개발사는 먼저 IoT POS 시스템(300) 및 IoT POS 관련 API를 개발한다(S410). 이때, POS 개발사는 IoT POS 시스템(300)에 IoT 기능을 탑재하거나 이를 지원할 수 있도록 IoT 어댑터를 장착시켜 개발할 수 있다. 여기에서, IoT POS 관련 API는 IoT POS 시스템(300)을 이용한 IoT 서비스용 웹페이지나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적인 기능들을 구현한 API 들을 나타낸다.
그리고, POS 개발사는 IoT POS 관련 API를 오픈 API 서버(150)에 등록시킨다(S420). 즉, 오픈 API 서버(150)는 IoT POS 관련 API를 등록하게 된다.
그러면, APP 개발사는 오픈 API 서버(150)에 등록된 IoT POS 관련 API를 이용하여, IoT POS 고객용 애플리케이션을 개발할 수 있게 된다(S430). 여기에서, IoT POS 고객용 애플리케이션은 원하는 IoT POS 시스템(300)에 접속하여 예약 및 결제를 할 수 있게 하는 기능의 IoT 애플리케이션이며, 이외에도 IoT POS 시스템(300)과 관련된 다양한 IoT 서비스 기능을 제공할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을 나타낸다.
그리고, APP 개발사는 개발된 IoT POS 고객용 애플리케이션을 S-플랫폼(140)에 등록시킨다(S440). 즉, S-플랫폼(140)은 APP 개발사에 의해 개발된 IoT POS 애플리케이션을 등록한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POS 개발사 및 APP 개발사는 IoT POS 시스템(300) 관련 API 및 애플리케이션을 등록하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POS 서비스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여기에서, 도 5에 도시된 상점은 도 1의 IoT 서비스 제공자(10)에 대응되고, 도 5의 고객은 도 1의 스마트 기기(40)의 사용자로 IoT POS 서비스 이용자에 해당한다.
먼저, 상점의 IoT POS 시스템(300)이 IoT POS 서비스 제공자(10)에 의해 상점에 설치된다(S510). 그리고, IoT POS 서비스 제공자(10)는 IoT POS 시스템(300)에 대한 정보를 P-플랫폼(120)에 등록시킨다(S520). 이때, IoT POS 시스템(300)에 대한 정보는 장치 ID, 장치명, 모델명, 제조사, 위치정보, 장치상태정보 등을 포함하고, IoT POS 시스템(300)에 대한 연결시 필요한 주소(예를 들어, IP 주소, MSISDN 등)가 포함된다.
이후, 스마트 기기(40)의 이용자가 스마트 기기(40)에 설치된 IoT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P-플랫폼(120)에서 IoT POS 시스템(300)을 검색한다(S525). 구체적으로 S525단계는, i) 스마트 기기(40)에 설치된 IoT 브라우저가 P-플랫폼(120)에 접속하면, ii) P-플랫폼(120)이 이용자 인증 후에 IoT 브라우저에 나타낼 IoT 장치들에 대한 정보들을 전송하고, iii) IoT 브라우저가 P-플랫폼(120)으로부터 전달받은 IoT 장치들을 나열하면, iv) 나열된 IoT 장치들 중 IoT POS 시스템(300)을 서비스 이용자가 검색하여 선택하는 절차에 의한다.
IoT 장치 나열은, 지도상에 아이콘 형태로 표시되거나 텍스트 리스트 형태로 표시될 수 있다.
이후, IoT 브라우저는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IoT 장치인 IoT POS 시스템(300)의 ID를 S-플랫폼(140)에 전달하여 IoT POS 시스템(300)에 대한 IoT 애플리케이션인 IoT POS 고객용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는다(S535). IoT POS 고객용 애플리케이션은 고객이 스마트 기기(40)를 이용하여 실행시킬 수 있는 애플리케이션으로, 상점의 메뉴에 대한 주문 기능, 결제처리 기능, 예약 기능 등을 제공한다.
구체적으로 S535단계는, i) IoT 브라우저가 IoT POS 시스템(300)의 ID를 S-플랫폼(140)에 전달하여 IoT POS 시스템(300)에 대한 애플리케이션 리스트를 S-플랫폼(140)으로부터 전달받아 표시한 후, ii) 표시된 애플리케이션들 중 서비스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IoT POS 고객용 애플리케이션을 S-플랫폼(140)에 요청하여 다운로드 받는 절차에 의한다.
한편, IoT 브라우저는 이용자에 의해 선택된 IoT POS 시스템(300)의 ID를 P-플랫폼(120)에 전달하여 IoT POS 시스템(300)에 대한 세부 정보를 P-플랫폼(120)으로부터 전달받아, 이용자의 요청시 IoT 브라우저에 표시가능하다.
이후, 스마트 기기(40)는 S535단계에서 다운로드된 IoT POS 고객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상점의 메뉴 정보 및 좌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조회 요청을 M-플랫폼(130)을 통해 상점의 IoT POS 시스템(300)로 전송한다(S540).
그러면, 상점의 IoT POS 시스템(300)은 상점의 메뉴 정보 및 좌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M-플랫폼(130)을 통해 스마트 기기(40)로 전송한다(S545).
이후, 고객의 스마트 기기(40)는 상점에 대한 예약요청을 M-플랫폼(130)을 통해 상점의 IoT POS 시스템(300)로 전송한다(S550).
그러면, 상점의 IoT POS 시스템(300)은 M-플랫폼(130)을 통해 수신된 예약처리를 실시간으로 수행하게 된다(S555). 여기서, 예약요청은 상점 내의 좌석에 대한 예약 요청이 될 수도 있고, 방에 대한 예약 요청이 될 수도 있으며, 메뉴에 대한 예약 요청이 될 수도 있다. 또한, 이외에도 예약의 종류에는 제한이 없다.
그리고, 고객은 상점에 방문하고, 상점은 고객에게 관련 서비스를 제공한다.
이후, 결제 요청이 입력되면, 상점의 IoT POS 시스템(300)은 M-플랫폼(130)을 통해 고객의 스마트 기기(40)와 연동하여 모바일 카드 등을 이용한 결제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S560). 구체적으로, 상점의 IoT POS 시스템(300)은 결제 요청이 입력되면, M-플랫폼(130)을 통해 고객의 스마트 기기(40)로 결제요청을 전송한다.
그리고, 결제 요청이 수신되면, 고객의 스마트 기기(40)는 M-플랫폼(130)을 통해 상점의 IoT POS 시스템(300)와 연동하여 모바일 카드 등을 이용한 결제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S565). 이때, M-플랫폼(130)은 결제 요청이 입력되면 상점의 IoT POS 시스템(300)과 고객의 스마트 기기(40)를 연동시켜 결제 처리를 수행하게 된다.
한편, 결제 과정에서 고객의 스마트 기기(40)와 상점의 IoT POS 시스템(300)은 근거리에 위치하고 있으므로, 스마트 기기는 IoT POS 고객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IoT POS 시스템(300)에 설치된 D-플랫폼(110)에 직접 접속하여 IoT POS 시스템(300)와 결제 절차를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을 통해, 상점의 IoT POS 시스템(300)과 고객의 스마트 기기(40)는 IoT POS 서비스 방법을 제공 및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100)은 D-플랫폼, P-플랫폼, M-플랫폼 및 S-플랫폼을 이용하여 IoT POS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게 되어, IoT 서비스 이용자는 IoT POS 서비스를 이용하여 상점의 메뉴 확인 및 예약을 직관적으로 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위 실시예에서는 스마트 기기(40)는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IoT POS 시스템(300)에 장착된 D-플랫폼(110)에 접속한 후 IoT POS 시스템(300)과 통신하는 과정에 대해 도시하고 설명하였다.
하지만, 스마트 기기(40)가 다운로드된 애플리케이션이 아닌 IoT POS 시스템(300)에서의 예약/결제를 위한 IoT POS 웹페이지에 접속하여 IoT POS 시스템(300)과 통신하여 메뉴 확인, 예약 및 결제 등의 IoT POS 서비스를 제공받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위 실시예에서 IoT POS 시스템(300) 검색은 IoT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상정하였는데 이는 다양하게 구현가능하다. 예를 들어, IoT POS 시스템(300)의 ID나 명칭을 직접 입력하여 검색/선택하거나, IoT POS 시스템(300)의 카테고리 검색을 통해 선택하는 것이 가능하다. 뿐만 아니라, IoT POS 시스템(300)에 부착된 QR 코드로부터 IoT POS 시스템(300)의 ID를 획득하여 IoT POS 시스템(300)을 선택하거나, IoT POS 시스템(300)과 NFC, ZigBee, 블루투스 등의 근거리 통신에 의해 ID를 획득하여 IoT POS 시스템(300)를 선택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100), D-플랫폼(110), P-플랫폼(120), M-플랫폼(130), 및 S-플랫폼(140)은 그 명칭에 제한되지 않으며 해당 기능에 해당되는 소프트웨어, 전자 장치, 또는 시스템이라면 어느 것에도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100), D-플랫폼(110), P-플랫폼(120), M-플랫폼(130), 및 S-플랫폼(140)은 소프트웨어 플랫폼 형태가 아닌 이외의 라이브러리, 소프트웨어 솔루션, 소프트웨어 패키지,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 개별적인 소프트웨어 등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 IoT 서비스 제공자 20 : IoT 장치 개발사
30 : IoT 서비스 이용자 40 : 스마트 기기 이용자
50 : IoT 애플리케이션 개발자 60 : 매쉬업 서비스 개발자
100 : IoT 소프트웨어 플랫폼 110 : D-플랫폼
115 : IoT 장치 120 : P-플랫폼
130 : M-플랫폼 140 : S-플랫폼
150 : 오픈 API 서버 300 : IoT POS 시스템

Claims (8)

  1. IoT POS(Internet of Things Point Of Sales) 시스템을 이용한 IoT POS 서비스 방법에 있어서,
    모바일 기기가 P-플랫폼을 통해 상기 IoT POS 시스템을 검색하는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가 S-플랫폼을 통해 상기 IoT POS 시스템에 접속하여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IoT POS 고객용 애플리케이션을 다운로드 받는 단계;
    상기 모바일 기기가 상기 IoT POS 고객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여, 메뉴 정보 및 좌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조회 요청을 상기 IoT POS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IoT POS 시스템이 메뉴 정보 및 좌석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모바일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POS 서비스 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와 상기 IoT POS 시스템은,
    M-플랫폼을 통해 통신하거나 직접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POS 서비스 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단계는,
    IoT 장치들의 위치를 지도상에 아이콘 형태로 표시하거나 IoT 장치들을 텍스트 리스트로 표시하는 IoT 브라우저를 이용하여 상기 IoT POS 시스템을 검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POS 서비스 방법.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IoT POS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모바일 기기가 상기 IoT POS 고객용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고, 상기 IoT POS 고객용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메뉴 정보 및 좌석 정보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조회 요청을 상기 IoT POS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POS 서비스 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기기가 예약요청을 상기 IoT POS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 및
    예약 요청이 수신된 경우, 상기 IoT POS 시스템이 요청된 예약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와 상기 IoT POS 시스템은,
    M-플랫폼을 통해 통신하거나 직접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POS 서비스 방법.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IoT POS 시스템이 결제 요청을 입력받으면, 상기 모바일 기기로 결제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기기가 상기 IoT POS 시스템과 결제 처리를 수행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모바일 기기와 상기 IoT POS 시스템은,
    M-플랫폼을 통해 통신하거나 직접 통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POS 서비스 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IoT POS 시스템은,
    IoT 어댑터가 장착되어 있고, IoT POS 시스템 또는 IoT 어댑터에 D-플랫폼이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IoT POS 서비스 방법.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IoT POS 서비스 방법을 구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이 수록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20120075464A 2012-07-11 2012-07-11 IoT POS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101437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464A KR101437430B1 (ko) 2012-07-11 2012-07-11 IoT POS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464A KR101437430B1 (ko) 2012-07-11 2012-07-11 IoT POS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668A true KR20140008668A (ko) 2014-01-22
KR101437430B1 KR101437430B1 (ko) 2014-09-05

Family

ID=501423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5464A KR101437430B1 (ko) 2012-07-11 2012-07-11 IoT POS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37430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51244A (zh) * 2019-09-26 2020-02-04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物联网iot设备激活方法、装置及设备
WO2021034410A1 (en) * 2019-08-16 2021-02-25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Iot devices
WO2023003391A1 (ko) * 2021-07-23 2023-01-26 주식회사 올링크 중계서버를 이용한 디지털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2164127A (zh) 2011-03-21 2011-08-24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基于物联网的预约系统及方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34410A1 (en) * 2019-08-16 2021-02-25 Mastercard International Incorporated Iot devices
CN110751244A (zh) * 2019-09-26 2020-02-04 支付宝(杭州)信息技术有限公司 物联网iot设备激活方法、装置及设备
WO2023003391A1 (ko) * 2021-07-23 2023-01-26 주식회사 올링크 중계서버를 이용한 디지털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37430B1 (ko) 2014-09-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92868B1 (ko) 사물 인터넷 서비스 제공방법
JP6811263B2 (ja) M2m−iotサービスのパブリケーションおよび発見
KR101397471B1 (ko) 디바이스 플랫폼이 설치된 IoT 장치 및 IoT 어댑터
KR101558236B1 (ko) IoT 브라우징 방법 및 장치
CN105659634B (zh) 用于接近服务以及物联网服务的联合注册和注销的方法
KR101567294B1 (ko) Wifi 핫스팟을 통해 로컬 서비스들을 발견하고 액세스하는 장치들 및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들
US9232340B2 (en) Application store system and application development method using the application store system
JP6637166B2 (ja) 強化RESTful動作
CN107925668A (zh) 资源驱动的动态授权框架
KR101081331B1 (ko) 휴대 단말을 이용한 클라우드 프린팅 시스템 및 방법
KR20080031810A (ko) 협업 컴퓨팅 세션을 중재하기 위한 환경적 서비스 브로커
CN106471465A (zh) 服务启用器功能
CN105766005A (zh) 服务覆盖管理系统和方法
CN104520836A (zh) 用于促进应用之间的服务提供的系统和方法
WO2012164038A1 (en) Sensor allocation
KR101437430B1 (ko) IoT POS 서비스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
KR20110127565A (ko) 모바일 오피스에 적용 가능한 정보의 요약을 통한 생성, 관리 및 그를 이용한 인증 제어 방법
KR101349773B1 (ko) 위치 추적 서비스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위치 추적 시스템
KR100864076B1 (ko) 모바일 디바이스를 이용한 편의 서비스 동적 발견 방법 및편의 서비스 운영 시스템
KR20110127566A (ko) 정보인식 전달장치를 이용한 모바일 단말에서의 결제 방법
Jalowiczor et al. Development and deployment of the main parts of LoRaWAN private network
Zhang et al. Lightweight SOA-based twin-engine architecture for enterprise systems in fixed and mobile environments
KR101395074B1 (ko) 사용자 단말기 및 이에 설치된 플랫폼 기반 애플리케이션 간 정보 공유 방법
Chang et al. Design and implementation of resource-centric web services in smart grid cyber-physical systems
KR101782925B1 (ko) Cpns 서비스 제공을 위한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627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