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8062A - 휴대용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모듈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 Google Patents

휴대용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모듈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8062A
KR20140008062A KR1020120075022A KR20120075022A KR20140008062A KR 20140008062 A KR20140008062 A KR 20140008062A KR 1020120075022 A KR1020120075022 A KR 1020120075022A KR 20120075022 A KR20120075022 A KR 20120075022A KR 20140008062 A KR20140008062 A KR 2014000806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lectronic device
display module
frame
portable electronic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50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05527B1 (ko
Inventor
하영진
Original Assignee
(주) 장원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 장원테크 filed Critical (주) 장원테크
Priority to KR10201200750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05527B1/ko
Publication of KR2014000806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806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0552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0552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2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with a single-body enclosure integrating a flat display, e.g. Personal Digital Assistants [PDA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모듈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는, 전면에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되며,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가 구비될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상기 배터리를 삽입 가능한 관통홀이 형성된 프레임부재 및 상기 관통홀을 차폐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구비된 차폐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휴대용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모듈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Display Module Frame for Mobile Electronic Equipment and Mobile Electronic Equipment Having the Same}
본 발명은 디스플레이 모듈 모듈이 구비되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모듈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되는 프레임부재에 관통홀이 형성되어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의 디스플레이 모듈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전자기기, 특히 휴대용 전화기의 사용량이 크게 늘어남에 따라 관련 분야의 기술이 크게 발전하고 있는 추세이다. 또한 최근에는 스마트폰을 사용하는 인구 비율이 점점 증가하고 있으며, 다양한 사용자의 요구를 만족시키기 위해 디스플레이의 크기는 점차 대형화되고, 전체 기기의 두께는 점차 얇아지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를 결정하는 데에는 배터리의 부피가 큰 영향을 끼치게 된다. 배터리의 수명을 충분히 확보하기 위해서는 배터리의 부피가 커질 수밖에 없으며, 이는 기기의 전체 두께를 증가시키게 되는 원인이 된다. 사용자가 휴대용 전자기기를 선택함에 있어서 무게, 디자인 등은 물론 중요한 요소이나, 배터리의 지속 시간이 무엇보다 중요한 조건으로 인식되고 있다.
따라서 종래의 휴대용 전자기기는 배터리의 지속 시간을 일정 이상 확보하도록 제작됨에 따라 전체 기기의 두께를 줄이는 데 한계가 있다. 반대로 전체 기기의 두께를 줄이기 위해서는 용량이 작은 배터리를 사용하여야 하므로 사용자의 불만이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따라서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한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배터리의 지속 시간을 충분히 확보하면서도 전체 기기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는 휴대용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모듈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과정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모듈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는, 전면에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되며,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가 구비될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상기 배터리를 삽입 가능한 관통홀이 형성된 프레임부재 및 상기 관통홀을 차폐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구비된 차폐부재를 포함한다.
그리고 상기 차폐부재의 면적은 상기 관통홀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차폐부재가 안착되는 단차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단차는 상기 차폐부재의 두께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부재의 면적은 상기 관통홀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관통홀의 외측 둘레에 접착성 물질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차폐부재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차폐부재는 박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프레임부재 후면에는, 상기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연장부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휴대용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모듈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동일 두께의 배터리를 사용하더라도 종래에 비해 전체 기기의 두께를 감소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둘째, 전체 기기가 동일한 두께를 가질 경우에는 배터리의 용량을 보다 증가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셋째, 프레임부재의 성형이 용이하여 종래에 비해 제조 단가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제작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넷째, 디스플레이 모듈 장착부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모듈 프레임에 있어서, 프레임부재의 전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모듈 프레임에 있어서, 프레임부재의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모듈 프레임에 있어서, 프레임부재에 차폐부재 및 배터리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모듈 프레임에 있어서, 프레임부재에 차폐부재 및 배터리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모듈 프레임에 있어서, 프레임부재에 차폐부재 및 배터리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모듈 프레임에 있어서, 프레임부재에 차폐부재를 접착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모듈 프레임은 사용자가 휴대하며 사용하는 다양한 휴대용 전자기기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라 함은 휴대용 전화기, 휴대용 단말기 등 다양한 제품일 수 있다. 또한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상기 휴대용 전자기기는 휴대용 전화기인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님은 물론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모듈 프레임에 있어서, 프레임부재(100)의 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는 최근 널리 사용되는 스마트폰인 것으로 하였으며, 도시된 프레임부재(100)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구비되는 측인 전방 프레임을 형성한다.
즉 스마트폰의 외장은 일반적으로 전방 프레임 및 후방 프레임이 결합된 형태를 가지며, 전방 프레임 및 후방 프레임 사이에는 공간이 형성되어 이후 기판 등 다양한 부품이 실장될 것이다.
프레임부재(100)의 전면에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의 경우, 프레임부재(100)의 둘레에는 프레임부재(100)의 전면보다 전방으로 돌출된 돌출부(120)가 형성된다.
특히 돌출부(120)는 이후 장착될 디스플레이 모듈의 두께에 대응되도록 형성되고, 디스플레이 모듈은 프레임부재(100)의 둘레에 형성된 돌출부(120) 내측에 끼워져 장착될 수 있다. 즉 본 실시예에서 프레임부재(100)의 전면 전체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크기에 대응되는 면적으로 형성된다.
그리고 프레임부재(100)에는, 이후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가 구비될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에 관통홀(110)이 형성된다. 관통홀(110)은 프레임부재(100)의 전후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본 실시예의 경우 관통홀(110)은 프레임부재(100)의 하부에 다소 치우친 상태로 사각형 형상을 가진다.
이후 관통홀(110)에는 차폐부재가 구비되며, 배터리가 삽입될 수 있다. 차폐부재, 배터리 및 도 1에 도시된 단차(130)에 대해서는 후술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모듈 프레임에 있어서, 프레임부재(100)의 후면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관통홀(110)은 프레임부재(100)의 전후를 관통하므로, 후면에서도 관통홀(110)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관통홀(110)의 둘레에는, 관통홀(110)의 둘레를 따라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연장부(140)가 형성된다.
연장부(140)는 이후 배터리가 안정적으로 관통홀(110) 내에 삽입될 수 있도록 가이드의 역할을 하는 동시에, 배터리의 측면을 지지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모듈 프레임에 있어서, 프레임부재(100)에 차폐부재(200) 및 배터리(300)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재(100)의 전면에는 차폐부재(200)가 구비된다. 차폐부재(200)는 관통홀(110)에 삽입된 배터리(300) 또는 프레임부재(100)의 후방에 실장될 다양한 부품들이 이후 장착될 디스플레이 모듈에 전기적, 물리적으로 영향을 받는 것을 방지하도록 관통홀(110)을 차폐한다.
그리고 차폐부재(200)는 디스플레이 모듈 또는 배터리(300)의 실장 시 방해되지 않게 최소한의 두께를 가지도록 박막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차폐부재(200)는 배터리(300)를 지지할 수 있도록 충분한 강도를 가지도록 형성될 필요가 있으며, 이에 따라 차폐부재(200)는 금속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차폐부재(200)는 관통홀(110)의 형상과 마찬가지로 사각형 형상을 가지나, 그 면적은 관통홀(110)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된다. 그리고 프레임부재(100)의 관통홀(110) 외측 둘레에는 차폐부재(2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단차(130)가 형성되어, 차폐부재(200)는 관통홀(110) 전방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서 차폐부재(200)는 얇은 두께를 유지하는 동시에 고강도를 가질 수 있도록 박막형의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된다.
한편 차폐부재(200)를 대신하여 프레임부재(100) 상에 관통홀(110)을 형성하지 않고 프레임부재(100) 해당 영역의 두께를 보다 얇게 성형하는 방법을 생각해 볼 수도 있을 것이다. 다만, 이는 해당 영역의 두께가 극히 얇기 때문에 성형하기가 용이하지 않으며, 이와 같은 방법을 시도한다고 하더라도 제품의 불량률이 매우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제조 공정 시 파손될 위험이 높으므로, 본 발명에서는 차폐부재(200)를 사용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모듈 프레임에 있어서, 프레임부재(100)에 차폐부재(200) 및 배터리(300)가 결합되는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모듈 프레임에 있어서, 프레임부재(100)에 차폐부재(200) 및 배터리(300)가 결합된 모습을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후 휴대용 전자기기에 배터리(300)를 장착할 경우, 배터리(300)는 관통홀(110) 내에 삽입된다.
종래의 경우 프레임부재에는 관통홀이 형성되지 않으므로 배터리가 프레임부재의 후면에 막히게 되어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체 두께는 최소한 디스플레이 모듈의 두께, 프레임부재의 두께 및 배터리의 두께를 합친 것 이상으로 형성된다.
이에 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배터리(300)가 관통홀(110)에 삽입되어 프레임부재(110)의 후면보다 전방으로 진입하게 되므로,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를 크게 감소시킬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경우, 휴대용 전자기기의 전체 두께는 디스플레이 모듈의 두께, 차폐부재(200)의 두께 및 배터리(300) 두께를 합친 두께에 대응될 것이다.
이때 차폐부재(200)는 박막 형태로 형성되어 프레임부재(110)에 비해 매우 얇게 형성되므로, 전체 휴대용 전자기기의 두께 역시 크게 감소하게 될 것이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모듈 프레임은 종래에 비해 프레임부재(100)의 두께에서 차폐부재(200)의 두께를 뺀 값만큼 배터리(300)의 실장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휴대용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모듈 프레임에 있어서, 프레임부재(100)에 차폐부재(200)를 접착시키는 모습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부재(100)의 관통홀(110) 외측 둘레에는 차폐부재(200)가 안착될 수 있도록 단차(130)가 형성되어, 차폐부재(200)는 관통홀(110) 전방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다.
이때 차폐부재(200)는 접착성 물질에 의해 접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 접착성을 가지는 접착부재(210)가 차폐부재(200)와 단차(130) 사이에 구비되어, 차폐부재(200)는 안정적으로 접착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어디까지나 하나의 실시예로서, 액체형의 접착 수지가 단차(130) 및 차폐부재(200) 사이에 도포될 수도 있으며, 차폐부재(200) 자체가 접착성을 가질 수도 있는 등 다양한 방법에 의해 차폐부재(200)가 관통홀(110) 외측 둘레에 접착될 수 있을 것이다.
한편 이상 설명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프레임부재(100)는 스마트폰의 전방 프레임인 것으로 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으며 프레임부재(100)라 함은 휴대용 전자기기의 외장을 형성하는 프레임의 적어도 일부를 형성하는 다양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즉 휴대용 전자기기의 종류에 따라 세부 프레임의 형상은 달라질 수 있으며, 프레임부재(100)는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되는 장착부를 가진다면 어떤 형태의 프레임으로도 형성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100: 프레임부재 110: 관통홀
120: 돌출부 130: 단차
140: 연장부 200: 차폐부재
210: 접착부재 300: 배터리

Claims (8)

  1. 전면에 디스플레이 모듈이 장착되는 장착부가 형성되며, 휴대용 전자기기의 배터리가 구비될 위치에 대응되는 영역에는 상기 배터리를 삽입 가능한 관통홀이 형성된 프레임부재; 및
    상기 관통홀을 차폐하도록 상기 프레임의 전면에 구비된 차폐부재;
    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모듈 프레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의 면적은 상기 관통홀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관통홀의 외측 둘레에는 상기 차폐부재가 안착되는 단차가 형성된 휴대용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모듈 프레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단차는 상기 차폐부재의 두께에 대응되는 높이를 가지는 휴대용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모듈 프레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의 면적은 상기 관통홀의 면적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차폐부재는 상기 관통홀의 외측 둘레에 접착성 물질에 의해 접착되는 휴대용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모듈 프레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스테인리스 재질로 형성된 휴대용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모듈 프레임.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차폐부재는 박막 형태로 형성된 휴대용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모듈 프레임.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부재 후면에는,
    상기 관통홀의 둘레를 따라 후방으로 돌출 형성된 연장부가 형성된 휴대용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모듈 프레임.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의 휴대용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모듈 프레임을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KR1020120075022A 2012-07-10 2012-07-10 휴대용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모듈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KR10140552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022A KR101405527B1 (ko) 2012-07-10 2012-07-10 휴대용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모듈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5022A KR101405527B1 (ko) 2012-07-10 2012-07-10 휴대용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모듈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8062A true KR20140008062A (ko) 2014-01-21
KR101405527B1 KR101405527B1 (ko) 2014-06-11

Family

ID=5014207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5022A KR101405527B1 (ko) 2012-07-10 2012-07-10 휴대용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모듈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0552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8773A1 (ko) * 2016-11-11 2018-05-17 삼성전자 주식회사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67558B2 (ja) 2005-08-25 2009-11-18 日本電気株式会社 携帯機器の筐体
JP4833130B2 (ja) * 2007-03-28 2011-12-07 京セラ株式会社 電子機器
KR101126606B1 (ko) * 2010-11-17 2012-03-27 에이큐 주식회사 루프 안테나가 내장된 이동단말의 리어 케이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88773A1 (ko) * 2016-11-11 2018-05-17 삼성전자 주식회사 배터리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05527B1 (ko) 2014-06-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81326B2 (en) Housing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reduced border region
US10761563B2 (en) Housing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reduced border region
US8885867B1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US8542481B2 (en) Liquid crystal display module for portable terminal
JP5981189B2 (ja) 透光性パネル取付構造及び携帯型電子機器
EP2632171B1 (en) Loudspeaker housing and mobile terminal device
KR20100132360A (ko) 휴대용 단말기의 엘씨디 모듈
CN108153026B (zh) 显示屏组件及电子设备
US20120132790A1 (en) Electronic device having proximity detection function
US20150281415A1 (en) Metal protector frame assembly for mobile phone
KR101405527B1 (ko) 휴대용 전자기기용 디스플레이 모듈 프레임 및 이를 포함하는 휴대용 전자기기
US20180015698A1 (en) Arc-shaped cell phone screen protector
US9774939B2 (en) Slim electronic device
JP2006303687A (ja) 表示モジュールおよび携帯端末装置
CN208638723U (zh) 受话器、受话器组件及电子设备
KR200466469Y1 (ko) 이동통신 단말기용 케이스
JP2015070366A (ja) 携帯端末装置
KR101506572B1 (ko) 휴대단말기 케이스 조립체
CN218786126U (zh) 一种抽拉式贴保护膜装置及手机保护膜
CN109558023A (zh) 触摸显示屏和终端设备
AU2016201026B2 (en) Housing for portable electronic device with reduced border region
KR101437680B1 (ko) 휴대폰 케이스의 거울 장착구조
KR20140014728A (ko) 휴대용 단말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