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6561A - 폭염예측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이를 이용한 폭염적응 키트 - Google Patents

폭염예측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이를 이용한 폭염적응 키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6561A
KR20140006561A KR1020120073814A KR20120073814A KR20140006561A KR 20140006561 A KR20140006561 A KR 20140006561A KR 1020120073814 A KR1020120073814 A KR 1020120073814A KR 20120073814 A KR20120073814 A KR 20120073814A KR 20140006561 A KR20140006561 A KR 2014000656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heat wave
heat
characteristic information
fun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38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84210B1 (ko
Inventor
조정길
차승훈
박영준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이쓰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이쓰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이쓰리
Priority to KR10201200738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84210B1/ko
Publication of KR20140006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8421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8421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Z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16Z99/00Subject matter not provided for in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9/00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 G06F9/06Arrangements for program control, e.g. control units using stored programs, i.e. using an internal store of processing equipment to receive or retain programs
    • G06F9/44Arrangements for executing specific progra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02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 G08B21/10Alarms for ensuring the safety of persons responsive to calamitous events, e.g. tornados or earthquak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ology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 Photometry And Measurement Of Optical Pulse Characteris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이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검출한 폭염 정보 및 노출시간과 미리 입력해 놓은 이용자 개개의 특성정보를 통하여 이용자 맞춤형의 폭염예측을 할 수 있도록 한 폭염예측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이를 이용한 폭염적응 키트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용자의 특성 정보에 따라 집단화 및 별도의 가중치를 적용함으로써, 이용자 개개인에 대한 폭염 예측에 대한 정밀도를 더욱 더 높일 수 있도록 한 폭염예측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이를 이용한 폭염적응 키트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저장된 특성정보라든가 폭염예측 관련 정보를 키트 외부로 출력하여 외부, 예를 들어서 클라우드 시스템 등에 저장하여 놓고서 이용자가 필요에 따라 편리하게 폭염 관련 정보를 얻어서 볼 수 있도록 한 폭염예측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이를 이용한 폭염적응 키트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는, 이용자 주변의 폭염 정도를 검출하는 기능; 현재의 폭염 상태에서 폭염에 노출된 시간을 검출하는 기능;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도록 개인의 특성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기능; 및 상기 폭염정도와 노출시간 그리고 특성정보를 이용하여 폭염으로 인한 위해(危害) 정도를 산출하는 기능; 및 상기 위해 정도가 사용자에게 위험한 것인가를 판단하여 위험하다고 판단되면 경고하기 위한 경고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폭염예측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이를 이용한 폭염적응 키트{COMPUTER READABLE MEDIUM RECORDING SWELTERING HEAT FORECAST AND THE KIT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폭염예측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이를 이용한 폭염적응 키트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이용자가 현재 위치한 지역의 폭염정도와 이러한 폭염에 노출된 시간에 따라 미리 입력된 이용자의 특성정보를 바탕으로 하여 개개인별로 맞춤식의 폭염경보 및 폭염적응 정보를 알려 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전 세계적으로 지구온난화가 야기한 기후변화로 인해 여름철 폭염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대두되고 있으며 빈도와 강도, 연속일수가 빠르게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여름철 폭염은 호흡기 감염 등의 질환을 앓고 있는 영유아 및 심혈관환자의 건강을 위협하고 있으며, 최근 들어 독거노인, 노숙자 등 사회취약계층의 피해가 급증하고 있다.
이에 개인별로 많이 휴대하고 다니는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현재의 기상정보 등을 제공하기 위한 관련 기술이 많이 개발되고 있다. 특허문헌1에는 이러한 날씨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특허문헌1은 이동통신 단말기를 이용하여 날씨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에 있어서, 단말기 이용자가 자신의 처한 상황에 따라 단말기에 스케줄러 기능이나 예약기능을 이용하여 날씨정보에 대한 알림을 위한 예약작업을 하는 단계와, 상기 예약작업후 단말기와 인접 기지국 간의 동기시 상기 기지국으로부터 날씨정보가 입수되면 예약작업으로 미리 세팅해 놓은 날씨정보와 기지국으로 부터 입수된 날씨정보의 일치 여부와 함께 해당되는 날씨정보를 이용자에게 알려주는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하지만, 이러한 날씨정보를 처리하는 방법은 다음과 같은 문제가 발생하였다.
(1) 기지국에서 제공하는 기상정보는 해당구역(일정 기준에 의해 미리 정해진 넓은 지역 범위)의 기상정보이고 위에서 기술한 방법은 이러한 정보를 단순히 취득 및 전송하는 구조이다. 즉, 서울 내에서 상대적으로 온도가 낮고 습도가 높은 환경인 한강변과 온도가 높고 습도가 낮은 도심의 이용자는 자외선 지수의 차이 등 서로 다른 기상조건에 놓이지만 위에서 기술한 방법은 한강변과 도심의 이용자 모두에게 서울 전체의 동일한 온도 및 습도 정보만을 제공한다.
2) 같은 지역에 있는 이용자라고 하더라도 그 주변 환경(예를 들어서, 실내와 실외, 물가와 도로변 등)에 따라서 폭염에 노출되는 시간에 따른 노출량이 서로 달라지고 그에 따른 영향도 달라지는데, 기존의 방법은 이러한 주변환경을 고려하지 않고 동일한 폭염 노출에 따른 동일한 영향으로 판단하기 때문에 폭염에 노출된 개인들마다 차이를 보이게 되었다.
3) 특히, 폭염으로 인한 영향 판단시 이용자의 성별이나 연령 그리고 병력 등에 따른 건강 상태 등과 같은 이용자의 특성정보를 고려하지 않기 때문에 종래의 방법은 개개인의 특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은 지역 수준의 평균적인 기상정보만을 제공하는 수준에 머물 수 밖에 없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559606호(2006.03.03)
본 발명은 이러한 점을 감안하여 안출한 것으로, 이용자의 현재 위치에서 검출한 폭염 정보 및 노출시간과 미리 입력해 놓은 이용자 개개의 특성정보를 통하여 이용자 맞춤형의 폭염예측을 할 수 있도록 한 폭염예측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이를 이용한 폭염적응 키트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용자의 특성 정보에 따라 집단화 및 별도의 가중치를 적용함으로써, 이용자 개개인에 대한 폭염 예측에 대한 정밀도를 더욱 더 높일 수 있도록 한 폭염예측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이를 이용한 폭염적응 키트을 제공하는데 다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저장된 특성정보라든가 폭염예측 관련 정보를 키트 외부로 출력하여 외부, 예를 들어서 클라우드 시스템 등에 저장하여 놓고서 이용자가 필요에 따라 편리하게 폭염 관련 정보를 얻어서 볼 수 있도록 한 폭염예측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이를 이용한 폭염적응 키트을 제공하는데 또 다른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폭염예측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는, 이용자 주변의 폭염 정도를 검출하는 기능; 현재의 폭염 상태에서 폭염에 노출된 시간을 검출하는 기능;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도록 개인의 특성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기능; 및 상기 폭염정도와 노출시간 그리고 특성정보를 이용하여 폭염으로 인한 위해(危害) 정도를 산출하는 기능; 및 상기 위해 정도가 사용자에게 위험한 것인가를 판단하여 위험하다고 판단되면 경고하기 위한 경고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상기 검출 기능은, 주변의 온도·습도 및 자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검출된 검출값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노출시간은 연속적 노출시간 및 간헐적 노출시간의 합으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상기 특성 정보는, 연령·성별·신체조건·병력 및 폭염스트레스민감도중에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하는 폭염예측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는, 상기 위해 정도는 이용자의 특성 정보에 따라 집단화 및 별도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리고, 본 발명에 따른 폭염예측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는, 상기 위해 정도와 경고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휴대용 단말기에서 볼 수 있게 유선 또는 무선방식으로 전송시켜 주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는, 상기 특성정보·위해 정도 그리고 경고 상태를 유선 또는 무선 정보통신망 또는 케이블 또는 전화선을 이용하여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는 외부전송기능이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폭염예측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탑재된 폭염적응 키트는, 이용자 주변의 폭염 정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 센서·습도센서 및 자외선 센서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검출센서; 폭염 예측 키드의 전반을 제어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 데이터 및 상기 폭염예측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 위해 경고를 위한 경고수단; 및 시간검출을 위한 타이머;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에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도록 미리 개인의 특성정보를 미리 입력받아 저장해 놓고;, 상기 중앙처리장치는 검출된 폭염정도와 노출시간 그리고 저장된 특성정보로부터 위해 정도를 산출하여 메모리에 누적·저장하고 위해하다고 판단되면 경고수단을 통해 경고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폭염적응 키트는,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거나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통신포트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폭염적응 키트는, 위해 정도 및 관련 데이터를 이용자가 볼 수 있도록 보여주는 디스플레이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폭염예측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이를 이용한 폭염적응 키트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1) 현재 이용자가 있는 지역의 온도와 습도 등을 바탕으로 실시간으로 폭염 정도를 판단하고, 이와 함께 이용자의 특성정보를 통하여 맞춤식으로 이용자에 대한 폭염예측이 가능하게 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폭염 예측 결과를 얻을 수 있게 되어 폭염 등으로 사망하는 인적 사고를 현저하게 줄일 수 있다.
(2) 특히, 특성정보로서 이용자의 연령이라든가 성별 그리고 병적 사항 등을 폭염 예측 결과를 얻는데 이용함으로써, 신뢰성과 정확성이 더욱 높아진 개인 맞춤형 건강 위해도 경보 및 폭염적응정보 제공이 가능하게 된다.
(3) 폭염적응 키트를 통해 폭염의 유해에 관한 정보를 얻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컴팩트하게 구성할 수 있고, 특히 유무선 방식의 통신수단을 이용하여 휴대용 단말기를 통해 디스플레이가 가능하게 함으로써, 누구나가 소지하고 잇는 휴대용 단말기를 이용하여 폭염 경보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폭염 예측을 위한 순서를 설명하기 위한 플로우챠트.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폭염적응 키트의 구성을 주기 위한 블럭도.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기록매체)
본 발명에 따른 폭염예측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는, 도 1과 같이, 컴퓨터에서 읽을 수 있는 것으로서, 이용자가 있는 위치에서의 폭염 정도·입력자가 미리 입력시켜 놓은 이용자의 특성정보 그리고 폭염에 노출된 시간 등을 고려하여 이용자에 대한 맞춤형의 폭염 정보를 제공하고, 이 폭염정보로부터 이용자의 건강상 위해(危害)가 생길 것으로 판단되면 이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도록 하여 폭염으로 인해 사망하거나 부상을 입는 등의 인명 피해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하, 이러한 기록매체에 기록된 폭염예측 프로그램에 대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제1기능으로서, 이용자 주변의 폭염 정도를 검출하는 기능이다. 이때의 폭염 정도는 이용자가 주변의 온도나 습도를 통하여 폭염에 대한 정보를 얻을 수도 있고, 주변의 자외선의 세기를 통하여 폭염에 대한 정보로 삼을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폭염정도는 온도와 습도 그리고 자외선의 세기 중에서 어느 하나만을 이용하여 검출할 수도 있으나, 이들의 상호 관계를 통하여 보다 정확한 폭염정도를 산출할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제1기능은 이용자 주변에서 폭염 정도를 검출하기 때문에 기상청 등에서 제공하는 폭염정도에 비하여 이용자를 중심으로 하는 맞춤식 폭염 정도를 제공할 수 있게 된다. 즉, 기상청의 경우 보통 행정구역상의 동 단위로 폭염 정보를 알려주게 되는데, 같은 동 내에서도 내천 등이 유무에 따라 이용자 주변의 폭염 정도가 달라지게 된다. 예를 들어서, 서울의 종로에 대한 폭염 주의보가 내려졌다고 가정하면, 지하철이 지나다니는 대로변에서 이용자가 느끼는 폭염 정도와 청계천에 있는 이용자가 느끼는 폭염정도에 차이가 발생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본 발명에서는 이용자가 현재 위치하고 있는 곳에서의 폭염 정도를 검출함으로써, 이용자 맞춤식 폭염예측 정보를 제공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제2기능은 이용자가 폭염(외부) 상태에 노출된 시간을 검출하는 기능이다. 이는 이용자가 현재 폭염 상태에 노출된 시간을 누적 저장하기 위한 것으로 건강 위해도 경보를 위한 기초입력자료(input-data)로 활용된다.
여기서 폭염노출시간은 연속적 노출누적시간 및 간헐적 노출누적시간의 합으로 산출된다. 여기서, 연속적 노출누적시간은 운동시간과 같이 지속적으로 폭염에 노출된 경우의 시간을 의미하고, 간헐적 노출누적시간은 경기장의 관중처럼 항상 폭염에 노출되어 있더라도 그 사이 사이에 잠시 폭염을 피하는 경우 폭염을 피한 시간을 제외한 시간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이용자가 폭염으로 판단되는 기상의 노상에서 30분간 걷다가 실내로 들어가서 20분 동안 커피를 마시고 다시 노상으로 나와 40분간 걸었다고 가정하면 본 발명에서는 실내에 있을 때의 시간인 20분을 제외한 노상에서의 시간인 70분을 폭염노출시간으로 산출한다.
이처럼 폭염노출시간은 이용자가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상황에서 지속되는 시간을 합하여 검출한다.
제3기능은 이용자의 특성정보를 입력받아 미리 저장해 놓는 기능이다. 여기서, 특성정보는 이용자에 관한 신상정보로서, 예를 들어서,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는 연령·성별·신체조건·병력 및 폭염스트레스 민감도등을 예로 들 수 있다.
이러한 특성 정보는 미리 폭염적응 키트 등에 사용에 앞서서 미리 이용자가 입력해 놓게 함으로써, 상기 폭염 정도와 함께 폭염 예측에 필요로 기초 자료로서 활용하게 되는 것이다. 이에, 상기 이용자 중심의 폭염 정도에 대한 데이터와 함께 이 특성 정보를 통해 이용자에 적절한 맞춤식의 폭염 예측 정보를 얻기 위한 기초 자료로 활용하게 된다.
제4기능은 위해(危害) 정도를 산출하는 기능이다. 여기서, 위해 정도의 산출은 상기 기능들로부터 얻은 폭염 정도와 특성 정보 그리고 폭염에 노출된 시간을 종합적으로 판단하여 산출한다.
즉, 동일한 폭염 상태라고 하더라도, 남녀의 차이나 연령의 차이 그리고 폭염에 노출된 시간 등에 따라 폭염에 의한 위해 정도가 달라지게 된다. 이에, 이용자가 미리 입력해 놓은 특성 정보를 바탕으로 폭염 정도와 노출시간 등을 고려하여 최적의 폭염 예측을 할 수 있도록 그 위해 정도를 산출하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위해 정도는 이용자의 특성 정보에 따라 집단화(Grouping) 및 가중치를 적용하여 산출함으로써, 이용자 개개인에 대한 최적의 폭염에측이 가능하도록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기능은 위해 정도가 심하여 이용자에게 경고할 수 있게 해 주는 기능이다. 이는 산출된 폭염 예측 정보가 이용자로 하여금 열사병이라든가 열손상 등이 발생할 것으로 판단되면, 이에 대한 정보를 이용자에게 알려주는 기능이다.
이때, 경고방식은 문자나 음향 또는 진동이나 이들을 조합한 방식 등으로 알려줄 수 있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기록매체에는 외부와의 데이터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제6기능을 더 포함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6기능은, 예를 들어서, 기록매체가 탑재되거나 폭염 예측 프로그램이 인스톨된 폭염적응 키트와 다른 단말기(예를 들어서, 서버라든가 휴대폰 또는 퍼스널 컴퓨터 그리고 입력장치 등)와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통신할 수 있도록 하는 기능이다.
이러한 기능은, 입력장치 등을 이용하여 이용자의 특성정보를 입력하게 하거나, 폭염예측 등으로 얻은 데이터를 외부로 전송시켜 주는데 이용된다. 이때, 외부로 전송된 데이터는 서버 등으로 전송시켜서 이용자가 원하는 곳에서 항상 확인해 보게 할 수도 있고, 휴대용 단말기로 전송하게 하여 최근에 많이 보급된 휴대폰을 통해 이용자가 폭염 정도 등을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기능은 하나의 전송포트를 이용하여 상기 단말기와 통신하게 할 수도 있으나, 적어도 2개의 전송포트를 구비하여 입력과 데이터 전송 등 멀티 테스킹이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는 CD, 메모리, RF 칩, IC 칩, 자기 드럼, 메모리 칩, 자기띠(Magnetic stripe), 태그, 플로피 디스크, 그리고 플래시 메모리 등을 예로 들 수 있다.
(폭염적응 키트)
본 발명에 따른 폭염적응 키트(100), 도 1 및 도 2와 같이, 검출센서(10), 폭염적응 키트의 전반을 제어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20), 데이터 및 상기 폭염예측 프로그램을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30), 위해 경고를 위한 경고수단(40), 그리고 시간을 검출하기 위한 타이머(5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이들 구성에 대하여 도 2르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검출센서(10)는 이용자의 주변의 폭염 정도를 검출하기 위한 것으로, 적어도 하나의 센서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검출센서(10)로는 온도센서, 습도센서 그리고 자외선 센서를 이용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하지만, 이들 센서를 모두 구비할 수도 있고 이 중에서 선택적으로 적어도 하나만을 구비하여 폭염 정도를 검출하는데 이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검출센서(10)는 검출된 검출값을 후술하게 될 메모리(30)로 출력하여 저장하게 하고, 필요에 따라 중앙처리장치(20)로 출력하여 위해 정도를 산출하는 기초자료로 이용된다.
중앙처리장치(20)는 마이콤(Micom) 등을 이용할 수 있으며, 본 발명에 따른 폭염적응 키트의 전반적인 제어를 담당한다. 이때의 중앙처리장치(20)의 제어에 대해서는 다른 구성요소들과 함께 설명한다.
메모리(30)는 저장장치로서 폭염 정보에 관한 정보라든가 본 발명에 따른 기록매체에 저장된 폭염 예측 프로그램 등을 저장시켜 놓기 위한 저장장치이다.
여기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서, 상기 폭염 예측 프로그램은 메모리(30)에 저장된 것으로 설명하고 있으나, 중앙처리장치(20)에 탑재하여 구동되게 하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러한 메모리(30)에는 이용자의 특성정보를 미리 입력받아서 저장시켜 놓게 되며, 중앙처리장치(20)의 제어에 의하여 이 특성정보의 출력 및 폭염 정도 및 폭염예측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거나 출력을 담당하게 된다.
경고수단(40)은 중앙처리장치(20)에서 검출센서(10)로부터 얻은 폭염정보와 미리 저장된 이용자의 특성정보 그리고 폭염에의 노출시간 등을 통해 연산된 폭염 정도를 바탕으로 하여 이용자가 서늘한 곳에서 휴식을 취해야 한다든가 더이상 노출되면 열사병 등에 걸릴 것으로 판단되면 이에 대한 위험 상태를 이용자에게 알려주기 위한 것이다.
이러한 경고수단(40)으로는 진동발진기, 음향장치, 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형태의 구성을 이용할 수도 있으며, 하나의 구성형태가 아니라 이들을 조합한 형태로도 구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경고수단(40)은 중앙처리장치(20)에서 폭염에 대한 위해 정도를 연산한 결과에 따라 동작여부가 결정된다.
타이머(50)는 이용자가 폭염에 노출된 시간 등을 검출하거나 폭염적응 키트의 내부에서 필요한 시간 등을 얻기 위한 구성요소로서, 클럭을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타이머(50)는 중앙처리장치(20)에서 현재 시간에 대한 질의가 있으면 이에 대한 응답을 하게 되고, 중앙처리장치(20)는 이러한 응답을 통해 필요한 시간 관련 정보를 얻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폭염적응 키트(100)에는 통신포트(60)와 디스플레이(70)를 더 구비할 수도 있다.
통신포트(60)는 외부와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예시적으로 휴대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라든가 서버와 유선 또는 무선 방식으로 통신이 가능하게 하는 포트이다.
이러한 기능은, 폭염적응 키트(100)와 휴대폰을 연동시켜서 폭염 예측 결과를 휴대폰과 같은 휴대용 단말기로도 볼 수 있게 하거나 서버 등과 연결하여 축적된 데이터를 전송하여 보관하고 필요한 때에 다시 보관된 데이터를 전송받을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디스플레이(70)는 경고 상태라든가 현재의 폭염 상태 그리고 폭염 예측 상태 등을 이용자가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상과 같이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폭염적응 키트는,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이용자가 현재 자신이 있는 위치에서의 폭염 측정 정보(온도, 습도, 자외선, 폭염노출시간 등)와 이용자 특성(연령, 성별, 신체조건, 병력 및 폭염스트레스민감도 등)의 부가적인 입력값(input-data)를 바탕으로 폭염으로 인한 건강 위해 경보 및 맞춤형 폭염적응정보 제공을 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10 : 검출센서
20 : 중앙처리장치
30 : 메모리
40 : 경고수단
50 : 타이머
60 : 통신포트
70 : 디스플레이
100 : 폭염적응 키트

Claims (10)

  1. 이용자 주변의 폭염 정도를 검출하는 기능;
    현재의 폭염 상태에서 폭염에 노출된 시간을 검출하는 기능;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도록 개인의 특성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기능; 및
    상기 폭염정도와 노출시간 그리고 특성정보를 이용하여 폭염으로 인한 위해(危害) 정도를 산출하는 기능; 및
    상기 위해 정도가 사용자에게 위험한 것인가를 판단하여 위험하다고 판단되면 경고하기 위한 경고기능;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염예측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검출 기능은, 주변의 온도·습도 및 자외선 센서를 이용하여 검출된 검출값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여 검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염예측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노출시간은 연속적 노출시간 및 간헐적 노출시간의 합으로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염예측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 정보는, 연령·성별·신체조건·병력 및 폭염스트레스민감도중에서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염예측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위해 정도는 이용자의 특성 정보에 따라 집단화 및 별도의 가중치를 적용하여 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염예측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6. 제 1 항 내지 제 5 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위해 정도와 경고 상태에 대한 데이터를 휴대용 단말기에서 볼 수 있게 유선 또는 무선방식으로 전송시켜 주는 기능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염예측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특성정보·위해 정도 그리고 경고 상태를 유선 또는 무선 정보통신망 또는 케이블 또는 전화선을 이용하여 외부로 전송하거나 외부로부터 전송받을 수 있는 외부전송기능이 더 포함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염예측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8. 제 7 항에 의한 폭염예측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가 탑재된 폭염적응 키트에 있어서,
    이용자 주변의 폭염 정도를 검출하기 위한 온도 센서·습도센서 및 자외선 센서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검출센서(10); 폭염 예측 키드의 전반을 제어하기 위한 중앙처리장치(20); 데이터 및 상기 폭염예측 프로그램이 저장된 메모리(30); 위해 경고를 위한 경고수단(40); 및 시간검출을 위한 타이머(50);를 포함하고,
    상기 메모리(30)에는 사용자의 건강 상태를 판단할 수 있도록 미리 개인의 특성정보를 미리 입력받아 저장해 놓고,
    상기 중앙처리장치(20)는 검출된 폭염정도와 노출시간 그리고 저장된 특성정보로부터 위해 정도를 산출하여 메모리(30)에 누적·저장하고 위해하다고 판단되면 경고수단(40)을 통해 경고해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염적응 키트.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메모리(30)에 저장된 데이터를 외부로 출력하거나 필요한 데이터를 입력받을 수 있도록 양방향 통신이 가능한 통신포트(6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염적응 키트.
  10. 제 9 항에 있어서,
    위해 정도 및 관련 데이터를 이용자가 볼 수 있도록 보여주는 디스플레이(70)가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폭염적응 키트.
KR1020120073814A 2012-07-06 2012-07-06 폭염예측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이를 이용한 폭염적응 키트 KR10138421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814A KR101384210B1 (ko) 2012-07-06 2012-07-06 폭염예측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이를 이용한 폭염적응 키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3814A KR101384210B1 (ko) 2012-07-06 2012-07-06 폭염예측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이를 이용한 폭염적응 키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561A true KR20140006561A (ko) 2014-01-16
KR101384210B1 KR101384210B1 (ko) 2014-04-10

Family

ID=501414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3814A KR101384210B1 (ko) 2012-07-06 2012-07-06 폭염예측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이를 이용한 폭염적응 키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84210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4698A1 (ko) * 2014-06-20 2015-12-23 주식회사 이쓰리 실시간 폭염 측정 지도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WO2018139778A1 (ko) * 2017-01-24 2018-08-02 김훈 수치정보 검색이 가능한 수치정보 관리장치
KR20210117546A (ko) * 2020-03-19 2021-09-29 대한민국(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장) 계절 별 인체 열 적응 측정을 위한 실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한국형 기후적응모델의 평가 방법
KR102521061B1 (ko) * 2022-12-15 2023-04-12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폭염 물리데이터 취득용 기상스테이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85928B1 (ko) 2020-03-31 2021-08-05 한국환경정책평가연구원 사회경제적 여건을 고려한 보건부문 폭염영향 예보 장치 및 방법
KR102297183B1 (ko) 2020-12-28 2021-09-02 주식회사 주빅스 토지 피복별 군집분석에 따른 학습을 이용한 폭염 예측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9806B1 (ko) * 2005-12-08 2007-09-20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열 스트레스 관리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열 스트레스 관리 방법
KR101288386B1 (ko) 2011-07-01 2013-07-22 부경대학교 산학협력단 열 스트레스를 시간가중함수로 누적한 폭염 모니터링 시스템 및 그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194698A1 (ko) * 2014-06-20 2015-12-23 주식회사 이쓰리 실시간 폭염 측정 지도 시스템 및 그 이용방법
WO2018139778A1 (ko) * 2017-01-24 2018-08-02 김훈 수치정보 검색이 가능한 수치정보 관리장치
KR20210117546A (ko) * 2020-03-19 2021-09-29 대한민국(기상청 국립기상과학원장) 계절 별 인체 열 적응 측정을 위한 실험 방법 및 이를 이용한 한국형 기후적응모델의 평가 방법
KR102521061B1 (ko) * 2022-12-15 2023-04-12 조선대학교산학협력단 폭염 물리데이터 취득용 기상스테이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84210B1 (ko) 2014-04-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84210B1 (ko) 폭염예측 프로그램이 기록된 기록매체 및 이를 이용한 폭염적응 키트
US11394463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geolocation services in a mobile-based crowdsourcing platform
US10149114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providing geolocation services in a mobile-based crowdsourcing platform
KR101749847B1 (ko) 정황 감정 판정 시스템
US9773392B2 (en) Offender monitor with managed rate of location reading
US10158979B2 (en) Method and system for wireless location and movement mapping, tracking and analytics
CN109644318A (zh) 基于接近度的自适应位置共享
US20090075677A1 (en) Dynamically Updated Proximity Warning
JP6084243B2 (ja) 判定装置及び判定方法
CN105283876B (zh) 环境健康确定系统
KR20150119126A (ko) 정황 인구통계 판정 시스템
KR20170059342A (ko) 환경 정보에 기반한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및 장치
US10506381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nsing and locating passive electronic devices
JP6320682B2 (ja) 無線信号情報に基づいて、モバイルデバイスのパスワード設定を決定するための方法
KR102240719B1 (ko) 위치 정보 획득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JP5882426B1 (ja) 情報処理システ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90066797A (ko) 지능정보기술을 활용한 생활밀착형 운동수행분석 및 운동추천 시스템
KR101790267B1 (ko) 위험상황 알림 서비스 제공 시스템, 서버 및 방법
Peraković et al. Smart wristband system for improving quality of life for users in traffic environment
CN102599893A (zh) 一种移动通信终端的体温检测装置及方法
KR20180072932A (ko) 실시간 클라우드 생활서비스 번역정보 제공방법
WO2020045459A1 (ja) データ分析装置、データ分析システム、データ分析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WO2017068668A1 (ja) 無線情報配信装置、無線情報配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6208335A (ja) サーバ、監視システム、携帯端末および監視方法
US20220333998A1 (en) Temperature sensing systems and methods for an electronic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1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