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6155A - 자기력을 이용한 내시경용 봉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봉합방법 - Google Patents

자기력을 이용한 내시경용 봉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봉합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6155A
KR20140006155A KR1020120068693A KR20120068693A KR20140006155A KR 20140006155 A KR20140006155 A KR 20140006155A KR 1020120068693 A KR1020120068693 A KR 1020120068693A KR 20120068693 A KR20120068693 A KR 20120068693A KR 20140006155 A KR20140006155 A KR 20140006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eedle
bead
suture
suturing
endosc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869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10572B1 (ko
Inventor
홍대희
금보라
김경남
김병곤
김윤진
송용남
전훈재
최혁순
Original Assignee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6869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10572B1/ko
Publication of KR20140006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6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1057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1057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9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023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 A61B2017/00292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 A61B2017/00296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minimally invasive surgery mounted on or guided by flexible, e.g. catheter-like, means mounted on an endoscop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2017/00831Material properties
    • A61B2017/00876Material properties magneti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4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for suturing wounds; Holders or packages for needles or suture materials
    • A61B17/0469Suturing instruments for use in minimally invasive surgery, e.g. endoscopic surgery
    • A61B2017/0474Knot pusher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내시경을 이용해 장기 내부에서 절개부위를 봉합하는 봉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봉합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기력을 이용하여 바느질과 같은 방식을 내시경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자기력을 이용한 내시경용 봉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봉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자기력을 이용한 내시경용 봉합장치에 있어서, 범용 내시경의 채널을 통과 할 수 있는 사이즈의 봉합바늘; 상기 봉합바늘의 내측에 위치하고,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밀대; 상기 밀대의 전방에 위치하고, 자성을 띄는 자석부; 상기 자석부에 붙을 수 있고, 봉합사가 연결된 구슬부; 상기 구슬부가 상기 봉합바늘의 내측에 걸릴 수 있도록 해주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내시경용 봉합장치 및 이를 이용하는 봉합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자기력을 이용한 내시경용 봉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봉합방법{THE SUTURING APPARATUS FOR ENDOSCOPY USING MAGNETIC AND THE SUTURING METHOD USING THIS}
본 발명은 내시경을 이용해 장기 내부에서 절개부위를 봉합하는 봉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봉합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자기력을 이용하여 바느질과 같은 방식을 내시경으로 수행할 수 있도록 하는 자기력을 이용한 내시경용 봉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봉합방법에 관한 것이다.
내시경이란 수술을 하거나 또는 부검을 하지 않고서는 직접 병변을 볼 수 없는 장기에 대하여 기계를 삽입하여 관찰하도록 고안된 기구이다. 내시경에는 직달경이라 하여 1개의 통으로 되어 있어서 장기를 직접 육안으로 볼 수 있는 형, 렌즈시스템을 이용한 형, 카메라를 직접 장기에 삽입하는 형과 유리섬유를 사용한 파이버스코프 등이 있다.
기존 내시경용 봉합 기술로는 가장 널리 쓰이는 것이 의료용 클립이다. 이는 간단한 동작으로 체결할 수 있는 클립과 이를 내시경 말단부까지 삽입, 봉합 할 수 있는 컨트롤러로 구성되는데, 1회성 봉합 기술로써 1회 삽입시 1회의 봉합만이 가능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기존의 의료용 클립의 경우 위장 벽 내부의 점막층만 봉합이 되고, 실질적으로 중요한 근육층은 봉합이 되지 않아 회복기간이 길어져 환자와 의사의 피로도가 높아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최근에는 봉합이 가능한 수술기구를 내시경에 부착하여 환자의 장기 내부로 삽입시킴으로써 환자의 신체를 절개하지 아니하고서도 장기 내부를 시술할 수 있는 여러 종류의 수술기구가 고안되어 왔으며, 본원 발명의 출원인에 의해 봉합용 비드, 장기흡인용 진공캡 및 이를 이용한 장기봉합 장치 (대한민국 특허등록번호 : 10-0838983호)가 특허 등록된 바 있다.
상기 장기 봉합 장치의 경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봉합용 비드를 사용하고 있으나, 비드의 경우 정밀 가공 기술로 제작되어야 하고, 인체에 무해한 재질이어야 하다 보니 가격이 높아서 경제적인 부담이 된다.
둘째, 진공 캡을 이용하는 경우는 수술 후 봉합사와 비드가 모두 장기 안쪽에 존재하지만 상황에 따라서(바늘이 장기 내부에서 외부로 뚫고 나가 비드를 배출하는 경우) 비드가 장기 밖에 위치하게 되어 향후 비드의 회수를 위해서는 복부를 절개 하거나 복강용 도구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셋째, 비드는 무한한 것이 아니고 미리 탑재되어 있는 만큼 연속 봉합이 가능하며, 그 이상 봉합 하려면 기구를 탈거한 뒤 비드를 다시 탑재하고 내시경에 재삽입해야 하는바, 시술시간의 장기화를 가져오며, 이는 환자와 의사에게 큰 부담감을 준다.
넷째, 봉합사는 비드에 걸쳐지는 부분에서 180도로 꺾어져 되돌아 나오는 형태이고 이러한 부분이 다수 존재하여 힘의 전달이 원활하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점막층과 근육층을 모두 봉합 할 수 있게 하고, 1회 삽입으로 필요한 만큼의 봉합을 수행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자기력을 이용한 내시경용 봉합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제대로 고정이 되었는지 100% 신뢰가 어려운 봉합용 비드 대신에 자석과 봉합사만을 이용한 방법으로 자석은 봉합사를 감아 주는 역할만을 수행한 후 회수할 수 있어 인체에 무해한 봉합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자기력을 이용한 내시경용 봉합장치에 있어서, 범용 내시경의 채널을 통과 할 수 있는 사이즈의 봉합바늘; 상기 봉합바늘의 내측에 위치하고,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밀대; 상기 밀대의 전방에 위치하고, 자성을 띄는 자석부; 상기 자석부에 붙을 수 있고, 봉합사가 연결된 구슬부; 상기 구슬부가 상기 봉합바늘의 내측에 걸릴 수 있도록 해주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내시경용 봉합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구슬부는 상기 자석부와 같이 상기 봉합바늘의 밖으로 토출되었다가 상기 밀대의 이동으로 인해서 자석부에서 분리되며, 봉합 후에는 자석부와 결합하여 다시 봉합바늘로 회수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구슬부는 구형이고, 상기 자석부와 반대의 자성을 띄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자기력을 이용한 내시경용 봉합장치에 있어서, 범용 내시경의 채널을 통과 할 수 있는 사이즈의 봉합바늘; 상기 봉합바늘의 내측에 위치하고,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연결부와 전자석부; 상기 전자석부에 붙을 수 있고, 봉합사가 연결된 구슬부; 상기 구슬부가 상기 봉합바늘의 내측에 걸릴 수 있도록 해주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내시경용 봉합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구슬부는 상기 전자석부와 같이 상기 봉합바늘의 밖으로 토출되었다가 전자석부의 자성을 해제 시켜서 전자석부에서 분리되며, 봉합 후에는 전자석부에 자성을 복귀시켜서 전자석부와 결합하여 다시 봉합바늘로 회수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내시경용 봉합장치를 이용한 봉합방법에 있어서, 상기 봉합바늘을 이용하여 조직을 관통시키는 단계(S1); 상기 S1단계 후 상기 봉합바늘에서 상기 자석부와 상기 밀대를 동시에 이동시켜서 상기 구슬부를 배출시킨 후, 밀대를 자석부를 통과하여 이동시켜 구슬부를 분리시킨 뒤 봉합바늘을 조직 밖으로 회수하는 단계(S2); 상기 S2단계 후 다른 조직 부위를 다시 관통시키고, 봉합바늘에서 자석부를 배출시켜 구슬부와 결합을 시키며, 구슬부를 다시 봉합바늘 내부로 유입시키는 단계(S3); 상기 S3단계 후 봉합바늘을 조직 밖으로 회수하여 봉합하는 단계(S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봉합장치를 이용한 봉합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내시경용 봉합장치를 이용한 봉합방법에 있어서, 상기 봉합바늘을 이용하여 조직을 관통시키는 단계(S5); 상기 S5단계 후 상기 봉합바늘에서 상기 구슬부를 배출시킨 후 상기 전자석부의 자성을 해제시켜 구슬부를 분리시킨 뒤 봉합바늘을 조직 밖으로 회수하는 단계(S6); 상기 S6단계 후 다른 조직 부위를 봉합바늘로 다시 관통시키고, 봉합바늘에서 전자석부를 배출시키고 자성을 회복시켜 구슬부와 결합을 시키고, 구슬부를 다시 봉합바늘 내부로 유입시키는 단계(S7); 상기 S7단계 후 봉합바늘을 조직 밖으로 회수하여 봉합하는 단계(S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봉합장치를 이용한 봉합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자기력을 이용한 내시경용 봉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봉합방법의 경우는 내시경 1회 삽입으로 원하는 만큼의 봉합과정을 수행할 수 있으며, 비드가 제대로 고정되었는지 100% 신뢰가 어려운 봉합용 비드 대신에 자석과 봉합사만을 이용하여 봉합을 한 후 바로 회수되므로, 결과적으로는 봉합사만으로 봉합을 완료하게 된다. 이로 인해서 인체 내부에 이물질이 남는 것을 최소화 할 수 있고, 향후에 봉합사만 제거하면 되어 환자의 부담이 적다는 효과가 있다.
또한, 자기력을 사용하여 장기 반대편과 같이 내시경 카메라의 시야 밖에서 이루어지는 작업의 경우에도 높은 신뢰도를 갖는 효과가 있다.
또한, 비드를 이용하는 방식에서는 비드와 봉합사의 마찰에 의해 봉합사가 마모되거나 끊어지는 문제가 있었으나, 이와 같은 문제를 보완해 줄 수 있다.
도 1 내지 2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력을 이용한 내시경용 봉합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내지 4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력을 이용한 내시경용 봉합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력을 이용한 내시경용 봉합장치를 이용하여 손상된 장기를 봉합시키는 방법에 대한 메카니즘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의한 자기력을 이용한 내시경용 봉합장치 및 이를 이용한 봉합방법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자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력을 이용한 내시경용 봉합장치의 일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자기력을 이용한 내시경용 봉합장치는 범용 내시경의 채널을 통과 할 수 있는 사이즈의 봉합바늘(1)과, 상기 봉합바늘(1)의 내측에 위치하고,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밀대(4)와, 밀대(4)의 전방에 위치하고, 자성을 띄는 자석부(3)와, 자석부(3)에 붙을 수 있고, 봉합사(6)가 연결된 구슬부(2)와, 구슬부(2)가 봉합바늘(1)의 내측에 걸릴 수 있도록 해주는 걸림부(5)로 구성되어 있다.
봉합바늘(1)은 범용 내시경의 채널을 통과 할 수 있는 사이즈로 본 봉합장치를 기존의 내시경에 손쉽게 적용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따라서, 기존 내시경에 본 발명에 따른 상기 봉합장치만 달아서 바로 적용시킬 수 있으며, 별도의 부가 장비 없이도 바로 사용가능하다는 장점이 있다.
구슬부(2)는 주로 원형 형상을 띄고 있으며, 봉합사(6)가 연결되어 있다. 자성에 반응을 할 수 있는 재료로 만들어지며, 본 발명에 따른 봉합장치에서는 구슬부(2)를 봉합 후 회수를 하지만, 시술 중 인체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바, 인체에 무해한 자성에 반응할 수 있는 재료가 보다 권장된다. 또한 구슬부(2)자체에서 자성을 띄고 있어도 된다. 다만, 자석부(3)와의 극성은 반대가 되어야만 한다.
자석부(3)는 밀대(4)의 전방에 위치하고, 밀대(4)가 자석부(3) 밖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이동으로 자석부(3)에 붙어 있는 구슬부(3)를 자석부(3)로부터 분리시킬 수가 있다. 자석부(3)의 중앙에는 봉합사(6)가 이동할 수 있는 원형홈이 존재한다.
걸림부(5)는 구슬부(2)가 봉합바늘(1)의 내부로 유입이 되어서 내부에 위치하도록 해주는 역할을 수행한다. 걸림부(5)에 구슬부(2)가 걸린 상태에서 봉합바늘(1)이 조직을 관통하거나 이동한다.
도 2는 자기력을 이용한 내시경용 봉합장치의 일실시예에 따른 작동후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구슬부(2)가 자석부(3)에 붙어서 봉합바늘(1)의 외부로 토출되고, 밀대(4)가 자석부(3)를 지나서 이동하여 구슬부(2)를 자석부(3)와 분리시킨다.
분리된 구슬부(2)는 봉합사가 연결된 상태로 남아 있게 되고, 밀대(4)와 자석부(3)은 다시 봉합바늘(1)의 내측으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서 봉합사가 연결된 구슬부(2)를 배출하며, 다시 구슬부(2)를 회수하기 위해서는 반대의 과정을 거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자기력을 이용한 내시경용 봉합장치의 다른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다른 실시예에서는 범용 내시경의 채널을 통과 할 수 있는 사이즈의 봉합바늘(1)과, 봉합바늘(1)의 내측에 위치하고,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연결부(8)및 전자석부(7)와, 전자석부(7)에 붙을 수 있고, 봉합사(6)가 연결된 구슬부(2)와, 구슬부(2)가 상기 봉합바늘(1)의 내측에 걸릴 수 있도록 해주는 걸림부(5)로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는 도 1에서 나타난 실시예와 달리 전자석을 이용하여 구슬부(2)를 배출하거나 회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4에서는 자기력을 이용한 내시경용 봉합장치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작동후의 모습을 나타내고 있다.
봉합사(6)에 연결된 구슬부(2)가 전자석부(7)와 함께 봉합바늘(1) 밖으로 토출된다. 토출된 후에 전자석부(7)에 연결된 연결부(8)를 이용하여 전자석부(7)에 자성을 해제 시킨다. 연결부(8)는 전류를 흐르게 하거나 차단하게 할 수 있는 소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전자석부(7)의 자성을 제어하기 위한 용도로 쓰인다.
자성을 해제 시키면, 전자석부(7)와 결합된 구슬부(2)가 떨어지게 되고, 전자석부(7)를 다시 봉합바늘(1) 안쪽으로 이동 시킨 후 다음 작업을 하게 된다.
구슬부(2)를 다시 회수하는 작업은 전자석부(7)를 토출 시킨 후, 자성을 띄게 하여 구슬부(2)가 전자석부(7)에 붙게 한 후, 봉합바늘(1)안쪽으로 이동시키면 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력을 이용한 내시경용 봉합장치를 이용하여 손상된 장기를 봉합시키는 방법에 대한 메카니즘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a)는 봉합바늘을 이용해서 장기를 관통한 후, 봉합바늘 내측에 있는 구슬부를 토출시킨 후 봉합바늘 내측으로 자석부 또는 전자석부를 회수시킨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도 5(b)는 도 5(a)에서 봉합바늘을 조직 밖으로 빼내고 다시 다른 조직으로 관통시킨후, 자석부 또는 전자석부를 배출하여 구슬부를 자석부 또는 전자석부에 결합시키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도 5(c)는 봉합바늘 내측으로 구슬부를 회수한 후에 조직 밖으로 빼내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도 5(d)는 다시 다른 조직부위를 봉합하기 위해서 준비하는 모습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반복하여, 상처난 조직을 봉합하게 된다.
이하는 본 발명에 따른 자기력을 이용한 내시경용 봉합장치를 이용한 봉합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자석부와 밀대를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봉합사(6)가 연결된 구슬부(2)가 내부에 있는 봉합바늘(1)을 이용하여 조직을 관통시킨다(S1).
S1단계 후 봉합바늘(1)에서 자석부(3)와 밀대(4)를 동시에 이동시켜 구슬부(2)를 봉합바늘(1) 외부로 토출시킨 뒤, 자석부(3)위로 밀대(4)를 이동시켜서 구슬부(2)를 분리시키고, 봉합바늘(1)을 조직 밖으로 회수한다(S2).
S2단계 후 다른 조직 부위를 다시 관통시키고, 봉합바늘(1)에서 자석부(2)를 배출시켜 구슬부(2)와 결합을 시키고, 봉합바늘(1) 내부로 유입시켜서 걸림부(5)에 걸리게 한다(S3).
S3단계 후 봉합바늘(1)을 조직 밖으로 회수하여 조직을 봉합한다(S4).
다시 다른 조직으로 S1부터 S4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봉합작업을 하면 1회 삽입으로 원하는 만큼의 봉합과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전자석을 이용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봉합사(6)가 연결된 구슬부(2)가 내부에 있는 봉합바늘(1)을 이용하여 조직을 관통시킨다(S5).
S5단계 후 봉합바늘(1)에서 전자석부(7)를 이동시켜서 구슬부(2)를 봉합바늘(1)에서 배출시킨 후 전자석부(7)의 자성을 해제시켜 구슬부(2)를 분리시킨 뒤 봉합바늘(1)을 조직 밖으로 회수한다(S6).
S6단계 후 다른 조직 부위를 다시 관통시키고, 봉합바늘(1)에서 전자석부(7)를 배출시키고 자성을 회복시켜 구슬부(2)와 결합을 시키고, 봉합바늘(1) 내부로 유입시켜서 걸림부(5)에 걸리게 한다(S7).
S7단계 후 봉합바늘(1)을 조직 밖으로 회수하여 조직을 봉합한다(S8).
다시 다른 조직으로 S5부터 S8의 과정을 반복적으로 수행하여 봉합작업을 하면 1회 삽입으로 원하는 만큼의 봉합과정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 봉합바늘
2: 구슬부
3: 자석부
4: 밀대
5: 걸림부
6: 봉합사
7: 전자석부
8: 연결부

Claims (7)

  1. 자기력을 이용한 내시경용 봉합장치에 있어서,
    범용 내시경의 채널을 통과 할 수 있는 사이즈의 봉합바늘;
    상기 봉합바늘의 내측에 위치하고,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밀대;
    상기 밀대의 전방에 위치하고, 자성을 띄는 자석부;
    상기 자석부에 붙을 수 있고, 봉합사가 연결된 구슬부;
    상기 구슬부가 상기 봉합바늘의 내측에 걸릴 수 있도록 해주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내시경용 봉합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슬부는 상기 자석부와 같이 상기 봉합바늘의 밖으로 토출되었다가 상기 밀대의 이동으로 인해서 자석부에서 분리되며, 봉합 후에는 자석부와 결합하여 다시 봉합바늘로 회수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봉합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구슬부는 구형이고, 상기 자석부와 반대의 자성을 띄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봉합장치.
  4. 자기력을 이용한 내시경용 봉합장치에 있어서,
    범용 내시경의 채널을 통과 할 수 있는 사이즈의 봉합바늘;
    상기 봉합바늘의 내측에 위치하고, 자유자재로 움직일 수 있도록 구성되는 연결부와 전자석부;
    상기 전자석부에 붙을 수 있고, 봉합사가 연결된 구슬부;
    상기 구슬부가 상기 봉합바늘의 내측에 걸릴 수 있도록 해주는 걸림부;를 구비하는 내시경용 봉합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구슬부는 상기 전자석부와 같이 상기 봉합바늘의 밖으로 토출되었다가 전자석부의 자성을 해제 시켜서 전자석부에서 분리되며, 봉합 후에는 전자석부에 자성을 복귀시켜서 전자석부와 결합하여 다시 봉합바늘로 회수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봉합장치.
  6.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는 내시경용 봉합장치를 이용한 봉합방법에 있어서,
    상기 봉합바늘을 이용하여 조직을 관통시키는 단계(S1);
    상기 S1단계 후 상기 봉합바늘에서 상기 자석부와 상기 밀대를 동시에 이동시켜서 상기 구슬부를 배출시킨 후, 밀대를 자석부를 통과하여 이동시켜 구슬부를 분리시킨 뒤 봉합바늘을 조직 밖으로 회수하는 단계(S2);
    상기 S2단계 후 다른 조직 부위를 다시 관통시키고, 봉합바늘에서 자석부를 배출시켜 구슬부와 결합을 시키며, 구슬부를 다시 봉합바늘 내부로 유입시키는 단계(S3);
    상기 S3단계 후 봉합바늘을 조직 밖으로 회수하여 봉합하는 단계(S4);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봉합장치를 이용한 봉합방법.
  7.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는 내시경용 봉합장치를 이용한 봉합방법에 있어서,
    상기 봉합바늘을 이용하여 조직을 관통시키는 단계(S5);
    상기 S5단계 후 상기 봉합바늘에서 상기 구슬부를 배출시킨 후 상기 전자석부의 자성을 해제시켜 구슬부를 분리시킨 뒤 봉합바늘을 조직 밖으로 회수하는 단계(S6);
    상기 S6단계 후 다른 조직 부위를 봉합바늘로 다시 관통시키고, 봉합바늘에서 전자석부를 배출시키고 자성을 회복시켜 구슬부와 결합을 시키고, 구슬부를 다시 봉합바늘 내부로 유입시키는 단계(S7);
    상기 S7단계 후 봉합바늘을 조직 밖으로 회수하여 봉합하는 단계(S8);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시경용 봉합장치를 이용한 봉합방법.


KR1020120068693A 2012-06-26 2012-06-26 자기력을 이용한 내시경용 봉합장치 KR10141057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693A KR101410572B1 (ko) 2012-06-26 2012-06-26 자기력을 이용한 내시경용 봉합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693A KR101410572B1 (ko) 2012-06-26 2012-06-26 자기력을 이용한 내시경용 봉합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6155A true KR20140006155A (ko) 2014-01-16
KR101410572B1 KR101410572B1 (ko) 2014-06-27

Family

ID=501411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8693A KR101410572B1 (ko) 2012-06-26 2012-06-26 자기력을 이용한 내시경용 봉합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1057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319A (ko) * 2018-04-10 2019-10-18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력을 이용한 병변 위치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치표시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90887B2 (en) 2016-12-02 2022-11-08 Children's Medical Center Corporation Suturing apparatus using autotransfer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07037335A1 (ja) 2005-09-28 2009-04-09 オリンパスメディカルシステムズ株式会社 縫合器
KR100838983B1 (ko) 2007-02-23 2008-06-17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봉합용 비드, 장기흡인용 진공캡 및 이를 이용한 장기봉합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18319A (ko) * 2018-04-10 2019-10-18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자력을 이용한 병변 위치표시장치 및 이를 이용한 위치표시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10572B1 (ko) 2014-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79831B2 (en) Systems, devices, and methods for forming anastomoses
KR102135489B1 (ko) 하프 루프 클립을 갖는 문합 클립핑 툴
EP2704641B1 (en) Meniscus repair
EP2152171B1 (en) Loader and threader for knotting element
US10751045B2 (en) Suture stitches for continuous surgical suturing
US7815662B2 (en) Surgical suture anchors and deployment device
EP2413809B1 (en) Medical devices for rapid deployment and fixation of tissue anchors
US20190183507A1 (en) Tissue fastening tool
US20090082787A1 (en) Suturing Device
CN208573778U (zh) 一种腹腔镜穿刺切口内打结装置
CN114466673A (zh) 使用磁体在相邻解剖空间之间建立连接的方法和装置
KR101410572B1 (ko) 자기력을 이용한 내시경용 봉합장치
KR101736309B1 (ko) 복강경 포트 사이트 폐쇄 장치
US20230119673A1 (en) Magnet-assisted suture graspers
US11547400B2 (en) Suture delivery system
JP2020039858A (ja) 体内撮像装置および補助具セット
KR20160003529U (ko) 매듭 유동 구속형 루프 조립체
KR101371927B1 (ko) 봉합용 비드, 봉합용 바늘, 사이드 석션 캡 및 이를 이용한 내시경용 장기 봉합기구
Cao et al. A flexible endoscopic robotic suturing system for gastrointestinal perforations: animal study
JP2010005151A (ja) 内視鏡用アンカー付把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1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