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926U - 펌프 타워의 설치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펌프 타워의 설치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5926U
KR20140005926U KR2020130003824U KR20130003824U KR20140005926U KR 20140005926 U KR20140005926 U KR 20140005926U KR 2020130003824 U KR2020130003824 U KR 2020130003824U KR 20130003824 U KR20130003824 U KR 20130003824U KR 20140005926 U KR20140005926 U KR 2014000592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bracket
ring
pipe
sub
tow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38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6099Y1 (ko
Inventor
이승주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38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099Y1/ko
Publication of KR2014000592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926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09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09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04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for large storage vessels not under press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7/00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 B63B27/24Arrangement of ship-based loading or unloading equipment for cargo or passengers of pipe-li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9/00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 B67D9/02Apparatus or devices for transferring liquids when loading or unloading ships using articulated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13/00Pumping installations or systems
    • F04D13/02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 F04D13/06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 F04D13/08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 F04D13/10Units comprising pumps and their driving means the pump being electrically driven for submerged use adapted for use in mining bore ho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40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 F04D29/406Casings; Connections of working fluid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용접 열에 의한 링 플레이트의 과다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펌프 타워의 설치 어셈블리가 소개된다.
이 펌프 타워의 설치 어셈블리는 타워 파이프의 외주연을 두르는 지지파이프와, 지지파이프의 상부에 배치되는 하부링과 하부링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상부링을 포함하고, 내주연이 타워 파이프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링 플레이트와, 타워파이프의 직경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고 하부링과 상부링 사이를 연결하는 메인 지지브라켓과, 타워파이프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고 하부링과 상부링 사이를 연결하는 서브 지지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펌프 타워의 설치 어셈블리{INSTALLATION ASSEMBLY OF PUMP TOWER}
본 고안은 펌프 타워의 설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용접 열에 의한 링 플레이트의 변형을 줄일 수 있는 펌프 타워의 설치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액화천연가스선에는 액화천연가스(LNG: Liquefied natural gas)가 액체 상태로 저장되는 탱크인 리퀴드 돔(Liquid Dome)이 마련된다.
이 리퀴드 돔은 액화천연가스(LNG)의 증발 및 기화를 방지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그리고 리퀴드 돔의 돔 커버(Dome Cover)에는 각종 파이프 등을 포함하는 펌프타워(Pump Tower)가 관통되는데, 펌프타워는 펌프타워 설치 구조체에 의해 돔 커버의 상부에 고정될 수 있다.
종래 펌프타워 설치 구조체는 펌프타워의 타워파이프에 설치되며 상부링과 하부링을 포함하는 링 플레이트와, 타워파이프를 감싸도록 링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링 플레이트를 지지하는 지지파이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펌프타워 설치 구조체의 경우, 지지파이프를 뒤집은 상태에서 지지파이프의 내측에서 플랜지의 용접 작업이 이루어지고, 지지파이프를 다시 뒤집어 타워파이프가 삽입되도록 한 상태에서, 지지파이프와 링 플레이트의 하부링이 용접될 수 있다. 그리고 하부링의 내주연과 타워파이프 외주연이 용접되고, 상부링의 내주연과 타워파이프 외주연이 용접될 수 있다.
그런데, 링 플레이트가 지지파이프 및 타워파이프에 용접되는 과정에서, 용접시 발생되는 용접 열에 의해, 열 변형이 링 플레이트에 과다하게 발생될 수 있으며, 이로 인해 작업 시수 및 개정 시수가 증가될 수 있다.
국내 공개특허 10-2010-0092748 (2010.08.23. 공개)
본 고안은 용접 열에 의한 링 플레이트의 과다 변형을 방지할 수 있는 펌프 타워의 설치 어셈블리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타워파이프의 외주연을 두르는 지지파이프; 상기 지지파이프의 상부에 배치되는 하부링과 상기 하부링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상부링을 포함하고, 내주연이 상기 타워 파이프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링 플레이트; 상기 타워파이프의 직경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고 상기 하부링과 상기 상부링 사이를 연결하는 메인 지지브라켓; 및 상기 타워파이프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고 상기 하부링과 상기 상부링 사이를 연결하는 서브 지지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은 상기 하부링을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파이프에 결합되는 링 지지브라켓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지지브라켓은 상기 메인 지지브라켓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 1 서브 지지브라켓과, 상기 제 1 서브 지지브라켓과 동일 원주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메인 지지브라켓의 타면에 결합되는 제 2 서브 지지브라켓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부링의 바깥 테두리부는, 상기 상부링의 바깥 테두리부보다 더 큰 직경을 갖고, 상기 메인 지지브라켓의 하단 테두리부는, 상기 메인 지지브라켓의 상단 테두리부보다 더 긴 길이를 갖을 수 있다.
또한, 다수개로 제공되는 상기 메인 지지브라켓은, 상기 지지파이프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다수개로 제공되는 상기 서브 지지브라켓은, 이격 배치된 다수개의 상기 메인 지지브라켓에 교호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또한, 다수개로 제공되는 상기 메인 지지브라켓은, 상기 지지파이프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다수개로 제공되는 상기 서브 지지브라켓은, 이격 배치된 다수개의 상기 메인 지지브라켓의 일면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브 지지브라켓에는 용접 공구가 삽입 가능한 용접 홀부가 상기 메인 지지브라켓과 상기 타워 파이프 간의 용접 부위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타워파이프의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서브 지지브라켓을 통해, 링 플레이트의 상부링 및 하부링을 균형있고 안정적으로 지지함으로써, 용접 열에 의한 상부링 및 하부링의 변형을 줄일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링 지지브라켓을 통해 링 플레이트 구조를 균형있게 보강함으로써, 펌프 타워의 설치에 따른 구조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용접 공구가 삽입 가능한 용접 홀부를 서브 지지브라켓에 형성함으로써, 개정 시수시 용접 홀부를 통해 링 플레이트의 내주연에 대한 관리 작업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다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펌프 타워의 설치 어셈블리를 도시한 부분 종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펌프 타워의 설치 어셈블리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펌프 타워의 설치 어셈블리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의 "B-B"선부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펌프 타워의 설치 어셈블리를 도시한 부분 종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부를 절개하여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1 실시예에 따른 펌프 타워의 설치 어셈블리는, 리퀴드 돔의 돔 커버(20)를 관통하는 펌프타워의 타워파이프(10)를 안정적으로 고정하고, 용접으로 인한 열 변형을 줄일 수 있다.
이를 구현하기 위해, 펌프 타워의 설치 어셈블리는 지지파이프(100), 링 플레이트(200), 메인 지지브라켓(300), 서브 지지브라켓(400) 및 링 지지브라켓(500)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지지파이프(100)는 타워파이프(10)의 외주연을 감싸도록 타워파이프(10)의 외경보다 더 큰 내경을 가지며, 전체적으로 타워파이프(10)를 두르는 원형 파이프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지지파이프(100)는 돔 커버(20)의 상부로 소정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돔 커버(20)에 삽입되게 배치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지파이프(100)의 내부에는 액화물이 이동되는 타워파이프(10)가 관통될 수 있고, 지지파이프(100)의 상단부에는 플랜지(610)를 매개로 링 플레이트(200)가 용접될 수 있다. 이때, 플랜지(610) 및 링 플레이트(200)는 지지파이프(100)의 상단부에 수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링 플레이트(200)는 지지파이프(100)의 상부에 위치되고, 타워파이프(10)의 외주연에 수평하게 배치되는 고리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이 링 플레이트(200)는 용접을 통해 지지파이프(100)의 상단과 타워파이프(10)의 외주연에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링 플레이트(200)는 상,하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고리 형태의 하부링(210)과 상부링(220)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링(210)은 하부에 마련된 플랜지(610)를 통해 지지파이프(100)의 상부에 용접될 수 있고, 하부링(210)의 내주연은 타워파이프(10)의 외주연에 용접될 수 있다. 상부링(220)은 하부링(210)의 상부에 이격되게 배치되고, 상부링(220)의 내주연은 타워파이프(10)의 외주연에 용접될 수 있다.
이때, 하부링(210)의 바깥 테두리부는, 상부링(220)의 바깥 테두리부보다 더 큰 직경을 갖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후술하는 메인 지지브라켓(300)의 하단 테두리부 또한, 상기 메인 지지브라켓(300)의 상단 테두리부보다 더 긴 길이를 갖을 수 있다.
이들 하부링(210)과 상부링(220) 사이에는 메인 지지브라켓(300)이 타워파이프(10)의 직경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메인 지지브라켓(300)은 지지파이프(100)의 직경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어, 하부링(210)과 상부링(220) 사이를 수직하게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메인 지지브라켓(300)은 지지파이프(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메인 지지브라켓(300)은 타워파이프(10)를 중심축으로 22.5도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8개로 구성되지만, 이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기본적으로 예시한 것으로, 메인 지지브라켓(300)은 타워파이프(10)를 중심축으로 12개, 16개 또는 그 이상의 개수가 등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이들 하부링(210)과 상부링(220) 사이에는 서브 지지브라켓(400)이 타워파이프(10)의 원주방향으로 마련될 수 있다.
서브 지지브라켓(400)은 타워파이프(10)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며, 하부링(210)과 상부링(220) 사이를 수직하게 연결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지지브라켓(400)은 지지파이프(100)의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는 다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이 서브 지지브라켓(400)은 메인 지지브라켓(300)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 1 서브 지지브라켓(410)과, 메인 지지브라켓(300)의 타면에 결합되는 제 2 서브 지지브라켓(42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제 1 서브 지지브라켓(410) 및 제 2 서브 지지브라켓(420)은 동일 원주상에 위치되므로, 다수개의 메인 지지브라켓(300) 사이의 빈 공간을 균일하고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여기서, 다수개로 제공되는 서브 지지브라켓(400)은, 이격 배치된 다수개의 메인 지지브라켓(300)에 교호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서브 지지브라켓(400)에 설치되지 아니한 공간은, 용접이 이루어진 결합 부위, 보다 상세하게, 타워파이프(10)와 링 플레이트(200) 간의 용접 부위(W1)에 대한 관리 작업으로 사용될 수 있다.
링 지지브라켓(500)은 하부링(210)을 지지하도록 지지파이프(100)에 결합될 수 있다. 이 링 지지브라켓(500)은 메인 지지브라켓(300)과 대응되도록, 타워파이프(10)를 중심축으로 소정 간격 이격 배치될 수 있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펌프 타워의 설치 어셈블리를 도시한 횡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2 실시예에 따른 펌프 타워의 설치 어셈블리에서, 서브 지지브라켓(400)은 다수개로 제공되는 서브 지지브라켓(400)의 일면에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서브 지지브라켓(400)을 제외한 나머지 구성인 지지파이프(100), 링 플레이트(200), 메인 지지브라켓(300) 및 링 지지브라켓(500)은, 상술한 제 1 실시예에서 설명한 지지파이프(100), 링 플레이트(200), 메인 지지브라켓(300) 및 링 지지브라켓(500)의 구성과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므로, 기 설명된 구성 및 작용에 대한 설명은 생략될 수 있고, 유사 구성에 대하여 유사한 도면부호가 부여될 수 있다.
예컨대, 서브 지지브라켓(400)은 지지파이프(100)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개로 구성되고, 각각의 서브 지지브라켓(400)은 동일 원주상에 위치되도록 서로 다른 메인 지지브라켓(300)의 일면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서브 지지브라켓(400)이 각각의 메인 지지브라켓(300)의 일면에서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게 형성되므로, 다수개의 메인 지지브라켓(300) 사이의 빈 공간을 보다 균일하게 지지할 수 있고, 서브 지지브라켓(400)에 설치되지 아니한 공간에서는 용접 부위(W1)에 대한 관리 작업이 수월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펌프 타워의 설치 어셈블리를 도시한 횡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B-B"선부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제 3 실시예에 따른 펌프 타워의 설치 어셈블리는, 용접 홀부(620)를 갖는 서브 지지브라켓(400)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용접 홀부(620)는 용접 공구가 삽입 가능한 관통 구멍을 서브 지지브라켓(400)에 제공함으로써, 링 플레이트(200)와 타워파이프(10)의 결합 부위에 대한 관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예컨대, 서브 지지브라켓(400)이 메인 지지브라켓(300)에 결합되는 경우, 이 서브 지지브라켓(400)에 의해 링 플레이트(200)와 타워파이프(10)의 결합 부위가 가려질 수 있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서브 지지브라켓(400)에 용접 홀부(620)를 형성함으로써, 링 플레이트(200)와 타워파이프(10)의 결합 부위, 다시 말하면, 링 플레이트(200)의 내주연과 타워파이프(10)의 외주연 사이의 용접 부위(W1)에 대한 관찰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용접 도구(미도시)를 용접 홀부(620)에 관통시켜 용접 부위에 대한 보수 작업도 가능하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타워파이프의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서브 지지브라켓을 통해, 링 플레이트의 상부링 및 하부링을 균형있고 안정적으로 지지하여, 용접 열에 의한 상부링 및 하부링의 변형을 줄일 수 있고, 링 지지브라켓을 통해 링 플레이트 구조를 균형적으로 보강하여, 펌프 타워의 설치에 따른 구조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용접 공구가 삽입 가능한 용접 홀부를 서브 지지브라켓에 형성하여, 개정 시수시 용접 홀부를 통해 링 플레이트의 내주연에 대한 관리 작업을 수월하게 진행할 수 있다는 등의 우수한 장점을 갖는다.
상기에서 본 고안을 바람직한 실시 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고안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고안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0 :지지파이프 200 :링 플레이트
210 :하부링 220 :상부링
300 :메인 지지브라켓 400 :서브 지지브라켓
410 :제 1 서브 지지브라켓 420 :제 2 서브 지지브라켓
500 :링 지지브라켓 610 :플랜지
620 :용접 홈부

Claims (7)

  1. 타워 파이프의 외주연을 두르는 지지파이프;
    상기 지지파이프의 상부에 배치되는 하부링과 상기 하부링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상부링을 포함하고, 내주연이 상기 타워 파이프의 외주연에 결합되는 링 플레이트;
    상기 타워파이프의 직경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고 상기 하부링과 상기 상부링 사이를 연결하는 메인 지지브라켓; 및
    상기 타워파이프의 원주방향으로 연장되게 배치되고 상기 하부링과 상기 상부링 사이를 연결하는 서브 지지브라켓을 포함하는 펌프 타워의 설치 어셈블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링을 지지하도록 상기 지지파이프에 결합되는 링 지지브라켓을 더 포함하는 펌프 타워의 설치 어셈블리.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지지브라켓은
    상기 메인 지지브라켓의 일면에 결합되는 제 1 서브 지지브라켓과, 상기 제 1 서브 지지브라켓과 동일 원주상에 위치되도록 상기 메인 지지브라켓의 타면에 결합되는 제 2 서브 지지브라켓을 포함하는 펌프 타워의 설치 어셈블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링의 바깥 테두리부는, 상기 상부링의 바깥 테두리부보다 더 큰 직경을 갖고,
    상기 메인 지지브라켓의 하단 테두리부는, 상기 메인 지지브라켓의 상단 테두리부보다 더 긴 길이를 갖는 펌프 타워의 설치 어셈블리.
  5.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개로 제공되는 상기 메인 지지브라켓은, 상기 지지파이프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다수개로 제공되는 상기 서브 지지브라켓은, 이격 배치된 다수개의 상기 메인 지지브라켓에 교호적으로 연결되는 펌프 타워의 설치 어셈블리.
  6. 제 1 항에 있어서,
    다수개로 제공되는 상기 메인 지지브라켓은, 상기 지지파이프의 원주방향으로 이격되게 배치되고,
    다수개로 제공되는 상기 서브 지지브라켓은, 이격 배치된 다수개의 상기 메인 지지브라켓의 일면에 각각 연결되는 펌프 타워의 설치 어셈블리.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 지지브라켓에는
    용접 공구가 삽입 가능한 용접 홀부가 상기 메인 지지브라켓과 상기 타워 파이프 간의 용접 부위에 대향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펌프 타워의 설치 어셈블리.
KR2020130003824U 2013-05-15 2013-05-15 펌프 타워의 설치 어셈블리 KR20047609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824U KR200476099Y1 (ko) 2013-05-15 2013-05-15 펌프 타워의 설치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824U KR200476099Y1 (ko) 2013-05-15 2013-05-15 펌프 타워의 설치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926U true KR20140005926U (ko) 2014-11-25
KR200476099Y1 KR200476099Y1 (ko) 2015-01-29

Family

ID=524559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3824U KR200476099Y1 (ko) 2013-05-15 2013-05-15 펌프 타워의 설치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09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00296A (ko) * 2021-12-28 2023-07-05 한화오션 주식회사 코퍼댐 히팅타워의 마감부 구조
RU2807226C2 (ru) * 2019-06-21 2023-11-13 Газтранспорт Эт Технигаз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приводного узла для насоса разгрузочной башни для резервуара плавучей конструкции с применением регулировоч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3097616B1 (fr) * 2019-06-21 2021-06-25 Gaztransport Et Technigaz Procédé d’installation d’un ensemble d’entraînement d’une pompe d’une tour de déchargement d’une cuve d’un ouvrage flottant mettant en œuvre un dispositif de réglage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52156Y1 (ko) * 2008-06-17 2011-02-10 소재용 점적호스용 조립식 압력조절 밸브
KR200452608Y1 (ko) * 2008-08-01 2011-03-14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선 펌프타워의 지지대 연결 구조
KR20110026945A (ko) * 2009-09-09 2011-03-16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Lng 펌프타워의 파이프 설치 구조
KR101159190B1 (ko) * 2009-10-30 2012-07-10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선박용 로딩 암 구조체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807226C2 (ru) * 2019-06-21 2023-11-13 Газтранспорт Эт Технигаз Способ установки приводного узла для насоса разгрузочной башни для резервуара плавучей конструкции с применением регулировочного устройства
KR20230100296A (ko) * 2021-12-28 2023-07-05 한화오션 주식회사 코퍼댐 히팅타워의 마감부 구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099Y1 (ko) 2015-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017145079A (ru) Узел турбинного кольца
JP2018039413A (ja) 燃料タンク
RU2012154217A (ru) Герметизированный и изолированный резервуар, установленный на опорном устройстве
KR200476099Y1 (ko) 펌프 타워의 설치 어셈블리
EP2481988A3 (en) Combustor liner support and seal assembly
RU2016141741A (ru) Изоляционная система для трубы
TW201736223A (zh) 低溫液體槽
WO2015056562A1 (ja) ガス吸収塔、ガス吸収塔の製造方法及び船舶
JP2012112474A (ja) 縦型低温液体貯槽の支持構造
RU2718379C1 (ru) Соединительный элемент для соединения участков башни, участок башни, башня, ветроэнергетическая установка, а также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участка башни и способ соединения участков башни
RU2016117996A (ru) Узел нижнего корпуса гирационной дробилки и элементы футеровки рычагов
ES2929912T3 (es) Sistemas de soporte de catalizador para quemadores de oxidación de amoniaco
JP5808121B2 (ja) 貯蔵タンクの側壁構造、及び貯蔵タンクの側壁構造構築方法
KR20130000676U (ko) 해양구조물용 가스터빈의 배기 덕트 지지구조
JP6358624B2 (ja) タンクの支持構造及び船舶
KR101954806B1 (ko) 고정 플레이트를 이용한 플랫폼 고정식 풍력 발전 플랜트.
KR200468365Y1 (ko) 선체용 파이프모듈
CN204378873U (zh) 压力锅及其锅盖组件
CN103649473B (zh) 蒸汽轮机壳体
CN114412370B (zh) 一种用于深井的管组结构
JP2014066368A (ja) タンク断熱構造および貯湯タンク装置
CN210004010U (zh) 一种管道膨胀节
JP2014145489A (ja) 横型回転乾燥機
CN205550252U (zh) 一种用于反应釜的温度计套管
JP6778487B2 (ja) 貯槽のノズル支持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102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