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836U - 론지의 간격 조절장치 - Google Patents

론지의 간격 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5836U
KR20140005836U KR2020130003622U KR20130003622U KR20140005836U KR 20140005836 U KR20140005836 U KR 20140005836U KR 2020130003622 U KR2020130003622 U KR 2020130003622U KR 20130003622 U KR20130003622 U KR 20130003622U KR 20140005836 U KR20140005836 U KR 2014000583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p adjusting
coupled
adjusting part
gap
spa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36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의준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300036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5836U/ko
Publication of KR2014000583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836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6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ools or equipment; characterised by automation, e.g. use of robo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4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3K37/0426Fixtures for other work
    • B23K37/0435Clamps
    • B23K37/0443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BTOOLS OR BENCH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FASTENING, CONNECTING, DISENGAGING OR HOLDING
    • B25B11/00Work holders not covered by any preceding group in the subclass, e.g. magnetic work holders, vacuum work holders
    • B25B11/02Assembly ji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3/00Hulls characterised by their structure or component parts
    • B63B3/14Hull parts
    • B63B3/26Frames
    • B63B3/32Web frames; Web beam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3Welding, e.g. laser weld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3/0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 B63B73/40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 B63B73/49Building or assembling vessels or marine structures, e.g. hulls or offshore platforms characterised by joining methods by means of threaded members, e.g. screws, threaded bolts or nu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5/00Reinforcing elements, e.g. for concrete; Auxiliary elements therefor
    • E04C5/16Auxiliary parts for reinforcements, e.g. connectors, spacers, stirru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BDEVICES FOR FASTENING OR SECURING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TOGETHER, e.g. NAILS, BOLTS, CIRCLIPS, CLAMPS, CLIPS OR WEDGES; JOINTS OR JOINTING
    • F16B1/00Devices for securing together, or preventing relative movement between, constructional elements or machine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obot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pecific Sealing Or Ventilating Devices For Doors And Window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제1론지가 삽입되기 위한 제1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제1론지를 지지하는 제1간격조절부, 제2론지가 삽입되기 위한 제2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제2론지를 지지하는 제1간격조절부, 일측에 상기 제1간격조절부가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제2간격조절부가 결합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제1론지와 상기 제2론지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1간격조절부와 상기 제2간격조절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간격조절부는 상기 이동부재에 의해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론지를 가압하는 제1가압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간격조절부는 상기 이동부재에 의해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2론지를 가압하는 제2가압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르면 론지들 간의 간격을 조절한 후에 종래와 같이 제1지그와 제2지그를 론지로부터 제거할 필요가 없으므로, 론지들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론지들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더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론지의 간격 조절장치{GAP ADJUSTING APPARATUS FOR LONGITUDINAL}
본 고안은 선박에 사용되는 론지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선박의 건조하는 과정에서 선체, 갑판, 블럭, 선체 프레임 등에는 중량의 구조물(프레임)과, 론지류 트랜스류 등의 각종 빔부재들이 부착되고 각 구조물들이 상호 조립된다. 그 중, 론지(LONGITUDINAL)는 선박 건조시에 사용되는 부재를 말하며, 선박 제조 과정에서 소정 부분의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 사용된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론지의 종류에는 평판 바(Flat Bar), 벌브(Bulb), 앵글(Angle) 및 빌트-업 (Built-up) 부재가 있다.
론지는 플레이트(Plate)와 직교하도록 플레이트에 복수 개가 결합된다. 하지만, 론지는 용접공정이 이루어지는 과정에서 용접열에 의하여 용접 변형이 발생함에 따라 플레이트의 수직방향에 대해 기울어지게 된다. 따라서, 플레이트에 결합된 론지들은 서로 간격이 일정하지 못하게 됨으로써, 선박의 품질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이러한 론지들 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가 이용된다.
도 1은 종래 기술에 따른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을 참고하면, 종래 기술에 따른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1)는 일측이 제1론지(10)에 결합되고 타측이 제2론지(20)에 결합되는 레버풀러(30), 및 상기 레버풀러(30)에 가압력을 제공하는 파이프 서포트(40)를 포함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2론지(20)가 용접변형에 의해 플레이트(P)의 수직방향에 대해 기울어지게 된 경우를 기준으로 설명한다.
상기 레버풀러(30)는 상기 파이프 서포트(40)를 통해 제공되는 외력을 상기 제2론지(20)에 전달한다. 상기 레버풀러(30)는 제1후크부(31), 제2후크부(32), 및 체인부(33)를 포함한다.
상기 제1후크부(31)는 상기 제1론지(10)에 용접에 의해 결합된 제1지그(51)에 걸림으로써, 상기 제1론지(10)에 결합된다. 상기 제1후크부(31)는 상기 체인부(33)의 일측에 결합된다.
상기 제2후크부(32)는 상기 제2론지(20)에 용접에 의해 결합된 제2지그(52)에 걸림으로써, 상기 제2론지(20)에 결합된다. 상기 제2후크부(32)는 상기 체인부(33)의 타측에 결합된다.
상기 체인부(33)는 상기 제1후크부(31)와 상기 제2후크부(22a)를 상호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제1후크부(31)가 상기 제1지그(51)에 걸리고, 상기 제2후크부(32)가 상기 제2지그(52)에 걸리도록 결합되면, 상기 제1론지(10)와 상기 제2론지(20)는 상기 레버풀러(30)에 의해 상호 연결된다.
상기 파이프 서포트(40)는 상기 제1론지(10)와 상기 제2론지(20)를 연결하고 있는 체인부(33)를 지지한다. 이 상태에서 작업자가 상기 파이프 서포트(40)를 지면으로부터 상측방향으로 들어 올리면, 상기 파이프 서포트(40)는 용접 변형에 의해 기울어진 제2론지(20)에 힘을 가함으로써 상기 제2론지(20)를 이동시켰다.
이러한 종래 기술에 따른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1)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종래 기술에 따른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1)는 상기 파이프 서포트(40)를 플레이트(P)에 고정하고, 제1지그(51)와 제2지그(52)와 같은 보조공구(50)를 제1론지(10)와 제2론지(10)에 용접한 후, 상기 레버풀러(30)를 각각 상기 보조공구(50)를 통해 제1론지(10)와 제2론지(20)에 연결하여 제1론지(10)와 제2론지(20)의 간격을 조절하는 작업을 진행하였다. 따라서, 종래 기술에 따른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1)는 상기 보조공구(50)를 제1론지(10)와 제2론지(20)에 용접하는 작업, 상기 레버풀러(30), 및 상기 파이프 서포트(40)를 설치하는 작업 등 제1론지(10)와 제2론지(20)의 간격을 조절하는 작업이 번거롭고 오랜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종래 기술에 따른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1)는 제1론지(10)와 제2론지(20)의 간격을 조절한 후에도 보조공구(50)를 제거하는 작업을 추가적으로 진행해야함에 따라 작업 시간이 추가로 소요되고, 이로 인해 작업 효율을 저하시키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고자 안출된 것으로, 레버풀러, 파이프 서포트의 설치 및 보조공구를 용접하고 작업 후 보조공구를 제거하는 작업을 생략함으로써, 작업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는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고안은 하기와 같은 구성을 포함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른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는 제1론지가 삽입되기 위한 제1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제1론지를 지지하는 제1간격조절부; 제2론지가 삽입되기 위한 제2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제2론지를 지지하는 제1간격조절부; 일측에 상기 제1간격조절부가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제2간격조절부가 결합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제1론지와 상기 제2론지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1간격조절부와 상기 제2간격조절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간격조절부는 상기 이동부재에 의해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론지를 가압하는 제1가압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간격조절부는 상기 이동부재에 의해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2론지를 가압하는 제2가압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는 상기 제1간격조절부에 결합되는 제1걸림부재 및 상기 제2간격조절부에 결합되는 제2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걸림부재는 상기 제1삽입홈과 상이(相異)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제1걸림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걸림부재는 상기 제2삽입홈과 상이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제2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는 상기 제1걸림부재는 상기 제1가압면이 돌출된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상기 제1간격조절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걸림부재는 상기 제2가압면이 돌출된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상기 제2간격조절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는 상기 제1론지가 삽입되기 위한 걸림홈이 형성되는 제1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걸림부재는 상기 제1론지와 상기 제2론지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1걸림홈이 상기 제2간격조절부 쪽을 향하는 제1작업위치 및 상기 제1걸림홈이 상기 제2간격조절부의 반대쪽을 향하는 제2작업위치 간에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1간격조절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고안은 론지들 간의 간격을 조절한 후에 종래와 같이 제1지그와 제2지그를 론지로부터 제거할 필요가 없으므로, 론지들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론지들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더 줄일 수 있다.
본 고안은 론지들이 변형되어 기울어진 방향에 따라 제1간격조절부와 제2간격조절부의 이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다양한 방향으로 기울어진 론지들에 적용할 수 있는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에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의 제1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의 제2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에 제1걸림부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의 제1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의 제2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도 10의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정의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고,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것으로, 이들 용어들에 의해 권리범위가 한정되어서는 아니 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적어도 하나"의 용어는 하나 이상의 관련 항목으로부터 제시 가능한 모든 조합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제 1 항목, 제 2 항목, 제 3 항목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의미는 제 1 항목, 제 2 항목, 또는 제 3 항목 중에서 2개 이상으로부터 제시될 수 있는 모든 항목의 조합을 의미한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고안에 따른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3을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100)는 플레이트(110)에 결합된 론지(120)에 용접 변형이 발생한 경우, 용접 변형이 발생한 론지(120)를 이동시켜서 론지(120)들 간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한 것이다.
이를 위해, 본 고안에 따른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100)는 제1론지(121)가 삽입되는 제1간격조절부(130), 제2론지(122)가 삽입되는 제2간격조절부(140),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와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가 결합되는 연결부재(150), 및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와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플레이트(110)에는 복수개의 론지(120)들이 서로 이격되어 연속적으로 결합된다. 상기 제1론지(121)는 상기 플레이트(110)에 결합된 론지(120) 중 하나를 뜻하며, 상기 제2론지(122)는 상기 제1론지(121)로부터 이격되어 상호 이웃하는 론지(120)를 뜻한다.
상기 이동부재(160)는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 및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를 이동시킴으로써, 용접 변형이 일어난 론지(120)를 이동시켜서 론지(120)들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160)는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 및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를 이동시키는 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상기 론지(120)를 밀거나 당겨서 상기 론지(120)들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100)는 다음과 같은 작용 효과를 도모할 수 있다.
첫째, 본 고안에 따른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100)는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에 상기 제1론지(121)가 삽입되고,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에 상기 제2론지(122)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재(160)가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 및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론지(120)들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100)는 종래와 같이 제1지그(51)와 제2지그(52)를 론지(120)에 용접할 필요가 없으므로, 론지(120)들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론지(120)들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100)는 론지(120)들 간의 간격을 조절한 후에 종래와 같이 제1지그(51)와 제2지그(52)를 론지(120)로부터 제거할 필요가 없으므로, 론지(120)들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 제공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론지(120)들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더 줄일 수 있다.
둘째, 본 고안에 따른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100)는 상기 이동부재(160)가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 및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를 이동시키는 방향을 전환함으로써, 상기 론지(120)를 밀거나 당겨서 상기 론지(120)들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100)는 상기 론지(120)들이 변형되어 기울어진 방향에 따라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와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의 이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다양한 방향으로 변형되어 기울어진 론지(120)들에 적용할 수 있는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 상기 연결부재(150), 및 상기 이동부재(160)에 관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 및 도 3을 참고하면,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는 상기 연결부재(150)에 의해 상기 제2간격조절부(130)와 결합된다.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에는 상기 제1론지(121)가 삽입되고,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에는 상기 제2론지(122)가 삽입된다.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는 상기 제1론지(121)가 삽입되는 제1삽입홈(131), 및 상기 제1론지(121)를 가압하는 제1가압면(132)을 포함한다.
상기 제1삽입홈(131)에는 상기 제1론지(121)가 삽입된다. 상기 제1삽입홈(131)에 상기 제1론지(121)가 삽입되면,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는 상기 제1삽입홈(131)에 삽입된 상기 제1론지(121)에 걸림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제1삽입홈(131)은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는 상기 제1삽입홈(131)에 의해 하측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가압면(132)은 상기 제1론지(121)를 가압한다. 상기 제1가압면(131)은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에서 상기 제1삽입홈(131)이 삽입된 부분의 의 내면일 수 있다. 상기 론지(120)들이 상기 제2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우, 상기 이동부재(160)가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를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1가압면(132)은 상기 제1론지(121)를 상기 제1방향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2론지(122)와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론지(120)들이 상기 제1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우, 상기 이동부재(160)가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를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1가압면(132)은 상기 제1론지(121)를 상기 제2방향으로 가압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론지(121)와 상기 제2론지(122)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는 상기 제2론지(122)가 삽입되는 제2삽입홈(141), 상기 제2론지(122)를 가압하는 제2가압면(142)을 포함한다.
상기 제2삽입홈(141)에는 상기 제2론지(122)가 삽입된다. 상기 제2삽입홈(141)에 상기 제2론지(122)가 삽입되면,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는 상기 제2삽입홈(141)에 삽입된 상기 제2론지(122)에 걸림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제2삽입홈(141)은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를 관통하여 형성된다. 상기 제2삽입홈(141)은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의 하측이 개구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가압면(142)는 상기 제2론지(122)를 가압한다. 상기 제2가압면(142) 은 상기 제2삽입홈(141)의 내면일 수 있다. 상기 론지(120)들이 상기 제1방향 기울어진 경우, 상기 이동부재(160)가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를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2가압면(142)에 의해 상기 제2론지(122)가 상기 제1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상기 제1론지(121)와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론지(120)들이 상기 제1방향으로 기울어진 경우, 상기 이동부재(160)가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를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시키면 상기 제2가압면(142)에 의해 상기 제2론지(122)가 상기 제2방향으로 가압됨으로써, 상기 제1론지(121)와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50)는 일측에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가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가 결합됨으로써,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와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를 결합시킨다. 상기 이동부재(160)가 상기 연결부재(15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와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를 이동시킨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재(150)는 나사산이 형성된 볼트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와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에는 각각 나사산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재(150)는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와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의 내부에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150)는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와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를 내부에 수용함으로써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와 결합될 수 있다.
상기 이동부재(160)는 상기 연결부재(150)에 결합된다. 상기 이동부재(160)는 시계방향 또는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상기 연결부재(150)를 회전시킨다. 상기 이동부재(160)는 상기 연결부재(150)의 회전에 의해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와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을 이동시킨다. 상기 이동부재(160)가 반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와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는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론지(121)와 상기 제2론지(122)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동부재(160)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와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는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론지(121)와 상기 제2론지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론지(121)와 상기 제2론지(122)는 용접변형이 발생하여 상기 플레이트(100)의 수직방향에 대해 기울어진 것일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이동부재(160)가 상기 연결부재(15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와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를 이동시킨다. 따라서,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는 상기 제1론지(121)에 걸림에 의해 상기 제1론지(121)를 이동시키고,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는 상기 제2론지(120)에 걸림에 의해 상기 제2론지(122)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론지(121)와 상기 제2론지(122)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100)는 종래와 같이 상기 제1론지(121)에 제1지그(51)를 용접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제1론지(121)와 상기 제2론지(122)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제1론지(121)와 상기 제2론지(122)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100)는 상기 제1론지(121)와 상기 제2론지(122)간의 간격이 조절되면, 상기 제1론지(121) 및 상기 제2론지(122)가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 및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로부터 이격되도록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와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를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론지(121) 및 상기 제2론지(122)로부터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와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를 제거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100)는 종래와 같이 제1론지(121)에 용접된 제1지그(51)를 별도의 절단기 등을 이용하여 제거할 필요가 없으므로, 상기 제1론지(121)와 상기 제2론지(122)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작업에 대한 용이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고, 상기 제1론지(121)와 상기 제2론지(122) 간의 간격을 조절하는데 걸리는 시간을 더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100)는 상기 제1론지(121)와 상기 제2론지(122)가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와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 간의 상호 가까워지는 방향인 제1방향으로 휘어진 경우,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 및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에 상기 제1론지(121)와 상기 제2론지(122)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와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를 상호 먼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론지(121)와 상기 제2론지(122)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론지(121)와 상기 제2론지(122)가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와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 간의 상호 멀어지는 방향인 제2방향으로 휘어진 경우, 상기 이동부재(160)는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 및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에 상기 제1론지(121)와 상기 제2론지(122)가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와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를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론지(121)와 상기 제2론지(122)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100)는 론지(120)들이 변형되어 기울어진 방향에 따라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와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의 이동방향을 조절할 수 있도록 구현됨으로써, 상기 제1방향 또는 상기 제2방향으로 기울어진 론지(120)들에 적용할 수 있는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는 도 2에 도시된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에 제1걸림부와 제2걸림부가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의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의 제1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의 제2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고하면, 본 고안에 따른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100)는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에 결합되는 제1걸림부재(170), 및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에 결합되는 제1걸림부재(18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론지(120)들은 기역자(ㄱ) 형태인 제1형태일 수 있다. 상기 제1걸림부재(170)는 상기 제1론지(121)가 삽입된다. 상기 제1걸림부재(170)는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를 이용하여 작업하는 것이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 제1가압면(132)이 돌출된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에 결합된다.
상기 제1걸림부재(170)는 상기 제1삽입홈(131)이 형성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걸림부재(170)는 상기 제1삽입홈(131)과 상이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제1걸림홈(171)을 포함한다.
상기 제1걸림홈(171)에는 상기 제1론지(121)가 삽입된다. 상기 제1걸림홈(171)에 상기 제1론지(121)가 삽입되면, 상기 제1걸림부재(170)는 상기 제1걸림홈(171)에 삽입된 상기 제1론지(121)에 걸림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제1걸림홈(171)은 니은자(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부재(180)는 상기 제2론지(122)가 삽입된다. 상기 제2걸림부재(180)는 상기 제2간격조절부(130)를 이용하여 작업하는 것이 방해되지 않도록 상기 제2가압면(142)이 돌출된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에 결합된다. 상기 제2걸림부재(180)는 상기 제2삽입홈(141)이 형성되는 방향의 반대방향에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걸림부재(180)는 상기 제2삽입홈(141)과 상이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되는 제2걸림홈(181)을 포함한다.
상기 제2걸림홈(181)에는 상기 제2론지(122)가 삽입된다. 상기 제2걸림홈(181)에 상기 제2론지(122)가 삽입되면, 상기 제2걸림부재(180)는 상기 제2걸림홈(181)에 삽입된 상기 제1론지(121)에 걸림에 의해 결합된다. 상기 제2걸림홈(181)은 니은자(ㄴ)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100)는 상기 이동부재(160)가 상기 연결부(150)를 회전시킴으로써, 상기 제1걸림부재(170)와 상기 제2걸림부재(180)는 상기 제1방향 또는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하여 상기 제1론지(121)와 상기 제2론지(122)를 상기 제2방향 또는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따라서, 본 고안에 따른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100)는 상기 제1론지(121)와 상기 제2론지(122)의 형태가 상기 제1형태인 경우 상기 제1론지(121)와 상기 제2론지(122)간의 간격을 조절하는데 용이함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른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100)는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과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이 형성되는 경우와 비교할 때, 다음과 같은 장점을 갖는다.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와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만이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와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는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와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를 이용하여 상기 제1형태의 론지(120)들의 간격을 조절한다. 이에 반해, 상기 제1걸림부(170)와 상기 제2걸림부(180)가 형성되는 경우, 상기 제1걸림부(170) 또는 상기 제2걸림부(180)에는 상기 제1론지(121) 또는 상기 제2론지(122)가 삽입됨으로써, 상기 제1걸림부(170) 또는 상기 제2걸림부(180)와 상기 제1론지(121) 또는 상기 제2론지(122) 사이에 결합에 대한 신뢰성이 증가하므로,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와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만을 이용하여 상기 제1론지(121)와 상기 제2론지(122)간의 간격을 조절하는 경우에 비해 상기 제1론지(121)와 상기 제2론지(122)간의 간격을 조절하는데 용이함을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도 2에 도시된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에 제1걸림부가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 것을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의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의 제1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9는 도 7의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의 제2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7 내지 도 9를 참조하면, 상기 제1걸림부재(170)는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론지(120)들은 티자(T) 형태인 제2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는 상기 제2삽입홈(141)이 형성된 2개의 내면이 서로 다른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는 상기 제2삽입홈(141)이 형성된 2개의 내면 중에서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에 가깝게 배치된 내면이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는 상기 제2삽입홈(141)이 형성된 2개의 내면 중에서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에 가깝게 배치된 내면이 더 짧게 형성될 수도 있다.
상기 제1걸림부재(170)는 상기 제1론지(121)가 삽입된다. 상기 제1걸림부재(170)는 상기 제1걸림홈(171)이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 쪽을 향하는 제1작업위치 및 상기 제1걸림홈(171)이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의 반대쪽을 향하는 제2작업위치로 전환되도록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에 결합된다.
여기서, 상기 제1론지(121)와 상기 제2론지(122)가 상기 제2방향으로 휘어진 경우, 상기 제1걸림부재(170)는 상기 제1작업위치를 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1걸림홈(171)에 상기 제1론지(121)가 삽입되고, 상기 제2삽입홈(141)의 내면 중 길게 형성된 면에 상기 제2론지(122)가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재(160)가 상기 제1걸림부재(170)와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를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론지(121)와 상기 제2론지(122)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제1론지(121)와 상기 제2론지(122)가 상기 제1방향으로 휘어진 경우, 상기 제1걸림부재(170)는 상기 제2작업위치를 향하도록 결합된다. 따라서, 상기 제1걸림홈(171)에 상기 제1론지(121)가 삽입되고, 상기 제2삽입홈(141)의 내면 중 길게 형성된 면의 외부에 상기 제2론지(122)가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재(160)가 상기 제1걸림부재(170)와 상기 제2간격조절부를 상기 제2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제1론지(121)와 상기 제2론지(122)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100)는 상기 제1론지(121)와 상기 제2론지(122)의 형태가 상기 제2형태인 경우 상기 제1론지(121)와 상기 제2론지(122)간의 간격을 조절하는데 용이함을 제공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100)는 상기 제1걸림부재(170)가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됨으로써, 다양한 형태의 상기 론지(120)들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고안에 따른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100)는 상기 제1형태와 상기 제2형태 등의 다양한 형태의 론지(120)들에 적용할 수 있는 범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0은 본 고안에 따른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11 및 도 12는 도 10의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0 내지 도 12를 참고하면, 본 고안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100)는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 상기 연결부재(150), 및 상기 이동부재(16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 상기 연결부재(150) 및 상기 이동부재(160)는 상술한 바와 대략 일치하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본 고안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100)에 있어서,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는 다음과 같이 구현된다.
도 10을 참고하면,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는 다양한 형태의 론지(120)들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도록 상기 론지(120)들이 삽입되는 삽입부재(190)를 포함한다.
상기 삽입부재(190)는 상기 제2가압면(142)에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재(190)에는 상기 제1형태 또는 상기 제2형태의 상기 론지(120)들이 삽입된다. 이에 따라, 본 고안의 변형된 실시예에 따른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100)는 다양한 형태로 형성된 론지들(120)에 대해 다음과 같이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도 11 및 도 12를 참고하여 상기 제1형태와 상기 제2형태의 상기 론지(120)들의 간격조절과정을 설명한다. 이하에서는, 상기 제1론지(121)와 상기 제2론지(122)가 상기 제2방향으로 휘어진 상태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상기 삽입부재(190)는 상기 제2가압면(142)에 형성된다. 상기 삽입부재(190)에는 상기 제2론지(121)가 삽입된다. 상기 제1가압면(132)에는 상기 제1론지가 접한다. 이 상태에서, 상기 이동부재(160)를 시계방향으로 회전할 경우, 상기 제1간격조절부(130)와 상기 제2간격조절부(140)는 상기 제1방향으로 이동함으로써, 상기 제1론지(121)와 상기 제2론지 간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고안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러 가지 치환,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다는 것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명백할 것이다.
100 :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 110 : 플레이트
120 : 론지 121 : 제1론지
122 : 제2론지 130 : 제1간격조절부
131 : 제1삽입홈 132 : 제1가압면
140 : 제2간격조절부 141 : 제2삽입홈
142 : 제2가압면 150 : 연결부재
160 : 이동부재 170 : 제1걸림부재
171 : 제1걸림홈 180 : 제2걸림부재
181 : 제2걸림홈 190 : 삽입부재

Claims (4)

  1. 제1론지가 삽입되기 위한 제1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1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제1론지를 지지하는 제1간격조절부;
    제2론지가 삽입되기 위한 제2삽입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삽입홈에 삽입된 상기 제2론지를 지지하는 제1간격조절부;
    일측에 상기 제1간격조절부가 결합되고, 타측에 상기 제2간격조절부가 결합되는 연결부재; 및
    상기 연결부재에 결합되고, 상기 제1론지와 상기 제2론지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1간격조절부와 상기 제2간격조절부를 이동시키는 이동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간격조절부는 상기 이동부재에 의해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론지를 가압하는 제1가압면을 포함하고,
    상기 제2간격조절부는 상기 이동부재에 의해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2론지를 가압하는 제2가압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간격조절부에 결합되는 제1걸림부재 및 상기 제2간격조절부에 결합되는 제2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걸림부재는 상기 제1삽입홈과 상이(相異)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제1걸림홈을 포함하고,
    상기 제2걸림부재는 상기 제2삽입홈과 상이한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된 제2걸림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걸림부재는 상기 제1가압면이 돌출된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상기 제1간격조절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2걸림부재는 상기 제2가압면이 돌출된 방향에 대해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상기 제2간격조절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론지가 삽입되기 위한 걸림홈이 형성되는 제1걸림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걸림부재는 상기 제1론지와 상기 제2론지의 간격을 조절하기 위해 상기 제1걸림홈이 상기 제2간격조절부 쪽을 향하는 제1작업위치 및 상기 제1걸림홈이 상기 제2간격조절부의 반대쪽을 향하는 제2작업위치 간에 회전 가능하게 상기 제1간격조절부에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론지용 간격 조절장치.


KR2020130003622U 2013-05-08 2013-05-08 론지의 간격 조절장치 KR20140005836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622U KR20140005836U (ko) 2013-05-08 2013-05-08 론지의 간격 조절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622U KR20140005836U (ko) 2013-05-08 2013-05-08 론지의 간격 조절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836U true KR20140005836U (ko) 2014-11-18

Family

ID=524542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3622U KR20140005836U (ko) 2013-05-08 2013-05-08 론지의 간격 조절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5836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54446B2 (en) 2020-04-06 2022-02-22 Workhorse Group Inc. Flying vehicle systems and methods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54446B2 (en) 2020-04-06 2022-02-22 Workhorse Group Inc. Flying vehicle systems and methods
US11383859B1 (en) 2020-04-06 2022-07-12 Workhorse Group Inc. Flying vehicle systems and methods
US11498701B2 (en) 2020-04-06 2022-11-15 Workhorse Group Inc. Flying vehicle systems and methods
US11787563B2 (en) 2020-04-06 2023-10-17 Workhorse Group Inc. Unmanned aerial vehicle including equipment mounted in recessed seat of apex support structure
US11787564B2 (en) 2020-04-06 2023-10-17 Workhorse Group Inc. Carriage lock mechanism for an unmanned aerial vehicle
US11820533B2 (en) 2020-04-06 2023-11-21 Workhorse Group Inc. Flying vehicle systems and methods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38506B2 (en) Jack for carrying and installing mine panels
KR101434223B1 (ko) 알루미늄 문틀프레임 자동조립 방법
JP2016036850A (ja) 溶接用ワーク保持装置
KR20140005836U (ko) 론지의 간격 조절장치
US20180281877A1 (en) System for quick coupling and uncoupling of a tracked unit with respect to a chassis of a tracked machine, particularly a tracked pipe laying machine
CN109983198A (zh) 用于运输特别是滑移或顶升重物体的设备
KR101924905B1 (ko) 호이스트 레일 바
KR101892034B1 (ko) 케이블 트레이 제조 장치
KR20130001198U (ko) 잭 램과 론지 복원 지그의 배치 구조.
KR20150000929U (ko) 사다리 지지장치
JP2015014181A (ja) ブレース上部取付金具
KR101701965B1 (ko) 케이블 가이드 장치
KR101194055B1 (ko) 선박용 앵글 고정장치
CN220351466U (zh) 一种刚构连续梁吊架结构
KR101072324B1 (ko) 부품 로딩 조정 장치
KR20170040663A (ko) 셔터용 슬랫
JP2006070572A (ja) チエン長さ調節用具
DK146710B (da) Presse til brug ved indpresning af forbindelsesplader i samlinger i traepaneler, spaerfag og lignende konstruktioner
US3961407A (en) Manufacture of construction elements
JP6834819B2 (ja) 吊り金具
KR20120007948U (ko) 데크 레벨 교정 지그
KR101984664B1 (ko) 운반 보조 장치
JP4097071B2 (ja) 車幅拡縮装置
KR20200064353A (ko) 선박건조용 지그
JP6538640B2 (ja) 床材支持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Application deemed withdrawn, e.g. because no request for examination was filed or no examination fee was pai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