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796U - Mobile phone case - Google Patents

Mobile phone cas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5796U
KR20140005796U KR2020130003510U KR20130003510U KR20140005796U KR 20140005796 U KR20140005796 U KR 20140005796U KR 2020130003510 U KR2020130003510 U KR 2020130003510U KR 20130003510 U KR20130003510 U KR 20130003510U KR 20140005796 U KR20140005796 U KR 20140005796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phone
cover
touch pen
battery
auxiliary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3510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76233Y1 (en
Inventor
박상률
Original Assignee
박상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상률 filed Critical 박상률
Priority to KR202013000351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233Y1/en
Publication of KR20140005796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796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23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233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3/00Details; Accessories
    • A45C13/002Protective 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3Arrangements for mounting batteries or battery charg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7Portable transceivers
    • H04B1/3888Arrangements for carrying or protecting transceiver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CPURSES; LUGGAGE; HAND CARRIED BAGS
    • A45C11/00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 A45C2011/002Receptacles for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groups A45C1/00-A45C9/00 for portable handheld communication devices, e.g. mobile phone, pager, beeper, PDA, smart phon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보조배터리를 수납시켜 휴대폰에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뿐만 아니라 보조배터리까지 동시에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본 고안에서 휴대폰 케이스는 휴대폰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와 상기 결합부에 의해 보호커버 또는 배터리커버가 구비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보조배터리를 수납시켜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배터리 수납겸용 충전부가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의 휴대폰 케이스는 휴대폰 케이스는 보조배터리를 수납시킬 수 있는 수납공간이 구비되어 보조배터리를 따로 들고 다니지 않아도 되며, 휴대폰에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와 보조배터리를 동시충전이 가능하여 우수한 공간의 활용성 및 실용성을 제공할 수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case that accommodates a secondary battery so that not only the battery built in the mobile phone but also the secondary battery can be charged at the same time.
To this end, in the present invention, the mobile phone case includes a cover portion having a coupling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mobile phone, a protective cover or a battery cover by the coupling portion, and a cover portion formed on one side of the cover portion, And a charger unit for storing auxiliary batteries.
The mobile phon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orage space for storing the auxiliary battery so that the mobile phone case does not have to carry the auxiliary battery separately, and the battery built in the mobile phone and the auxiliary battery can be charged at the same time, And practicality.

Description

휴대폰 케이스{Mobile phone case}Mobile phone case {Mobile phone case}

본 고안은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서, 좀더 상세하게는, 보조배터리를 수납시켜 휴대폰에 내장되어 있는 메인배터리뿐만 아니라 보조배터리까지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case, and more particularly, to a mobile phone case that accommodates an auxiliary battery so as to charge the auxiliary battery as well as the main battery built in the mobile phone.

휴대폰은 남녀노소 할 것 없이 모두가 하나씩은 갖고 있는 21세기 현대인의 필수품이라 할 수 있다.The mobile phone is a necessity for modern people in the 21st century.

이렇게 휴대폰 사용자가 늘어나고 휴대폰을 하나의 액세서리로 인식하는 경향이 커지면서 사용자들은 휴대폰 액세서리를 사용하여 자신의 개성을 살릴 수 있다.As the number of mobile phone users increases and mobile phones become more and more recognized as a single accessory, users can use their mobile phone accessories to enhance their personality.

사람들은 휴대폰 케이스를 사용함으로써 다양한 외형 디자인의 변화를 가져올 수 있으며 휴대폰의 외관을 감쌀 수 있어 휴대폰을 보호할 수 있다.People use cell phone cases to change the appearance of various designs and can cover the exterior of the phone to protect the phone.

종래의 한국등록특허 10-0934129호는 휴대폰의 크기와 종류에 상관없이 수납이 가능하도록 함과 아울러 각종 카드나 명함 등을 수납이 가능하도록 하고, 손이나 몸에 휴대가 용이하도록 한 휴대폰 케이스에 대한 것이다. 각각 판상으로 분리되어 형성된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의 양측부가 신축성을 갖는 탄력 밴드에 의해 연결되고, 상기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의 하부는 연질로 된 밴드 형태의 제1 연결부로 연결되도록 구성되어 상기 전면 커버와 후면 커버의 사이에 휴대폰을 수납할 수 있도록 하는 수납 공간부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전면 커버 또는 후면 커버의 하측에는 연질로 된 밴드 형태의 제2 연결부가 구비되어 그 일측이 연결되고, 명함 또는 카드 등을 수납할 수 있는 수납부를 가진 판상의 외부 커버가 더 구비되어 상기 외부 커버의 하부가 상기 제2 연결부의 타측과 연결됨과 아울러 상기 전면 커버 또는 후면 커버의 상측 및 외부 커버의 상측은 잠금부에 의해 고정 및 분리되도록 구성된다.Conventional Korean Patent No. 10-0934129 discloses a mobile phone which can accommodate a mobile phone regardless of the size and type of the mobile phone and can store various cards and business cards, will be. The front cover and the rear cover are connected to each other by elastic bands having stretchability and the lower part of the front cover and the rear cover are connected to a first connection part of a soft band shape, A storage space for storing the cellular phone is formed between the front cover and the rear cover. In addition, a plate-shaped outer cover having a second connection part in the form of a soft band and connected to one side thereof and having a storage part for storing a business card or a card is further provided below the front cover or the rear cover, The lower part of the outer cover is connected to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connection part, and the upper side of the front cover or the rear cover and the upper side of the outer cover are fixed and separated by the locking part.

그러나 이러한 휴대폰 케이스는 오랜 시간 핸드폰을 사용해야할 경우에 보조배터리를 휴대하고 다녀야 하는데 보조배터리 수납공간이 충분하지 않아 보조배터리를 분실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is mobile phone case has to carry the auxiliary battery when the user needs to use the mobile phone for a long time. However, the auxiliary battery storage space is not enough, and the auxiliary battery can be lost.

또한, 보조배터리를 충전할 경우 따로 구비되어 있는 보조배터리 케이스의 충전용 단자에 연결해야 하기 때문에 불편하다는 문제점이 있다.
In addition, when the auxiliary battery is charged, there is a problem that it is inconvenient to connect to the charging terminal of the auxiliary battery case separately provided.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보조배터리를 수납시켜 휴대폰에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뿐만 아니라 보조배터리까지 동시충전이 가능하여 휴대의 편이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휴대폰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to solve the above-mention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battery charger that can accommodate not only a battery built in a mobile phone but also an auxiliary battery by accommodating the auxiliary battery,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obile phone case.

전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휴대폰 케이스는 휴대폰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 의해 보호커버 또는 배터리커버가 구비되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보조배터리를 수납시켜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배터리 수납겸용 충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 mobile phone case comprising: a coupling part detachably coupled to a mobile phone; A cover portion having a protective cover or a battery cover by the engaging portion; And a charging unit, which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over unit, for storing and charging the auxiliary battery so that the auxiliary battery can be charged.

상기 결합부는 상기 휴대폰이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되기 위해 상기 휴대폰의 표면과 상기 보호커버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coupling por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surface of the mobile phone and the protective cover so that the mobile phone is protected from an external impact.

상기 결합부는 메인배터리가 수용되는 휴대폰 본체와 상기 배터리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덮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coupling portion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ellular phone main body in which the main battery is accommodated and the battery cover.

상기 커버부는 터치펜을 수납할 수 있는 터치펜 수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ver portion may further include a touch pen housing portion capable of housing the touch pen.

상기 커버부는 상기 휴대폰의 조작을 위한 액정 또는 키버튼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이 노출되는 다수 개의 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ver unit may further include a plurality of holes through which at least one of a liquid crystal or a key button for operating the cellular phone is exposed.

상기 보조배터리 수납겸용 충전부의 일측에는 상기 보조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충전용 단자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charging terminal for charging the auxiliary battery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auxiliary battery receiving and charging unit.

상기 보조배터리 수납겸용 충전부는 상기 휴대폰에 내장되어 있는 메인배터리와 동시에 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the charger for storing the auxiliary battery is configured to be able to be charged simultaneously with the main battery built in the mobile phone.

상기 보조배터리를 상기 보조배터리 수납겸용 충전부로 수납시키거나 취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보조배터리 수납겸용 충전부의 개구 영역에 끼움 또는 슬라이드 결합되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And a lid which is fitted or slidably engaged with an opening area of the auxiliary battery receiving and charging part for storing or extracting the auxiliary battery with the auxiliary battery receiving and storing part.

상기 보조배터리 또는 상기 휴대폰에 내장되어 있는 메인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무선 충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And a wireless charger for charging the auxiliary battery or the main battery built in the mobile phone.

상기 터치펜 수납부는 터치펜 수납용 몸체; 및 내주면에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터치펜 수납용 몸체를 개폐하는 터치펜 수납용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펜 수납용 뚜껑에 터치펜이 체결된 후, 상기 터치펜 수납용 몸통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Wherein the touch pen housing part comprises: a touch pen housing body; And a lid for accommodating the touch pen, the lid having a latching protrusion formed on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thereof for opening and closing the body for storing the touch pen, wherein the touch pen is inserted into the lid of the touch pen, .

상기 커버부는 연결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과 상기 터치펜 수납용 뚜껑은 연결줄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The cover portion is further provided with a connecting member, and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lid for storing the touch pen are fastened by a connecting line.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터치펜 수납용 뚜껑을 당기면 상기 연결줄은 늘어났다가 다시 당기면 원위치로 되돌아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The connection member pulls the touch pen storage lid so that the connection line extends and then returns to the original position when the connection pen is pulled again.

본 고안에 따르면, 휴대폰 케이스는 보조배터리를 수납시킬 수 있는 수납공간이 구비되어 보조배터리를 따로 들고 다니지 않아도 된다는 장점이 있다.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he cell phone case is provided with a storage space for storing the auxiliary battery,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carry the auxiliary battery separately.

또한, 휴대폰에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와 보조배터리를 동시에 충전 가능하도록 하여 충전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In addition, there is an advantage that the charging time can be shortened by allowing the battery built in the mobile phone and the auxiliary battery to be charged at the same time.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2는 도 1의 휴대폰 케이스를 후면에서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3은 터치펜을 수납할 수 있는 터치펜 수납부가 포함된 휴대폰 케이스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4는 보조배터리 수납겸용 충전부의 덮개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5는 연결부재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를 도시한 구조도이다.
도 7의 휴대폰 케이스는 접이식 휴대폰 케이스로 구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
1 is a structural view showing a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tructural view showing the cellular phone case of Fig. 1 from the rear. Fig.
3 is a structural view showing a mobile phone case including a touch pen storage portion capable of storing a touch pen.
Fig. 4 is a structural view showing a lid of a charger unit serving as a supplementary battery.
5 is a structural view showing a cellular phone case having a connecting member.
6 is a structural view showing a cellular phone c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llular phone case of Fig. 7 is composed of a folding cellular phone case.

이하,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할 것이다. 하기에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Reference will now be made in detail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examples of which are illustrated in the accompanying drawings. DETAILED DESCRIPTION OF THE PREFERRED EMBODIMENT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of the present invention, a detailed description of known functions and configurations incorporated herein will be omitted when it may make the subject matter of the present invention rather unclear.

이하, 첨부된 도면에 따라 본 고안의 휴대폰 케이스를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Hereinafter, a mobile phon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도 1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를 도시한 구조도이며, 도 2는 도 1의 휴대폰 케이스를 후면에서 도시한 구조도이며, 도 3은 터치펜을 수납할 수 있는 터치펜 수납부가 포함된 휴대폰 케이스를 도시한 구조도이며, 도 4는 보조배터리 수납겸용 충전부의 덮개를 도시한 구조도이며, 도 5는 연결부재가 구비된 휴대폰 케이스를 도시한 구조도이며,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를 도시한 구조도이며, 도 7의 휴대폰 케이스는 접이식 휴대폰 케이스로 구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FIG. 1 is a structural view illustrating a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2 is a structural view illustrating a mobile phone case of FIG. 1 from the rear, and FIG. 3 is a cross- FIG. 5 is a structural view illustrating a cellular phone case having a connecting member, and FIG. 6 is a perspective view illustrating a cellular phone c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 schematic view illustrating a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고안의 휴대폰 케이스는 상면이 개방되어 휴대폰을 넣었다 빼었다 하거나 휴대폰 본체의 배면부에 착탈 가능하게 결합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The cellular phon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has a structure in which a top surface is opened and a cellular phone is inserted or removed or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back side of the cellular phone main body.

하지만, 이러한 사항에 본 고안의 권리범위가 제한될 수 없다. 다시 말해서 휴대폰 케이스는 하면이 개방되어 휴대폰을 넣었다 빼었다 하는 구조, 휴대폰 케이스의 전면이 개방되어 휴대폰을 넣었다 빼었다 하는 구조, 휴대폰 케이스의 측면이 개방되어 휴대폰을 넣었다 빼었다 하는 구조 등으로 될 수 있는 것이다.However, the scope of rights of this invention can not be limited to these matters. In other words, the cell phone case is opened when the cell phone is inserted and removed, the structure of the cell phone case is opened, the cell phone is inserted and removed, the cell phone case is opened, and the cell phone is inserted and removed It is.

본 고안의 휴대폰 케이스는 결합부(700), 커버부(100)와 보조배터리 수납겸용 충전부(200)가 포함된다.The mobile phone case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coupling portion 700, a cover portion 100, and a charging portion 200 serving as a secondary battery storage and receiving portion.

결합부(700)는 휴대폰과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며, 결합부(700)에 의해 커버부(100)는 보호커버(102) 또는 배터리커버(104)가 구비된다.The cover unit 100 is provided with a protective cover 102 or a battery cover 104 by a coupling unit 700. The cover unit 100 is detachably coupled to a mobile phone.

도 1 내지 도 5의 휴대폰 케이스는 결합부(700), 커버부(100)의 보호커버(102), 보조배터리 수납겸용 충전부(200)가 포함된다.1 to 5 includes a coupling portion 700, a protective cover 102 of the cover portion 100, and a charging portion 200 serving as a secondary battery storage and receiving portion.

결합부(700)는 커버부(100)가 휴대폰에 결합되는 영역이며, 휴대폰이 외부 충격으로 보호되기 위하여 휴대폰의 표면과 보호커버(102)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된다.The coupling portion 700 is an area where the cover portion 100 is coupled to the cellular phone, and the surface of the cellular phone and the protection cover 102 are detachably coupled to protect the cellular phone from an external impact.

이는 휴대폰을 감싸 보호하여 외부 충격으로부터 휴대폰을 보호할 수 있는 것이다.This protects the mobile phone from external impact by protecting it by wrapping it.

보호커버(102)는 휴대폰의 배면 전체를 감싸기 위해 휴대폰 측면을 끼워 결합하는 구조 또는 휴대폰 액정을 제외한 전면을 끼워 결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The protective cover 102 may have a structure in which the side of the mobile phone is fitted to the side of the mobile phone to cover the entire back side of the mobile phone, or a structure in which the front side except for the mobile phone liquid crystal is coupled.

보호커버(102)는 휴대폰의 기종에 따라 그 기종에 맞게끔 디자인될 수 있으며, 재질은 플라스틱, 합성수지, 고무, 극세사직물, 폴리우레탄, 가죽 또는 금속일 수 있다.The protective cover 102 may be designed to suit the model of the mobile phone, and the material may be plastic, synthetic resin, rubber, microfiber cloth, polyurethane, leather or metal.

보호커버(102)는 휴대폰의 조작을 위하여 액정 또는 키버튼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이 노출되는 다수 개의 홀(110)이 포함된다.The protective cover 102 includes a plurality of holes 110 through which at least one of the liquid crystal or the key button is exposed for the operation of the cellular phone.

즉 휴대폰은 스피커, 카메라, 마이크, 안테나, 스위치, 연결잭 등 외부의 누름버튼 또는 외부의 연결을 위하여 휴대폰 케이스에 다수 개의 홀(110)이 형성된다. That is, the mobile phone has a plurality of holes 110 formed in the mobile phone case for an external push button or external connection such as a speaker, a camera, a microphone, an antenna, a switch, and a connection jack.

홀(110)의 위치는 휴대폰의 기종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The position of the hole 110 may vary depending on the model of the mobile phone.

보호커버(102)의 내부에는 휴대폰 케이스에 휴대폰을 고정하는 과정에서 발생하는 휴대폰 긁힘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보호패드(미도시)가 포함될 수 있다.A protective pad (not shown) may be included in the protective cover 102 to minimize scratches of the mobile phone during the process of fixing the mobile phone to the mobile phone case.

또한 재질이 딱딱한 보호커버(102)는 휴대폰이 끼움 결합될 때 휴대폰에 손상을 가져올 수 있으므로 끼움결합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으며, 끼움결합부(미도시)는 휘어짐이 가능하도록 실리콘고무재로 형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protective cover 102, which is rigid in material, may cause damage to the mobile phone when the mobile phone is fitted to the mobile phone, so that a fitting portion (not shown) may be formed. Can be formed into ash.

보조배터리 수납겸용 충전부(200)는 보호커버(102)의 일측의 형성되며, 보조배터리를 수납시켜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The auxiliary battery storage and charging unit 20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protective cover 102 and accommodates the auxiliary battery so that it can be charged.

보조배터리 수납겸용 충전부(200)는 휴대폰의 사용 제한을 받지 않는 영역에 형성된다.The auxiliary battery storing and charging unit 200 is formed in an area which is not limited by the use of the mobile phone.

휴대폰의 사용 제한이라 하면 휴대폰의 스피커, 카메라, 마이크, 안테나, 스위치, 연결잭 등 외부의 누름버튼 또는 외부의 연결 또는 휴대폰의 사용영역을 말할 수 있다.The limitation of the use of a mobile phone is an external push button or an external connection such as a speaker, a camera, a microphone, an antenna, a switch, a connection jack of a mobile phone, or a use area of a mobile phone.

본 고안에서의 보조배터리 수납겸용 충전부(200)와 보호커버(102)는 일체로 되어 있으나, 보조배터리 수납겸용 충전부(200)와 보호커버(102)가 분리되어 서로 끼움결합되는 구조로 될 수 있다.The charging unit 200 and the protection cover 102 are integrated but the charging unit 200 and the protection cover 102 ar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are fitted to each other .

충전용 단자(210)는 보조배터리 수납겸용 충전부(200)의 일측에 형성되며, 보조배터리의 충전을 위해 외부 전원과의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charging terminal 21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harging unit 200 serving as the auxiliary battery storage and can facilitate connection with an external power supply for charging the auxiliary battery.

보조배터리 수납겸용 충전부(200)는 보조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휴대폰에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와 동시에 충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auxiliary battery storage and charging unit 20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charge the auxiliary battery at the same time as the battery built in the mobile phone.

보조배터리의 충전용 단자(210) 또는 휴대폰의 내장되어 있는 메인 충전용 단자(130)에 충전기를 접속하여 충전할 수 있다.The charger can be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210 of the auxiliary battery or the main charging terminal 130 incorporated in the cellular phone by charging it.

이는 보조배터리를 충전할 때 보조배터리를 빼서 배터리 충전 거치대에 장착하여 충전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배터리 충전 거치대를 따로 휴대하지 않아도 된다는 편리함이 있다.This makes it convenient to remove the auxiliary battery when charging the auxiliary battery,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mount the auxiliary battery in the battery charging cradle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carry the battery charging cradle separately.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버부(100)는 터치펜을 수납할 수 있는 터치펜 수납부(300)가 더 포함된다.As shown in FIG. 3, the cover unit 100 further includes a touch pen storage unit 300 capable of storing the touch pen.

터치펜 수납부(300)는 사용자가 원하는 디자인에 따라 외주면 또는 내주면의 형상을 다양하게 형성할 수 있다.The touch pen housing part 300 can form various shapes of an outer circumferential surface or an inner circumferential surface according to a design desired by the user.

터치펜 수납부(300)는 터치펜 수납용 몸체(310), 터치펜 수납용 뚜껑(320)을 포함한다.The touch pen housing part 300 includes a touch pen housing body 310 and a touch pen housing lid 320.

터치펜 수납용 뚜껑(300)은 터치펜 수납용 몸체(310)를 개폐할 수 있으며, 터치펜 수납용 뚜껑(320)의 내주면에는 결합돌기(320)가 형성되어 있다.The touch pen storage lid 300 can open and close the body 310 for storing the touch pen, and the engagement protrusion 320 is formed on the inn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ouch pen storage lid 320.

결합돌기(320)는 터치펜 수납용 몸체(310)의 개폐 시 터치펜 수납용 뚜껑(320)이 견고하게 고정되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한다.The engaging protrusion 320 prevents the touch pen receiving lid 320 from being firmly fixed and detached when the touch pen receiving body 310 is opened or closed.

터치펜(330)은 터치펜 수납용 뚜껑(320)에 체결된 후, 터치펜 수납용 몸체(310) 내부에 수용된다.The touch pen 330 is fastened to the touch pen housing lid 320, and then is received in the touch pen housing body 310.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배터리 수납겸용 충전부(200)는 개구 영역에 끼움 또는 슬라이드 결합이 되는 덮개(220, 230)가 포함될 수 있다. As shown in FIG. 4, the auxiliary battery storage and charging unit 200 may include lids 220 and 230 that are fitted into or slidably engaged with the opening area.

이는 보조배터리를 보조배터리 수납겸용 충전부(200)로 수납시키거나 취출시키기 위함이며, 또한 보조배터리가 보조배터리 수납겸용 충전부(200)로부터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This allows the auxiliary battery to be stored in or removed from the auxiliary battery storing and charging unit 200 and is configured such that the auxiliary battery is not easily separated from the auxiliary battery storing and combining unit 200.

도 4의 (a)는 끼움 결합이 되는 덮개(220)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4의 (b)는 슬라이드 결합이 되는 덮개(230)를 도시한 도면이다.4 (a) is a view showing the lid 220 to be engaged, and FIG. 4 (b) is a view showing the lid 230 as a slide coupling.

도 4의 (a)의 보조배터리 수납겸용 충전부(200)는 보조배터리가 보조배터리 수납 겸용 충전부(200)의 내부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끼움 결합이 되는 덮개(220)가 열리고 닫히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4 (a)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lid 220, which is fitted and coupled with the auxiliary battery 200 so that the auxiliary battery can be detachably inserted into the charger 200, opens and closes .

끼움 결합이 되는 덮개(220)는 보조배터리가 내부에 안착되어 빠지지 않도록 상단 끝단에 갈고리 형상의 후크(222)가 형성된다.The lid 220, which is to be engaged with the hook 220, is formed with a hook-shaped hook 222 at the upper end so that the auxiliary battery is seated inside and does not come off.

후크(222)는 보조배터리 수납겸용 충전부(220)의 돌출걸림부(224)에 걸려 결합되어 저절로 열리지 못하도록 고정된다.The hook 222 is engaged with the protruding latching portion 224 of the auxiliary battery receiving and charging unit 220 and is fixed so as not to open automatically.

도 4의 (b)는 보조배터리 수납겸용 충전부(200)는 보조배터리가 보조배터리 수납겸용 충전부(200)의 내부에 착탈이 가능하도록 슬라이드 결합이 되는 덮개(230)가 상측으로 이동하여 개방되며 하측으로 이동하여 닫히도록 하는 구조로 구성되어 있다.4B is a perspective view of the auxiliary battery storage and charging unit 200 in which the auxiliary battery 230 is slidably coupled to the auxiliary battery storage and charging unit 200, So as to be closed.

보조 배터리 수납겸용 충전부(200)는 끝단 양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드 가이드(미도시)가 형성되어 있으며, 슬라이드 가이드(미도시)에 슬라이드 결합이 되는 덮개(230)가 끼워져 있다.The charger unit 200 has a sliding guide (not shown) formed on both sides of its end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lid 230 is slidably engaged with a slide guide (not shown).

슬라이드 가이드(미도시)는 슬라이드 결합이 되는 덮개(230)가 슬라이드 되도록 안내하며, 슬라이드 결합이 되는 덮개(230)가 상측으로 이동하였을 때 보조 배터리 수납겸용 충전부(200)에서 보조 배터리를 제거할 수 있게 된다.The slide guide 230 guides the slide cover 230 to slide and the auxiliary battery 200 can be removed from the auxiliary battery storage and charging unit 200 when the lid 230 is moved upward. .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배터리 또는 휴대폰에 내장되어 있는 메인배터리는 무선 충전기(500)를 이용하여 무선으로 충전될 수 있다.As shown in FIG. 5, the auxiliary battery or the main battery built in the mobile phone can be wirelessly charged using the wireless charger 500.

무선 충전기(500)는 별도의 충전케이블없이 무선 충전기(500)에 휴대폰을 올려놓으면 바로 충전이 되는 구조로 되어 있으며, 이는 무선 충전기(500)에서 전기 에너지를 자기장으로 전환시켜 자기장을 받은 휴대폰이 자기장을 다시 전기에너지로 환원시키는 것이다.The wireless charger 500 has a structure in which the wireless charger 500 is charged immediately when the mobile phone is placed on the wireless charger 500 without a separate charging cable. The wireless charger 500 converts the electric energy into a magnetic field, To electricity again.

도 5의 커버부(100)는 연결부재(400)가 더 구비되며, 연결부재(400)는 고정고리(410), 연결줄(420)이 포함된다.The cover unit 100 of FIG. 5 further includes a connection member 400, and the connection member 400 includes a fixing ring 410 and a connection line 420.

고정고리(410)는 연결부재(400)의 내부에 고정 장착되며, 연결줄(420)은 고정고리(410)에 체결되어 터치펜 수납용 뚜껑(320)과 연결되는 연결 구조를 갖는다.The fixing ring 410 is fixed to the inside of the connecting member 400 and the connecting line 420 is connected to the touch pen receiving lid 320 by being fastened to the fixing ring 410.

터치펜 수납용 뚜껑(320)을 꺼내어 당기면 연결줄(420)은 늘어나게 되며, 다시 당기면 원위치로 되돌아올 수 있다.When the touch pen storage lid 320 is pulled out and pulled out, the connecting line 420 is stretched, and when pulled back, it can be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더욱 자세히는, 연결줄(420)이 늘어났을 때 터치펜(330)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으며, 연결줄(420)을 다시 당기게 되면 원위치로 되돌아와 연결부재(400) 내부에 안착되게 한다.More specifically, the touch pen 330 can be easily used when the connection line 420 is extended. When the connection line 420 is pulled again, the touch pen 330 returns to its original position and is seated in the connection member 400.

연결줄(420)은 터치펜 수납용 뚜껑(320)의 외주면을 관통하여 연결될 수 있다.The connecting line 420 may be connected through the outer peripheral surface of the touch pen receiving lid 320.

연결부재(400)는 탈부착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어 연결부재(400)의 고장 시 연결부재(400)를 쉽게 교체할 수 있다.The connecting member 400 is detachably attached to the connecting member 400 so that the connecting member 400 can be easily replaced when the connecting member 400 fails.

이는 터치펜(330)을 잃어버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연결부재(400)만을 교체하여 터치펜(330)을 오래 쓸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This is to prevent the touch pen 330 from being lost and to allow the touch pen 330 to be used for a long time by replacing only the connecting member 400. [

도 6의 휴대폰 케이스는 결합부(700), 커버부(100)의 배터리커버(104), 보조배터리 수납겸용 충전부(200)가 포함된다.The cellular phone case of Fig. 6 includes a coupling portion 700, a battery cover 104 of the cover portion 100, and a charging portion 200 serving as a secondary battery storage and receiving portion.

결합부(700)는 커버부(100)가 휴대폰에 결합되는 영역이며, 메인배터리가 수용되는 휴대폰 본체(600)와 배터리커버(104)가 착탈 가능하게 덮어 결합된다.The engaging portion 700 is an area where the cover portion 100 is coupled to the cell phone, and the cell phone main body 600 in which the main battery is accommodated and the battery cover 104 are detachably coupled.

배터리커버(104)의 일측에 형성되는 보조배터리 수납겸용 충전부(200)가 포함되며, 이는 배터리커버(104)가 휴대폰 본체(600)의 덮개역할을 하는 동시에 보조배터리를 수납할 수 있어 휴대폰 케이스를 유용하고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The battery cover 104 includes a battery charger 200 and a battery charger 200. The battery charger 100 can be used as a cover of the battery charger main body 600, To be useful and convenient.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는 휴대폰 단말기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어 휴대폰을 외부 충격으로 보호할 수 있는 보호커버(102)가 포함되며,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는 휴대폰 본체(600)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배터리커버(104)가 포함된다.In more detail, the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on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ncludes a protective cover 102 detachably coupled to the mobile phone terminal to protect the mobile phone with an external impact, and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cellular phone case includes a battery cover 104 that is detachably coupled to the cellular phone body 600.

즉, 본 고안의 다른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의 커버부(100)는 휴대폰 본체(600)와 결합되어 하나의 휴대폰이 형성된다.That is, the cover portion 100 of the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combined with the mobile phone body 600 to form one mobile phone.

휴대폰 본체(600)와 배터리커버(100) 사이에는 열림홈(610)이 형성되어 있으며, 휴대폰 본체(600)와 배터리커버(104)가 접하는 내부 영역에는 끼워맞춤에 의해 결합되어 있기 때문에 열림홈(610)에 힘을 가하여 배터리커버(104)를 손쉽게 개폐할 수 있다.An open groove 610 is formed between the mobile phone body 600 and the battery cover 100 and is fitted to the inside area where the mobile phone body 600 and the battery cover 104 are in contact with each other. The battery cover 104 can be easily opened and closed.

이때 배터리커버(104)는 휴대폰 본체(600)와 분리되어 동일 재질로 제조될 수 있으며, 또는 배터리커버(104)와 휴대폰 본체(600)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At this time, the battery cover 104 may be made of the same material separated from the mobile phone body 600, or the battery cover 104 and the mobile phone body 600 may be integrally formed.

배터리커버(104)는 스피커, 플래시 또는 카메라 기능을 사용하기 위한 홀(110)이 더 포함된다.The battery cover 104 further includes a hole 110 for using a speaker, a flash, or a camera function.

보조배터리 수납겸용 충전부(200)는 배터리커버(104)의 일측의 형성되며, 보조배터리를 수납시켜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The battery charger 200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battery cover 104 and accommodates the auxiliary battery so that it can be charged.

보조배터리 수납겸용 충전부(200)와 배터리커버(104)는 일체로 되어 있으나, 보조배터리 수납겸용 충전부(200)와 배터리커버(104)가 분리되어 서로 끼움결합되는 구조로 될 수 있다.Although the charging unit 200 and the battery cover 104 are integrated, the charging unit 200 and the battery cover 104 may be separated from each other and fitted together.

충전용 단자(210)는 보조배터리 수납겸용 충전부(200)의 일측에 형성되며, 보조배터리의 충전을 위해 외부 전원과의 접속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The charging terminal 210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charging unit 200 serving as the auxiliary battery storage and can facilitate connection with an external power supply for charging the auxiliary battery.

보조배터리 수납겸용 충전부(200)는 보조배터리의 충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휴대폰에 내장되어 있는 배터리와 동시에 충전이 가능하도록 구성되어 있다.The auxiliary battery storage and charging unit 200 is configured to be able to charge the auxiliary battery at the same time as the battery built in the mobile phone.

보조배터리의 충전용 단자(210) 또는 휴대폰의 내장되어 있는 메인 충전용 단자(130)에 충전기를 접속하여 충전할 수 있다.The charger can be connected to the charging terminal 210 of the auxiliary battery or the main charging terminal 130 incorporated in the cellular phone by charging it.

이는 보조배터리를 충전할 때 보조배터리를 빼서 배터리 충전 거치대에 장착하여 충전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에 배터리 충전 거치대를 따로 휴대하지 않아도 된다는 편리함이 있다.This makes it convenient to remove the auxiliary battery when charging the auxiliary battery,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mount the auxiliary battery in the battery charging cradle so that it is not necessary to carry the battery charging cradle separately.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는 터치펜 수납부, 다수개의 홀, 보조배터리 덮개, 무선 충전기, 연결부재가 더 포함되며, 이는 위에서 상술한 바와 같다.The mobile phone case according to another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urther includes a touch pen storage portion, a plurality of holes, an auxiliary battery cover, a wireless charger, and a connection member, as described above.

도 7의 휴대폰 케이스는 접이식 휴대폰 케이스로 구성된 것을 도시한 것이다.The cellular phone case of Fig. 7 is composed of a folding cellular phone case.

접이식 휴대폰 케이스의 구성은 상기에서 설명한 본 고안의 일시예에 따른 휴대폰 케이스와 실질적으로 동일하며, 부가적인 구성 요소가 추가된다.The configuration of the folding cellular phone case is substantially the same as that of the cellular phone case according to the temporary example of the present invention described above, and additional components are added.

커버부(100)의 좌측에는 제1 수납면(10)이 형성되며, 우측에는 제2 수납면(20)이 형성된다.A first receiving surface 10 is formed on the left side of the cover part 100 and a second receiving surface 20 is formed on the right side.

제1 수납면(10)에는 보조배터리 수납겸용 충전부(200)가 포함되며, 보조배터리를 수납시켜 충전할 수 있도록 한다.The first storage surface 10 includes a charging unit 200 serving as a secondary battery storing and receiving unit to store and charge the secondary battery.

또한 제1 수납면(10)에는 카드수납부(140)가 포함될 수 있으며, 카드수납부(140)에는 복수의 카드를 수납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first storage surface 10 may include a card storage portion 140, and a plurality of cards may be stored in the card storage portion 140.

제2 수납면(20)에는 휴대폰을 보호하기 위하여 커버부(100)에 끼움결합된다.The second housing face 20 is fitted to the cover portion 100 to protect the cellular phone.

제1 수납면(10)과 제2 수납면(20) 사이에는 관통홀(15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열쇠고리와 같은 액세서리를 관통홀(150)에 걸 수 있어 더욱 다양한 디자인에 편리한 휴대폰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A through hole 150 may be formed between the first housing face 10 and the second housing face 20 and an accessory such as a key ring may be hooked to the through hole 150, Can be provided.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예 또는 변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
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00 : 커버부 102 : 보호커버
104: 배터리커버 110 : 홀
200 : 보조배터리 수납겸용 충전부 210 : 충전용 단자
300 : 터치펜 수납부 310 : 터치펜 수납용 몸체
320 : 터치펜 수납용 뚜껑 330 : 터치펜
400 : 연결부재 500 : 무선 충전기
700 : 결합부
100: Cover part 102: Protective cover
104: battery cover 110: hole
200: Charging part combined with auxiliary battery storage 210: Charging terminal
300: Touch pen storage part 310: Touch pen storage body
320: a lid for storing a touch pen 330: a touch pen
400: connecting member 500: wireless charger
700:

Claims (12)

휴대폰에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결합부;
상기 결합부에 의해 보호커버 또는 배터리커버가 구비되는 커버부;
상기 커버부의 일측에 형성되며, 보조배터리를 수납시켜 충전할 수 있도록 하는 보조배터리 수납겸용 충전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A coupling portion detachably coupled to the mobile phone;
A cover portion having a protective cover or a battery cover by the engaging portion;
And an auxiliary battery storage and charging unit formed on one side of the cover unit to store and charge the auxiliary battery.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상기 휴대폰을 외부 충격으로부터 보호하기 위해 상기 휴대폰의 표면과 상기 보호커버가 착탈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portion
Wherein the surface of the mobile phone and the protective cover are detachably coupled to protect the mobile phone from an external impact.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메인배터리가 수용되는 휴대폰 본체와 상기 배터리커버가 착탈 가능하게 덮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The coupling portion
Wherein the main body of the mobile phone accommodating the main battery and the battery cover are detachably coupled to each other.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터치펜을 수납할 수 있는 터치펜 수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cover portion
Further comprising a touch pen housing part capable of housing the touch pen.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상기 휴대폰의 조작을 위한 액정 또는 키버튼 중 적어도 어느 일측이 노출되는 다수 개의 홀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The cover portion
And a plurality of holes through which at least one of a liquid crystal key or a key button for operating the mobile phone is exposed.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터리 수납겸용 충전부의 일측에는 상기 보조배터리의 충전을 위한 충전용 단자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And a charging terminal for charging the auxiliary battery is formed on one side of the auxiliary battery storing and charging unit.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터리 수납겸용 충전부는 상기 휴대폰에 내장되어 있는 메인배터리와 동시에 충전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6,
Wherein the auxiliary battery storage and charging unit is configured to be able to be charged at the same time as the main battery built in the mobile phone.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터리를 상기 보조배터리 수납겸용 충전부로 수납시키거나 취출시키기 위하여 상기 보조배터리 수납겸용 충전부의 개구 영역에 끼움 또는 슬라이드 결합되는 덮개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Further comprising a cover which is fitted or slidably engaged with an opening area of the auxiliary battery storing and charging part for storing or removing the auxiliary battery with the auxiliary battery storing and charging part.
청구항 2 또는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보조배터리 또는 상기 휴대폰에 내장되어 있는 메인배터리를 충전하기 위한 무선 충전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2 or 3,
Further comprising a wireless charger for charging the auxiliary battery or the main battery built in the mobile phone.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터치펜 수납부는,
터치펜 수납용 몸체; 및
내주면에 결합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터치펜 수납용 몸체를 개폐하는 터치펜 수납용 뚜껑을 포함하며,
상기 터치펜 수납용 뚜껑에 터치펜이 체결된 후, 상기 터치펜 수납용 몸통 내부에 수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4,
The touch pen housing part,
A body for storing a touch pen; And
And a cover for accommodating the touch pen for opening and closing the touch pen housing body,
Wherein the touch pen is received in the interior of the body for accommodating the touch pen after the touch pen is fastened to the touch pen storage lid.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는,
연결부재가 더 구비되며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과 상기 터치펜 수납용 뚜껑은 연결줄에 의해 체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0,
The cover portion
Wherein the connecting member is further provided with one end of the connecting member and the lid for storing the touch pen are fastened by a connecting line.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터치펜 수납용 뚜껑을 당기면 상기 연결줄은 늘어났다가 다시 당기면 원위치로 되돌아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폰 케이스.
The method of claim 11,
The connecting member includes:
Wherein when the lid for storing the touch pen is pulled, the connection line is extended and then returned to its original position when pulled back.
KR2020130003510U 2013-05-06 2013-05-06 Mobile phone case KR200476233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510U KR200476233Y1 (en) 2013-05-06 2013-05-06 Mobile phone cas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510U KR200476233Y1 (en) 2013-05-06 2013-05-06 Mobile phone ca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796U true KR20140005796U (en) 2014-11-17
KR200476233Y1 KR200476233Y1 (en) 2015-02-09

Family

ID=5245424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3510U KR200476233Y1 (en) 2013-05-06 2013-05-06 Mobile phone cas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233Y1 (en)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72701A1 (en) * 2013-11-12 2015-05-21 김영조 High-capacity battery case device having auxiliary battery function for mobile terminal
KR20160063763A (en) * 2014-11-27 2016-06-07 주식회사 엘지화학 Mobile Device with Improved Available Time Thereof
CN107427115A (en) * 2015-03-03 2017-12-01 阿莫绿色技术有限公司 It is built-in with the portable terminal shell of battery
KR20180102901A (en) * 2017-03-08 2018-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wireless charging and payment
KR102432362B1 (en) * 2021-09-03 2022-08-16 주식회사 에스앤에프디지텍 Connector for mobile phone and associated peripheral devices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7874B1 (en) 2017-06-16 2017-08-11 장현진 Wireless charging pouch and wireless charging kit using the same
KR20190108823A (en) 2018-03-15 2019-09-25 주식회사 슈퍼코 Protection case for mobile phone with earphone jack and auxiliary battery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82812A (en) * 2009-01-10 2010-07-20 정승용 Cellular phone shieding case
KR101229948B1 (en) * 2011-01-25 2013-02-05 주식회사 아론 case of mobile
KR20120008840U (en) * 2011-06-16 2012-12-27 주식회사 알.에프.텍 Auxiliary Battery Case for Portable Terminal
KR20130045038A (en) * 2011-10-25 2013-05-03 봉민 Assistance battery case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5072701A1 (en) * 2013-11-12 2015-05-21 김영조 High-capacity battery case device having auxiliary battery function for mobile terminal
KR20160063763A (en) * 2014-11-27 2016-06-07 주식회사 엘지화학 Mobile Device with Improved Available Time Thereof
CN107427115A (en) * 2015-03-03 2017-12-01 阿莫绿色技术有限公司 It is built-in with the portable terminal shell of battery
KR20180102901A (en) * 2017-03-08 2018-09-18 삼성전자주식회사 Apparatus and method for performing wireless charging and payment
US11139672B2 (en) 2017-03-08 2021-10-05 Samsung Electronics Co., Ltd Device and method for performing wireless charging and payment
KR102432362B1 (en) * 2021-09-03 2022-08-16 주식회사 에스앤에프디지텍 Connector for mobile phone and associated peripheral devic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233Y1 (en) 2015-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6233Y1 (en) Mobile phone case
KR100934120B1 (en) Mobile phone case
KR101892546B1 (en) Mobile phone cover
KR101247570B1 (en) Protection Cover for Mobile Phone with a Built-in Auxiliary Battery
KR200483087Y1 (en) a protect case for cellurlar phone within supplementary battery
KR200465348Y1 (en) Mobile phone case
KR200486136Y1 (en) Mobile Phone case Comprising Spare Battery and USB Cable
KR200460930Y1 (en) Protecting cover for a mobile phone
KR20150000251U (en) Notebook type portable phone case with phone holder with linear motion
KR200481425Y1 (en) Cradle of smart-phone
KR200455693Y1 (en) Protecting cover for a mobile phone
KR200469699Y1 (en) cell phones case
KR101792252B1 (en) Case for protecting potable terminal
CN207743719U (en) A kind of mobile phone charging back splint and rechargeable battery
WO2005086364A1 (en) Protection cover of slide type cellular phone
KR200470595Y1 (en) Smartphone Doll Case combines storage space
KR101620745B1 (en) Smartphone Case Comprising A Solar Panel
KR20120031654A (en) Case of portable device having attachable and detachable gender
KR20110109668A (en) A case structure for handphone
KR100774369B1 (en) Case for wireless transmitter-receiver for mobile phone
KR20190078423A (en) Cellular phone case
CN215419686U (en) Handheld portable wireless charging equipment
KR101303345B1 (en) Carrying case for portable device
KR20170001693U (en) Multi-purpose case for a cellular phone
JP2006223086A (en) Charger for portable telephon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