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756A - 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 휴대 단말기의 원격 통신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 휴대 단말기의 원격 통신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5756A
KR20140005756A KR1020130003020A KR20130003020A KR20140005756A KR 20140005756 A KR20140005756 A KR 20140005756A KR 1020130003020 A KR1020130003020 A KR 1020130003020A KR 20130003020 A KR20130003020 A KR 20130003020A KR 20140005756 A KR20140005756 A KR 20140005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and
mobile terminal
portable terminal
controlled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0302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아시프 샤이크
니테쉬 푸시팍 샤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EP20130175342 priority Critical patent/EP2683181A1/en
Priority to CN201310283938.4A priority patent/CN103533520B/zh
Priority to US13/936,498 priority patent/US9119043B2/en
Publication of KR20140005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7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QSELECTING
    • H04Q9/00Arrangements in telecontrol or telemetry systems for selectively calling a substation from a main station, in which substation desired apparatus is selected for applying a control signal thereto or for obtaining measured values therefrom
    • H04Q9/04Arrangements for synchronous oper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12/00Security arrangements; Authentication; Protecting privacy or anonymity
    • H04W12/06Authent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 휴대 단말기의 원격 통신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에 관한 것으로,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로부터 AT 커맨드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SM)를 수신하며, 상기 SM이 원격 제어 동작을 위한 것이라고 검출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될 적어도 하나의 태스크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AT 커맨드를 분석 및 파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태스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 휴대 단말기의 원격 통신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MOTE COMMUNICATION OF A PORTABLE TERMINAL IN A COMMUNICATION NETWORK ENVIRONMENT}
본 발명은 무선 통신 분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 휴대 단말기의 원격 통신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계속 진화함에 따라 무선 통신에 대한 설계자들은 최종 사용자들뿐 아니라 네트워크 오퍼레이터들에 대한 많은 기능들을 계속 개발하고 있다. 무선 전화 시스템의 영역에 있어서, 셀룰러 기반 전화 시스템이 최근 몇 년에 있어서 굉장히 진보하였다. 인류 시대에서 진정한 발명품인 휴대 단말기는 오늘날에도 세계의 어느 장소에 위치하는 사람들을 대략 수초 내에 연결시키거나 최신 기술로 업데이트된 정보를 패치하는 등의 중요한 역할을 한다.
무선 통신 시스템은 예를 들면, 제3세대 파트너쉽 프로젝트(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이하 '3GPP/3GPP2'라 한다) 표준 27.007 및 27.005을 따를 수 있다. 이러한 3GPP/3GPP2는 조직적 파트너들로서 공지된 원격통신 협회들의 그룹들 간의 협력체이다. 3GPP의 초기 범위는 국제 원격통신 협회(International Telecommunication Union, 이하 'ITU'라 한다)의 국제 모바일 원격통신-200 프로젝트의 범위 내에서 진화된 모바일 통신용 글로벌 시스템(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이하 'GSM'이라 한다) 규격들에 기초하여 전세계적으로 적용가능한 제3세대 모바일 전화 시스템 규격을 만드는 것이었다. 사용자가 컴퓨터를 사용하여 모바일 전화를 제어하길 원하면, AT 커맨드들이 제어 동작을 수행하도록 사용되는 3GPP/3GPP2 표준 27.007 및 27.005이 이용된다.
개인용 컴퓨터의 모뎀 디바이스에서 사용되는 AT 커맨드는 데이터 단말 장비(data terminal equipment, 이하 'DTE'라 한다)와 데이터 회로 종단 장비(Data circuit terminating equipment, 이하 'DCE'라 한다) 간의 통신 레이트 및 통신 파라미터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그에 응답한다. AT 커맨드는 AT 커맨드의 처음 2개 문자들이 `AT` 또는 `at`로 제한된다. `AT`는 일반적으로 휴대 단말기의 관심을 획득하는 문자들을 지칭한다. 컴퓨팅 디바이스는 SMS를 전송 및 수신하기 위해 신호들을 통신 라인과 통신하는 모뎀 섹션, 및 그 모뎀 섹션에 대한 디지털 커맨드 신호(Digital command signal, 이하 'DCS'라 한다)의 수신을 요청하는 DCS 수신 커맨드와 같은 AT 커맨드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싱 유닛을 포함한다.
휴대 단말기는, 시작 및 중지 비동기식 AT 커맨드들을 수신하고 수신된 AT 커맨드에 따라 통신을 진행하는 유니버설 동기식 수신기-송신기(Universal Asynchronous Receiver-Transmitter, 이하 'UART'라 한다)로 지칭되는 회로를 포함한다. 따라서, DTE와 DCE 간의 통신 레이트 및 통신 파라미터를 인식하고 그에 응답하기 위한 보드 레이트(baud rate)의 주파수를 설정하고, 타측으로부터의 수신 레이트를 검출하기 위해, 시작 및 중지 비트들의 시간 및 공간을 측정하는 자동 인식 방법이 필요하다. 또한, 외부 DTE 디바이스(예: PC)의 직렬 통신 유닛은 직렬 채널에 의해 휴대 단말기의 직렬 인터페이스와 통신할 수 있다. 휴대 단말기는, 휴대 단말기의 기저대역 칩에 집적되고 휴대 단말기의 직렬 인터페이스에 접속되는 AT 커맨드 모듈을 포함한다.
이러한 접속은 AT 커맨드로 하여금 호출 서비스들, 단문 문자 메시지(Short Message Service , 이하 'SMS'라 한다), 보조 서비스들 및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데이터 서비스들과 같은 다양한 동작들, 및 폰북을 동작시키는 것, IMEI를 획득하는 것 등과 같이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는 다양한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게 한다.
통신 방식으로서, 컴퓨터는 직렬 인터페이스에 의해 AT 커맨드를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고 AT 커맨드를 통해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여, GSM/UMTS 상호작용을 실현한다. 사용자는 기능 구성을 동작시키거나 제어하고, AT 커맨드를 통해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를 호출할 수 있다. AT 커맨드는 호출 서비스들, SMS, 보조 서비스들 및 GPRS 데이터 서비스들과 같은 GSM 관련 서비스들을 제어할 뿐아니라, 폰북을 동작시키는 것, 단말기 식별 번호(International Mobile Equipment Identity, 이하 'IMEI'라 한다)를 획득하는 것과 같은 휴대 단말기의 기능들을 제어한다. 따라서, 임의의 사용자가 키패드와 같은 사용자 인터페이스 디바이스에 액세스하지 않고도 휴대 단말기의 직접 제어를 취하는 것이 용이하다.
상기 통신은 AT 커맨드를 사용한 DCE 및 DTE 통신에 한정되고 유선 환경에 제한된다. 또한, 기존의 방법들 중 일부는, 휴대 단말기를 무선으로 제어하고 동작시키기 위해 원격 휴대 단말기의 소유자에 의해 미리 정의된 일부 특정 커맨드들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휴대 단말기를 제어한다.
기존의 방법들은, 원격 무선 장치를 제어하고 동작시키기 위해 컴퓨터를 이용하여 또는 미리 정의된 커맨드들을 이용함으로써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였다. 그러므로, 기존의 AT 커맨드들을 채용하여 무선 라디오 액세스 통신에 의해 원격으로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고 동작시키기 위한 방안의 필요성이 대두되었다.
본 발명은 미리 정의된 3GPP/3GPP2 표준(27.007 및 27.005)에 따른 모바일 커맨드들(AT 커맨드들)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휴대 단말기들 간에 통신을 가능케 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그리고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대한 AT 커맨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AT 커맨드를 SMS를 통해 원격으로 조종할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 위치에서 휴대 단말기에 액세스하고 미인증된 액세스를 제한하기 위한 보안성을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를 제안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방법은, 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 휴대 단말기의 원격 통신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로부터 AT 커맨드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SM)를 수신하며, 상기 SM이 원격 제어 동작을 위한 것이라고 검출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될 적어도 하나의 태스크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AT 커맨드를 분석 및 파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태스크를 실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장치는, 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 휴대 단말기의 원격 통신을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로부터 AT 커맨드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SM)를 수신하며, 상기 SM이 원격 제어 동작을 위한 것이라고 검출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될 적어도 하나의 태스크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AT 커맨드를 분석 및 파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태스크를 실행하는 제어 엔티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미리 정의된 3GPP/3GPP2 표준(27.007 및 27.005)에 따른 모바일 커맨드들(AT 커맨드들)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휴대 단말기들 간에 통신을 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그리고 본 발명은 휴대 단말기에 대한 AT 커맨드를 생성하고 생성된 AT 커맨드를 SMS를 통해 원격으로 조종할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본 발명은 원격 위치에서 휴대 단말기에 액세스하고 미인증된 액세스를 제한하기 위한 보안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가진다.
그 전반에 걸쳐 유사한 도면 부호들이 여러 도면들에서의 상응하는 부분들을 지시하고 있는 첨부 도면들에 본 발명이 도시되어 있다. 첨부 도면들을 참조로 한 이후의 설명으로부터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보다 잘 이해하게 될 것이다. 첨부 도면들 중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휴대 단말기들의 블록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에서 AT 커맨드 단문 메시지를 프로세싱하는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에서 AT 커맨드 단문 메시지를 착신하기 위해 설정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AT 커맨드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고 제어된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해 AT 커맨드 라이브러리를 편집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에 포함되는 패스워드와 함께 AT 커맨드를 전달하는 콜을 생성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원격으로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과 그 다양한 특징들 및 바람직한 명세들을 첨부 도면들에 도시되고 이후의 설명에 상세히 기술된 비한정적 실시 예들을 참조하여 더욱 충분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불필요하게 모호하게 만들지 않도록 공지의 구성 요소들 및 처리 기법들의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실시할 수 있는 방안들의 이해를 용이하게 하고 나아가 당업자들로 하여금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실시할 수 있게 하려고 의도된 것에 지나지 않는다. 따라서 그 예들을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하여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은 임의의 휴대 단말기에 대한 다기능 제어 어플리케이션에서 사용할 수 있는 AT 커맨드들을 이용하여 원격으로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제공한다. 이러한 방법은 3GPP/3GPP2(27.007 및 27.005) 표준에서 논의된 AT 커맨드들을 이용한다. 그리고 이러한 방법은, 제어 어플리케이션의 목적을 제공하도록 AT 커맨드를 한정하는 기존의 기능을 재이용하기 위해 내부적으로 표준 AT 커맨드로 용이하게 맵핑 또는 변환될 수도 있는 일반적인 커맨드들을 이용한다. 상기 표준은 AT 파서(parser)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모든 AT 커맨드들에 대한 기준을 정의하고 있기 때문에, 상기 방법은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이러한 AT 커맨드들을 생성 및 전송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로부터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위치에 존재하는 제어된 휴대 단말기에 대한 원격 어플리케이션 태스크(task)를 수행한다. AT 커맨드들을 이용하는 다른 목적은, 새로운 기능들을 적용하는 오버헤드(overhead)를 갖는 대신에 기존의 AT 커맨드 라이브러리 및 그 내장 기능들을 재이용함으로써 임의의 어플리케이션 목적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제부터 도 1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설명하고자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휴대 단말기들의 블록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안된 방법은 무선 환경에서 동작하는 원격 휴대 단말기들과 일 휴대 단말기 사이에서 확장될 수 있는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한다.
일 실시 예에서, 휴대 단말기는 모바일 전화, PDA, 태블릿 등 될 수 있다.
AT 커맨드를 전송하는 휴대 단말기는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로 지칭되고, AT 커맨드를 수신하는 휴대 단말기는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로 지칭된다.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는 유저 인터페이스(User Interface, 이하 'UI'라 한다) 모듈(103), AT 커맨드 라이브러리 모듈(104), 암호화 모듈(105) 및 단문 메시지(Short Message, 이하 'SM'이라 한다) 모듈(106)을 포함한다. UI 모듈(103)은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의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를 제공한다.
AT 커맨드 라이브러리 모듈(104)은, 제어된 휴대 단말기(102)를 제어 및 동작하도록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가 AT 커맨드 라이브러리로부터 임의의 AT 커맨드를 선택하는 것을 도와주는 다중의 AT 커맨드들을 저장한다.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 내의 암호화 모듈(105)은 AT 커맨드를 제어된 휴대 단말기(102)로 전송하기 위한 보안성을 제공한다. 암호화 모듈(105)은 휴대 단말기들 간의 보안된 통신을 제공하기 위해 발신되는 AT 커맨드를 키(key)로 암호화한다. SM 모듈(106)은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가 단문 메시지 서비스(SMS)를 통해 AT 커맨드를 제어된 휴대 단말기(102)로 전송할 수 있도록 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UI 모듈(103)은 AT 커맨드들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하지 않는다. 대신에, AT 커맨드는, CALL FWD, CALL END 등과 같이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는 영문 신택스(syntax)인 라이브러리 키워드들의 형태로 사용자에게 투명하게 디스플레이된다.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는 수신하는 제어된 휴대 단말기(102)로부터의 다수 타입들의 응답들을 이끌어 낼 수 있도록, AT 커맨드들의 형태로 하나 이상의 제어 신호들을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로 송신한다.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는 AT 커맨드들을 무선 라디오 액세스 통신을 통해 제어된 휴대 단말기(102)로 전송한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링크 회로는, UMTS 기술과 링크된 SMS 송신과 같은 디지털 신호들을 송신하기 위한 표준화된 특별한 패킷들을 기지는 임의의 무선 라디오 액세스 통신으로 유리하게 구현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무선 라디오 액세스 기술은 GSM, GPRS, LTE, CDMA 등일 수도 있다.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는 SM 프로세싱 모듈(107), 제어 엔티티(108) 및 AT 커맨드 해석기 모듈(109)을 포함한다.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로부터 SM을 수신하면,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는 SM 프로세싱 모듈(107)을 이용하여 SM을 프로세싱한다. SM 프로세싱 모듈(107)과 AT 커맨드 해석기 모듈(109)에 연결되는 제어 엔티티(108)는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로부터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로 액세스할 경우에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의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해 사용자 구성 보안 키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모듈을 포함한다. 그리고 제어 엔티티(108)는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로부터 수신된 SMS를 분석하고, SM을 점유하는 사용자 키워드 정보를 체크한다. 사용자 키워드 정보는, SM이 제어 SM인지 또는 통상의 사용자 SM인지를 결정하기 위해 미리 결정된 'n' 바이트들의 ASCII 문자들이다.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는 SMS를 통해 AT 커맨드를 수신하고, AT 커맨드 해석기 모듈(109)의 도움으로 과제(job)를 수행한다. AT 커맨드 해석기 모듈(109)은 AT 파서를 이용하여 SM 내부에 임베딩된 AT 커맨드의 실행의 응답을 제공한다. 콜을 발생하거나 콜을 수신하는 대신에, 이러한 응답은 이동 전화에 관한 임의의 정보를 수신하기 위한 또는 이동 전화를 제어하기 위한 휴대 단말기 내의 능동 회로에 대한 이동 전화의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는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와 같이 SM 프로세싱 모듈과 제어 엔티티와 AT 커맨드 해석기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는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와 같이, UI 모듈과 암호화 모듈과 AT 커맨드 라이브러리 모듈과 SM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에서 AT 커맨드 단문 메시지를 프로세싱하는 흐름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흐름도(200)는 원격으로 제어할 수 있는 위치에 존재하는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에서 수신된 이후 프로세싱되는 제어 데이터 및 제어 정보를 포함하는 SM의 컨텐츠를 확인하는 방법을 설명한다.
201 단계에서,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는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로부터 SMS를 통해 SM을 수신한다. 그리고 202 단계에서, SM을 수신할 시,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는 SM에 임의의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는지를 체크한다. 만약에, 임의의 키워드가 포함되어 있는 경우,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는 204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203 단계로 진행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SMS를 통해 전송된 제어 정보의 일부이며 사용자 정의 키워드 식별자인 키워드 `TO_MY_MOBILE`를 포함하는 SM 텍스트로 시작하길 선호할 수 있다. 사용자 정의 키워드는 일반적인 SM와 AT 커맨드가 임베딩된 SM을 구별하는데 사용된다.
만약에, 203 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는 수신된 SM을 일반적인 SM으로 결정한다. 이와 달리, 204 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는 수신된SM으로부터 헤더 및 AT 커맨드를 추출한다. 수신된 SM이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에 의해 AT 커맨드를 포함하는 SM으로 확인되면, SM에 포함된 제어 정보의 나머지 부분을 확인하기 위해 더 프로세싱된다. 여기서, SM을 전송한 전송자의 진정성은 수신된 SM에 포함된 패스워드와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의 메모리에 저장된 패스워드를 비교함으로써 확인된다.
그리고 205 단계에서,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는 SM에 AT 커맨드와 관련된 패스워드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SM에 패스워드가 포함되어 있지 않은 경우,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는 209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206 단계로 진행한다.
만약에, 206 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는 SM에 포함된 패스워드와 메모리에 저장된 패스워드를 비교한다. 비교 결과, SM에 포함된 패스워드와 메모리에 저장된 패스워드가 다른 경우,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는 209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207 단계로 진행한다. 만약에, 207 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는 SM에 포함된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의 사용자를 인증한다.
만약에, 209 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는 SM을 전송한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의 번호가 메모리부에 저장된 보안 예외에 해당하는 보안 예외 번호와 동일한지 여부를 확인한다. 만약에,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의 번호가 보안 예외 번호와 동일한 경우,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는 210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SM 처리 동작을 종료한다.
만약에, 210 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는 AT 커맨드 파서를 이용하여 AT 커맨드에 포함된 제어 정보를 기반으로 새로운 태스크를 생성한다. 그리고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는 AT 커맨드가 휴대 단말기와 관련된 AT 커맨드인지 네트워크와 관련된 AT 커맨드인지를 확인한다. 확인 결과, AT 커맨드가 네트워크와 관련된 AT 커맨드인 경우, 212 단계로 진행하고, 그렇지 않으면, 211 단계로 진행한다.
만약에, 211 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는 생성된 태스크가 휴대 단말기와 내부적으로 상호작용하도록 생성된 태스크를 프로세싱한다. 만약에, 212 단계로 진행하면,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는 생성된 태스크가 네트워크와 상호작용하도록 생성된 태스크를 프로세싱한다. 예를 들면,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1)는 포워딩되는 번호를 가지는 보조 서비스(SS) 스트링을 네트워크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213 단계에서,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는 SM 처리에 대한 성공 또는 실패 결과를 SMS를 통해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로 전송한다.
흐름도(200)의 다양한 동작들은 제시된 순서로, 상이한 순서로 또는 동시에 수행될 수도 있다. 일부 실시 예에 있어서, 흐름도(200)에 포함된된 일부 동작은 생략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 있어서,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는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가 될 수 있고, AT 커맨드가 임베딩된 SM을 임의의 휴대 단말기로부터 수신하여 제어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있어서,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는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가 될 수 있고, AT 커맨드가 임베딩된 SM을 임의의 휴대 단말기로 전송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에서 AT 커맨드 단문 메시지를 착신하기 위한 설정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AT 커맨드를 포함하는 SM에 대한 설정(이하 'AT 커맨드 SM 설정'이라 한다)(301)은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로부터 AT 커맨드를 수신 및 인증하기 위한 설정이다. AT 커맨드 SM 설정은 초기에는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다. 사용자 정의 키워드(302)는 착신된 SM이 AT 커맨드 SM이라는 것을 식별하기 위해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에 의해 사용되는 필드를 지칭한다. 보안 키(303)는 인증을 위해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에서 사용자에 의해 구성되는 패스워드이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보안 키를 XXXXX로 구성하고, 사용자가 자신의 집에 두고 온 사용자의 휴대 단말기에 액세스하기 위해 다른 휴대 단말기로부터 AT 커맨드 SM을 전송하기를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인증을 위해 제어된 휴대 단말기(102)로 동일한 보안 키 XXXXX를 제공해야 한다. 보안 키 변경(304)은 임의의 시점에서 사용자에 의해 변경되는 패스워드이다. 휴대 단말기에 AT 커맨드 설정을 구성한 이후, 사용자는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에 구성된 AT 커맨드 설정을 저장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휴대 단말기에 예외 번호(305)를 설정하여 보안 키의 체크를 회피할 수도 있는, 구성 설정에 있어서 하나의 옵션(option)이 존재한다. 예를 들면, 예외 번호(305)는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이러한 예외 번호는 신뢰있는 전화번호일 수도 있고, 사용자가 이러한 예외 번호를 보유하는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로부터 AT 커맨드를 전송하는 경우,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는 수신된 SM에 대한 보안성을 체크하지 않을 것이다.
예를 들어, 사용자는 보안 예외 번호를 XXXX로 자신의 휴대 단말기를 설정할 수 있다. 사용자가 자신의 휴대 단말기를 원격으로 제어하기를 원하는 경우, 사용자는 자신의 휴대 단말기에 설정한 보안 예외 번호를 보유하는 휴대 단말기를 이용하여 AT 커맨드 SM을 전송한다. 사용자가 보안 예외 번호 XXXX가 부여된 휴대 단말기를 통해 AT 커맨드 SM을 전송할 경우, 설정된 보안 예외 번호 XXXX가 수신된 휴대 단말기의 번호와 일치하기 때문에,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는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에 대한 보안 키를 확인하지 않는다. 이러한 보안 예외 번호는 인증을 위해 SM에 보안 정보(패스위드)를 포함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은 임의의 신뢰성 있는 휴대 단말기로부터 AT 커맨드 SM을 전송하도록 한다.
예를 들면,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는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로 AT 커맨드 SM을 전송한다. 이 경우,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는 오직 AT 커맨드 SM을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로 전송하도록 설정하고, 다른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로부터 임의의 AT 커맨드 SM을 수신할 경우에 어떠한 AT 커맨드도 실행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에는 유효기간(306)이 설정된다. 유효기간(306)은 AT 커맨드 SM을 수신함에 있어서 지연을 허용하도록 사용자에 의해 설정된 시간이다.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의 제어 엔티티(108)는 AT 커맨드 SM이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에 의해 AT 커맨드 SM이 송신된 시간으로부터 설정된 유효기간 내에서 수신되었는지를 확인한다. 이러한 지연은 네트워크 또는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유효기간(306)은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의 메모리에 저장된다.
예를 들면, 네트워크에서의 일부 에러로 인해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는 동일한 메시지를 1회 이상 전송하고,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는 2회 이상 전송된 동일한 AT 커맨드 SM을 중복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로 SM을 전송하는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는 네트워크 SMSC(단문 메시지 서비스 센터)에서의 동일 메시지 발생의 임의의 중복에 대한 식별 및 제거를 위한 TP-RD(Transfer Protocol-reject duplicate) 정보를 포함한다.
예를 들면,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의 제어 엔티티(108)는 착신된 AT 커맨드 SM이 <키워드><헤더><컨텐츠>와 같은 포맷을 가지는지를 확인한다. <키워드> 필드는 착신된 SM이 제어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사용되는 AT 커맨드 SM이라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에 의해 사용된다.
<헤더>는 착신된 SM의 신뢰성을 확인하기 위해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에 의해 사용되는 필드이다. <헤더>는 SM을 전송할 시에 암호화되고 SM에 포함된다. 보안 키(303)(패스워드)를 포함하는 헤더는 SMS를 통해 SM을 전송할 때에만 사용자에게 프롬프트된다. 이것은, SM을 처음 전송한 이후 임시 보관함으로부터 동일한 SM을 재이용할 경우의 보안을 위한 것이다. <컨텐츠> 필드는 AT 커맨드를 포함하고 원격으로 모바일 어플리케이션을 제어하기 위해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에 의해 사용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AT 커맨드 단문 메시지를 생성하고 제어된 휴대 단말기로 전송하기 위해 AT 커맨드 라이브러리를 편집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에는 사용자가 AT 커맨드를 선택하고 선택된 AT 커맨드를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로 전송하는 AT 커맨드 라이브러리를 포함하는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를 도시한다. AT 커맨드 SM 생성 메뉴(401)는 AT 커맨드를 포함하는 SM을 생성하는 메뉴이다. 그리고 사용자는 특정 AT 커맨드 SM이 전송되어야 하는 번호를 입력할 수도 있다.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는 AT 라이브러리로부터 키워드(402)와 복수의 AT 커맨드 옵션들을 즉시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면,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는 사용자로부터 키워드 `TO_MY_MOBILE`(402)를 입력받고, AT 커맨드 라이브러리는 복수의 AT 커맨드 옵션들을 사용자에게 디스플레이한다. AT 커맨드 라이브러리는 임의의 사람에 의한 인증되지 않은 이용으로부터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를 록킹(lock)하기 위한 록 활성화(activate lock) 옵션(403)을 디스플레이한다.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해 록 활성화 옵션(403)이 선택되면,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는 SMS를 통해 록 활성화 옵션(403)에 대응되는 AT 커맨드를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로 전송할 것이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에 의해 콜 포워딩 옵션(404)이 선택되면,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는 SMS를 통해 콜 포워딩 옵션(404)에 대응되는 AT 커맨드를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로 전송할 것이다. 콜 포워딩 옵션에 의해, 사용자는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를 포함한 임의의 다른 휴대 단말기로 콜을 포워딩할 수도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에 의해 AT 커맨드 라이브러리에 포함된 복수의 옵션들 중에서 하나가 선택되면,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는 사용자에 의해 선택된 옵션에 대응된는 AT 커맨드를 검출하고, 사용자에 의해 AT 커맨드의 전송이 요청되는 경우, SMS를 통해 검출된 AT 커맨드를 포함하는 SM을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로 전송한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가 새로운 휴대 단말기로 콜을 포워딩하기를 원하는 경우,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는 사용자에 의해 콜 포워딩 옵션(404)이 선택되면, 콜이 포워딩되어야 하는 새로운 휴대 단말기의 번호를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로 전송한다. 그리고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는 콜 포워딩 옵션(404)에 대응되는 AT 커맨드를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로 전송할 것이다. 그리고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는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에 의해 전송된 새로운 휴대 단말기의 번호로 콜을 포워딩할 수 있다. 그리고 새로운 휴대 단말기는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로부터 포워딩되는 콜을 수신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는 사용자로부터 AT 커맨드 라이브러리에 포함된 록 비활성화 옵션(405)을 선택받을 수 있다. 여기서, 록 비활성화 옵션(405)은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에서 활성화되었던 록을 비활성화하는 옵션이다.
또 다른 예로,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는 사용자로부터 폰북(Phone Book, 이하 'PB'라 한다) 번호 옵션(406)을 선택받을 수 있다. 여기서, 폰북 번호 옵션(406)은 원격 모바일 폰북(PB) 내의 특정 번호를 원격으로 콜하는 옵션이다.
또 다른 예로,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는 사용자로부터 MCALL 번호 옵션(407)을 선택받을 수 있다. 여기서, MCALL 번호 옵션(407)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력된 휴대 단말기의 번호를 원격으로 콜하는 옵션이다.
또 다른 예로,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는 사용자로부터 쿼리 입력 옵션(408)을 선택받을 수 있다. 사용자가 제어받는 휴대 단말기(102)를 통해 인터넷에 액세스하길 원하는 경우, 사용자 인증에 관련된 모든 쿼리가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로 재지향되어야 하므로,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는 사용자로부터 쿼리를 입력받는다.
또 다른 예로,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는 사용자로부터 쿼리 SMS 옵션(409)를 선택받을 수 있다. 사용자가 임의의 인터넷 계정에 등록하면, 인증을 위해 SMS를 통해 확인을 받을 수도 있다.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로부터 사용자가 사용하고 있는 현재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로 상기 확인이 전송되길 원하는 경우, 쿼리 SMS 옵션(409)을 선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사용자는 컴퓨터를 이용하여 인터넷 뱅킹 거래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를 인증하기 위해, 은행은 사용자가 처음에 등록하였던 휴대 단말기의 번호로 SM을 전송할 것이다. 반면, 사용자는 그 집에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를 두고 왔을 수도 있다. 하지만, 인터넷 뱅킹 거래를 진행하기 위해서는, 은행으로부터 수신된 SM에 포함된 보안 키가 필요하다. 이때, 사용자로부터 쿼리 SMS 옵션(409)이 선택되면,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는 인터넷 뱅킹 거래를 위해 인증 정보(보안 키)를 포함하는 SMS를 수신하는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로 쿼리 SMS 옵션(409)에 대응되는 AT 커맨드를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AT 커맨드를 수신하면,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는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로 인터넷 뱅킹 인증을 위한 인증 정보를 포함하는 SMS를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단문 메시지에 포함되는 패스워드와 함께 AT 커맨드를 전달하는 콜을 생성하는 화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사용자에 의해 AT 커맨드 라이브러리 중에서 콜 포워딩 옵션이 선택되는 경우,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는 미리 지정된 복수의 AT 커맨드들 중에서 콜 포워딩 옵션에 대응되는 해당 AT 커맨드를 선택한다. 그리고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는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에 설정된 패스워드(303)(보안 키)를 입력하도록 사용자를 유도한다. 사용자에 의해 패스워드(303)가 입력되면,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101)는 SMS를 통해 콜 포워딩을 위한 AT 커맨드를 포함하는 SM을 제어되는 휴대 단말기(102)로 전송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휴대 단말기에서 원격으로 휴대 단말기를 제어하는 흐름도이다.
제1휴대 단말기(601)의 사용자가 제3휴대 단말기(603)와 통신하길 원할 경우, 더 낮은 콜 요금에 가입된 원격으로 제어 가능한 제2휴대 단말기(602)를 이용한다. 604 단계에서, 제1휴대 단말기(601)는 제2휴대 단말기(602)로 SMS를 통해 콜 포워딩 옵션에 대응되는 AT 커맨드를 포함하는 SM을 전송한다. 605 단계에서, 제2휴대 단말기(602)는 SM을 수신하고, 수신된 SM에 포함된 패스워드를 이용하여 제1휴대 단말기(601)의 사용자를 인증한다. 그리고, 제2휴대 단말기(602)는 제1휴대 단말기(601)와 콜을 확립한다. 이러한 확립에 의해, 제1휴대 단말기(601)와 제2휴대 단말기(602) 간에 콜이 접속된다.
그리고 606 단계에서, 제2휴대 단말기(602)는 제1휴대 단말기(601)와의 콜을 유지한다. 그리고 607 단계에서, 제2휴대 단말기(602)는 제1휴대 단말기(601)와 제2휴대 단말기(602) 간의 콜을 유지하면서, 제3휴대 단말기(603)와 콜을 확립한다. 이러한 확립에 의해, 제2휴대 단말기(602)와 제3휴대 단말기(603) 간에 콜이 접속된다. 605 내지 607 단계를 통해 제2휴대 단말기(602)는 두 개의 모바일 발신 콜들을 개시하고, 제1휴대 단말기(601)를 제3휴대 단말기(603)와 접속시킨다.
그리고 608 단계에서, 제2휴대 단말기(602)는 제1휴대 단말기(601)와 제2휴대 단말기(602)와, 제2휴대 단말기(602)와 제3휴대 단말기(603)간의 명시적 콜 전달(Explicit Call Transfer, 이하 'ECT'라 한다)을 개시한다. 여기서, 명시적 콜 전달은, 특정 휴대 단말기가 콜을 유지하면서 액티브 콜과 접속한 후, 그 콜에서 자신을 접속 해제하는 멀티파티 콜의 기능 중 하나이다. ECT 이후, 제1휴대 단말기(601)는 제1휴대 단말기(601)와 제3휴대 단말기(603) 간의 콜을 통해 제3휴대 단말기(603)와 직접 접속하고, 이는 낮은 콜 요금을 가지는 제2휴대 단말기(602)를 원격으로 이용함으로써 제3휴대 단말기(603)를 호출하는 목적을 완료한다.
예를 들면, 제1휴대 단말기(601)와 원격으로 제어 가능한 제2휴대 단말기(602)와 제3휴대 단말기(603)는 서로 다른 위치 또는 서로 다른 국가에 위치할 수 있다. 이에 의해, 국가(X)에서의 제1휴대 단말기(601)의 사용자는 국가(Z)에서의 제2휴대 단말기(602)를 이용하여 국가(Y)에서의 제3휴대 단말기(603)를 호출하길 원할 수 있다. 그리고 제2휴대 단말기(603)와 연관된 콜 요금이 표준 또는 국제 콜에 대해 저렴할 수 있다. 이때, 제1휴대 단말기(601)의 사용자는, 표준 또는 국제 콜보다 저렴한 콜 요금을 가지는 제2휴대 단말기(602)를 이용하여 제3휴대 단말기(603)를 콜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은, 적어도 하나의 하드웨어 장치상에서 구동하고 또한 네트워크 관리 기능들을 수행하여 엘리먼트들을 제어하는 적어도 하나의 소프트웨어 프로그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엘리먼트들은, 하드웨어 장치 또는 하드웨어 장치와 소프트웨어 모듈의 조합 중 적어도 하나일 수 있는 블록들을 포함한다.
전술한 특정 실시 예들의 설명은 다른 사람들이 현재의 지식을 적용하여 일반적 사상으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그러한 특정 실시 예들을 다양한 적용들을 위해 손쉽게 변경 및/또는 개조할 수 있을 정도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의 일반적 특성을 매우 충분히 계시하고 있고, 그에 따라 그러한 변경들 및 개조들을 개시된 실시 예들의 균등물의 의미 및 범위 내에 포함하여야 하고 또한 포함하고자 한다. 본 명세서에 채용된 표현들 및 용어들은 설명을 위한 것이지 한정을 위한 것이 아님을 알아야 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바람직한 실시 예들의 측면에서 설명하였으나,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이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 예들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변경되어 실시될 수 있는 것임을 인지할 것이다.
101: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 102: 제어된 휴대 단말기
103: UI 인터페이스 모듈 104: AT 커맨드 라이브러리 모듈
105: 암호화 모듈 106: SM 모듈
107: SM 프로세싱 모듈 108: 제어 엔티티
109: AT 커맨드 해석기 모듈 301: AT 커맨드 SM 설정들
302: 사용자 정의식 키워드 303: 보안 키
304: 보안 키 변경 305: 보안 예외 번호
306: 유효기간

Claims (18)

  1. 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 휴대 단말기의 원격 통신을 제공하는 방법에 있어서,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로부터 AT 커맨드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SM)를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SM이 원격 제어 동작을 위한 것이라고 검출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될 적어도 하나의 태스크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AT 커맨드를 분석 및 파싱하는 단계와,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태스크를 실행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M은, 원격 제어 동작을 위한 메시지라는 것을 나타내기 위 사용자 사전 정의 키워드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키워드 식별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태스크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M은, 단문 문자 서비스(SMS)를 통해 상기 휴대 단말기로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AT 커맨드는, 상기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의 AT 라이브러리에서 미리 정의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M은, 상기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에서 AT 커맨드 라이브러리를 이용하여 사용자 입력에 대응되는 AT 커맨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M은, 인증 엘리먼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방법.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 엘리먼트는, 상기 휴대 단말기에 미리 저장된 패스워드 및 인증 예외 번호 중 적어도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SM은, 동일한 메시지 발생의 임의의 중복에 대한 식별 및 제거를 위한 TP-RD(Transfer Protocol-reject duplicate) 정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방법.
  9. 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 휴대 단말기의 원격 통신을 제공하는 장치에 있어서,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로부터 AT 커맨드가 포함된 단문 메시지(SM)를 수신하며, 상기 SM이 원격 제어 동작을 위한 것이라고 검출되면, 상기 휴대 단말기에서 수행될 적어도 하나의 태스크를 결정하기 위해 상기 AT 커맨드를 분석 및 파싱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태스크를 실행하는 제어 엔티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SM은, 원격 제어 동작을 위한 메시지라는 것을 나타내기 위해사전 정의 키워드 식별자를 포함하며, 상기 키워드 식별자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태스크를 나타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
  11.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AT 커맨드는, 상기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의 AT 라이브러리에서 미리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
  12.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엔티티는, 상기 SM에 포함된 키워드와 상기 휴대 단말기에 미리 저장된 키워드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SM이 상기 원격 제어 동작을 위한 것인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
  13.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엔티티는, 상기 SM을 파싱하기 전에 상기 SM을 인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인증은, 상기 휴대 단말기에 미리 저장된 패스워드 및 인증 예외 번호 중 적어도 하나를 이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
  15.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엔티티는, 상기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의 상기 SM의 전송 시각과 상기 휴대 단말기의 상기 SM의 수신 시각 간의 차이가 미리 지정된 유효기간을 초과하는 경우, 상기 SM을 무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
  16.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사전 정의 키워드 식별자와 상기 패스워드와 상기 인증 예외 번호와 상기 유효기간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
  17.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 엔티티는, 상기 제어하는 휴대 단말기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태스크의 실행 결과를 포함하는 상태 응답을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
  18.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SM은, 단문 문자 서비스(SMS)를 통해 수신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격 제어 장치.
KR1020130003020A 2012-07-06 2013-01-10 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 휴대 단말기의 원격 통신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KR2014000575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20130175342 EP2683181A1 (en) 2012-07-06 2013-07-05 Providing Remote Communication of a Mobile Device in a Communication Network
CN201310283938.4A CN103533520B (zh) 2012-07-06 2013-07-08 用于在通信网络环境中提供电子设备的远程通信的装置和方法
US13/936,498 US9119043B2 (en) 2012-07-06 2013-07-08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mote communic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in a communication network environment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IN2745CH2012 2012-07-06
IN2745/CHE/2012 2012-07-0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756A true KR20140005756A (ko) 2014-01-15

Family

ID=501410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03020A KR20140005756A (ko) 2012-07-06 2013-01-10 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 휴대 단말기의 원격 통신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5756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835Y1 (ko) * 2015-02-27 2016-07-12 노병욱 도마 살균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0835Y1 (ko) * 2015-02-27 2016-07-12 노병욱 도마 살균기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414926B1 (ko) 해석된 바이트코드 프로그램의 무선 전송을 이용하여이동국을 준비/업데이트시키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US10237732B2 (en) Mobile device authentication in heterogeneous communication networks scenario
JP4301997B2 (ja) 携帯電話による情報家電向け認証方法
JP2002165280A (ja) ホームネットワークの遠隔制御方法及びゲートウェイ
US8855600B2 (en) Method and system for authenticating a non-native user of a mobile device
WO2015157924A1 (zh) 一种权限控制方法、客户端及服务器
US20080062937A1 (en) Telephonic Device and Service Center-Assisted Network Setup
CN106790251B (zh) 用户接入方法和用户接入系统
US8312151B2 (en) Communication systems and methods for dynamic and secure simplification of equipment networking
CN109792601B (zh) 一种eUICC配置文件的删除方法和设备
CN108810833B (zh) 手机号码绑定信息管理方法、装置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CN102984646A (zh) 一种手机客户端位置业务的提供方法以及系统
US10291613B1 (en) Mobile device authentication
US9119043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providing remote communication of an electronic device in a communication network environment
CN102231740A (zh) 防盗平台及客户端、终端及实现移动终端防盗的处理方法
JP2008017083A (ja) 遠隔操作システム、遠隔操作方法および遠隔操作プログラム
CN101583102A (zh) 无线宽带接入短信方式实现一次一密的方法
EP3105900B1 (en) Method and system for determining that a sim and a sip client are co-located in the same mobile equipment
CN104158954B (zh) 移动终端之间进行控制的方法及系统
KR20100042679A (ko) 휴대 단말기의 원격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시스템
KR20140005756A (ko) 통신 네트워크 환경에서 휴대 단말기의 원격 통신을 제공하는 장치 및 방법
CN112583920B (zh) 推送方法、推送装置、电子设备和存储介质
US20130337773A1 (en) Method and device for transmitting a verification request to an identification module
CN107318055A (zh) 一种移动终端的屏幕解锁方法及装置
CN114764286A (zh) 一种应用程序登录方法及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