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695U - 버스트 고정용 탄력 밴드 - Google Patents

버스트 고정용 탄력 밴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5695U
KR20140005695U KR2020130003324U KR20130003324U KR20140005695U KR 20140005695 U KR20140005695 U KR 20140005695U KR 2020130003324 U KR2020130003324 U KR 2020130003324U KR 20130003324 U KR20130003324 U KR 20130003324U KR 20140005695 U KR20140005695 U KR 2014000569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aps
back plate
burst
sewing
e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3324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난희
Original Assignee
(주)엠타스
박난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엠타스, 박난희 filed Critical (주)엠타스
Priority to KR2020130003324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5695U/ko
Publication of KR2014000569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69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2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head or 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02Adhesive bandages or dressings
    • A61F13/0273Adhesive bandages for winding around limb, trunk or head, e.g. cohes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2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head or neck
    • A61F13/128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head or neck specially adapted for the neck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4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specially adapted for the breast or abdomen
    • A61F13/143Thorax bandages or bandaging garmen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Corsets Or Brassier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버스트 고정용 탄력 밴드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버스트 고정용 탄력 밴드는 배면 단부에 암벨크로(female velcro) 테이프가 형성된 좌우 양측의 어깨 연장부를 가지는 등판과, 상기한 등판의 하부 양측에 각각 연결되며, 연장 단부에 수벨크로(male velcro) 테이프와 암벨크로 테이프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1 및 제2 플랩(flap)과, 상기한 등판의 하부 양측 및 상기한 제1 및 제2 플랩 각각에 연결되며, 연장 단부의 전면에 수벨크로 테이프가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고정 연장편으로 구성되고, 본 발명에 따른 버스트 고정용 탄력 밴드는 목 중앙의 흉터 발생을 피하기 위하여 근래 들어 널리 시행되고 있는 내시경 투입에 의한 갑상선 절제술(thyroidectom)을 받은 환자의 절개부 및 내시경과 초음파 절삭 기구의 관통부 및 그 주변부에 대한 빠른 회복에 유용하며, 착용 의복의 외부로부터 외관상으로 잘 들어나지 않고 착용에 별다른 불편감을 초래하지 않는 높은 사용 편의성을 지님은 물론, 환자의 체형이나 가슴의 크기에 따라 가슴 고정을 위한 압박 강도의 조절이 가능함은 물론, 조임 압박에 따른 착용 불편감의 정도를 조절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높은 경제성을 지닌다.

Description

버스트 고정용 탄력 밴드{MEDICAL ELASTIC BANDAGE FOR SETTLING BUST}
본 고안은 버스트 고정용 탄력 밴드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목 중앙의 흉터 발생을 피하기 위하여 근래 들어 널리 시행되고 있는 내시경 투입에 의한 갑상선 절제술(thyroidectom)을 받은 환자에 대한 수술 부위의 빠른 회복과 고통 및 불편의 경감 및 완화에 유용한 버스트 고정용 탄력 밴드에 관한 것이다.
갑상선 또는 갑상샘(thyroid gland)은 목 전방부에 위치하며 나비 형상으로서 후두와 기관 앞에 붙어 있는 내분비 기관으로서 갑상선 호르몬과 칼시토닌을 생성 및 분비한다.
갑상선 호르몬은 체온의 유지와 신체 대사의 균형 유지에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며, 칼시토닌은 뼈와 신장에 작용하여 혈중 칼슘 수치를 저하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한 갑상선과 관련된 질병으로서는 갑상선 기능 항진증 및 저하증, 갑상선염, 갑상선 결절, 갑상선암등이 있다.
근래 들어 갑상선 질환을 가지는 환자의 수는 매년 급격히 증가하는 추세에 있으며, 갑상선 기능 저하증의 경우 연평균 12.4%씩 증가하여 2009년 기준 약 29만 명에 달하며 여성 환자의 수가 남성 환자의 수에 비하여 6배 이상 많은 것으로 조사되었고, 현재 갑상선암은 매년 20% 이상의 증가 추세를 나타내고 있는 여성암의 1위, 남성암의 6위를 차지할 정도로 흔한 암이 되었으며, 그 원인으로서는 정신적 및 육체적 스트레스, 감염, 요오드 섭취 부족, 자가면역질환, 갑상선 세포 유전자의 돌연변이 등과 같은 다양한 요소가 관여하는 것으로 생각되고 있지만 현재 정확히 파악되어 있지는 않다.
갑상선 질환은 여성에게 매우 흔한 질환으로서 그 진행이 매우 느리고 양호한 예후를 가지는 작한 질환으로 알려져 있기는 하지만, 치료시기를 놓친다거나 심각한 합병증으로 진행하면 심각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상기한 갑상선 질환의 치료법으로서는 갑상선 호르몬 제제나 항갑상선 제제의 투여, 방사성 요오드 치료, 외부 방사선 조사, 항암제 투여, 결절의 절제술 등이 있으며, 상기한 절제술로서는 외과 수술적 절제술과 비수술적인 고주파 소각에 의한 열절제술로 대별될 수 있고, 상기한 외과 수술적 절제술은 목의 앞부분을 절제하여 수술하는 직접 절개술, 무흉터 경구 갑상선 절제술, 내시경 절제술 등이 있다.
갑상선 질환은 여성 환자가 대부분이므로 목의 앞부분을 절개하는 직접 절제술은 흉터 문제가 남게 되어 기피되는 추세에 있으며, 열절제술은 수술의 성공에 대한 확실한 육안적 관찰이 불가하다는 단점이 있고, 무흉터 경구 갑상선 절제술은 현재 널리 시행되고 있지 못하며, 따라서 현재 가장 선호 되는 것은 로봇 수술법의 하나로서 환자의 양측 겨드랑이와 양측 유륜에 작은 절개를 한 후 이를 통하여 수술용 내시경과 초음파 절삭 기구를 삽입하여 원격 조정으로 갑상선의 전부 또는 일부를 절제하는 내시경 절제술로서 목에 흉터가 남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상기한 내시경 절제술을 받은 환자에 있어서는 양측 겨드랑이와 유륜을 통하여 내시경 및 초음파 절삭 기구 등을 삽입하기 위한 약간의 절개와 이를 통한 공기의 취입 및 기구의 삽입으로 인하여 이들 기구의 삽입 라인과 그 관통부 주변 조직의 손상은 불가피하며, 이러한 절개 및 관통 손상 부위의 빠른 회복을 위해서는 손상 부위의 움직임을 최소화하는 것이 필요하다.
따라서 본 고안의 첫 번째 목적은 내시경 절제술을 받은 갑상선 수술 환자의 절개부 및 내시경과 초음파 절삭 기구의 관통 주변부에 대한 빠른 회복에 유용한 의료용의 버스트(bust) 고정용 탄력 밴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두 번째 목적은 착용 의복의 외부로부터 외관상으로 잘 들어나지 않으며 착용에 별다른 불편감을 초래하지 않는 높은 사용 편의성을 지니는 버스트 고정용 탄력 밴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세 번째 목적은 전술한 제반 목적에 더하여 환자의 체형이나 가슴의 크기 등에 있어서의 다양한 차이에도 가슴에 대한 압박 강도의 조절이 가능함은 물론, 조임 압박에 따른 착용 불편감의 정도를 조절할 수가 있는 버스트 고정용 탄력 밴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네 번째 목적은 전술한 제반 목적에 더하여 높은 경제성을 지니는 버스트 고정용 탄력 밴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상기한 첫 번째 내지 네 번째 목적을 원활히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일 양태(樣態)에 따르면, 배면 단부에 암벨크로(female velcro) 테이프가 형성된 좌우 양측의 어깨 연장부를 가지는 등판과; 상기한 등판의 하부 양측에 각각 연결되며, 연장 단부에 수벨크로(male velcro) 테이프와 암벨크로 테이프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1 및 제2 플랩(flap)과; 상기한 등판의 하부 양측 및 상기한 제1 및 제2 플랩 각각에 연결되며, 연장 단부의 전면에 수벨크로 테이프가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고정 연장편으로 구성되고: 상기한 제1 및 제2 플랩의 연장 단부 각각에 형성되는 암수 벨크로 테이프의 결합에 의하여 버스트(bust) 둘레에 맞춰 길이 조정 가능하게 결합 고정되고, 상기한 어깨 연장부의 암벨크로 테이프에 대하여 상기한 제1 및 제2 고정 연장편의 수벨크로 테이프를 버스트 높이에 맞춰 길이 조정 가능하게 대각선상의 “X”자 형상으로 결합 고정되는 버스트 고정용 탄력 밴드가 제공된다.
여기서, 상기한 등판과 제1 및 제2 플랩과 제1 및 제2 고정 연장편은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스판덱스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한 제1 및 제2 고정 연장편의 상기한 제1 및 제2 플랩 및 등판과의 연결 하부는 상기한 제1 및 제2 플랩에 대하여 상향 경사 방향으로 봉제되는 것이 체결의 용이성과 편리성 측면에서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한 상향 봉제부에 의한 제1 및 제2 고정 연장편의 상향 연장 각도는 상기한 등판 및 제1 및 제2 플랩의 저면에 대하여 25~40°경사지게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제1 및 제2 플랩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암벨크로 테이프는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한 탄성 봉제부에 견고히 고정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상기한 등판과 제1 및 제2 플랩의 하단부에 탄성 봉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등판과 제1 및 제2 플랩의 하단부의 탄성 봉제부를 제외한 주연부와, 제1 및 제2 고정 연장편의 주연부에는 탄성력을 지니는 주연 봉제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버스트 고정용 탄력 밴드는 내시경 절제술을 받은 갑상선 수술 환자의 절개부 및 내시경과 초음파 절삭 기구의 관통부 및 그 주변부에 대한 빠른 회복에 유용하며, 착용 의복의 외부로부터 외관상으로 잘 들어나지 않고 착용에 별다른 불편감을 초래하지 않는 높은 사용 편의성을 지님은 물론, 환자의 체형이나 가슴의 크기에 따라 가슴 고정을 위한 압박 강도의 조절이 가능함은 물론, 조임 압박에 따른 착용 불편감의 정도를 조절할 수가 있음과 아울러, 높은 경제성을 지닌다.
도 1은 본 고안의 버스트 고정용 탄력 밴드의 전개 상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전개 상태 배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착용 상태 정면도이다.
도 4는 도 3의 착용 상태 배면도이다.
도 5는 도 3의 실제품 사진이다.
본 고안의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벨크로(velcro) 테이프’라는 용어는 상품명으로서, 통상 ‘찍찍이 테이프’ 또는 ‘매직 테이프’로 알려져 있는 의류용 테이프로서, 암수 벨크로 테이프(female and male velcro tape)로 구성되며 암벨크로 테이프는 그 외표면에 ‘n’자형의 나일론사 또는 나일론 폴리에스터사로 된 걸림 구조가 다수 돌출되어 있는 형태을 가지며, 수벨크로 테이프는 그 외표면에 나일론사 또는 나일론 폴리에스터사로 된 다수의 후크 구조가 다수 돌출되어있는 형태를 가진다.
상기한 ‘벨크로’라는 용어는 비록 상품명이기는 하지만 보통 명사화 내지 관용화된 명칭으로 당업계에 널리 사용되고 있으며 상업적 입수에 전혀 곤란성이 존재하지 않고 더욱이 그에 대한 정식 학술명이 존재하지 않는 바, 상세한 설명은 물론,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그대로 사용하더라도 본 고안을 불명확하게 하는 것이 아님을 이해할 필요가 있다.
이하, 본 고안을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버스트 고정용 탄력 밴드(1)의 전개 상태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전개 상태 배면도이며, 도 3은 도 1의 착용 상태 정면도이고, 도 4는 도 3의 착용 상태 배면도이고 도 5는 도 3의 실제품 사진으로서, 설명의 편의상 함께 언급하기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버스트 고정용 탄력 밴드(1)의 주요 구성은 배면 단부에 암벨크로(female velcro) 테이프(2b)가 형성된 좌우 양측의 어깨 연장부(2a)를 가지는 등판(2)과, 상기한 등판(2)의 하부 양측에 각각 연결되며, 연장 단부에 수벨크로(male velcro) 테이프(3a)와 암벨크로 테이프(4a)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1 및 제2 플랩(flap)(3,4)과, 상기한 등판(2)의 하부 양측 및 상기한 제1 및 제2 플랩(3,4) 각각에 연결되며, 연장 단부의 전면에 수벨크로 테이프(5a,6a)가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고정 연장편(5,6)으로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한 제1 및 제2 플랩(3,4)의 연장 단부 각각에 형성되는 암수 벨크로 테이프(3a,4a)의 결합에 의하여 각자의 체형에 따른 버스트(bust) 둘레에 맞춰 길이 조정 가능하게 결합 고정되고, 상기한 어깨 연장부(2a)의 암벨크로 테이프(2b)에 대하여 상기한 제1 및 제2 고정 연장편(5,6)의 수벨크로 테이프(5a,6a)를 각자의 체형에 따른 버스트 높이에 맞춰 길이 조정 가능하게 대각선상의 “X”자 형상으로 결합 고정할 수가 있다.
여기서, 본 고안에 따른 버스트 고정용 탄력 밴드(1)를 구성하는 상기한 등판(2)과 제1 및 제2 플랩(3,4)과 제1 및 제2 고정 연장편(5,6)은 모두 우수한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신축 가능한 부드러운 재질로 된 직물 소재, 특히 적합하게는 스판덱스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하다면 경우에 따라서는 통기성이 양호하나 탄성 복원력이 없는 직물 소재로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영역 내이다.
또한 상기한 제1 및 제2 고정 연장편(5,6)의 상기한 제1 및 제2 플랩(3,4) 및 등판(2)과의 연결 하부는 상기한 제1 및 제2 플랩(3,4)에 대하여 상향 경사 방향으로 비스듬하게 봉제하여 연결하는 상향 봉제부(5c,6c)를 형성하는 것이 상기한 등판(2)의 어깨부(2a)의 배면 단부에 형성된 암벨크로 테이프(2b)와의 체결을 용이하고 자연스럽게 연결할 수 있으므로 편리성 측면에서 바람직하다.
여기서, 상기한 상향 봉제부(5c,6c)에 의한 제1 및 제2 고정 연장편(5,6)의 상향 연장 각도는 상기한 등판(2) 및 제1 및 제2 플랩(3,4)의 저면에 대하여 제한적인 것은 아니지만 25~40°정도 상향 경사지게 연결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제1 및 제2 플랩(3,4)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될 수 있는 암벨크로 테이프(4a)는 내측으로 연장되어 하기하는 탄성 봉제부(4b)에 견고히 고정되는 내측 연장부(4d)를 형성할 수도 있으며, 이에 의해 상기한 제1 및 제2 플랩(3,4) 중 다른 하나에 형성될 수 있는 수벨크로 테이프(3a)에 의한 반복적인 결착 및 결착 해제에 의해 상기한 암벨크로 테이프(4a)가 는 봉제 풀림 등에 의해 떨어지거나 이탈되는 등의 문제를 미연에 확실히 방지할 수가 있다.
상기한 등판(2)과 제1 및 제2 플랩(3,4)의 하단부에는 단부를 접어 내측으로 말아 감아 봉제한 탄성 봉제부(2c,3b,4b)를 형성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한 탄성 봉제부(2c,3b,4b) 내에 고무줄과 같은 탄성 지지체를 삽입할 수도 있다.
상기한 탄성 봉제부(2c,3b,4b)는 본 고안에 따른 버스트 고정용 탄력 밴드(1)를 가슴에 견고히 밀착 고정함에 있어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한 등판(2)과 제1 및 제2 플랩(3,4)의 하단부의 상기한 탄성 봉제부(2c,3b,4b)를 제외한 주연부와, 제1 및 제2 고정 연장편(5,6)의 주연부에는 탄성력을 지니는 소재로 형성된 주연 봉제부(2d,3c,4c,5b,6b)를 형성하여 그 외관 가장자리를 말끔하게 형성할 수 있다.
본 고안에 있어서는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한 어깨부(2a)의 배면 단부에 암벨크로 테이프(2b)를 형성하고 제1 및 제2 고정 연장편(5,6)의 전면 단부에 수벨크로 테이프(5a,6a)를 형성하고 있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상기한 어깨부(2a)의 배면 단부에 수벨크로 테이프(미도시)를 형성하고 제1 및 제2 고정 연장편(5,6)의 전면 단부에 암벨크로 테이프(미도시)를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영역 내이다.
또한 도시된 예에 있어서는, 제1 및 제2 플랩(3,4) 중 제1 플랩(3)의 단부 전면에 수벨크로 테이프(3a)를 형성하는 한편 제2 플랩(4)의 단부 배면에 암벨크로 테이프(4a)를 형성하고 있으나, 본 고안에 있어서 이러한 배치는 제한적이지 아니하며 제1 및 제2 플랩(3,4) 중 제2 플랩(4)의 단부 전면에 수벨크로 테이프(미도시)를 형성하는 한편 제1 플랩(3)의 단부 배면에 암벨크로 테이프(미도시)를 형성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영역 내이다.
도 3 및 4의 착용 상태도(착용자는 도시 생략)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고안에 따른 버스트 고정용 탄력 밴드(1)는 도시된 바와 같이 여성의 버스트(미도시)의 둘레 부분을 상기한 제1 및 제2 플랩(3,4)의 수벨크로 테이프(3a) 및 암벨크로 테이프(4a)의 길이 조절 가능한 체결에 의해 버스트를 압박한 상태로 사용되며, 이때 상기한 탄성 봉제부(2c,3b,4b)에 의해 버스트의 하부에 긴장력을 부여한 상태로 밀착되며, 상기한 어깨 연장부(2a)의 배면 단부에 형성된 암벨크로 테이프(2b)는 착용자의 어깨를 돌아 전면에 노출된 상태가 되며, 상기한 제1 및 제2 고정 연장편(5,6)은 내측 대각선상으로 접힌 상태가 되어 반대쪽의 어깨 연장부(2a)로 향하게 되므로 그 연장 단부에 형성된 수벨크로 테이프(5a,6a)가 길이 조절 가능한 체결에 의해 어깨 연장부(2a)의 배면 단부에 형성된 암벨크로 테이프(2b)와 결합된다.
따라서 갑성선 내시경 수술을 받은 환자의 버스트는 목 및 팔의 동작에도 불구하고 버스트가 움직이지 않도록 항상 고정 상태를 유지하게 되며 그에 따라 수술경 및 로봇 팔의 관통 주변 조직과 절개부의 빠른 회복에 도움을 주게 된다.
본 고안에 따른 버스트 고정용 탄력 밴드(1)는 환자 본인의 가슴의 볼륨이나 크기, 수술 부위의 경중이나 대소 정도, 환자 본인이 느끼는 착용 불편감의 정도 등에 따라 임의로 상황에 맞게 압박 강도를 조절하여 착용할 수가 있으므로 착용 편의성이 높을 뿐만 아니라, 착용 불편감이 적음은 물론, 의복의 외부로 노출되지 않으므로 외관적 미관에 별 다른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이상 본 고안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고안의 영역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당업자라면 본 고안의 영역으로부터 일탈 하는 일 없이도 본 명세서 및 도면으로부터 다양한 변화 및 수정이 가능함은 물론이나, 이 또한 본 고안의 영역 내이다.
1: 본 고안에 따른 버스트 고정용 탄력 밴드
2: 등판
2a: 어깨 연장부 2b: 암벨크로 테이프
2c: 탄성 봉제부 2d: 주연 봉제부
3: 제1 플랩 4: 제2 플랩
3a: 수벨크로 테이프 4a: 암벨크로 테이프
3b,4b; 탄성 봉제부 3c,4c: 주연 봉제부
4d: 내측 연장부
5: 제1 고정 연장편 6: 제2 고정 연장편
5a,6a: 수벨크로 테이프 5b,6b: 주연 봉제부
5c,6c: 상향 봉제부

Claims (7)

  1. 배면 단부에 암벨크로(female velcro) 테이프가 형성된 좌우 양측의 어깨 연장부를 가지는 등판과;
    상기한 등판의 하부 양측에 각각 연결되며, 연장 단부에 수벨크로(male velcro) 테이프와 암벨크로 테이프가 각각 형성되어 있는 제1 및 제2 플랩(flap)과;
    상기한 등판의 하부 양측 및 상기한 제1 및 제2 플랩 각각에 연결되며, 연장 단부의 전면에 수벨크로 테이프가 각각 형성된 제1 및 제2 고정 연장편으로 구성되고:
    상기한 제1 및 제2 플랩의 연장 단부 각각에 형성되는 암수 벨크로 테이프의 결합에 의하여 버스트(bust) 둘레에 맞춰 길이 조정 가능하게 결합 고정되고, 상기한 어깨 연장부의 암벨크로 테이프에 대하여 상기한 제1 및 제2 고정 연장편의 수벨크로 테이프를 버스트 높이에 맞춰 길이 조정 가능하게 대각선상의 “X”자 형상으로 결합 고정되는
    버스트 고정용 탄력 밴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등판과 제1 및 제2 플랩과 제1 및 제2 고정 연장편이 탄성 복원력을 가지는 스판덱스로 형성되는 버스트 고정용 탄력 밴드.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 및 제2 고정 연장편의 상기한 제1 및 제2 플랩 및 등판과의 연결 하부가 상기한 제1 및 제2 플랩에 대하여 상향 경사 방향으로 봉제된 상향 봉제부를 가지는 버스트 고정용 탄력 밴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한 상향 봉제부에 의한 제1 및 제2 고정 연장편의 상향 연장 각도가 상기한 등판 및 제1 및 제2 플랩의 저면에 대하여 25~40°경사지게 연결되어 있는 버스트 고정용 탄력 밴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제1 및 제2 플랩 중 어느 하나에 형성되는 암벨크로 테이프가 내측으로 연장되어 상기한 탄성 봉제부에 고정되어 있는 내측 연장부를 가지는 버스트 고정용 탄력 밴드.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등판과 제1 및 제2 플랩의 하단부에 탄성 봉제부가 형성되어 있는 버스트 고정용 탄력 밴드.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한 등판과 제1 및 제2 플랩의 하단부의 탄성 봉제부를 제외한 주연부와, 제1 및 제2 고정 연장편의 주연부에 주연 봉제부가 형성되어 있는 버스트 고정용 탄력 밴드.
KR2020130003324U 2013-04-29 2013-04-29 버스트 고정용 탄력 밴드 KR2014000569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324U KR20140005695U (ko) 2013-04-29 2013-04-29 버스트 고정용 탄력 밴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3324U KR20140005695U (ko) 2013-04-29 2013-04-29 버스트 고정용 탄력 밴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695U true KR20140005695U (ko) 2014-11-06

Family

ID=524551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3324U KR20140005695U (ko) 2013-04-29 2013-04-29 버스트 고정용 탄력 밴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5695U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367A (ko) 2015-07-08 2017-01-18 권혁도 작업용 근력 보조기구
CN112472411A (zh) * 2020-12-14 2021-03-12 郭颖 一种经口腔镜下甲状腺切除术后用冰袋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70006367A (ko) 2015-07-08 2017-01-18 권혁도 작업용 근력 보조기구
CN112472411A (zh) * 2020-12-14 2021-03-12 郭颖 一种经口腔镜下甲状腺切除术后用冰袋装置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681692B2 (en) Post-operative sternum and breast device
ES2799831T3 (es) Rodillera de bajo perfil
JP3779266B2 (ja) 改良された腹部術後支持帯および使用方法
AU2017367452B2 (en) Core supporter and wear provided with same
JP2017504732A (ja) 股関節/骨盤医療用下着
KR20140005695U (ko) 버스트 고정용 탄력 밴드
US9370206B1 (en) Medical device protection and comfort brassiere
CN209808755U (zh) 一种胸外科用固定胸带
US20100273614A1 (en) Method for Passive Abdominal Exercise Using Elastic Exercise Band
JP5249463B1 (ja) 外反母趾による痛み解消を目的とした靴下
CN205902803U (zh) 内裤
CN209107698U (zh) 一种医用术后康复内裤
CN209285890U (zh) 一种舒适型腹股沟疝气带保护垫片及其疝气带
CN202490055U (zh) 一种拇趾外翻矫正器
CN201782095U (zh) 鞋面开合的适足鞋
CN209711616U (zh) 一种骨科病人易穿脱的护理裤
CN218458183U (zh) 一种用于沙滩椅体位的下颌约束带
CN2710579Y (zh) 拇外翻术后矫形带
CN205598097U (zh) 一种新型腹股沟疝气术后固定带
EP3549561A1 (en) Support band
CN220714168U (zh) 一种心脏外科用术后护理装置
CN213719938U (zh) 一种改良下肢骨折患者简易保暖医用袜
CN216933659U (zh) 一种骨科用复位固定骨科矫形器
CN209172625U (zh) 一种前臂固定装置
CN203763325U (zh) 屈髋防旋固定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