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416A - 모바일 기기용 스타일러스 펜 결합체 - Google Patents

모바일 기기용 스타일러스 펜 결합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5416A
KR20140005416A KR1020120072330A KR20120072330A KR20140005416A KR 20140005416 A KR20140005416 A KR 20140005416A KR 1020120072330 A KR1020120072330 A KR 1020120072330A KR 20120072330 A KR20120072330 A KR 20120072330A KR 20140005416 A KR20140005416 A KR 2014000541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en
mobile device
stylus pen
cover
groo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23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6554B1 (ko
Inventor
조영진
Original Assignee
조영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조영진 filed Critical 조영진
Priority to KR10201200723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6554B1/ko
Publication of KR201400054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4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6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65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용 스타일러스 펜 결합체에 관한 것으로, 모바일 기기의 어느 일측면의 전면 또는 후면에 길이 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펜 수용부와, 길이방향으로 절단되어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된 관형 바디와, 상기 바디의 개방부 반대면과 일체형으로 연장되는 펜촉 형상의 터치부로 구성된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하되, 상기 펜 수용부의 상기 홈에 상기 개방부가 삽입되어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종래의 스타일러스 펜과 달리 선택적으로 관형 바디의 직경을 충분히 넓힐 수 있어서 펜 그립감을 높일 수 있고, 제작이 용이하고, 용이하게 모바일 기기에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바일 기기에 결합되는 경우 안정적으로 장착하고 보관할 수 있다.

Description

모바일 기기용 스타일러스 펜 결합체{stylus pen combination for mobile device}
본 발명은 모바일 기기용 스타일러스 펜 결합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펜 그립감을 높일 수 있고, 간단한 구조로서 탈장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가볍고 단가가 낮은 모바일 기기용 스타일러스 펜 결합체에 관한 것이다.
휴대용 정보단말기 등은 사용자에게 편의성을 제공하기 위해 터치스크린 방식을 채택하고 있는데, 사용자의 휴대성을 위해 휴대용 정보단말기가 점점 소형화로 제작됨에 따라 그에 사용되는 터치스크린 또한 소형화되어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터치스크린을 조작하는 것이 불편하였다.
따라서, 보편적으로 개인용 휴대용 정보단말기는 접촉팁을 구비하는 별도의 스타일러스 펜을 이용하여 터치스크린을 조작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스타일러스 펜은 가늘고 긴 볼펜의 형태로 되어 있어 미끄럽고, 사용자의 손에 파지하기가 불편하여 사용시 필기감이 떨어지는 단점이 있어 왔다. 또한, 종래의 스타일러스 펜은 단말기의 원형 홀에 장착시켜 고정할 경우, 휴대용 정보단말기의 장착 구조가 복잡하여 생산성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지적되어 왔다.
도 1은 종래의 스타일러스 펜(10)의 사시도가 도시되고, 도 2에 종래의 내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가 도시되는데,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타일러스 펜은 지지체(11)의 전측 끝단부에 선단부(20)를 형성하고, 선단부(20)에 접촉팁(21)을 성형하며, 스타일러스 펜(10)의 지지체(11) 전측에 우레탄 패드(12)를, 지지체(11) 끝단부에 형성된 홈(14)에는 우레탄 재질의 오링(13)을 설치하여 구성한 것임을 알 수 있다.
이상의 종래의 스타일러스 펜(10)은 선단부(20)에 접촉팁(21)을 성형하고, 스타일러스 펜(10)의 지지체(11) 전측에 우레탄 패드(12)를 설치함으로써 사용자가 지지체를 파지하여 사용함에 있어 미끄럼을 방지하여 필기감을 향상시키며, 지지체(11) 끝단부 홈(14)에 설치된 오링(13)에 의해 스타일러스펜(10)이 휴대용 정보단말기(P)에 손쉽게 고정되며, 인출이나 삽입고정시 발생할 수 있는 스타일러스 펜 지지체(11) 표면의 긁힘 자국을 방지하고, 휴대용 정보단말기(P)의 외부 충격에 의한 스타일러스 펜(10)이 탈착이 되지 않도록 방지하는 것이 제안되어 있다.(도 3참조)
그러나 종래의 스타일러스 펜은 모바일 기기의 펜 수용부로서 측면부에 길이방향으로 홀을 형성하여 펜을 삽입하는 구조로서, 모바일 기기내에 수용 공간을 형성해야 하기 때문에, 모바일 기기 전체 시스템이 배치가 복잡해 질 수 있고, 상기 수용 공간에 대응되는 스타일러스 펜이 두께가 얇아 잡기가 불편하여 그립감이 떨어질 뿐만 아니라, 펜 수용부와 펜 모두의 구조 자체가 복잡하고 단가가 높다는 단점이 있다.
상술한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과제는 펜 두께를 확장하여 펜 그립감을 높일 수 있고, 간단한 구조로서 탈장착이 용이할 뿐만 아니라, 가볍고 단가가 낮은 스타일러스 펜 결합체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본 발명의 제1 특징은 모바일 기기의 어느 일측면의 전면 또는 후면에 길이 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펜 수용부와, 길이방향으로 절단부가 형성된 관형 바디와, 상기 바디의 절단부 반대면과 일체형으로 연장되는 펜촉 형상의 터치부와, 상기 바디의 내측면에 일자형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형 가이드를 포함하되, 상기 펜 수용부의 홈에 상기 절단부가 삽입되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는 돌출방향으로 폭이 넓어지는 형상이고, 상기 펜 수용부는 상기 모바일 기기의 측면에 길이방향으로 상기 가이드가 삽입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절단부의 어느 일측 단부의 수직 단면 중심에 돌기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의 수직 단면 중심에 홈부를 형성하여 상기 돌기부가 상기 홈부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절단부의 어느 일측 단부가 2개의 단부로 분기되어 상기 타측 단부가 삽착되어 체결되는 것일 수 있고, 상기 터치부의 끝단은 볼형 팁 구조이고, 상기 모바일 기기의 측면 하단에 상기 볼형 팁 구조가 안착되는 홈구조가 형성된 것일 수 있다.
더하여, 상기 펜 수용부는, 상기 가이드홈을 차단하는 걸림턱과, 상기 걸림턱을 상기 가이드홈 방향으로 밀어내는 스프링과, 상기 걸림턱과 연장되어 상기 모바일 기기 측면 상단에서 상기 걸림턱의 수평이동 시켜 상기 가이드홈을 차단/해제하는 푸시버튼으로 구성된 잠금장치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본 발명의 제2 특징은 모바일 기기의 후면에 길이 방향으로 적어도 하나의 가이드홈이 형성된 펜 수용부와, 탄성재질로, 길이방향으로 절단부가 형성된 관형 바디와, 상기 바디의 절단부 반대면과 일체형으로 연장되는 펜촉 형상의 터치부와, 상기 바디의 내측면에 일자형으로 연장되는 적어도 하나의 돌출형 가이드로 구성된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하되, 상기 가이드가 상기 펜 수용부의 가이드홈에 삽입되어 장착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펜 수용부는, 상기 모바일 기기 후면 양 측면에서 각각 연장되고, 상기 가이드를 중심으로 상기 양쪽 바디의 삽입을 가이드 하는 판형 가이드 덮개가 설치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절단부의 어느 일측 단부의 수직 단면 중심에 돌기부가 형성되고, 타측 단부 수직 단면 중심에 홈부를 형성하여 상기 돌기부가 상기 홈부에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절단부의 어느 일측 단부가 2개의 단부로 분기되어 타측 단부가 삽착되어 체결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터치부 끝단은 볼형 팁 구조이고, 상기 가이드홈의 하단부에는 상기 볼형 팁 구조가 안착되는 홈구조가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은, 종래의 스타일러스 펜과 달리 선택적으로 관형 바디의 직경을 충분히 넓힐 수 있어서 펜 그립감을 높일 수 있고, 제작이 용이하고, 용이하게 모바일 기기에 결합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모바일 기기에 결합되는 경우 안정적으로 장착하고 보관할 수 있다.
더하여, 펜 전체의 강성을 유지하고, 터치부의 터치로 인한 가압에 따른 변형을 방지하여 정확한 터치 또는 포인팅 유도의 중요한 기능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스크래치나 손상을 방지하고, 부드럽게 터치할 수 있게 되어 터치감을 높일 수 있다.
도 1은 종래의 스타일러스 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종래의 스타일러스 펜의 내부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종래의 스타일러스 펜의 결합 모식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스타일러스 펜 결합체에서 스타일러스 펜의 측면도(도 4의 (a)), 스타일러스 펜 결합체의 체결 도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M)용 스타일러스 펜(100)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M)용 스타일러스 펜(100) 결합체의 결합 도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M)용 스타일러스 펜(100) 결합체의 결합 도면을 나타낸 것이고,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M)용 스타일러스 펜(100) 결합체와 결합 도면을 나타낸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통해 설명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을 정도로 상세히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들에 있어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도시된 특정 형태로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과장된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로 표시된 부분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및/또는"이란 표현은 전후에 나열된 구성요소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의미로 사용된다. 또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 또는 "포함하는"으로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 소자는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소자 및 장치의 존재 또는 추가를 의미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용 스타일러스 펜 결합체에서 스타일러스 펜의 측면도(도 4의 (a)), 스타일러스 펜 결합체의 체결 도면을 나타낸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100) 결합체는, 모바일 기기(M)의 어느 일측면의 전면 또는 후면에 길이 방향으로 홈(M205)이 형성된 펜 수용부와, 길이방향으로 절단되어 개방된 개방부(205)가 형성된 관형 바디(200)와, 상기 바디(200)의 개방부(205) 반대면과 일체형으로 연장되는 펜촉 형상의 터치부(230)로 구성된 스타일러스 펜(100)을 포함하되, 상기 펜 수용부의 상기 홈(M205)에 상기 개방부(205) 삽입되어 상기 스타일러스 펜(100)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안되는 스타일러스 펜(100)은 어느 일측에 길이방향으로 개방된 C 형상의 관형 바디(200)와 상기 바디(200)와 연장되는 펜촉형상의 터치부(230)로 구성되는데, 상기 스타일러스 펜(100)을 모바일 기기(M)의 측면의 전면 및 후면에 길이방향으로 홈(M205)이 형성된 펜 수용부에 상기 스타일러스 펜(100)이 결합되는 결합체를 제안하는 것이다.
종래의 스타일러스 펜(100)과 달리 선택적으로 관형 바디(200)의 직경을 충분히 넓힐 수 있어서 펜 그립감을 높일 수 있고, 종래의 모바일 기기(M)의 측면부에 중공부를 형성하여 펜이 삽입되는 구조와 달리, 측면 전 후면에 간단한 길이방향 홈(M205)만 형성하면 되어 모바일 기기(M) 전체의 회로 배치 구성 및 디자인 자유도가 높은 장점이 있다.
여기서 스타일러스 펜(100)의 재질은 단단한 플라스틱 재질도 가능하고, 금속류의 재질도 가능함은 물론이다. 사용자가 펜을 쥐었을 때 충분히 지지해 줄 수 있는 강성을 유지할 수 있다면 모두 가능하다. 또한 관형 바디(200)와 달리는 펜촉 형상의 터치부(230)는 부드럽고 탄성이 있는 플라스틱, 고무, 전도성 폴리머 등이 가능하다.
그리고, 터치부(230) 끝단은 볼(ball)형 팁 구조를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터치부(230) 끝단이 날카로운 구조일 경우, 디스플레이 표면을 스크래치거나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둥그런 모양의 볼(ball)형 팁 구조를 형성함으로써, 스크래치나 손상을 방지하고, 부드럽게 터치할 수 있게 되어 터치감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터치부(230)의 끝단부는 바디(200)에서 면적이 작아지는 구조이어서 바디(200)보다 탄성 또는 신축성이 높아 더욱 유연하게 터치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터치부(230)의 끝단이 볼형 팁구조이어서 다른 부분보다 돌출되어 나올 수 있으므로, 모바일 기기(M)의 측면 하단에 상기 볼형 팁구조에 대응되는 홈구조를 형성하여 안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도시하지 않음)
이와 같이 터치부(230) 안착을 위한 홈구조를 모바일 기기(M)에 형성함으로써, 조금 돌출되어 있는 터치부(230)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고, 외관상 보기도 좋고 스타일러스 펜(100)을 결합한 후 모바일 기기(M)의 사용함에 있어서의 그립감도 높일 수 있게 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M)용 스타일러스 펜(100)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100)은 길이방향으로 절단되어 개방된 개방부(205)가 형성된 관형 바디(200)와, 상기 바디(200)의 개방부(205) 반대면과 일체형으로 연장되는 펜촉 형상의 터치부(230)와, 상기 개방부(205) 일측에 회동 연장되어 상기 개방부(205)를 개폐하는 커버(210)로 구성된 스타일러스 펜(100)을 포함하되, 상기 펜 수용부의 상기 홈(M205)에 상기 개방부(205) 삽입되어 상기 스타일러스 펜(100)이 장착되는 구조로서, 상기 펜 수용부에서 상기 스타일러스 펜(100)이 이탈된 경우, 상기 커버(210) 또는 상기 개방부(205)의 일측에 자석이 설치되어 자석 결합으로 상기 커버(210)가 닫히는 구조를 제안한다.
도 4의 실시예와 달리, 본 발명의 실시예는 개방부(205)에 회동 가능한 커버(210)를 더 포함하는 구조로서, 용이하게 개폐가 가능하도록 하여, 모바일 기기(M)의 탈장착을 용이하게 할 뿐만 아니라, 스타일러스 펜(100)으로서 사용자의 그립감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한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커버(210)의 개폐는 회동 힌지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고, 커버(210) 또는 개방부(205) 일측에 자석을 설치하여 자석결합을 통한 개폐구조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자석결합은 설치가 용이하고, 적은 힘으로도 쉽게 개폐가 용이할 뿐만 아니라, 결합하려고 하는 성질이 있기 때문에, 스타일러스 펜(100)이 모바일 기기(M)에서 이탈된 경우 쉽게 커버(210)가 닫히게 되어 펜의 형상을 유지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M)용 스타일러스 펜(100) 결합체의 결합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타일러 펜은 일측에 개방부(205)가 형성된 C 형상의 관형 바디(200)와, 바디(200)와 회동 연장된 커버(210)와, 상기 바디(200)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펜촉 형상의 터치부(230)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스타일러스 펜(100)을 장착하기 위한 모바일 기기(M)의 펜 수용부는, 측면의 전면 및 후면에 길이 방향으로 홈(M205)이 형성되고, 후면 일부에 수용홈(M210)을 형성하여, 상기 스타일러스 펜(100)을 장착 수용하는 구조이다.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100) 결합체는 길이 방향으로 관형 바디(200)의 중공부를 모바일 기기(M)의 측면의 전후면에 형성된 홈(M205)을 따라 삽입 장착하고, 커버(210)를 상기 모바일 기기(M)의 후면에 형성된 수용홈(M210)에 수용된다.
이처럼 모바일 기기(M)의 후면에 수용홈(M210)을 형성하여 커버(210)를 수용하게 함으로써, 스타일러스 펜(100)이 모바일 기기(M)에 결합 된 경우에 안정되게 상기 스타일러스 펜(100)을 장착하고, 사용의 편리성과 함께 사용자 그립감을 높일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수용홈(M210)에 커버(210)를 수용시키는 경우 다시 이탈되지 않도록 수용홈(M210)과 커버(210)가 끼움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고, 자석을 장착하여 자석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M)용 스타일러스 펜(100) 결합체의 결합 도면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의 실시예와 달리 모바일 기기(M) 후면에 형성된 수용홈(M210)의 단턱부에 커버(210)가 수용된 경우 이탈되지 않도록 걸림턱(M213)을 형성하는 구조를 제안한다. 이처럼 수용홈(M210)의 단턱부에 걸림턱(M213)을 형성하게 되면, 상기 스타일러스 펜(100)을 길이방향으로 삽입하기가 편리하게 되고, 장착 후에도 상기 커버(210)가 이탈되지 않는 안정적인 결합구조를 형성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기기(M)용 스타일러스 펜(100) 결합체와 결합 도면을 나타낸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스타일러스 펜(100) 결합체는 모바일 기기(M)의 어느 일측면의 전면 또는 후면에 길이 방향으로 홈(M205)이 형성되고, 상기 모바일 기기(M)의 후면부에 수용홈(M210)이 형성된 된 펜 수용부와, 길이방향으로 절단되어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된 관형 바디(300)와, 상기 개방부 일측에 회동 연장되어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는 커버(310)와, 상기 커버(310)와 연장되는 펜촉 형상의 터치부(330))로 구성된 스타일러스 펜(100)을 포함하되, 상기 펜 수용부의 상기 홈(M205) 및 수용홈(M210)에 삽입되어 상기 스타일러스 펜(100)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도 7의 실시예와 달리, 펜촉 형상의 터치부(330)가 관형 바디(300)에서 연장되는 것이 아니라, 커버(310)에 연장되어 형성된 실시예를 제안한다. 관형 바디(300)에 터치부(310)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판 형상의 커버(310)에 펜촉 형상의 터치부(330)를 형성함으로써, 제작이 용이하고, 터치부(330)를 수용홈(M210)에 안착시켜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는 점에 큰 장점이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자는 모바일 기기(M)의 측면에 손으로 잡는 경우가 많아서, 펜촉 형상의 터치부(330)가 손상되거나 구부러지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커버(310)에서 연장하여 터치부(330)를 형성하고, 수용홈(M210)에 삽입하여 장착함으로써, 안전하고 안정적이게 스타일러스 펜(100)을 모바일 기기(M)에 결합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에서 본 발명은 특정의 실시 예와 관련하여 도시 및 설명하였지만,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나타난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개조 및 변화가 가능 하다는 것을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누구나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스타일러스 펜, 200: 바디, 205: 개방부, 210: 커버,
230: 터치부,
M205: 홈, M210: 수용홈, M213: 걸림턱

Claims (8)

  1. 모바일 기기의 어느 일측면의 전면 또는 후면에 길이 방향으로 홈이 형성된 펜 수용부와,
    길이방향으로 절단되어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된 관형 바디와,
    상기 바디의 개방부 반대면과 일체형으로 연장되는 펜촉 형상의 터치부로 구성된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하되,
    상기 펜 수용부의 상기 홈에 상기 개방부 삽입되어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스타일러스 펜 결합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방부 일측에 회동 연장되어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는 커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스타일러스 펜 결합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또는 상기 개방부의 일측에 자석이 설치되어 자석 결합으로 상기 커버가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스타일러스 펜 결합체.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터치부의 끝단은 볼형 팁 구조이고,
    상기 모바일 기기의 측면 하단에 상기 볼형 팁 구조가 안착되는 홈구조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스타일러스 펜 결합체.
  5.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펜 수용부는,
    상기 모바일 기기에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장착되는 경우, 상기 모바일 기기 후면에 상기 커버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홈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스타일러스 펜 결합체.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에 상기 커버가 수용되는 경우, 상기 커버가 외부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수용홈의 단턱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스타일러스 펜 결합체.
  7. 모바일 기기의 어느 일측면의 전면 또는 후면에 길이 방향으로 홈이 형성되고, 상기 모바일 기기의 후면부에 수용홈이 형성된 된 펜 수용부와,
    길이방향으로 절단되어 개방된 개방부가 형성된 관형 바디와,
    상기 개방부 일측에 회동 연장되어 상기 개방부를 개폐하는 커버와,
    상기 커버와 연장되는 펜촉 형상의 터치부로 구성된 스타일러스 펜을 포함하되,
    상기 펜 수용부의 상기 홈 및 수용홈에 삽입되어 상기 스타일러스 펜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스타일러스 펜 결합체.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홈에 상기 커버가 수용되는 경우, 상기 커버가 외부로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수용홈의 단턱부에 걸림턱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바일 기기용 스타일러스 펜 결합체.




KR1020120072330A 2012-07-03 2012-07-03 모바일 기기용 스타일러스 펜 결합체 KR101396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330A KR101396554B1 (ko) 2012-07-03 2012-07-03 모바일 기기용 스타일러스 펜 결합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330A KR101396554B1 (ko) 2012-07-03 2012-07-03 모바일 기기용 스타일러스 펜 결합체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416A true KR20140005416A (ko) 2014-01-15
KR101396554B1 KR101396554B1 (ko) 2014-05-22

Family

ID=501408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2330A KR101396554B1 (ko) 2012-07-03 2012-07-03 모바일 기기용 스타일러스 펜 결합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6554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9416A1 (ko) * 2020-12-04 2022-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펜을 이용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US11803268B2 (en) 2020-12-04 2023-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ing electronic pen and method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047566A (ko) * 2000-12-13 2002-06-22 윤종용 신축가능한 스타일러스 펜
KR100470219B1 (ko) * 2002-08-23 2005-02-05 서울통신기술 주식회사 전자기기용 스타일러스 착탈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119416A1 (ko) * 2020-12-04 2022-06-09 삼성전자 주식회사 전자 펜을 이용하는 전자 장치 및 그 방법
US11803268B2 (en) 2020-12-04 2023-10-31 Samsung Electronics Co., Ltd. Electronic device using electronic pen and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6554B1 (ko) 2014-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366383B2 (en) Holder for portable electronic
ES2767603T3 (es) Lápiz táctil y dispositivo electrónico que tiene el mismo
US8989372B2 (en) Cover for mobile terminal
KR101050264B1 (ko) 휴대폰 거치대
KR20110027951A (ko) 바-타입 휴대폰용 케이스
US10342323B2 (en) Ergonomic phone support device
KR101396554B1 (ko) 모바일 기기용 스타일러스 펜 결합체
KR20150053325A (ko) 스마트폰 거치대
US7385596B2 (en) Stylus attachment structure for IT products
KR101764064B1 (ko) 스마트폰 핑거링
JP2022503521A (ja) ポータブル電子デバイスと一緒に使用するための保持装置及び保持装置を使用する方法
KR20180011601A (ko) 탈착이 용이한 스마트폰 거치대
TW200612171A (en) Flash device having ejecting structure
US20110038661A1 (en) Eraser for Dry Erase Markers
KR100830079B1 (ko) 휴대 기기의 거치대 겸용 터치 펜
KR101474508B1 (ko) 모바일 기기용 스타일러스 펜 결합체
US8203543B2 (en) Portable electronic device having a securely positioned touch control pen
KR101324766B1 (ko) 모바일 기기용 스타일러스 펜
KR200424030Y1 (ko) 스타일러스 펜
CN215499527U (zh) 一种耳机盒
CN215006584U (zh) 一种触控笔
KR102522141B1 (ko) 단말기 거치대
KR20120000639U (ko) 차량용 휴대폰 거치 충전 장치
CN209749912U (zh) 一种方便携带的定位标签
KR20100008275A (ko) 휴대기기용 필기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12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