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5181U - 레조네이터 챔버가 형성된 에어클리너 - Google Patents

레조네이터 챔버가 형성된 에어클리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5181U
KR20140005181U KR2020130002146U KR20130002146U KR20140005181U KR 20140005181 U KR20140005181 U KR 20140005181U KR 2020130002146 U KR2020130002146 U KR 2020130002146U KR 20130002146 U KR20130002146 U KR 20130002146U KR 20140005181 U KR20140005181 U KR 2014000518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air cleaner
resonator chamber
resonator
cha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21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현기
한병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리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리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리한
Priority to KR202013000214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5181U/ko
Publication of KR2014000518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5181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35/00Combustion-air cleaners, air intakes, intake silencers, or induction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or arranged on, internal-combustion engines
    • F02M35/14Combined air cleaners and silen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 Cooling, Air Intake And Gas Exhaust, And Fuel Tank Arrangements In Propulsion Units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레조네이터 챔버가 형성된 에어클리너가 개시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공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한 공기흡입구 및 유입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배출구가 형성된 에어클리너에 있어서, 상기 에어클리너는 일측에 상기 공기흡입구가 형성되는 하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과 결합되며 일측에 배출구가 형성되되,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측에 공간을 갖도록 격벽에 의해 레조네이터 챔버 형성되고, 상기 격벽을 관통하여 상기 레조네이터 챔버와 연통되도록 하는 챔버유입구가 형성된 레조네이터 챔버가 형성된 에어클리너.

Description

레조네이터 챔버가 형성된 에어클리너{Resonator chamber with the air cleaner}
본 고안은 차량용 에어클리너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클리너의 내측에 흡기시 발생하는 소음을 상쇄시킬 수 있도록 한 레조네이터 챔버가 형성된 에어클리너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엔진은 연료탱크에 저장되어 있는 연료가 각종 연료 공급장치를 통과하고, 외부로부터 유입된 공기와 혼합되어 엔진의 실린더로 분사됨과 동시에 엔진이 흡입, 압축, 폭발, 배기의 행정을 반복하여 동력을 발생시킨다.
따라서 엔진을 구동하여 동력을 발생시키는데에는 필연적으로 일정량의 공기를 필요로 하며, 이러한 공기는 흡기계통을 통해 차량의 외부로부터 유입된다.
상기와 같은 차량의 흡기계통은 차량의 외부로부터 공기를 흡입하는 에어덕트와, 상기 에어덕트를 통해 흡입된 공기를 정화하는 에어클리너 및 흡입공기의 유동으로 인한 소음을 저감시키는 레조네이터 등으로 구성된다.
특히, 레조네이터는 내부에 형성된 공간부 및 레조네이터 넥(Resonator neck)을 통해 공명(共鳴, Resonance) 현상을 일으킴으로써, 특정주파수에 해당하는 소음을 상쇄시키는 장치로, 통상 에어덕트를 통해 에어클리너와 체결된다.
도 1은 종래 레조네이터가 에어덕트를 통해 에어클리너와 체결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체결구조이다.
도 1을 참고하면, 레조네이터(20)는 내측이 빈 공간으로 형성되며, 일측에 레조네이터 넥(21)이 돌출 형성된다. 에어덕트(10)는 외기(外氣)와 연통되어 흡입공기를 에어클리너(30)로 안내하는 직선형의 유로로 형성되며, 일측에 레조네이터 넥(21)이 체결되는 홀(11)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이, 종래에는 레조네이터(20)가 에어덕트(10)를 통해 에어클리너(30)와 결합되는 방식으로 고정설치되었다.
이로 인해, 차량의 엔진룸 내 공간을 많이 차지하여 설치에 따른 불편함이 있었으며, 상기 레조네이터(10)를 에어덕트(10)를 통해 에어클리너(30)와 결합되는 구조이기 때문에 그 구조가 다소 복잡한 구조를 이루었다.
따라서, 본 출원인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할 수 있도록 한 레조네이터 챔버가 형성된 에어클리너를 강구하게 되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들은 소음을 상쇄시킬 수 있도록 한 레조네이터와 공기를 정화할 수 있도록 한 에어클리너를 일체화하여 그 구조를 간소화하고, 또한, 엔진룸의 공간을 넓혀 다른 엔진부품들의 설치가 용이하도록 한 레조네이터 챔버가 형성된 에어클리너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공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한 공기흡입구 및 유입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배출구가 형성된 에어클리너에 있어서, 상기 에어클리너는 일측에 상기 공기흡입구가 형성되는 하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과 결합되며 일측에 배출구가 형성되되,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측에 공간을 갖도록 격벽에 의해 레조네이터 챔버 형성되고, 상기 격벽을 관통하여 상기 레조네이터 챔버와 연통되도록 하는 챔버유입구가 형성된 레조네이터 챔버가 형성된 에어클리너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조네이터 챔버는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측 측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측공간 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레조네이터 챔버는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측 상부에 형성될 수 있다.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에어덕트를 사용하지 않고 레조네이터를 에어클리너 내측에 설치함으로써, 그 구조를 간소화하고, 또한, 레조네이터를 에어클리너 내측에 설치함으로써, 차량의 엔진룸 공간을 넓혀 다른 엔진 부품의 설치가 용이하다.
도 1은 종래 레조네이터가 에어클리너와 체결된 모습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체결구조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조네이터 챔버가 형성된 에어클리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레조네이터 챔버가 형성된 에어클리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따른 레조네이터 챔버가 형성된 에어클리너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조네이터 챔버가 형성된 에어클리너는 에어클리너의 하우징 내측에 일정한 공간을 형성하여 에어클리너 내측으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가 상기 공간을 거쳐 유동될 수 있도록 함으로써, 주파수를 변환시켜 소음을 저감시킬 수 있도록 하는 동시에 에어클리너 내에 레조네이터가 구비되도록 함으로써, 레조네이터와 에어클리너 간의 결합구조를 간소화하여 결과적으로 차량의 엔진룸 내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조네이터 챔버가 형성된 에어클리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분해사시도 이며, 도 4는 도 2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조네이터 챔버가 형성된 에어클리너는 내부에 수용공간을 갖는 에어클리너(110)와, 상기 에어클리너(110)의 상부하우징(120) 내에 형성되는 레조네이터 챔버(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에어클리너(110)는 배출구(122)가 형성된 상부하우징(120)과, 상기 상부하우징(120)과 결합되어 내부에 수용공간을 가지며 일측에 공기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한 공기흡입구(132)가 마련된 하부하우징(1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상부하우징(120)과 하부하우징(130) 사이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정화시킬 수 있도록 한 에어필터(150)가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상부하우징(120)은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하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일측에 에어클리너(110) 내부로 유입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배출구(12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하부하우징(130)은 상기 상부하우징(120)의 개방된 하부와 결합되는 것으로, 상기 상부하우징(120)과 마찬가지로 내부에 수용공간이 형성된 함체 형상으로 형성되되, 상부가 개방되도록 형성되며, 일측에 외부의 공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한 공기흡입구(132)가 형성될 수 있다.
에어필터(150)는 상기 상부하우징(120) 및 하부하우징(130) 내에 위치되는 것으로, 직사각형 형태로 형성되며, 공기 중에 포함된 불순물을 여과시킬 수 있다. 이때, 상기 에어필터(150)는 상기 상부하우징(120)과 하부하우징(130)이 결합되는 부분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조네이터 챔버가 형성된 에어클리너는 상부하우징(130)의 수용공간 내에 유입된 공기의 일부를 유입할 수 있도록 한 공간인 레조네이터 챔버(14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레조네이터 챔버(140)는 외부의 공기를 흡입하면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상쇄시킬 수 있도록 한 것으로, 상기 에어필터(150)를 통과한 공기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상부하우징(120)의 일측에 격벽(142)을 통해 소정의 공간을 갖도록 하고, 상기 공간과 연통되도록 상기 격벽(142)을 관통하는 챔버유입구(144)를 형성하여 상기 에어필터(150)를 통과하면서 정화된 공기의 일부가 상기 챔버유입구(144)를 통해 레조네이터 챔버(140) 내로 유입되도록 하여 에어클리너(110) 내의 압력이 저감되도록 함으로써 소음을 상쇄시킬 수 있다.
이때,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조네이터 챔버가 형성된 에어클리너는 상부하우징(120)과 하부하우징(130)의 결합시 발생하는 내부 공간을 활용하는 것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하우징(120)의 측면 일측에 형성할 수 있으며, 경우에 따라선,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하우징(120)의 상측에 형성할 수도 있다.
즉, 격벽(142)을 상기 에어필터(150)와 평행하도록 형성하고, 상기 격벽(142)을 관통하도록 챔버유입구(144)를 수직하게 형성하여 에어필터(150)를 통과한 공기가 상기 챔버유입구(144)를 유입되도록 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레조네이터 챔버가 형성된 에어클리너는 상기 레조네이터 챔버(140)가 에어클리너(110) 내로 유입된 공기의 일부를 유입하여 수용공간 내의 공기유동을 안내함으로써, 에어클리너(110)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소음을 줄일 수 있다.
또한, 레조네이터 역할을 하도록 에어클리너(110) 내측에 레조네이터 챔버(140)를 형성시킴으로써, 기존 에어덕트(10)를 통해 에어클리너(30)와 결합되던 레조네이터(20)가 필요치 않아 결합을 간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차량의 엔진룸 공간을 확보할 수 있는 등, 타 엔진부품의 설치가 용이해 질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실용신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고안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고안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고안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110 : 에어클리너 120 : 상부하우징
122 : 배출구 130 : 하부하우징
132 : 공기흡입구 140 : 레조네이터 챔버
142 : 격벽 144 : 챔버유입구
150 : 에어필터

Claims (3)

  1. 공기를 유입할 수 있도록 한 공기흡입구 및 유입된 공기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한 배출구가 형성된 에어클리너에 있어서,
    상기 에어클리너는 일측에 상기 공기흡입구가 형성되는 하부하우징과, 상기 하부하우징과 결합되며 일측에 배출구가 형성되되,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측에 공간을 갖도록 격벽에 의해 레조네이터 챔버 형성되고, 상기 격벽을 관통하여 상기 레조네이터 챔버와 연통되도록 한 챔버유입구가 형성되는 레조네이터 챔버가 형성된 에어클리너.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조네이터 챔버는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측 측면 일측에 형성되어 상기 상부하우징의 내측공간 활용을 극대화 할 수 있는 레조네이터 챔버가 형성된 에어클리너.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조네이터 챔버는 상기 하부하우징의 내측 상부에 형성되는 레조네이터 챔버가 형성된 에어클리너.


KR2020130002146U 2013-03-22 2013-03-22 레조네이터 챔버가 형성된 에어클리너 KR20140005181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146U KR20140005181U (ko) 2013-03-22 2013-03-22 레조네이터 챔버가 형성된 에어클리너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2146U KR20140005181U (ko) 2013-03-22 2013-03-22 레조네이터 챔버가 형성된 에어클리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5181U true KR20140005181U (ko) 2014-10-02

Family

ID=524509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2146U KR20140005181U (ko) 2013-03-22 2013-03-22 레조네이터 챔버가 형성된 에어클리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5181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708015B (zh) 用於真空泵的過濾元件及關聯的安裝裝置
RU2012143665A (ru) Звукоизол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нагнетателя двигателя и система подачи воздуха в двигатель
US9303602B2 (en) Intake apparatus of engine for outboard motor
KR200471422Y1 (ko) 레조네이터가 분리 가능한 에어클리너
KR20130013386A (ko) 에어클리너와 레조네이터의 일체형 구조
KR20140005181U (ko) 레조네이터 챔버가 형성된 에어클리너
EP3171014B1 (en) Air intake device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KR200472761Y1 (ko) 레조네이터가 구비된 에어클리너
KR101447373B1 (ko) 레조네이터 기능이 구비된 자동차용 에어클리너
CN208010490U (zh) 消音元件以及具有它的车辆
JP6610872B2 (ja) 内燃機関の吸気装置
KR101611359B1 (ko) 레조네이터 일체형 에어클리너
US9586663B2 (en) Intake apparatus of engine for outboard motor
CN111042963B (zh) 用于内燃机的进气装置
KR101153186B1 (ko) 차량용 에어덕트
KR20140076302A (ko) 에어클리너 일체형 흡기매니폴드 장치
JP2004092615A (ja) 吸気モジュール
KR20080025997A (ko) 퍼지콘트롤 솔레노이드밸브 구조
KR20120094244A (ko) 흡기장치의 공명기능을 갖는 차량용 엔진커버
KR200477728Y1 (ko) 에어 클리너의 니플 파손 방지구조
KR20110062364A (ko) 차량 엔진의 흡기장치
CN204113508U (zh) 一种车用进气烟囱及相关车用发动机和车辆
JP2016017405A (ja) キャニスタ
KR20130060012A (ko) 자동차용 에어클리너
JP6123616B2 (ja) 船外機用エンジンの吸気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