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4958A - 커먼레일유닛 정렬장치 - Google Patents

커먼레일유닛 정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4958A
KR20140004958A KR1020120072469A KR20120072469A KR20140004958A KR 20140004958 A KR20140004958 A KR 20140004958A KR 1020120072469 A KR1020120072469 A KR 1020120072469A KR 20120072469 A KR20120072469 A KR 20120072469A KR 20140004958 A KR20140004958 A KR 2014000495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haust valve
common rail
control unit
rail unit
valve contr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24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동진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24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4958A/ko
Publication of KR2014000495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95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55/00Fuel-injection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ir fuel conduits or their venting means; Arrangements of conduits between fuel tank and pump F02M37/00
    • F02M55/02Conduits between injection pumps and injectors, e.g. conduits between pump and common-rail or conduits between common-rail and injectors
    • F02M55/025Common rai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77/08Safety, indicating, or supervising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BINTERNAL-COMBUSTION PISTON ENGINES;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 F02B77/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2B77/08Safety, indicating, or supervising devices
    • F02B77/083Safety, indicating, or supervising devices relating to maintenance, e.g. diagnostic devic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12Improving ICE efficienci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uel-Injec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커먼레일유닛의 정렬상태 확인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커먼레일유닛 상의 배기밸브컨트롤유닛과 배기밸브 및 커먼레일유닛 상의 연료분사컨트롤유닛과 연료밸브 사이에 오일공급파이프의 설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커먼레일유닛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커먼레일유닛 정렬장치는,
배기밸브컨트롤유닛의 유출구로부터 배기밸브의 유입구 사이에 위치하고, 중간에 굴곡부가 마련된 몸체;
상기 몸체의 상측 단부에 위치하고, 배기밸브의 유입구상에 형성된 볼트체결공에 일치하는 볼트체결공이 마련된 플랜지;
상기 몸체의 하측 단부에 위치하는 가늠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Description

커먼레일유닛 정렬장치{alignment device of common rail unit}
본 발명은 커먼레일유닛의 정렬상태 확인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커먼레일유닛 상의 배기밸브컨트롤유닛과 배기밸브 및 커먼레일유닛 상의 연료분사컨트롤유닛과 연료밸브 사이에 오일공급파이프의 설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커먼레일유닛 정렬장치에 관한 것이다.
엔진의 실린더에는 연료분사를 위한 연료밸브 및 배기가스의 배출을 위한 배기밸브가 마련된다.
이와 같이 실린더에 마련되어 있는 연료를 분사하는 연료밸브는 엔진 운전 과정에서 고압의 연료를 분사시키기 위하여 수없이 개폐가 반복되고, 배기가스를 배출하는 배기밸브 또한 엔진 운전과정에서 배기를 위하여 수없이 개폐가 반복된다.
이때, 실린더 내부로 분사되는 연료유는 고압용 오일공급파이프를 통해 연료밸브로 공급되며, 연료유의 공급 제어는 커먼레일유닛 상의 연료분사컨트롤유닛을 통해 이루어진다.
또한, 배기밸브를 작동하게 하는 오일은 배기밸브와 연결되는 오일공급파이프를 통해 이루어지게 되며, 오일공급파이프를 통한 오일의 공급 제어는 커먼레일유닛 상의 배기밸브컨트롤유닛을 통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커먼레일유닛 상의 연료분사컨트롤유닛 및 배기밸브컨트롤유닛에는 다수의 오일공급파이프가 일정한 간격으로 연속되게 결합되어 연료밸브 및 배기밸브로 이어지게 되므로 커먼레일유닛 상의 연료분사컨트롤유닛 및 배기밸브컨트롤유닛의 정렬이 불량한 경우 오일공급파이프의 설치에 곤란함이 따르게 된다.
즉, 연료분사컨트롤유닛 및 배기밸브컨트롤유닛을 포함하는 커먼레일유닛의 정렬이 불량한 경우 커먼레일유닛 상의 연료분사컨트롤유닛 및 배기밸브컨트롤유닛과 연료밸브 및 배기밸브 사이의 간격이 일정치 못하여 연료분사컨트롤유닛 및 배기밸브컨트롤유닛과 연료밸브 및 배기밸브 사이의 간격이 기준에 비해 멀어지거나 가까워지는 경우 오일공급파이프 설치가 이루어질 수 없게 될 뿐만 아니라 연료분사컨트롤유닛 및 배기밸브컨트롤유닛과 연료밸브 및 배기밸브 사이에 오일공급파이프의 설치가 이루어지더라도 오일공급파이프 또는 오일공급파이프 연결부위에 부하가 미쳐 오일공급파이프 또는 오일공급파이프 연결부위에 손상이 발생하게 되는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이 커먼레일유닛의 정렬 상태가 불량하여 오일공급파이프의 설치가 이루어질 수 없거나 오일공급파이프 또는 오일공급파이프 연결부위에 손상이 발생하는 경우 연료밸브 및 배기밸브로의 오일 공급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없게 되므로 결과적으로 엔진 구동이 원활히 이루어질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오일공급파이프 설치시 커먼레일유닛의 정렬 상태는 매우 중요한 요소라 할 수 있으며, 관계자들은 커먼레일유닛의 정렬 상태 확인에 신중을 기하고 있다.
그러나, 종래에는 커먼레일유닛의 정렬 상태가 불량하더라도 이를 확인할 방법이 없었으므로, 커먼레일유닛과 연료밸브 및 배기밸브 사이에 오일공급파이프를 결합하는 과정에서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수시로 커먼레일유닛의 정렬 상태를 조정하여야만 했다.
상기의 이유로 해당분야에서는 커먼레일유닛과 연료밸브 및 배기밸브 사이에 오일공급파이프를 결합하기 이전에 커먼레일유닛의 정렬 상태를 간단히 확인할 수 있도록 하는 방안을 모색하고 있으나, 현재까지는 만족할만한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실정을 감안하여 제안된 것으로, 커먼레일유닛의 정렬 상태를 확인할 수 없어 커먼레일유닛 상의 연료분사컨트롤유닛 및 배기밸브컨트롤유닛과 연료밸브 및 배기밸브 사이의 오일공급파이프 설치에 곤란함이 따랐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도록 하는 커먼레일유닛 정렬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의한 커먼레일유닛 정렬장치는,
배기밸브컨트롤유닛의 유출구로부터 배기밸브의 유입구 사이에 위치하고, 중간에 굴곡부가 마련된 몸체;
상기 몸체의 상측 단부에 위치하고, 배기밸브의 유입구 상에 형성된 볼트체결공에 일치하는 볼트체결공이 마련된 플랜지;
상기 몸체의 하측 단부에 위치하는 가늠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여기서, 상기 몸체의 굴곡부 내각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늠자는 눈금이 표시된 가이드와, 가이드 상에서 전후로 이동하는 슬라이드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커먼레일유닛 정렬장치는, 몸체의 상측 단부에 위치하는 플랜지가 볼트 체결을 통해 배기밸브의 유입구에 결합된 상태에서 가늠자 선단으로부터 배기밸브컨트롤유닛의 유출구 사이의 간격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바, 가늠자 선단으로부터 배기밸브컨트롤유닛의 최전방 및 최후방 유출구 사이의 간격을 측정함에 따라 배기밸브컨트롤유닛의 정렬 상태를 간단히 파악할 수 있게 되므로 배기밸브컨트롤유닛과 배기밸브 사이의 오일공급파이프 설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커먼레일유닛 정렬장치의 외형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커먼레일유닛 정렬장치의 정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커먼레일유닛 정렬장치의 사용상태도
이하, 첨부 도면에 의거 본 발명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커먼레일유닛 정렬장치(A)는 몸체(10)와, 플랜지(20)와, 가늠자(30)를 포함한다.
상기 몸체(10)는 배기밸브컨트롤유닛(100)의 유출구(110)와 배기밸브(200)의 유입구(210) 사이에 위치하는 것으로, 중간에 굴곡부(11)가 마련된 것이다.
이와 같은 몸체(10)에서 굴곡부(11)의 내각(r)은 90°인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10)의 굴곡부(11) 내각(r)이 90°임으로써 몸체(10) 상측 일단(12)은 배기밸브컨트롤유닛(100)에 비해 일측 상부에 위치하는 배기밸브(200)의 유입구(210)에 수평으로 인접할 수 있게 되고, 몸체(10) 하측 일단(13)은 배기밸브(200)에 비해 일측 하부에 위치하는 배기밸브컨트롤유닛(100)의 유출구(110)에 수직으로 인접할 수 있게 된다.
상기 플랜지(20)는 몸체(10)의 상측 단부(12)에 위치하는 것으로, 배기밸브(200)의 유입구(210) 상에 형성된 볼트체결공(211)에 일치하는 볼트체결공(21)이 마련된 것이다.
플랜지(20)의 볼트체결공(21)이 배기밸브(200)의 유입구(210) 상에 형성된 볼트체결공(211)에 일치함으로써 플랜지(20)의 볼트체결공(21)과 배기밸브(200)의 유입구(210) 상에 형성된 볼트체결공(211)이 서로 마주하도록 한 상태에서 볼트체결공(21)으로 볼트(22)를 체결함에 따라 배기밸브(200)의 유입구(210)상에 플랜지(20)가 간단히 고정될 수 있게 된다.
상기 가늠자(30)는 몸체(10)의 하측 단부(13)에 위치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가늠자(30)에는 눈금(31a)이 표시된 가이드(31)와, 가이드(31) 상에서 전후로 이동하는 슬라이드편(32)이 마련된다.
가늠자(30)에 눈금(31a)이 표시된 가이드(31)와, 가이드(31) 상에서 전후로 이동하는 슬라이드편(32)이 마련됨으로써 가이드(31) 상에서의 슬라이드편(32) 이동에 따라 거리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커먼레일유닛 정렬장치(A)를 통한 커먼레일유닛의 정렬 상태 확인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몸체(10) 상측 단부(12)에 위치하는 플랜지(20)가 배기밸브(200) 상에 나열된 유입구(210) 중의 최전방 유입구(210)에 결합된다.
본 발명에서 플랜지(20)에는 배기밸브(200)의 유입구(210) 상에 형성된 볼트체결공(211)과 일치하는 볼트체결공(21)이 마련되어 있는바, 플랜지(20)의 볼트체결공(21)과 배기밸브(200) 최전방 유입구(210) 상에 형성된 볼트체결공(211)을 서로 마주하도록 한 상태에서 볼트체결공(21)으로 볼트(22)를 체결하게 되면 플랜지(20)가 배기밸브(200) 최전방 유입구(210)에 결합될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배기밸브(200) 최전방 유입구(210)에 결합된 플랜지(20)로부터 이어지는 몸체(10) 하측 단부(13)에 마련된 가늠자(30)의 선단(30a)으로부터 배기밸브컨트롤유닛(100) 상에 나열된 유출구(110) 중의 최전방 유출구(110) 사이의 간격 측정이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서 가늠자(30)의 가이드(31)에는 눈금이 표시되어 있고, 가이드(31) 상에는 전후로 이동하는 슬라이드편(32)이 결합되어 있는바, 가이드(31)의 최전방에 위치하는 슬라이드편(32)을 배기밸브컨트롤유닛(100) 상에 나열된 유출구(110) 중의 최전방 유출구(110)에 접하도록 이동시켜 슬라이드편(32)의 이동 거리를 가이드(31)의 눈금(31a)을 통해 측정하게 되면 가늠자(30) 선단(30a)으로부터 배기밸브컨트롤유닛(100) 상에 나열된 유출구(11) 중의 최전방 유출구(110) 사이의 간격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다음으로, 다른 몸체(10) 또는 배기밸브컨트롤유닛(100) 상에 나열된 유출구(110) 중의 최전방 유출구(110) 사이의 간격 측정 완료 후 배기밸브(200)로부터 분리된 몸체(10)의 상측 단부(12)에 위치하는 플랜지(20)가 배기밸브(200) 상에 나열된 유입구(210) 중의 최후방 유입구(210)에 결합된다.
이때, 플랜지(20)의 결합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볼트체결공(21)을 관통하는 볼트(22) 체결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배기밸브(200) 최후방 유입구(210)에 결합된 플랜지(20)로부터 이어지는 몸체(10) 하측 단부(13)에 마련된 가늠자(30)의 선단(30a)으로부터 배기밸브컨트롤유닛(100) 상에 나열된 유출구(110) 중의 최후방 유출구(110) 사이의 간격 측정이 이루어진다.
이때, 가늠자(30)의 선단(30a)으로부터 배기밸브컨트롤유닛(100) 상에 나열된 유출구(110) 중의 최후방 유출구(110) 사이의 간격 측정은 가이드(31) 상에서의 슬라이드편(32) 이동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가늠자(30)의 선단(30a)으로부터 배기밸브컨트롤유닛(100) 상에 나열된 유출구(110) 중의 최전방 유출구(110) 사이의 간격 측정치와, 가늠자(30)의 선단(30a)으로부터 배기밸브컨트롤유닛(100) 상에 나열된 유출구(110) 중의 최후방 유출구(110) 사이의 간격 측정치가 대비된다.
이때, 가늠자(30)의 선단(30a)으로부터 배기밸브컨트롤유닛(100) 상에 나열된 유출구 중의 최전방 유출구(110) 사이의 간격 측정치와, 가늠자(30)의 선단(30a)으로부터 배기밸브컨트롤유닛(100) 상에 나열된 유출구(110) 중의 최후방 유출구(110) 사이의 간격 측정치가 동일하거나 그 차이가 허용오차(예; 0.5-1.0mm) 미만이면 배기밸브컨트롤유닛(100)은 틀어짐이 없는 것이므로 정렬 상태가 양호한 것이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가늠자(30)의 선단(30a)으로부터 배기밸브컨트롤유닛(100) 상에 나열된 유출구 중의 최전방 유출구(110) 사이의 간격 측정치와, 가늠자(30)의 선단(30a)으로부터 배기밸브컨트롤유닛(100) 상에 나열된 유출구(110) 중의 최후방 유출구(110) 사이의 간격 측정치의 차이가 허용오차 이상이면 배기밸브컨트롤유닛(100)은 틀어진 것이므로 정렬 상태가 불량한 것이라 판단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배기밸브컨트롤유닛(100)의 정렬 상태가 양호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본 발명에 의한 커먼레일유닛 정렬장치(A)를 배기밸브(200)와 배기밸브컨트롤유닛(100) 사이에서 제거하고, 배기밸브(200)의 각 유입구(210)와 배기밸브컨트롤유닛(100)의 각 유출구(110) 사이에 오일공급파이프(도면상 미도시)를 곧바로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배기밸브컨트롤유닛(100)의 정렬 상태가 불량한 것으로 판단되는 경우 측정치의 차이값에 따라 배기밸브컨트롤유닛(100)의 틀어짐을 보정하게 된다.
상기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커먼레일유닛 정렬장치(A)는, 몸체(10)의 상측 단부(12)에 위치하는 플랜지(20)가 볼트(22) 체결을 통해 배기밸브(200)의 유입구(210)에 결합된 상태에서 가늠자(30)의 선단(30a)으로부터 배기밸브컨트롤유닛(100)의 유출구(110) 사이의 간격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는바, 가늠자(30) 선단(30a)으로부터 배기밸브컨트롤유닛(100)의 최전방 및 최후방 유출구(110) 사이의 간격을 측정함에 따라 배기밸브컨트롤유닛(100)의 정렬 상태를 간단히 파악할 수 있게 되므로 배기밸브컨트롤유닛(100)과 배기밸브(200) 사이의 오일공급파이프(300) 설치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한편,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커먼레일유닛 정렬장치(A)가 배기밸브컨트롤유닛(100)과 배기밸브(200)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만 설명하였으나, 배기밸브컨트롤유닛(100)이 가공된 블럭에는 연료분사컨트롤유닛(도면상 미도시) 또한 동시 가공되어 있으므로 배기밸브컨트롤유닛(100)과 배기밸브(200) 사이에 본 발명에 의한 커먼레일유닛 정렬장치(A)를 설치함으로써 연료분사컨트롤유닛과 연료밸브 간의 정렬 또한 함께 실행할 수 있는 것은 물론이다.
10 : 몸체 11 : 굴곡부
12 : 상측 단부 13 : 하측 단부
20 : 플랜지 21 : 볼트체결공
22 : 볼트 30 : 가늠자
31 : 가이드 31a : 눈금
32 : 슬라이드편 100 : 배기밸브컨트롤유닛
110 : 유출구 200 : 배기밸브
210 : 유입구 211 : 볼트체결공
A : 정렬장치 r : 굴곡부 내각

Claims (3)

  1. 배기밸브컨트롤유닛의 유출구로부터 배기밸브의 유입구 사이에 위치하고, 중간에 굴곡부가 마련된 몸체;
    상기 몸체의 상측 단부에 위치하고, 배기밸브의 유입구상에 형성된 볼트체결공에 일치하는 볼트체결공이 마련된 플랜지;
    상기 몸체의 하측 단부에 위치하는 가늠자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먼레일유닛 정렬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몸체의 굴곡부 내각은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먼레일유닛 정렬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늠자는 눈금이 표시된 가이드와, 가이드 상에서 전후로 이동하는 슬라이드편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먼레일유닛 정렬장치.
KR1020120072469A 2012-07-03 2012-07-03 커먼레일유닛 정렬장치 KR20140004958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469A KR20140004958A (ko) 2012-07-03 2012-07-03 커먼레일유닛 정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469A KR20140004958A (ko) 2012-07-03 2012-07-03 커먼레일유닛 정렬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958A true KR20140004958A (ko) 2014-01-14

Family

ID=5014067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2469A KR20140004958A (ko) 2012-07-03 2012-07-03 커먼레일유닛 정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4958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87903A (zh) * 2022-05-20 2022-11-25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柴油机的故障检测方法、装置、动力装置及介质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387903A (zh) * 2022-05-20 2022-11-25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柴油机的故障检测方法、装置、动力装置及介质
CN115387903B (zh) * 2022-05-20 2024-04-19 潍柴动力股份有限公司 柴油机的故障检测方法、装置、动力装置及介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692168B (zh) 一种发动机缸盖气门导管孔位置度检测装置及其检测方法
CA2538984A1 (en) Method of accurately metering a gaseous fuel that is injected directly into a combustion chamber of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EP2031222A3 (en) Fuel injection system with learning control to compensate for actual-to-target injection quantity
EP2105607A3 (en) Fuel injector with built-in fuel pressure sensor
WO2009051195A1 (ja) ガス燃焼式打込み工具
CN105134181A (zh) 覆岩破坏带多段封堵同步测漏方法
CN102812226A (zh) 用于识别内燃机的电子调节的燃料喷射系统的故障行为的方法
RU2015114181A (ru) Способы для выявления износа цилиндра насоса высокого давления
EP2806147B1 (en) Combustion control device and method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ATE455949T1 (de)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kraftstoffsystems einer brennkraftmaschine
KR20140004958A (ko) 커먼레일유닛 정렬장치
CN104482311A (zh) 管道套管同轴定位装置及管道套管同轴定位方法
KR20140007828A (ko) 인젝터의 제어량을 결정하기 위한 방법
KR20110021573A (ko) Lpi엔진의 연료 공급 시스템
WO2011153118A3 (en) Low leakage cam assisted common rail fuel system, fuel injec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for
ITRM980093A1 (it) Sistema di comando per l'impianto di iniezione di carburante in motori a combustione inerna a piu' cilindri
JP2015086812A (ja) コモンレールシステムの故障診断システム及びその故障診断方法
US9062643B2 (en) Method for determining the amount of fuel leaving an injector
CN105424292B (zh) 一种基于康明斯pt喷油器密封性检测装置
KR20160125057A (ko) 대형 내연기관의 커먼레일 연료 인젝터 및 연료펌프 시험 장치
KR20090004731U (ko) 디스켈러 노즐 각도 측정용 지그장치
CN110905658A (zh) 移动式柴油机高压分路的压力诊断装置及方法
RU2009101381A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контроля блока управления двигателем
CN203732051U (zh) 张拉千斤顶伸长量测量装置
US8646278B2 (en) Condition measurement apparatus and metho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