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4852A -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이용한 카드북의 생성방법. - Google Patents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이용한 카드북의 생성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4852A
KR20140004852A KR1020120072036A KR20120072036A KR20140004852A KR 20140004852 A KR20140004852 A KR 20140004852A KR 1020120072036 A KR1020120072036 A KR 1020120072036A KR 20120072036 A KR20120072036 A KR 20120072036A KR 20140004852 A KR20140004852 A KR 20140004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d
cardbook
book
information
card boo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20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99052B1 (ko
Inventor
김영곤
Original Assignee
(주)터치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터치엔 filed Critical (주)터치엔
Priority to KR10201200720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99052B1/ko
Priority to PCT/KR2012/005351 priority patent/WO2013006002A2/ko
Publication of KR20140004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85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990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990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20/00Payment architectures, schemes or protocols
    • G06Q20/08Payment architectures
    • G06Q20/12Payment architecture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shopping systems
    • G06Q20/123Shopping for digital content
    • G06Q20/1235Shopping for digital content with control of digital rights management [DRM]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30/00Commerce
    • G06Q30/02Marketing; Price estimation or determination; Fundraising
    • G06Q30/0281Customer communication at a business location, e.g. providing product or service information, consult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40Business processes related to the transportation industry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Finance (AREA)
  • Economics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Game Theory and Decision Science (AREA)
  • Information Retrieval, Db Structures And Fs Structures Therefor (AREA)
  • Document Process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이용한 카드북의 생성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생성될 카드북에 속하는 개별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구성하는 콘텐츠의 정보가 저장될 파일 및 폴더를 생성하고 생성될 카드북에 할당하여 카드북 그룹으로 그룹핑하여 상기 파일 및 폴더를 포함하는 카드북 번들 파일을 생성하는 카드북 그룹 생성단계(S10); 사용자에게 상기 카드북을 구성하는 개별 카드를 작성하는 카드 편집창을 제공하여, 상기 카드북 그룹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개별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작성하도록 하여 입력받아 저장하는 개별 카드 입력/작성 단계(S20); 사용자에 의하여 작성된 개별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구성하는 콘텐츠의 정보를 변환하여 상기 카드북에 할당된 카드북 번들 파일의 파일 및 폴더에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카드북 정보 저장 단계(S30); 카드북 번들 파일의 카드북 서버로의 업로드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카드북 번들 파일을 카드북 발행을 위한 카드북 발행 파일로 변환하는 카드북 구성 요청을 수신하는 카드북 구성 단계(S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이용한 카드북의 생성방법.{A method for building cardbook using knowledge card based on digital information}
본 발명은 카드북의 생성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디지털 기반의 표준화된 형태로 제작된 지식 정보 카드를 이용하여 카드북을 생성하는 카드북 생성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스마트폰 사용자가 증가하면서 기존의 웹기반에 더해서 무선인터넷을 통한 콘텐츠에 대한 수요와 공급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인터넷에서 정보를 취득하는 경로는, 여러 곳에 산재된 정보를 사용자가 검색을 통해 부분적으로 얻게 되는 경로가 대부분이며, 이로 인해 특정 주제에 관련된 정보를 일목요연하게 얻기에는 한계가 있다.
한편, 일반 도서를 컴퓨터상에서 열람할 수 있도록 하는 전자책(e-book)의 등장으로 컴퓨터 단말을 통한 정보 습득에 대한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3-0086873 전자북 제작 방법 및 시스템(유니웨이브) 2003.11.12(문헌 1)에는 서버에서 제공하는 온라인 콘텐츠 서비스와 오프라인 상에서의 전자북 제작 툴이 연동하여 다양한 전자북을 제작하고 다수의 사용자가 공유할 수 있는 전자북 제작 방법을 개시하고 있다.
또한,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1-0040209 전자북의 생성/관리 서버 및 그 방법(박영욱) 2011.04.20(문헌 2)에는 컴퓨터에 저장되어 있는 이미지를 찾아서 전자북 생성/관리 서버로 이미지를 업로드하고, 업로드된 이미지를 전자북의 페이지에 맞게 변환하여 해당 페이지에 적응하는 전자북의 생성/관리 서버를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북은 속성상, 스토리를 기반으로 하여 일련의 페이지로 구성되는 서적의 개념이 인터넷에서 구현되도록 한 것이며, 이에 따라 사용자의 측면에서 원하는 주제에 따라, 그 내용 및 구성을 편집하거나 재구성하고자 하는 욕구를 충족시키지 못하고 있다. 즉, 전자책은 표시되는 개별 페이지가 자기완결성을 갖도록 구성되어있지 않은 것이다.
이에 따라, 본 출원인 및 발명자에 의하여, 이러한 전자책의 근본적 한계를 극복하는 개념으로, 개별 카드 단위로 직관적이고 자기 완결성을 갖는 특정 지식 정보를 디지털 기반의 표준화된 형태로 구현하는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 그 생성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개발되어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출원(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1-0066852"호)되어 존속 중에 있다.
위 발명의 상용화와 확대, 카드북의 판매를 통한 수익모델의 정립을 위해 시스템과 효율적으로 연계될 수 있고, 사용자 친화적인 디지털 기반의 표준화된 형태로 구현된 지식 정보 카드를 이용하여 보다 확장성 있고 활용도가 높은 형태의 카드북을 생성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다.
[문헌 1]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03-0086873 전자북 제작 방법 및 시스템(유니웨이브) 2003.11.12. [문헌 2] 한국공개특허공보 10-2011-0040209 전자북의 생성/관리 서버 및 그 방법(박영욱) 2011.04.20.
따라서, 본 발명은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이용하여 카드북을 생성하는 카드북의 생성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이는 시스템 기반 하에 디지털 기반의 지식정보카드를 생성하여 사용자, 혹은 공급자가 용이하게 공급, 사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카드북을 구성, 전시하도록 체계화한 것이다.
또한, 제작된 카드북을 전시, 판매하는 수익모델을 고려하였으며 사용자 친화적이고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이용하여 카드북을 생성, 구성, 전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이용한 카드북의 생성방법으로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생성될 카드북에 속하는 개별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구성하는 콘텐츠의 정보가 저장될 파일 및 폴더를 생성하고 제작될 카드북에 할당하여 카드북 그룹으로 그룹핑하여 상기 파일 및 폴더를 포함하는 카드북 번들 파일을 생성하는 카드북 그룹 생성단계(S10); 사용자에게 상기 카드북을 구성하는 개별 카드를 작성하는 카드 편집창을 제공하여, 상기 카드북 그룹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개별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작성하도록 하여 입력받아 저장하는 개별 카드 입력/작성 단계(S20); 사용자에 의하여 작성된 개별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구성하는 콘텐츠의 정보를 변환하여 상기 카드북에 할당된 카드북 번들 파일의 파일 및 폴더에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카드북 정보 저장 단계(S30); 카드북 번들 파일의 카드북 서버로의 업로드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카드북 번들 파일을 카드북 발행을 위한 카드북 발행 파일로 변환하는 카드북 구성 요청을 수신하는 카드북 구성 단계(S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드북 그룹 생성단계는, 카드에 사용된 이미지와 각 카드의 XML파일을 저장하는 카드 폴더, 각 카드에 오브젝트로서 포함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저장하는 미디어 폴더, 각 카드의 스냅 샷으로 생성된 각 카드의 이미지를 저장하는 썸네일 폴더, 카드북의 기본 정보를 저장하는 XML파일, 각 카드가 가지는 고유 번호별 순서를 저장하는 XML파일을 생성하여 압축함으로써, 상기 카드북 번들 파일을 생성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개별 카드 입력/작성 단계(S20)는, 카드의 크기 및 배경 이미지를 정의하는 템플릿을 생성하거나 기 생성된 템플릿을 선택하는 템플릿 생성/선택 단계(S21); 상기 템플릿을 호출하고 카드의 본문 내용을 삽입하여 개별 카드를 생성하는 개별 카드생성/편집 단계(S22); 및 작성이 완료된 개별 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개별 카드 정보 저장단계(S23);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템플릿 생성/선택 단계(S21)는 카드의 본문 부분의 스크롤이 가능한 형태의 스크롤 카드의 생성을 위한 템플릿을 생성하도록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개별 카드생성/편집 단계(S22)는, 본문의 내용에 멀티미디어를 삽입하는 멀티미디어 삽입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개별 카드생성/편집 단계(S22)는, 본문의 내용에 타 카드로의 링크를 삽입하는 링크 삽입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드북 구성 단계는, 카드북의 판매 및 관리를 위한 웹에 접속한 사용자의 로그인 요청에 따라 접속된 사용자를 인증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기 개설된 웹상의 카드북 판매를 위한 숍과의 연동 요청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증/숍 연동 요청 수신단계; 카드북의 발행을 위한 기본정보인 카드북 발행 기본정보를 입력을 위한 입력창을 제공하여, 카드북 발행 기본정보를 입력받는 카드북 발행 기본정보 입력단계; 및 사용자의 업로드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카드북 발행 기본정보를 포함하여 카드북 발행을 위한 카드북 파일로 변환하여 업로드하는 카드북 파일 변환/업로드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카드북 발행 기본정보에는 카드북의 발행자 정보를 포함하고, 카드북 발행 기본정보 입력단계는, 상기 카드북의 발행자는 기 개설된 웹상의 카드북 판매를 위한 숍에 기 등록된 하나 이상의 발행자를 디스플레이하여 이중 사용자에 의하여 발행자가 선택되도록 수행된다.
또한 바람직하게는, 상기 카드북에 포함된 각 카드의 이미지 또는 외부 이미지를 상기 카드북의 커버 이미지로서 선택하는 커버 이미지 선택단계를 더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여기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커버 이미지 선택단계의 수행에 의하여 커버 이미지가 선택되면, 상기 카드북 번들 파일 내 커버 폴더를 생성하여 상기 커버 폴더에 해당 이미지를 저장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
한편, 카드북 파일 변환/업로드 단계는, 하나 이상의 모바일 기기의 운영체계별로 폴더를 생성하여, 각 카드의 XML파일을 하나 이상의 모바일 기기의 운영체계에서 사용되는 각 운영체계용 HTML형식의 파일로 변환하여 상기 HTML형식의 파일을 모바일 기기의 운영체계별로 생성된 폴더에 저장하며, 카드에 사용된 이미지와 멀티미디어 파일을 저장하는 미디어 폴더를 생성하여, 카드에 사용된 모든 이미지와 멀티미디어 파일을 미디어 폴더에 저장하고, 각 카드의 스냅 샷으로 생성된 각 카드의 이미지를 저장하는 썸네일 폴더, 및 상기 커버 폴더를 압축함으로써, 상기 카드북 파일을 생성하도록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바람직하게는 카드북의 제작완료 여부의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제작완료 선택 시 제작완료 정보를 수신하고, 카드북 판매를 위한 숍의 해당 카드북의 상태정보를 제작완료 상태로 게시하도록 수행될 수 있으며, 카드북의 제작완료 여부의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제작 중 선택 시 제작 중 정보를 수신하고, 카드북 판매를 위한 숍의 해당 카드북의 상태정보를 제작 중 상태로 게시하도록 수행된다.
바람직하게는, 카드북 판매를 위한 숍에 게시된 카드북 정보에서의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사용자로부터 카드북의 전시를 위한 정보인 발행 카드북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발행 카드북 정보 입력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발행 카드북 정보 입력의 완료에 따라, 카드북 판매를 위한 숍의 해당 카드북의 상태정보를 변경하도록 수행될 수 있으며, 발행 카드북 정보의 입력이 완료된 경우 카드북 판매를 위한 숍의 해당 카드북의 상태정보에서의 판매개시 입력을 수신하여, 카드북 게시 정보를 생성하여 카드북의 판매를 개시하는 카드북 게시 정보 생성/판매개시 단계를 포함하여 수행될 수 있다.
또한, 발행 카드북 정보의 입력이 완료된 경우 카드북 판매를 위한 숍의 해당 카드북의 상태정보에서의 심사요청 입력을 수신하며, 카드북의 심사를 통해 선택된 카드북에 대하여 카드북 게시 정보를 생성하여 카드북의 판매를 개시하도록 수행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하면, 카드북의 판매를 통한 수익모델 또는 시스템과 효율적으로 연계될 수 있는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이용하여 카드북을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사용자 친화적이고 사용자가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는 방식으로 특정 지식 정보를 디지털 기반의 표준화된 형태로 구현하는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카드북을 생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도1은 본 발명이 수행되는 카드북 발행 환경의 구성도.
도2는 본 발명의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이용한 카드북의 생성방법의 흐름도.
도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카드북 그룹 생성단계의 흐름도 및 카드북 번들 파일의 구조도.
도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카드북 그룹 생성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실제 구현화면.
도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개별 카드 입력/작성 단계 및 카드북 정보 저장 단계의 흐름도
도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템플릿 생성/선택과정의 흐름도.
도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템플릿 생성/선택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실제 구현화면.
도4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카드 생성/편집과정의 흐름도
도4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카드 생성/편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실제 구현화면.
도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작되는 카드의 예시적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빌더의 카드 제작을 위한 각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빌더의 카드 제작을 위한 기능 아이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카드북 구성 단계의 흐름도 및 카드북 파일의 구조도.
도6b 및 도6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카드북 구성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실제 구현화면.
도7a 및 도7b는 본 발명이 실시되는 카드 빌더의 구조 및 주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빌더의 구현화면.
도8a 내지 도8d는 본 발명이 실시되는 카드북 서버의 카드 숍의 주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카드 숍의 구현화면.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출원일 이전에 동일 출원인 및 발명자는 2011년 7월 6일자로 대한민국 특허청에 특허 출원된 대한민국 특허출원 "10-2011-0066852"호를 통하여, 특정 지식 정보를 마크업 언어(card markup language)를 통해 디지털 기반의 표준화된 카드 형태로 제공하는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 생성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기록 가능한 매체를 제안하였다.
본 발명은 위 출원과 상호 참조되며, 위 발명의 상용화를 위하여, 카드북의 판매를 통한 수익모델 또는 시스템과 효율적으로 연계될 수 있고, 사용자 친화적으로 사용자가 용이하게 특정 지식 정보를 디지털 기반의 표준화된 형태로 구현하는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생성하고 이를 이용하여 카드북을 생성하는 카드북을 생성하는 방법을 제시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이용한 카드북의 생성방법을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1은 본 발명이 수행되는 카드북 발행 환경의 구성도이다.
본 발명의 카드북 생성방법은 사용자가 지식 정보 카드를 용이하게 제작할 수 있도록 카드북 발행자에게 제공되는 전용 프로그램으로서의 카드 빌더(1)와 카드북 발행자, 구독자, 광고주에게 제공되어, 카드북의 제작, 판매 관리 및 홍보, 수익 분배, 카드북의 구매 및 구독 등의 기능을 제공하는 카드북 웹 사이트를 운영하는 카드북 서버(2)를 카드북 발행 환경으로서 이용하여 수행된다.
카드북 웹 사이트는, 별도로 제공되는 카드북 뷰어의 설치만으로 운영자가 추천하는 무료카드와 카드북에 관한 정보인 카드 캐스트를 무료로 송신하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카드 채널", 발간되어 판매되는 카드북을 전시하고, 관련 정보를 제공하는 "카드 마켓", 카드북의 제작, 발행, 판매를 원하는 카드 발행자 단위로 생성되어, 카드북의 제작, 발행, 판매, 수익분배 등의 관리 기능을 제공하는 카드 숍을 분류하여 관련정보를 제공하는 "카드 숍"서비스 등을 포함한다.
특정 사용자가 개설한 "카드 숍"은 상단의 "마이페이지" 메뉴를 통하여 접속하며, 사전 인증된 특정 사용자는 이를 통하여, 카드북의 제작, 발행, 판매, 수익분배를 관리한다.
본 발명은 상기 카드 빌더(1)와 카드 숍을 포함한 카드북 서버(2)의 특징적인 기능을 통하여 구현된다.
도7은 본 발명이 실시되는 카드 빌더의 구조 및 주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빌더의 구현화면이며, 도8은 본 발명이 실시되는 카드북 서버의 카드 숍의 주요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카드 숍의 구현화면으로 도7 및 도8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에 앞서 본 발명의 실시와 관련된 상기 카드 빌더(1) 및 카드 숍의 주요 기능을 설명한다.
도7a의 (a)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되는 카드 빌더는, 상단 메뉴 영역(A), 카드작업 편집창(B), 작업 중 카드 그룹(C), 현재 작업 중인 카드작업 그룹 /카드 템플릿/삽입 Object(D), 카드 메타 DB 및 속성(E), 작업 중 카드 내비게이션 /자주 쓰는 이미지 저장(F) 창으로 구성되어 각 설정된 기능을 수행하는 구조로 구성된다.
상단 메뉴 영역(A)은 카드 빌더의 메뉴 영역으로, 도7(b)와 같이, 새로운 카드작업 그룹을 만들고, 추가 카드 제작 편집 창 생성 및 제작된 카드를 저장하는 기능 등을 수행하는 "파일(F)"부, 편집 영역의 복사, 붙이기, 삭제, 등의 제작중 편의 기능을 제공하는 "편집(E)"부 등이 포함되어 있으며, 새로운 카드 작업 그룹을 생성을 위한 "새그룹"기능부, 서버(Server)상에 존재하는 내 카드 작업그룹을 열기 위한 "내작업" 기능부, 카드 작업그룹(cdbl 파일)을 열기 위한 "그룹열기" 기능부, 작업 중이던 카드작업그룹(cdbl파일)을 저장하고 닫기 위한 "그룹닫기" 기능부, 작업 중이던 모든 카드작업그룹(cdbl파일)을 저장하기 위한 "그룹저장" 기능부, 현재 작업 중이던 카드작업그룹(cdbl파일)을 새 이름으로 저장하는 "새 이름으로"기능부, 현재 작업 중이던 카드작업그룹(cdbl파일)을 서버에 전송하는 "그룹업로드"기능부, 새로운 카드 템플릿 생성을 위한 "새 템플릿"기능부, 새로운 카드 편집창을 생성하여 새로운 카드를 만들기 위한 "새 카드"기능부, 작업을 마친 카드북파일 (cdbx파일)을 Local PC에 저장하는 "내보내기"기능부, 작업을 마친 카드북 번들 파일(cdbl파일)을 카드북 파일(cdbx 파일)로 변환하여 서버에 전송하기 위한 "카드북 구성"기능부, 및 현재 작업 중인 카드북을 가상 스마트폰 화면에서 미리 보기 위한 "미리 보기" 기능부 등의 아이콘이 디스플레이 되어 각각의 기능을 수행한다.
카드작업 편집창(B)은 본 발명의 개별 카드를 작성하는 작업장으로서, 그 기능은 본 발명의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작업 중 카드 그룹(C) 창은 도7b의 (c)와 같이 구성되어, 현재 작업 중인 카드를 보여주며, 작업 중인 카드의 텍스트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텍스트 요약"과 작업 중인 카드에 삽입된 이미지 목록을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이미지 요약"메뉴가 구성되어 있다.
현재 작업 중인 카드작업 그룹/카드 템플릿/삽입 Object(D) 창은 도7b의 (d)와 같이 구성되어, 도7b의 (d) 상단에서와 같이 "열린 카드그룹"의 클릭을 통하여 카드 빌더에서 현재 작업 중인 카드북 번들파일(cdbl)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동시에 하나 이상의 카드북 번들 파일을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카드 템플릿에 관한 정보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한 "카드 템플릿"메뉴와, 도7b의 (d)하단에 표시된 카드의 편집에 사용되는 텍스트 이미지, 확대이미지, 스크롤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등의 기능 오브젝트의 아이콘을 디스플레이하는 "오브젝트"메뉴가 구성되어 있다.
카드 메타 DB 및 속성(E) 창은 도7b의 (e)와 같이 구성되어 현재 카드 편집창에서 작업 중인 카드 / 오브젝트의 좌표값 및 기타 속성 값을 디스플레이하며, 이를 수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속성"메뉴와 . 현재 활성화된 카드의 메타 DB를 기록할 수 있도록 한다. 메타 DB는 카드 Title , 관련 Tag , 본문 텍스트 등의 카드의 검색 분류 등을 위한 메타 데이터를 포함한다.
도8a의 (a)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에 사용되는 카드 서버에서 운영하는 카드 숍은, 카드북의 발행을 위하여, 숍 개설 또는 가입(편집 가능한 회원등급일 때)이 요구되는 정책으로 운영된다. 제작한 카드북을 숍에 업로드하면 이후 카드북 서버에서 운영하는 카드북 웹사이트 상의 "카드 채널", "카드 마켓"을 통하여 홍보 판매되며, 카드 숍 운영자별로 자신의 카드북 관리를 위한 공간으로서 사용된다.
도8a(b)는 카드 숍에 포함된 숍 관리 기능의 페이지로, 숍 관리는 크게 기본 설정 관리와 카드북 관리로 구성되어 있다. 기본 설정 관리에서는 숍의 기본 정보와 프로필 등을 설정할 수 있으며, 타이틀바(bar)와 서체 등을 원하는 형태로 변경하여 숍의 개성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숍에 가입 중인 회원들의 등급 조정과 게시판 생성 및 관리를 할 수 있다.
도8b(c)는 카드 숍에 포함된 카드북 관리 기능의 페이지로, 숍에서는 카드북 관리를 통해 숍에서 발행 중인 카드북에 대한 총괄 관리를 할 수 있다. 카드 빌더를 통해 카드북을 제작하여 서버에 등록한 후, 해당 숍에서 발행 정보를 입력되거나, 자동으로 업데이트된다. 숍 내의 카드북의 발행정보에는 발행일, 카드북 타이틀, 유형, 서비스, 상태변경 등의 정보를 디스플레이하며, 도8b(d)에서와 같이, 카드북의 발행 단계에 따라, 사용자의 상태 변경의 입력 또는 자동으로 서비스 항목 하단의 상태가 변경되도록 구성된다.
유료 카드북의 경우 별도의 심사요청/승인 절차를 거쳐야 하며, 제작된 카드북을 판매 개시하는 순간부터 해당 카드북은 사이트 카테고리 및 숍 쇼룸에 전시되도록 운영된다.
도8b(d)는 쇼룸 관리 페이지로, 숍 내에 있는 쇼룸은 판매중인 카드북을 전시할 수 있는 공간이며, 판매자가 원하는 형태의 템플릿을 설정하여 카드북을 전시하도록 운영된다.
도8c(e)는 카드북 관리 페이지에 게시된 각 카드북의 상태정보를 표시한 화면으로, 본 발명의 실시에 따라 업로드된 카드북의 "유형"이 "유료" 또는 "무료"로 관리되며, "서비스" 항목의 발행상태가 "편집완료","판매중지", "제작중", "제작완료", "판매중"등으로 표시되고, "판매대기", "판매개시","제작완료"등의 "상태변경" 버튼의 클릭에 따라 카드북의 발행상태를 변경시키거나 "발행정보 입력"상태 변경 버튼의 입력에 따라 도8d(f)의 카드북 발행정보입력페이지에서 카드북 발행정보를 입력하도록 하고 입력완료시 발행상태를 "판매중"(무료 카드북)으로 변경시키게 된다.
카드북 발행정보입력 웹 페이지에서는 도8d(g)의 카드북의 유료 판매정보를 입력하도록 하는 웹페이지를 제공하고, 유료로 입력되는 유료 카드북의 경우 운영자의 심사를 받아 통과된 경우에 한하여 판매가 가능하도록 하는 정책이 채택되며 이 경우 "서비스"에는 "심사중"이 표시되고 심사가 완료된 카드북에 대하여 "판매개시"로의 변경이 가능하도록 운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카드북 생성방법의 실시예는 상기 카드 빌더(1)와 카드 숍을 포함한 카드북 서버(2)의 특징적인 기능을 통하여 구현되며, 이를 기초로 본 발명의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2는 본 발명의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이용한 카드북의 생성방법의 흐름도로서, 도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이용한 카드북의 생성방법은 기본적으로, 카드북 그룹 생성단계(S10), 개별 카드 입력/작성 단계(S20), 카드북 정보 저장 단계(S30), 카드북 구성 단계(S40)를 포함하여 수행된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카드북 그룹 생성단계(S10)는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생성될 카드북에 속하는 개별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구성하는 콘텐츠의 정보가 저장될 파일 및 폴더를 생성하고 생성될 카드북에 할당하여 카드북 그룹으로 그룹핑하여 상기 파일 및 폴더를 포함하는 카드북 번들 파일을 생성한다.
도3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카드북 그룹 생성단계의 흐름도 및 카드북 번들 파일의 구조도이고, 도3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카드북 그룹 생성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실제 구현화면이다.
도3a 및 도3b를 참조하여, 카드 빌더의 기능을 통하여 설명하면, 카드북 그룹 생성단계(S10)는, 사용자가 카드 빌더 상에서 (1) 상단메뉴 상 '새 그룹'만들기 작업 (2) 그룹 이름(프로젝트명) 입력 작업 (3) 그룹 저장 (확장자 .cdbl로 그룹이 저장)을 함으로써 수행되며,(4) 수행 결과 생성된 카드북 번들파일을 카드 빌더 좌측 하단에 생성된 그룹 확인을 통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도3b에 (1) 내지 (4)에 표시된 카드 빌더의 입/출력 창들이 이용 및 표시된다.
생성되는 카드북 번들 파일(cdbl)은 카드북에 속하는 개별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구성하는 콘텐츠의 정보가 저장되는 파일 및 폴더와 카드북의 구성 정보를 저장하는 마크업 언어 파일을 카드북 그룹으로 그룹핑하여 압축하고 이를 카드북 단위로 할당하는 형태로 생성된다.
콘텐츠의 정보가 저장될 파일 및 폴더는, 도3a(b)의 새 그룹 파일(cdbl)에 서와 같이, (1) cards 폴더에는 개별 카드를 구성하는 XML 파일과 카드의 배경 구성에 사용되는 이미지 파일(HEAD/BODY/TAIL 이미지 등)을 저장하는 폴더("카드폴더") (2) 카드북을 구성할 때 쓰이는 커버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는 폴더("커버 폴더") (3) 카드의 콘텐츠를 구성하는 이미지(또는 이미지화된 텍스트), 오디오, 동영상 등의 오브젝트들을 저장하는 폴더("미디어 폴더"), (4) 카드북 빌더에서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템플릿 이미지 및 사용자에 의하여 작성되어 추가되는 템플릿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는 폴더("템플릿 폴더"), (5) 각각의 개별 카드의 캡처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는 폴더("thumbnails 폴더")와 (6)카드북의 구성 정보를 저장하는 하나 이상의 마크업 언어 파일을 포함하며, 카드북의 구성 정보를 저장하는 마크업 언어 파일은 카드북의 기본 정보(카드북 파일명, 카드북 명)를 저장하는 XML 파일("cardbundle.xml")과 각 카드의 순서정보인 각 카드가 가지는 고유 번호별 넘버링 정보를 저장하는 XML 파일(cardseq.xml)을 포함하는 구조를 갖는다. 여기서, 상기 XML 파일("cardbundle.xml")의 정보는, 개별 카드를 구성하는 XML 파일을 스타일 시트와 결합하여 각 운영체계에 맞는 형태로 HTML 형태로 변환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별도 제작되는 변환 프로그램에서 cdbl 파일을 관리할 목적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해당 카드북의 cdbl 파일의 고유 식별 아이디, 생성 일자, 편집 상태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한다. 각 카드의 순서정보인 각 카드가 가지는 고유 번호별 넘버링 정보를 저장하는 XML 파일(cardseq.xml)은 카드북 발행 파일(cdbx) 의 인덱스 파일(index.xml)을 만들 때 참조된다. 즉, 변환 프로그램이 개별 카드를 구성하는 XML 파일을 읽을 때(변환 프로그램 내의 메모리에 개 별 카드에 해당하는 객체가 생성될 때), 위 XML 파일(cardseq.xml)을 읽어 메모리 내의 카드 객체의 순서를 조정하며, 카드북 발행 파일(cdbx)로 변환시 그 순서 정보를 카드북 발행 파일(cdbx)의 인덱스 XML 파일( index.xml)에 기록하는 방식으로 사용된다.
카드북 번들 파일(cdbl)은 기본적으로 카드 빌더가 내장된 PC등 클라이언트에 저장되며, "그룹업로드" 또는 "카드북 구성"을 통하여 서버에 업로드되어 저장된다.
개별 카드 입력/작성 단계(S20)는 사용자에게 상기 카드북에 속하는 개별 카드를 작성하는 카드 편집창을 제공하여, 상기 카드북 그룹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개별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작성하도록 하여 입력받아 저장한다.
카드북 정보 저장 단계(S30)는 사용자에 의하여 작성된 개별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구성하는 콘텐츠의 정보를 변환하여 상기 카드북에 할당된 카드북 번들 파일의 파일 및 폴더에 업데이트하여 저장한다.
도4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개별 카드 입력/작성 단계 및 카드북 정보 저장 단계의 흐름도이며, 도4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템플릿 생성/선택과정의 흐름도, 도4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템플릿 생성/선택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실제 구현화면, 도4d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카드 생성/편집과정의 흐름도, 도4e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카드 생성/편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실제 구현화면이다.
도4a를 참조하면 개별 카드 입력/작성 단계는 카드 빌더에서의 템플릿 생성/선택 과정(S21), 개별 카드 생성/편집 과정(S22), 개별 카드 정보 저장(S23)의 카드 빌더 상에서의 일련의 과정에 의하여 수행되며, 개별 카드의 작성이 완료되면 사용자가 "그룹저장" 기능 버튼 또는 "새 이름으로" 기능 버튼을 클릭함으로써 카드북 번들 파일의 파일 및 폴더에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카드북 정보저장 단계(S30)가 수행된다.
도4b 및 도4c를 참조하면, 카드 빌더에서의 템플릿 생성/선택 과정(S21)은 (1)상단메뉴 상 "새 템플릿" 만들기, (2) 템플릿 이름 입력 및 카드크기 설정 (기본 규격은 아이폰용의 경우 640x960), (3)1차 템플릿 완성 (카드템플릿 편집창 활성), (4) 이미지 생성/선택적용(앞면/뒷면), (5)이미지 삽입 과정에 의하여 수행되며, 이를 위하여 도4c의 (1) 내지 (4)에 표시된 카드 빌더의 입/출력 창들이 표시 및 이용된다.
템플릿 생성/선택 과정(S21)에 있어 스크롤이 발생하는 카드인지 여부에 따라, 스크롤이 발생하지 않는 카드의 경우 (4) 이미지 생성/선택적용(앞면/뒷면) 및 (5) 이미지 삽입과정에 있어, 카드의 배경이 이미지를 생성 또는 선택하여, 도4c (5)의 창에 BODY 이미지만을 삽입함으로써 템플릿이 생성되고, 스크롤이 발생하는 카드의 경우에는 도4c의 (5)의 창에 도5a (c)에서와 같이 제작된 BODY 이미지/HEAD 이미지/TAIL이미지를 각각 삽입하여 스크롤이 가능한 형태의 스크롤 카드의 제작을 위한 템플릿을 생성한다.
도4d 및 도4e를 참조하면, 개별 카드 생성/편집 과정(S22)은 (1)템플릿호출인식, (2)"새카드" 클릭 및 편집창 활성화, (3) 본문 이미지삽입, (4)카드생성완료/저장 과정을 기본적으로 수행하여 개별 카드를 생성하여 개별 카드 정보를 저장하게 되며, 본문 이미지는 카드의 내용을 구성하는 부분으로서 본 실시예의 경우 텍스트 등을 포함한 카드의 본문을 미리 이미지화하여, 도4e(3)에서와 같이 도4e(1) 및 도4e(2)를 통하여 호출되어 인식된 템플릿을 기반으로, 메뉴상의 "새카드"기능을 클릭하여 활성화된 편집창을 더블 클릭하면 디스플레이 되는 카드배경이미지 변경 창에 미지 제작된 이미지를 BODY 이미지로서 삽입하고, 저장함으로써 도4e(4)와 같은 개별 카드의 생성/편집과정이 완료된다.
또한, 뒷면이 존재하는 카드의 경우, 사용자가 카드 빌더에서 동일한 방법으로 뒷면 버튼(미도시)을 클릭하여 뒷면을 작성하게 되며, 위 과정을 반복하여 카드북을 구성하는 하나 이상의 카드를 제작하게 된다. 도4e(5)와 같이 작업 중인 카드북을 구성하는 개별 카드가 디스플레이 되어 선택 편집될 수 있다.
아울러,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를 포함한 멀티미디어 카드의 경우에는 도5b의 카드 빌더의 멀티미디어 기능 창을 이용하여, 카드 내에 이미지를 포함시키거나, 동영상 올리기, 오디오 올리기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멀티미디어를 카드 내에 삽입하여 멀티미디어 카드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카드북을 구성하는 카드 간 또는 이미지 등 파일 간 링크가 존재하는 카드의 경우에는 도5b(a)의 화면을 이용하여 카드 간 또는 이미지 파일간의 링크 걸기를 통하여 카드 내 링크가 존재하는 링크 카드를 제작하게 되며, 이를 통하여 도5(b) 와 같이, 각 개별 목차를 클릭시 링크된 해당 카드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는 목차 카드의 생성과정의 수행이 가능해진다.
사용자에 의하여 개별 카드의 작성이 완료되면, 사용자는 카드 빌더 메뉴의"그룹저장" 버튼의 클릭을 하여 카드북을 저장하며, 작성된 개별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구성하는 콘텐츠의 정보를 변환하여 상기 카드북에 할당된 카드북 번들 파일의 파일 및 폴더에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카드북 정보 저장 단계(S30)가 수행되어 카드 빌더에서의 카드북 제작 작업이 완료된다. 도4e(6)에서와 같이 제작 완료된 카드 및 카드북은 빌더 내 "카드북 미리보기" 기능을 통하여 실제 폰에서 보여지는 것과 유사하게 보기가 가능하도록 실시된다.
도5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제작되는 카드의 예시적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b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빌더의 카드 제작을 위한 각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5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빌더의 카드 제작을 위한 기능 아이콘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으로, 도5a 내지 도5c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 카드 빌더에서 제작되는 멀티미디어 카드, 스크롤 카드, 링크 카드 및 목차카드, 스크롤 이미지 등의 특수한 기능 및 구성의 카드의 제작방법의 주요 부분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특수한 기능 및 구성의 카드의 제작에는 도7b의 카드 빌더의 현재 작업 중인 카드작업 그룹/카드 템플릿/삽입 Object(D)창에서 삽입Object의 선택에 의하여 디스플레이 되는 도5c의 창에 아이콘의 형태로 포함된 각 기능 오브젝트가 사용된다.
디스플레이 되는 각 기능 오브젝트 아이콘을 선택하여 카드 편집창의 해당 영역에 끌어 넣기한 뒤 콘텐츠를 삽입 또는 링크하거나 기능을 설정함으로써 특수 기능 및 특수 구조의 카드 제작 작업이 용이하게 수행된다.
먼저, 도5c를 참조하면, 각 기능 오브젝트는 이미지 영역 더블클릭 후 이미지 삽입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오브젝트(이미지/포토 기능 오브젝트), 큰 이미지를 썸네일 형태로 삽입하여 스마트폰에서 터치시 이미지를 확대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오브젝트(이미지 확대 기능 오브젝트), 큰 이미지를 지정하여 영역 내에 배치하고 상하/좌우/상하좌우 스크롤 형태로 디스플레이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오브젝트(스크롤 이미지 기능 오브젝트), PC에 있는 동영상 업로드 또는 외부에 있는 동영상 링크 연결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오브젝트(동영상 기능 오브젝트), PC에 있는 오디오/사운드 카드 내에 삽입하는 기능을 수행하는 오브젝트(오디오 기능 오브젝트), 및 텍스트 입력창을 형성하는 오브젝트(텍스트 기능 오브젝트) 등을 포함하고 있다.
도5a를 참조하면, 본 레이아웃의 경우 도5c의 이미지/포토 기능 오브젝트, 텍스트 오브젝트, 이미지 확대 오브젝트의 아이콘을 편집창에 끌어넣기 하여 배치하고 사이즈를 조절함으로써 제작된다.
도5a(a) 및 도5a(b)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작성되는 카드의 본문 내용 즉 콘텐츠의 레이아웃 구성예로서, 도5a(a)의 카드의 경우 카드 상단은 텍스트 기능 오브젝트를 사용하여, 카드의 Title 표기 부분을 형성하고, 그 하부에 이미지 기능 오브젝트 및 텍스트 기능 오브젝트를 사용하여 이미지 및 텍스트 입력박스(좌측: 이미지 배치, 우측: 이미지 관련 텍스트 배치)를 배치하고, 중단부분에 이미지 기능 오브젝트, 텍스트 기능 오브젝트, 및 이미지 확대 기능 오브젝트를 사용하여 텍스트 입력박스 및 그 하단에 이미지 및 확대 이미지(4개 큰 이미지 옆에 Phone Viewer에서 터치하면 확대되는 이미지를 4개 배치)를 배치하고, 마지막 텍스트 입력박스를 배치한 구성으로, 텍스트 입력 박스에는 직접 텍스트를 입력하거나, 빌더에서 제공되지 않는 다양한 형태의 텍스트 표현을 위하여 전문 편집 툴에서 텍스트를 이미지화하여 이미지 파일을 입력하는 방식으로 텍스트 콘텐츠를 카드에 삽입할 수도 있다.
도5a(b)의 카드의 경우 전형적인 멀티미디어 카드의 레이아웃의 예로서, 이미지, 동영상, 오디오 등 멀티미디어가 삽입된 멀티미디어 카드의 구성예이다. 본 레이아웃의 경우 도5c의 이미지/포토 기능 오브젝트, 텍스트 기능 오브젝트, 이미지 확대 기능 오브젝트, 동영상 기능 오브젝트, 이미지/포토 기능 오브젝트, 텍스트 기능 오브젝트, 이미지 확대 기능 오브젝트의 아이콘을 편집창에 끌어넣기 하여 배치하고 사이즈를 조절함으로써 제작된다. 동영상 기능 오브젝트의 경우 해당 영역을 더블클릭하여 또는 외부 서버에 있는 동영상을 링크하여 연결하고, 오디오 기능 오브젝트의 경우 해당 영역을 더블 클릭하여 PC에 있는 오디오 파일을 직접 삽입하는 방법으로 실시되어 멀티미디어 카드를 제작하게 된다. 구체적으로는 동영상 올리기의 경우 동영상 기능 오브젝트의 아이콘을 카드 편집창에 끌어 놓은 뒤 더블 클릭한 뒤 도5b(c)같은 화면을 통해 내부PC 또는 외부 서버의 동영상 경로를 지정하여 링크를 삽입하며, 카드에 표시되는 동영상의 이미지도 직접 선택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
도5b(a)의 경우 카드 간 링크 걸기를 설명하는 도면으로, 본 실시예의 카드 간 링크걸기 기능을 이용하여 카드북에 있는 카드들 간의 연결 링크를 제작할 수 있으며, 이는 Web에서의 Hyperlink 연결 기능과 유사한 기능이다.
우선, 링크를 걸고자 하는 영역을 이미지 오브젝트(Object)를 통해 지정한 뒤, 해당 영역에서 우측 마우스 클릭하면 카드 링크 메뉴가 도5b(a)우측 화면과 같이 디스플레이 되며, 카드링크 메뉴를 누르면 카드 링크 편집창이 나타나면 연결하고자 하는 카드를 지정하는 과정으로 링크를 수행할 수 있으며, 카드 앞면과 뒷면 각각 연결 링크를 지정할 수 있다.
특히, 목차 카드의 작성의 경우 도5b(a)의 좌측과 같은 목차를 포함한 카드에 대하여 동일한 방법을 수행함으로써, 해당 목차의 클릭에 의하여 링크된 카드로 화면을 전환하거나, 링크된 카드가 별도의 화면으로 디스플레이 되도록 제작될 수 있다.
목차 카드의 전체 생성 과정을 정리하면 도5b(b)에 정리된 바와 같이, (1)이미지 오브젝트를 클릭하여 카드의 빈곳에 끌어넣기를 수행하여 이미지 오브젝트를 지정한 뒤, (2)버튼 크기에 맞게 박스를 조절하고 (3) 우측 마우스를 클릭하여 상술한 카드링크를 통해 링크를 원하는 카드를 선택하는 단순한 방법으로 목차 카드를 생성할 수 있게 된다.
도5b(d)는 스크롤 이미지의 설정창으로, 도5c의 스크롤 이미지 기능 오브젝트를 클릭하여 카드의 빈곳에 끌어넣기를 수행한 뒤 더블클릭하여 이미지를 선택하게 된다. 이 경우 선택되는 이미지는 오브젝트 영역보다 큰 이미지이다. 중앙에 배치할 이미지 영역을 지정하고, 상/하 스크롤, 좌/우 스크롤 또는, 상/하,좌/우 스크롤을 선택이 가능한 형태로 구현된다.
본 발명의 카드북 구성 단계(S40)는, 카드북 번들 파일의 카드북 서버로의 업로드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카드북 번들 파일을 카드북 발행을 위한 카드북 파일로 변환하는 카드북 구성 요청을 수신하는 단계로서, 카드북 구성 단계(S40)는 기본적으로, 사용자 인증/숍 연동 요청 수신단계, 카드북 발행 기본정보 입력단계 및 카드북 파일 변환/업로드 단계를 통하여 수행된다.
하나 이상의 모바일 기기의 운영체계 별로 폴더를 생성하여, 상술한 카드 번들 파일(cdbl)의 각 카드의 XML파일을 하나 이상의 모바일 기기의 운영체계에서 사용되는 각 운영체계용 HTML형식의 파일로 변환하여 상기 HTML형식의 파일을 모바일 기기의 운영체계 별로 생성된 폴더에 저장하며, 카드에 사용된 이미지와 멀티미디어 파일을 저장하는 미디어 폴더를 생성하여, 카드에 사용된 모든 이미지와 멀티미디어 파일을 미디어 폴더에 저장하고, 각 카드의 스냅 샷으로 생성된 각 카드의 이미지를 저장하는 썸네일 폴더, 및 상기 커버 폴더를 압축하는 방식으로 상기 카드북 번들 파일이 변환되어 상기 카드북 파일이 생성될 수 있다. 아울러, 개별 카드의 순서정보가 기록된 인덱스 XML(index.xml)파일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카드북 번들 파일의 카드북 파일로의 변환은, 개별 카드를 구성하는 XML 파일을 스타일 시트와 결합하여 각 운영체계에 맞는 형태로 HTML 형태로 변환하는 방식으로 변환 기능을 수행하도록 JAVA 등의 프로그램 언어로 별도 제작된 변환 프로그램이 사용되어 자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인덱스 XML(index.xml)파일은 카드북 번들 파일(cdbl)의 각 카드가 가지는 고유 번호별 넘버링 정보를 저장하는 XML 파일(cardseq.xml)을 참조하여 변환 프로그램에서 자동 생성된다. 즉, 변환 프로그램이 개별 카드를 구성하는 XML 파일을 읽을 때(변환 프로그램 내의 메모리에 개 별 카드에 해당하는 객체가 생성될 때), 위 XML 파일(cardseq.xml)을 읽어 메모리 내의 카드 객체의 순서를 조정하며, 카드북 발행 파일(cdbx)로 변환시 그 순서 정보를 카드북 발행 파일(cdbx)의 인덱스 XML 파일( index.xml)에 기록하는 방식으로 생성된다.
사용자 인증/숍 연동 요청 수신단계에서는 카드북의 판매 및 관리를 위한 웹에 접속한 사용자의 로그인 요청에 따라 접속된 사용자를 인증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기 개설된 웹상의 카드북 판매를 위한 숍과의 연동 요청을 수신한다.
카드북 발행 기본정보 입력단계에서 카드북의 발행을 위한 기본정보인 카드북 발행 기본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을 제공하여, 카드북 발행 기본정보를 입력받는다.
카드북 파일 변환/업로드 단계에서는 사용자의 업로드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카드북 발행 기본정보를 포함하여 카드북 발행을 위한 카드북 파일로 변환하여 업로드한다.
카드북 발행 기본정보에는 카드북의 발행자 정보를 포함하고, 카드북 발행 기본정보 입력단계에서는, 상기 카드북의 발행자는 기 개설된 웹상의 카드북 판매를 위한 숍에 기 등록된 하나 이상의 발행자를 디스플레이하여 이중 사용자에 의하여 발행자가 선택되도록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6a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카드북 구성 단계의 흐름도 및 카드북 파일의 구조도이며, 도6b 및 도6c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카드북 구성 단계를 설명하기 위한 실제 구현화면으로서, 본 발명의 카드북 구성 단계의 실시예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6a 및 도6b를 참조하면, 카드북 구성 단계의 수행을 위하여 사용자는 카드 빌더의 "카드북 구성"메뉴 아이콘을 클릭하며, 이에 따라, 도6b(1)와 같이 사용자의 인증을 위한 로그인 창이 디스플레이 된다. 이미 로그인 되어 있는 경우 로그인 창은 디스플레이 되지 않는다.
상기 로그인 창을 통하여 사용자가 카드북 서버 가입 시 아이디와 비밀번호를 입력하면, 사용자 인증과 업로드하려는 카드북의 숍 연동요청이 카드 빌더에서 카드북 서버로 발송되고 카드북 서버에서는 (1) 사용자 인증/숍 연동 요청을 수신하게 된다.
카드북 구성 단계는 작업 중 또는 작업 완료된 카드북 번들파일(cdbl)을 카드북 파일(cdbx) 형태로 서버에 업로드하는 과정으로 카드북 구성을 위해서는 카드북 타이틀, 카드북 발행자(shop계정)를 선택하여야 한다. 사용자가 기 개설한 카드 숍 또는 즉 기존 타인의 카드 숍 가입하기를 통해 가입승인을 받았거나, 카드북 구성을 위해서는 본인의 shop을 개설하여 카드북 발행자로 등록되거나, 타인의 숍에서 발행자로서의 권한을 가져야 한다.
따라서, 사용자가 다수의 카드 숍에 발행자로서의 권한을 가질 수 있으며 이 경우, 도6b(1)의 우측화면에서와 같이, 인증된 사용자에 대하여 권한을 갖는 다수의 숍의 리스트 즉, 가입한 커뮤니티 정보를 카드 빌더로 제공하여 이중 카드북 파일의 업로드를 원하는 숍을 선택 입력하도록 실시된다. 하나의 카드 숍에 대하여만 발행자 권한을 갖는 경우 본 과정은 생략될 수 있다.
이어, 도6b(2)의 카드북 발행 기본 정보 입력창이 디스플레이 되고, 이를 통하여 사용자는 카드 숍의 웹 발행정보에 게시될 카드북 타이틀을 입력하며, 이는 후술하는 웹 발행정보에서 변경이 가능하도록 수행된다. 또한, 상기 창에는 숍에 등록된 발행자 리스트가 전송되어 디스플레이 되고 사용자는 발행자를 선택하도록 하는 (2)카드북 발행정보 입력 과정이 수행되며, 카드북 발행 기본 정보 입력창에 있어서, 카드 스펙 / 편집자 자동 입력되고 변경이 불가하도록 구현된다.
카드북 발행 기본 정보의 입력이 완료되면, 카드북 전체를 표현하는 커버를 선택하도록 도6b(3)의 카드북 커버이미지 선택창이 디스플레이 되어 사용자가 커버이미지를 선택하도록 하는 (3)커버 이미지 선택과정이 수행되며, 이 경우, 상기 커버 이미지 선택과정의 수행에 의하여 커버 이미지가 선택되면, 상기 카드북 번들 파일 내 커버 폴더를 생성하여 상기 커버 폴더에 해당 이미지를 저장하도록 수행될 수 있다.
이어, 도6b(4)의 카드북 목차 카드 선택창이 디스플레이 되어 사용자가 목차 카드를 선택하는 (4) 목차 카드 선택과정이 수행된다.
상기 과정의 수행이 완료되면, 도6c(5)의 제작완료 여부를 선택하는 제작완료 여부 선택창이 디스플레이 되고, (5) 제작완료 여부의 사용자의 선택을 입력받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어,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카드북 파일변환/업로드 과정이 수행되어, (6)카드북 번들 파일을 카드북 파일로 변환하여 카드북 서버에 업로드하는 과정이 수행된다. 이때 카드북 서버는 사용자의 제작완료 선택 시 제작완료 정보를 수신하고, 카드북 판매를 위한 숍의 해당 카드북의 상태정보를 제작완료 상태로 게시하며, 사용자의 제작 중 선택 시 제작중 정보를 수신하고, 카드북 판매를 위한 숍의 해당 카드북의 상태정보를 제작중 상태로 게시하게 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카드북 파일(cdbx)은 도6a(b)와 같은 구성을 가지며, iOS용 HTML 저장되는 "cards"폴더, Android용 HTML이 저장되는 "cards_a", 카드북 구성 또는 내보내기를 통하여 카드 표지 선택 시 폴더 생성과 함께 표지 이미지 저장된 커버 이미지를 저장하는 "covers"폴더, 카드에 사용된 모든 이미지와 오디오 파일이 저장되는 "media"폴더, 빌더 내에서 각 카드 저장 시 스냅 샷으로 카드 이미지가 저장된 이미지 파일을 저장하는 "thumbnails"폴더를 포함된 압축파일의 형태를 가진다.
카드북 파일변환/업로드 과정의 수행에 따라 업로드된 제작이 완료된 카드북의 경우 도8c(e)의 카드북 관리 페이지에 관련 정보가 개시되며, "서비스" 항목의 발행상태가 "제작완료"로 표시되고, "상태변경"항목에는 "발행정보입력" 버튼이 활성화된다.
제작중 업로드된 카드북의 경우 "서비스" 항목의 발행상태가 "제작중"으로 표시되고, "제작완료"완료 버튼의 입력에 의하여 발행상태가 "제작완료"로 표시되고, "상태변경"항목에는 "발행정보입력" 버튼이 활성화된다.
로그인하여 카드 숍에 접속한 사용자는 발행 카드북 관리 페이지에서 업로드한 카드북에 대한 "발행정보입력"버튼을 클릭하게 되고, 이에 따라, 도8d(f))의 발행 카드북 정보와 도8d(g)의 카드북 유료판매 정보 입력 웹페이지를 제공받게 되며 카드북 판매를 위한 숍에 게시된 카드북 정보에서의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사용자로부터 카드북의 전시를 위한 정보인 발행 카드북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7)발행 카드북 정보 입력단계가 수행되며, 상기 발행 카드북 정보 입력의 완료에 따라, 카드북 판매를 위한 숍의 해당 카드북의 상태정보가 변경된다.
발행 카드북 정보로는 카드북 타이틀, 콘텐츠 형식, 분류 결정 등이 입력되며 카드북의 판매시 전시 및 분류정보로서 사용된다.
무료 카드북의 경우 즉시 "판매대기" 상태가 되어 사용자의 상태변경항목에는 "판매개시"활성화되며, 유료 카드북의 경우 카드북 판매를 위한 숍의 해당 카드북의 상태정보에서의 심사요청 입력을 수신하여, 운영자에 의하여 카드북의 심사를 통해 선택된 카드북에 대하여 "판매대기"상태가 되고 사용자의 상태변경항목에는 "판매개시"버튼이 활성화된다.
사용자의 "판매개시"버튼의 클릭에 의하여 (8)카드북 판매를 위한 숍의 해당 카드북의 상태정보에서의 판매개시 입력을 수신하여, 카드북 게시 정보를 생성하여 카드북의 판매를 개시하는 카드북 게시 정보 생성/판매개시 단계가 수행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시스템 및 방법에서, 시스템의 기능들은 일련의 단계로 각 구성은 블록으로써 순서도 및 구성도를 기초로 설명되고 있지만, 본 발명은 단계들 및 구성의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어떤 단계나 구성은 상술한 바와 다른 단계와 다른 순서로 또는 동시에 발생 또는 중복하여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당업자라면 순서도 및 블록도에 나타낸 단계 및 구성들이 배타적이지 않고, 다른 단계나 구성을 포함되거나 순서도 및 블록도의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단계 또는 구성이 본 발명의 범위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삭제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카드북 빌더
2: 카드북 서버

Claims (16)

  1.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이용한 카드북의 생성방법에 있어서,
    사용자의 명령에 따라 생성될 카드북에 속하는 개별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구성하는 콘텐츠의 정보가 저장될 파일 및 폴더를 생성하고 생성될 카드북에 할당하여 카드북 그룹으로 그룹핑하여 상기 파일 및 폴더를 포함하는 카드북 번들 파일을 생성하는 카드북 그룹 생성단계(S10);
    사용자에게 상기 카드북을 구성하는 개별 카드를 작성하는 카드 편집창을 제공하여, 상기 카드북 그룹에 속하는 하나 이상의 개별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작성하도록 하여 입력받아 저장하는 개별 카드 입력/작성 단계(S20);
    사용자에 의하여 작성된 개별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구성하는 콘텐츠의 정보를 변환하고 상기 카드북에 할당된 카드북 번들 파일의 파일 및 폴더에 업데이트하여 저장하는 카드북 정보 저장 단계(S30);
    카드북 번들 파일의 카드북 서버로의 업로드 요청을 수신하며 상기 카드북 번들 파일을 카드북 발행을 위한 카드북 발행 파일로 변환하는 카드북 구성 요청을 수신하는 카드북 구성 단계(S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이용한 카드북의 생성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북 그룹 생성단계는,
    카드에 사용된 이미지와 각 카드의 XML파일을 저장하는 카드 폴더, 각 카드에 오브젝트로서 포함된 멀티미디어 파일을 저장하는 미디어 폴더, 각 카드의 스냅 샷으로 생성된 각 카드의 이미지를 저장하는 썸네일 폴더, 카드북의 기본 정보를 저장하는 XML파일, 각 카드가 가지는 고유 번호 별 순서를 저장하는 XML파일을 생성하여 압축함으로써, 상기 카드북 번들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이용한 카드북의 생성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카드 입력/작성 단계는,
    카드의 크기 및 배경 이미지를 정의하는 템플릿을 생성하거나 기 생성된 템플릿을 선택하는 템플릿 생성/선택 단계(S21);
    상기 템플릿을 호출하여 카드의 본문 내용을 삽입하여 개별 카드를 생성하는 개별 카드생성/편집 단계(S22); 및
    작성이 완료된 개별 카드 정보를 저장하는 개별 카드 정보 저장단계(S2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이용한 카드북의 생성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템플릿 생성/선택 단계는,
    카드의 본문 부분의 스크롤이 가능한 형태의 스크롤 카드의 생성을 위한 템플릿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이용한 카드북의 생성방법.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카드생성/편집 단계는,
    본문의 내용에 멀티미디어를 삽입하는 멀티미디어 삽입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이용한 카드북의 생성방법.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개별 카드생성/편집 단계는,
    본문의 내용에 타 카드로의 링크를 삽입하는 링크 삽입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이용한 카드북의 생성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북 구성 단계는,
    카드북의 판매 및 관리를 위한 웹에 접속한 사용자의 로그인 요청에 따라 접속된 사용자를 인증하고, 사용자에 의하여 기 개설된 웹상의 카드북 판매를 위한 숍과의 연동 요청을 수신하는 사용자 인증/숍 연동 요청 수신단계;
    카드북의 발행을 위한 기본정보인 카드북 발행 기본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입력창을 제공하여, 카드북 발행 기본정보를 입력받는 카드북 발행 기본정보 입력단계; 및
    사용자의 업로드 요청을 수신하여 상기 카드북 발행 기본정보를 포함하여 카드북 발행을 위한 카드북 파일로 변환하여 업로드하는 카드북 파일 변환/업로드 단계;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이용한 카드북의 생성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카드북 발행 기본정보에는 카드북의 발행자 정보를 포함하고, 카드북 발행 기본정보 입력단계는, 상기 카드북의 발행자는 기 개설된 웹상의 카드북 판매를 위한 숍에 기 등록된 하나 이상의 발행자를 디스플레이하여 이중 사용자에 의하여 발행자가 선택되도록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이용한 카드북의 생성방법.
  9.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카드북에 포함된 각 카드의 이미지 또는 외부 이미지를 상기 카드북의 커버 이미지로서 선택하는 커버 이미지 선택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이용한 카드북의 생성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이미지 선택단계의 수행에 의하여 커버 이미지가 선택되면, 상기 카드북 번들 파일 내 커버 폴더를 생성하여 상기 커버 폴더에 해당 이미지를 저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이용한 카드북의 생성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카드북 파일 변환/업로드 단계는,
    하나 이상의 모바일 기기의 운영체계 별로 폴더를 생성하여, 각 카드의 XML파일을 하나 이상의 모바일 기기의 운영체계에서 사용되는 각 운영체계용 HTML형식의 파일로 변환하여 상기 HTML형식의 파일을 모바일 기기의 운영체계 별로 생성된 폴더에 저장하며, 카드에 사용된 이미지와 멀티미디어 파일을 저장하는 미디어 폴더를 생성하여, 카드에 사용된 모든 이미지와 멀티미디어 파일을 미디어 폴더에 저장하고, 각 카드의 스냅 샷으로 생성된 각 카드의 이미지를 저장하는 썸네일 폴더, 및 상기 커버 폴더를 압축함으로써, 상기 카드북 파일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이용한 카드북의 생성방법.
  12. 제7항에 있어서,
    카드북의 제작완료 여부의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제작완료 선택 시 제작완료 정보를 수신하고, 카드북 판매를 위한 숍의 해당 카드북의 상태정보를 제작완료 상태로 게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이용한 카드북의 생성방법.
  13. 제7항에 있어서,
    카드북의 제작완료 여부의 선택을 입력받는 단계를 더 포함하여, 사용자의 제작 중 선택 시 제작 중 정보를 수신하고, 카드북 판매를 위한 숍의 해당 카드북의 상태정보를 제작 중 상태로 게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이용한 카드북의 생성방법.
  14. 제7항에 있어서
    카드북 판매를 위한 숍에 게시된 카드북 정보에서의 사용자의 선택에 의하여 사용자로부터 카드북의 전시를 위한 정보인 발행 카드북 정보를 입력받아 저장하는 발행 카드북 정보 입력단계;를 포함하여, 상기 발행 카드북 정보 입력의 완료에 따라, 카드북 판매를 위한 숍의 해당 카드북의 상태정보를 변경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이용한 카드북의 생성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발행 카드북 정보의 입력이 완료된 경우 카드북 판매를 위한 숍의 해당 카드북의 상태정보에서의 판매개시 입력을 수신하여, 카드북 게시 정보를 생성하여 카드북의 판매를 개시하는 카드북 게시 정보 생성/판매개시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16. 제15항에 있어서,
    발행 카드북 정보의 입력이 완료된 경우 카드북 판매를 위한 숍의 해당 카드북의 상태정보에서의 심사요청 입력을 수신하며, 카드북의 심사를 통해 선택된 카드북에 대하여 카드북 게시 정보를 생성하여 카드북의 판매를 개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이용한 카드북의 생성방법.
KR1020120072036A 2011-07-06 2012-07-03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이용한 카드북의 생성방법. KR101499052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036A KR101499052B1 (ko) 2012-07-03 2012-07-03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이용한 카드북의 생성방법.
PCT/KR2012/005351 WO2013006002A2 (ko) 2011-07-06 2012-07-05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 그 카드 생성 방법, 시스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이용한 카드북의 생성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036A KR101499052B1 (ko) 2012-07-03 2012-07-03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이용한 카드북의 생성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852A true KR20140004852A (ko) 2014-01-14
KR101499052B1 KR101499052B1 (ko) 2015-03-24

Family

ID=50140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2036A KR101499052B1 (ko) 2011-07-06 2012-07-03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이용한 카드북의 생성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99052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6799B1 (ko) 2023-03-14 2023-10-06 정황수 인공지능 모델을 활용한 웹소설 기반 웹북 생성 자동화 처리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82478A (ja) * 1993-03-26 1994-10-07 Hitachi Software Eng Co Ltd 知識情報蓄積装置
KR20120045152A (ko) * 2010-10-29 2012-05-09 에스케이플래닛 주식회사 컨텐츠 서비스 시스템, 그의 템플릿 기반 컨텐츠 제작 서비스 장치 및 방법, 그리고 이를 적용한 단말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99052B1 (ko) 2015-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996682B1 (ko) 리치 콘텐트 제작 시스템 및 그 방법과 그 방법에 대한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한 기록매체
US9372835B2 (en) System and method for presentation creation
US7159175B2 (en) Cut-list creation system, center server, advertisement creation terminals, computer programs, storage media and cut-list creation method of center server
US20130198636A1 (en) Dynamic Content Presentations
US20230086387A1 (en) Method and system for processing information in social network system
US9990102B2 (en) Creating and editing digital content works
US20110283173A1 (en) Methods and systems for designing photo books
KR102198847B1 (ko) 사용자 맞춤형 웹기반 프로그램 작화 시스템
JP5518112B2 (ja) デジタルブック提供システム
US20140164285A1 (en) System and Method for the Creation, Review and Revision of Investment Banking Materials
US20110202624A1 (en) Techniques for sharing content
JP6923298B2 (ja) 車両整備情報管理システム、車両整備情報管理方法、車両整備情報管理プログラム
JP2002335487A (ja) 電子アルバム作成システムならびに該電子アルバム作成システムに使用されるサーバ
WO2013138242A1 (en) Dynamic content presentations
JP4976083B2 (ja) 情報共有システムの情報連携プログラム
KR20130005455A (ko)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 그 카드 생성 방법, 시스템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1499052B1 (ko)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이용한 카드북의 생성방법.
KR100856132B1 (ko) 웹 대상물의 관리 시스템
JP5879247B2 (ja) 帳票作成装置およびその動作方法
JP2019020805A (ja) 反応型ウェブサイトビルダー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5949278B2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装置の制御方法、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US8775408B2 (en) Document element indexing system
KR101255199B1 (ko) 사용자 지향적 개인 출판물 저작 도구를 이용하는 웹 기반의 온라인 전자책 출판 시스템.
KR101087732B1 (ko) 전자북의 생성/관리 서버 및 그 방법
WO2013006002A2 (ko)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 그 카드 생성 방법, 시스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및 디지털 기반의 지식 정보 카드를 이용한 카드북의 생성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21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21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4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