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4765A - 샤워 헤드 - Google Patents

샤워 헤드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4765A
KR20140004765A KR1020137024873A KR20137024873A KR20140004765A KR 20140004765 A KR20140004765 A KR 20140004765A KR 1020137024873 A KR1020137024873 A KR 1020137024873A KR 20137024873 A KR20137024873 A KR 20137024873A KR 20140004765 A KR20140004765 A KR 201400047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holes
blocking
microbubble
liqu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487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2414B1 (ko
Inventor
츠요시 마츠시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엠티지
Publication of KR201400047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7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2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2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1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with multiple outlet openings; with strainers in or outside the outlet opening
    • B05B1/18Roses; Shower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3/00Mixing according to the phases to be mixed, e.g. dispersing or emulsifying
    • B01F23/20Mixing gases with liqui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3/00Baths; Douches; Appurtenances therefor
    • A47K3/28Showers or bathing douch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2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gate valve, a sliding valve or a coc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7/00Spraying apparatus for discharge of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from two or more sources, e.g. of liquid and air, of powder and gas
    • B05B7/02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 B05B7/04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 B05B7/0416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 B05B7/0425Spray pistols; Apparatus for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before discharge with arrangements for mixing one gas and one liquid without any source of compressed gas, e.g. the air being sucked by the pressurised liquid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4Water-basin installations specially adapted to wash-basins or baths
    • E03C1/0408Water installations especially for showers
    • E03C1/0409Shower handles
    • EFIXED CONSTRUCTIONS
    • E03WATER SUPPLY; SEWERAGE
    • E03C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0Domestic 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or waste water; Sinks
    • E03C1/02Plumbing installations for fresh water
    • E03C1/08Jet regulators or jet guides, e.g. anti-splash devices
    • E03C1/084Jet regulators with aerating means

Abstract

샤워 헤드(10)의 본체부(15)에 연통부재(20)가 배치되어 있다. 연통부재(20)에는, 마이크로버블용홀로써 다수의 관통홀(24)과, 큰홀(25)이 설치되어 있다. 연통부재(20)에는, 복수의 돌출부(22)가 설치되고, 각 돌출부(22)에는, 관통홀(24)이 형성되어 있다. 관통홀(24)을 수돗물이 통과하면, 압력변화에 의해, 수돗물에 용해되어 있는 기체가 마이크로버블로 되어 나오고, 수돗물에 혼재된 상태가 된다. 제1단계~제4단계까지는, 개구된 관통홀(24)의 수에 대응되게 수량이 순차 조정된다. 최대수량의 제5단계에 있어서는 큰홀이 개구된다.

Description

샤워 헤드{SHOWER HEAD}
본 발명은 마이크로버블을 포함한 액체를 토출하기 위한 샤워 헤드에 관한 것이다.
미용이나 건강을 위해, 마이크로버블(미세기포)를 포함한 물을 토출하는 샤워 헤드가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1,2 참조).
특허문헌 1에 기재된 샤워 헤드는, 미세기포발생장치에 있어서 발생된 미세기포를 함유하는 미세기포의 함유수와, 미세기포를 함유하지 않는 물 중 하나로 전환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경우, 유로폭을 변경하는 것에 의해, 미세기포의 포경을 조정할 수 있게 기재되어 있다.
한편,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샤워 헤드에는, 미세관경의 벤츄리관이 설치되어 있다. 이에 의해, 이 벤츄리관의 관내속도가 올라 고진공이 발생되고, 물로부터 과포화공기가 분리되는 것에 의해 미세기포가 발생하는 것을 이용하여 마이크로버블을 발생시키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특허공개 2007-89710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특허공개 2011-115771호 공보
특허문헌 1에는, 미세기포의 함유수를 산포할 때에 유량폭을 변경하는 샤워헤드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이 샤워 헤드에 있어서는, 미세기포발생장치에 의해 미세기포를 함유하는 미세기포함유수를 생성하고 있기 때문에, 전체의 구성이 대규모가 된다.
또한,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샤워 헤드에는, 관내속도를 올리는 것에 의해, 비교적 간단하고 쉬운 구성에 의해, 물에서 미세기포를 발생시킨다. 그러나, 미세기포를 발생시키기 위해서는, 관경을 작게 하여 관내속도를 올릴 필요가 있어, 다량의 물을 산포시키는 것이 어렵고, 수량조정이 곤란하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종래의 기술에 존재하는 과제에 주목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그 목적은, 간단한 구성으로, 마이크로버블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다량으로 액체를 산포시키는 것도 가능하도록 한 샤워 헤드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액체를 도입하는 도입구가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도입구측으로부터 도입되는 액체를 통과시켜 마이크로버블을 발생시키는 마이크로버블용홀과, 마이크로버블용홀에 대항되게 큰 개구면적을 갖는 큰홀(大孔)이 형성된 마이크로버블 발생부와,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부를 통과한 액체를 외부로 산포시키기 위한 산포홀을 갖는 산포부를 갖춘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면, 간단한 구성으로, 마이크로버블을 발생하는 마이크로버블용홀과, 이것에 대하여 큰 개구면적을 갖는 큰홀을 이용하므로 마이크로버블을 발생시키면서, 보다 많은 액체를 토출시킬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부에 형성된 홀을 막음하는 막음부와, 상기 막음부에 따라 막음된 홀의 수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부를 통과하는 액체의 양을 조정하는 조정부를 설치할 수 있다. 이 경우, 막음부재에 따라 막음된 홀의 수를 변경하는 것에 의해, 간단한 구성으로, 샤워 헤드는 산포된 액체의 양을 조정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조정부는, 상기 액체의 최대 토출량의 경우에 큰홀을 개구하고, 상기 최대토출량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큰홀을 막음시키도록 가동되게 구성할 수 있다. 이 경우, 적은 양의 액체를 산포할 때에는, 마이크로버블이 많이 포함된 액체를 산포할 수 있다
상기 구성에서, 상기 막음부에 의해 막음된 마이크로버블용홀과 상기 큰홀이,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부에서, 동심원상에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동심원상에 형성되어 있는 홀을 개폐하는 것에 의해 액체의 양을 조정할 수 있으므로, 조정부를 콤팩트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마이크로버블을 발생시킬 수 있도록 함과 동시에, 다량으로 액체를 산포시키는 것도 가능하기 위한 샤워 헤드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1실시형태의 샤워 헤드 요부의 좌측단면도이다.
도 2 (a),(b)는 샤워 헤드의 외관도로써, 도 2 (a)는 정면도, 도 2 (b)는 배면도이다.
도 3 (a)~(c)는 샤워 헤드에 사용되는 연통부재의 도면으로써, 도 3 (a)는 유입측에서 본 배면도이고, 도 3 (b)는 토출측에서 본 정면도이며, 도 3 (c)는 도 3 (a)의 c-c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4는 샤워 헤드에 사용되는 막음부재의 평면도이다.
도 5 (a)~(c)는 수량조절에 있는 막음부재와 연통부재의 위치관계를 설명하는 도면으로써, 도 5 (a)는 제1단계이고, 도 5 (b)는 제2단계이며, 도 5 (c)는 제3단계의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6 (a),(b)는 수량조절에 있는 막음부재와 연통부재의 위치관계를 설명한 도면으로써, 도 6 (a)는 제4단계이고, 도 6 (b)는 제5단계의 경우를 도시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화한 실시형태를, 도 1 ~ 도 6에 근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도 1에 도시한 단면구조를 갖는 샤워 헤드(10)를 사용한다.
먼저, 도 2를 참조하여, 샤워 헤드(10)의 외관을 설명한다. 도 2 (a)는, 본실시형태에 있는 샤워 헤드의 정면도이고, 도 2 (b)는 샤워 헤드의 배면도이다. 본 발명의 샤워 헤드(10)는 헤드부(11)와 그립부(12)로 구성되어 있다. 헤드부(11)와 그립부(12)는, 나사결합되어 일체로 고정되어 있다. 이것 헤드부(11)와 그립부(12)의 사이에는, 실링부재(도시하지 않음)가 배설되어 있다.
그립부(12)는 중공부를 갖는 원형형상이다. 이 그립부(12)의 하부 외주에는, 샤워 호스를 나사결합하기 위한 나사부(12a)가 형성되어 있다. 그립부(12)의 중공부에는, 샤워 호스로부터 액체(예를들면, 수돗물)가 공급된다.
도 2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1)의 정면측에, 산수부재(40)가 설치되어 있다. 이 산수부재(40)에는, 다수의 산수홀(40a)이 형성되어 있다. 산수홀(40a)은 산수부재(40)의 중심으로부터 방사상에 배치되어 있다. 헤드부(11)는, 산수홀(40a)을 통하여, 액체로써 수돗물을 산포한다. 또한, 이 산수부재(40)에는, 그 외부에 커버부재(42)가 결합되어 있다.
도 2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1)의 배면에는, 회전조작부(60)가 설치되어 있다. 이 회전조작부(60)에는 조작돌기부(60a)가 형성되어 있다. 이 조작돌기부(60a)를 파지하여 회전조작부재(60)를 도 2 (b)에 도시된 R방향 및 그 반대방향(반 R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이 조작돌기부(60a)를 조작하는 것에 의해, 수량이랑 마이크로버블량을 조절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1을 참조하여, 헤드부(11)의 내부구성을 설명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헤드부(11)는, 본체부(15)를 갖추고 있다. 이 본체부(15)는, 공급로(15a)가 형성된 원통부, 그릇형상의 완상측부(15b) 및 저부(15c)로 구성되어 있다. 중공의 공급로(15a)는, 그립부(12)의 중공부에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더하여, 공급로(15a)는, 완상측부(15b) 및 저부(15c)에 의해 구획된 내부공간에 연통하도록 개구되어 있다. 따라서, 그립부(12)의 중공부로 공급된 수돗물은, 공급로(15a)를 통하여, 본체부(15)의 내부공간으로 공급된다.
저부(15c)에는, 후술하는 연통부재(20)를 고정하기 위한 원통형상의 복수의 고정부(15d)(본 실시형태에서는 3개)가 형성되어 있다. 각 고정부(15d)는, 완상측부(15b)내의 산수부재(40)측(이하, 완상측부(15b)의 개구측으로 한다)에 돌출됨과 아울러, 내부에는 나사홈이 마감되어 있다. 또한, 저부(15c)의 중앙에는 관통홀(15e)이 형성되어 있다. 이 저부(15c)의 배면측 표면에는, 복수의 요부(15f)가 형성되어 있다. 요부(15f)는, 회전조작부재(60)에 연동하는 막음부재(50)를 일시적으로 고정시키기 위하여 사용되고 있으며, 수량조정단계의 수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샤워 헤드(10)의 수량조정은 5단계로 행해지므로, 5개의 요부(15f)가 본체부(15)의 저부(15c)에 형성되어 있다.
본체부(15)의 완상측부(15c) 내부공간에는, 마이크로버블발생부로써 연통부재(30)가 배치되어 있다. 이 연통부재(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5)에 실링부재(30)를 통하여 결합되어 있다. 또한, 이 연통부재(20)에는 복수의 고정홀(20a)이 형성되어 있다. 각 볼트(31)가 각각 고정홀(20a)을 관통하여 고정부(15d)에 나사결합되는 것에 의해 연통부재(20)는 본체부(15)에 고정된다.
연통부재(20)는, 원판형상의 본체부와, 완상측부(15b)의 개구측에 돌출된 복수의 돌출부(22)와, 이것 돌출부(22)와는 반대측에 있고 본체부의 중앙으로부터 돌출된 중앙돌부(23)를 갖추고 있다. 각 돌출부(22)에는, 관통홀(24)이 형성되어 있다. 이 관통홀(24)은 수돗물로부터 마이크로버블을 생성하는 장공 역할을 한다. 즉, 돌출부(22)는 관통홀(24)을 통과한 물에 마이크로버블을 발생하는데 필요한 길이를 갖고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7개의 관통홀(24)이 형성되어 있다. 각 관통홀(24)은 완상측부(15b)의 개구측을 향해 확경되어 있다. 그래서, 각 관통홀(24)을 수돗물이 관통하면, 압력변화에 의해 수돗물에 용해되어 있는 기체가 마이크로버블로 나오고 수돗물에 혼재된 상태가 된다.
도 3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통부재(20)에는 관통홀(24)에 대응되게 큰 개구면적을 갖는 큰홀(大孔)(25)이 형성되어 있다. 이 큰홀(25)은, 통과한 물에 마이크로버블을 발생하지 않는 크기로 형성되어 있으며, 샤워 헤드(10)에서 산포량을 증량시키기 위해 단위시간당 연통부재(20)를 통과하는 수량을 증가시킨다. 연통부재(20)의, 토출측에는 도 3 (b)의 정면도 및 도 3 (c)의 단면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큰홀(25)을 막도록 확산부재(25a)가 설치되어 있다. 큰홀(25)에서 토출된 물은, 이 확산부재(25a)에 의해 확산되면서, 연통부재(20)를 통과한다. 또한, 이 큰홀(25)의 통수면적은, 예를들면 마이크로버블을 토출하는 관통홀(24)의 20배정도이다. 관통홀(24) 및 큰홀(25)의 배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체부(15)에는 개구측에 있어, 산포부재로써 산수부재(40)가 나사결합되어 있다. 이 산수부재(40)와 본체부(15) 사이(나사결합면 사이)에는, 실링부재(41)가 배치되어 있다. 산수부재(40)는, 바닥을 갖는 통체의 구성을 갖고 있고, 저부에는 산수홀(40a)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연통부재(20)의 배면측(본체부(15)의 개구측과는 반대측)에는, 막음부재(50)가 배치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이 막음부재(50)에는, 판상부(51)와 계합돌부(52)가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이 판상부(51)는, 크고 작은 부채꼴 형상의 판부재가 계합돌부(52)를 끼워 대향되게 배치된 형상을 갖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부(51)는 연통부재(20)의 중앙돌부(23)에 결합된다. 이 판상부(51)는, 중앙돌부(23)를 중심축으로 하는 회전에 의해, 관통홀(24) 및 큰홀(25)을 개폐하는 크기를 가지고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음부재(50)의 계합돌부(52) 내측에는, 스프링수용부재(55)의 개구측에 돌부가 결합되어 있다. 이 스프링수용부재(55)의 개구측 및 배면측에는, 고리모양의 돌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수용부재(55)의 개구측 돌부와, 막음부재(50)의 계합돌부(52) 사이에는, 스프링(56)이 압축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스프링수용부재(55)의 배면 돌부에는, 개구측에서 볼트(58)가 관통된 상태로 유지되고 있다. 스프링수용부재(55)와 볼트(58) 사이에는, 실링부재(57)가 배치되어 있다. 또한, 스프링수용부재(55)의 배면측 돌부와, 본체부(15) 사이에는, 실링부재(59)가 배치되어 있다. 막음부재(50)는, 회전조작부재(60)의 중심부에 볼트(58)에 나사 결합되는 것으로, 일체화되고, 본체부(15)에 대하여 회전가능하게 결합되어 있다. 따라서, 회전조작부재(60)를 회전시키면, 막음부재(50)의 판상부(51)는 스프링(56)에 의해 연통부재(20)를 압압시키면서 일체로 되어 회동한다.
또한, 회전조작부재(60)에는, 본체부(15)의 요부(15f)에 대응되게 요부(60b)가 형성되어 있다. 이 요부(60b)에는 스프링(61) 및 걸림멈춤부재(62)가 수용되어 있다. 걸림멈춤부재(62)는, 구형상을 하고 있고, 스프링(61)에 의해 요부(60b)로부터 튀어나오는 방향에 압압되어 있다. 회전조작부재(60)를 회전시키면, 걸림멈춤부재(62)가 요부(15f)에 끼워지는 것에 의해, 그 위치에서 회전조작부재(60)의 회전이 일시적으로 정지된다. 이 결과, 이 회전조작부재(60)에 연결되어 있는 막음부재(50)는, 회전조작부재(60)의 정지 위치에 일시적으로 유지된다. 걸림멈춤부재(62)가 요부(15f)에서 해제되도록 회전조작부재(60)를 회전시킬 경우, 이 회전조작부재(60)의 회전에 따라 막음부재(50)도 회전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막음부재(50)에 관련된 스프링수용부재(55), 스프링(56), 실링부재(57,59), 볼트(58) 및 회전조작부재(60)에 의해 조정부가 구성된다.
다음, 이 연결부재(20)에 형성된 관통홀(24) 및 큰홀(25)의 배치에 대하여,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형태에서는 관통홀(24)로써, 7개의 관통홀(24a,24b,24c,24d,25e,24f,24g)가 형성되어 있다. 관통홀(24a~24g)은, 부채꼴 형상의 판상부(51) 형상에 대응되게 배치되고, 같은 시기에 개구되는 관통홀이 연통부재(24)상에서 계합돌부(52)를 중심으로 하여 분산되게 배치되어 있다.
도 3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각 관통홀(24)은 2중의 동심원상에 배치되어 있다. 외측 원상에는 관통홀(24a,24b,24c)이 배치되어 있고, 내측 원상에는 관통홀(24d,24e,24f, 24g)이 배치되어 있다.
외측 원상에 있는 관통홀(24a)는, 연통부재(20)의 중심으로부터 연장된 X축선을 기준으로 하여, 그 X축선에서 시계방향으로 90도, 이간된 위치, 즉 각도 -90도에 배치되어 있다.
관통홀(24b,24c)은, X축선에서 반시계방향으로 각각 각도 90±α°(예를들면 α=30), 이간된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관통홀(24d)은, X축선에서 시계방향으로 α°, 이간된 위치, 즉, 각도 -α°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관통홀(24e)은, X축선에서 반시계방향으로 180-α°, 이간된 위치 즉, 각도 180-α°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고, 관통홀(24d)와 점대칭에 배치되어 있다.
관통홀(24f)은, X축선에서 반시계방향으로 α°, 이간된 위치 즉, 각도 α°에 배치되어 있고, 관통홀(24e)과 선대칭에 배치되어 있다.
관통홀(24g)은, 원주방향에서 관통홀(24e)과 관통홀(24f)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큰홀(25)은 한 쪽 측면이 각도 180+α°의 위치에 일치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이 큰홀(25)은, 대략 관통홀(24d)과 선대칭이며, 관통홀(24f)과 점대칭의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큰홀(25)은, 관통홀(24a~24c)이 배치되어 있는 외측의 원보다도 내측에 형성되어 있다.
다음, 이상과 같이 구성된 샤워 헤드(10)의 수량조정의 동작에 대하여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5단계의 수량조정을 행하는 경우로 가정한다. 여기에서는, 회전조작부재(60)를 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제1단계~제5단계의 순으로 수량이 많게 되는 예를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의 샤워 헤드(10)는, 통상 수량이 많은 제4단계 및 제5단계의 수량에서 사용된다.
제1단계
먼저, 최소수량을 산포하는 제1단계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5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계에 있어서, 막음부재(50)의 판상부(51)는, 큰홀(25) 및 관통홀(24d~24g)을 막음하는 위치에 정지하고 있다. 한편, 관통홀(24a~24c)은 항상 개구되어 있다. 이 때문에 샤워 헤드(10)는 관통홀(24a~24c)을 통과한 수량으로 마이크로버블을 포함한 물을 산포한다.
제2단계
제1단계의 상태에서, 회전조작부재(60)를 R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걸림멈춤부재(62)가 요부(15f)로부터 벗어나 회전하고, 다음의 요부(15f)에서 걸림멈춤부재(62)가 결합한다. 회전조작부재(60)의 회전 및 정지에 따라 막음부재(50)도 회전 및 정지한다. 제2단계에 있어서, 도 5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음부재(50)의 판상부(51)는 큰홀(25) 및 관통홀(24e,24f)을 막음하는 위치에 정지한다. 이 경우, 관통홀(24a~24d,24g)이 개구된다. 이 때문에 샤워 헤드(10)는, 관통홀(24a~24d,24g)을 통과한 수량으로 마이크로버블을 포함한 물을 산포한다. 이 경우, 제1단계의 수량보다도 관통홀(24d,24g)이 개방된만큼 많은 수량으로 된다.
제3단계
제2단계의 상태에서, 회전조작부재(60)를 더 R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걸림멈춤부재(62)가 요부(15f)로부터 벗어나 회전하고, 다음 요부(15f)에 걸림멈춤부재(62)가 결합한다. 제3단계에 있어서, 도 5 (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음부재(50)의 판상부(51)는, 큰홀(25) 및 관통홀(24f)을 막음하는 위치에 정지한다. 이 경우, 관통홀(24a~24e,24g)이 개구된다. 이 때문에 샤워 헤드(10)는, 관통홀(24a~24e,24g)을 통과한 수량으로 마이크로버블을 포함한 물을 산포한다. 이 경우, 제2단계의 수량보다도 관통홀(24e)이 개방된만큼 많은 수량으로 된다.
제4단계
제3단계의 상태에서, 회전조작부재(60)를 더 R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걸림멈춤부재(62)가 요부(15f)로부터 벗어나 회전하고, 다음 요부(15f)에 걸림멈춤부재(62)가 결합한다. 제4단계에 있어서, 도 6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음부재(50)의 판상부(51)는, 큰홀(25)만을 막음하는 위치에 정치한다. 이 경우, 모든 관통홀(24a~24g)이 개구된다. 이 때문에 샤워 헤드(10)는, 관통홀(24a~24g)을 통과한 수량으로 마이크로버블을 포함한 물을 산포한다. 이 경우, 제3단계의 수량보다도 관통홀(24f)이 개방된만큼 많은 수량으로 된다.
제5단계
제4단계의 상태에서, 회전조작부재(60)를 더 R방향으로 회전시키면, 걸림멈춤부재(62)가 요부(15f)로부터 벗어나 회전하고, 다음 요부(15f)에 걸림멈춤부재(62)가 결합한다. 제5단계에 있어서, 도 6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막음부재(50)의 판상부(51)는, 관통홀(24g)만을 막음하는 위치에 정지한다. 이 경우, 관통홀(24a~24f) 및 큰홀(25)은 개구된다. 따라서, 샤워 헤드(10)는, 관통홀(24a~24f) 및 큰홀(25)을 통과한 최대수량으로 마이크로버블을 포함한 물을 산포한다. 이 경우, 제4단계의 수량보다도 큰홀(25)이 개방된 만큼 많은 수량이 되어, 샤워 헤드(10)의 최대 토출량이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이하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1)본 실시형태의 샤워 헤드(10)는, 본체부(15)에 연통부재(20)가 배치되어 있다, 이 연통부재(20)에는, 마이크로버블용홀로써 복수의 관통홀(24)과 큰홀(25)이 형성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샤워 헤드(10)를 최대수량으로 할 경우에는, 관통홀(24)과 큰홀(25)의 양방향에서 물을 산수부재(40)로 공급할 수 있으므로, 수량을 많게 하는 것이 가능하다.
(2)본 실시형태의 관통부재(20)에는, 관통홀(24)이 형성된 돌출부(22)가 설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이 관통홀(24)을 수돗물이 통과하면, 압력변화에 의해, 수돗물에 용해되어 있는 기체가 마이크로버블로 되어 나오고, 수돗물에 혼재된 상태가 된다. 따라서, 연통부재(20)에서 관통홀(24)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영역을 얇게 할 수 있으므로, 샤워 헤드(10)의 경량화를 도모한 간단한 구성으로 마이크로버블을 포함한 물을 산포시킬 수 있다.
(3)본 실시형태의 연통부재(20)에서는, 외측 원상의 관통홀(24a~24c)과, 막음부재(50)에 의해 막음가능한 내측 원상의 관통홀(24d~24g)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연통부재(20)에는, 외측 원상의 관통홀(24a~24c)보다도 내측에 큰홀(25)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막음부재(50)로 내측의 관통홀(24d~24g) 및 큰홀(25)을 순차으로 막음하는 것에 의해 간단한 구성으로 수량조정을 행할 수 있다.
(4)본 실시형태의 사워 헤드(10)에서, 제1단계에서는 관통홀(24a~24c)이 개구되고, 제2단계에서는 관통홀(24a~24d,24g)이 개구되며, 제3단계에서는 (24a~24e,24g)가 개구된다. 또한, 제4단계에서는 모든 관통홀(24a~24g)이 개구되며, 큰홀(25)만이 막음된다. 최대수량의 제5단계에 있어서는, 관통홀(24a~24f) 및 큰홀(25)이 개구된다. 이것에 의해, 어느 단계에 있어서도, 개구된 관통홀이 연통부재(20) 전체에 분사되어 배치되어 있으므로 수류의 치우침을 억제시킬 수 있다.
(5)본 실시형태의 샤워 헤드(10)에 있어서, 연통부재(20)의 배면측에 막음부재(50)를 배치한다. 이것에 의해, 샤워 헤드(10)의 사용시에는, 연통부재(20)를 샤워 호스측, 즉 유입되는 물의 상류측에서 막는 것에 의해 수량조정을 행할 수 있다.
(변형례)
또한, 이 실시형태는 다음과 같이 변경하여 구체화하는 것도 가능하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연통부재(20)에는 마이크로버블을 발생시키는 7개의 관통홀(24a~24g)이 형성되고, 1개의 큰홀(25)이 형성된다. 마이크로버블을 발생하는 관통홀(24)의 수와 큰홀(25)의 수는,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큰홀(25)이 복수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최대수량으로 토출될 때에는 큰홀(25)이 개구되고, 마이크로버블의 함유량을 높이고 싶을 경우에는, 큰홀(25)을 막으면 된다. 또한, 관통홀은 2중의 동심원상에 배치했지만, 관통홀의 배치는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막음부재(50)의 판상부(51)는, 내측의 원상의 관통홀(24d~24g)을 순차적으로 막음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막음부재(50)의 판상부(51)의 형상은,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외측의 관통홀(24a~24c)을 적당하게 막음하여 수량을 조정하는 구성이면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 있어서, 막음부재(50)의 판상부(51)는, 회전에 의해 수량을 조정하는 구성이다. 막음부재(50)에 의해 홀을 막음시키는 방법은 이것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예를들면, 연통부재(20)에 대하여 막음부재(50)가 병진이동하는 것에 의해 막음하는 홀의 수를 변경하여 수량을 변경하여도 된다.
10 ; 샤워 헤드, 11 ; 헤드부, 12 ; 그립부, 15 ; 본체부, 20 ; 연통부재, 22 ; 돌출부, 24a~24g ; 관통홀, 25 ; 큰홀, 40 ; 산수부재, 40a ; 산수홀, 42 ; 커버부재, 50 ; 막음부재, 51 ; 판상부, 52 ; 계합돌부, 55 ; 스프링수용부재, 56 ; 스프링, 60 ; 회전조작부재, 60A ; 조작돌부, 61 ; 스프링, 62 ; 걸림멈춤부재

Claims (4)

  1. 액체를 도입하는 도입구가 형성된 본체부와,
    상기 본체부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도입구측으로부터 도입되는 액체를 통과시켜 마이크로버블을 발생시키는 마이크로버블용홀과, 마이크로버블용홀에 대항되게 큰 개구면적을 갖는 큰홀이 형성된 마이크로버블 발생부와,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부를 통과한 액체를 외부로 산포시키기 위한 산포홀을 갖는 산포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헤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부에 형성된 홀을 막음하는 막음부와,
    상기 막음부에 따라 막음된 홀의 수를 조정하는 것에 의해,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부를 통과하는 액체의 양을 조정하는 조정부를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헤드.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부는, 상기 액체의 최대 토출량의 경우에 큰홀을 개구하고, 상기 최대 토출량이 아닌 경우에는, 상기 큰홀을 막음시키도록 가동되게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헤드.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막음부에 의해 막음된 마이크로버블용홀과 상기 큰홀이, 상기 마이크로버블 발생부에서, 동심원상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샤워 헤드.
KR1020137024873A 2012-06-08 2013-06-06 샤워 헤드 KR1014724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2-131327 2012-06-08
JP2012131327A JP5285794B1 (ja) 2012-06-08 2012-06-08 シャワーヘッド
PCT/JP2013/065734 WO2013183723A1 (ja) 2012-06-08 2013-06-06 シャワーヘッド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765A true KR20140004765A (ko) 2014-01-13
KR101472414B1 KR101472414B1 (ko) 2014-12-12

Family

ID=492740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4873A KR101472414B1 (ko) 2012-06-08 2013-06-06 샤워 헤드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5285794B1 (ko)
KR (1) KR101472414B1 (ko)
CN (1) CN103596483A (ko)
TW (1) TWI473588B (ko)
WO (1) WO2013183723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36052B1 (ko) 2013-09-03 2015-07-13 성기종 절수샤워기
CN110314781A (zh) * 2018-03-30 2019-10-11 艾欧史密斯(中国)热水器有限公司 花洒及淋浴设备
CN114054225B (zh) * 2020-07-30 2022-12-20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喷淋装置和洗涤系统
CN114054232B (zh) * 2020-07-30 2023-09-22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空化件、喷淋装置和洗涤系统
CN114054227B (zh) * 2020-07-30 2023-03-21 无锡小天鹅电器有限公司 喷淋装置和洗涤系统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322825D0 (en) * 1993-11-05 1993-12-22 Lo Mei K A shower head
JP2001129438A (ja) * 1999-11-04 2001-05-15 Ebara Hiroyuki シャワー装置
CN201040267Y (zh) * 2007-04-19 2008-03-26 路达(厦门)工业有限公司 花洒多功能出水结构
JP2011115771A (ja) * 2009-12-03 2011-06-16 Uratani Masao マイクロバブルシャワー用微細気泡発生器
KR101053229B1 (ko) * 2010-09-01 2011-08-01 주식회사 로보터스 미세기포 발생 샤워헤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3252396A (ja) 2013-12-19
TW201350070A (zh) 2013-12-16
CN103596483A (zh) 2014-02-19
KR101472414B1 (ko) 2014-12-12
TWI473588B (zh) 2015-02-21
WO2013183723A1 (ja) 2013-12-12
JP5285794B1 (ja) 2013-09-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2414B1 (ko) 샤워 헤드
US11358159B2 (en) Shower device
US3786995A (en) Aerator spray attachment for faucets
US4301836A (en) Hot and cold water sanitary mixing set
US10934696B2 (en) Jet regulator having a slit shaped recess tool engagement surface
US4732328A (en) Inlet nozzle in particular for swimming pools
US9421561B2 (en) Water spouting device
US11583872B2 (en) Showerhead engine for rotating spray
WO2011039647A2 (en) Shower head
JP4189027B1 (ja) 弁体と流量制御弁
WO2014167783A1 (ja) シャワーヘッド
CN113856925B (zh) 一种水花参数化多功能花洒
US9216424B2 (en) System and method of selective fluid pattern distribution
JP4259989B2 (ja) 混合用アタッチメント
JP5637925B2 (ja) シングルレバー混合水栓
JP2007000818A (ja) 噴射流偏向ノズル
CN111867735B (zh) 液体导件、涡旋适配器与液体节省装置
JP2012092961A5 (ko)
JP6905290B1 (ja) シャワーヘッド
CN110268120A (zh) 卫生插入单元
CN218459840U (zh) 一种出水装置
JP7022536B2 (ja) ノズル装置
JP2016089990A (ja) バルブユニットおよび水栓装置
JP2007002954A (ja) 流体制御弁
KR20150089194A (ko) 유로전환밸브가 구비된 유체 분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1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5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