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4750U - 휴대가 용이하도록 절첩되는 유아용 바운서의 절첩구조 - Google Patents

휴대가 용이하도록 절첩되는 유아용 바운서의 절첩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4750U
KR20140004750U KR2020130001143U KR20130001143U KR20140004750U KR 20140004750 U KR20140004750 U KR 20140004750U KR 2020130001143 U KR2020130001143 U KR 2020130001143U KR 20130001143 U KR20130001143 U KR 20130001143U KR 20140004750 U KR20140004750 U KR 2014000475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r
bracket
coupled
guide
angle adjus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114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81997Y1 (ko
Inventor
박용선
Original Assignee
박용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용선 filed Critical 박용선
Priority to KR202013000114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81997Y1/ko
Publication of KR2014000475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75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81997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81997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10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 A47D13/102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with curved rocking members resting on the ground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00Children's chairs
    • A47D1/02Foldable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02Baby-carriers; Carry-co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10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 A47D13/101Foldable rocking chai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3/00Other nursery furniture
    • A47D13/10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 A47D13/105Rocking-chairs; Indoor Swings ; Baby bouncers pivotally mounted in a fram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15/00Accessories for children's furniture, e.g. safety belts or baby-bottle 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DFURNITURE SPECIALLY ADAPTED FOR CHILDREN
    • A47D9/00Cradles ; Bassinets
    • A47D9/02Cradles ; Bassinets with rocking mechanisms
    • A47D9/053Cradles ; Bassinets with rocking mechanisms with curved rocking membe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97/00Chairs and seats
    • Y10S297/11Baby bouncer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ediatric Medicine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시트각도를 조절하여 유아를 눕히거나 앉을 수 있도록 되는 유아용 바운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원터치 작동으로 바운서를 절첩되도록 함으로써 보관 및 휴대가 용이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지바의 후방 양측으로 걸림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가이드브라켓을 형성하고 가이드브라켓의 걸림홈에 걸려지도록 작동캠의 원터치 작동에 의해 탄성작동되는 탄성바가 내측에 장착된 작동바의 양측으로 세로바를 결합하여 시트가 형성되는 U자형등받이바가 연결된 각도조절브라켓의 하측으로 세로바를 축회전되도록 결합하고 지지바의 전방으로 각도조절브라켓의 전방으로 결합된 연결바를 회전브라켓으로 결합토록 함으로써 작동캠을 작동하면 걸림홈에 걸려진 탄성바가 탄성작동되면서 이동되어지면서 작동바의 양측으로 결합된 세로바가 축회전되면서 각도조절브라켓에 결합된 U자형등받이프레임바가 동시에 작동되어지고 지지바의 전방으로 결합되고 각도조절브라켓의 전방으로 결합된 연결바가 회전브라켓에 의하여 높낮이 조절되면서 절첩되도록 하여 사용 및 휴대가 용이토록 한 것이다.

Description

휴대가 용이하도록 절첩되는 유아용 바운서의 절첩구조{A Baby of Bouncer}
본 고안은 시트의 각도를 조절하여 유아를 눕히거나 앉을 수 있도록 되는 유아용 바운서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바운서를 원터치 작동으로 높낮이를 조절하거나 완전히 절첩되도록 함으로써 보관 및 휴대가 용이토록 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갓 태어난 신생아나 잘 움직이지 못하는 유아가 편안한 자세로 수면을 취하거나 앉을 수 있도록 시트가 형성되고 이러한 시트의 등받이가 각도 조절되는 각도조절장치가 형성된 바운서가 제공되었다.
또한 바운서에 설치된 절첩바를 이용하여 사용에 따라 바운서를 흔들거나 정지상태로 고정할 수 있도록 하여 유아가 안정감을 갖을 수 있게 되는 것이었다.
이러한 바운서(100)의 구조는 지면에 위치되는 중앙에서 양측방향으로 휘어져 후방은 연결되고 전방은 상측방향으로 휘어진 지지바가 시트가 형성되는 U자형등받이프레임바(120)와 각도조절브라켓(200)에 의해 각도조절이 되도록 결합되고 상기 지지바의 전방으로 회전으로 절첩되는 절첩바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다.
따라서 유아를 시트에 누인 상태에서 각도조절브라켓(200)를 이용하여 시트의 각도를 조절토록 함으로써 유아를 눕히거나 앉힐 수 있도록 할 수 있고 절첩바(130)의 작동으로 흔들침대 또는 흔들의자로 사용하여 유아가 울거나 할 때 안심시켜 편안하게 달래주도록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바운서(100)는 대부분 시트의 U자형등받이프레임바(120)만 각도조절이 되도록 형성되어 바운서(100)의 부피가 커서 휴대하여 이동하기가 어려워 외부에서의 사용이 상당히 불편한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상기의 문제점인 이동성이 떨어지기 때문에 바운서(100)를 대부분 집안 내부에서만 사용되어 사용이 제안적이었으며 보관도 어려웠다.
따라서 본 고안은 바운서를 원터치 작동으로 높낮이 조절이 가능하고 또한 간단하게 완전하게 절첩되도록 하여 휴대가 가능토록 함으로써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토록 한 것이다.
이를 위하여 지지바의 후방 양측으로 걸림홈이 일정간격으로 형성된 가이드브라켓을 형성하고 가이드브라켓의 걸림홈에 걸려지도록 작동캠의 원터치 작동에 의해 탄성작동되는 탄성바가 장착된 작동바가 시트가 형성되는 U자형등받이프레임바가 연결된 각도조절브라켓의 하측에 결합되어 작동캠을 작동하면 걸림홈에 걸려진 탄성바가 탄성작동되어 높낮이 조절 및 절첩되도록 한 것이다.
또한 지지바의 일측에는 각도조절브라켓에 연결된 연결바가 회전브라켓으로 결합되어 작동바가 작동될 때 연결바가 동시에 회전작동되어 절첩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것이다.
따라서 본 고안은 원터치 작동으로 바운서의 높낮이 조절뿐만이 아니라 완전히 절첩되도록 함으로써 유아의 편안함을 제공하면서 집안뿐만이 아니라 외출할 때에도 휴대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됨으로써 장소의 제약 없이 실용적으로 사용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도1은 본 고안의 바운서의 구조를 나타낸 외관사시도.
도2는 본 고안의 작동바의 구조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도3은 본 고안의 작동캠의 작동을 나타낸 개략도.
도4는 본 고안의 작동캠의 작동에 따른 작동바의 작동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5는 본 고안의 회전브라켓의 작동상태를 도시한 개략도.
도6은 본 고안의 바운서의 흔들기능과 고정기능을 도시한 작동도.
도7은 본 고안의 바운서의 절첩상태를 나타낸 개략도.
도8은 본 고안의 바운서의 사용상태도.
도9는 종래의 바운서의 구조를 도시한 사시도.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1 내지 도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바운서는 유아의 앉혀짐이나 눕힘이 가능하도록 시트(17)가 형성되는 U자형등받이프레임바(12)가 각도조절브라켓(30)에 결합되어 각도조절이 되면서 시트(17)가 지면에서 소정높이로 떠 있도록 만곡되게 휘어진 지지바(11)가 결합되고 상기 지지바(11)에는 가이드브라켓(14)이 장착되어지고 상기 가이드브라켓(14)에는 작동캠(25)으로 탄성작동되는 탄성바(26)가 장착된 작동바(20)가 장착되며 상기 작동바(20)의 양측에는 세로바(29)가 U자형등받이프레임바(12)가 결합된 각도조절브라켓(30)에 회전이 가능하도록 축결합되고 각도조절브라켓(30)의 전방으로 연결바(13)가 결합되어 상기 연결바(13)의 결합되지 않은 타측과 지지바(11)의 전방이 회전브라켓(40)으로 결합된 구조이다.
따라서 작동캠(25)을 작동하면 작동바(20)가 가이드브라켓(14)에 절첩을 위하여 가이드될 때 작동바(11)의 양측으로 결합된 세로바(29)가 U자형등받이프레임바(12)가 결합된 각도조절브라켓(30)에서 축회전되면서 동시에 절첩작동되어지고 이때 각도조절브라켓(30)의 전방으로 결합된 연결바(13)가 지지바(11)의 전방으로 결합된 회전브라켓(40)에 의해 동시에 회전작동되어 절첩되어지는 것이다.
이때 상기 지지바(11)는 중앙에서 양측방향으로 만곡되어진 프레임바가 양측으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후방은 일체로 연결되고 전방은 시트(17)가 형성되는 U자형등받이프레임바(12)의 각도조절을 위한 각도조절브라켓(30)과 연결된 연결바(13)가 회전브라켓(40)과 결합되는 것이다.
또한 회전브라켓(40)의 내측에는 일정반경으로만 회전되는 절첩바(41)가 결합되어 만곡된 지지바(11)에 의해 바운서(10)가 흔들기능이 되면서 전방에 형성된 절첩바(41)를 회전하여 지면에 닿도록 위치시키면 바운서(10)가 지면에 흔들리지 않게 고정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지지바(11)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프레임바에는 작동바(20)의 절첩작동을 위한 가이드브라켓(14)이 결합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작동바(20)는 관체로 형성되어지고 작동바(20)의 내측으로 스프링(28)에 의해 탄성작동되는 끼임공(26a)이 형성되며 전방에 걸림돌부가 형성된 탄성바(26)가 양측으로 대칭되게 장착되고, 상기 탄성바(26)가 양측으로 대칭되게 장착된 작동바(20)의 외측 중앙에는 결합핀(21)에 의해 걸림구(23)를 결합하는 결합공(20b)이 형성되며 상기 결합공(20b)의 양측에는 유동공(20a)이 형성되어 상기 유동공(20a)을 관통하여 탄성바(26)에 형성된 끼임공(26a)에 끼워지는 결합핀(21)에 의해 가이드캠(22)이 결합되고 상기 걸림구(23)와 가이드캠(22)이 결합된 작동바(20)의 외측 중앙으로 분할되어 내벽의 양측에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진 가이드벽(25a)과 중앙에 스토퍼(25c)가 형성된 가이드홈(25b)이 형성된 작동캠(25)이 나조조임으로 결합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작동캠(25)을 회전하게 되면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진 가이드벽(25a)과 유동홈(20a)으로 탄성바(26)와 결합핀(21)으로 결합된 가이드캠(22)이 가이드벽(25a)에 가이드되어지고 결합핀(21)은 유동홈(20a)으로 유동되어 탄성바(26)가 스프링(28)에 의해 탄성작동되고 중앙에 결합된 걸림구(23)는 작동캠(25)의 내측 중앙에 형성된 가이드홈(25b)에 가이드 되면서 스토퍼(25c)에 의해 일정반경으로만 작동되는 것이다.
이때 상기 분할되어진 작동캠(25)의 일측에는 손잡이(25d)를 돌출되게 형성하여 절첩을 위한 작동캠(25)의 작동을 용이토록 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상기 작동바(20)의 양측에는 연결브라켓(24)이 결합되어 U자형등받이프레임바(12)가 결합되는 각도조절브라켓(30)의 하측으로 축결합부(31)를 형성하여 상기 축결합부(31)로 세로바(29)가 축결합되어 U자형등받이프레임바(12)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작동바(20)의 절첩작동시 각도조절브라켓(30)의 축결합부(31)에 축결합된 세로바(29)가 축회전되면서 U자형등받이프레임바(12)가 동시에 절첩되어지는 것이다.
또한 상기 각도조절브라켓(30)의 상측에는 장난감이나 음식물을 놓을 수 있도록 간이테이블(33)을 장착할 수 있는 장착홈(32)을 형성하여 유아가 혼자서 장남감을 만질 수 있도록 하거나 음식을 먹일 때 사용이 용이토록 한 것이다.
이때 상기 가이드브라켓(14)은 내측으로 요입된 요입부(15)가 형성되고 상기 요입부(15)에는 일정간격의 걸림홈(16)이 형성되어 가이드브라켓(14)의 요입부(15)에 형성된 걸림홈(16)으로 작동바(20)의 내측에 탄성작동되도록 장착된 탄성바(26)의 걸림돌부(27)가 내입되어 걸림되어지는 것이다.
이러한 것은 작동바(20)의 내측에 장착된 탄성바(26)의 걸림돌부(27)가 가이드브라켓(14)의 요입부(15)에 내입된 상태로 가이드 되어져 작동중에 작동바(20)가 빠짐을 방지하게 되는 것이고 탄성바(26)의 탄성작동으로 걸림홈(16)으로 걸림되어지면서 안정적으로 고정이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에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유아용 바운서(10)는 유아가 안정감과 편안함을 유지하도록 바운서(10)의 등받이 각도조절기능과 흔들기능과 고정기능을 사용하면서도 원터치 작동으로 바운서(10)의 높낮이 조절 및 완전히 절첩되도록 함으로써 집안 내부에서뿐만 아니라 휴대가 가능하여 외부에서도 사용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가치를 높이도록 한 것이다.
10: 바운서 11: 지지바
12: U자형등받이프레임바 13: 연결바
14: 가이드브라켓 15: 요입부
16: 걸림홈 17: 시트
20: 작동바 21: 결합핀
22: 유동공 23: 결합공
24: 연결브라켓 25: 작동캠
26: 탄성바 27: 걸림돌부
28: 스프링 29: 세로바
30: 각도조절브라켓 31: 축결합부
32: 장착홈 33: 간이테이블
40: 회전브라켓 41: 절첩바

Claims (6)

  1. 시트(17)에 착석한 유아가 앉혀짐이나 누워지도록 U자형등받이프레임바(12)의 각도조절이 되면서 시트(17)가 지지바(11)에 의해 지면에서 소정높이로 떠 있도록 형성된 유아용 바운서(10)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11)에는 가이드브라켓(14)이 장착되어지고 가이드브라켓(14)에 작동캠(25)으로 탄성작동되는 탄성바(26)가 장착된 작동바(20)가 장착되고 상기 작동바(20)의 양측과 U자형등받이프레임바(12)가 결합된 각도조절브라켓(30)에는 세로바(29)가 회전이 가능하도록 축결합되고 상기 지지바(11)의 전방에는 각도조절브라켓(30)의 전방으로 결합된 연결바(13)가 회전브라켓(40)과 결합되어 상기 작동캠(25)을 작동하면 작동바(20)가 가이드브라켓(14)에 절첩을 위하여 가이드될 때 U자형등받이프레임바(12)가 동시에 절첩작동되면서 연결바(13)도 회전브라켓(40)에 의해 동시에 회전작동되어 절첩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절첩되는 유아용 바운서의 절첩구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바(11)는 중앙에서 양측방향으로 만곡되어진 프레임바가 양측으로 대칭되게 형성되어 후방은 연결되고 전방은 시트(17)가 형성되는 U자형등받이프레임바(12)의 각도조절을 위한 각도조절브라켓(30)과 연결된 연결바(13)가 회전브라켓(40)과 결합되고 회전브라켓(40)의 내측에는 일정반경으로만 회전되는 절첩바(41)가 결합되어 만곡된 지지바(11)에 의해 흔들기능이 되면서 전방에 형성된 절첩바(41)를 회전하면 지면에 흔들리지 않게 고정되어지고 양측으로 형성된 프레임바에는 작동바(20)의 절첩작동을 위한 가이드브라켓(14)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절첩되는 유아용 바운서의 절첩구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바(20)는 관체로 형성되어 내측으로 스프링(28)에 의해 탄성작동되는 끼임공(26a)이 형성된 탄성바(26)가 양측으로 대칭되게 장착되고 상기 탄성바(26)가 양측으로 대칭되게 장착된 작동바(20)의 외측 중앙에는 결합핀(21)에 의해 걸림구(23)를 결합하는 결합공(20b)과 결합공(20b)의 양측으로 유동공(20a)이 형성되어 상기 유동공(20a)을 관통하여 탄성바(26)에 형성된 끼임공(26a)에 끼워지는 결합핀(21)에 의해 가이드캠(22)이 결합되고 상기 걸림구(23)와 가이드캠(22)이 결합된 작동바(20)의 외측 중앙으로 분할되어 내벽의 양측에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진 가이드벽(25a)과 중앙에 스토퍼(25c)가 형성된 가이드홈(25b)이 형성된 작동캠(25)이 나조조임으로 결합되어 상기 작동캠(25)을 회전하면 일측방향으로 기울어진 가이드벽(25a)과 유동홈(20a)으로 탄성바(26)와 결합핀(21)으로 결합된 가이드캠(22)이 가이드되면서 탄성바(26)가 스프링(28)에 의해 탄성작동되고 걸림구(23)는 스토퍼(25c)에 의해 일정반경으로만 작동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절첩되는 유아용 바운서의 절첩구조.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되어진 작동캠(25)의 일측에는 손잡이(25d)를 돌출되게 형성하여 작동이 용이토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절첩되는 유아용 바운서의 절첩구조.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작동바(20)의 양측에는 세로바(29)의 결합을 위한 연결브라켓(24)이 결합되어 U자형등받이프레임바(12)가 결합되는 각도조절브라켓(30)의 하측으로 축결합부(31)를 형성하여 상기 축결합부(31)로 세로바(29)가 축결합되어 U자형등받이프레임바(12)의 하중을 안정적으로 지지하면서 작동바(20)의 절첩작동시 각도조절브라켓(30)의 축결합부(31)에 축결합된 세로바(29)가 축회전되면서 U자형등받이프레임바(12)가 동시에 절첩되어지고 각도조절브라켓(30)의 상측에는 장난감이나 음식물을 놓을 수 있도록 간이테이블(33)을 장착할 수 있는 장착홈(32)이 형성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절첩되는 유아용 바운서의 절첩구조.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브라켓(14)은 내측으로 요입된 요입부(15)가 형성되고 상기 요입부(15)에는 일정간격의 걸림홈(16)이 형성되어 가이드브라켓(14)의 요입부(15)에 형성된 걸림홈(16)으로 작동바(20)의 내측에 탄성작동되도록 장착된 탄성바(26)의 걸림돌부(27)가 내입되어 걸림되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절첩되는 유아용 바운서의 절첩구조.
KR2020130001143U 2013-02-15 2013-02-15 휴대가 용이하도록 절첩되는 유아용 바운서의 절첩구조 KR200481997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143U KR200481997Y1 (ko) 2013-02-15 2013-02-15 휴대가 용이하도록 절첩되는 유아용 바운서의 절첩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1143U KR200481997Y1 (ko) 2013-02-15 2013-02-15 휴대가 용이하도록 절첩되는 유아용 바운서의 절첩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750U true KR20140004750U (ko) 2014-08-25
KR200481997Y1 KR200481997Y1 (ko) 2016-12-20

Family

ID=5244598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1143U KR200481997Y1 (ko) 2013-02-15 2013-02-15 휴대가 용이하도록 절첩되는 유아용 바운서의 절첩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81997Y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4028B1 (en) * 1999-06-01 2001-01-16 Link Treasure Limited Infant rocking chair
US20040031097A1 (en) * 2002-08-15 2004-02-19 Michael Kane Rocker device
US20040207235A1 (en) * 2003-04-15 2004-10-21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Foldable infant seat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174028B1 (en) * 1999-06-01 2001-01-16 Link Treasure Limited Infant rocking chair
US20040031097A1 (en) * 2002-08-15 2004-02-19 Michael Kane Rocker device
US20040207235A1 (en) * 2003-04-15 2004-10-21 Graco Children's Products Inc. Foldable infant 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81997Y1 (ko) 2016-12-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383103B2 (ja) 2つの機能を兼ねる子供用椅子
US6540292B2 (en) Adjustable rocker seat
US6594840B2 (en) Baby bouncer/bassinet
US8845023B2 (en) Convertible rocking chair with multi-using modes
US9693639B2 (en) Child sleeping and rocking apparatuses
US9010857B2 (en) Child safety seat
US9629476B1 (en) Convertible child seat
TWI576074B (zh) 彈跳椅
US20130214574A1 (en) Collapsible infant support
US20130288811A1 (en) Infant's Swing with Reconfigurable Seat
KR101479647B1 (ko) 유아용 식탁 의자
RU2641862C2 (ru) Высокий стул
KR200481997Y1 (ko) 휴대가 용이하도록 절첩되는 유아용 바운서의 절첩구조
US20170156512A1 (en) Baby Rocker Glider
KR20170035516A (ko) 휴대가 용이한 유아용 바운서
US9049945B2 (en) Space adjustment mechanism for a chair
CN203450176U (zh) 一种婴儿手推车
JPWO2004073458A1 (ja) 揺動椅子および育児椅子
KR200428121Y1 (ko) 유아용 식탁 의자
WO2015118652A1 (ja) バウンサー
KR200467544Y1 (ko) 유아용 그네 겸용 침대
JPH0427065B2 (ko)
TWI434662B (zh) 嬰兒吊床
TWI672111B (zh) 可收折嬰兒餐椅
CN104260771B (zh) 一种带双人座位的双胞胎童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930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