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4520A - 증자라인용 로터리 밸브 - Google Patents

증자라인용 로터리 밸브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4520A
KR20140004520A KR1020120072464A KR20120072464A KR20140004520A KR 20140004520 A KR20140004520 A KR 20140004520A KR 1020120072464 A KR1020120072464 A KR 1020120072464A KR 20120072464 A KR20120072464 A KR 20120072464A KR 20140004520 A KR20140004520 A KR 2014000452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riable
shaft
impeller
coupled
sleev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24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99618B1 (ko
Inventor
장활석
Original Assignee
장활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활석 filed Critical 장활석
Priority to KR10201200724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99618B1/ko
Publication of KR2014000452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52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996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9961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5/00Preparation or treatment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Food or foodstuffs obtained thereby; Materials therefor
    • A23L5/10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 A23L5/13General methods of cooking foods, e.g. by roasting or frying using water or steam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11/00Pulses, i.e. fruits of leguminous plants, for production of food; Products from legum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11/10Rapid cooking puls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KVALVES; TAPS; COCKS; ACTUATING-FLOATS; DEVICES FOR VENTING OR AERATING
    • F16K13/00Other constructional types of cut-off apparatus; Arrangements for cutting-off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27/00Cooking-vessels
    • A47J27/04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 A47J2027/043Cooking-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Devices for extracting fruit juice by means of steam ; Vacuum cooking vessels for cooking food in steam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Botany (AREA)
  • Electrically Driven Valve-Operating Me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탈지대두, 소맥, 소맥분, 대두, 밀쌀 등의 원료를 연속적으로 증자할 수 있도록 하는 증자라인에 포함되는 증자장치의 입구와 출구에 각각 설치되는 증자라인용 로터리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증자장치의 내부압력 증가에도 압력 손실을 최소화 하면서 증자장치 내부로 원료를 공급하거나 증자장치 내부에서 증자된 원료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로터리밸브를 냉각시켜 항상 안정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로터상의 버킷을 증자장치의 내부압력으로 높이는 동압 또는 외부압력으로 압력을 낮추는 탈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 해서 연속증자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증자라인용 로터리 밸브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상하측으로 공급부 및 배출부가 형성되는 로터리밸브를 구성함에 있어서, 밸브본체 내측으로 슬리브를 결합하고, 슬리브 내측으로 모터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구동축과 결합된 임펠러를 결합하되, 슬리브와 임펠러는 테이퍼형으로 형성하고, 구동축과 동축상에 가변수단을 설치하여 회전하는 임펠러를 슬리브 내에서 이동시켜 슬리브와 임펠러 사이의 간극을 조절할 할 수 있도록 하여 증자장치의 내부 조건에 따라 임펠러를 이동시켜 증기압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되,
상기 가변수단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구성하였으며, 임펠러의 축지부 내부에 냉각공간을 형성하고 구동축에 형성된 냉각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냉각수가 임펠러를 냉각할 수 있도록 구성하고, 증자장치와 연결된 배출부로 원료를 공급하는 임펠러의 버킷 압력을 증자장치의 내부압력과 동일하게 높이는 동압부와, 증자장치로 원료를 공급한 후 공급부 이동하는 임펠러의 버킷 압력을 외부압력과 동일하게 낮추는 탈압부를 더 설치한 것이다.

Description

증자라인용 로터리 밸브{Rotary valve for increase of steam cooking line}
본 발명은 탈지대두, 소맥, 소맥분, 대두, 밀쌀 등의 원료를 연속적으로 증자할 수 있도록 하는 증자라인에 포함된 증자장치의 입구와 출구에 각각 설치되어 사용되는 증자라인용 로터리 밸브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구체적으로는 증자장치의 내부압력 손실을 최소화 하면서 증자장치 내부로 원료를 공급하거나 증자장치 내부에서 증자된 원료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로터리밸브를 냉각시켜 항상 안정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로터상의 버킷을 증자장치의 내부압력으로 높이는 동압 또는 외부압력으로 압력을 낮추는 탈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 해서 연속증자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증자라인용 로터리 밸브를 제공코자 하는 것이다.
된장이나 고추장 등을 제조하기 위해서는 탈지대두, 소맥, 소맥분, 대두, 밀쌀 등의 원료를 증자한 상태에서 제국처리하게 된다.
원료의 증자는 연속 증자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증자라인(100)이 이용되고 있으며, 증자라인(100)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급호퍼(101)에서 공급되는 원료를 스크루 컨베이어(102) 및 버킷(4a) 컨베이어(103)를 이용하여 살수 스크루이송장치(104)에 공급하여 수분을 공급한 상태에서 예열 스크루 이송장치(105)를 이용하여 원료를 소망하는 온도로 예열하고, 예열된 원료를 2kgf/㎠, 130℃ 온도를 유지하는 증자장치(106)에 투입하여 증자하고, 냉각장치(107)를 이용하여 냉각토록 하고 있으며, 상기한 작업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증자장치(106)의 입구(106a)와 출구(106b)에 로터리밸브(1)를 설치하고 있다.
증자장치(106)에 로터리밸브(1)를 설치한 선행기술로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B1) 10-0498753호(2005.07.01.)의 소맥분 연속 증자장치 및 등록실용신안공보(Y1) 20-0305716호(2003.02.26.)의 개폐형 가압증자장치 등에서 증자장치의 입구와 출구에 로터리밸브가 적용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증자장치(106)에 사용되고 있는 로터리밸브(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부에 공급부(2a) 및 배출부(2b)가 형성된 밸브본체(2)의 내측으로 모터에 의해 구동되며, 방사상으로 수개의 버킷(4a)이 형성된 임펠러(4)를 설치한 단순한 구성으로 이루어져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로터리밸브(1)를 이용할 경우 밸브본체(2)와 임펠러(4) 사이의 틈새로의 유실압력이 많아 내부압력을 유지하는데 많은 어려움이 있다.
또한 증자장치(106) 내부와 로터리밸브(1)의 공급부(2a) 및 배출부(2b) 측의 압력이 서로 달라지는데, 이들을 제어할 수 있는 수단이 없어 원료를 공급하는 과정에서 증기압에 의해 원료가 비산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는 등의 문제점도 있었다.
KR 100498753 B1 2005.07.01. KR 200305716 Y1 2003.02.26.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한 종래 증자장치에 사용하는 로터리밸브의 문제점을 해결코자 본 발명을 연구 개발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증자장치의 내부압력 손실을 최소화 하면서 증자장치 내부로 원료를 공급하거나 증자장치 내부에서 증자된 원료를 배출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또한 로터리밸브를 냉각시켜 항상 안정된 온도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로터상의 버킷을 증자장치의 내부압력으로 높이는 동압 또는 외부압력으로 압력을 낮추는 탈압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 해서 연속증자의 효율성을 높일 수 있도록 한 증자라인용 로터리 밸브를 제공함에 기술적 과제를 두고 본 발명을 완성한 것이다.
과제 해결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상하측으로 공급부 및 배출부가 형성되는 로터리밸브를 구성함에 있어서, 밸브본체 내측으로 슬리브를 결합하고, 슬리브 내측으로 모터의 구동력으로 회전하는 구동축과 결합된 임펠러를 결합하되, 슬리브와 임펠러는 테이퍼형으로 형성하고, 구동축과 동축상에 가변수단을 설치하여 회전하는 임펠러를 슬리브 내에서 이동시켜 슬리브와 임펠러 사이의 간극을 조절할 할 수 있도록 하여 증자장치의 내부 조건에 따라 임펠러를 이동시켜 증기압이 유지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가변수단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구성하였으며, 임펠러의 축지부 내부에 냉각공간을 형성하고 구동축에 형성된 냉각유로를 통해 공급되는 냉각수가 임펠러를 냉각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증자장치와 연결된 배출부로 원료를 공급하는 임펠러의 버킷 압력을 증자장치의 내부압력과 동일하게 높이는 동압부와, 증자장치로 원료를 공급한 후 공급부 이동하는 임펠러의 버킷 압력을 외부압력과 동일하게 낮추는 탈압부를 더 설치하였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증자라인용 로터리밸브를 사용할 경우 하기와 같은 효과가 있다.
슬리브 내에 위치하는 임펠러가 증자장치의 내부압력 상승에 따라 간극을 좁혀 압력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으므로 증자 효율성을 높일 수 있다.
냉각수로 임펠러를 냉각하여 항상 동일한 조건으로 임펠러를 구동하게 되므로 원료가 임펠러에 눌어붙는 등의 염려를 일소할 수 있고, 또 임펠러와 슬리브 등의 열팽창을 일정하게 유지하여 기기의 정밀도를 항상 동일 조건으로 유지할 수 있게 되며, 그로 인해 기기 수명을 장구히 할 수 있다.
동압부와 탈압부가 구비되므로 공급되는 원료를 비산 없이 안정되게 공급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증자라인의 계통도
도 2는 종래 증자장치에 적용된 로터리밸브의 실시례를 보인 정면도
도 3은 도 2의 측면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증자라인용 로터리밸브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증자라인용 로터리밸브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분해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증자라인용 로터리밸브의 정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증자라인용 로터리밸브의 측단면도
도 8은 본 발명 증자라인용 로터리밸브에서 임펠러의 결합상태 및 냉각수단의 구성을 보이기 위한 요부 발췌 단면도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된 가변수단의 구성을 보인 확대 단면도
도 10은 본 발명에 적용될 수 있는 가변수단의 다른 예의 보인 확대 단면도
이하에서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증자라인용 로터리 밸브의 실시례를 첨부 도면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증자라인용 로터리밸브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사시도를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증자라인용 로터리밸브의 바람직한 일 실시례를 보인 분해사시도를 도시한 것이며, 도 6, 도 7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증자라인용 로터리밸브의 정단면도 및 측단면도 등을 도시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증자라인(100)용 로터리밸브(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자라인(100)을 구성하는 증자장치(106)의 입구(106a)와 출구(106b)에 각각 설치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하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은 상하측으로 공급부(2a) 및 배출부(2b)가 형성되는 로터리밸브(1)를 구성함에 있어서, 원통형의 밸브본체(2)와, 상기 밸브본체(2)의 내측에 결합되는 내부에 테이퍼 결합공(3a)이 형성된 슬리브(3)와, 상기 슬리브(3)의 테이퍼 결합공(3a)에 결합되는 방사상으로 수개의 버킷(4a)을 형성한 임펠러(4)와, 상기 밸브본체(2)의 양측에 슬리브(3)를 고정하도록 결합한 사이드커버(5) 및 사이드커버(5)의 바깥쪽에 결합되는 지지체(6)와, 상기 임펠러(4)에 키이로 상호 결합되며 사이드커버(5)에 베어링을 매개로 지지되는 구동축(7)과, 상기 구동축(7)에 결합된 스프로킷(7a)과 체인(8c)으로 연결되는 구동스프로킷(8b)과 감속기 및 구동모터(8a)를 포함하는 구동유닛(8)과, 구동유닛(8)의 반대쪽으로 구동축(7)의 선단에 베어링(19)을 매개로 구동축(7)의 동력이 단절되도록 지지체(6)에 결합된 가변지지체(9)에 지지되도록 설치한 가변작동축(11) 및 가변작동축(11)을 가변 이동시키도록 가변지지체(9)에 설치한 가변수단(20)을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으로 이하에서 본 발명의 각 구성요소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밸브본체(2)는 원통형으로 형성되며, 내면에는 슬리브(3)를 억지 끼움식 또는 볼트 결합식으로 결합한다. 이때 밸브본체(2)와 슬리브(3)에는 상측과 하측에 각각 공급부(2a)와 배출부(2b)가 형성되어 원료를 공급 및 배출할 수 있게 한다.
슬리브(3)는 내측으로 테이퍼 결합공(3a)을 형성하며, 이 테이퍼 결합공(3a)에는 외경이 테이퍼진 임펠러(4)를 조립토록 한다.
슬리브(3)의 테이퍼 결합공(3a)과 임펠러(4)의 외경의 테이퍼는 1~1.3도의 각도를 가지며, 임펠러(4)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슬리브(3)와 임펠러(4) 사이의 간극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다. 이때 테이퍼 결합공(3a) 등은 구동유닛(8) 쪽이 넓은 직경을 갖도록 구성한다. 상기 테이퍼 결합공(3a)과 임펠러(4)의 간극은 밀착되기 전인 경우 0.3~0.5mm이고, 밀착된 상태일 때는 0.1~0.2mm로 좁아지게 된다.
상기 임펠러(4)는 양단으로 슬리브(3)의 내부 테이퍼 결합공(3a)과 면접하는 접지부(4b)를 일정폭으로 형성하며, 양측 접지부(4b) 사이에는 구획되는 수개의 버킷(4a)을 방사상으로 형성하고, 버킷(4a)의 내면을 코팅 처리하여 원료가 눌어붙는 것을 예방할 수 있게 한다. 본 발명에서는 7개의 버킷(4a)이 격벽(4c)에 의해 구획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버킷(4a)은 공급부(2a) 및 배출부(2b)의 크기와 동일하거나 조금 작은 치수로 구성토록 한다. 또한 임펠러(4)는 슬리브(3) 보다 이동폭 만큼 짧게 구성되며, 임펠러(4)에 형성된 양측 접지부(4b)는 임펠러(4)의 이동폭 보다 넓게 형성한다.
또한 상기 임펠러(4)의 중심에는 축결합공(4d)을 형성하며, 축결합공(4d)의 내측으로는 구동축(7)을 결합한 상태에서 밀폐되는 구성의 냉각챔버(12)가 형성되게 확경부(4e)를 형성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밸브본체(2) 및 슬리브(3)에는 임펠러(4)가 회전방향으로 구동될 때 4시 방향과 10시 방향에 각각 동압부(13)와 탈압부(14)를 형성하여 원료를 보다 안정되게 공급할 수 있게 하고, 또 2시 방향으로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온도계(15)를 설치한다.
상기 4시 방향의 동압부(13)는 밸브본체(2)와 슬리브(3)에 축직각방향으로 2개의 유입구멍(13a)을 관통 형성하고, 이들 유입구멍(13a)에는 증자장치(106)와 공급관체(13b)로 상호 연결하여 버킷(4a)에 원료가 내입된 상태에서 증자장치(106)의 내부압력이 제공되어 증자장치(106)의 내부압력과 원료가 내입된 버킷(4a)의 압력을 동일한 압력으로 높이는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그리고 상기 10시 방향의 탈압부(14)는 밸브본체(2)와 슬리브(3)에 축직각방향으로 길게 배출장공(14a)을 형성하고, 이 배출장공(14a)에는 증자장치(106) 전단계인 예열 스크루 이송장치(105)와 배출관체(14b)로 상호 연결하여 원료를 증자장치(106)에 공급한 후 빈 상태에서 증자장치(106)의 내부압력과 동일한 압력을 갖는 버킷(4a)의 압력을 예열 스크루 이송장치(105)로 내부로 신속하게 배출하여 예열 스크루 이송장치(105) 내부와 동일한 압력으로 낮추는 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상기 온도계(15)는 증자장치(106)의 전이 온도를 감지하고 이들 표시하여 온도 및 압력의 상승이 감지될 때 가변수단(20)을 작동시켜 임펠러(4)를 가변수단(20) 쪽으로 이동시킴으로 해서 슬리브(3)와 임펠러(4) 사이의 간극이 좁아지도록 함으로 해서 증자장치(106)의 압력 손실을 최소화 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온도계는 증자장치(106)와 가까운 쪽 버킷(4a)에 설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사이드커버(5)는 밸브본체(2)의 양측에 볼트를 이용하여 고정하며, 사이드커버(5)에 의해 슬리브(3)의 양단이 가압되어 슬리브(3)를 고정한다. 이때 임펠러(4)의 양측면은 사이드커버(5)와 이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상기 양측 사이드커버(5)의 바깥쪽으로 사이드커버(5)와 볼트로 조립되는 지지체(6)를 결합한다.
상기 임펠러(4)의 중심에 형성된 축결합공(4d)에는 양측 지지체(6)에 베어링 지지되는 구동축(7)을 결합하며, 사이드커버(5)와 구동축(7) 사이에는 그랜드 패킹을 다중으로 결합하여 수밀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일측 지지체(6)의 바깥쪽으로 노출된 구동축(7)에는 스프로킷(7a)을 결합하고, 이 스프로킷(7a)에는 구동스프로킷(8b)과 감속기 및 구동모터(8a)를 포함하는 구동유닛(8)의 구동스프로킷(8b)과 체인(8c)으로 연결하여 임펠러(4)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는 임펠러(4)를 항상 동일한 온도가 유지될 수 있도록 냉각하는 냉각수단(16)을 포함하고 있다.
상기 냉각수단(16)은 상기 구동유닛(8)이 위치하는 구동축(7)의 단부에 결합되는 로터리조인트(16a)와, 로터리조인트(16a)와 연결되도록 구동축(7)의 중심을 따라 임펠러(4)와 구동축(7) 사이에 형성한 냉각챔버(12)로 연결되는 공급유로(16b)와, 상기 냉각챔버(12)에서 반대측 구동축(7)의 단부 쪽에 축직각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형성한 배출유로(16c)를 포함하는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구성은 공급유로(16b)를 통해 냉각수가 공급된 상태에서 냉각챔버(12)에서 임펠러(4)와의 열교환이 이루어진 후 배출유로(16c)를 통해서 배출되어 임펠러(4)의 온도 상승을 예방하게 되는 것이다.
구동유닛(8)의 반대쪽에 설치되는 가변작동축(11)은 지지체(6)에 결합된 가변지지체(9)에 지지되도록 설치한다. 구동축(7)과 가변작동축(11)의 결합은 구동축(7)의 말단에 작동구멍(18)을 일정 깊이로 형성하고, 이 작동구멍(18)의 입구쪽에는 내측으로 가변작동공간(18a)이 형성되도록 가변작동축(11)이 끼워지는 베어링(19)을 빠지지 않도록 설치하되, 가변작동축(11)의 선단에는 가변작동공간(18a)에 위치하는 헤드부(11a)를 형성한 구성으로 이루진 구성이다.
그리고 상기 가변작동축(11)을 가변이동시키는 가변수단(20)은 수동 또는 자동으로 다양하게 구성될 수 있다.
자동으로 가변수단(20)을 구성할 경우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작동축(11)에 나사부(11b)를 형성하고 가변지지체(9)에는 가변작동축(11)에 조립된 나사부(11b)가 체결되는 너트(21)가 결합된 너트지지체(22)를 결합하며, 가변작동축(11)의 단부에는 스프로킷(24)을 설치하고, 밸브본체(2)에 지지되도록 설치한 가변축작동용 정역모터(25)로 구동되는 스프로킷(24)과 체인(26)으로 연결하여 정역 구동할 때 가변작동축(11)이 전후진하면서 이동되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수동으로 가변수단(20)을 구성한 예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변작동축(11)에 나사부(11b)를 형성하고 가변지지체(9)에는 가변작동축(11)에 형성된 나사부(11b)가 체결되는 너트(21)가 조립된 너트지지체(22)를 결합하며, 가변작동축(11)의 단부에는 핸들(23)을 조립하여 정역 회전할 때 가변작동축(11)이 너트(21)를 기준으로 전후진하면서 이동되도록 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증자라인용 로터리밸브(1)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탈지대두, 소맥, 소맥분, 대두, 밀쌀 등의 원료를 연속으로 증자하는 증자라인(100)에 적용되어 고온 고압으로 증자하는 증자장치(106)의 입구(106a)와 출구(106b)에 각각 적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으로, 이하에서 증자장치(106)의 입구(106a)에 설치된 예에 따른 작용을 설명한다.
본 발명을 설치한 상태에서 구동유닛을 이용하여 임펠러(4)를 구동한다.
상기와 같이 임펠러(4)를 구동하는 상태일 때 증자장치(106)가 소망하는 온도와 압력으로 상승할 때 임펠러(4) 쪽으로 전이되는데 이때 설치되어 있는 온도계(15)에서 이를 감지하고 가변수단(20)으로 임펠러(4)를 이동시켜 슬리브(3)의 테이퍼 결합공(3a)과 임펠러(4) 사이의 간극을 최소화 시켜 증기압의 손실을 최소화 시키며, 구동축(7)에 결합된 로터리조인트(16a)를 통해서 임펠러(4) 내부의 냉각챔버(12)로 냉각수를 공급하여 임펠러(4)를 항상 동일한 온도 상태로 냉각시킨다.
이 상태에서 공급부(2a)로 예열 스크루 이송장치(105)에서 충분히 예열된 원료가 공급되는데, 이때 공급부(2a)를 통해서 노출되어 있는 버킷(4a)에 공급된 상태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임펠러(4)에 형성된 버킷(4a)에 입구로 공급되는 원료를 담아 배출부(2b)로 연속적으로 공급하면 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이 회전되는 원료가 담긴 버킷(4a)은 고온 고압을 유지하는 증자장치(106)와는 달리 낮은 압력(대기압)을 유지하고 있는 상태여서 배출부(2b)로의 원료 배출이 원활하지 못하게 되는데, 본 발명에서는 동압부(13)가 설치되어 있어 원료가 감긴 버킷(4a)의 온도 및 압력을 증자장치(106)와 동일하게 맞추어진다.
즉, 증자장치(106)와 연결되어 있는 공급관체(13b)를 통해서 밸브본체(2)와 슬리브(3)에 축직각방향으로 관통 형성되어 있는 유입구멍(13a)으로 증기압이 공급되어 버킷(4a)의 조건을 증자장치(106) 내부의 조건과 같은 동압상태로 압력을 높여 배출부(2b)로 안전한 원료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된다.
상기와 같이 원료가 배출부(2b)를 통해 공급된 상태에서 공급부로 이동하는 버킷(4a)에는 증자장치(106)의 내부 압력이 채워진 상태가 되는데, 이런 상태에서 공급부(2a)에 도달할 경우 원료가 비산되는 등의 문제점이 발생하는데, 본 발명에서는 밸브본체(2)와 슬리브(3)에 축직각방향으로 길게 형성된 배출장공(14a)과 증자장치(106) 전단계인 예열 스크루 이송장치(105)와 배출관체(14b)로 상호 연결한 탈압부(14)가 설치되어 있는 바, 원료를 증자장치(106)에 공급한 후 빈 상태에서 증자장치(106)의 내부압력과 동일한 압력을 갖는 버킷(4a)의 압력을 예열 스크루 이송장치(105)로 내부로 신속하게 배출하여 예열 스크루 이송장치(105) 내부와 동일한 압력으로 낮추게 되므로 원료가 비산되는 등의 염려 없이 안전하게 공급이 이루어질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례에 관해 설명하고 있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다양한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설명된 실시례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로터리밸브 2:밸브본체
2a:공급부 2b:배출부
3:슬리브 3a:테이퍼 결합공
4:임펠러 4a:버킷
4b:접지부 4c:격벽
4d:축결합공 4e:확경부
5:사이드커버 6:지지체
7:구동축 7a:스프로킷
8:구동유닛 8a:감속기 및 구동모터
8b:구동스프로킷 8c:체인
9:가변지지체 11:가변작동축
11a:헤드부 11b:나사부
12:냉각챔버 13:동압부
13a:유입구멍 13b:공급관체
14:탈압부 14a:배출장공
14b:배출관체 15:온도계
16:냉각수단 16a:로터리조인트
16b:공급유로 16c:배출유로
18:작동구멍 18a:가변작동공간
19:베어링 20:가변수단
21:너트 22:너트지지체
23:핸들 24:스프로킷
25:가변축작동용 정역모터 26:체인
100:증자라인 105:예열 스크루 이송장치
106:증자장치 106a:입구
106b:출구

Claims (5)

  1. 증자라인(100)을 구성하는 증자장치(106)의 입구(106a)와 출구(106b)에 각각 설치하여 사용하도록 상하측으로 공급부(2a) 및 배출부(2b)가 형성되는 로터리밸브(1)를 구성함에 있어서;
    원통형의 밸브본체(2)와;
    상기 밸브본체(2)의 내측에 결합되는 내부에 테이퍼 결합공(3a)이 형성된 슬리브(3)와;
    상기 슬리브(3)의 테이퍼 결합공(3a)에 결합되는 방사상으로 수개의 버킷(4a)을 형성한 임펠러(4)와;
    상기 밸브본체(2)의 양측에 슬리브(3)를 고정하도록 결합한 사이드커버(5) 및 사이드커버(5)의 바깥쪽에 결합되는 지지체(6)와;
    상기 임펠러(4)에 키이로 상호 결합되며 사이드커버(5)에 베어링을 매개로 지지되는 구동축(7)과;
    상기 구동축(7)에 결합된 스프로킷(7a)과 체인(8c)으로 연결되는 구동스프로킷(8b)과 감속기 및 구동모터(8a)를 포함하는 구동유닛(8)과;
    구동유닛(8)의 반대쪽으로 구동축(7)의 선단에 베어링(19)을 매개로 구동축(7)의 동력이 단절되도록 지지체(6)에 결합된 가변지지체(9)에 지지되도록 설치한 가변작동축(11) 및 가변작동축(11)을 가변 이동시키도록 가변지지체(9)에 설치한 가변수단(20)을 포함하도록 구성하여 임펠러(4)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슬리브(3)와 임펠러(4) 사이의 간극이 조절될 수 있도록 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자라인용 로터리 밸브.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밸브본체(2) 및 슬리브(3)에는 임펠러(4)가 회전방향으로 구동될 때 4시 방향과 10시 방향에 각각 동압부(13)와 탈압부(14)를 형성하여 원료를 보다 안정되게 공급할 수 있게 하고, 2시 방향으로 온도센서를 포함하는 온도계(15)를 설치하되;
    상기 동압부(13)는 밸브본체(2)와 슬리브(3)에 축직각방향으로 2개의 유입구멍(13a)을 관통 형성하고, 이들 유입구멍(13a)에는 증자장치(106)와 공급관체(13b)로 상호 연결하며;
    상기 탈압부(14)는 밸브본체(2)와 슬리브(3)에 축직각방향으로 길게 배출장공(14a)을 형성하고, 이 배출장공(14a)에는 증자장치(106) 전단계인 예열 스크루 이송장치(105)와 배출관체(14b)로 상호 연결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자라인용 로터리 밸브.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4)를 냉각하는 냉각수단(16)을 더 포함하되;
    상기 냉각수단(16)은 상기 구동유닛(8)이 위치하는 구동축(7)의 단부에 결합되는 로터리조인트(16a)와, 로터리조인트(16a)와 연결되도록 구동축(7)의 중심을 따라 임펠러(4)와 구동축(7) 사이에 형성한 냉각챔버(12)로 연결되는 공급유로(16b)와, 상기 냉각챔버(12)에서 반대측 구동축(7)의 단부 쪽에 축직각방향으로 배출되도록 형성한 배출유로(16c)로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자라인용 로터리 밸브.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작동축(11)을 가변이동시키는 가변수단(20)으로;
    가변작동축(11)에 나사부(11b)를 형성하고 가변지지체(9)에는 가변작동축(11)에 형성된 나사부(11b)가 체결되는 너트(21)가 조립된 너트지지체(22)를 결합하며, 가변작동축(11)의 단부에는 핸들(23)을 조립하여 정역 회전할 때 가변작동축(11)이 너트(21)를 기준으로 전후진하면서 이동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자라인용 로터리 밸브.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가변작동축(11)을 가변이동시키는 가변수단(20)으로;
    가변작동축(11)에 나사부(11b)를 형성하고 가변지지체(9)에는 가변작동축(11)에 조립된 나사부(11b)가 체결되는 너트(21)가 결합된 너트지지체(22)를 결합하며, 가변작동축(11)의 단부에는 스프로킷(24)을 설치하고, 밸브본체(2)에 지지되도록 설치한 가변축작동용 정역모터(25)로 구동되는 스프로킷(24)과 체인(26)으로 연결하여 정역 구동할 때 가변작동축(11)이 전후진하면서 이동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증자라인용 로터리 밸브.
KR1020120072464A 2012-07-03 2012-07-03 증자라인용 로터리 밸브 KR10139961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464A KR101399618B1 (ko) 2012-07-03 2012-07-03 증자라인용 로터리 밸브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2464A KR101399618B1 (ko) 2012-07-03 2012-07-03 증자라인용 로터리 밸브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520A true KR20140004520A (ko) 2014-01-13
KR101399618B1 KR101399618B1 (ko) 2014-05-27

Family

ID=501404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2464A KR101399618B1 (ko) 2012-07-03 2012-07-03 증자라인용 로터리 밸브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99618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740Y1 (ko) * 2020-01-22 2020-05-28 주식회사 조일기업 유지보수가 용이한 로터리 밸브
KR20220032211A (ko) * 2020-09-07 2022-03-15 신우산기(주) 대두 연속식 증자기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19951B2 (ja) * 1995-06-14 2006-09-13 株式会社フジワラテクノアート 連続加圧蒸煮装置用ロータリーバルブ
KR100833165B1 (ko) 2007-01-18 2008-05-28 두성티에스 주식회사 로터리밸브 유닛
KR100938419B1 (ko) * 2007-11-19 2010-01-22 김용남 수냉식 냉각 구조를 갖는 로터리 밸브
KR101219413B1 (ko) * 2010-10-21 2013-01-11 정규철 내부케이스 및 회전브레이드 교체형 로타리밸브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91740Y1 (ko) * 2020-01-22 2020-05-28 주식회사 조일기업 유지보수가 용이한 로터리 밸브
KR20220032211A (ko) * 2020-09-07 2022-03-15 신우산기(주) 대두 연속식 증자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99618B1 (ko) 2014-05-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0448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heating fluids
WO2008131906A3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ufacturing a food product
KR20140004520A (ko) 증자라인용 로터리 밸브
CN104630442B (zh) 用于钢管冷却的冷却装置
SA519402029B1 (ar) طريقة وجهاز لتسخين وتنقية الموائع
JP5801524B2 (ja) 煙突用石綿除去装置
KR101347241B1 (ko) 회전식 냉각장치를 구비한 디스크 밀 장치 및 그의 냉각방법
PL2004315T3 (pl) Homogenizator z wirnikiem i z przeciwnie do tego wirnika napędzanym kołem obiegowym (induktorem śrubowym) i z wirnikiem przeciwprądowym obracającym się przeciwnie do wirnika
RU2633725C1 (ru) Способ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получения пара
KR100914261B1 (ko) 회전력을 이용한 열 발생장치
CN209926809U (zh) 波浪形螺旋管悬浮加热的连续烘焙、干燥、炒制设备
CN203787394U (zh) 压力烘烤设备
CN104215061B (zh) 动态内螺旋回转式液浴烘干设备及其用途
CN205443392U (zh) 转炉
RU2527545C1 (ru) Многофункциональный вихревой теплогенератор (варианты)
RU2308648C1 (ru) Теплогенератор роторного типа
CN105054267B (zh) 粮食膨化机
CN104652066A (zh) 一种高效率假发染色机
JP2011106775A (ja) ロータリーキルン
KR100498123B1 (ko) 나선 축류식 열풍건조기
CN109356858B (zh) 离心式低温液体泵
KR101421192B1 (ko) 알갱이 및 분체 이송용 스크류 컨베이어의 스크류 냉각장치
CN203443361U (zh) 一种真空炉旋转进气装置
CN206895764U (zh) 冷却良好的粮食膨化机
KR101689563B1 (ko) 젤라틴 캡슐 성형기의 캐스팅 드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32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