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4331U - 환경보호 배연장치 - Google Patents

환경보호 배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4331U
KR20140004331U KR2020130000200U KR20130000200U KR20140004331U KR 20140004331 U KR20140004331 U KR 20140004331U KR 2020130000200 U KR2020130000200 U KR 2020130000200U KR 20130000200 U KR20130000200 U KR 20130000200U KR 20140004331 U KR20140004331 U KR 2014000433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uter tank
oil
water
guide piece
pi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0200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6648Y1 (ko
Inventor
춘-루에이 양
신-웨이 라이
Original Assignee
춘-루에이 양
신-웨이 라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춘-루에이 양, 신-웨이 라이 filed Critical 춘-루에이 양
Priority to KR2020130000200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648Y1/ko
Publication of KR2014000433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33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648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648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0/00Combinations of methods or devices for separating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50/60Combinations of devices covered by groups B01D46/00 and B01D47/0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17/00Separation of liquids, not provided for elsewhere, e.g. by thermal diffusion
    • B01D17/02Separation of non-miscible liqui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0027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 B01D46/003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including coalescing means for the separation of liquid
    • B01D46/0031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additional separating or treating functions including coalescing means for the separation of liquid with collecting, drain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42Auxiliary equipment or operation thereof
    • B01D46/4254Allowing or improving visual supervision, e.g. lamps, transparent parts, window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6/00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 B01D46/56Filters or filtering processes specially modified for 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or vapours with multiple filtering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ir mutual dis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47/00Separating dispersed particles from gases, air or vapours by liquid as separating agent
    • B01D47/06Spray clea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34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 B01D53/74General processes for purification of waste gases; Apparatus or device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01D53/77Liquid phase processes
    • B01D53/78Liquid phase processes with gas-liquid contact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Filtering Of Dispersed Particles In Gas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환경보호 배연장치로서, 외부탱크를 포함하며, 상기 외부탱크 내에는 내부 관체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외부탱크의 내부 관체 바깥 하부에 환기 프로펠러가 설치되어있고, 상기 내부 관체 표면에는 상부 유도편 및 하부 유도편이 설치되어 외부탱크와 연결되어있고, 이를 통해 공기, 기름연기 및 물은 외부탱크와 내부 관체 사이에 진입하여, 상부 유도편 및 하부 유도편에 의해 하부의 환기 프로펠러에 유도되고, 마지막에 내부 관체를 통해 위로 재 배출되며, 본 고안의 기름연기의 정화는 일체화의 흐름으로 배연과정에서 효율적이고 환경보호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으며, 그리고 본 고안은 복수 층의 여과망을 구비하여 다중 여과를 진행할 수 있어, 환경보호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고 경제적인 효과에도 부합한다.

Description

환경보호 배연장치{Exhaust apparatus for protecting environment}
본 고안은 환경보호 배연장치로서, 특히 복수 층의 여과망을 구비한 여과망 조립체로, 이를 통해 다중 여과를 진행하고, 일체화의 흐름을 사용하여 배연과정에서 효율적이면서 환경보호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현재 환경보호에 대한 의식은 날로 높아지고 있으며, 배연장치에서 배출한 기름연기는 매우 많은 유독성 물질, 예로 일산화 탄소, 탄화수소, 유황 산화물 등을 포함하고 있다.
종래의 배연장치는 기름연기를 배출할 때, 스펀지를 사용하여 기름연기를 흡수하고 나아가 기름연기를 여과하며, 이러한 방법은 자주 스펀지를 교환해야 하고, 기름물질을 흡수한 스펀지는 교환하기가 더욱 번거로우며, 그리고 교환할 때는 인력, 시간적 비용이 들어가고, 또한 스펀지를 계속 교환하는 것도 비용을 증가하여, 이러한 방식은 경제적 효과에 부합하지 않는다.
또한, 종래의 기름연기를 분리하는 방식은 기름연기를 폐수조에 주입하고, 그리고 폐수조에 세정제를 첨가하고, 이어서 폐수조의 교반을 진행하고, 여러 차례의 교반을 경과하여, 기름과 세정제가 혼합된 후, 기름을 물에서 정화할 수 있으며, 이러한 혼합방식은 많은 비용을 소비하고, 경제적인 효과에 부합하지 않는다.
상술한 배연방식 및 기름연기의 정화방식은 경제적인 효과가 좋지 않은 문제가 있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환경보호 배연장치가 요구된다.
종래의 배연방식 및 기름연기 정화방식, 예를 들어, 스펀지로 기름연기를 흡수하고, 및 폐수조를 이용하여 기름연기를 정화하는 방식은 스펀지를 이용하여 기름연기를 흡수할 경우에는 스펀지를 교환하는 인력 및 시간적 비용이 들며, 폐수조에서 교환하는 혼합할 경우도 많은 비용을 소비하게 되므로 경제적인 효과에 부합하지 않으므로, 이를 해결하기 위한 것을 과제로 한다.
본 고안은 환경보호 배연장치를 제공하며, 환경보호 배연장치는 외부탱크, 내부 관체, 분수 장치, 하부 덮개, 상부 덮개 및 유수 분리통을 포함하되, 상기 외부탱크 하단 둘레에 복수 개의 받침대가 설치되어 상기 외부탱크를 세워주고, 상기 외부탱크 내부의 중앙 위치에는 고정 블록을 설치하고, 그리고 그 상단 면의 중앙에는 상부 접합 홀이 설치되어 있고, 하단 면의 중앙에는 하부 접합 홀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상부 접합 홀과 하부 접합 홀은 연통되도록 형성하고, 또한 상기 고정 블록의 밑면에는 유도 홈 부분이 설치되어 있고, 상기 고정 블록 양측에는 각각 스토퍼 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고정 블록의 상부 접합 홀에는 피벗이 설치되고, 상기 피벗의 중간 부분 직경은 보다 크게 설계되어, 상기 피벗이 상부 접합 홀에 접하게 하고, 또한 상기 피벗 중앙에는 샤프트 홀을 관통 설치하고, 상기 샤프트 홀에는 샤프트가 관통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의 하단 직경은 보다 작게 설계되어, 상기 샤프트의 하단은 샤프트 홀을 관통하여 하부 접합 홀 위치에 접합하도록 하며, 또한 상기 샤프트의 상단은 상기 샤프트 홀을 관통하여 나오게 하여, 상기 샤프트 상단에는 잠금편을 끼워 설치하고, 상기 잠금편을 피벗의 상단 면에 고정하고, 상기 잠금편 둘레에는 경상으로 복수 개의 회전막대가 설치되고, 각 회전막대의 말단에는 환기 프로펠러가 설치되고, 동시에 잠금편 둘레에는 복수 개의 경사진 나선 홈 형상의 흐름 유도홈이 설치되고, 상기 흐름 유도홈은 하향으로 피벗 하단까지 연장되며, 또한 상기 외부탱크 하부에 하나의 기름 배출부가 연결되어 있고, 외부탱크의 기름 배출부 아래에 물 배출부가 연결되어 있고, 그 중 상기 기름 배출부에는 기름 배출부 개폐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물 배출부에는 물 배출부 개폐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외부탱크 하단 중앙에는 배수관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배수관에는 제1 배수 개폐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이를 통해 상기 배수관의 배수를 제어하며, 상기 내부 관체는 외부탱크에 설치되고, 상기 내부 관체 하단에는 고정 프레임이 설치되어있고,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샤프트 상단에 설치되어 내부 관체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내부 관체에는 고정 프레임 상부에 여과망 조립체가 설치되고, 상기 여과망 조립체는 이격된 복수 개의 원호형 여과망을 포함하고, 각 원호형 여과망 사이의 내부 둘레에는 복수 개의 연결막대가 연결되어 각 원호형 여과망이 일체로 형성되고, 그 중 원호형 여과망의 원호형 부분은 상향 또는 하향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각 연결막대는 상향으로 연장되어 편리하게 잡을 수 있도록 절곡되어 서로 연결되며, 또한 상기 내부 관체 상단 외부 둘레에는 고리형 스토퍼 편이 설치되어있고, 상기 고리형 스토퍼 편 둘레는 외부탱크의 내부 둘레와 고정 연결되고, 상기 내부 관체에서 고리형 스토퍼 편 둘레 하부에 상부 유도편이 연결되어있고, 상기 상부 유도편은 내부 관체에 나선으로 둘러서 설치되고 외부탱크 내부 표면과 고정 연결을 형성하며, 그리고 상기 상부 유도편 하부에 하부 유도편이 설치되며, 상기 하부 유도편은 외부탱크 내부 표면과 고정 연결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 유도편과 상부 유도편은 간격을 두고 형성하며 나선으로 내부 관체에 둘러서 설치되어, 상기 유도편과 하부 유도편은 나선 교차형의 쌍나선 설계를 형성하며, 상기 분수 장치는 관체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관체 부분의 일 측은 외부탱크에 연통되어, 관체 부분의 위치가 바로 상부 유도편과 하부 유도편 사이에 놓이게 되고, 상기 관체 부분의 타 측은 송풍관과 연통되며, 상기 송풍관은 공기와 기름연기를 수송하는데 사용하고, 송풍관의 공기와 기름 연기는 하부 유도편과 상부 유도편 사이에 유입되도록 하여, 흐름에 따라 외부탱크 하단까지 이르며, 상기 관체 부분에는 분무기가 설치되어있고, 상기 분무기는 외부탱크 방향쪽으로 분무할 수 있고, 상기 분문기는 상향으로 관체 부분을 관통하여 분무 탄성 스위치와 연결되고, 상기 분무 탄성 스위치를 통해 분무기의 분무를 제어하고, 상기 분무 탄성 스위치는 물 제어부재와 연통되어 물의 유입을 제어하며, 상기 관체 부분 상부 둘레에 동작부를 선회되게 설치하고, 상기 동작부는 분무 탄성 스위치와 외부탱크 사이에 위치하여 분무 탄성 스위치을 향해 누를 수 있고, 상기 동작부는 관체 부분 안에 설치된 동작판과 연결되어있고, 송풍관의 풍력으로 동작판을 움직이고, 동작부를 분문 탄성 스위치를 향해 누르도록 하여, 나아가 분무기가 분무를 개시하며, 그리고 풍력이 사라진 후에 분무 탄성 스위치는 자동으로 회복하여 분무를 정지하며, 상기 하부 덮개는 상부가 원호 형상인 하부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본체 하부 중앙에는 하부 덮개 결합부가 설치되어있고, 상기 하부 덮개 결합부는 내부 관체 외부 둘레에 씌워 설치하며, 상기 상부 덮개는 하부가 원호 형상인 상부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본체 상부 중앙에는 상부 덮개 결합부가 설치되어있으며, 상기 상부 본체의 둘레는 외부탱크 상단 둘레와 접합하며, 상기 유수 분리통은 기름 배출부, 물 배출부와 연통되며, 그리고 상기 유수 분리통 하부에는 물 방출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유수 분리통의 상부에는 기름 저장관이 연통되어 있고, 상기 기름 저장관에는 기름 방출부가 설치되어있다.
상술한 설계에 근거하여, 본 고안의 상기 고정 블록은 아래에서 위로 점차 축소되는 계단형상이다.
상술한 설계에 근거하여, 본 고안의 상기 받침대는 4개로 균등하게 설치할 수 있다.
상술한 설계에 근거하여, 본 고안의 상기 외부탱크 내부 하단은 하향하는 원호형상으로 설계되고, 상기 하단에는 상향하는 복수 개의 위치고정 오목부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 블록의 밑면에는 위치고정 오목부에 제공되어 위치를 고정하는 복수 개의 하향하는 고정 볼록부가 설치된다.
상술한 설계에 근거하여, 본 고안의 상기 회전막대는 6개 일 수 있다.
상술한 설계에 근거하여, 본 고안의 상기 흐름 유도홈은 3개 일 수 있다.
상술한 설계에 근거하여, 본 고안의 상기 샤프트의 하단에는 나사 결합물을 설치한다.
상술한 설계에 근거하여, 본 고안의 상기 나사 결합물은 나사일 수 있다.
상술한 설계에 근거하여, 본 고안의 상기 유수 분리통의 일 측에는 연통관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통관으로 유수 분리통의 기름과 물의 높이를 알 수 있다.
상술한 설계에 근거하여, 본 고안의 상기 기름 저장관은 투명하게 설계된다.
상술한 설계에 근거하여, 본 고안의 상기 동작판은 반달형이다.
상술한 설계에 근거하여, 본 고안의 상기 배수관은 밖으로 연장되고, 그리고 연장된 곳에 상향하여 외부탱크 하단을 관통한 연통 배수관이 설치되고, 상기 연통 배수관은 제2 배수 개폐장치로 배수가 제어된다.
상술한 설계에 근거하여, 본 고안의 상기 고정 프레임은 내부 관체의 중앙에서 복수 개의 고정 막대가 내부 관체의 내부 표면과 연결될 수 있다.
상술한 설계에 근거하여, 본 고안의 상기 원호형 여과망은 4개일 수 있다.
상술한 설계에 근거하여, 본 고안의 환경보호 배연장치는 환기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환기관은 상부 덮개의 상부 덮개 결합부 외부 둘레에 설치되고, 상기 환기관 안에는 고정 여과망이 설치되어있다.
상술한 설계에 근거하여, 본 고안의 상기 연결막대는 3개일 수 있다.
상술한 설계에 근거하여, 본 고안의 상기 외부탱크 외부 표면에는 투명부를 설치하여, 외부탱크 외부에서 내부 상황을 파악할 수 있다.
상술한 설계에 근거하여, 본 고안의 상기 투명부는 렌즈일 수 있고, 상기 렌즈 상부는 원호형이고, 하부는 직선형이다.
상술한 설계에 근거하여, 본 고안의 상기 상부 본체 둘레에는 복수 개의 체결부가 설치되어있고, 각 체결부는 외부탱크에 체결되어 위치를 고정한다.
상술한 설계에 근거하여, 본 고안의 상기 상부 덮개 결합부의 내부 둘레에는 하향으로 고리형 망이 설치되어있고, 상기 고리형 망 하부에는 받침부가 설치되어있고, 상기 받침부 일 측에는 오일 파이프 라인이 설치되어있고, 상기 오일 파이프 라인은 외부탱크와 내부 관체 사이까지 연장되어, 하향으로 하부 덮개의 하부 본체와 외부탱크 하부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오일 파이프 라인은 유수 분리통과 연통된다.
상술한 설계에 근거하여, 본 고안의 상기 받침대 하단에 고정물을 관통 설치하여 받침대를 평면에 고정시킨다.
상술한 설계에 근거하여, 본 고안의 상기 고정물은 나사일 수 있다.
본 고안은 환경보호 배연장치를 제공하며, 본 고안의 기름 정화는 일체화의 흐름으로 인해, 배연과정은 효율적으로 환경보호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고, 그리고 본 고안은 복수 층의 여과망을 구비하여 다중 여과를 진행하고, 환경보호의 효과를 더욱 향상시키고 경제적인 효과에도 부합한다.
도1은 본 고안의 입체 설명도이다.
도2는 본 고안의 단면도이다.
도3은 본 고안의 고정 블록 및 환기 프로펠러의 확대 설명도이다.
도4는 본 고안의 피벗, 샤프트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5는 본 고안의 분수 장치의 확대 설명도이다.
도6은 본 고안의 동작부 및 동작판의 단면도이다.
도7은 본 고안의 고리형 망의 단면도이다.
도8은 본 고안의 여과망 조립체의 입체 설명도이다.
도9는 본 고안의 내부 관체 하부의 고정 프레임의 입체 설명도이다.
도10은 본 고안의 내부 관체의 상부 유도편 및 하부 유도편의 입체 설명도이다.
도11은 본 고안의 유수 분리통의 입체 설명도이다.
도12는 본 고안의 흐름 설명도이다.
도13은 본 고안의 오일 파이프 라인의 흐름 설명도이다.
이하 도면과 결합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다음과 같이 상세히 설명한다:
도1 내지 도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은 환경보호 배연장치를 제공하며, 환경보호 배연장치는 외부탱크(10), 내부 관체(20), 분수 장치(30), 하부 덮개(40), 상부 덮개(50) 및 유수 분리통(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외부탱크(10) 하단 둘레에 복수 개의 받침대(11)가 설치되어 있어 상기 외부탱크(10)를 세워주고, 상기 받침대(11)는 4개로 균등하게 설치할 수 있고, 상기 받침대(11) 하단에 고정물(111)을 관통 설치하여 받침대(11)를 평면에 고정시키며, 그 중 상기 고정물(111)은 나사일 수 있다.
상기 외부탱크(10) 외부 표면에는 투명부(101)를 설치하여, 외부탱크(10) 외부에서 내부 상황을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그 중 상기 투명부(101)는 렌즈일 수 있고, 렌즈 상부는 원호형이고, 하부는 직선형이다.
상기 외부탱크(10) 내부 하단은 하향하는 원호형상으로 설계되고, 상기 하단에는 상향하는 복수 개의 위치고정 오목부(102)를 설치하고, 그리고 중앙 위치에는 고정 블록(12)을 설치하며, 상기 고정 블록(12)은 아래에서 위로 점차 축소되는 계단형상이고, 그리고 상단 면의 중앙에는 상부 접합 홀(121)이 설치되어있고, 하단 면의 중앙에는 하부 접합 홀(122)이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접합 홀(121)과 하부 접합 홀(122)은 연통되도록 형성하고, 그 중 상기 고정 블록(12)의 밑면에는 위치고정 오목부(102)에 제공되어 위치를 고정하는 복수 개의 하향하는 고정 볼록부(124)가 설치되고, 또한 상기 고정 블록(12) 밑면에는 유도 홈 부분(123)이 설치되어있고, 상기 고정 블록(12) 양측에는 각각 스토퍼 판(125)이 설치되어 있다.
또한 상기 고정 블록(12)의 상부 접합 홀(121)에는 피벗(13)이 설치되고, 상기 피벗(13)의 중간 부분 직경은 보다 크게 설계되어, 상기 피벗(13)이 상부 접합 홀(121)에 접하게 하고, 또한 상기 피벗(13) 중앙에는 샤프트 홀(131)을 관통 설치하고, 상기 샤프트 홀(131)에는 샤프트(14)가 관통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14)의 하단 직경은 보다 작게 설계되어, 상기 샤프트(14)의 하단은 샤프트 홀(131)을 관통하여 하부 접합 홀(122) 위치에 접합하도록 하고, 상기 샤프트(14)의 하단에는 나사 결합물(141)을 설치하고, 그 중 상기 나사 결합물(141)은 나사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샤프트(14)의 상단은 상기 샤프트 홀(131)을 관통하여 나오게 하고, 상기 샤프트(14) 상단에는 잠금편(15)을 끼워 설치하고, 상기 잠금편(15)을 피벗(13)의 상단 면에 고정하고, 상기 잠금편(15) 둘레에는 경상으로 복수 개의 회전막대(151)가 설치되고, 각 회전막대(151)의 말단에는 환기 프로펠러(152)가 설치되고, 동시에 잠금편(15) 둘레에는 복수 개의 경사진 나선 홈 형상의 흐름 유도홈(16)이 설치되고, 상기 흐름 유도홈(16)은 하향으로 피벗(13) 하단까지 연장되며, 그 중 회전막대는 6개 일 수 있고, 상기 흐름 유도홈(16)은 3개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외부탱크(10) 하부에 하나의 기름 배출부(17)가 연결되어있고, 외부탱크(10)의 기름 배출부(17) 아래에 물 배출부(18)가 연결되어있고, 그 중 상기 기름 배출부(17)에는 기름 배출부 개폐장치(171)가 설치되고, 상기 물 배출부(18)에는 물 배출부 개폐장치(181)가 설치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외부탱크(10) 하단 중앙에는 배수관(19)이 연결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관(19)에는 제1 배수 개폐장치(191)가 설치되어 있어, 이를 통해 상기 배수관(19)의 배수를 제어하고, 상기 배수관(19)은 밖으로 연장되어, 연장된 곳에 상향하여 외부탱크(10) 하단을 관통한 연통 배수관(192)이 설치되고, 상기 연통 배수관(192)은 제2 배수 개폐장치(193)로 배수가 제어된다.
상기 내부 관체(20)는 외부탱크(10)에 설치되고, 상기 내부 관체(20) 하단에는 고정 프레임(21)이 설치되어있고, 상기 고정 프레임(21)은 내부 관체(20)의 중앙에서 여러 개의 고정 막대가 내부 관체(20)의 내부 표면과 연결될 수 있으며, 상기 고정 막대의 개수는 3개로 균등하게 설치되며, 상기 고정 프레임(21)은 샤프트(14) 상단에 설치되어 내부 관체(20)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내부 관체(20)에는 고정 프레임(21) 상부에 여과망 조립체(23)가 설치되고, 상기 여과망 조립체(23)는 이격된 복수 개의 원호형 여과망(231)을 포함하고, 상기 원호형 여과망(231)은 4개일 수 있고, 각 원호형 여과망(231) 사이의 내부 둘레에는 복수 개의 연결막대(232)가 연결되어 각 원호형 여과망(231)이 일체로 형성되고, 그 중 원호형 여과망(231)의 원호형 부분은 상향 또는 하향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또한 연결막대(232)는 3개일 수 있고, 각 연결막대(232)는 상향으로 연장되어 편리하게 잡을 수 있도록 절곡되어 서로 연결된다.
또한 상기 내부 관체(20) 상단 외부 둘레에는 고리형 스토퍼 편(24)이 설치되어있고, 상기 고리형 스토퍼 편(24) 둘레는 외부탱크(10)의 내부 둘레와 고정 연결되고, 상기 내부 관체(20)에서 고리형 스토퍼 편(24) 둘레 하부에 상부 유도편(24)이 연결되어있고, 상기 상부 유도편(24)은 내부 관체(24)에 나선으로 둘러서 설치되고 외부탱크(10) 내부 표면과 고정 연결을 형성하며, 그리고 상기 상기 상부 유도편(25) 하부에 하부 유도편(26)이 설치되며, 상기 하부 유도편(26)은 외부탱크(10) 내부 표면과 고정 연결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 유도편(26)과 상부 유도편(25)은 간격을 두고 형성하며 나선으로 내부 관체(20)에 둘러서 설치되어, 상기 유도편(25)과 하부 유도편(26)은 나선 교차형의 쌍나선 설계를 형성한다.
상기 분수 장치(30)는 관체 부분(31)을 포함하고, 상기 관체 부분(31)의 일 측은 외부탱크(10)에 연통되어, 관체 부분(31)의 위치가 바로 상부 유도편(25)과 하부 유도편(26) 사이에 놓이게 되고, 상기 관체 부분(31)의 타 측은 송풍관(32)과 연통되며, 상기 송풍관(32)은 공기와 기름 연기를 수송하는데 사용하고, 송풍관(32)의 공기와 기름 연기는 하부 유도편(26)과 상부 유도편(25) 사이에 유입되도록 하여, 흐름에 따라 외부탱크(10) 하단까지 이른다. 상기 관체 부분(31)에는 분무기(33)가 설치되어있고, 상기 분무기(33)는 외부탱크(10) 방향쪽으로 분무할 수 있고, 상기 분문기(33)는 상향으로 관체 부분(31)을 관통하여 분무 탄성 스위치(34)와 연결되고, 상기 분무 탄성 스위치(34)를 통해 분무기(33)의 분무를 제어하고, 상기 분무 탄성 스위치(34)는 물 제어부재(35)과 연통되어 물의 유입을 제어한다.
상기 관체 부분(31) 상부 둘레에 동작부(36)를 선회되게 설치하고, 상기 동작부(36)는 분무 탄성 스위치(34)와 외부탱크(10) 사이에 위치하여 분무 탄성 스위치(34)을 향해 누를 수 있고, 상기 동작부(36)는 관체 부분(31) 안에 설치된 반달형 동작판(37)과 연결되어있고, 송풍관(32)의 풍력으로 동작판(37)을 움직이고, 동작부(36)를 분문 탄성 스위치(34)을 향해 누르도록 하여, 나아가 분무기(33)가 분무를 개시하며, 그리고 풍력이 사라진 후에 분무 탄성 스위치(34)는 자동으로 회복하여 분무를 정지한다.
상기 하부 덮개(40)는 상부가 원호 형상인 하부 본체(41)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본체(41) 하부 중앙에는 하부 덮개 결합부(42)가 설치되어있고, 상기 하부 덮개 결합부(42)는 내부 관체(20) 외부 둘레에 씌워 설치한다.
상기 상부 덮개(50)는 하부가 원호 형상인 상부 본체(51)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본체(51) 상부 중앙에는 상부 덮개 결합부(52)가 설치되어있으며; 상기 상부 본체(51)의 둘레는 외부탱크(10) 상단 둘레와 접합하고, 상기 상부 본체(51) 둘레에는 복수 개의 체결부(53)가 설치되어있고, 각 체결부(53)는 외부탱크(10)에 체결되어 위치를 고정한다.
또한 상기 상부 덮개 결합부(52)의 내부 둘레에는 하향으로 고리형 망(54)이 설치되어있고, 상기 고리형 망(54) 하부에는 받침부(55)가 설치되어있고, 상기 받침부(55) 일 측에는 오일 파이프 라인(56)이 설치되어있고, 상기 오일 파이프 라인(56)은 외부탱크(10)와 내부 관체(20) 사이까지 연장되어, 하향으로 하부 덮개(40)의 하부 본체(41)와 외부탱크(10) 하부를 관통하여 설치된다.
또한, 환경보호 배연장치는 상부 덮개(50)의 상부 덮개 결합부(52) 외부 둘레에 설치되는 환기관(60)을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환기관(60) 안에는 고정 여과망(61)이 설치되어있다.
상기 유수 분리통(70)은 기름 배출부(17), 물 배출부(18) 및 오일 파이프 라인(56)과 연통되며; 상기 유수 분리통(70)의 일 측에는 연통관(71)이 연결되어있고, 상기 연통관(71)으로 유수 분리통(70)의 기름과 물의 높이를 알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유수 분리통(70) 하부에는 물 방출부(72)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유수 분리통(70)의 상부에는 투명한 기름 저장관(73)이 연통되어 있고, 상기 기름 저장관(73)에는 기름 방출부(74)가 설치되어있다.
본 고안을 사용할 때, 도12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모터(모터에 의한 환기는 종래의 기술이므로 도시하지 않았음)를 통해 공기와 기름연기를 송풍관(32)에 유입시키고, 공기와 기름연기는 분수 장치(30)를 경과할 때 동작판(37)을 움직이고, 동작판(37)은 동작부(36)를 연동하여 동작부(36)는 분무 탄성 스위치(34)를 향해 누르고, 나아가 분무기(33)가 분무를 하고, 이때 분무기(33)가 분사한 안개는 동작판(37)을 깨끗이 씻어주고, 송풍관(32)의 풍력에 의해 외부탱크(10)에 유입되어 액체 물로 전환되며, 풍력이 사라진 후에 동작판(37)에 가하는 압력이 정지되고, 이때 동작판(37)은 동작이 회복되어, 동작부(36)도 분무 탄성 스위치(34)를 누르기를 정지하고, 나아가 분무 탄성 스위치(34)가 자동으로 회복되어 분무가 정지된다.
상기 분무 탄성 스위치(34)의 배수 구조는 종래의 수세식 변기의 누름 방식으로 물을 내리는 자동 회복 구조이므로, 분무 탄성 스위치(34)의 구조는 설명하지 않는다. 또한 분무기(33)의 물의 공급은 물 제어부재(35)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물 제어부재(35)은 물의 공급을 열거나 끊을 수 있다.
또한, 물, 공기 및 기름연기가 송풍관(32)에서 외부탱크(10) 내부로 유입되면, 상부 유도편(25) 및 하부 유도편(26)에 의해 유도되어 외부탱크(10) 하부에 유입되며, 그 중 물과 기름은 외부탱크(10) 하부에 정체되어, 유도 홈 부분(123)에 의해 배수관(19)에 유입되고, 공기는 상부 유도편(25) 및 하부 유도편(26)에 의해 아래로 흘러 소용돌이 흐름을 형성하고, 이 소용돌이 흐름이 외부탱크(10) 하부에 흘러 회전막대(151) 및 환기 프로펠러(152)를 회전시키고, 소용돌이 흐름이 아래로 흐를 때, 하부의 스토퍼 판(125)에 의해 제지되어, 나아가 흐름 유도홈(16)을 따라 흐르고, 이어서 내부 관체(20)를 향해 흐르며, 이와 같이 전체적으로 반복되는 소용돌이 흐름이 발생되고, 나아가 외부탱크(10) 하부의 물과 기름을 교반하는 동작이 발생하고, 나아가 천연식물을 배합하여 기름 물질을 정화할 수 있다.
상술한 외부탱크(10) 하부의 물과 기름을 교반하는 동작이 발생하면, 물로 하여금 오존을 발생하게 하여, 물과 기름이 더 쉽게 혼합되게 하고, 또한 물과 기름이 교반되는 동시에 물결 얼룩이 발생하고, 물결 얼룩은 각 원호형 여과망(231)의 망목에 붙어, 나아가 여과 효과를 달성하고, 이어서 내부 관체(20)에 흐르는 공기는 위로 환기관(60)까지 흘러, 환기관(60)의 고정 여과망(61)에 의해 여과되고, 마지막으로 환기관(60) 위로 향해 가 버린다. 그 중 공기가 환기관(60) 위로 향해 가 버리는 경로에서 고리형 망(54)을 경과하고, 고리형 망(54)에서 재차 공기 중의 기름 물질을 여과하여, 기름 물질이 고리형 망(54)에 남게 하고, 천천히 아래로 받침부(55) 위에 흘러내리고, 받침부(55)의 기름은 오일 파이프 라인(56)을 따라 흘러, 도1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외부탱크(10) 하부를 경과하여 유출되고, 마지막으로 오일 파이프 라인(56)을 따라 유수 분리통(70)에 흘러간다.
상술에 의한 본 고안의 물과 기름은 외부탱크(10) 하부에 침전하고, 시간이 경과되면 상부의 기름과 하부의 물로 분리되고, 물이 너무 많으면 제1 배수 개폐장치(191)를 열어 배수관(19)에서 물을 방출하고, 즉 물의 양을 줄인다. 또한, 물의 높이가 연통 배수관(192)보다 높으면 제2 배수 개폐장치(193)를 열어 연통 배수관(192)에서 물을 방출하여 외부탱크(10) 하부의 수위를 낮출 수 있다.
또한, 물과 기름은 기름 배출부(17) 및 물 배출부(18)를 통해 유수 분리통(70)에 유입되어 분리를 진행할 수 있고, 유수 분리통(70) 하부에 위치하는 물은 유수 분리통(70)의 물 방출부(72)를 통해 유출할 수 있고, 유수 분리통(70) 상부에 위치하는 기름의 높이가 기름 저장관(73)에 도달하면, 기름 방출부(74)를 통해 기름을 발출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 의거하여, 분 고안은 두 가지 장점이 있다: 하나는 본 고안은 여과망 조립체(23)를 설치하고, 여과망 조립체(23)는 다중의 여과를 진행하여, 환경보호 효과를 달성할 수 있고, 여과망 조립체(23)를 연결막대(232)로 편리하게 교환할 수 있어 실용적이며, 다른 하나는 본 고안은 공기, 기름연기 및 물을 유입하고, 이어서 상부 유도편(25) 및 하부 유도편(26) 및 환기 프로펠러(152) 등 구조를 통해, 전체적으로 소용돌이 흐름을 발생하여 기름 물질을 정화시키고, 이와 같은 일체화의 흐름은 배연과정에서 효율적이고 환경보호의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을 종합하면, 보 고안은 동시에 상술한 여러 효능과 실용 가치를 지니며, 효과적으로 전체 효율을 향상시키므로, 본 고안은 확실히 바람직한 창작이며, 그리고 같은 기술분야에서 같거나 유사한 제품의 공개사용을 본 적이 없어, 실용신안 특허 요건에 부합하여 법에 의거해 특허 출원을 제출합니다.
10: 외부탱크 101: 투명부
102: 위치고정 오목부 11: 받침대
111: 고정물 12: 고정 블록
121: 상부 접합 홀 122: 하부 접합 홀
123: 유도 홈 부분 124: 고정 볼록부
125: 스토퍼 판 13: 피벗
131: 샤프트 홀 14: 샤프트
141: 나사 결합물 15: 잠금편
151: 회전막대 152: 환기 프로펠러
16: 흐름 유도홈 17: 기름 배출부
171: 기름 배출부 개폐장치 18: 물 배출부
181: 물 배출부 개폐장치 19: 배수관
191: 제1 배수 개폐장치 192: 연통 배수관
193: 제2 배수 개폐장치 20: 내부 관체
21: 고정 프레임 23: 여과망 조립체
231: 원호형 여과망 232: 연결막대
24: 고리형 스토퍼 편 25: 상부 유도편
26: 하부 유도편 30: 분수 장치
31: 관체 부분 32: 송풍관
33: 분무기 34: 분무 탄성 스위치
35: 물 제어부재 36: 동작부
37: 동작판 40: 하부 덮개
41: 하부 본체 42: 하부 덮개 결합부
50: 상부 덮개 51: 상부 본체
52: 상부 덮개 결합부 53: 체결부
54: 고리형 망 55: 받침부
56: 오일 파이프 라인 60: 환기관
61: 고정 여과망 70: 유수 분리통
71: 연통관 72: 물 방출부
73: 기름 저장관 74: 기름 방출부

Claims (22)

  1. 환경보호 배연장치에 있어서,
    외부탱크, 내부 관체, 분수 장치, 하부 덮개, 상부 덮개 및 유수 분리통을 포함하되,
    상기 외부탱크 하단 둘레에 복수 개의 받침대가 설치되어 상기 외부탱크를 세워주고; 상기 외부탱크 내부의 중앙 위치에는 고정 블록을 설치하고, 그리고 그 상단 면의 중앙에는 상부 접합 홀이 설치되어있고, 하단 면의 중앙에는 하부 접합 홀이 설치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상부 접합 홀과 하부 접합 홀은 연통되도록 형성하고, 또한 상기 고정 블록의 밑면에는 유도 홈 부분이 설치되어있고, 상기 고정 블록 양측에는 각각 스토퍼 판이 설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고정 블록의 상부 접합 홀에는 피벗이 설치되고, 상기 피벗의 중간 부분 직경은 보다 크게 설계되어, 상기 피벗이 상부 접합 홀에 접하게 하고, 또한 상기 피벗 중앙에는 샤프트 홀을 관통 설치하고, 상기 샤프트 홀에는 샤프트가 관통 설치되고, 상기 샤프트의 하단 직경은 보다 작게 설계되어, 상기 샤프트의 하단은 샤프트 홀을 관통하여 하부 접합 홀 위치에 접합하도록 하며, 또한 상기 샤프트의 상단은 상기 샤프트 홀을 관통하여 나오게 하고, 상기 샤프트 상단에는 잠금편을 끼워 설치하고, 상기 잠금편을 피벗의 상단 면에 고정하고, 상기 잠금편 둘레에는 경상으로 복수 개의 회전막대가 설치되고, 각 회전막대의 말단에는 환기 프로펠러가 설치되고, 동시에 잠금편 둘레에는 복수 개의 경사진 나선 홈 형상의 흐름 유도홈이 설치되고, 상기 흐름 유도홈은 하향으로 피벗 하단까지 연장되며; 또한 상기 외부탱크 하부에 하나의 기름 배출부가 연결되어있고, 외부탱크의 기름 배출부 아래에 물 배출부가 연결되어있고, 그 중 상기 기름 배출부에는 기름 배출부 개폐장치가 설치되고, 상기 물 배출부에는 물 배출부 개폐장치가 설치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외부탱크 하단 중앙에는 배수관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배수관에는 제1 배수 개폐장치가 설치되어 있어, 이를 통해 상기 배수관의 배수를 제어하며;
    상기 내부 관체는 외부탱크에 설치되고, 상기 내부 관체 하단에는 고정 프레임이 설치되어있고, 상기 고정 프레임은 샤프트 상단에 설치되어 내부 관체의 위치가 고정되도록 하며; 상기 내부 관체에는 고정 프레임 상부에 여과망 조립체가 설치되고, 상기 여과망 조립체는 이격된 복수 개의 원호형 여과망을 포함하고, 각 원호형 여과망 사이의 내부 둘레에는 복수 개의 연결막대가 연결되어 각 원호형 여과망이 일체로 형성되고, 그 중 원호형 여과망의 원호형 부분은 상향 또는 하향으로 설치될 수 있으며, 각 연결막대는 상향으로 연장되어 편리하게 잡을 수 있도록 절곡되어 서로 연결되며, 또한 상기 내부 관체 상단 외부 둘레에는 고리형 스토퍼 편이 설치되어있고, 상기 고리형 스토퍼 편 둘레는 외부탱크의 내부 둘레와 고정 연결되고, 상기 내부 관체에서 고리형 스토퍼 편 둘레 하부에 상부 유도편이 연결되어있고, 상기 상부 유도편은 내부 관체에 나선으로 둘러서 설치되고 외부탱크 내부 표면과 고정 연결을 형성하며, 그리고 상기 상부 유도편 하부에 하부 유도편이 설치되며, 상기 하부 유도편은 외부탱크 내부 표면과 고정 연결을 형성하고, 상기 하부 유도편과 상부 유도편은 간격을 두고 형성하며 나선으로 내부 관체에 둘러서 설치되어, 상기 유도편과 하부 유도편은 나선 교차형의 쌍나선 설계를 형성하며;
    상기 분수 장치는 관체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관체 부분의 일 측은 외부탱크에 연통되어, 관체 부분의 위치가 바로 상부 유도편과 하부 유도편 사이에 놓이게 되고, 상기 관체 부분의 타 측은 송풍관과 연통되며, 상기 송풍관은 공기와 기름연기를 수송하는데 사용하고, 송풍관의 공기와 기름연기는 하부 유도편과 상부 유도편 사이에 유입되도록 하여, 흐름에 따라 외부탱크 하단까지 이르며; 상기 관체 부분에는 분무기가 설치되어있고, 상기 분무기는 외부탱크 방향쪽으로 분무할 수 있고, 상기 분문기는 상향으로 관체 부분을 관통하여 분무 탄성 스위치와 연결되고, 상기 분무 탄성 스위치를 통해 분무기의 분무를 제어하고, 상기 분무 탄성 스위치는 물 제어부재와 연통되어 물의 유입을 제어하며, 상기 관체 부분 상부 둘레에 동작부를 선회되게 설치하고, 상기 동작부는 분무 탄성 스위치와 외부탱크 사이에 위치하여 분무 탄성 스위치을 향해 누를 수 있고, 상기 동작부는 관체 부분 안에 설치된 동작판과 연결되어있고, 송풍관의 풍력으로 동작판을 움직이고, 동작부를 분문 탄성 스위치를 향해 누르도록 하여, 나아가 분무기가 분무를 개시하며, 그리고 풍력이 사라진 후에 분무 탄성 스위치는 자동으로 회복하여 분무를 정지하며;
    상기 하부 덮개는 상부가 원호 형상인 하부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하부 본체 하부 중앙에는 하부 덮개 결합부가 설치되어있고, 상기 하부 덮개 결합부는 내부 관체 외부 둘레에 씌워 설치하며;
    상기 상부 덮개는 하부가 원호 형상인 상부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상부 본체 상부 중앙에는 상부 덮개 결합부가 설치되어있으며; 상기 상부 본체의 둘레는 외부탱크 상단 둘레와 접합하며;
    상기 유수 분리통은 기름 배출부, 물 배출부와 연통되며 그리고 상기 유수 분리통 하부에는 물 방출부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유수 분리통의 상부에는 기름 저장관이 연통되어 있고, 상기 기름 저장관에는 기름 방출부가 설치되어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보호 배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블록은 아래에서 위로 점차 축소되는 계단형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보호 배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받침대는 4개로 균등하게 설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보호 배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탱크 내부 하단은 하향하는 원호형상으로 설계되고, 상기 하단에는 상향하는 복수 개의 위치고정 오목부를 설치하고, 상기 고정 블록의 밑면에는 위치고정 오목부에 제공되어 위치를 고정하는 복수 개의 하향하는 고정 볼록부가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보호 배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막대는 6개 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보호 배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흐름 유도홈은 3개 일 수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보호 배연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샤프트의 하단에는 나사 결합물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보호 배연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 결합물은 나사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보호 배연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수 분리통의 일 측에는 연통관이 연결되어 있고, 상기 연통관으로 유수 분리통의 기름과 물의 높이를 알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보호 배연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기름 저장관은 투명하게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보호 배연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판은 반달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보호 배연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관은 밖으로 연장되고, 그리고 연장된 곳에 상향하여 외부탱크 하단을 관통한 연통 배수관이 설치되고, 상기 연통 배수관은 제2 배수 개폐장치로 배수가 제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보호 배연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프레임은 내부 관체의 중앙에서 복수 개의 고정 막대가 내부 관체의 내부 표면과 연결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보호 배연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원호형 여과망은 4개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보호 배연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환경보호 배연장치는 환기관을 더 포함하며, 상기 환기관은 상부 덮개의 상부 덮개 결합부 외부 둘레에 설치되고, 상기 환기관 안에는 고정 여과망이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보호 배연장치.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막대는 3개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보호 배연장치.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탱크 외부 표면에는 투명부를 설치하여, 외부탱크 외부에서 내부 상황을 파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보호 배연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부는 렌즈일 수 있고, 상기 렌즈 상부는 원호형이고, 하부는 직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보호 배연장치.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본체 둘레에는 복수 개의 체결부가 설치되어있고, 각 체결부는 외부탱크에 체결되어 위치를 고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보호 배연장치.
  2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덮개 결합부의 내부 둘레에는 하향으로 고리형 망이 설치되어있고, 상기 고리형 망 하부에는 받침부가 설치되어있고, 상기 받침부 일 측에는 오일 파이프 라인이 설치되어있고, 상기 오일 파이프 라인은 외부탱크와 내부 관체 사이까지 연장되어, 하향으로 하부 덮개의 하부 본체와 외부탱크 하부를 관통하여 설치되고, 상기 오일 파이프 라인은 유수 분리통과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보호 배연장치.
  21. 제1항에 있어서,
    본 고안의 상기 받침대 하단에 고정물을 관통 설치하여 받침대를 평면에 고정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보호 배연장치.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물은 나사일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경보호 배연장치.
KR2020130000200U 2013-01-09 2013-01-09 환경보호 배연장치 KR200476648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200U KR200476648Y1 (ko) 2013-01-09 2013-01-09 환경보호 배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30000200U KR200476648Y1 (ko) 2013-01-09 2013-01-09 환경보호 배연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331U true KR20140004331U (ko) 2014-07-17
KR200476648Y1 KR200476648Y1 (ko) 2015-03-18

Family

ID=52445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0200U KR200476648Y1 (ko) 2013-01-09 2013-01-09 환경보호 배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648Y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30371A (zh) * 2017-12-21 2018-04-20 浙江骏辉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油烟净化器
CN108425773A (zh) * 2018-05-23 2018-08-21 南京世界村汽车动力有限公司 一种汽车发动机空滤器
CN110508384A (zh) * 2019-08-28 2019-11-29 郭喜 一种应用于破碎的烟尘净化消除设备
CN111482039A (zh) * 2019-01-29 2020-08-04 内蒙古环保投资集团有限公司 一种VOCs净化处理装置的三级冷凝系统
CN114191974A (zh) * 2021-12-16 2022-03-18 郑州市彦峰塑料包装有限公司 一种包装袋生产废气收集环保处理系统
CN114788980A (zh) * 2022-05-18 2022-07-26 四川铸创安全科技有限公司 一种化工安全环保用的废气处理设备
CN117085384A (zh) * 2023-10-20 2023-11-21 广东省农业科学院作物研究所 一种具有自清理功能的胶溶性杂质过滤装置
CN117547918A (zh) * 2024-01-12 2024-02-13 国家能源集团煤焦化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煤焦化排烟管道的尾气处理装置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095737B2 (ja) * 1999-03-29 2008-06-04 日本エア・リキード株式会社 洗浄集塵装置及び排ガス処理設備
JP3827243B1 (ja) * 2005-05-20 2006-09-27 優章 荒井 サイクロン式空気浄化装置
KR20090046162A (ko) * 2007-11-05 2009-05-11 주식회사 알앤드씨 유해가스 처리방법

Cited By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930371A (zh) * 2017-12-21 2018-04-20 浙江骏辉环保科技有限公司 一种油烟净化器
CN108425773A (zh) * 2018-05-23 2018-08-21 南京世界村汽车动力有限公司 一种汽车发动机空滤器
CN111482039A (zh) * 2019-01-29 2020-08-04 内蒙古环保投资集团有限公司 一种VOCs净化处理装置的三级冷凝系统
CN110508384A (zh) * 2019-08-28 2019-11-29 郭喜 一种应用于破碎的烟尘净化消除设备
CN114191974A (zh) * 2021-12-16 2022-03-18 郑州市彦峰塑料包装有限公司 一种包装袋生产废气收集环保处理系统
CN114191974B (zh) * 2021-12-16 2024-04-09 郑州市彦峰塑料包装有限公司 一种包装袋生产废气收集环保处理系统
CN114788980A (zh) * 2022-05-18 2022-07-26 四川铸创安全科技有限公司 一种化工安全环保用的废气处理设备
CN114788980B (zh) * 2022-05-18 2023-11-21 四川铸创安全科技有限公司 一种化工安全环保用的废气处理设备
CN117085384A (zh) * 2023-10-20 2023-11-21 广东省农业科学院作物研究所 一种具有自清理功能的胶溶性杂质过滤装置
CN117547918A (zh) * 2024-01-12 2024-02-13 国家能源集团煤焦化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煤焦化排烟管道的尾气处理装置
CN117547918B (zh) * 2024-01-12 2024-04-02 国家能源集团煤焦化有限责任公司 一种用于煤焦化排烟管道的尾气处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648Y1 (ko) 2015-03-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76648Y1 (ko) 환경보호 배연장치
CN110548368B (zh) 一种节能型多效VOCs净化反应器
JP3181569U (ja) 低環境負荷型排煙装置
KR100948052B1 (ko) 저탄소 악취 저감장치
FI125659B (en) Drip Remover, Method for Modifying Existing Wet Type Gas Washer and Wet Type Gas Washer
US8956448B2 (en) Environmentally-friendly exhaust device
RU2286830C1 (ru) Газопромыватель
KR102224430B1 (ko) 선회유동형 복합 약액 세정 탈취장치
CN204170594U (zh) 胶粉改性沥青生产喷淋水洗塔
KR20180130431A (ko) 연무 필터 방식의 공기 청정장치
CN2766935Y (zh) 多功能净化器
CN113101768A (zh) 一种废气处理装置
CN205825180U (zh) 复合式餐饮业油烟净化装置
CN209809809U (zh) 一种高效油烟处理设备
CN105953283A (zh) 复合式餐饮业油烟净化装置
CN215822691U (zh) 一种除湿除灰烟气净化装置
CN205308053U (zh) 一种高效喷淋雾化除尘箱
KR101009654B1 (ko) 정수필터장치
CN205360907U (zh) 空气净化装置
CN101879405B (zh) 干湿一体脱硫除尘器
CN2243036Y (zh) 油烟净化器
CN200995101Y (zh) 双筒复合式气体净化器
CN209865684U (zh) 一种用于环境保护的新型过滤除尘机
CN208018289U (zh) 一种垃圾焚烧废气多重处理装置
CN108031222B (zh) 一种固体颗粒与废气分离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