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4167U -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 Google Patents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4167U
KR20140004167U KR2020120012365U KR20120012365U KR20140004167U KR 20140004167 U KR20140004167 U KR 20140004167U KR 2020120012365 U KR2020120012365 U KR 2020120012365U KR 20120012365 U KR20120012365 U KR 20120012365U KR 20140004167 U KR20140004167 U KR 2014000416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on
unit
main body
automatic defibrillator
sho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2365U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200475681Y1 (en
Inventor
최성환
이남제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유메디칼시스템
Priority to KR2020120012365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681Y1/en
Publication of KR2014000416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4167U/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681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681Y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93User interfaces for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02Details
    • A61N1/04Electrodes
    • A61N1/0404Electrodes for external use
    • A61N1/0408Use-related aspects
    • A61N1/046Specially adapted for shock therapy, e.g. defibrill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04External heart defibrillators [EH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1/00Electrotherapy; Circuits therefor
    • A61N1/1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 A61N1/32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 A61N1/38Applying electric currents by contact electrodes alternating or intermittent currents for producing shock effects
    • A61N1/39Heart defibrillators
    • A61N1/3925Monitoring; Protec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ard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athology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lectrotherapy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자동 제세동기에 관한 것으로서, 심장질환이 발생한 환자에게 전기 쇼크를 가해 심장을 소생시키는 자동 제세동기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며 숫자 1이 표기되어 선택 시 전원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1번 버튼부; 상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1번 버튼부 선택 후 수행되는 전극 부착과정을 그래픽으로 표시한 제2그래픽; 상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며 숫자 3이 표기되어 선택 시 상기 쇼크 생성 신호를 출력하는 3번 버튼부; 및 상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3번 버튼부 선택 후 수행되는 심폐 소생과정을 그래픽으로 표시한 제4그래픽을 포함한다. 이에 의해, 자동 제세동기를 동작시키기 위해 선택해야하는 각 버튼에 자동 제세동기의 사용단계 별로 숫자를 명시함으로써, 자동 제세동기의 외관을 통해 그 사용방법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비전문가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defibrillator, and more particularly, to an automatic defibrillator main body for revitalizing a heart by applying an electric shock to a patient suffering from a heart disease; A first button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number 1 to output a power selection signal when selected; A second graphic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graphically displaying an electrode attaching process performed after the first button unit is selected; A third button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numeral 3 marked to output the shock generation signal when selected; And a fourth graphic graphical representation of th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process performed after the selection of the third button unit. Thus, by specifying the number of the use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in each step of the use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in each button to be selected for operating the automatic defibrillator, it is possible to intuitively recognize the usage method through the appearance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

Description

자동 제세동기{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본 고안은 자동 제세동기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자동 제세동기를 동작시키기 위해 선택해야하는 각 버튼에 자동 제세동기의 사용단계 별로 숫자를 명시함으로써, 자동 제세동기의 외관을 통해 그 사용방법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비전문가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 제세동기에 관한 것이다.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n automatic defibrillator, more specifically, to specify the number of automatic defibrillator usage steps for each button to be selected for operation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so that the method of using the automatic defibrillator intuitively To enable a non-specialist to easily use the automatic defibrillator.

제세동기(Defibrillator)는 사망을 유발할 수 있는 심장의 심실세동, 심실빈맥, 급작스러운 심장정지가 일어난 환자의 심장에 직간접적인 강한 전기적 쇼크를 제공하여, 심근 전체를 순간적으로 탈분극시킴으로써, 심장을 정상 리듬으로 복구시키고 이를 통해 심장을 통한 혈액이 원활히 흐를 수 있도록 하여 환자가 생존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필수 응급 의료기기이다.Defibrillator provides a direct or indirect strong electrical shock to the heart of a patient with cardiac ventricular fibrillation, ventricular tachycardia, or sudden cardiac arrest that can lead to death, thereby instantaneously depolarizing the entire myocardium, And it is an essential emergency medical device that helps the patient survive by allowing blood to flow smoothly through the heart.

그런데 심장질환은 환자 및 환자의 주변인들이 예측하지 못하는 상황에서 발생하는 게 대부분이고, 특히 갑자기 심장질환이 발생할 경우 현장에서 최대한 신속하게 응급처치를 해 주어야 생존확률을 높일 수 있다. However, most of the heart disease occurs in situations where the patients and their surroundings can not predict. Especially, if sudden cardiac disease occurs, first aid should be given as soon as possible in the field to increase the probability of survival.

이에, 최근에는 심장질환이 발생한 환자에게 전기 충격을 가해 심장을 소생시키는 의료기기인 자동 제세동기가 공공장소에 비치되어 응급 상황 발생시 누구나 손쉽게 환자를 치료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Recently, an automatic defibrillator, which is a medical device that revitalizes the heart by applying an electric shock to a patient suffering from a heart disease, is placed in a public place so that anyone can easily treat the patient in an emergency.

공공장소에 비치된 자동 제세동기는 음성 및 그림 등을 이용하여 사용방법을 안내함으로써 비의료인 또는 비전문가라고 하더라도 손쉽게 응급 환자에게 전기 충격을 가할 수 있는 환경을 제공하고 있다.The automatic defibrillator in a public place provides an environment in which an electric shock can be easily applied to an emergency patient even if it is a non-medical person or a non-specialist by guiding the use method using voice and pictures.

그러나, 환자가 갑자기 심장이 멎는 긴급한 상황에서 자동 제세동기를 사용해본 경험이 전무한 비전문가가 음성이나 그림 등을 통해 자동 제세동기의 사용방법을 숙지하기란 용이하지 않을 수 있다.
However, a non-practitioner who has never used an automatic defibrillator in an emergency where the patient suddenly stops the heart may find it difficult to know how to use the automatic defibrillator through voice or pictures.

한국특허공개 제10-2012-0027617호: 자동심실제세동기를 포함한 응급의료시스템Korean Patent Laid-Open No. 10-2012-0027617: Emergency medical system including automatic ventricular defibrillator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자동 제세동기를 동작시키기 위해 선택해야하는 각 버튼에 자동 제세동기의 사용단계 별로 숫자를 명시함으로써, 자동 제세동기의 외관을 통해 그 사용방법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비전문가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한 자동 제세동기를 제공하는데 그 기술적 과제가 있다.
The present invention is conceived to solve the above-described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tomatic defibrillator which is capable of intuitively using the automatic defibrillator The present invention has been made in view of the above problems, and it is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n automatic defibrillator which can be easily used by non-specialists.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일 측면에 따르면, 심장질환이 발생한 환자에게 전기 쇼크를 가해 심장을 소생시키는 자동 제세동기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며 숫자 1이 표기되어 선택 시 전원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1번 버튼부; 상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1번 버튼부 선택 후 수행되는 전극 부착과정을 그래픽으로 표시한 제2그래픽; 상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며 숫자 3이 표기되어 선택 시 상기 쇼크 생성 신호를 출력하는 3번 버튼부; 및 상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3번 버튼부 선택 후 수행되는 심폐 소생과정을 그래픽으로 표시한 제4그래픽을 포함하는 자동 제세동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utomatic defibrillator comprising: an automatic defibrillator main body for revitalizing a heart by applying an electric shock to a patient suffering from a heart disease; A first button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number 1 to output a power selection signal when selected; A second graphic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graphically displaying an electrode attaching process performed after the first button unit is selected; A third button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numeral 3 marked to output the shock generation signal when selected; And an automatic defibrillator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including a fourth graphic graphically displaying a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process performed after the selection of the third button.

여기서, 상기 1번 버튼부를 선택하는 것을 시작으로 상기 제2그래픽, 3번 버튼부 및 제4그래픽에 따른 상기 제세동기의 사용과정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성 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apparatus may further include a voice guidance unit for voice guidance of the use of the defibrillator according to the second graphic, the third button, and the fourth graphic, starting from selecting the first button unit.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고안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심장질환이 발생한 환자에게 전기 쇼크를 가해 심장을 소생시키는 자동 제세동기에 있어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쇼크 신호를 생성하는 쇼크 생성부; 숫자 1이 표기된 1번 버튼부; 숫자 3이 표기된 3번 버튼부; 및 상기 1번 버튼부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여 각 구성요소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3번 버튼부가 선택된 경우 상기 쇼크 생성부를 제어하여 상기 쇼크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 제세동기가 제공된다.According to another asp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re is provided an automatic defibrillator for revitalizing a heart by applying an electric shock to a patient suffering from a heart disease, the automatic defibrillator comprising: A shock generator for generating the shock signal; A button part numbered 1; Button 3 with the number 3 marke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wer unit to supply driving power to each component when the first button unit is selected and generating the shock signal by controlling the shock generator when the third button unit is selected .

여기서, 상기 1번 버튼부 및 3번 버튼부를 조작하여 상기 환자에게 전기 쇼크를 가해 심장을 소생시키는 과정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성 안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Here, the voice guidance unit may further include a voice guidance unit for voice-guiding a process of revitalizing the heart by applying electric shock to the patient by manipulating the first button unit and the third button unit.

그리고, 상기 자동 제세동기의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1번 버튼부 선택 후 수행되는 전극 부착과정을 그래픽으로 표시한 제2그래픽; 및 상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3번 버튼부 선택 후 수행되는 심폐 소생과정을 그래픽으로 표시한 제4그래픽을 포함할 수 있다.
The second graphic is a graphical representation of the electrode attaching process per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after the first button unit is selected. And a fourth graphic graphically displaying th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process performed after selecting the button 3 in the front of the main body.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자동 제세동기는, 자동 제세동기를 동작시키기 위해 선택해야하는 각 버튼에 자동 제세동기의 사용단계 별로 숫자를 명시함으로써, 자동 제세동기의 외관을 통해 그 사용방법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하여 비전문가도 용이하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As described above, the automatic defibrillator of the present invention intuitively recognizes the use method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through the appearance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by specifying the number of each defibrillator use step in each button to be selected to operate the automatic defibrillator So that it can be used easily by non-experts.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제세동기의 평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제세동기의 제어 블럭도,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제세동기의 신호 입출력 상태도이다.
1 is a plan view of an automatic defibril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2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an automatic defibril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signal input / output state diagram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함에 있어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 요소는 동일한 도면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Hereinafter,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more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In the following descrip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the same or corresponding components will be denoted by the same reference numerals, and redundant description thereof will be omitted.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제세동기의 평면도이다.1 is a plan view of an automatic defibrillato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제세동기(1)는 대략 육면체 형태의 자동 제세동기 본체(100)를 가지며 본체(100)의 전면부에는 자동 제세동기(1)를 조작하는데 필요한 버튼부(200, 300)와 사용 안내를 위한 그래픽(110, 120)이 구비된다.1,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 has a substantially hexahedral automatic defibrillator main body 100, and a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is provided with a button portion 200 for operating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 And 300, and graphics 110 and 120 for use guidance.

본체(100)의 전면부에 구비된 버튼부(200, 300)와 사용 안내를 위한 그래픽(110, 120)에는 자동 제세동기(1)의 사용방법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각 사용 단계에 대응되는 숫자가 명시된다.The button units 200 and 300 provid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graphics 110 and 120 for use guidance are corresponding to each use step so that the use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 can be intuitively recognized. The number is specified.

자동 제세동기(1)를 사용하는 과정은, 전원을 선택하는 1 단계, 환자의 가슴에 전극을 부착하는 2 단계, 쇼크를 인가하는 3단계, 심폐 소송술을 시행하는 4단계로 구분할 수 있다. 본체(100)의 전면부에 구비된 버튼부(200, 300)와 사용 안내를 위한 그래픽(110, 120)에는 상기의 1 내지 4단계 수행 시 관계되는 구성에 각 단계에 대응되는 숫자가 명시된다.The procedure of using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 can be divided into a first step of selecting a power source, a second step of attaching an electrode to a patient's chest, a third step of applying shock, and a fourth step of performing cardiopulmonary surgery. The buttons 200 and 300 provided on the front portion of the main body 100 and the graphics 110 and 120 for use guidance are marked with the numbers corresponding to the respective stages in the related structures in the first to fourth steps .

이에, 1 단계에 선택해야 하는 전원버튼은 별도의 숫자 "1"이 부여되고, 3 단계에 선택해야 하는 쇼크 버튼에는 숫자 "3"이 부여된다. 즉, 1번 버튼부(200)는 자동 제세동기(1)의 구동을 위한 1 단계에 선택해야 하는 버튼으로서, 1번 버튼부(200) 선택 시 자동 제세동기(1)에 전원이 인가된다. Therefore, a separate number "1" is assigned to the power button to be selected in the first step, and a number "3" is assigned to the shock button to be selected in the third step. That is, the first button unit 200 is a button to be selected in the first stage for driving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 and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 is powered on when the first button unit 200 is selected.

2 단계에 수행되야 하는 전극 부착 과정은 환자의 가슴에 전극을 부착하는 그래픽(110)과 함께 숫자 "2"로 표시된다.The electrode attachment process to be performed in step 2 is indicated by the number "2 " along with the graphic 110 that attaches the electrodes to the patient's chest.

3번 버튼부(300)는 쇼크 신호를 생성해야 하는 3 단계에 선택해야 하는 버튼으로서, 3번 버튼부(300) 선택 시 쇼크 신호가 출력된다.The third button unit 300 is a button to be selected in the third step for generating a shock signal. When the button unit 300 is selected, a shock signal is output.

4 단계에 수행되야 하는 심폐소생 과정은 심폐 소생을 동작을 표현한 그래픽(120)과 함께 숫자 "4"로 표시된다.Th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process to be performed in step 4 is indicated by the number "4 "

이러한 구성에 따라, 사용자는 본체(100)의 전면부에 구비된 1번 버튼부(200), 2번 그래픽(110), 3번 버튼부(300), 4번 그래픽(120)을 통해 자동 제세동기(1)의 사용 과정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다.According to this configuration, the user can select the automatic defrosting mode through the No. 1 button unit 200, No. 2 graphic 110, No. 3 button unit 300 and No. 4 graphic 120 provided in the front part of the main body 100. [ The use process of the synchronization (1) can be intuitively recognized.

자동 제세동기(1)가 사용되는 상황은 아주 긴급한 상황이며 매우 짧은 시간 내에 환자를 처치해야만 한다. 또한, 공공장소에 비치된 자동 제세동기(1)의 경우 제세동을 할 수 있는 전문가가 아니라 비전문가가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당황한 비전문가 사용자의 경우 전원 버튼, 쇼크 버튼 등의 버튼 이름을 확인하고도, 각 단계별로 어떤 버튼을 선택해야 할지 쉽게 인식하지 못하는 경우도 있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버튼의 이름이나 기능을 모르더라도 숫자로 명시된 단계에 따라 버튼을 선택하고 그래픽(110, 120)을 확인하여 자동 제세동기(1)를 사용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있다.The situation in which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 is used is a very urgent situation and the patient must be treated in a very short time. In addition, in the case of automatic defibrillator (1) in public places, it is often used by a non-specialist, not an expert capable of defibrillation. Therefore, in case of a confused non-specialist user, even if a button name such as a power button or a shock button is checked, it is not always easy to recognize which button to select at each step. Accordingly, in the present invention, even if the name or function of a button is unknown, a button is selected according to a step specified by a number, and graphics 110 and 120 are checked to induce the user to use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

본체(100)의 상측부에 별도의 LCD 창 등으로 된 디스플레이부(140)를 구비하여 전원 상태 등의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으며, 전문가/비전문가를 선택할 수 있는 모드 선택 스위치(130)를 구비하여 전문가의 경우 음성 안내 멘트를 생략하거나 각 단계를 임의대로 진행할 수 있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다.A display unit 140 including an LCD window or the like may be provided on the upper side of the main body 100 to provide visual information such as a power state and a mode selection switch 130 for selecting a specialist / It is also possible for the expert to omit the voice announcement or to allow each step to proceed arbitrarily.

본체(100)의 일 영역에는 음성 안내부(160)를 구비함으로써 초보 사용자 또는 비전문가의 편의성을 높여 처치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음성 안내에서는 자동 제세동기(1)의 사용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1번 버튼부(200), 2번 그래픽(110), 3번 버튼부(300), 4번 그래픽(120)에 명시된 숫자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조작을 유도할 수 있다. 예컨대, 종래에는 "전원버튼을 누르시오"라는 안내 대신, " 1번 버튼을 누르시오"라는 멘트로 사용을 지시할 수 있다. 그리고, "쇼크버튼을 누르시오"라는 안내 대신, "3번 버튼을 누르시오"라는 멘트로 지시할 수 있다. 이에, 각 버튼의 기능을 알지 못하는 비전문가도 음성 안내만을 듣고 정확한 조치를 취할 수 있다.The voice guidance unit 160 is provided in one area of the main body 100, thereby enhancing the convenience of the novice user or the non-specialist, thereby improving the accuracy of the treatment. In order to explain how to use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 in the voice guidance, the numbers specified in the first button part 200, the second graphic part 110, the third button part 300 and the fourth graphic part 120 So that the user's operation can be induced. For example, in the past, the user can be instructed to use the message "press the button 1" instead of "press the power button". Then, instead of the instruction "Please press the shock button", you can point to the message "Press button 3". Therefore, a non-specialist who does not know the function of each button can listen to voice guidance and take precise measures.

본체(100)의 일측에는 환자의 가슴에 부착하는 전극 패드(미도시)의 커넥터가 연결되는 포트(150)가 형성되어 있다. 커넥터를 포트(150)에는 전극 패드가 연결된 커넥터가 연결되어 있으며, 전극 패드는 본체(100) 내에 수납된 상태로 제공될 수 있다.A port 150 to which a connector of an electrode pad (not shown) attached to the patient's chest is formed is formed at one side of the main body 100. The connector 150 is connected to a connector to which an electrode pad is connected, and the electrode pad can be provided in a state accommodated in the main body 100.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제세동기(1)는 본체(100)의 전면부에 자동 제세동기(1)의 사용 과정을 직관적으로 인식할 수 있도록, 1번 버튼부(200), 2번 그래픽(110), 3번 버튼부(300), 4번 그래픽(120)을 구비하고 있다. 또한, 1번 버튼부(200), 2번 그래픽(110), 3번 버튼부(300), 4번 그래픽(120)에 명시된 숫자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조작을 안내하는 음성 안내 기능을 지원함으로써 비전문가도 음성지시만을 듣고 그대로 따라하면 정확한 조치를 취할 수 있도록 한다.The automatic defibrillator 1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provided with a button unit 200 for detecting the use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 intuitively, , A second graphic 110, a third button 300, and a fourth graphic 120. [ In addition, by supporting the voice guidance function for guiding the user's operation by using the numbers specified in the first button part 200, the second graphic part 110, the third button part 300 and the fourth graphic part 120, If you listen only to the voice instructions and follow them, you can take corrective action.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제세동기(1)의 제어 블럭도이다.2 is a control block diagram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자동 제세동기(1)는 1번 버튼부(200), 3번 버튼부(300), 음성 안내부(160), 디스플레이부(140), 전원부(410), 쇼크 생성부(420), 메모리(430) 및 제어부(440)를 포함한다.2,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 includes a first button portion 200, a third button portion 300, a voice guidance portion 160, a display portion 140, a power source portion 410, A memory unit 430, and a control unit 440. The control unit 440 controls the operation of the memory unit.

1번 버튼부(200)는 자동 제세동기(1)의 구동을 위한 1 단계에 선택해야 하는 버튼으로서, 1번 버튼부(200) 선택 시 자동 제세동기(1)에 전원이 인가된다. The first button part 200 is a button to be selected in the first step for driving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 When the first button part 200 is selected,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 is powered on.

3번 버튼부(300) 자동 제세동기(1)의 구동을 위한 3 단계에 선택해야 하는 버튼으로서, 3번 버튼부(300) 선택 시 쇼크 신호가 출력된다.Button 3 (300) A button to be selected in step 3 for driving the defibrillator 1, and a shock signal is output when the button 3 (300) is selected.

음성 안내부(160)는 제어부(440)의 제어에 따라 메모리(430)에 저장된 음성 안내 멘트를 출력한다. The voice guidance unit 160 outputs voice announcements stored in the memory 43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 unit 440. [

디스플레이부(140)는 제어부(440)의 제어에 따라 전원 상태 등의 시각적인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The display unit 140 may provide visual information such as a power state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40. [

전원부(410)는 1번 버튼부(200)가 선택된 경우 자동 제세동기(1)의 각 구성에 구동 전원을 공급한다.The power supply unit 410 supplies driving power to each configuration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 when the first button unit 200 is selected.

쇼크 생성부(420)는 3번 버튼부(300)가 선택된 경우 비정상적인 심장 박동 또는 심정지시 환자에 전기 충격을 가할 수 있도록 쇼크 신호를 생성하여 포트(150)로 출력한다. 이에, 포트(150)에 연결된 전극 패트로 쇼크 신호가 출력될 수 있다.When the third button unit 300 is selected, the shock generator 420 generates a shock signal and outputs the shock signal to the port 150 so as to apply an electric shock to the patient in an abnormal heartbeat or cardiac arrest. Accordingly, a shock signal can be output to the electrode pad connected to the port 150. [

메모리(430)에는 자동 제세동기(1)의 구동을 위한 설정 데이터와, 음성 안내를 위한 음성 안내 멘트가 저장된다. The memory 430 stores setting data for driving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 and voice announcements for voice guidance.

제어부(440)는 자동 제세동기(1)의 전반적인 기능을 제어하여, 메모리(430)에 저장된 음성 안내 멘트를 음성 안내부(160)를 통해 출력하고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쇼크 생성부(420)를 제어하여 환자에 전기 충격을 가할 수 있도록 쇼크 신호를 출력한다. The control unit 440 controls the overall function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 to output the voice announcement stored in the memory 430 through the voice guidance unit 160 and generates the shock generating unit 420 And outputs a shock signal so as to apply an electric shock to the patient.

이러한 구성을 갖는, 본 고안에 따른 자동 제세동기(1)는 1 단계에 선택해야 하는 1번 버튼부(200) 선택 시 전원을 인가하고, 3 단계에 선택해야 하는 3번 버튼부(300) 선택 시 쇼크 신호를 출력한다. 그리고, 음성 안내부(160)를 통해 출력되는 안내 멘트는 1번 버튼부(200), 2번 그래픽(110), 3번 버튼부(300), 4번 그래픽(120)에 명시된 숫자를 이용하여 사용자의 조작을 안내할 수 있다.The automatic defibrillator 1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ving such a configuration is configured such that the power is applied when the first button unit 200 to be selected in the first stage is selected and the third button unit 300 to be selected in the third stage is selected And outputs a time shock signal. The announcement message output through the voice guidance unit 160 is generated by using the numbers specified in the first button unit 200, the second graphic 110, the third button unit 300 and the fourth graphic 120 The user's operation can be guided.

한편, 자동 제세동기(1)는 상술한 구성들 이외에도, 환자의 심전도, 혈압, 혈중산소포화도, 호흡, 체온 등을 측정하는 수단과, 측정된 환자의 생체 신호를 분석하여 환자의 비정상적인 심장 박동(예컨대, 부정맥), 또는 심정지를 진단 및 출력하는 수단 등을 더 구비할 수 있다.In addition,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 may include means for measuring a patient's electrocardiogram, blood pressure, oxygen saturation, respiration, body temperature, and the like, and analyzing the bio signal of the patient to measure abnormal heart beat For example, arrhythmia), or means for diagnosing and outputting a cardiac arrest.

도 3은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동 제세동기(1)의 신호 입출력 상태도이다.3 is a signal input / output state diagram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 according to the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1번 버튼부(200)를 선택한 선택신호는 전원부(410)로 전달되어, 전원부(410)가 자동 제세동기(1)의 각 구성요소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게 된다. 3, the selection signal selected by the first button unit 200 is transmitted to the power supply unit 410, and the power supply unit 410 supplies the driving power to the respective components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1 .

제어부(440)는 메모리(430)에 저장된 음성 안내 멘트를 음성 안내부(160)로 출력하고 디스플레이부(140)에 시각적 데이터를 출력한다. The control unit 440 outputs voice announcements stored in the memory 430 to the voice guidance unit 160 and outputs visual data to the display unit 140. [

3번 버튼부(300)를 선택한 선택신호는 쇼크 생성부(420)를 활성화시켜 제어부(440)의 제어에 따라 쇼크 생성부(420)에서 쇼크 신호가 생성되도록 한다. 또는, 3번 버튼부(300)를 선택한 선택신호를 제어부(440)에서 입력받아, 제어부(440)의 제어에 따라 쇼크 생성부(420)에서 쇼크 신호가 생성되도록 구성하는 것도 가능하다.The selection signal selected by the third button unit 300 activates the shock generator 420 to generate a shock signal in the shock generator 42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40. Alternatively, the control unit 440 may receive the selection signal selected by the third button unit 300, and generate a shock signal in the shock generator 420 under the control of the controller 440.

이와 같이,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는 본 고안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해야만 한다. 본 고안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As such, those skilled in the art will appreciate that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embodied in other specific forms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essential characteristics thereof. It is therefore to be understood that the embodiments described above are to be considered in all respects only as illustrative and not restrictive.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defined by the appended claims rather than the foregoing description, and all changes or modifications derived from the meaning and scope of the claims and equivalents thereof are to be construed as being included within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do.

1 : 자동 제세동기 100 : 본체
110 : 2번 그래픽 120 : 4번 그래픽
200 : 1번 버튼부 300 : 3번 버튼부
140 : 디스플레이부 150 : 포트
160 : 음성 안내부 410 : 전원부
420 : 쇼크 생성부 430 : 메모리
440 : 제어부
1: Automatic defibrillator 100: Body
110: No. 2 graphic 120: No. 4 graphic
200: Button No. 1 300: Button No. 3
140: display unit 150: port
160: Audio guide unit 410: Power supply unit
420: Shock generator 430: Memory
440:

Claims (5)

심장질환이 발생한 환자에게 전기 쇼크를 가해 심장을 소생시키는 자동 제세동기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며 숫자 1이 표기되어 선택 시 전원선택 신호를 출력하는 1번 버튼부;
상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1번 버튼부 선택 후 수행되는 전극 부착과정을 그래픽으로 표시한 제2그래픽;
상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며 숫자 3이 표기되어 선택 시 상기 쇼크 생성 신호를 출력하는 3번 버튼부; 및
상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3번 버튼부 선택 후 수행되는 심폐 소생과정을 그래픽으로 표시한 제4그래픽을 포함하는 자동 제세동기.
An automatic defibrillator main body for revitalizing the heart by applying an electric shock to a patient suffering from a heart disease;
A first button provided on a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number 1 to output a power selection signal when selected;
A second graphic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graphically displaying an electrode attaching process performed after the first button unit is selected;
A third button provid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and having a numeral 3 marked to output the shock generation signal when selected; And
And a fourth graphic graphical representation of a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process performed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after the selection of the third button.
제1항에 있어서,
상기 1번 버튼부를 선택하는 것을 시작으로 상기 제2그래픽, 3번 버튼부 및 제4그래픽에 따른 상기 제세동기의 사용과정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성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세동기.
The method according to claim 1,
Further comprising a voice informing unit for voice guidance of the use of the defibrillator according to the second graphic, the third button, and the fourth graphic, starting from selecting the first button unit.
심장질환이 발생한 환자에게 전기 쇼크를 가해 심장을 소생시키는 자동 제세동기에 있어서,
구동전원을 공급하는 전원부;
상기 쇼크 신호를 생성하는 쇼크 생성부;
숫자 1이 표기된 1번 버튼부;
숫자 3이 표기된 3번 버튼부; 및
상기 1번 버튼부가 선택된 경우 상기 전원부를 제어하여 각 구성요소에 구동전원을 공급하고 상기 3번 버튼부가 선택된 경우 상기 쇼크 생성부를 제어하여 상기 쇼크 신호를 생성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 제세동기.
In an automatic defibrillator that causes an electrical shock to a patient who has a heart disease to revitalize the heart,
A power supply unit for supplying driving power;
A shock generator for generating the shock signal;
A button part numbered 1;
Button 3 with the number 3 marked; And
And a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ower unit to supply driving power to each component when the first button unit is selected and generating the shock signal by controlling the shock generator when the third button unit is selected.
제3항에 있어서,
상기 1번 버튼부 및 3번 버튼부를 조작하여 상기 환자에게 전기 쇼크를 가해 심장을 소생시키는 과정을 음성으로 안내하는 음성 안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세동기.
The method of claim 3,
Further comprising a voice guidance unit for voice guidance of a process of reviving the heart by applying an electric shock to the patient by operating the first button unit and the third button unit.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자동 제세동기의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1번 버튼부 선택 후 수행되는 전극 부착과정을 그래픽으로 표시한 제2그래픽; 및
상기 본체의 전면에 구비되며 상기 3번 버튼부 선택 후 수행되는 심폐 소생과정을 그래픽으로 표시한 제4그래픽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 제세동기.
The method of claim 3,
A second graphical representation of a process of attaching electrodes performed on the front surface of the main body of the automatic defibrillator after selection of the first button portion; And
And a fourth graphical representation of the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process performed on the front of the main body after the selection of the third button.
KR2020120012365U 2012-12-28 2012-12-28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KR200475681Y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2365U KR200475681Y1 (en) 2012-12-28 2012-12-28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2365U KR200475681Y1 (en) 2012-12-28 2012-12-28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4167U true KR20140004167U (en) 2014-07-08
KR200475681Y1 KR200475681Y1 (en) 2014-12-22

Family

ID=5244554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2365U KR200475681Y1 (en) 2012-12-28 2012-12-28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681Y1 (e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1539A (en) * 2021-02-25 2022-09-01 (주)나눔테크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with display window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4172B1 (en) 2019-10-29 2021-06-11 정지은 Integral Pad for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64945B2 (en) * 2001-09-14 2007-01-16 Zoll Medical Corporation Defibrillator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21539A (en) * 2021-02-25 2022-09-01 (주)나눔테크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with display window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681Y1 (en) 2014-12-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94027B2 (en) Active compression decompression resuscitation integrated treatment system
JP6559575B2 (en) Defibrillator and method using limb leads for ECG without artifacts
CN105662832B (en) The CPR displays of monitor/defibrillator for the CPR with auxiliary
US20210020068A1 (en) Automated detec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hest compressions
JP2009526594A (en) CPR support and effectiveness indication
US20140093853A1 (en) Cpr training system and methods
RU2017124896A (en) BUTTON WITH ANALYSIS FUNCTION FOR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ED) WITH TWO ELECTROCARDIOGRAM ANALYSIS
US20220280377A1 (en) Automated detection of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chest compressions
WO2010066014A2 (e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nd its method of operation
KR200475681Y1 (e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JP2015506252A (en) Bilingual controller for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JP6509357B2 (en) Adaptive Clinical Use Profile for Advanced Defibrillator
JP6289303B2 (en) Defibrillator
KR101029511B1 (e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JP2020534049A (en) Smart prompts to improve rescuer CPR performance
KR101069421B1 (en) Automatic defibrillator include moving picture announcement function
US20160346559A1 (en) Medical device with tacticle user interface
KR20230040699A (en) Automated external defibrillator and method for setting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guide modes thereof
KR101944431B1 (en) Automatic external defibrillator for cardiopulmonary resuscitation and method thereof
JP2013132456A (en) External defibrillator
KR102211140B1 (en) Monitor type defibrillator
US20210304788A1 (en) Wireless Sound Converting System having Bio-Signal Sensing Function
CN114515383A (en) Defibrillation device, control method of terminal device, defibrillation device, and storage medium
ITCR20130017A1 (en) HEAVY DUTY EXTERNAL CARDIAC ANALYZER WITH DEFIBRILLATOR AND PACEMAKER AUTOMATIC FUNCTION
JP2014108143A (en) External pacemaker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3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16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