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850A - 선형진동모터 - Google Patents

선형진동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850A
KR20140003850A KR1020120070932A KR20120070932A KR20140003850A KR 20140003850 A KR20140003850 A KR 20140003850A KR 1020120070932 A KR1020120070932 A KR 1020120070932A KR 20120070932 A KR20120070932 A KR 20120070932A KR 20140003850 A KR20140003850 A KR 201400038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upled
case
bracket
magnet
circuit boar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0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54858B1 (ko
Inventor
홍정택
Original Assignee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기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기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09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54858B1/ko
Priority to US13/899,847 priority patent/US9473008B2/en
Priority to CN201310231511.XA priority patent/CN103516119B/zh
Publication of KR201400038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85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54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54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18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coil systems moving upon intermittent or reversed energisation thereof by interaction with a fixed field system, e.g. permanent magnet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33/00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H02K33/02Motors with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with armatures moved one way by energisation of a single coil system and returned by mechanical force, e.g. by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6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IN GENERAL
    • B06B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OR TRANSMIT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e.g. FOR PERFORMING MECHANICAL WORK IN GENERAL
    • B06B1/00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 B06B1/02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 B06B1/04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 B06B1/045Methods or apparatus for generating mechanical vibrations of infrasonic, sonic, or ultrasonic frequency making use of electrical energy operating with electromagnetism using vibrating magnet, armature or coil syste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KSOLDERING OR UNSOLDERING; WELDING; CLADDING OR PLATING BY SOLDERING OR WELDING; CUTTING BY APPLYING HEAT LOCALLY, e.g. FLAME CUTTING; WORKING BY LASER BEAM
    • B23K37/00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 B23K37/06Auxiliary devices or processes, not specially adapted to a procedure covered by only one of the preceding main groups for positioning the molten material, e.g. confining it to a desired area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41/00Propulsion systems in which a rigid body is moved along a path due to dynamo-electric interaction between the body and a magnetic field travelling along the path
    • H02K41/02Linear motors; Sectional motors
    • H02K41/035DC motors; Unipolar motors
    • H02K41/0352Unipolar motors
    • H02K41/0354Lorentz force motors, e.g. voice coil motor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24Casings; Enclosures; Supports specially adapted for suppression or reduction of noise or vibr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1/00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 H02K1/06Details of the magnetic circuit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 H02K1/34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parts of the magnetic circui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2203/00Specific aspects not provided for in the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relating to the windings
    • H02K2203/03Machines characterised by the wiring boards, i.e. printed circuit boards or similar structures for connecting the winding termina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Apparatuses For Generation Of Mechanical Vibrations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선형진동모터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마그네트가 장착된 고정자부; 상기 마그네트에 대향되도록 위치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자부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진동자부; 및 상기 고정자부와 진동자부를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자부는 일단이 상기 고정자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진동자부에 결합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자부는 진동자부 및 탄성부재를 커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을 밀폐하도록 케이스에 결합된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인쇄회로기판에 대향되어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은 결합홀에 인접한 케이스 측으로 인쇄회로기판을 향해 돌출된 차단돌출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선형진동모터{Linear Motor}
본 발명은 선형진동모터에 관한 것이다.
 휴대전화 사용자에게 착신, 발신, Key입력 상태 등을 Feed-Back하는 진동기능은 휴대전화의 필수 기능으로 이러한 진동기능의 구현을 위해 Coin형/Bar형 진동모터와 Linear형 진동모터를 주로 사용하게 된다. 과거 단순 착신만 Feed-Back 하던 기능에서 현재 터치형 스마트폰은 메신저, 게임 등 어플리케이션에서 진동기능을 사용하게 되면서 고수명과 빠른 응답시간을 필요로 하게 되었고 이를 충족하기 위해 현재 대부분의 스마트폰에는 선형진동모터(Linear motor)가 사용되고 있다.
 선형진동모터는 기본적으로 무게추(Weight)와 이를 지지하는 스프링 구조가 특정 공진주파수 갖도록 설계한 엑추에이터이며, 권선코일 형태의 전자석에 공진주파수에 근사한 사인(sign)전원을 입력하여 영구자석 간 상호 작용으로 구동한다. 내부로는 진동력의 극대화를 위해 무게추가 움직여 가속할 수 있는 충분한 공간 확보가 필요하고 외부로는 고객(단말기 제조사)의 슬림화 요구에 충족할 수 있는 슬림한 사이즈로 설계되어야 한다.
또한, 진동자부에 전원을 안정적으로 인가시키기 위해서는 브라켓에 인쇄회로기판을 고정시켜야 한다. 그러나, 하기의 선행기술문헌을 포함한 종래기술에 따른 선형진동모터는 브라켓에 인쇄회로기판을 고정하기 위해 납땜 또는 본딩제를 도포할 경우, 진동자부의 내부로 납땜의 플럭스 또는 본딩제가 모세관현상에 의해 유입된다. 그리고 유입된 플럭스 또는 본딩제에 의해 들뜸현상이 발생되고, 이에 따라 진동자부의 터치음 즉, 소음이 발생되는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US 2005-0184601 A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제1 관점은 선형진동모터의 케이스의 외측에 있어서, 브라켓에는 인쇄회로기판에 대향되어 결합홀이 형성되고, 브라켓에는 결합홀에 인접한 케이스 측으로 인쇄회로기판을 향해 돌출된 차단돌출부가 형성됨에 따라, 케이스 내부인 진동자부로 플럭스 및 본딩제의 유입이 차단되어 진동자부의 터치음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선형진동모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2 관점은 선형진동모터의 케이스의 외측에 있어서, 브라켓에는 인쇄회로기판에 대향되어 결합홀이 형성되고, 인쇄회로기판은 결합홀에 인접한 케이스 측으로 브라켓을 향해 돌출된 차단돌출부가 형성된 형성됨에 따라, 케이스 내부인 진동자부로 플럭스 및 본딩제의 유입이 차단되어 진동자부의 터치음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선형진동모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형진동모터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마그네트가 장착된 고정자부; 상기 마그네트에 대향되도록 위치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자부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진동자부; 및 상기 고정자부와 진동자부를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자부는 일단이 상기 고정자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진동자부에 결합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자부는 진동자부 및 탄성부재를 커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을 밀폐하도록 케이스에 결합된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인쇄회로기판에 대향되어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은 결합홀에 인접한 케이스 측으로 인쇄회로기판을 향해 돌출된 차단돌출부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형진동모터는 상기 케이스 및 상기 브라켓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마그네트가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형진동모터의 상기 고정부는 탄성부재에 대향되는 상기 케이스의 일면, 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대향되는 브라켓의 일면의 적어도 하나에 장착되는 댐핑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형진동모터는 상기 마그네트의 일면에 플레이트 요크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형진동모터의 상기 진동자부는 상기 코일과 함께 이동하는 중량체를 더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형진동모터의 상기 중량체에는 요크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고정자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요크에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형진동모터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코일에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선형진동모터의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브라켓에 고정된 결합판과, 상기 결합판으로부터 연장되어 탄성력을 구비하도록 나선방향으로 연장된 탄성부과, 상기 탄성부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코일과 결합되어 외부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접촉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형진동모터는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마그네트가 장착된 고정자부와, 상기 마그네트에 대향되도록 위치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자부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진동자부; 및 상기 고정자부와 진동자부를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자부는 일단이 상기 고정자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진동자부에 결합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자부는 진동자부 및 탄성부재를 커버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대향되어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결합홀에 인접한 케이스 측으로 고정자부를 향해 돌출된 차단돌출부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형진동모터의 케이스는 상기 진동자부를 수용하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고정자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을 밀폐하도록 케이스에 결합된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홀은 상기 브라켓에 형성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차단돌출부는 브라켓을 향해 돌출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형진동모터는 상기 케이스 및 상기 브라켓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마그네트가 장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형진동모터의 상기 고정부는 탄성부재에 대향되는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장착되는 댐핑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형진동모터의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대향되는 브라켓의 일면에 장착되는 댐핑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형진동모터는 상기 마그네트의 일면에 플레이트 요크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형진동모터의 상기 진동자부는 상기 코일과 함께 이동하는 중량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모터.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형진동모터의 상기 중량체에는 요크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고정자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요크에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형진동모터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고정자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코일에 결합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형진동모터의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고정자부에 고정된 결합판과, 상기 결합판으로부터 연장되어 탄성력을 구비하도록 나선방향으로 연장된 탄성부와, 상기 탄성부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코일과 결합되어 외부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접촉부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형진동모터의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브라켓의 일면에 결합된 제1 마그네트와, 상기 제1 마그네트에 대향되어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결합된 제2 마그네트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선형진동모터는 상기 제1 마그네트의 일면 또는 상기 제2 마그네트의 일면에 결합된 플레이트 요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케이스 내부인 진동자부로 플럭스 및 본딩제의 유입이 차단되어 진동자부의 터치음 발생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는 선형진동모터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형진동모터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선형진동모터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선형진동모터에 있어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과 브라켓의 결합부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선형진동모터에 있어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과 브라켓의 결합부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선형진동모터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한 선형진동모터의 개략적인 분해사시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선형진동모터(100)는 고정자부(110)와 진동자부(120)로 이루어지고, 상기 고정자부(110)는 마그네트(111a, 111b), 케이스(112), 브라켓(113) 및 플레이트 요크(114)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자부(120)는 코일(121), 중량체(122), 인쇄회로기판(123), 댐핑부재(124a, 124b), 탄성부재(125), 및 원형 요크(126)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고정자부(110)인 상기 케이스(112)는 상기 진동자부를 커버하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113)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113)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23)이 고정 결합된다.
또한, 상기 마그네트(111a, 111b)는 상기 중량체에 대향하는 상기 브라켓(113)의 내측상면에 결합되는 제1 마그네트(111a)와, 상기 제1 마그네트에 대향하는 상기 케이스의 내측상면에 결합되는 제2 마그네트(111b)로 이루어진다.
그리고 상기 제1 마그네트(111a)와 제2 마그네트(111b)는 자기효율을 높이기 위해 서로 대향되는 면이 동일극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제1 마그네트(111a)는 서로 다른 두 극인 S극(111a') 및 N극(111a")으로 이루어지고, 제2 마그네트(111b)는 서로 다른 두 극인 S극(111b') 및 N극(111b")으로 이루어지고, N극(111a")과 N극(111b")이 대향되도록 위치된다.
또한, 상기 케이스(112)와 브라켓(113)은 각각 마그네트(111a, 111b)를 그 의 중앙에 결합하기 위해 안착부(112a, 113a)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요크(114)는 상기 제1 마그네트(111a)의 상부 또는 상기 제2 마그네트(111b)의 하부에 선택적으로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플레이트 요크(114) 및 이에 대향되는 마그네트를 커버하도록 자성유체(115)가 도포될 수 있다.
그리고 진동자부(120)인 상기 코일(121)은 상기 마그네트(111a, 111b)에 대향되도록 위치되고, 상기 중량체(122)는 코일(121)에 결합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123)은 일단이 상기 코일(121)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브라켓(113)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탄성부재(125)는 일단이 상기 케이스(112)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코일(121)에 결합된다.
그리고 상기 댐핑부재(124a)는 탄성부재(125)에 대향되는 케이스(112)의 일면에 장착된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123)은 상기 브라켓에 고정·결합되는 결합판(123a)과, 상기 결합판(123a)으로부터 연장되어 탄성력을 구비하도록 나선방향으로 연장되는 탄성부(123b)와, 상기 탄성부(123b)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코일과 결합되어 외부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접촉부(123c)를 포함한다.
또한, 상기 인쇄회로기판(123)의 결합판(123a)에는 브라켓(113)에 고정되기 위한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113)에는 상기 고정홈에 대응되는 고정돌기가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접촉부(123c)는 접촉대상인 코일의 형상 및 크기와 대응되도록 원판형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댐핑부재(124b)는 상기 인쇄회로기판(123)에 대향되는 브라켓(113)의 일면에 장착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인쇄회로기판(123)은 상기 제1 마그네트(111a)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외측을 둘러싸면서 나선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코일(121)와 결합됨에 따라, 상기 진동자부(120)를 하부에서 탄성지지한다.
이를 위해, 상기 인쇄회로기판(123)은 나선방향으로 연장된 스프링 형상 또는 코일 스프링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상기 원형 요크(126)는 마그네트의 자속을 증가시키기 위해 상기 코일(121)과 상기 중량체(122) 사이에 결합된다. 또한, 상기 원형 요크(126)은 상기 중량체(122)의 상부에 결합되고 중량체의 중공부(122a)과 끼움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125)는 상기 원형 요크(126)를 통해 코일(121) 및 중량체(122)와 결합된다.
또한, 상기 중량체(122)는 중공부(122a)가 형성되고, 상기 중공부에 원형 요크(126) 및 코일(121)이 수용되고, 상기 중공부에 의해 마그네트(111a, 111b) 및 플레이트 요크(114) 내재된 상태로 선형운동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탄성부재(125), 원형 요크(126) 상기 코일(121)은 상기 마그네트(111a, 111b) 및 플레이트 요크(114) 내재된 상태로 선형운동 가능하도록 각각 중공부(125a, 126a, 121a)가 형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인쇄회로기판(123)은 탄성을 갖는 FPC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이루어지고, 상기 인쇄회로기판(123)을 통해 외부전원이 코일(121)에 공급되면, 상기 코일과 제1,2 마그네트(111a, 111b)의 전자기기력에 의해 상기 진동자부는 선형진동한다. 이때, 진동자부(120)의 변위가 커질 경우, 상기 댐핑부재(124)에 의해 상기 탄성부재(125)와 중량체(122)의 접촉에 의한 마찰이 차단됨에 따라, 인한 금속성 고주파이음을 완화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공간활용도을 통한 설계자유도를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이하, 인쇄회로기판과 브라켓의 결합부에 대하여 자세히 기술한다.
도 3은 도 1에 도시한 선형진동모터에 있어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과 브라켓의 결합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113)은 케이스의 외측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123)에 대향되어 결합홀(113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브라켓(113)은 결합홀(113b)에 인접한 케이스 측으로 차단돌출부(113c)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브라켓(113)에 인쇄회로기판(123)의 결합판(123a)에 결합하기위해 상기 브라켓(113)의 결합홀(113b)에 납땜할 경우 솔더링(S)은 상기 브라켓의 차단돌출부(113c)에 의해 케이스 내부로의 유입이 차단된다.
또한, 상기 브라켓(113)의 결합홀(113b)에 본딩제를 도포할 경우 본딩제는 상기 브라켓의 차단돌출부(113c)에 의해 케이스 내부로의 유입이 차단된다.
이에 따라, 솔더링의 케이스 내부 유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들뜸현상이 미연에 방지되고, 브라켓과 인쇄회로기판의 밀착고정에 의해 터치음발생등의 소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도 4는 도 1에 도시한 선형진동모터에 있어서, 제2 실시예에 따른 인쇄회로기판과 브라켓의 결합부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브라켓(113)은 케이스의 외측에 있어서, 인쇄회로기판(123)의 결합판(123a) 대향되어 결합홀(113b)이 형성된다.
그리고 상기 인쇄회로기판(123)은 결합홀(113b)에 인접한 케이스 측으로 차단돌출부(123b)가 형성된다.
이와 같이 이루어짐에 따라, 상기 브라켓(113)에 인쇄회로기판(123)을 결합하기위해 상기 브라켓(113)의 결합홀(113b)에 납땜할 경우 솔더링(S)은 상기 인쇄회로기판(123)의 결합판(123a)에 형성된 차단돌출부(123a')에 의해 케이스 내부로의 유입이 차단된다.
상기 브라켓(113)의 결합홀(113b)에 본딩제를 도포할 경우 본딩제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차단돌출부(123a')에 의해 케이스 내부로의 유입이 차단된다.
이에 따라, 솔더링의 케이스 내부 유입에 따른 인쇄회로기판의 들뜸현상이 미연에 방지되고, 브라켓과 인쇄회로기판의 밀착고정에 의해 터치음발생등의 소음을 미연에 방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선형진동모터는 차단돌출부에 부착되어 유입의 2차로 차단하는 코팅테이프 및 코팅층이 더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발명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0 : 선형진동모터 110: 고정자부
111a, 111b : 마그네트 113: 브라켓
113a : 결합홈 113b: 결합홀
113c: 차단돌출부
114: 플레이트 요크 115: 자성유체
120: 진동자부 121: 코일 122: 케이스 123: 인쇄회로기판 123a: 결합판 123b: 탄성부
123c: 접촉부 123a': 차단돌출부
125a, 126a, 121a: 중공부
124a, 124b: 댐핑부재
125: 탄성부재 126: 원형 요크

Claims (20)

  1.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마그네트가 장착된 고정자부;
    상기 마그네트에 대향되도록 위치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자부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진동자부; 및
    상기 고정자부와 진동자부를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자부는 일단이 상기 고정자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진동자부에 결합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자부는 진동자부 및 탄성부재를 커버하는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을 밀폐하도록 케이스에 결합된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있어서, 상기 브라켓은 인쇄회로기판에 대향되어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브라켓은 결합홀에 인접한 케이스 측으로 인쇄회로기판을 향해 돌출된 차단돌출부가 형성된 선형진동모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및 상기 브라켓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마그네트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모터.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탄성부재에 대향되는 상기 케이스의 일면 또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대향되는 브라켓의 일면의 적어도 하나에 장착되는 댐핑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모터.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의 일면에 플레이트 요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모터.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부는 상기 코일과 함께 이동하는 중량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모터.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에는 요크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고정자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요크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모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케이스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코일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모터.
  8.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브라켓에 고정된 결합판;
    상기 결합판으로부터 연장되어 탄성력을 구비하도록 나선방향으로 연장된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코일과 결합되어 외부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모터.
  9.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마그네트가 장착된 고정자부;
    상기 마그네트에 대향되도록 위치되는 코일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자부의 내부공간에 수용되는 진동자부; 및
    상기 고정자부와 진동자부를 연결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진동자부는 일단이 상기 고정자부에 결합되고 타단이 상기 진동자부에 결합되는 인쇄회로기판을 포함하고,
    상기 고정자부는 진동자부 및 탄성부재를 커버하는 케이스를 포함하고, 상기 케이스의 외측에 있어서, 상기 고정자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대향되어 결합홀이 형성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결합홀에 인접한 케이스 측으로 고정자부를 향해 돌출된 차단돌출부가 형성된 선형진동모터.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상기 진동자부를 수용하도록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하부가 개방되고,
    상기 고정자부는 상기 케이스의 내부공간을 밀폐하도록 케이스에 결합된 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결합홀은 상기 브라켓에 형성되고, 상기 인쇄회로기판의 차단돌출부는 브라켓을 향해 돌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모터.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 및 상기 브라켓의 어느 한쪽 또는 양쪽에 마그네트가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모터.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탄성부재에 대향되는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장착되는 댐핑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모터.
  13.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고정부는 상기 인쇄회로기판에 대향되는 브라켓의 일면에 장착되는 댐핑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모터.
  14.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의 일면에 플레이트 요크가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모터.
  15.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진동자부는 상기 코일과 함께 이동하는 중량체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모터.
  16. 청구항 15에 있어서,
    상기 중량체에는 요크가 설치되고,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상기 고정자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요크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모터.
  17.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탄성부재의 일단은 고정자부에 결합되고, 타단은 상기 코일에 결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모터.
  18.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인쇄회로기판은,
    상기 고정자부에 고정된 결합판;
    상기 결합판으로부터 연장되어 탄성력을 구비하도록 나선방향으로 연장된 탄성부; 및
    상기 탄성부의 단부에 구비되고, 상기 코일과 결합되어 외부전원을 인가하기 위한 접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모터.
  19.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마그네트는,
    상기 브라켓의 일면에 결합된 제1 마그네트와, 상기 제1 마그네트에 대향되어 상기 케이스의 일면에 결합된 제2 마그네트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모터.
  20. 청구항 19에 있어서,
    상기 제1 마그네트의 일면 또는 상기 제2 마그네트의 일면에 결합된 플레이트 요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진동모터.
KR1020120070932A 2012-06-29 2012-06-29 선형진동모터 KR101354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932A KR101354858B1 (ko) 2012-06-29 2012-06-29 선형진동모터
US13/899,847 US9473008B2 (en) 2012-06-29 2013-05-22 Linear vibration motor with protrusion blocking solder attaching printed circuit board to case
CN201310231511.XA CN103516119B (zh) 2012-06-29 2013-06-09 线性振动电机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932A KR101354858B1 (ko) 2012-06-29 2012-06-29 선형진동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850A true KR20140003850A (ko) 2014-01-10
KR101354858B1 KR101354858B1 (ko) 2014-01-23

Family

ID=497773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0932A KR101354858B1 (ko) 2012-06-29 2012-06-29 선형진동모터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9473008B2 (ko)
KR (1) KR101354858B1 (ko)
CN (1) CN103516119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0631A (ko) * 2014-01-29 2015-08-06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진동모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971902B1 (fr) * 2011-02-23 2013-11-08 Moving Magnet Tech Actionneur electromagnetique a densite de force amelioree et application a un rasoir electrique
KR101978956B1 (ko) * 2012-07-27 2019-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8937411B2 (en) * 2012-09-06 2015-01-20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Vibration generating device
AU2013254931B2 (en) * 2013-11-07 2019-03-28 The Commonwealth Of Australia Vibration energy conversion device
CN103825421A (zh) * 2014-03-06 2014-05-28 三星高新电机(天津)有限公司 泡棉定位磁铁方式的线性振动电机
JP6309871B2 (ja) * 2014-09-30 2018-04-11 日本電産セイミツ株式会社 振動モータ
KR20170005686A (ko) * 2015-07-06 2017-01-16 자화전자(주) 선형 진동 발생 장치
CN105720775B (zh) * 2016-03-28 2019-08-20 歌尔股份有限公司 振动马达以及便携式设备
US10610891B2 (en) * 2016-09-14 2020-04-07 Nidec Seimitsu Corporation Vibration motor including back yoke with protrusion portions
JP2019063695A (ja) * 2017-09-28 2019-04-25 日本電産コパル株式会社 振動アクチュエータ
KR20190136475A (ko) 2018-05-31 2019-12-10 주식회사 오리엔텍 리니어 진동모터 및 리니어 진동모터의 마그네트 장착방법
US10819202B2 (en) * 2018-07-11 2020-10-27 Mplus Co., Ltd. Linear vibration motor
JPWO2021106741A1 (ko) * 2019-11-29 2021-06-03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358633B2 (en) 2004-02-23 2008-04-15 Samsung Electro-Mechanics Co., Ltd. Linear vibration motor using resonance frequency
KR20060090399A (ko) * 2005-02-07 2006-08-10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편평형 진동모터
KR100941292B1 (ko) * 2007-11-12 2010-02-1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진동 모터 및 그 제조방법
JP2009166016A (ja) * 2008-01-21 2009-07-30 Sanyo Electric Co Ltd 往復振動発生器
KR100923867B1 (ko) * 2009-07-21 2009-10-28 김태진 리니어 진동 모터
KR101055562B1 (ko) * 2010-12-30 2011-08-08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진동모터
KR101055508B1 (ko) * 2010-12-31 2011-08-08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 진동모터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90631A (ko) * 2014-01-29 2015-08-06 삼성전기주식회사 선형진동모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516119B (zh) 2016-01-06
CN103516119A (zh) 2014-01-15
US9473008B2 (en) 2016-10-18
US20140001889A1 (en) 2014-01-02
KR101354858B1 (ko) 201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4858B1 (ko) 선형진동모터
US8810094B2 (en) Linear vibration motor
US8860263B2 (en) Linear vibration motor
KR101354867B1 (ko) 리니어진동장치
CN109980885B (zh) 振动驱动器及便携设备
KR101516056B1 (ko) 선형진동모터
KR101055508B1 (ko) 선형 진동모터
US10819204B2 (en) Vibration motor
KR102173570B1 (ko) 선형진동모터
US20110316361A1 (en) Horizontal linear vibrator
CN205490073U (zh) 振动电机
KR101278418B1 (ko) 선형 진동모터
KR101184545B1 (ko) 선형 진동모터
KR101237606B1 (ko) 진동발생장치
KR101506556B1 (ko) 선형진동모터
KR101461274B1 (ko) 선형진동모터
KR20140128525A (ko) 리니어 액추에이터
US11212618B2 (en) Vibration sounding device
CN110874138A (zh) 声音振动驱动器
KR20120138729A (ko) 선형진동모터
KR20120100545A (ko) 선형 진동 발생장치
KR20130038328A (ko) 선형진동모터
KR20130122238A (ko) 선형진동모터
KR101278357B1 (ko) 선형 진동모터
JP2012106145A (ja) 振動モータ及び携帯機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09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27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1227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