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815U - 작업선 걸이장치 - Google Patents

작업선 걸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815U
KR20140003815U KR2020120011722U KR20120011722U KR20140003815U KR 20140003815 U KR20140003815 U KR 20140003815U KR 2020120011722 U KR2020120011722 U KR 2020120011722U KR 20120011722 U KR20120011722 U KR 20120011722U KR 20140003815 U KR20140003815 U KR 20140003815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ertion hole
work line
work
present
l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1172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조제욱
Original Assignee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11722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3815U/ko
Publication of KR20140003815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815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71/00Designing vessels; Predicting their performan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7/00Vessels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3/00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e.g. hangers, holders, clamps, cleats, clips, bracke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lamps And Clip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선 걸이장치는, 일측이 개구되어 구조물이 수용되는 끼움부재와, 상기 끼움부재를 상기 구조물에 구속시키는 볼트부재와, 상기 끼움부재의 일측에 연결되며 삽입홀이 형성되는 수용부재를 포함하는 연결부; 및 상부가 상기 삽입홀에 끼움되며, 작업선이 걸림되도록 하부가 상부방향으로 절곡되는 걸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작업선 걸이장치는, 케이블, 호스와 같은 작업선을 바닥으로부터 이격시켜 상부에 정리함으로써 작업선에 의해 작업자의 이동 경로가 방해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으며, 구조물 건조를 위한 용접, 도색 등의 작업시 작업선이 손상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Description

작업선 걸이장치{Holder apparatus for utility line}
본 고안은 작업선 걸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등의 구조물 건조시, 용접, 도색등의 작업을 위해 전기나 가스 및 기타 장비 등을 연결하기 위한 케이블과 호스와 같은 작업선의 설치가 필요하며, 이러한 작업선은 구조물 건조의 안정성을 위해 정리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작업선을 작업대 바닥면에서 정리할 경우, 용접, 도색 등의 작업시 작업선이 손상되거나 작업자의 이동에 불편을 주는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작업선을 작업대 바닥면에서 정리할 경우, 작업대 청소 및 정리 정돈에 소요되는 공수가 많아지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서, 본 고안의 목적은 작업선을 상부에 정리할 수 있는 작업선 걸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선 걸이장치는, 일측이 개구되어 구조물이 수용되는 끼움부재와, 상기 끼움부재를 상기 구조물에 구속시키는 볼트부재와, 상기 끼움부재의 일측에 연결되며 삽입홀이 형성되는 수용부재를 포함하는 연결부; 및 상부가 상기 삽입홀에 끼움되며, 작업선이 걸림되도록 하부가 상부방향으로 절곡되는 걸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작업선 걸이장치는, 케이블, 호스와 같은 작업선을 바닥으로부터 이격시켜 상부에 정리함으로써 작업선에 의해 작업자의 이동 경로가 방해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으며, 구조물 건조를 위한 용접, 도색 등의 작업시 작업선이 손상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은 작업선을 작업대 상부에 정리함으로써 작업대의 청소 및 정리 정돈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공수를 절감할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선 걸이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선 걸이장치의 수용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선 걸이장치가 구조물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본 고안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선 걸이장치를 도시한 분리사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선 걸이장치의 수용부재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3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선 걸이장치가 구조물에 장착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작업선 걸이장치(100)는, 조명선과 같은 케이블, 에어 호스와 같은 작업선(20)을 정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연결부(110) 및 걸이부(120)를 포함한다.
연결부(110)는 구조물(10)에 연결되는 구성으로서, 끼움부재(111), 볼트부재(112) 및 수용부재(114)를 포함한다.
끼움부재(111)는 일측이 개구되어 구조물(10)이 수용된다. 끼움부재(111)는 일 예로 '
Figure utm00001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구조물(10)은 판의 형태를 포함하는 선각부재, 서포트, 선박의 블록이 될 수 있으며, 작업선(20)을 상부로 들어올려 정리할 수 있도록 끼움부재(111)가 구조물(10)의 상부에 연결될 수 있다.
볼트부재(112)는 끼움부재(111)를 구조물(10)에 구속시킨다. 볼트부재(112)는 볼트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끼움부재(111)를 관통하되 구조물(10)을 가압하여 구조물(10)을 끼움부재(111)에 밀착시킴으로써, 끼움부재(111)를 구조물(10)에 구속시킬 수 있다. 여기서, 볼트부재(112)의 상부에는 지각으로 연장형성되는 손잡이(113)가 구비되어 볼트부재(112)의 나사결합 및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수용부재(114)는 걸이부(120)가 장착되는 구성으로서, 끼움부재(111)의 일측에 연결되며 삽입홀(115)이 형성된다. 여기서, 삽입홀(115)은 제1 삽입홀(116) 및 제2 삽입홀(117)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삽입홀(116)과 제2 삽입홀(117)은 구조물(10)의 배치 상태가 수평이거나 수직에 상관없이 구조물(10)에 연결부(110)가 체결되고, 걸이부(120)가 수직으로 연결될 수 있는 방향에 배치된 제1 삽입홀(116) 또는 제2 삽입홀(117) 중 어느 하나에 끼움됨으로써, 장소에 구애에 받지 않고 작업선(20)이 걸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삽입홀(116)은 수직으로 관통되고, 제2 삽입홀(117)은 제1 삽입홀(116)에 직각으로 이루어져 수평으로 관통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삽입홀(115)은 복수의 방향으로 관통되어 연결부(110)의 방향에 관계없이 걸이부(120)가 수용부재(114)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삽입홀(116)과 제2 삽입홀(117)이 서로 직각이 되도록 수용부재(114)는 '
Figure utm00002
' 형상을 이루고, 수용부재(114)의 수직 및 수평의 길이방향 각각을 따라 관통될 수 있다.
걸이부(120)는 작업선(20)이 걸어지는 구성으로서, 상부가 삽입홀(115)에 끼움되며, 작업선(20)이 걸림되도록 하부가 상부방향으로 절곡된다. 예를 들어 걸이부(120)는 삽입홀(115)에 수용되는 수직부재(121)와, 수직부재(121)에 연장형성되어 하부에서 상부로 절곡되는 절곡부재(122)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는, 케이블, 호스와 같은 작업선(20)을 바닥으로부터 이격시켜 상부에 정리함으로써 작업선(20)에 의해 작업자의 이동 경로가 방해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으며, 구조물 건조를 위한 용접, 도색 등의 작업시 작업선(20)이 손상되는 문제를 개선할 수 있다.
이상 본 고안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 범위는 첨부된 실용신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0 : 구조물 20 : 작업선
100 : 작업선 걸이장치 110 : 연결부
111 : 끼움부재 112 : 볼트부재
113 : 손잡이 114 : 수용부재
115 : 삽입홀 116 : 제1 삽입홀
117 : 제2 삽입홀 120 : 걸이부
121 : 수직부재 122 : 절곡부재

Claims (2)

  1. 일측이 개구되어 구조물이 수용되는 끼움부재와, 상기 끼움부재를 상기 구조물에 구속시키는 볼트부재와, 상기 끼움부재의 일측에 연결되며 삽입홀이 형성되는 수용부재를 포함하는 연결부; 및
    상부가 상기 삽입홀에 끼움되며, 작업선이 걸림되도록 하부가 상부방향으로 절곡되는 걸이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선 걸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삽입홀은,
    수직으로 관통되는 제1 삽입홀; 및
    상기 제1 삽입홀에 직각으로 이루어져 수평으로 관통되는 제2 삽입홀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선 걸이장치.
KR2020120011722U 2012-12-12 2012-12-12 작업선 걸이장치 KR20140003815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722U KR20140003815U (ko) 2012-12-12 2012-12-12 작업선 걸이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11722U KR20140003815U (ko) 2012-12-12 2012-12-12 작업선 걸이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815U true KR20140003815U (ko) 2014-06-20

Family

ID=524452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11722U KR20140003815U (ko) 2012-12-12 2012-12-12 작업선 걸이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3815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119556B1 (ko) 케이블 거치대
US10186816B2 (en) Suspended ceiling mounting bracket for connector installation
JP6263448B2 (ja) 配線ケーブルの整線具
KR101479289B1 (ko) 전선용 행거
KR20140003815U (ko) 작업선 걸이장치
CN105650764A (zh) 一种接线板安装结构及包括该接线板安装结构的室外机
KR100732726B1 (ko) 이중바닥 배선용 전선박스
JP6854622B2 (ja) 情報分電盤用箱体
JP2022140442A (ja) 連結装置
JP5289866B2 (ja) 光成端箱
KR101243678B1 (ko) 중계기 설치용 브라켓
KR200480808Y1 (ko) 메쉬트레이용 조명장치 장착구
JP5591195B2 (ja) ヒートポンプ装置の室内機
KR200442852Y1 (ko) 커넥터 케이블 거치대
KR101931483B1 (ko) 케이블트레이용 케이블 정리부재
KR102251772B1 (ko) 고소작업차의 버킷용 절연 패드의 걸이식 보관장치
KR200483041Y1 (ko) 케이블 가설 장치
JP3205669U (ja) 天井裏足場用金具
KR20160000510A (ko) 케이블 트레이
JP6527991B2 (ja) 照明器具
KR20130039564A (ko) 케이블 지지장치
CN209228459U (zh) 除碳机机箱
JP2018022556A (ja) 吊り下げ用照明器具、連結具及び照明システム
KR101499862B1 (ko) 전선 거치대
KR20110010948U (ko) 스탠드형 케이블 행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