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372A - 강제 관류 증기 발생기 - Google Patents

강제 관류 증기 발생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372A
KR20140003372A KR1020137002786A KR20137002786A KR20140003372A KR 20140003372 A KR20140003372 A KR 20140003372A KR 1020137002786 A KR1020137002786 A KR 1020137002786A KR 20137002786 A KR20137002786 A KR 20137002786A KR 20140003372 A KR20140003372 A KR 2014000337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generator
collector
tubes
forced
tub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027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아힘 브로데써
얀 브뤽크너
마틴 에퍼트
요아힘 프랑케
토비아스 슐체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400033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37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29/00Steam boilers of forced-flow type
    • F22B29/06Steam boilers of forced-flow type of once-through type, i.e. built-up from tubes receiving water at one end and delivering superheated steam at the other end of the tubes
    • F22B29/061Construction of tube walls
    • F22B29/062Construction of tube walls involving vertically-disposed water tub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21/00Water-tube boilers of vertical or steeply-inclined type, i.e. the water-tube sets being arranged vertically or substantially vertically
    • F22B21/34Water-tube boilers of vertical or steeply-inclined type, i.e. the water-tube sets being arranged vertically or substantially vertically built-up from water tubes grouped in panel form surrounding the combustion chamber, i.e. radiation boile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1MACHINES OR ENGINES IN GENERAL; ENGINE PLANTS IN GENERAL; STEAM ENGINES
    • F01KSTEAM ENGINE PLANTS; STEAM ACCUMULATORS; ENGINE PLAN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ENGINES USING SPECIAL WORKING FLUIDS OR CYCLES
    • F01K7/00Steam eng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ypes of engine; 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special steam systems, cycles or processes;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systems, cycles or processes; Use of withdrawn or exhaust steam for feed-water heating
    • F01K7/16Steam engine pla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fic types of engine; Plants or engines characterised by their use of special steam systems, cycles or processes; Control means specially adapted for such systems, cycles or processes; Use of withdrawn or exhaust steam for feed-water heating the engines being only of turbine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21/00Water-tube boilers of vertical or steeply-inclined type, i.e. the water-tube sets being arranged vertically or substantially vertically
    • F22B21/34Water-tube boilers of vertical or steeply-inclined type, i.e. the water-tube sets being arranged vertically or substantially vertically built-up from water tubes grouped in panel form surrounding the combustion chamber, i.e. radiation boilers
    • F22B21/36Water-tube boilers of vertical or steeply-inclined type, i.e. the water-tube sets being arranged vertically or substantially vertically built-up from water tubes grouped in panel form surrounding the combustion chamber, i.e. radiation boilers involving an upper drum or headers mounted at the top of the combustion chamb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21/00Water-tube boilers of vertical or steeply-inclined type, i.e. the water-tube sets being arranged vertically or substantially vertically
    • F22B21/34Water-tube boilers of vertical or steeply-inclined type, i.e. the water-tube sets being arranged vertically or substantially vertically built-up from water tubes grouped in panel form surrounding the combustion chamber, i.e. radiation boilers
    • F22B21/36Water-tube boilers of vertical or steeply-inclined type, i.e. the water-tube sets being arranged vertically or substantially vertically built-up from water tubes grouped in panel form surrounding the combustion chamber, i.e. radiation boilers involving an upper drum or headers mounted at the top of the combustion chamber
    • F22B21/366Water-tube boilers of vertical or steeply-inclined type, i.e. the water-tube sets being arranged vertically or substantially vertically built-up from water tubes grouped in panel form surrounding the combustion chamber, i.e. radiation boilers involving an upper drum or headers mounted at the top of the combustion chamber involving a horizontal drum mounted in the middle of the boile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29/00Steam boilers of forced-flow type
    • F22B29/02Steam boilers of forced-flow type of forced-circulation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6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specially adapted for steam boilers of forced-flow type
    • F22B37/70Arrangements for distributing water into water tubes
    • F22B37/74Throttling arrangements for tubes or sets of tub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Heat-Exchange Devices With Radiators And Conduit Assemblies (AREA)
  • Engine Equipment That Uses Special Cycles (AREA)
  • Control Of Steam Boilers And Waste-Gas Boil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수직 방향으로 관류 가능한 기밀하게 용접된 증기 발생기 관(2)으로 형성된 둘레 벽(4)을 가지는 강제 관류 증기 발생기(1)에 관한 것으로서, 둘레 벽(4) 내에 관통 수집기(14)가 배치되며, 상기 관통 수집기는 유동 매체 측면에서 유출구에 있는 병렬 연결된 제1 복수의 증기 발생기 관(2)을 유입구에 있는 병렬 연결된 제2 복수의 증기 발생기 관(2)과 연결하며, 이때 제2 복수의 증기 발생기 관은 제1 복수의 증기 발생기 관의 하류에 직렬 연결되며, 상기 강제 관류 증기 발생기는 작동 상태와 상관없이 특히 긴 내구 연한 및 특히 적은 수리 발생률을 가져야 한다. 이를 위해 관통 수집기(14)의 하류에 연결된 증기 발생기 관(2)은 각각 하나의 스로틀 장치(18)를 갖는다.

Description

강제 관류 증기 발생기{FORCED-FLOW STEAM GENERATOR}
본 발명은 수직 방향으로 관류 가능한 기밀하게 용접된 증기 발생기 관으로 형성된 둘레 벽을 가지는 강제 관류 증기 발생기에 관한 것으로서, 둘레 벽 내에 관통 수집기가 배치되며, 상기 관통 수집기는 유동 매체 측면에서 유출구에 있는 병렬 연결된 제1 복수의 증기 발생기 관을 유입구에 있는 병렬 연결된 제2 복수의 증기 발생기 관을 연결하며, 이때 제2 복수의 증기 발생기 관은 제1 복수의 증기 발생기 관의 하류에 직렬 연결된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증기 발생기를 구비한 발전설비에 관한 것이다.
증기 발생기는 유동 매체로부터 증기를 생성하는 설비이다. 그와 같은 설비에서는 유동 매체, 전형적으로는 물이 가열되어 증기로 변한다. 그 후 증기는 기기의 구동을 위해 또는 전기 에너지의 생성을 위해 이용된다. 일반적으로 증기 발생기는 증기의 생성을 위한 증발기뿐 아니라, 소비 기기(consumer)에 필요한 온도로 증기를 가열하는 과열기를 포함한다. 흔히 폐열을 사용하는 예열기가 증발기의 상류에 연결되어 전체 설비의 효율을 향상시킨다.
증기 발생기는 산업적으로 오늘날 통상 수관 보일러로서 실시되어 있는, 즉 유동 매체가 증기 발생기 관에 공급된다. 이런 경우 증기 발생기 관은 서로 기밀하게 용접되어 하나의 둘레 벽을 형성할 수 있으며, 둘레 벽 안에 열을 공급하는 고온 가스가 공급된다. 증기 발생기는 입식으로 또는 와식으로 실시될 수 있는, 즉 고온 가스가 수직 또는 수평 방향으로 공급된다.
또한, 증기 발생기는 강제 관류 증기 발생기로서 설계될 수 있으며, 이때 유동 매체의 흐름은 공급 펌프에 의해 강제된다. 이런 경우 유동 매체는 공급 펌프에 의해 보일러 안으로 이송되어 차례로 예열기, 증발기 및 과열기를 관류한다. 포화 증기 온도가 될 때까지 급수의 가열, 증발 및 과열이 하나의 사이클에서 연속적으로 이루어지므로, - 적어도 전부하에서 - 물과 증기를 위한 별도의 분리 장치가 필요하지 않다. 관류 증기 발생기는 초임계 압력에서도 작동할 수 있다. 예열기, 증발기 및 과열기의 개개 가열면의 규정은 엄밀히 말해서 상기 작동 방식에서 더 이상 적절하지 않은데, 연속적인 상전이가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수직으로 배관된 관류 증기 발생기의 변형예에서 둘레 벽의 배관은 하부 섹션과 상부 섹션으로 분할되며, 하부 섹션은 병렬 연결된 제1 복수의 증기 발생기 관을 포함하고 상부 섹션은 제1 복수의 증기 발생기 관의 하류에 직렬 연결된, 병렬로 연결된 제2 복수의 증기 발생기 관을 포함한다. 하부 섹션과 상부 섹션은 관통 수집기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이에 의해 한편으로는 병렬 연결된 증기 발생기 관들 사이에 압력 평형이 이루어지고, 다른 한편으로는 상이한 증기 발생기 관들로부터의 유동 매체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혼합된다.
수직 방향으로 관류할 수 있는 증기 발생기 관 및 관통 수집기를 갖는 상기 관류 증기 발생기에서, 둘레 벽의 상부 섹션의 개별 관에서 허용되지 않는 고온이 발생할 수도 있는 것이 확인되었는데, 이는 경우에 따라 관벽의 파손을 야기할 수도 있다. 이런 경우 과도한 고온의 발생은 일정한 작동 변수와 연관되어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과제는 작동 상태에 상관없이 특히 긴 내구 연한 및 특히 적은 수리 발생률을 갖는 전술한 종류의 강제 관류 증기 발생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에 따라 상기 과제는 관통 수집기의 하류에 연결된 증기 발생기 관들이 각각 하나의 스로틀 장치를 가짐으로써 해결된다.
이런 경우 본 발명은 개별 증기 발생기 관의 과열이 유동 매체에 의한 유입 열의 불충분한 방산에 기인한다는 데에서 출발한다. 불충분한 방열은, 해당 증기 발생기 관에 질량 유량이 너무 적으면 발생한다. 자연 순환 특성이 현저한 경우 유입구 증기 함량이 매우 낮고 열 공급이 매우 낮으면 증기 발생기 관들 내에서 정유압 강하는, 증기 발생기 관의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 총 압력차와 거의 같거나 또는 똑같다. 따라서 흐름의 추진력으로서 잔여 압력차가 매우 작거나 완전히 사라지므로, 최악의 경우에 흐름이 정체된다.
사실 관통 수집기의 하류에 연결된 관들 사이에서 관통 수집기가 일정한 평형을 일으키면, 상기 효과가 약화될 수 있다. 그러나 관통 수집기가 완전한 압력 평형을 일으키지만, 그의 하류에 연결된 증기 발생기 관에서 물 성분과 증기 성분의 평형을 유도할 수도 있는, 유입되는 유동 매체의 완전한 혼합은 이루어지지 않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럼에도, 하부 섹션의 더 약하게 가열된 증기 발생기 관으로부터 낮은 증기 함량과 콜렉터 내에서 추가의 국지적 분리 현상 때문에, 증기 함량이 일정한 작동 상태에서 상부 수직 배관의 개별 관의 유입구에서 약 0(영)이 될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현상은 자연 순환 특성의 충분한 약화를 통해 방지되어야 한다.
바람직한 구성에서 각각의 스로틀 장치는 둘레 벽의 상부 섹션에 배치되어 있다. 상기 유형의 배치에 의해 증기 발생기의 특히 간단한 구조가 가능함과 동시에 상술한 문제를 갖는 기존의 설비에 추가 장착이 가능하다.
유리하게 스로틀 장치는 간단한 패널(panel)로 형성된다. 이는 해당 증기 발생기 관의 공칭 폭을 특히 간단하게 국지적으로 감소시킬 수 있으므로 마찰 압력 손실의 간단한 상승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조치에 의해 자연 순환 특성의 감소를 위한 스로틀 장치의 특히 간단한 설치가 가능하다.
입식 구조의 증기 발생기의 둘레 벽은 수평 방향의 다양한 횡단면을 가질 수 있다. 횡단면이 사실상 사각형이면, 특히 용이한 구조가 가능하다. 상기 유형의 증기 발생기의 경우에 특히 코너 영역에 배치되는 증기 발생기 관들이 특히 약하게 가열되는데, 이들 관이 고온 가스 채널의 중심으로부터 가장 멀리 떨어져 있으며 동시에 특히 작은 입열 표면을 가지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수직 배관의 하부 섹션에 있는 개별 코너 관의 증기 함량이 대략 0이 될 수 있으므로, 불균일하게 분포된 물 증기 혼합물이 중간 수집기 안으로 유입된다. 중간 수집기에서도 충분한 혼합이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하류에 연결된 코너 관에서 질량 유량은 멈출 수 있으며 그 결과 방열은 불충분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유형의 증기 발생기의 경우 관통 수집기의 하류에 연결된 증기 발생기 관은 스로틀 장치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관통 수집기는 연속적으로 순환하게(circumferential) 수평으로 배치될 수 있으며, 즉 관통 수집기는 아래 또는 위에 배치되는 둘레 벽의 전체 증기 발생기 관들을 서로 연결한다. 모든 관들에 결쳐 완전한 압력 평형에도 불구하고 물 성분과 증기 성분의 분리가 나타날 수 있다. 그러므로 상기 유형의 강제 관류 증기 발생기는 관통 수집기의 하류에 연결된 증기 발생기 관에 각각 하나의 스로틀 장치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관통 수집기 아래 배관은 나선형으로 순환하게 구성될 수 있다. 관들은 전체 둘레 벽 주위에서 순환형이다. 사실 이럼 점이 하부 섹션에서 증기 발생기 관의 복잡한 구조와 더 적은 수를 야기하지만, 그 때문에 둘레 벽의 상이한 영역들에서 가열 차이가 광범위하게 상쇄된다. 그러나 상기 구조의 경우에도 관통 수집기에서 국지적 분리가 발생할 수 있고, 국지적 분리가 관통 수집기의 하류에 연결된 관들에서 질량 유량이 너무 작은 전술한 문제를 야기하는 것이 인식되었다. 그러므로 상기 유형의 구조에서도 관통 수집기의 하류에 연결된 증기 발생기 관은 각각 하나의 스로틀 장치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화력 발전 증기 발생기의 경우에 연소실의 증기 발생기 관 내로의 입열은 대류에 의해서만 이루어지는 것이 아니라 대부분의 열 성분이 방열에 의해 증기 발생기 관 안으로 들어온다. 그러므로 특히 상기 유형의 증기 발생기의 경우 개별 증기 발생기 관의 가열 차이가 특히 클 수 있다. 그러므로 유리하게는 화석 연료용 복수의 버너를 갖는 연소실을 구비한 증기 발생기는 관통 수집기의 하류에 연결된 증기 발생기 관에 스로틀 장치를 갖는 것이 유리하다.
유리한 실시예로서 예를 들어 유동 발생을 위한 증기 터빈이 유동 매체 측면에서 강제 관류 증기 발생기의 하류에 연결되어 있다. 또한, 유리하게는 발전설비는 이러한 유형의 증기 발생기를 갖는다.
특히, 본 발명에 의해 달성되는 장점들은, 강제 관류 증기 발생기 중 관통 수집기의 하류에 연결된 증기 발생기 관에 스로틀 장치가 배치됨으로써, 충분한 방열이 모든 관에서 보장되고 그 결과 관벽의 손상을 야기할 수 있는 허용되지 않는 고온이 방지되는 데 있다. 이런 경우 상기 조치는, 무시할 수 없는 자연 순환 특성이 강제 관류 증기 발생기에서도 존재하지만, 상기 자연 순환 특성은 스로틀의 배치에 의해 약화된다는 인식에 기초한다. 결국, 이로써 발전설비의 작동에 있어서 제한 요소들이 방지된다.
도면을 참고로 본 발명을 상술한다.
도 1은 수직 방향으로 배관된, 관통 수집기를 포함하는 강제 관류 증기 발생기의 개략도이다.
도 2는 전부하에서 다양한 질량 유량 밀도에서 강제 관류 증기 발생기의, 비교적 약하게 가열된 코너 관의 유출구에서 질량 유량 밀도 및 유체 온도의 그래프에 관한 도이다.
모든 도면에서 동일 부재는 동일한 도면 부호를 갖는다.
도 1에는 본 발명에 따라 수직 배관된 화력 발전 강제 관류 증기 발생기(1)가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강제 관류 증기 발생기(1)는 기밀하게 용접된 증기 발생기 관(2)으로 형성된 둘레 벽(4)을 포함한다. 이런 경우 둘레 벽(4)은 사실상 사각형의 수평방향 횡단면(6)을 갖는다. 강제 관류 증기 발생기(1)의 하부 영역에 화석 연료를 연소하기 위한 자세히 도시되지 않은 복수의 버너를 갖는 연소실(8)이 배치되어 있으며, 버너들은 증기 발생기 관(4)에 열을 공급한다.
둘레 벽(4)은 상부 섹션(10)과 하부 섹션(12)으로 나뉘고, 이들 섹션(10 및 12)은 관통 수집기(14)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하부 섹션(12)에서의 배관은 본 실시예의 경우 수직으로 배치되지만, 둘레 벽의 주위에 나선형으로도 배치될 수 있다. 관통 수집기(14)는 하부 섹션(12)의 증기 발생기 관(2)으로부터 나오는 전체 유동 매체를 모으고 병렬로 연결된 증기 발생기 관(2) 사이에 압력 평형을 가능하게 한다. 이어서 유동 매체는 관통 수집기(14)로부터 상부 섹션(10)의 증기 발생기 관(2) 안으로 유입되고, 거기에서 유동 매체가 가열되고 경우에 따라서는 과열된다. 과열된 증기는 도시되지 않은 가열면에서 추가 과열 후 자세히 도시되지 않은 발전설비 내의 증기 터빈에 공급된다.
버너를 통해 생성된 열은 주로 방열에 의해 증기 발생기 관(2)을 통해 흡수된다. 특히 하부 섹션(12)의 코너 관(16)에서는, 강제 관류 증기 발생기(1)의 중심으로부터 최대한 멀리에 있는 위치 때문에 그리고 열을 특히 적게 공급받는 표면의 기하학적 배치 때문에 입열이 적어서, 하부 섹션(12)의 코너 관(16)으로부터 관통 수집기(14) 안으로 유입되는 유동 매체는 비교적 작은 증기 함량을 갖는다.
관통 수집기(14)는 거의 완전한 압력 평형을 일으키지만, 유입되는 유동 매체를 완전히 혼합하지는 않는다. 전술한 하부 섹션(12)의 코너 관(16)의 유출구에서의 낮은 증기 함량과 관통 수집기(14)에서의 추가적인 국지적 분리 현상 때문에, 증기 함량은 상부 섹션(10)의 개별 증기 발생기 관(2)의 유입구에서 매우 적어질 수 있다. 강제 관류 증기 발생기(1)의 작동 상태에 따라서 이런 점은 상부 섹션(10)의 배관이 불리하게 설계되는 경우 개별 증기 발생기 관(2)의 관류가 멈출 때까지 관류의 상당한 저하를 야기할 수 있다. 이는 다시 유체의 불충분한 방열 및 허용되지 않는 고온을 초래할 수 있으므로, 결국 관벽은 허용되지 않는 고온을 받아 파손된다.
그와 같은 손상을 피하기 위해,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 영역(10)의 전체적인 증기 발생기 관의 유출구에 스로틀 장치(18)가 배치되며, 도면에는 간단한 도시를 위해 예를 들어 단지 개별 스로틀 장치(18)만 도시되어 있다. 스로틀 장치(18)는 각각 패널로서 형성되며, 이로써 모든 병렬 관들에 대해 전체 압력 손실이 커진다. 그 결과 정유압 강하가 각각의 증기 발생기 관(2)에서, 특히 코너 관(16)에서 상대적으로 볼 때 감소되는 결과를 가져온다. 그러므로 충분한 압력차가 항상 흐름의 추진력으로서 남아있게 된다. 이런 효과는 도 2를 이용해 설명된다.
도 2에는 비교적 적은 열공급과 증기 발생기(1)의 부분 부하 동안 스로틀 장치(18)의 구비하고 구비하지 않은 상부 섹션(10)의 코너 관(16)에서 유동 매체의 변수가 그래프로 도시되어 있다. 좌측 변수는 제곱 미터 및 초당 킬로그램(kg/m2s)으로 코너 관(16)에서의 질량 유량 밀도이고, 우측 변수는 코너 관(16)의 유출구에서의 유체 온도(℃)이며, 각각의 경우에 관 유입구에서 유동 매체의 증기 성분에 대해 작성된 것이다.
곡선(20)은 별도의 스로틀 장치(18)가 없는 코너 관(16)에서의 질량 유량 밀도를 나타낸다. 그래프의 좌측 방향으로 곡선(20)의 하강은 코너 관(16)에서 질량 유량 밀도가 더 적은 증기 함량 방향으로 어떻게 감소하는지를 분명하게 보여준다. 0의 증기 함량인 경우 질량 유량 밀도는 40kg/m2s의 값으로 떨어지고, 이는 실제로 관 내 흐름의 정체에 해당한다. 관 내에서 충분한 방열이 더 이상 보장되지 않으므로, 약 0.2의 증기 함량부터 곡선(22)처럼 유동 매체 및 코너 관(16)의 온도가 현저히 상승한다.
그러나 코너 관(16)의 유출구에 스로틀 장치(18)가 배치된 경우 마찰 압력 손실이 커지고 전술한 것처럼 자연 순환 특성이 감소되므로 코너 관(16)에서 비교적 과도한 정유압 강하가 방지된다. 곡선(24)은 코너 관(16) 내 질량 유량 밀도가 더 낮은 증기 함량 방향으로 감소하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러나 이런 경우에는 0의 증기 함량에서도 질량 유량 밀도의 값이, 스로틀 장치(18)를 구비하지 않은 구조에서보다 훨씬 더 높은 값(여기서는 260kg/m2s)에 머물러 있다. 그 결과, 곡선(26)이 보여주는 것처럼, 어떤 증기 함량에서도 코너 관(16)에서 충분한 방열이 보장되는, 즉 온도가 단지 약간 상승하거나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러므로 상부 섹션(10)에서 과도한 온도에 의한 둘레 벽(4)의 손상이 방지되고 전체적으로 강제 관류 증기 발생기(1)의 긴 내구 연한이 달성된다.

Claims (9)

  1. 수직 방향으로 관류 가능한 기밀하게 용접된 증기 발생기 관(2)으로 형성된 둘레 벽(4)을 갖는 강제 관류 증기 발생기로서, 둘레 벽(4) 내에 관통 수집기(14)가 배치되며, 상기 관통 수집기는 유동 매체 측면에서 유출구에 있는 병렬 연결된 제1 복수의 증기 발생기 관(2)을 유입구에 있는 병렬 연결된 제2 복수의 증기 발생기 관(2)과 연결하며, 이때 제2 복수의 증기 발생기 관은 제1 복수의 증기 발생기 관의 하류에 직렬 연결되고, 상기 관통 수집기(14)의 하류에 연결된 증기 발생기 관(2)은 각각 하나의 스로틀 장치(18)를 갖는, 강제 관류 증기 발생기(1).
  2. 제1항에 있어서, 각각의 스로틀 장치(18)는 둘레 벽(4)의 상부 섹션에 배치되는, 강제 관류 증기 발생기(1).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스로틀 장치(18)는 패널로서 형성되는, 강제 관류 증기 발생기(1).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둘레 벽(4)은 사실상 수평방향으로 사각형 횡단면(6)을 갖는, 강제 관류 증기 발생기(1).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관통 수집기(14)는 수평 방향으로 둘레 벽(4)의 주위에 순환하게 배치되고 둘레 벽(4)에서 아래에 배치된, 병렬로 연결된 제1 복수의 전체 증기 발생기 관(2)을 포함하며, 둘레 벽(4)에서 위에 배치된, 제2 복수의 전체 증기 발생기 관(2)을 포함하는, 강제 관류 증기 발생기(1).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관통 수집기(14)의 상류에 연결된 증기 발생기 관(2)이 나선형으로 순환하게 둘레 벽(4) 내에 배치되어 있는, 강제 관류 증기 발생기.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화석 연료용 복수의 버너를 갖는 연소실(8)을 구비한, 강제 관류 증기 발생기(1).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유동 매체 측면에서 하류에 연결된 증기 터빈을 구비한, 강제 관류 증기 발생기(1).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강제 관류 증기 발생기(1)를 구비한 발전설비.
KR1020137002786A 2010-08-04 2011-06-15 강제 관류 증기 발생기 KR20140003372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0038883.1 2010-08-04
DE102010038883.1A DE102010038883C5 (de) 2010-08-04 2010-08-04 Zwangdurchlaufdampferzeuger
PCT/EP2011/059930 WO2012016749A2 (de) 2010-08-04 2011-06-15 Zwangdurchlaufdampferzeuger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372A true KR20140003372A (ko) 2014-01-09

Family

ID=44627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02786A KR20140003372A (ko) 2010-08-04 2011-06-15 강제 관류 증기 발생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9291344B2 (ko)
EP (1) EP2601441B1 (ko)
KR (1) KR20140003372A (ko)
CN (1) CN103154611B (ko)
AU (1) AU2011287835B2 (ko)
DE (1) DE102010038883C5 (ko)
WO (1) WO2012016749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9012321A1 (de) * 2009-03-09 2010-09-16 Siemens Aktiengesellschaft Durchlaufverdampfer
DE102013215456A1 (de) * 2013-08-06 2015-02-12 Siemens Aktiengesellschaft Durchlaufdampferzeuger
PT3040638T (pt) * 2015-07-23 2018-06-14 Hoval Ag Tubo permutador de calor e caldeira com este tubo permutador de calor

Family Cites Families (1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401360B2 (de) 1961-02-08 1970-10-01 La Mont-Kessel Herpen & Co KG, 1000 Berlin Zwangumlauf-Dampferzeuger zur Verwertung von Abwärme
DE1969151U (de) * 1964-08-11 1967-09-28 Siemens Ag Dampferzeuger fuer kernkraftwerke.
DE1935509A1 (de) * 1966-02-04 1971-01-14 Babcock & Wilcox Ag Zwangdurchlauf-Dampferzeuger
DE1969515U (de) * 1967-02-21 1967-09-28 Melsunger Metallwerk Erwin Dre Nockengeschweisstes metallgehaeuse fuer geld-, dokumentenkassetten und schluesselschrank.
DE2144675C3 (de) * 1971-09-07 1981-05-27 Kraftwerk Union AG, 4330 Mülheim Durchlauf-Großdampferzeuger
FI68458C (fi) * 1980-12-23 1985-09-10 Sulzer Ag Tvaongsstyrdaonggeneratoranlaeggning
US4577593A (en) * 1984-11-08 1986-03-25 Combustion Engineering, Inc. Waterwall tube orifice mounting assembly
CH666532A5 (de) * 1984-12-27 1988-07-29 Mustafa Youssef Dr Ing Brennkammer-rohranordnung in zwangdurchlauf-dampferzeugern.
DE4227457A1 (de) * 1992-08-19 1994-02-24 Siemens Ag Dampferzeuger
DE19528438C2 (de) * 1995-08-02 1998-01-22 Siemens Ag Verfahren und System zum Anfahren eines Durchlaufdampferzeugers
DE19600004C2 (de) * 1996-01-02 1998-11-19 Siemens Ag Durchlaufdampferzeuger mit spiralförmig angeordneten Verdampferrohren
DE19651678A1 (de) 1996-12-12 1998-06-25 Siemens Ag Dampferzeuger
DE19901621A1 (de) 1999-01-18 2000-07-27 Siemens Ag Fossilbeheizter Dampferzeuger
DE10127830B4 (de) 2001-06-08 2007-01-11 Siemens Ag Dampferzeuger
KR100597429B1 (ko) 2004-07-13 2006-07-05 (주)청명씨에스 관류 보일러
WO2006032556A1 (de) 2004-09-23 2006-03-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Fossil beheizter durchlaufdampferzeuger
US7814742B2 (en) * 2006-12-13 2010-10-19 Mitsubishi Heavy Industries, Ltd. Integrated coal gasification combined cycle plant
JP5193006B2 (ja) 2008-12-03 2013-05-08 三菱重工業株式会社 ボイラ構造
DE102009012320A1 (de) * 2009-03-09 2010-09-16 Siemens Aktiengesellschaft Durchlaufverdampf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01441A2 (de) 2013-06-12
US20130205784A1 (en) 2013-08-15
CN103154611A (zh) 2013-06-12
DE102010038883C5 (de) 2021-05-20
EP2601441B1 (de) 2016-08-17
US9291344B2 (en) 2016-03-22
AU2011287835B2 (en) 2014-03-20
WO2012016749A2 (de) 2012-02-09
DE102010038883B4 (de) 2017-05-24
AU2011287835A1 (en) 2013-02-21
WO2012016749A3 (de) 2013-02-07
CN103154611B (zh) 2016-03-16
DE102010038883A1 (de) 2012-02-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529350B (zh) 貫流式蒸發器
CA2822847C (en) Once-through steam generator
US9267678B2 (en) Continuous steam generator
DK2324287T3 (en) FLOW STEAM GENERATOR
JP5225469B2 (ja) 貫流ボイラ
KR20140003372A (ko) 강제 관류 증기 발생기
JP4489306B2 (ja) 化石燃料貫流ボイラ
KR101663850B1 (ko) 연속 흐름식 증발기
JP4953506B2 (ja) 化石燃料ボイラ
JP4489307B2 (ja) 化石燃料貫流ボイラ
KR20130098993A (ko) 강제 관류 증기 발생기
US5901669A (en) Variable pressure once-through steam generator upper furnace having non-split flow circuitry
US20110079217A1 (en) Piping, header, and tubing arrangements for solar boilers
JP3652988B2 (ja) 化石燃料ボイラ
TW201418567A (zh) 快速啓動熱回收蒸汽產生器
KR101662348B1 (ko) 연속 흐름식 증발기
JP2007504431A (ja) 横形貫流ボイラとその運転方法
Teir et al. Steam/water circulation design
JP5355704B2 (ja) 貫流ボイラ
KR101749288B1 (ko) 증기 발생기
RU133256U1 (ru) Вертикальный барабанный паровой котел-утилизатор с секционированными водогрейными поверхностями нагрев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