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322A - 무선랜 시스템에서 aid 재할당 방법 - Google Patents

무선랜 시스템에서 aid 재할당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322A
KR20140003322A KR1020130035516A KR20130035516A KR20140003322A KR 20140003322 A KR20140003322 A KR 20140003322A KR 1020130035516 A KR1020130035516 A KR 1020130035516A KR 20130035516 A KR20130035516 A KR 20130035516A KR 20140003322 A KR20140003322 A KR 2014000332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d
access point
sta
fram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355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4966B1 (ko
Inventor
양해석
정양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PCT/KR2013/00573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4003473A1/ko
Priority to CN201810154142.1A priority patent/CN108495304B/zh
Priority to CN201810154090.8A priority patent/CN108495303A/zh
Priority to CN201380034901.6A priority patent/CN104412632B/zh
Priority to US14/411,301 priority patent/US9398446B2/en
Priority to JP2015520042A priority patent/JP6022055B2/ja
Publication of KR2014000332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32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49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4966B1/ko
Priority to US15/181,555 priority patent/US9622073B2/en
Priority to JP2016196191A priority patent/JP6194087B2/ja
Priority to US15/442,921 priority patent/US10045205B2/en
Priority to JP2017156029A priority patent/JP6445104B2/ja
Priority to US16/025,846 priority patent/US10595196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2Processing or transfer of terminal data, e.g. status or physical capabi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26Network addressing or numbering for mobility suppor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30Managing network names, e.g. use of aliases or nicknames
    • H04L61/3015Name registration, generation or assign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61/00Network arrangements, protocols or services for addressing or naming
    • H04L61/50Address allocation
    • H04L61/5038Address allocation for local use, e.g. in LAN or USB networks, or in a controller area network [CA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08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 H04W48/10Access restriction or access information delivery, e.g. discovery data delivery using broadcasted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4/00Network topologies
    • H04W84/02Hierarchically pre-organised networks, e.g. paging networks, cellular networks, 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or WLL [Wireless Local Loop]
    • H04W84/10Small scale networks; Flat hierarchical networks
    • H04W84/12WLAN [Wireless Local Area Network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무선랜 시스템에서 AID 재할당 방법이 개시된다. 액세스 포인트의 AID 재할당 방법은, 새로운 AID와 새로운 AID로의 변경 시점을 지정하는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을 포함한 AID 재할당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AID 재할당 프레임을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은 AID 재할당 프레임 전송 시점으로부터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이 지시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비컨 주기들이 소요된 이후, AID 재할당 프레임이 포함하는 새로운 AID로 단말의 AID를 변경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따라서, AID 간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랜 시스템에서 AID 재할당 방법{METHOD FOR REASSIGNING ASSOCIATION ID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본 발명은 AID(association ID) 재할당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무선랜 시스템에서 스테이션에 대한 AID를 재할당하기 위한 AID 재할당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 중에서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은 무선 주파수 기술을 바탕으로 개인용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등과 같은 휴대형 단말기를 사용하여 가정이나 기업 또는 특정 서비스 제공지역에서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무선랜 기술에 대한 표준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표준으로서 개발되고 있다. IEEE 802.11a는 5 GHz에서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을 이용하여, 54 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IEEE 802.11b는 2.4 GHz에서 직접 시퀀스 방식(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DSSS)을 적용하여, 11 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IEEE 802.11g는 2.4 GHz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를 적용하여, 54 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IEEE 802.11n은 다중입출력 OFDM(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OFDM, MIMO-OFDM)을 적용하여, 4 개의 공간적인 스트림(spatial stream)에 대해서 300 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IEEE 802.11n에서는 채널 대역폭(channel bandwidth)을 40 MHz까지 지원하며, 이 경우에 600 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무선랜의 보급이 활성화되고 이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이 다양화됨에 따라, IEEE 802.11n이 지원하는 데이터 처리 속도보다 더 높은 처리율을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무선랜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초고처리율(very high throughput, VHT) 무선랜 기술은 1 Gbps 이상의 데이터 처리 속도를 지원하기 위하여 제안되고 있는 IEEE 802.11 무선랜 기술 중의 하나이다. 그 중, IEEE 802.11ac는 6 GHz 이하 대역에서 초고처리율 제공을 위한 표준으로서 개발되고 있고, IEEE 802.11ad는 60 GHz 대역에서 초고처리율 제공을 위한 표준으로서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랜 기술을 기초로 한 시스템에 있어서, 스테이션들에 대한 AID를 재할당하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는 새로운 AID를 스테이션에 재할당할 수 있고, 스테이션은 기존의 AID를 재할당된 새로운 AID로 변경할 수 있다. 이때, 복수의 스테이션에 대한 AID가 재할당되는 경우, 기존의 AID를 재할당된 새로운 AID로 변경하는 시점은 스테이션마다 달라질 수 있으며, 이로 인해 AID 간의 충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무선랜 시스템에서 AID를 재할당하는 경우에 AID 간의 충돌을 방지하기 위한 액세스 포인트의 AID 재할당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액세스 포인트의 AID 재할당 방법은, 새로운 AID와 상기 새로운 AID로의 변경 시점을 지정하는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을 포함한 AID 재할당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AID 재할당 프레임을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은 상기 AID 재할당 프레임 전송 시점으로부터 상기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이 지시하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비컨 주기들이 소요된 이후, 상기 AID 재할당 프레임이 포함하는 새로운 AID로 상기 단말의 AID를 변경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이 0인 경우, 상기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은 상기 AID 재할당 프레임 전송 시점에서 즉시 새로운 AID로 상기 단말의 AID를 변경하도록 지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AID 재할당 프레임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PS-Poll 프레임에 대응하여 전송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단말과 동시에 AID를 변경하여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은 상기 단말의 리슨 인터벌 및 상기 단말과 동시에 AID를 변경하여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리슨 인터벌을 함께 고려하여 결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은 상기 단말의 리슨 인터벌 및 상기 단말과 동시에 AID를 변경하여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리슨 인터벌 중 가장 긴 값을 가지는 리슨 인터벌 이후에 상기 단말의 AID가 변경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하나의 스테이션에 대한 AID를 변경하는 경우 또는 모든 AID가 사용중인 상태에서 복수의 스테이션에 대한 AID를 변경하는 경우에 AID 간의 충돌을 방지할 수 있다. 더불어, AID 간의 충돌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적이고 신뢰성 있는 네트워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고, 별도의 예비 AID 확보를 위해 액세스 포인트를 추가로 설치할 필요가 없으므로 비용의 낭비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IEEE 802.11 무선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2는 인프라스트럭쳐 BSS에서 단말의 연결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3은 비컨에 포함된 TIM의 구성 요소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4는 액세스 포인트의 데이터 전송 과정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5는 AID 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은 단말의 서비스 타입을 지정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은 블록 단위로 인코딩된 TIM의 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은 그룹에 대한 AID를 재할당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D 재할당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10은 AID 재할당 프레임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복수의 스테이션에 대한 AID 변경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스테이션(station, STA)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표준의 규정을 따르는 매체 접속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와 무선 매체(medium)에 대한 물리 계층(physical layer)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포함하는 임의의 기능 매체를 의미한다. 스테이션(STA)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인 스테이션(STA)과 비-액세스 포인트(non-AP)인 스테이션(STA)으로 구분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AP)인 스테이션(STA)은 단순히 액세스 포인트(AP)로 불릴 수 있고, 비-액세스 포인트(non-AP)인 스테이션(STA)은 단순히 단말(terminal)로 불릴 수 있다.
스테이션(STA)은 프로세서(Processor)와 트랜시버(transceiver)를 포함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디스플레이(display) 장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프레임을 생성하거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프레임을 처리하도록 고안된 유닛(unit)을 의미하며, 스테이션(STA)을 제어하기 위한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트랜시버는 프로세서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스테이션(STA)을 위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프레임을 송수신하도록 고안된 유닛을 의미한다.
액세스 포인트(AP)는 집중 제어기, 기지국(base station, BS), 노드-B(node-B), e노드-B, BTS(base transceiver system), 또는 사이트 제어기 등을 지칭할 수 있고, 그 것들의 일부 또는 전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무선 송수신 유닛(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WTRU),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사용자 단말(user terminal, UT), 액세스 단말(access terminal, AT), 이동국(mobile station, MS), 휴대용 단말(mobile terminal),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SS),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또는 이동 가입자 유닛(mobile subscriber unit) 등을 지칭할 수 있고, 그 것들의 일부 또는 전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로 통신이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tablet) PC, 무선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영상 녹화기(digital picture recorder), 디지털 영상 재생기(digital picture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도 1은 IEEE 802.11 무선랜 시스템의 구성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IEEE 802.11 무선랜 시스템은 적어도 하나의 기본 서비스 세트(basic service set, BSS)를 포함한다. BSS는 성공적으로 동기화를 이루어서 서로 통신할 수 있는 스테이션(STA 1, STA 2(AP 1), STA 3, STA 4, STA 5(AP 2))의 집합을 의미하며, 특정 영역을 의미하는 개념은 아니다.
BSS는 인프라스트럭쳐 BSS(infrastructure BSS)와 독립 BSS(independent BSS, IBSS)로 구분할 수 있으며, BSS 1과 BSS 2는 인프라스트럭쳐 BSS를 의미한다. BSS 1은 단말(STA 1), 분배 서비스(distribution service)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STA 2(AP 1)) 및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STA 2(AP 1), STA 5(AP 2))를 연결하는 분배 시스템(Distribution System, DS)을 포함할 수 있다. BSS 1에서 액세스 포인트(STA 2(AP 1))는 단말(STA 1)을 관리한다.
BSS 2는 단말(STA 3, STA 4), 분배 서비스를 제공하는 액세스 포인트(STA 5(AP 2)) 및 다수의 액세스 포인트(STA 2(AP 1), STA 5(AP 2))를 연결하는 분배 시스템을 포함할 수 있다. BSS 2에서 액세스 포인트(STA 5(AP 2))는 단말(STA 3, STA 4)을 관리한다.
한편, 독립 BSS는 애드-혹(ad-hoc) 모드로 동작하는 BSS이다. IBSS는 액세스 포인트를 포함하지 않으므로, 중앙에서 관리 기능을 수행하는 개체(centralized management entity)가 존재하지 않는다. 즉, IBSS에서 단말들은 분산된 방식(distributed manner)으로 관리된다. IBSS에서 모든 단말은 이동 단말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분배 시스템(DS)으로 접속이 허용되지 않으므로 자기 완비적 네트워크(self-contained network)를 이룬다.
액세스 포인트(STA 2(AP 1), STA 5(AP 2))는 자신에게 결합된 단말(STA 1, STA 3, STA 4)을 위하여 무선 매체를 통한 분산 시스템(DS)에 대한 접속을 제공한다. BSS 1 또는 BSS 2에서 단말들(STA 1, STA 3, STA 4) 사이의 통신은 일반적으로 액세스 포인트(STA 2(AP 1), STA 5(AP 2))를 통해 이루어지나, 다이렉트 링크(direct link)가 설정된 경우에는 단말들(STA 1, STA 3, STA 4) 간의 직접 통신이 가능하다.
복수의 인프라스트럭쳐 BSS는 분배 시스템(DS)을 통해 상호 연결될 수 있다. 분배 시스템(DS)을 통하여 연결된 복수의 BSS를 확장 서비스 세트(extended service set, ESS)라 한다. ESS에 포함되는 스테이션들은 서로 통신할 수 있으며, 동일한 ESS 내에서 단말은 끊김 없이 통신하면서 하나의 BSS에서 다른 BSS로 이동할 수 있다.
분배 시스템(DS)은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가 다른 액세스 포인트와 통신하기 위한 메커니즘(mechanism)으로서, 이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는 자신이 관리하는 BSS에 결합되어 있는 단말들을 위해 프레임을 전송하거나, 다른 BSS로 이동한 임의의 단말을 위해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액세스 포인트는 유선 네트워크 등과 같은 외부 네트워크와 프레임을 송수신할 수가 있다. 이러한 분배 시스템(DS)은 반드시 네트워크일 필요는 없으며, IEEE 802.11 표준에 규정된 소정의 분배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면 그 형태에 대해서는 아무런 제한이 없다. 예컨대, 분배 시스템은 메쉬 네트워크(mesh network)와 같은 무선 네트워크이거나, 액세스 포인트들을 서로 연결시켜 주는 물리적인 구조물일 수 있다.
후술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D 재할당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IEEE 802.11 무선랜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으며, 더불어 IEEE 802.11 무선랜 시스템뿐만 아니라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BAN(Wireless Body Area Network) 등과 같은 다양한 네트워크에 적용될 수 있다.
도 2는 인프라스트럭쳐 BSS에서 단말의 연결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인트라스트럭쳐 BSS에서 단말(STA)이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해, 먼저 단말(STA)은 액세스 포인트(AP)와 연결되어야 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인프라스트럭쳐 BSS에서 단말(STA)의 연결 과정은 크게 1) 액세스 포인트(AP)를 탐지하는 단계(probe step), 2) 탐지된 액세스 포인트(AP)와의 인증 단계(authentication step), 3) 인증된 액세스 포인트(AP)와의 연결 단계(association step)로 구분된다.
단말(STA)은 먼저 탐지 프로세스(process)를 통해 이웃하는 액세스 포인트들(APs)을 탐지할 수 있다. 탐지 프로세스는 수동 스캐닝(passive scanning) 방법과 능동 스캐닝(active scanning) 방법으로 구분된다. 수동 스캐닝 방법은 이웃하는 액세스 포인트들(APs)이 전송하는 비컨을 엿들음(overhearing)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한편, 능동 스캐닝 방법은 프로브 요청 프레임(probe request frame)을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프로브 요청 프레임을 수신한 액세스 포인트(AP)는 프로브 요청 프레임에 대응된 프로브 응답 프레임(probe response frame)을 해당 단말(STA)에 전송할 수 있다. 단말(STA)은 프로브 응답 프레임을 수신함으로써 이웃하는 액세스 포인트들(APs)의 존재를 알 수 있다.
그 후, 단말(STA)은 탐지된 액세스 포인트(AP)와의 인증을 수행하며, 탐지된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APs)과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IEEE 802.11 표준에 따른 인증 알고리즘(algorithm)은 두 개의 인증 프레임을 교환하는 오픈 시스템(open system) 알고리즘, 네 개의 인증 프레임을 교환하는 공유 키(shared key) 알고리즘으로 구분된다. 이러한 인증 알고리즘을 기초로 인증 요청 프레임(authentication request frame)과 인증 응답 프레임(authentication response frame)을 교환하는 과정을 통해, 단말(STA)은 액세스 포인트(AP)와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단말(STA)은 인증된 복수의 액세스 포인트들(APs) 중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AP)를 선택하고,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AP)와 연결 과정을 수행한다. 즉, 단말(STA)은 선택된 액세스 포인트(AP)에 연결 요청 프레임(association request frame)을 전송하고, 연결 요청 프레임을 수신한 액세스 포인트(AP)는 연결 요청 프레임에 대응된 연결 응답 프레임(association response frame)을 해당 단말(STA)에 전송한다. 이와 같이, 연결 요청 프레임과 연결 응답 프레임을 교환하는 과정을 통해, 단말(STA)은 액세스 포인트(AP)와 연결 과정을 수행할 수 있다.
도 3은 비컨에 포함된 TIM의 구성 요소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IEEE 802.11 무선랜 시스템에서, 단말에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는 주기적으로 전송되는 비컨(beacon frame) 내의 TIM(traffic indication map)을 사용하여 전송할 데이터가 있음을 단말에 알려준다.
도 3을 참조하면, TIM은 요소 ID(element ID) 필드(field), 길이(length) 필드, DTIM(delivery traffic indication message) 카운트(count) 필드, DTIM 기간(period) 필드, 비트맵 제어(bitmap control) 필드 및 부분 가상 비트맵(partial vritual bitmap) 필드를 포함한다.
길이 필드는 정보 필드의 길이를 나타낸다. DTIM 카운트 필드는 DTIM이 나타나기 전에 나타나는 비컨의 개수를 나타내며, DTIM 카운트가 0 인 경우 현재 TIM이 DTIM에 해당함을 알려준다. DTIM 카운트 필드는 1 옥텟(octet)으로 구성된다. DTIM 기간 필드는 연속되는 DTIM들 간의 비컨 인터벌(interval)의 개수를 나타낸다. 만일 모든 TIM이 DTIM인 경우에 DTIM 기간 필드의 값은 1 이다. DTIM 기간 필드는 1 옥텟으로 구성된다.
비트맵 제어 필드는 1 옥텟으로 구성되며, 비트맵 제어 필드 중 비트(bit) 번호 0 은 AID(association ID) 0 과 연관되는 트래픽 인디케이터 비트(traffic indicator bit)를 의미한다. 이러한 비트가 1 로 설정되고 DTIM 카운트 필드의 값이 0 인 경우, 적어도 하나의 멀티캐스트(multicast) 또는 브로드캐스트(broadcast) 프레임이 액세스 포인트에 버퍼링(buffering)되어 있음을 나타낸다. 비트맵 제어 필드 중 나머지 7 비트들은 비트맵 오프셋(bitmap offset)을 형성한다.
부분 가상 비트맵 필드는 1 ~ 251 옥텟으로 구성되며, 비트 번호 N 은 0 ~ 2007 사이의 값을 가진다. 부분 가상 비트맵 필드의 각 비트는 특정 단말을 위해 버퍼링된 트래픽(traffic)과 대응한다. 임의의 단말의 AID가 N 인 경우, 상기 임의의 단말을 위해 버퍼링된 트래픽이 존재하지 않으면 부분 가상 비트맵 필드 중 비트 번호 N 은 0 으로 설정되고, 상기 임의의 단말을 위해 버퍼링된 트래픽이 존재하면 부분 가상 비트맵 필드 중 비트 번호 N 은 1 로 설정된다.
도 4는 액세스 포인트의 데이터 전송 과정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액세스 포인트(AP)는 주기적으로 비컨을 브로드캐스팅(broadcasting) 하며, 3개의 비컨 간격(interval)으로 DTIM이 포함된 비컨을 브로드캐스팅할 수 있다. 전력 절감 모드(Power Save Mode, PSM)의 단말(STA 1, STA 2)은 주기적으로 깨어나(awake) 비컨을 수신하고, 비컨에 포함된 TIM 또는 DTIM을 확인하여 자신에게 전송될 데이터가 액세스 포인트에 버퍼링되어 있는지 확인한다. 이때, 버퍼링된 데이터가 존재하는 경우 단말(STA 1, STA 2)은 깨어있는 상태를 유지하여 액세스 포인트(AP)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하고, 버퍼링된 데이터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단말(STA 1, STA 2)은 절력 절감 상태(즉, doze 상태)로 돌아간다.
즉, 자신의 AID에 대응하는 TIM 내의 비트가 1 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단말(STA 1, STA 2)은 자신이 깨어 있고 데이터를 받을 준비가 되어 있음을 알리는 PS(Power Save)-Poll 프레임(또는, 트리거(trigger) 프레임)을 액세스 포인트(AP)에 전송하고, 액세스 포인트(AP)는 PS-Poll 프레임을 수신함으로써 단말(STA 1, STA 2)이 데이터 수신을 위한 준비가 되었음을 확인하고, 단말(STA 1, STA 2)에 데이터 또는 ACK(acknowledgement)을 전송할 수 있다. ACK을 단말(STA 1, STA 2)에 전송한 경우, 액세스 포인트(AP)는 적절한 시점에 데이터를 단말(STA 1, STA 2)에 전송한다. 한편, 자신의 AID에 대응하는 TIM 내의 비트가 0 으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 단말(STA 1, STA 2)은 전력 절감 상태로 돌아간다.
비컨에 포함된 TIM(또는, DTIM)은 동시에 다수의 단말 AID를 위한 비트 설정이 가능하다. 따라서, 액세스 포인트가 비컨을 브로드캐스팅한 후, 자신의 AID에 대응하는 비트가 1로 설정되어 있는 복수의 단말은 동시에 PS-Poll을 액세스 포인트로 전송하게 된다. 이때, 복수의 단말들 간에 PS-Poll 프레임을 전송하기 위한 무선 채널 액세스(access) 경쟁이 심해지고, 더불어 무선랜 시스템의 고질적인 문제인 숨겨진 노드 문제(hidden node problem)에 의해 단말들 간의 충돌이 발생한다.
예를 들어, 수 천대의 저전력 센서(sensor) 단말을 지원하는 무선랜 서비스에서 이와 같은 현상이 자주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단말은 데이터의 수신을 완료하기 위해 깨어 있는 상태를 계속 유지하거나, 충돌로 인해 전송되지 못한 PS-Poll 프레임의 재전송을 반복적으로 수행해야 하므로 전력 소모 문제가 심각하게 나타날 수 있다.
도 5는 AID 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6은 단말의 서비스 타입을 지정하기 위한 프레임 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하나의 액세스 포인트를 통해 서비스를 받는 많은 수의 단말이 존재하고 이러한 단말들을 유사한 특징으로 그룹화할 수 있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는 단말의 AID를 그룹화하여 관리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AID 구조는 페이지 ID(page ID) 필드, 블록 인덱스(block index) 필드, 서브-블록 인덱스(sub-block index) 필드 및 STA 비트 인덱스(STA bit index) 필드를 포함한다. 즉, AID는 페이지/블록/서브-블록 단위로 계층화된 그룹으로 관리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단말은 접속 요청 프레임(association request frame)에 서비스 타입(service type)을 지정하고, 이를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할 수 있다. 서비스 타입은 저전력 단말 타입, 채널 접속 우선 순위를 가지는 단말 타입, 일반적인 단말 타입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즉, 단말은 서비스 타입이 지정된 접속 요청 프레임을 액세스 포인트에 전송할 수 있고, 액세스 포인트는 서비스 타입에 맞는 페이지/블록/서브-블록으로 그룹을 지정할 수 있고 지정된 그룹에 따라 AID를 할당할 수 있다.
도 7은 블록 단위로 인코딩(encoding)된 TIM의 구조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부분 가상 비트맵(partial virtual bitmap) 필드는 적어도 하나의 블록(block L, block M, … , block P) 필드를 포함한다. 하나의 블록 필드는 블록 제어(block control) 필드, 블록 오프셋(block offset) 필드, 블록 비트맵(block bitmap) 필드 및 다양한 크기를 가지는 서브-블록(sub-block) 필드를 포함한다. 서브-블록 필드는 적어도 하나의 서브-블록 비트맵(sub-block bitmap1, sub-block bitmap2, … , sub-block bitmap M) 필드를 포함한다.
블록 제어 필드는 TIM 의 인코딩 모드(즉, 블록 비트맵 모드, 싱글(single) AID 모드, OLB(오프셋(offset) + 길이(length) + 비트맵(bitmap)) 모드, 인버스(inverse) 모드)를 나타낸다. 블록 오프셋 필드는 인코딩된 블록의 오프셋 값을 나타낸다. 블록 비트맵 필드는 블록 오프셋이 가르키는 블록 내의 서브-블록들 중에서 AID 비트가 설정되어 있는 서브-블록을 표시하는 비트맵을 나타낸다. 서브-블록 필드는 서브-블록 내의 AID에 대한 비트맵을 나타낸다.
도 8은 그룹에 대한 AID를 재할당하는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액세스 포인트(AP)가 스테이션들(SAT 1, STA 2, STA 3)을 그룹화하여 관리하는 중에 특정 주기의 트래픽(traffic)이 증가하여 스테이션들(SAT 1, STA 2, STA 3)이 포함된 그룹을 변경할 필요가 발생한 경우, 액세스 포인트(AP)는 DTIM을 전송한 후 또는 스테이션(STA)으로부터 PS-Poll을 수신한 후에 AID 재할당(reassign) 프레임을 해당 스테이션(STA)에 전송할 수 있다.
즉, 액세스 포인트(AP)는 스테이션 1(SAT 1), 스테이션 2(STA 2) 및 스테이션 3(STA 3)을 하나의 그룹으로 관리할 수 있고, 스테이션들(SAT 1, STA 2, STA 3)은 그룹 ID인 PID 1을 가질 수 있다. 스테이션들(SAT 1, STA 2, STA 3)이 포함된 그룹 1에 대한 트래픽이 증가한 경우, 액세스 포인트(AP)는 스테이션 2(STA 2) 및 스테이션 3(STA 4)을 다른 그룹(예를 들어, 그룹 2)으로 관리하기 위해 AID 재할당 프레임을 스테이션 2(STA 2) 및 스테이션 3(STA 3)에 전송할 수 있다. AID 재할당 프레임을 수신한 스테이션 2(STA 2) 및 스테이션 3(STA 3)은 자신의 그룹 ID를 PID 1에서 PID 2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액세스 포인트는 접속을 요청하는 스테이션별로 해당 스테이션의 특성에 맞는 그룹의 AID를 할당할 수 있으며, 최대 할당 가능한 AID 개수만큼 스테이션을 수용하여 운영할 수 있다. 결국, 모든 AID가 사용중인 경우, 또는 그룹에 대한 AID(즉, 그룹별로 부하 분산 등을 위해 AID 개수가 미리 정해져 있음)가 모두 사용중인 경우, 또는 다른 이유로 AID 변경이 필요한 경우에 복수의 스테이션에 대한 AID 변경은 동시에 이루어져야 한다. 그러나 스테이션들의 리슨 인터벌(listen interval) 값은 서로 다르고 깨어나는 시점도 서로 다르기 때문에 AID를 동시에 변경할 수 없으며, 이에 따라 AID 충돌이 발생하게 된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AID 재할당 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스테이션들(20, 30)의 AID를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10)는 먼저 AID 재할당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S100). AID 재할당 프레임은 변경하고자 하는 새로운 ID, 새로운 ID의 변경 시점을 지정하는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을 포함할 수 있다.
AID 재할당 카운트는 기존의 AID를 새로운 AID(즉, AID 재할당 프레임에 포함된 새로운 AID)로 변경하는 시점을 나타내는 것으로, 액세스 포인트(10)의 비컨 주기에 대한 개수를 의미한다. 예를 들어,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이 5인 경우 이는 AID 재할당 카운트를 수신한 시점부터 5번의 비컨 주기가 지난 후 새로운 AID로 변경할 것을 지시하는 것이고,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이 0인 경우 이는 AID 재할당 카운트를 수신한 시점에서 새로운 AID로 변경할 것을 지시하는 것이다.
한편, 스테이션 1(20)과 스테이션 2(30)의 AID를 동일한 시점에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10)는 스테이션 1(20)의 리슨 인터벌과 스테이션 2(30)의 리슨 인터벌을 고려하여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즉, 액세스 포인트(10)는 스테이션 1(20)의 리슨 인터벌과 스테이션 2(30)의 리스 인터벌 중 가장 긴 값을 가지는 리슨 인터벌 이후에 새로운 AID로 변경하도록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을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현재 시점에서 스테이션 1(20)의 남은 리슨 인터벌이 5이고 스테이션 2(30)의 남은 인터벌이 10인 경우, 액세스 포인트(10)는 스테이션 1(20)과 스테이션 2(30)를 위한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을 10으로 설정할 수 있다.
도 10은 AID 재할당 프레임에 대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AID 재할당 프레임의 바디(body)는 카테고리(category) 필드, 액션 값(action value) 필드 및 AID 재할당 요소(reassignment element)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카테고리 필드는 1 옥텟의 크기를 가질 수 있고, 액션 값 필드는 1 옥텟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AID 재할당 요소 필드는 6 옥텟의 크기를 가질 수 있고, 요소(element) ID 필드, 길이(length) 필드, 새로운 AID 값(new AID value) 필드 및 AID 재할당 카운트(AID reassign count) 필드를 포함할 수 있다. 요소 ID 필드는 1 옥텟의 크기를 가질 수 있고, 길이 필드는 1 옥텟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새로운 AID 값 필드는 변경하고자 하는 AID 값을 나타낼 수 있고, 2 옥텟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AID 재할당 카운트 필드는 새로운 AID로 변경하는 시점을 나타낼 수 있고, 2 옥텟의 크기를 가질 수 있다.
여기서, AID 재할당 프레임의 구성은 도 10에 도시된 프레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양한 형태의 프레임으로 구성될 수 있다.
다시 도 9를 참조하면, 액세스 포인트(10)는 비컨 전송 후 AID 재할당 프레임을 스테이션(20, 30)에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액세스 포인트(10)는 TIM 또는 DTIM을 포함하는 비컨을 스테이션들(20, 30)에 전송할 수 있다(S101). 여기서, 비컨을 전송한 액세스 포인트(10)는 단계 S100을 통해 생성된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을 1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S100을 통해 생성된 AID 재할당 프레임에 포함된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이 10인 경우, 액세스 포인트(10)는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을 9로 변경할 수 있다.
스테이션들(20, 30) 중에서 스테이션 1(20)이 비컨을 수신한 경우, 스테이션 1(20)은 PS-Poll을 액세스 포인트(10)에 전송할 수 있다(S102). 비컨에 대한 응답으로 PS-Poll을 수신한 액세스 포인트(10)는, AID 재할당 프레임을 스테이션 1(20)에 전송할 수 있다(S103).
여기서, 스테이션 1(20)로부터 PS-Poll을 수신한 경우에 AID 재할당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액세스 포인트(10)는 스테이션 1(20)로부터 PS-Poll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도 AID 재할당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0)가 DTIM을 포함하는 비컨을 스테이션 1(20)에 전송한 경우, 미리 정의된 시간(예를 들어, SIFS 등)이 지난 후 AID 재할당 프레임을 스테이션 1(2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AID 재할당 프레임을 수신한 스테이션 1(20)은 AID 재할당 프레임의 수신에 대한 응답인 ACK 프레임을 액세스 포인트(10)에 전송할 수도 있다.
AID 재할당 프레임을 수신한 스테이션 1(20)은 AID 재할당 프레임으로부터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을 추출할 수 있다(S104). 이때, 추출된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이 0인 경우 스테이션 1(20)은 기존의 AID를 새로운 AID(즉, AID 재할당 프레임에 포함된 새로운 AID)로 즉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추출된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이 0이 아닌 경우 스테이션 1(20)은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이 지시하는 시점에서 기존의 AID를 새로운 AID로 변경할 수 있다. 즉, 스테이션 1(20)은 하나의 비컨 주기가 지날 때마다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을 1 감소시킬 수 있고,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이 0이 되는 시점에서 기존의 AID를 새로운 AID로 변경할 수 있다.
그 후, 액세스 포인트(10)는 비컨 주기에 따라 비컨을 스테이션들(20, 30)에 전송할 수 있다(S105). 여기서, 비컨을 전송한 액세스 포인트(10)는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을 1 감소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단계 S100을 통해 생성된 AID 재할당 프레임에 포함된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이 10이고, 단계 S101에서 비컨 전송에 의해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이 9로 변경된 경우, 액세스 포인트(10)는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을 8로 변경할 수 있다.
스테이션들(20, 30) 중에서 스테이션 2(30)가 비컨을 수신한 경우, 스테이션 2(30)는 PS-Poll을 액세스 포인트(10)에 전송할 수 있다(S106). 비컨에 대한 응답으로 PS-Poll을 수신한 액세스 포인트(10)는, AID 재할당 프레임을 스테이션 2(30)에 전송할 수 있다(S107).
여기서, 스테이션 2(30)로부터 PS-Poll을 수신한 경우에 AID 재할당 프레임을 전송하는 것으로 설명하였으나, 액세스 포인트(10)는 스테이션 2(30)로부터 PS-Poll을 수신하지 않은 경우에도 AID 재할당 프레임을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세스 포인트(10)가 DTIM을 포함하는 비컨을 스테이션 2(30)에 전송한 경우, 미리 정의된 시간(예를 들어, SIFS 등)이 지난 후 AID 재할당 프레임을 스테이션 2(30)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AID 재할당 프레임을 수신한 스테이션 2(30)는 AID 재할당 프레임의 수신에 대한 응답인 ACK 프레임을 액세스 포인트(10)에 전송할 수도 있다.
AID 재할당 프레임을 수신한 스테이션 2(30)는 AID 재할당 프레임으로부터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을 추출할 수 있다(S108). 이때, 추출된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이 0인 경우 스테이션 2(30)는 기존의 AID를 새로운 AID(즉, AID 재할당 프레임에 포함된 새로운 AID)로 즉시 변경할 수 있다.
한편, 추출된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이 0이 아닌 경우 스테이션 2(30)는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이 지시하는 시점에서 기존의 AID를 새로운 AID로 변경할 수 있다. 즉, 스테이션 2(30)는 하나의 비컨 주기가 지날 때마다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을 1 감소시킬 수 있고,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이 0이 되는 시점에서 기존의 AID를 새로운 AID로 변경할 수 있다.
그 후, 액세스 포인트(10)는 비컨 주기에 따라 비컨을 스테이션들(20, 30)에 전송할 수 있다(S109). 임의의 비컨이 전송되는 시점에서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이 0이 되는 경우, 그 시점에서 스테이션 1(20)은 기존의 AID를 새로운 AID로 변경할 수 있고(S110), 스테이션 2(30)도 기존의 AID를 새로운 AID로 변경할 수 있다(S111).
여기서, 단계 S110과 단계 S111은 동시에 수행될 수 있고, 또는 단계 S110은 단계 S111보다 먼저 수행될 수 있고, 또는 단계 S111은 단계 S110보다 먼저 수행될 수 있다.
도 11은 복수의 스테이션에 대한 AID 변경 과정을 도시한 개념도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스테이션 1(STA 1)과 스테이션 2(STA 2)의 AID를 동시에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먼저 액세스 포인트(AP)는 AID 재할당 프레임을 생성할 수 있다. AID 재할당 프레임은 새로운 AID, 새로운 AID를 변경하는 시점을 나타내는 AID 재할당 카운트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션 1(STA 1)의 AID를 1000에서 2000으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AP)는 스테이션 1(STA1)에 대한 AID 재할당 프레임에 포함된 새로운 AID를 2000으로 결정할 수 있다. 스테이션 2(STA 2)의 AID를 2000에서 1000으로 변경하고자 하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AP)는 스테이션 2(STA 2)에 대한 AID 재할당 프레임에 포함된 새로운 AID를 1000으로 결정할 수 있다.
AID 재할당 카운트를 결정하는 경우, 액세스 포인트(AP)는 스테이션 1(STA 1)의 리슨 인터벌과 스테이션 2(STA 2)의 리슨 인터벌을 고려할 수 있다. 이때, 액세스 포인트(AP)는 스테이션 1(STA 1)의 리슨 인터벌과 스테이션 2(STA 2)의 리슨 인터벌 중 가장 긴 값을 가지는 리슨 인터벌을 AID 재할당 카운트로 결정할 수 있다. 즉, 스테이션 1(STA 1)의 리슨 인터벌이 5이고 스테이션 2(STA 2)의 리슨 인터벌이 30이므로, 액세스 포인트(AP)는 스테이션 1(STA 1)과 스테이션 2(STA 2)에 대한 AID 재할당 프레임에 포함된 AID 재할당 카운트를 30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과정에 의하면, 스테이션 1(STA 1)에 대한 AID 재할당 프레임은 새로운 AID로 2000, AID 재할당 카운트로 30을 가질 수 있다. 스테이션 2(STA 2)에 대한 AID 재할당 프레임은 새로운 AID로 1000, AID 재할당 카운트로 30을 가질 수 있다.
AID 재할당 프레임을 생성한 후, 액세스 포인트(AP)는 비컨 주기에 따라 비컨을 전송할 수 있다. 스테이션 1(STA 1)이 비컨을 수신한 경우, 비컨에 대한 응답으로 PS-Poll을 액세스 포인트(AP)에 전송할 수 있다. PS-Poll을 수신한 액세스 포인트(AP)는 AID 재할당 프레임을 스테이션 1(STA 1)에 전송할 수 있고, AID 재할당 프레임을 수신한 스테이션 1(STA 1)은 AID 재할당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ACK 프레임을 액세스 포인트(AP)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AID 재할당 프레임이 생성된 후 하나의 비컨이 전송되었으므로, 스테이션 1(STA 1)에 전송되는 AID 재할당 프레임에 포함된 AID 재할당 카운트의 값은 29를 가진다.
그 후, 액세스 포인트(AP)는 비컨 주기에 따라 비컨을 전송할 수 있다. AID 재할당 프레임의 생성 후 전송된 26번째 비컨을 스테이션 2(STA 2)가 수신한 경우, 스테이션 2(STA 2)는 비컨에 대한 응답으로 PS-Poll을 액세스 포인트(AP)에 전송할 수 있다. PS-Poll을 수신한 액세스 포인트(AP)는 AID 재할당 프레임을 스테이션 2(STA 2)에 전송할 수 있고, AID 재할당 프레임을 수신한 스테이션 2(STA 2)는 AID 재할당 프레임에 대한 응답으로 ACK 프레임을 액세스 포인트(AP)에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AID 재할당 프레임이 생성된 후 26개의 비컨이 전송되었으므로, 스테이션 2(STA 2)에 전송되는 AID 재할당 프레임에 포함된 AID 재할당 카운트의 값은 4를 가진다.
그 후, 액세스 포인트(AP)는 비컨 주기에 따라 비컨을 전송할 수 있으며, 추가적으로 4개의 비컨을 더 전송한 경우 스테이션 1(STA 1)과 스테이션 2(STA 2)에 대한 AID 재할당 카운트의 값은 0이 된다. AID 재할당 카운트의 값이 0이 되는 시점에서, 스테이션 1(STA 1)은 AID를 1000에서 2000으로 변경할 수 있고, 스테이션 2(STA 2)는 AID를 2000에서 1000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액세스 포인트(AP)
20: 스테이션 1(STA 1)
30: 스테이션 2(STA 2)

Claims (5)

  1. 액세스 포인트가 단말의 AID(association ID)를 재할당하는 방법으로서,
    새로운 AID와 상기 새로운 AID로의 변경 시점을 지정하는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을 포함한 AID 재할당 프레임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AID 재할당 프레임을 상기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은 상기 AID 재할당 프레임 전송 시점으로부터 상기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이 지시하는 상기 액세스 포인트의 비컨(beacon) 주기들이 소요된 이후, 상기 AID 재할당 프레임이 포함하는 새로운 AID로 상기 단말의 AID를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AID 재할당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이 0인 경우,
    상기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은 상기 AID 재할당 프레임 전송 시점에서 즉시 새로운 AID로 상기 단말의 AID를 변경하도록 지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AID 재할당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AID 재할당 프레임은 상기 액세스 포인트가 상기 단말로부터 수신한 PS(Power Save)-Poll 프레임에 대응하여 전송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AID 재할당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단말과 동시에 AID를 변경하여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이 존재하는 경우,
    상기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은 상기 단말의 리슨 인터벌(listen interval) 및 상기 단말과 동시에 AID를 변경하여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리슨 인터벌을 함께 고려하여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AID 재할당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AID 재할당 카운트 값은 상기 단말의 리슨 인터벌(listen interval) 및 상기 단말과 동시에 AID를 변경하여야 하는 적어도 하나의 단말의 리슨 인터벌 중 가장 긴 값을 가지는 리슨 인터벌 이후에 상기 단말의 AID가 변경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세스 포인트의 AID 재할당 방법.
KR1020130035516A 2012-06-28 2013-04-02 무선랜 시스템에서 aid 재할당 방법 KR1015149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5520042A JP6022055B2 (ja) 2012-06-28 2013-06-27 無線lanシステムでのaid変更方法
CN201810154142.1A CN108495304B (zh) 2012-06-28 2013-06-27 一种在无线局域网系统中改变aid的方法
CN201810154090.8A CN108495303A (zh) 2012-06-28 2013-06-27 一种在无线局域网系统中改变aid的方法
CN201380034901.6A CN104412632B (zh) 2012-06-28 2013-06-27 一种在无线局域网系统中改变aid的方法
PCT/KR2013/005734 WO2014003473A1 (ko) 2012-06-28 2013-06-27 무선랜 시스템에서 aid 변경 방법
US14/411,301 US9398446B2 (en) 2012-06-28 2013-06-27 Method for changing aid in wireless LAN system
US15/181,555 US9622073B2 (en) 2012-06-28 2016-06-14 Method for changing AID in wireless LAN system
JP2016196191A JP6194087B2 (ja) 2012-06-28 2016-10-04 無線lanシステムでのaid変更方法
US15/442,921 US10045205B2 (en) 2012-06-28 2017-02-27 Method for changing aid in wireless LAN system
JP2017156029A JP6445104B2 (ja) 2012-06-28 2017-08-10 無線lanシステムでのaid変更方法
US16/025,846 US10595196B2 (en) 2012-06-28 2018-07-02 Method for changing aid in wireless LAN system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9963 2012-06-28
KR1020120069963 2012-06-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322A true KR20140003322A (ko) 2014-01-09
KR101514966B1 KR101514966B1 (ko) 2015-04-24

Family

ID=5013995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35516A KR101514966B1 (ko) 2012-06-28 2013-04-02 무선랜 시스템에서 aid 재할당 방법
KR1020130054185A KR101514829B1 (ko) 2012-06-28 2013-05-14 무선랜 시스템에서 aid 변경 방법
KR1020140121134A KR101932113B1 (ko) 2012-06-28 2014-09-12 무선랜 시스템에서 aid 변경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54185A KR101514829B1 (ko) 2012-06-28 2013-05-14 무선랜 시스템에서 aid 변경 방법
KR1020140121134A KR101932113B1 (ko) 2012-06-28 2014-09-12 무선랜 시스템에서 aid 변경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4) US9398446B2 (ko)
JP (3) JP6022055B2 (ko)
KR (3) KR101514966B1 (ko)
CN (3) CN104412632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7786A (ko) * 2016-12-12 2018-06-21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packet)을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14966B1 (ko) 2012-06-28 2015-04-24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랜 시스템에서 aid 재할당 방법
CN104955038B (zh) 2014-03-25 2019-06-11 华为终端有限公司 分配寻址标识的方法及接入点、站点和通信系统
US9787491B2 (en) 2015-03-20 2017-10-10 Landis & Gyr Innovations, Inc. Interleaved communication with resource providers and a home area network
CN107615833B (zh) * 2015-05-07 2021-03-23 索尼公司 信息处理设备、通信系统、信息处理方法和程序
WO2017064902A1 (ja) * 2015-10-16 2017-04-20 ソニー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通信方法
US10143000B2 (en) * 2016-12-12 2018-11-27 Landis+Gyr Innovations, Inc. Prioritized association between child devices and parent devices operating on a time-slotted channel hopping network
CN113613316B (zh) * 2017-03-03 2022-11-18 华为技术有限公司 下行业务数据的指示方法和设备
US11115881B2 (en) 2019-08-08 2021-09-07 Landis+Gyr Innovations, Inc. Heterogeneous networks using two channel hopping protocols

Family Cites Families (4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837703B2 (ja) 1975-05-16 1983-08-18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半導体装置
JPS589758B2 (ja) 1978-07-21 1983-02-22 プロセス資材株式会社 記録材料
JPS6022055B2 (ja) 1979-01-13 1985-05-30 株式会社神戸製鋼所 非熱処理型切削用アルミニウム合金及びその製造法
JPH04279149A (ja) 1991-03-07 1992-10-05 Toshiba Corp 磁気共鳴イメージング装置用プローブ
DE19737945B4 (de) * 1997-08-30 2004-05-19 Continental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r Übertragung von Daten in einem Datenübertragungssystem und Datenübertragungssystem
US6393467B1 (en) * 1998-08-31 2002-05-21 Nortel Networks Limited Network interconnected computing device, server and notification method
FI107983B (fi) * 1998-12-23 2001-10-31 Nokia Networks Oy Vilpillisen käytön havaitseminen ja estäminen tietoliikenneverkossa
JP2003258817A (ja) 2002-03-01 2003-09-12 Canon Inc 無線通信装置、その制御方法および該制御方法を実現するためのプログラム
US7352728B2 (en) * 2002-03-07 2008-04-01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Fast channel switching scheme for IEEE 802.11 WLANs
US7113498B2 (en) 2002-06-05 2006-09-26 Broadcom Corporation Virtual switch
KR100999094B1 (ko) 2003-06-27 2010-12-07 삼성전자주식회사 시분할 방식의 무선랜 통신방법 및 시스템
US7802015B2 (en) * 2004-01-26 2010-09-21 Tantalus Systems Corp. Communications system of heterogeneous elements
US7542972B2 (en) * 2005-01-28 2009-06-02 United Parcel Service Of America, Inc. Registration and maintenance of address data for each service point in a territory
KR100694219B1 (ko) 2005-08-19 2007-03-14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단말에서의 액세스 포인트 데이터 전송 모드 감지장치 및 그 방법
US20070274246A1 (en) * 2006-05-26 2007-11-29 Stephens Adrian P Reliable multicast in a network having a power saving protocol
US7974353B2 (en) * 2006-08-31 2011-07-05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resource allocation for OFDM wireless networks
CN101155092B (zh) * 2006-09-29 2010-09-08 西安电子科技大学 一种无线局域网接入方法、设备及系统
KR100746471B1 (ko) 2006-10-26 2007-08-06 주식회사 케이티 센서 노드 id 할당 방법 및 그를 이용한 계층적 센서네트워크 구성 방법
US20080144591A1 (en) * 2006-12-18 2008-06-19 Nokia Corporation Apparatus, method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s providing FBMS with multiple BSSID support
KR20080067252A (ko) * 2007-01-15 2008-07-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네트워크에서 통신방법 및 무선네트워크 시스템
KR20080114469A (ko) 2007-06-25 2008-12-31 엘지전자 주식회사 네트워크 부하 균형을 위한 무선 네트워크의 관리 방법
CN101557306A (zh) * 2008-04-09 2009-10-14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电子设备及其线卡工作模式设定方法
KR101569031B1 (ko) * 2009-03-23 2015-1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Home (e)NodeB에 대한 단말의 접속을 제어하는 방법
AP3812A (en) * 2009-04-24 2016-09-30 Access control with partial support for communications
TWI396011B (zh) * 2009-06-16 2013-05-11 Au Optronics Corp 觸控面板
EP2509235B1 (en) 2009-12-03 2019-02-27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a frame in a wireless lan system
US8787284B2 (en) 2010-03-15 2014-07-22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frame in WLAN system
US9161305B2 (en) 2010-12-07 2015-10-1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ower save mode operation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and apparatus for the same
CN103430601B (zh) 2011-01-16 2017-08-04 Lg电子株式会社 基于标识信息分配进行通信的方法和设备
JP5643686B2 (ja) * 2011-03-11 2014-12-17 株式会社東芝 音声判別装置、音声判別方法および音声判別プログラム
US9538368B2 (en) 2011-11-24 2017-01-03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transceiving data on basis of grouping in wireless LAN system, and device for supporting same
ES2609356T3 (es) 2011-11-24 2017-04-19 Lg Electronics Inc. Procedimiento de transmisión-recepción de datos basado en agrupamiento en un sistema de LAN inalámbrica y aparato para soportar el mismo
KR101607413B1 (ko) 2011-11-24 2016-03-29 엘지전자 주식회사 무선랜 시스템에서 그룹핑을 기반으로 한 데이터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
CN104094665B (zh) * 2012-02-02 2018-05-15 Lg电子株式会社 在无线lan系统中接入信道的方法和设备
AU2012202349B2 (en) * 2012-04-20 2015-07-30 Canon Kabushiki Kaisha Image resampling by frequency unwrapping
JP5866480B2 (ja) * 2012-04-24 2016-02-17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lanシステムにおいて部分連携識別子を含むフレーム送受信方法及び装置
CN104272848B (zh) * 2012-04-30 2019-02-26 Lg 电子株式会社 用于在无线lan系统中接入信道的方法和装置
KR101514966B1 (ko) 2012-06-28 2015-04-24 주식회사 케이티 무선랜 시스템에서 aid 재할당 방법
JP5961323B2 (ja) 2012-09-18 2016-08-02 エルジー エレクトロニクス インコーポレイティド 無線lanシステムにおいて聴取間隔アップデート方法及び装置
US9059512B2 (en) * 2012-09-24 2015-06-16 Electronics And Telecommunications Research Institute Radio communication antenna and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8774068B2 (en) * 2012-10-11 2014-07-08 Sony Corporation Dual swapping switches to meet linearity demands of carrier aggreg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67786A (ko) * 2016-12-12 2018-06-21 서원대학교산학협력단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패킷(packet)을 송수신하기 위한 방법 및 이를 지원하기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0595196B2 (en) 2020-03-17
US20160295400A1 (en) 2016-10-06
CN108495304B (zh) 2021-05-07
JP6022055B2 (ja) 2016-11-09
CN104412632B (zh) 2018-04-03
US10045205B2 (en) 2018-08-07
CN104412632A (zh) 2015-03-11
KR101932113B1 (ko) 2018-12-24
JP2017229084A (ja) 2017-12-28
US20180317084A1 (en) 2018-11-01
KR20140003326A (ko) 2014-01-09
KR101514966B1 (ko) 2015-04-24
US20150163666A1 (en) 2015-06-11
JP2017028734A (ja) 2017-02-02
JP6194087B2 (ja) 2017-09-06
US9398446B2 (en) 2016-07-19
KR101514829B1 (ko) 2015-04-24
CN108495304A (zh) 2018-09-04
JP6445104B2 (ja) 2018-12-26
US20170171743A1 (en) 2017-06-15
US9622073B2 (en) 2017-04-11
CN108495303A (zh) 2018-09-04
JP2015526010A (ja) 2015-09-07
KR20140120874A (ko) 2014-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74537B2 (en) Method of accessing channel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KR101962429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액세스 방법
JP6445104B2 (ja) 無線lanシステムでのaid変更方法
JP6386644B2 (ja) Aid再割り当て方法及びaid再割り当て方法を実行する装置
KR20140023850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채널 액세스 방법
KR20140003340A (ko) 팀 스케줄링 방법 및 팀 스케줄링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KR101561115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액세스 포인트의 검색 방법
KR20140032895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능동 검색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1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