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3217A - 터치 패널 - Google Patents

터치 패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3217A
KR20140003217A KR1020120071204A KR20120071204A KR20140003217A KR 20140003217 A KR20140003217 A KR 20140003217A KR 1020120071204 A KR1020120071204 A KR 1020120071204A KR 20120071204 A KR20120071204 A KR 20120071204A KR 20140003217 A KR20140003217 A KR 201400032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anowires
electrical connection
transparent electrode
wiring
per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12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470075B1 (ko
Inventor
정지혁
안영수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12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470075B1/ko
Publication of KR201400032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32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4700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4700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03Manufacturing, i.e. details related to manufacturing processes specially suited for touch sensitive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유효 영역 및 상기 유효 영역을 둘러싸는 비유효 영역이 정의되는 기판; 상기 유효 영역에 배치되고, 입력 위치를 감지하는 투명 전극; 상기 비유효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투명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 상기 투명 전극 및 상기 배선은 나노와이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나노와이어들은 상기 투명 전극 또는 상기 배선의 전기적 연결 방향으로 지향된다.

Description

터치 패널{TOUCH PANEL}
본 기재는 터치 패널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전자 제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상에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stylus) 등의 입력 장치를 접촉하는 방식으로 입력을 하는 터치 패널이 적용되고 있다.
터치 패널은 크게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과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로 구분될 수 있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입력 장치의 압력에 의하여 유리와 전극이 단락되어 위치가 검출된다.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손가락이 접촉했을 때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이 변화하는 것을 감지하여 위치가 검출된다.
이러한 터치 패널의 전극으로써,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ITO)을 대체할 수 있는 물질인 나노와이어가 대두되고 있다. 나노와이어는 투과도 및 전도도 등 다양한 면에서 인듐 주석 산화물보다 뛰어난 특성을 가진 물질이다.
이러한 나노와이어들은 입사하는 빛을 산란시키는 특성이 있어, 나노와이어를 포함한 전극이 뿌옇게 보이는 현상이 발생한다. 따라서, 터치 패널의 시인성이 떨어진다는 문제가 있다. 따라서, 전도성에 기여하지 않는 나노와이어를 감소시킴으로써, 뿌옇게 보이는 현상을 감소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실시예는 신뢰성이 향상된 터치 패널을 제공한다.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은, 유효 영역 및 상기 유효 영역을 둘러싸는 비유효 영역이 정의되는 기판; 상기 유효 영역에 배치되고, 입력 위치를 감지하는 투명 전극; 상기 비유효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투명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 상기 투명 전극 및 상기 배선은 나노와이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나노와이어들은 상기 투명 전극 또는 상기 배선의 전기적 연결 방향으로 지향된다.
실시예에서는 전극에 포함되는 나노와이어들이 전기적 연결 방향으로 지향된다. 상기 나노와이어들이 일정한 지향도를 만족함으로써, 적은 나노와이어로도 충분한 도전성 및 낮은 저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전도도에 기여하지 않는 나노와이어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어, 입사하는 빛을 산란시키는 나노와이어의 총 투영면적을 감소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나노와이어가 입사하는 빛을 산란시켜 전극이 뿌옇게 보이는 현상을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포함하는 전극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는 투명 전극 및 배선에 포함되는 나노와이어들이 각각의 전기적 연결 방향에 따라 다르게 지향될 수 있다. 즉, 동일한 기판 상의 나노와이어들이 부분적으로 다른 지향성을 가짐으로써, 터치 패널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또한, 투명 전극 및 배선에 포함되는 나노와이어들의 단위면적당 개수가 서로 대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나노와이어들의 밀도 차이 즉, 단위면적당 개수 차이에 의해 부분적으로 구별되어 보이는 문제를 감소할 수 있다. 즉, 부분적으로 뿌옇게 보이는 정도가 달라 시인성이 달라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다른 실시예에서는 배선에 포함되는 나노와이어들의 단위면적당 개수가 투명 전극에 포함되는 나노와이어들의 단위면적당 개수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는, 상기 배선에 포함되는 나노와이어들의 단위면적당 개수가 많아 뿌옇게 보이더라도 배선이 외곽 더미층 등에 의해 가려질 경우 이를 감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배선의 나노와이어들의 단위면적당 개수가 많음으로써, 면저항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다른 평면도이다.
도 5는 나노와이어의 지향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하여 변형될 수 있으므로,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Ⅱ-Ⅱ선을 따라 잘라서 본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A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다른 평면도이다. 도 5는 나노와이어의 지향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실시예에 따른 터치 패널에는, 입력 장치의 위치를 감지하는 유효 영역(AA)과, 이 유효 영역(AA)의 외곽에 위치하는 비유효 영역(DA)이 정의된다.
여기서, 유효 영역(AA)에는 입력 장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투명 전극(4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비유효 영역(DA)에는 투명 전극(40)에 연결되는 배선(50) 및 이 배선(50)을 외부 회로(도시하지 않음, 이하 동일)에 연결하는 인쇄 회로 기판(60) 등이 위치할 수 있다. 이러한 비유효 영역(DA)에는 외곽 더미층(20)이 형성될 수 있으며, 이 외곽 더미층(20)에는 로고(logo)(20a)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을 좀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를 참조하면, 기판(10)에 외곽 더미층(20), 투명 전극(40) 및 보호층(7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이 투명 전극(40)에 배선(50)이 연결되고, 이 배선(50)에 인쇄 회로 기판(60)이 연결될 수 있다.
기판(10)은 이 위에 형성되는 외곽 더미층(20), 투명 전극(40), 배선(50) 등을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판(10)은 일례로 유리 기판 또는 플라스틱 기판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기판(10)의 비유효 영역(DA)에 외곽 더미층(20)이 형성된다. 외곽 더미층(20)은 배선(50)과 인쇄 회로 기판(60) 등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게 소정의 색을 가지는 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외곽 더미층(20)은 원하는 외관에 적합한 색을 가질 수 있는데, 일례로 흑색 안료 등을 포함하여 흑색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이 외곽 더미층(20)에는 다양한 방법으로 원하는 로고(도 1의 참조부호 20a)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외곽 더미층(20)은 증착, 인쇄, 습식 코팅 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이 기판(10)에 투명 전극(40)이 형성된다. 투명 전극(40)은 손가락 등의 입력 장치가 접촉되었는지를 감지할 수 있는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외곽 더미층(20)이 형성된 부분에서는 투명 전극(40)이 외곽 더미층(20) 위로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터치 패널에 손가락 등의 입력 장치가 접촉되면, 입력 장치가 접촉된 부분에서 정전 용량의 차이가 발생되고, 이 차이가 발생된 부분을 접촉 위치로 검출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투명 전극(40)이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에 적용되는 구조를 가지는 것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투명 전극(40)을 저항 방식의 터치 패널에 적용되는 구조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러한 투명 전극(40)은 광의 투과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전기가 흐를 수 있도록 투명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상기 투명 전극(40)은 제1 나노와이어들(31a, 31b)을 포함할 수 있다. 자세하게, 투명 전극(40)은 은(Ag) 나노와이어(31a, 31b)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1 나노와이어들(31a, 31b)은 투명 전극(40)의 연장되는 방향에 따라 제3 나노와이어들(31a) 또는 제4 나노와이어들(31b)을 포함한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설명한다.
상기 제1 나노와이어들(31a, 31b)은 상기 투명 전극(40)의 전기적 연결 방향으로 지향될 수 있다. 상기 전기적 연결 방향은 상기 투명 전극(40)이 배열되는 방향으로써, 전류의 방향과 대응된다. 즉, 상기 전기적 연결 방향은 상기 투명 전극(40)이 연장되는 방향이다.
한편,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투명 전극(40)은 제1 전극(42)과 제2 전극(44)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전극(42) 및 상기 제2 전극(44)이 서로 다른 기판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42)은 손가락 등의 입력 장치가 접촉되었는지 감지하는 제1 센서부(42a)와, 이러한 제1 센서부(42a)를 연결하는 제1 연결부(42b)를 포함한다. 제1 전극(42)의 제1 연결부(42b)는 제1 센서부(42a)를 제1 방향(도면의 상하 방향)으로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제1 전극(42)은 제1 방향을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상기 제1 전극(42)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러나, 상기 제1 전극(42)이 상기 제1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필요는 없고. 상기 제1 전극(42)과 상기 제1 방향의 각도가 0 °내지 10 °일 수 있다.
상기 제1 전극(42)은 제3 나노와이어들(31a)을 포함한다. 상기 제3 나노와이어들(31a)은 상기 제1 전극(42)의 전기적 연결 방향으로 지향될 수 있다. 즉, 상기 제3 나노와이어들(31a)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지향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방향을 제1 전극의 전기적 연결 방향이라고 정의하면, 상기 제1 전극(42)에 포함되는 제3 나노와이어들(31a)은 상기 전기적 연결 방향을 향해 지향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제1 전극(42)에 포함되는 제3 나노와이어들(31a)이 모두 전기적 연결 방향으로 지향될 수 없으므로, 이하, 지향도를 정의하여 설명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제1 전극(42)에 포함되는 제3 나노와이어들(31a)들이 일방향으로 배치되어 있고, 어느 제3 나노와이어들(31a)의 일방향과 전기적 연결 방향의 각도를 θ라고 정의할 수 있다. 이때, 지향도는 다음 수식1과 같이 정의된다.
수식1
cosθ≥0.7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 지향도를 만족하는 나노와이어들(31a)들의 범위가 50 % 이상일 수 있다. 자세하게, 상기 지향도를 만족하는 나노와이어들(31a)의 범위가 50 % 내지 99 %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지향도를 만족하는 나노와이어들(31a)의 범위가 70 % 내지 99 %일 수 있다.
상기 지향도는 상기 나노와이어들(31a)이 직선을 가진다고 가정했을 때, 도출되는 식이다. 그러나 실제로 나노와이어들(31a)은 직선 뿐만아니라 곡선을 포함할 수 있다. 나노와이어들(31a)이 곡선을 가질 때는 다음과 같이 정의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곡선을 가지는 나노와이어(31a)의 전체 길이는 L이라고 하고, 나노와이어(31a)의 미소길이 dL이 특정 벡터(vector, 도 3에서는 전기적 연결 방향)와 이루는 각도를 θ라고 할 때, 상기 θ 중 하기의 수식2에 따른 cosθ 가 최대가 되는 vector W를 설정한다. 상기 vector W는 곡선을 가지는 나노와이어(31a)의 대표 방향성을 나타낸다. 이러한 vector W가 상기 전기적 연결 방향과 이루는 cosθ를 다시 하기의 수식2에 따라 계산할 수 있다.
수식2
Figure pat00001
상기 cosθ가 상기 수식1인 cosθ≥0.7을 만족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수식2를 통해, 각각의 나노와이어들(31a)의 방향을 대표하는 대표지향도를 정의할 수 있다. 이러한 정의는 직선의 나노와이어(31a)를 포함하여 임의의 형상의 나노와이어(31a)에 대해서도 일관되게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전기적 연결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나노와이어의 단위길이당 저항이 제1 저항이고, 상기 전기적 연결 방향과 교차하는 타방향을 기준으로 한 상기 나노와이어의 단위길이당 저항이 제2 저항으로 정의 될 때, 상기 제2 저항이 상기 제1 저항보다 크다.
일례로, 상기 제1 전극(42)에서, 전기적 연결 방향인 상기 제1 방향을 기준으로 나노와이어(31a)의 단위길이당 저항이 제1 저항이고, 상기 제2 방향을 기준으로 나노와이어(31a)의 단위길이당 저항이 제2 저항으로 정의될 때, 상기 제2 저항이 상기 제1 저항보다 크다. 이는 상기 제1 전극(42)에 포함되는 나노와이어(31a)들이 상기 지향도에 따라 배치됨으로써, 지향되는 방향에 따라 저항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 저항 및 상기 제2 저항의 비율이 1 : 1.1 내지 1 : 10일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나노와이어(31a)들이 상기 지향도를 만족함으로써, 적은 나노와이어(31a)로 충분한 도전성 및 낮은 저항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전도도에 기여하지 않는 나노와이어(31a)의 수를 최소화할 수 있어, 입사하는 빛을 산란시키는 나노와이어(31a)의 총 투영면적을 감소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나노와이어(31a)가 입사하는 빛을 산란시켜 전극이 뿌옇게 보이는 현상을 감소할 수 있다. 따라서, 이를 포함하는 전극의 시인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신뢰성을 향상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2 전극(44)은 손가락 등의 입력 장치가 접촉되었는지 감지하는 제2 센서부(44a)와, 이러한 제2 센서부(44a)를 연결하는 제2 연결부(44b)를 포함한다. 제2 전극(44)의 제2 연결부(44b)는 제2 센서부(44a)를 제2 방향(도면의 좌우 방향)으로 연결한다. 따라서, 상기 제2 전극(44)은 제2 방향을 따라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즉, 상기 제2 전극(44)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된다. 그러나, 상기 제2 전극(44)이 상기 제2 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연장될 필요는 없고. 상기 제2 전극(44)과 상기 제2 방향의 각도가 0 °내지 10 °일 수 있다.
상기 제2 전극(44)은 제4 나노와이어들(31b)을 포함한다. 상기 제4 나노와이어들(31b)은 상기 제2 전극(44)의 전기적 연결 방향으로 지향될 수 있다. 즉, 상기 제4 나노와이어들(31b)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지향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방향을 제2 전극의 전기적 연결 방향이라고 정의하면, 상기 제2 전극(44)에 포함되는 제4 나노와이어들(31b 은 상기 전기적 연결 방향을 향해 지향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4 나노와이어들(31b)은 상기 제3 나노와이어들(31a)과 마찬가지로 상기 지향도를 만족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상기 제1 전극(42) 및 상기 제2 전극(44)이 서로 다른 기판에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상기 제1 및 제2 전극(42, 44)의 센서부(42a, 44a)가 동일한 층에 형성되어 센서부(42a, 44a)를 단일층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의하여 투명 전도성 물질층의 사용을 최소화할 수 있고, 터치 패널의 두께를 줄일 수 있다.
상기 투명 전극(40)은 다양한 방법으로 상기 기판(10) 상에 코팅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투명 전극(40)은 딥 코팅법에 의해 상기 기판(10) 상에 코팅될 수 있다. 상기 딥 코팅은 코팅 방법의 한 종류이며, 피코팅재를 코팅용액 또는 슬러리에 담그어 피코팅재 표면에 전구체(precursor)층을 형성한 후 적당한 온도로 소성하여 도막을 얻는 방법을 말한다.
그러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상기 투명 전극(40)은 스핀(spin) 코팅, 플로우(flow) 코팅, 스프레이(spray) 코팅, 슬럿 다이(slot die) 코팅 및 롤(roll) 코팅 등의 다양한 코팅 방법으로 상기 기판(10) 상에 코팅될 수 있다.
다시 도 2를 참조하면, 기판(10)의 비유효 영역(DA)으로 투명 전극(40)에 연결되는 배선(50) 및 이 배선(50)에 연결되는 인쇄 회로 기판(60)이 형성된다.
도 3을 참조하면, 이러한 배선(50)은 제2 나노와이어들(32)을 포함한다. 자세하게, 상기 배선(50)은 은(Ag) 나노와이어(3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나노와이어들(32)은 상기 배선(50)의 전기적 연결 방향으로 지향될 수 있다. 즉, 상기 제2 나노와이어들(32)은 상기 배선(50)이 배열되는 방향으로 지향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상기 제2 나노와이어들(32)은 상기 배선(50)에 흐르는 전류의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지향될 수 있다. 상기 제2 나노와이어들(32)은 앞서 설명한 상기 지향도에 따라 지향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투명 전극(40) 및 배선(50)에 포함되는 나노와이어들이 각각의 전기적 연결 방향에 따라 다르게 지향될 수 있다. 즉, 동일한 기판 상의 나노와이어들이 부분적으로 다른 지향성을 가짐으로써, 터치 패널의 전기적 특성을 향상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배선(50)은 절곡부(52)를 포함한다. 상기 절곡부(52)는 상기 배선(50)이 상기 기판 상에서 일방향에서 타방향으로 절곡되는 부분을 말한다. 이러한 절곡부(52)는 상기 배선(50)이 인쇄 회로 기판(60)과 연결되기 위해 기판의 끝단에 위치하는 단자부(70)까지 연결되기 위해 필요한 부분이다. 상기 단자부(70)는 상기 배선(50)과 인쇄 회로 기판(60)과의 전기적 접속이 가능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절곡부(52)에 포함되는 나노와이어들(33)은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절곡부(52)에서는 전기적 연결 방향이 바뀌는 부분이므로, 나노와이어들(33)이 특정 방향으로만 지향되기 보다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가지는 것이 면저항에 유리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절곡부(52)에 포함되는 나노와이어들(33)은 면저항의 방향성이 없이 모든 방향으로 균일한 면저항이 되도록 지향될 수 있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투명 전극(40)에 포함되는 상기 제1 나노와이어들(31a)의 단위면적당 밀도와 상기 배선(50)에 포함되는 상기 제2 나노와이어들(32)의 단위면적당 밀도가 서로 대응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나노와이어들(31a)의 단위면적당 개수와 상기 제2 나노와이어들(32)의 단위면적당 개수가 서로 대응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나노와이어들의 밀도 차이 즉, 단위면적당 개수 차이에 의해 부분적으로 구별되어 보이는 문제를 감소할 수 있다. 즉, 부분적으로 뿌옇게 보이는 정도가 달라 시인성이 달라지는 문제를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제1 나노와이어들(31b)의 단위면적당 밀도와 상기 제2 나노와이어들(32)의 단위면적당 밀도가 서로 다를 수 있다. 즉, 상기 제1 나노와이어들(31b)의 단위면적당 개수와 상기 제2 나노와이어들(32)의 단위면적당 개수가 서로 다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2 나노와이어들(32)의 단위면적당 개수가 상기 제1 나노와이어들(31b)의 단위면적당 개수보다 더 클 수 있다. 이는, 상기 제2 나노와이어들(32)의 단위면적당 개수가 많아 뿌옇게 보이더라도 상기 배선(50)이 외곽 더미층(20) 등에 의해 가려질 경우 이를 감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상기 배선(50)의 제2 나노와이어들(32)의 단위면적당 개수가 많음으로써, 면저항을 더욱 감소시킬 수 있다.
이어서, 상기 인쇄 회로 기판(60)으로는 다양한 형태의 인쇄 회로 기판이 적용될 수 있는데, 일례로 플렉서블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투명 전극(40)을 덮으면서 보호층(70)이 더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보호층(70)은 비산 방지 필름을 포함할 수 있다.
이하, 실시예에 따른 전극형성방법을 설명한다.
실시예에 따른 전극형성방법은 전기적 연결 방향이 정의되는 기판 상에 나노와이어를 도포한 후, 상기 나노와이어를 상기 전기적 연결 방향으로 지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기판 상에 전기적 연결 방향으로 전류가 형성되고, 상기 나노와이어는 상기 전기적 연결 방향과 대응되는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즉, 상기 나노와이어는 상기 전기적 연결 방향과 나란한 방향으로 정렬될 수 있다.
한편, 상기 기판의 유효 영역에서는 투명 전극의 전기적 연결 방향으로 지향할 수 있다. 상기 기판의 비유효 영역에서는 배선의 전기적 연결 방향으로 지향할 수 있다.
상기 지향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나노와이어의 일 끝단과 다른 끝단에 전기장을 걸어줄 수 있다. 즉, 상기 나노와이어의 양 끝단에 (+) 전극 및 (-) 전극을 위치시키고 전기장을 형성함으로써, 나노와이어를 지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지향하는 단계에서는 기계적인 방법으로 상기 나노와이어를 지향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지향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나노와이어를 러빙할 수 있다. 즉, 상기 나노와이어에 지향부재를 접촉시켜 지향할 수 있다. 상기 지향부재가 상기 나노와이어를 마찰시킴으로써, 상기 나노와이어를 전기적 연결 방향으로 지향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나노와이어에 롤러를 접촉시켜 지향할 수 있다. 상기 롤러가 전기적 연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나노와이어와 마찰을 일으킬 수 있고, 상기 나노와이어를 지향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나노와이어에 콤(comb)을 접촉시켜 지향할 수 있다. 상기 콤이 상기 전기적 연결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나노와이어를 지향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16)

  1. 유효 영역 및 상기 유효 영역을 둘러싸는 비유효 영역이 정의되는 기판;
    상기 유효 영역에 배치되고, 입력 위치를 감지하는 투명 전극;
    상기 비유효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투명 전극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
    상기 투명 전극 및 상기 배선은 나노와이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나노와이어들은 상기 투명 전극 또는 상기 배선의 전기적 연결 방향으로 지향되는 터치 패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극은 제1 나노와이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배선은 제2 나노와이어들을 포함하며,
    상기 제1 나노와이어들은 상기 투명 전극의 전기적 연결 방향으로 지향되고, 상기 제2 나노와이어들은 상기 배선의 전기적 연결 방향으로 지향되는 터치 패널.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연결 방향은 전류의 방향과 대응되는 터치 패널.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노와이어들의 단위면적당 개수와 상기 제2 나노와이어들의 단위면적당 개수가 서로 대응되는 터치 패널.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나노와이어들의 단위면적당 개수와 상기 제2 나노와이어들의 단위면적당 개수가 서로 다른 터치 패널.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나노와이어들의 단위면적당 개수가 상기 제1 나노와이어들의 단위면적당 개수보다 더 큰 터치 패널.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전극은,
    제1 방향으로 연결되고, 제3 나노와이어들을 포함하는 제1 투명 전극; 및
    상기 제1 방향과 교차하는 제2 방향으로 연결되고, 제4 나노와이어들을 포함하는 제2 투명 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나노와이어들은 상기 제1 방향으로 지향되고,
    상기 제4 나노와이어들은 상기 제2 방향으로 지향되는 터치 패널.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은 상기 기판 상에서 절곡되는 절곡부를 포함하고,
    상기 절곡부에 포함되는 상기 나노와이어들은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가지는 터치 패널.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와이어는 일방향으로 배치되고,
    상기 전기적 연결 방향과 상기 일방향의 각도가 θ일 때,
    상기 나노와이어들은 아래 수식을 만족하는 터치 패널.
    수식
    cosθ≥0.7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나노와이어들 중 상기 수식을 만족하는 나노와이어들의 범위가 50 % 내지 99 %인 터치 패널.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연결 방향은 상기 투명 전극 또는 상기 배선이 연장되는 방향과 대응되는 터치 패널.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기적 연결 방향을 기준으로 상기 나노와이어의 단위길이당 저항이 제1 저항이고,
    상기 전기적 연결 방향과 교차하는 타방향을 기준으로 한 상기 나노와이어의 단위길이당 저항이 제2 저항으로 정의 될 때,
    상기 제2 저항이 상기 제1 저항보다 큰 터치 패널.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저항 및 상기 제2 저항의 비율이 1 : 1.1 내지 1 : 10 인 터치 패널.
  14. 유효 영역 및 상기 유효 영역을 둘러싸는 비유효 영역이 정의되는 기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기판 상에 나노와이어들을 도포하는 단계;
    상기 유효 영역 상의 나노와이어들을 투명 전극의 전기적 연결 방향으로 제1 지향하는 단계; 및
    상기 비유효 영역 상의 나노와이어들을 배선의 전기적 연결 방향으로 제2 지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의 제조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향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2 지향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나노와이어에 전기장을 걸어주는 터치 패널의 제조방법.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향하는 단계 또는 상기 제2 지향하는 단계에서는 상기 나노와이어를 러빙하는 터치 패널의 제조방법.
KR1020120071204A 2012-06-29 2012-06-29 터치 패널 KR1014700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1204A KR101470075B1 (ko) 2012-06-29 2012-06-29 터치 패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1204A KR101470075B1 (ko) 2012-06-29 2012-06-29 터치 패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3217A true KR20140003217A (ko) 2014-01-09
KR101470075B1 KR101470075B1 (ko) 2014-12-10

Family

ID=501398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1204A KR101470075B1 (ko) 2012-06-29 2012-06-29 터치 패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470075B1 (ko)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4546A (ko) * 2014-01-14 2015-07-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WO2016003160A1 (ko) * 2014-07-02 2016-01-0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패널 전극 구조체 및 그의 제조 방법
KR20160090603A (ko) * 2015-01-22 2016-08-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KR20160097732A (ko) * 2015-02-10 2016-08-1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도전패턴
WO2016129897A1 (ko) * 2015-02-10 2016-08-1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도전시트 및 도전패턴
US10101858B2 (en) 2015-04-13 2018-10-16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screen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0168840B2 (en) 2015-01-06 2019-01-01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screen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1110B1 (ko) * 2010-08-25 2011-11-07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KR20120045770A (ko) * 2010-11-01 2012-05-09 삼성전기주식회사 저항막식 터치스크린

Cited B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84546A (ko) * 2014-01-14 2015-07-22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윈도우
WO2016003160A1 (ko) * 2014-07-02 2016-01-07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터치 패널 전극 구조체 및 그의 제조 방법
US10379643B2 (en) 2014-07-02 2019-08-13 Dongwoo Fine-Chem Co., Ltd. Electrode structure for touch panel and method of fabricating the same
US10168840B2 (en) 2015-01-06 2019-01-01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screen panel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60090603A (ko) * 2015-01-22 2016-08-01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터치 패널
KR20160097732A (ko) * 2015-02-10 2016-08-1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도전패턴
CN107223228A (zh) * 2015-02-10 2017-09-29 东友精细化工有限公司 导电片和导电图案
CN107209605A (zh) * 2015-02-10 2017-09-26 东友精细化工有限公司 导电图案
WO2016129897A1 (ko) * 2015-02-10 2016-08-18 동우 화인켐 주식회사 도전시트 및 도전패턴
US10430003B2 (en) 2015-02-10 2019-10-01 Dongwoo Fine-Chem Co.. Ltd. Conductive sheet and conductive pattern
CN107223228B (zh) * 2015-02-10 2020-09-25 东友精细化工有限公司 导电片和导电图案
US10884555B2 (en) 2015-02-10 2021-01-05 Dongwoo Fine-Chem Co., Ltd. Conductive pattern
US11011281B2 (en) 2015-02-10 2021-05-18 Dongwoo Fine-Chem Co., Ltd. Conductive sheet and conductive pattern
US11360612B2 (en) 2015-02-10 2022-06-14 Dongwoo Fine-Chem Co., Ltd. Conductive pattern
US10101858B2 (en) 2015-04-13 2018-10-16 Samsung Display Co., Ltd. Touch screen panel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470075B1 (ko) 2014-12-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470075B1 (ko) 터치 패널
US10642391B2 (en) Touch panel and display device
US9667248B2 (en) Touch panel
US9229591B2 (en) Touch panel
KR101081110B1 (ko) 터치 패널
CN205563500U (zh) 触摸窗口以及包含该触摸窗口的显示器
KR20150069950A (ko) 터치 패널
CN104238795A (zh) 透明触控面板
JP2020531932A (ja) タッチパネル、その製造方法及びタッチ表示装置
CN108762580A (zh) 显示设备、触控传感器及其制备方法
KR20140059571A (ko)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TWI629618B (zh) 觸控面板及電極的形成
KR20120023288A (ko)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125363B1 (ko) 터치 패널
EP2735949A2 (en) Touch panel
KR20120079748A (ko) 터치 패널
KR20120009181A (ko)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80056602A (ko) 터치 패널
KR101704102B1 (ko)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1381691B1 (ko) 금속 세선의 감지 전극을 구비하는 터치스크린 패널
KR20150039041A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JP2022022045A (ja) 3次元センシングモジュ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電子機器
KR102085876B1 (ko) 전극 부재 및 이를 포함하는 터치 패널
KR101976606B1 (ko) 터치 패널
KR101371825B1 (ko) 터치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107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112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