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50039041A -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 Google Patents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50039041A
KR20150039041A KR20130117559A KR20130117559A KR20150039041A KR 20150039041 A KR20150039041 A KR 20150039041A KR 20130117559 A KR20130117559 A KR 20130117559A KR 20130117559 A KR20130117559 A KR 20130117559A KR 20150039041 A KR20150039041 A KR 2015003904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nsing
sensing electrode
sensing unit
electrode
substr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301175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상영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13011755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50039041A/ko
Priority to CN201490001093.3U priority patent/CN205563500U/zh
Priority to US15/026,243 priority patent/US10007366B2/en
Priority to PCT/KR2014/008802 priority patent/WO2015050332A1/en
Publication of KR201500390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904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2Digitisers structurally integrated in a display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4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by capacitive mea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5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using resistive elements, e.g. a single continuous surface or two parallel surfaces put in contac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2203/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0 - G06F3/048
    • G06F2203/041Indexing scheme relating to G06F3/041 - G06F3/045
    • G06F2203/04111Cross over in capacitive digitiser, i.e. details of structures for connecting electrodes of the sensing pattern where the connections cross each other, e.g. bridge structures comprising an insulating layer, or vias through substra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osition Input By Displaying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전극은 방향성이 서로 다른 다수 개의 감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TOUCH WINDOW AND DISPLAY WITH THE SAME}
실시예는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고자 한다.
최근 다양한 전자 제품에서 디스플레이 장치에 표시된 화상에 손가락 또는 스타일러스(stylus) 등의 입력 장치를 접촉하는 방식으로 입력을 하는 터치 패널이 적용되고 있다.
터치 패널은 크게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과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로 구분될 수 있다. 저항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입력 장치의 압력에 의하여 유리와 전극이 단락되어 위치가 검출된다. 정전 용량 방식의 터치 패널은 손가락이 접촉했을 때 전극 사이의 정전 용량이 변화하는 것을 감지하여 위치가 검출된다.
이러한 터치 패널에서 위치 검출 방식은 다양하다. 특히 최근에는 보다 정밀한 위치 인식을 위한 위치 검출 방식이 요구되고 있다.
실시예는 터치 인식성이 향상된 터치 윈도우를 제공하고자 한다.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전극은 방향성이 서로 다른 다수 개의 감지부를 포함한다.
실시예는 새로운 감지전극 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윈도우의 다양한 구조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는 감지전극의 수평 방향의 동일 선상에 두 지점 이상이 동시에 터치 되었을 경우뿐만 아니라, 수직 방향의 동일 선상에 두 지점 이상이 동시에 터치 되었을 경우에도 정확한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즉, 수직 방향의 동일 선상에 두 지점이 터치 되었을 경우에도 각각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위치의 정확성을 향상하고, 멀티 터치를 구현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일 평면도이다.
도 3 내지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일 평면도이다.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이 기판, 각 층(막), 영역, 패드 또는 패턴들의 “상/위(on)”에 또는 “하/아래(under)”에 형성된다는 기재는, 직접(directly) 또는 다른 층을 개재하여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각 층의 상/위 또는 하/아래에 대한 기준은 도면을 기준으로 설명한다.
도면에서 각 층(막), 영역, 패턴 또는 구조물들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명확성 및 편의를 위하여 변형될 수 있으므로,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1 및 도 2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개략적인 평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일 평면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터치 윈도우(10)는 입력 장치(예를 들어, 손가락 등)의 위치를 감지하는 유효 영역(AA)과 이 유효 영역(AA)의 주위에 배치되는 비유효 영역(UA)이 정의되는 기판(100)을 포함한다.
여기서, 유효 영역(AA)에는 입력 장치를 감지할 수 있도록 감지전극(200)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비유효 영역(UA)에는 감지전극(20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310, 320)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비유효 영역(UA)에는 상기 배선(310, 320)에 연결되는 외부 회로 등이 위치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을 참조하면, 상기 비유효 영역(UA)은 상기 유효 영역(AA)의 어느 두 측면에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유효 영역(UA)은 상기 유효 영역(AA)의 상단 및 하단에만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비유효 영역(UA)은 상기 유효 영역(AA)의 측면에는 배치되지 않을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윈도우의 화면 영역인 유효 영역(AA)을 최대화할 수 있고, 사용자에게 큰 화면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비유효 영역(UA)인 베젤로 인한 디자인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다.
기판(100)은 이 위에 형성되는 감지전극(200), 배선(310, 320) 및 회로 기판 등을 지지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기판(100)은 유리 기판(100), 폴리 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oly (ethylene terephthalate), PET) 필름 또는 수지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기판(100)으로 형성될 수 있다.
기판(100)의 비유효 영역(UA)에 외곽 더미층이 형성된다. 외곽 더미층은 배선(310, 320)과 이 배선(310, 320)을 외부 회로에 연결하는 인쇄 회로 기판 등이 외부에서 보이지 않도록 할 수 있게 소정의 색을 가지는 물질을 도포하여 형성될 수 있다. 외곽 더미층은 원하는 외관에 적합한 색을 가질 수 있는데, 일례로 흑색 안료 등을 포함하여 흑색을 나타낼 수 있다. 그리고 이 외곽 더미층에는 다양한 방법으로 원하는 로고 등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외곽 더미층은 증착, 인쇄, 습식 코팅 등에 의하여 형성될 수 있다.
기판(100)의 유효 영역(AA)에는 감지전극(200)이 배치된다. 상기 감지전극(200)은 손가락 등의 입력 장치가 접촉되었는지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감지전극(200)은 제1 감지전극(210) 및 제2 감지전극(22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감지전극(200)은 제1 감지전극(210) 및 제2 감지전극(220)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전극(210) 및 상기 제2 감지전극(220)은 서로 중첩(overlap)되는 부분이 없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전극(210) 및 상기 제2 감지전극(220)은 상기 기판(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전극(210) 및 상기 제2 감지전극(220)은 서로 마주보며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전극(200)은 제1 감지전극(210) 및 제2 감지전극(220)은 기판(100) 상에서 좌우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전극(210) 및 제2 감지전극(220)은 폭에 비해 길이가 상대적으로 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 감지전극(210) 및 제2 감지전극(220)은 상기 기판(10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전극(210) 및 제2 감지전극(220)은 서로 대응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감지전극(210) 및 제2 감지전극(220)은 서로 동일한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전극(210) 및 상기 제2 감지전극(220) 사이의 간격(G)은 0.1 mm 내지 10 mm 일 수 있다. 상기 간격(G)을 통해 터치 인식의 불감대(dead zone)를 방지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전극(210) 및 상기 제2 감지전극(220)은 동일한 기판(10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감지전극(210) 및 상기 제2 감지전극(220)은 상기 기판(100)의 동일한 평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감지전극(200)은 광의 투과를 방해하지 않으면서 전기가 흐를 수 있도록 투명 전도성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이를 위하여 감지전극(200)은 인듐 주석 산화물(indium tin oxide), 인듐 아연 산화물(indium zinc oxide), 구리 산화물(copper oxide), 탄소 나노 튜브(carbon nano tube, CNT), 나노 와이어 또는 그래핀(grappine) 등의 다양한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감지전극(200)은 메쉬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때, 상기 감지전극(200)은 전도성이 우수한 다양한 금속을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감지전극(200)이 메쉬 형상일 때, 상기 감지전극(200)은 Cu, Au, Ag, Al, Ti, Ni 또는 이들의 합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전극(210)은 방향성이 서로 다른 다수 개의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1 감지전극(210)은 제1 감지부(211) 및 제2 감지부(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부(212)는 상기 제1 감지부(21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부(211) 및 상기 제2 감지부(212)는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1 감지부(211) 및 상기 제2 감지부(212)가 연장되는 방향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부(212)는 상기 제1 감지부(211)로부터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부(211) 및 상기 제2 감지부(212)는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부(211) 및 상기 제2 감지부(212)가 모두 직선을 포함함으로써, L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부(211) 및 상기 제2 감지부(212)가 이루는 각도는 다양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부(211) 및 상기 제2 감지부(212)는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부(211) 및 상기 제2 감지부(212)는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부(211) 및 상기 제2 감지부(212)는 교대로 반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비유효 영역(UA)에는 제1 감지전극(210)을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310, 320)들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배선(310, 320)들은 복수 개로 구비될 수 있다.
즉, 상기 배선(310, 320)들은 상기 제1 감지전극(210)의 일 끝단에 연결되는 제1 배선(310) 및 상기 제1 감지전극(210)의 상기 일 끝단과 반대되는 타 끝단에 연결되는 제2 배선(320)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배선(310)은 상기 기판(100)의 상단으로 인출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배선(320)은 상기 기판(100)의 하단으로 인출될 수 있다.
상기 배선(310, 320)들은 전기 전도성이 우수한 금속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일례로, 이러한 배선(310, 320)들은 크롬(Cr), 니켈(Ni), 구리(Cu), 알루미늄(Al), 은(Ag), 몰리브덴(Mo) 및 이들의 합금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상기 배선(310)은 인쇄 공정으로 형성이 가능한 다양한 금속 페이스트 물질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배선(310, 320)들의 끝단에는 전극 패드(도시하지 않음, 이하 동일)가 위치한다. 이러한 전극 패드는 인쇄 회로 기판과 접속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면에 도시하지 않았으나, 상기 인쇄 회로 기판의 어느 일면에는 접속 단자가 위치하고, 상기 전극 패드는 상기 접속 단자와 접속될 수 있다. 상기 전극 패드는 상기 접속 단자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인쇄 회로 기판으로는 다양한 형태의 인쇄 회로 기판이 적용될 수 있는데, 일례로 플렉서블 인쇄 회로 기판(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 FPCB) 등이 적용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 감지전극(220)은 방향성이 서로 다른 다수 개의 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례로, 상기 제2 감지전극(220)은 제3 감지부(221) 및 제4 감지부(222)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4 감지부(222)는 상기 제3 감지부(221)로부터 연장될 수 있다.
상기 제3 감지부(221) 및 상기 제4 감지부(222)는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상기 제3 감지부(221) 및 상기 제4 감지부(222)가 연장되는 방향이 서로 다를 수 있다.
상기 제4 감지부(222)는 상기 제3 감지부(221)로부터 절곡될 수 있다. 상기 제3 감지부(221) 및 상기 제4 감지부(222)는 직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감지부(221) 및 상기 제4 감지부(222)가 모두 직선을 포함함으로써, L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3 감지부(221) 및 상기 제4 감지부(222)가 이루는 각도는 다양할 수 있다.
상기 제3 감지부(221) 및 상기 제4 감지부(222)는 복수 개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감지부(221) 및 상기 제4 감지부(222)는 교대로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3 감지부(221) 및 상기 제4 감지부(222)는 교대로 반복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3 감지부(221)는 상기 제1 감지전극(210)의 상기 제1 감지부(211)와 동일한 방향성을 가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제4 감지부(222)는 상기 제1 감지전극(210)의 상기 제2 감지부(212)와 동일한 방향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감지전극(210) 및 제2 감지전극(220)은 서로 맞물리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터치 인식의 불감대(dead zone)를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윈도우에 터치 시, 상기 감지전극(200) 내에 형성된 저항 및 정전 용량(capacitance) 값에 의해 변형된 신호를 기준 신호와 상호 비교하여 위치를 판별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감지전극(200) 내에는 균일한 저항 설계를 통해 기준 신호가 상기 감지전극(200)을 횡단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감지전극(210) 및 상기 제2 감지전극(220) 각각에는 균일한 저항에 의한 기준 신호가 횡단할 수 있다. 터치 시, 상기 감지전극(200)에 형성된 저항 및 정전 용량에 의한 전압 변화가 발생하고, 여기서 시간에 따른 전압 변화를 계산함으로써, 접촉위치를 계산할 수 있다. 즉, 전압 변화에 따른 시간응답에 대한 시간차가 발생하고, 이에 의해 변형된 신호를 기준 신호와 비교하여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새로운 감지전극 패턴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윈도우의 다양한 구조를 확보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에서는 상기 감지전극(200)의 수평 방향의 동일 선상에 두 지점 이상이 동시에 터치 되었을 경우뿐만 아니라, 수직 방향의 동일 선상에 두 지점 이상이 동시에 터치 되었을 경우에도 정확한 위치를 인식할 수 있다. 즉, 상기 기판(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상의 축(L)이 정의되고, 상기 축(L)의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두 지점(A, B)이 터치 되었을 경우, 상기 축(L) 상에 배치되는 제1 감지전극(210)의 일부 및 제2 감지전극(220)의 일부가 상기 두 지점(A, B)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A지점의 터치는 상기 축(L) 상의 상기 제1 감지전극(210)이 감지하고, B지점의 터치는 상기 축(L) 상의 상기 제2 감지전극(220)이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위치의 정확성을 향상하고, 멀티 터치를 구현할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를 설명한다. 명확하고 간략한 설명을 위해 앞서 설명한 부분과 동일 또는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3 내지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의 일 평면도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감지전극(210)은 방향성이 서로 다른 제1 감지부(211) 및 제2 감지부(221)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감지부(211) 및 제2 감지부(221)는 곡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감지부(221)는 상기 제1 감지부(211)로부터 곡선을 이루며 연장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제1 감지부(211) 및 제2 감지부(221)는 만곡 형상을 이룰 수 있다.
이어서,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감지전극(210)은 방향성이 서로 다른 제1 감지부(211) 및 제2 감지부(221)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감지부(211) 및 제2 감지부(221)는 직선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감지부(211) 및 제2 감지부(221)가 이루는 각도는 직각일 수 있다.
이어서, 도 5를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터치 윈도우는 더미 패턴(4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더미 패턴(450)은 제1 감지전극(210) 및 제2 감지전극(2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더미 패턴(450)과 상기 제1 감지전극(210) 사이의 거리 및 상기 더미 패턴(450)과 상기 제2 감지전극(220) 사이의 거리는 1 mm 이하 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더미 패턴(450)과 인접하는 더미 패턴(450) 사이의 거리는 1 mm 이하 일 수 있다.
이를 통해, 상기 제1 감지전극(210)과 상기 제2 감지전극(220) 사이에 이격된 부분에 의해 패턴이 시인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시인성을 향상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감지전극은 제1 감지전극(210), 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2 감지전극(220) 및 이에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3 감지전극(230)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 감지전극(210), 제2 감지전극(220) 및 제3 감지전극(230)은 상기 기판(100)의 길이 방향과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때, 유효 영역(AA) 및 비유효 영역(UA)은 상기 기판(100)의 길이 방향과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상기 기판(100)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상의 축(L)이 정의되고, 상기 축(L)의 동일 선상에 위치하는 세 지점(C, D, E)이 터치 되었을 경우, 상기 축(L) 상에 배치되는 제1 감지전극(210)의 일부, 제2 감지전극(220)의 일부 및 제3 감지전극(230)의 일부가 상기 세 지점(C, D, E)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C지점의 터치는 상기 축(L) 상의 상기 제1 감지전극(210)이 감지하고, D지점의 터치는 상기 축(L) 상의 상기 제2 감지전극(220)이 감지하며, E지점의 터치는 상기 축(L) 상의 상기 제3 감지전극(230)이 감지할 수 있다. 따라서, 터치 위치의 정확성을 향상하고, 멀티 터치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터치 윈도우(10)는 구동부 합착되어 디스플레이 장치를 구성할 수 있다.
특히, 상기 구동부는 표시패널일 수 있다. 상기 표시패널은 영상을 출력하기 위한 표시영역이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장치에 적용되는 표시패널은 일반적으로 상부기판 및 하부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기판에는 데이터라인, 게이트라인 및 박막트랜지스터(TFT) 등이 형성될 수 있다. 상부기판은 하부기판과 접합되어 하부기판 상에 배치되는 구성요소들을 보호할 수 있다.
표시패널은,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가 어떠한 종류의 디스플레이장치인지에 따라 다양한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디스플레이장치는 액정표시장치(LCD), 전계방출 표시장치(Field Emission Display), 플라즈마 표시장치(PDP), 유기발광표시장치(OLED) 및 전기영동 표시장치(EPD) 등이 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표시패널은 다양한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상술한 실시예에 설명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에 포함되며, 반드시 하나의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각 실시예에서 예시된 특징, 구조, 효과 등은 실시예들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지는 자에 의하여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서도 조합 또는 변형되어 실시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조합과 변형에 관계된 내용들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실시예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실시예들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7)

  1.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전극은 방향성이 서로 다른 다수 개의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감지전극에 연결되는 다수 개의 배선들을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선들은 상기 감지전극의 일 끝단 및 상기 일 끝단과 반대되는 타 끝단에 각각 연결되는 터치 윈도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전극은 제1 감지부 및 상기 제1 감지부로부터 연장되는 제2 감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감지부 및 상기 제2 감지부는 서로 다른 방향성을 가지는 터치 윈도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부 및 상기 제2 감지부가 교대로 반복 배치되는 터치 윈도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전극은 서로 인접하여 배치되는 제1 감지전극 및 제2 감지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기판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상의 축이 정의되고,
    상기 축 상에 상기 제1 감지전극의 일부 및 상기 제2 감지전극의 일부가 배치되는 터치 윈도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감지전극 및 상기 제2 감지전극 사이에 배치되는 더미 패턴을 더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7. 터치 윈도우; 및
    상기 터치 윈도우 상에 배치되는 구동부를 포함하고,
    상기 터치 윈도우는,
    기판; 및
    상기 기판 상에 배치되고,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전극을 포함하고,
    상기 감지전극은 방향성이 서로 다른 다수 개의 감지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30117559A 2013-10-01 2013-10-01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KR20150039041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7559A KR20150039041A (ko) 2013-10-01 2013-10-01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CN201490001093.3U CN205563500U (zh) 2013-10-01 2014-09-23 触摸窗口以及包含该触摸窗口的显示器
US15/026,243 US10007366B2 (en) 2013-10-01 2014-09-23 Touch window and display including the same
PCT/KR2014/008802 WO2015050332A1 (en) 2013-10-01 2014-09-23 Touch window and display including the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30117559A KR20150039041A (ko) 2013-10-01 2013-10-01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9041A true KR20150039041A (ko) 2015-04-09

Family

ID=530294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30117559A KR20150039041A (ko) 2013-10-01 2013-10-01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50039041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4957A1 (en) * 2016-08-30 2018-03-08 Tactual Labs Co. Capacitive sensor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044957A1 (en) * 2016-08-30 2018-03-08 Tactual Labs Co. Capacitive sensor
US10386975B2 (en) 2016-08-30 2019-08-20 Tactual Labs Co. Capacitive sensor
US10503331B2 (en) 2016-08-30 2019-12-10 Tactual Labs Co. Single sided capacitive sensor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19603B1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KR102302811B1 (ko) 터치 패널
KR102108846B1 (ko) 터치 윈도우
KR20150011271A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CN107533410B (zh) 触控传感器
KR20150095394A (ko) 터치 윈도우
US20150092359A1 (en) Touch window and touch device with the same
US9547397B2 (en) Touch window and touch device the same
KR20150072838A (ko) 터치패널
KR102335116B1 (ko) 터치 스크린 패널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131192B1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37964B1 (ko) 전극부재, 이를 포함하는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29717B1 (ko) 터치 윈도우
KR20150087940A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39041A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KR102131177B1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20150087943A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KR20150097055A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119834B1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US9465245B2 (en) Touch panel
KR20150039042A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KR20150087747A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TW201519046A (zh) 觸感電極及含此之觸控螢幕面板
KR20150014375A (ko) 터치 윈도우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119608B1 (ko) 터치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