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979A - 응급전화 자동 착신 방법 및 자동 착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 Google Patents

응급전화 자동 착신 방법 및 자동 착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979A
KR20140002979A KR1020120070094A KR20120070094A KR20140002979A KR 20140002979 A KR20140002979 A KR 20140002979A KR 1020120070094 A KR1020120070094 A KR 1020120070094A KR 20120070094 A KR20120070094 A KR 20120070094A KR 20140002979 A KR20140002979 A KR 201400029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ms message
call
automatic
response
emergenc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700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성
김병주
나 탄 르
Original Assignee
엠세븐시스템 유한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엠세븐시스템 유한회사 filed Critical 엠세븐시스템 유한회사
Priority to KR10201200700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2979A/ko
Publication of KR20140002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97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90Services for handling of emergency or hazardous situations, e.g. earthquake and tsunami warning systems [ETW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18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for supporting emergency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12Messaging; Mailboxes; Announcements
    • H04W4/14Short messaging services, e.g. short message services [SMS] or unstructured supplementary service data [USSD]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50Connection management for emergency connectio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Public Health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응급 전화 자동 착신 방법 및 자동 착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으로, 응답 요청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응답 요청 SMS 메시지의 발신 번호가 자동 착신 허용 번호인지 확인하는 단계, 발신 번호가 자동 착신 허용 번호인 경우, 응답 요청 SMS 메시지 수신을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응답 요청 SMS 메시지 발신 번호로 승인 SMS 메시지 또는 거부 SMS 메시지를 전송하는 응답 SMS 메시지 전송 단계, 승인 SMS 메시지를 전송한 경우, 응급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응급 모드 상태에서 응답 요청 SMS 메시지 발신 번호로부터 호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 자동 착신하여 통화를 연결하는 자동 착신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응급전화 자동 착신 방법 및 자동 착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Method for automatically connecting emergency phone call and terminal which supports automatic connecting phone call}
본 발명은 응급전화 자동 착신 방법 및 자동 착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장애인, 노약자, 어린이 등(이하 '장애인 등')은 일반인보다 위험에 노출될 가능성이 크고 응급 상황에 대처하는 능력이 떨어질 수 있으므로, 가족 등 보호자의 지속적인 보호와 관찰이 필요하다. 그러나, 이러한 장애인 등도 사회생활, 학교생활을 지속하는 경우가 늘어나고 있으며, 보호자도 직장 생활 등으로 지속적인 보호와 관찰이 불가능한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이러한 경우, 보호자는 장애인 등과 연락이 되지 않으면 장애인 등의 안전과 건강을 걱정하게 되며, 장애인 등도 응급상황에서 적절한 대처를 하지 못하는 경우가 발생할 수 있으므로 수시로 장애인 등의 상태를 확인할 필요성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08-0008779호는 비상신호가 출력되는 응급 버튼부의 조작에 의해 응급신호를 무선전송하는 휴대수단과 휴대수단에서 전송된 응급신호를 수신하여 응급신호를 응급전화번호로 연결하여 음성메시지를 전송시키는 중개수단을 포함한 무선응급 구난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기술은 장애인 등이 스스로 응급 신호를 전송할 수 없는 경우에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고, 보호자 등이 장애인 등의 상태를 파악하고자 할 때도 장애인 등과 통화 연결을 보장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보호자의 호 연결 요청에 대해 자동 착신이 이루어지도록 하여 보호자와 보호대상자 간의 안정적인 통화를 가능토록 하여 보호대상자의 안전을 용이하게 확인할 수 있도록 하며, 장애자 등이 응급상황에 빠진 경우, 보호자가 신속히 상황을 파악하고 대처 가능하게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응급 상황이 아닌 경우, 장애인 등이 자동 착신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장애인 등의 응급 상황 파악과 동시에 장애인 등의 사생활을 보호하고자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장애인 등이 아닌 비상전화의 자동 착신이 요구되는 분야의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안정적인 비상전화 연결을 보장하고자 하는데 추가적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응급전화 자동 착신 방법은 응답 요청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응답 요청 SMS 메시지의 발신 번호가 자동 착신 허용 번호인지 확인하는 단계, 수신 번호가 자동 착신 허용 번호인 경우, 응답 요청 SMS 메시지 수신을 표시하는 단계, 단말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응답 요청 SMS 메시지 발신 번호로 승인 SMS 메시지 또는 거부 SMS 메시지를 전송하는 응답 SMS 메시지 전송 단계, 승인 SMS 메시지를 전송한 경우, 응급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응급 모드 상태에서 응답 요청 SMS 메시지 발신 번호로부터 호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 자동 착신하여 통화를 연결하는 자동 착신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양상에 따른 자동 착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는 음성신호 및 SMS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전화 번호와 자동 착신 허용 번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단말기의 설정 및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 및 송수신부로 수신된 SMS 메시지가 응답 요청 SMS 메시지이고 발신 번호가 자동 착신 허용 번호인 경우, 단말기 사용자의 입력부 조작에 따라 응답 SMS메시지를 전송하며 응답 SMS 메시지가 승인 SMS 메시지이고 승인 SMS 메시지 전송 후 응급 요청 SMS 메시지 발신 번호로부터 호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 자동으로 착신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보호자 등으로부터 호 연결요청이 있는 경우, 자동으로 착신이 이루어지게 함으로써, 보호자 등이 장애인 등의 상태를 수시로 파악하게 할 수 있으며, 장애자 등이 응급상황에 빠진 보호자가 신속히 상황을 파악하고 대처 가능하게 된다.
나아가, 장애인 등이 응급 상황에 있지 않은 경우, 자동 착신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장애인 등의 사생활을 보호할 수 있다.
나아가, 장애인 등이 아닌 비상전화의 자동 착신이 요구되는 분야의 일반인들 사이에서도 안정적인 비상전화 연결을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승인 SMS 메시지를 전송한 경우 자동 착신 절차를 나타낸 절차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거부 SMS 메시지를 전송한 경우 절차를 나타낸 절차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답 SMS 메시지 전송 명령이 없는 경우 절차를 나타낸 절차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착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의 기능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기술되는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당업자가 용이하게 이해하고 재현할 수 있도록 상세히 기술하기로 한다. 다만,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 실시 예들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것이다.
본 발명 명세서 전반에 걸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 실시예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사용자 또는 운용자의 의도, 관례 등에 따라 충분히 변형될 수 있는 사항이므로, 이 용어들의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란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나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경우를 포괄하도록 해석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응급전화 자동 착신 방법은 응답 요청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응답 요청 SMS 메시지의 발신 번호가 자동 착신 허용 번호인지 확인하는 단계, 발신 번호가 자동 착신 허용 번호인 경우, 응답 요청 SMS 메시지 수신을 표시하는 단계, 단말기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응답 요청 SMS 메시지 발신 번호로 승인 SMS 메시지 또는 거부 SMS 메시지를 전송하는 응답 SMS 메시지 전송 단계, 승인 SMS 메시지를 전송한 경우, 응급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응급 모드 상태에서 응답 요청 SMS 메시지 발신 번호로부터 호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 자동 착신하여 통화를 연결하는 자동 착신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보호자, 가족 등이 장애인 등의 상태를 파악하고자 할 때나, 비상전화의 자동 연결이 필요한 분야에서 비상전화를 연결하고자 할 때, 자동 착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로 응답 요청 SMS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10). 응답 요청 SMS 전송을 위한 단말기는 응급 서비스 기능이 지원되는 이동통신 단말기 또는 자동 착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와 통신 가능하도록 별도로 구비된 단말기일 수 있다. 또한, 응답 요청 SMS 메시지 전송은 미리 설정된 버튼을 조작함으로써 전송될 수 있으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자동 착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는 응답 요청 SMS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발신 번호가 자동 착신 허용 번호인지 확인한다(S20). 자동 착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에는 다수의 전화 번호가 저장되어 있을 수 있고, 저장된 전화 번호 중, 자동 착신을 허용할 전화번호는 사용자가 미리 선택하여 설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자동 착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에 저장된 번호 중 보호자, 병원 등의 특정 전화 번호는 자동 착신을 허용하고, 그외의 번호는 착신을 허용하지 않도록 설정할 수 있다. 또한, 자동 착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에 저장된 모든 전화 번호의 자동 착신을 허용하도록 설정할 수도 있다.
수신된 응답 요청 SMS 메시지가 자동 착신 허용 번호인 경우, 응답 요청 SMS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표시하게 된다(S30). 이때, 응답 요청 SMS 메시지 수신 표시는 진동, 특정한 알림음, 디스플레이 화면에 특정한 아이콘을 표시하는 등의 방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만, 열거된 동작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자동 착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사용자는 응답 요청 SMS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응답 SMS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응답 SMS 메시지에는 자동 착신을 허용하는 승인 SMS 메시지와 자동 착신을 거부하는 거부 SMS 메시지가 있다. 자동 착신의 승인 또는 거부는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즉, 사용자가 응급 상황에 있지 않은 경우, 호 연결을 승인할 것인지 여부를 선택할 수 있도록 하여 사용자의 사생활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한편, 응답 SMS 메시지의 전송은 자동 착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에 별도로 구현된 단축키를 조작하거나 또는 미리 지정된 조작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응답 요청 SMS 메시지 발신 번호로 승인 SMS 메시지가 전송된 경우(S30), 자동 착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는 응급 모드로 전환된다(S40). 응급 모드는 단말기의 볼륨을 최대화하거나, 진동, 응급 톤 발생 등의 동작을 수행한다.
응급 모드 동작 중에 호 연결 요청이 수신되면(S50) 호 연결을 요청한 번호가 응답 요청 SMS 메시지를 발신한 번호인지 판단하게 된다(S60). 구체적으로, 호 연결 요청한 발신 번호가 응답 요청 SMS 메시지를 발신한 번호이고, 승인 SMS 메시지를 수신받은 발신번호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호 연결 요청 번호가 응답 요청 SMS 메시지 발신 번호인 경우, 응급 모드는 종료되고(S80) 자동으로 착신되어 통화가 연결될 수 있다(S90). 이때, 통화 연결시에는 자동 착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의 스피커폰을 활성화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자동 착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사용자뿐 아니라 사용자 주변인과도 통화 가능하게 되며, 응급 상황 파악이 보다 용이하게 된다.
한편, 도 2를 참조하면, 자동 착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사용자가 거부 SMS 메시지를 전송한 경우(S100), 응답 요청 SMS 메시지 발신 번호로부터 호 연결 요청이 있더라도 자동으로 착신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거부 SMS 메시지를 전송한 경우, 자동 착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는 응답 모드로 전환되지 않는다. 또한 호 연결 요청이 있더라도 자동으로 착신되지 않고, 사용자의 착신 여부 선택에 따라 사용자의 단말기 조작에 의해 수동으로 통화가 연결되게 된다.
한편, 도 3을 참조하면, 자동 착신 허용번호로부터 응답 요청 SMS 메시지가 수신된 후(S10 내지 S30), 일정시간 내에 응답 SMS 메시지 전송이 없는 경우(S31), 자동으로 승인 SMS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S40).
즉, 사용자가 응급상황에 있는 경우, 응답 SMS 메시지 전송을 위한 조작이 불가능한 경우가 있으므로, 일정 시간 내에 응답 SMS 메시지 전송이 없으면, 자동으로 승인 SMS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자동 착신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이다. 이때, 자동으로 승인 SMS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자동으로 승인 SMS 메시지가 전송된 경우, 이후의 절차는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승인 SMS 메시지가 전송된 경우와 동일하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승인 SMS 메시지가 전송된 후 응답 요청 SMS 메시지 발신번호로부터 일정 시간 내에 호 연결 요청이 없는 경우, 자동으로 응급 모드를 종료할 수 있다. 즉, 자동 착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가 응급 모드로 동작 중인경우, 배터리 소모량이 늘어나게 되며, 응급 모드가 무한정 지속되게 되면 단말기의 배터리 방전이 일어날 수 있다. 따라서, 일정시간 경과 후에는 자동으로 응급모드를 종료하도록 하여, 배터리 사용의 효율성을 증대시키고, 방전을 방지하여 안정적인 응급 통화 연결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한 것이다. 이때, 응급모드 종료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한편, 상기된 응급 전화 자동 착신 방법은 프로그램화되어 자동 착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에 탑재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착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의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착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는 음성신호 및 SMS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100), 전화 번호와 자동 착신 허용 번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200), 단말기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300), 단말기의 설정 및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400),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500),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600), 및 송수신부로 수신된 SMS 메시지가 응답 요청 SMS 메시지이고 발신 번호가 자동 착신 허용 번호인 경우, 단말기 사용자의 입력부 조작에 따라 응답 SMS메시지를 전송하며 응답 SMS 메시지가 승인 SMS 메시지이고 승인 SMS 메시지 전송 후 응급 요청 SMS 메시지 발신 번호로부터 호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 자동으로 착신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700)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동 착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는 음성신호 및 SMS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100)를 포함한다. 송수신부(100)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SMS 서비스 및 통화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한 것으로, 이동통신망은 CDMA, WCDMA, GSM 등 이동통신 표준에 의한 다양한 방식일 수 있다.
메모리부(200)는 자동 착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전화번호를 저장하고, 저장된 번호 중 자동 착신을 허용할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자동 착신을 허용할 전화번호는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선택되어 지정될 수 있고, 메모리부(200)에 저장된 모든 전화번호 또는 특정한 전화번호를 지정하여 자동 착신이 허용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메모리부(200)는 플래쉬 메모리, ROM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전화 번호와 자동 착신을 허용할 전화번호에 대한 정보 외에도 단말기 동작을 위한 어플리케이션 데이터, 단말기 시스템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은 이러한 것을 포함하도록 해석된다.
입력부(300)는 자동 착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구성으로 키패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응답 SMS 전송을 위한 키를 별도로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400)와 결합되어 터치스크린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400)는 사용자에게 단말기 설정 및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는 구성으로, LCD, LED, OLED 등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할 수 있다.
스피커(500)는 음성신호를 출력하고, 마이크(600)는 음성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구성으로, 제어부(700)에 의해 감도 및 볼륨이 조절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응급모드에서 자동 착신이 이루어진 경우, 제어부(700)는 스피커(500)의 볼륨과 마이크(600)의 감도를 조절하여 스피커폰으로 동작할 수 있도록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700)는 자동 착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의 자동 착신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구성으로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가 결합된 마이크로 프로세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700)의 기능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다만, 도시된 각 블록은 특정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소프트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및 하드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고, 구체적 동작에 있어 명확히 구분되지 않을 수 있다. 도면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동 착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의 제어부(700)는 송수신부로 수신된 SMS 메시지가 응답 요청 SMS 메시지인지 여부 및 메모리부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발신번호가 자동 착신 허용 번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710), 수신된 SMS 메시지가 응답 요청 메시지이며, 발신번호가 자동 착신 허용 번호인 경우, 응답 요청 SMS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제어부(720), 사용자의 입력부 조작에 따라 송수신부를 통해 승인 SMS 메시지 또는 거부 SMS 메시지를 전송하는 응답 SMS 메시지 전송 제어부(730), 승인 SMS 메시지가 전송된 후 응답 요청 SMS 메시지 발신번호로부터 호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 자동으로 착신하도록 제어하는 자동 착신 제어부(740)를 포함할 수 있다.
단말기의 송수신부를 통해 SMS 메시지가 수신된 경우, 판단부(710)는 수신된 SMS 메시지가 응답 요청 SMS 메시지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응답 요청 SMS 메시지의 헤더에는 발신 번호 정보가 포함될 수 있고 응답 요청 SMS 메시지임을 나타내는 특정한 비트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응답 요청 SMS 메시지임을 나타내는 특정한 문자열을 포함할 수도 있다.
판단부(710)는 수신된 SMS 메시지를 분석하여 헤더에 응답 요청 SMS 메시지임을 표시하는 특정 비트가 포함되어 있거나, 특정 문자열이 포함된 경우 응답 요청 SMS 메시지로 판단할 수 있다.
판단부(710)는 수신된 SMS 메시지가 응답 요청 SMS 메시지로 판단된 경우, 발신번호가 자동 착신 허용 번호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판단부(710)는 SMS 메시지의 발신번호가 메모리부(200)에 저장된 자동 착신 허용 번호와 일치하는지 여부를 검색함으로써 자동 착신 허용 번호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한편, 자동 착신 허용 번호로부터 수신된 응답 요청 SMS 메시지로 판단된 경우, 표시 제어부(720)는 응답 요청 SMS가 수신되었음을 알리기 위해 단말기를 제어하게 된다. 구체적으로, 단말기의 진동, 수신 알림음이 울리도록 제어하고, 디스플레이부의 화면상에 응답 요청 SMS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알리는 특정한 아이콘 또는 문자열을 표시할 수 있다.
응답 SMS 전송 제어부(730)는 단말기 사용자의 입력부(300) 조작에 따라 응답 SMS 메시지를 응답요청 SMS 메시지 발신번호로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응답 SMS 메시지는 승인 SMS 메시지 또는 거부 SMS 메시지일 수 있고, 단말기 사용자가 입력부(300)를 미리 설정된 특정한 패턴으로 조작하거나 별도로 구비된 단축키를 누름으로써 선택되어 전송될 수 있다. 다만, 응답 SMS 메시지 전송을 위한 입력부(300)의 조작은 상기된 방법 외에 다양한 방법으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응답 SMS 전송 제어부(730)는 자동 착신 허용 번호로부터 응답 요청 SMS 메시지가 수신된 후 일정 시간 내에 응답 SMS 메시지 전송이 없는 경우, 자동으로 승인 SMS 메시지를 전송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자동으로 승인 SMS 메시지를 전송할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자동 착신 제어부(740)는 승인 SMS 메시지가 전송된 후, 응답 요청 SMS 메시지 발신 번호로부터 호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 자동으로 착신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호 연결 요청이 수신된 경우 판단부는 SMS 메시지가 전송된 발신 번호인지 여부를 판단하게 되며, 승인 SMS 메시지가 전송된 발신 번호인 경우 자동 착신 제어부(740)는 자동으로 착신하여 통화를 연결하게 된다. 이때, 자동 착신 제어부(740)는 자동 착신과 동시에 스피커폰이 활성화되도록 스피커(500)와 마이크(600)를 제어할 수 있다.
한편, 수신된 호 연결 요청이 승인 SMS 메시지가 전송된 발신 번호가 아니거나, 거부 SMS 메시지가 전송된 후 호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에는 자동 착신 제어부(740)는 자동 착신 동작을 수행하지 않으며,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수동으로 착신이 이루어지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700)는 승인 SMS 메시지가 전송된 경우, 단말기를 응급 모드로 전환하고, 승인 SMS 전송 후 일정 시간 내에 호 연결 요청이 없는 경우, 응급 모드를 자동으로 종료할 수 있다. 응급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단말기는 볼륨을 최대화하거나, 진동, 응급 톤 발생 등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으며, 응급 모드를 자동으로 종료하기 위한 시간은 사용자에 의해 미리 설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송수신부 200: 메모리부
300: 입력부 400: 디스플레이부
500: 스피커 600: 마이크
700: 제어부 710: 판단부
720: 표시 제어부 730: 응답 SMS 전송 제어부
740: 자동 착신 제어부

Claims (10)

  1. 자동 착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의 응급전화 자동 착신 방법에 있어서,
    응답 요청 SMS(Short Message Service)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
    수신된 응답 요청 SMS 메시지의 발신 번호가 자동 착신 허용 번호인지 확인하는 단계;
    발신 번호가 자동 착신 허용 번호인 경우, 응답 요청 SMS 메시지 수신을 표시하는 단계;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응답 요청 SMS 메시지 발신 번호로 승인 SMS 메시지 또는 거부 SMS 메시지를 전송하는 응답 SMS 메시지 전송 단계;
    승인 SMS 메시지를 전송한 경우, 응급 모드로 전환하는 단계; 및
    응급 모드 상태에서 응답 요청 SMS 메시지 발신 번호로부터 호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 자동 착신하여 통화를 연결하는 자동 착신 단계;를 포함하는 응급전화 자동 착신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응답 SMS 메시지 전송 단계는 일정 시간 내에 응답 SMS 메시지 전송이 없는 경우, 자동으로 승인 SMS 메시지를 전송하는 응급전화 자동 착신 방법.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승인 SMS 메시지 전송 후 일정 시간 내에 응답 요청 SMS 발신 번호로부터 호 연결 요청이 없는 경우 자동으로 응급모드를 종료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응급전화 자동 착신 방법.
  4. 제 3 항에 있어서,
    자동 착신 허용 번호는 자동 착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에 저장된 번호 중 특정 번호 또는 모든 번호에 대해서 설정될 수 있는 응급전화 자동 착신 방법.
  5. 제 4 항에 있어서,
    자동 착신단계는 통화 연결시 스피커폰을 활성화하는 응급전화 자동 착신 방법.
  6. 음성신호 및 SMS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송수신부;
    전화 번호와 자동 착신 허용 번호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메모리부;
    단말기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입력부;
    단말기의 설정 및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부;
    음성 신호를 출력하는 스피커;
    음성 신호를 입력받는 마이크; 및
    송수신부로 수신된 SMS 메시지가 응답 요청 SMS 메시지이고 발신 번호가 자동 착신 허용 번호인 경우, 단말기 사용자의 입력부 조작에 따라 응답 SMS메시지를 전송하며 응답 SMS 메시지가 승인 SMS 메시지이고 승인 SMS 메시지 전송 후 응급 요청 SMS 메시지 발신 번호로부터 호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 자동으로 착신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 착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7. 제 6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송수신부로 수신된 SMS 메시지가 응답 요청 SMS 메시지인지 여부 및 메모리부에 저장된 정보를 기초로 발신번호가 자동 착신 허용 번호인지 여부를 판단하는 판단부;
    수신된 SMS 메시지가 응답 요청 메시지이며, 발신번호가 자동 착신 허용 번호인 경우, 응답 요청 SMS 메시지가 수신되었음을 표시하도록 제어하는 표시제어부;
    사용자의 입력부 조작에 따라 송수신부를 통해 승인 SMS 메시지 또는 거부 SMS 메시지를 전송하는 응답 SMS 메시지 전송 제어부;
    승인 SMS 메시지가 전송된 후 응답 요청 SMS 메시지 발신번호로부터 호 연결 요청이 있는 경우 자동으로 착신하도록 제어하는 자동 착신 제어부;를 포함하는 자동 착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8. 제 7 항에 있어서,
    응답 SMS 전송 제어부는 자동 착신 허용 번호로부터 응답 요청 SMS 메시지가 수신된 후 일정 시간 내에 사용자로부터 응답 SMS 메시지 전송을 위한 조작이 없는 경우, 자동으로 승인 SMS 메시지를 전송하는 자동 착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9. 제 6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어부는
    승인 SMS 메시지가 전송된 경우, 단말기를 응급 모드로 전환하고, 승인 SMS 전송 후 일정 시간 내에 호 연결 요청이 없는 경우, 응급 모드를 자동으로 종료하는 자동 착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10. 제 1 항 내지 제 4 항에 따른 응급전화 자동 착신 방법이 구현된 프로그램이 탑재된 자동 착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KR1020120070094A 2012-06-28 2012-06-28 응급전화 자동 착신 방법 및 자동 착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KR2014000297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094A KR20140002979A (ko) 2012-06-28 2012-06-28 응급전화 자동 착신 방법 및 자동 착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70094A KR20140002979A (ko) 2012-06-28 2012-06-28 응급전화 자동 착신 방법 및 자동 착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979A true KR20140002979A (ko) 2014-01-09

Family

ID=501396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70094A KR20140002979A (ko) 2012-06-28 2012-06-28 응급전화 자동 착신 방법 및 자동 착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2979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868B1 (ko) * 2021-10-19 2022-12-07 주식회사 케이티 응급 구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동 휠체어 및 그 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5868B1 (ko) * 2021-10-19 2022-12-07 주식회사 케이티 응급 구조 서비스를 제공하는 전동 휠체어 및 그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145192B2 (en)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lert operation thereof
JP5538903B2 (ja) 移動通信網を用いた緊急電話の誤用・乱用防止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US20110151788A1 (en) System and Method for Automatically Switching Connection of a Wireless Interface
CA2882769A1 (en) Method and system for untethered two-way voice communication for an alarm system
CA2573480C (en) Method of call routing in a public/private communication system
CN115190197B (zh) 基于蓝牙耳机的通话方法、装置及存储介质
KR100584388B1 (ko) 이동 단말기의 호 연결 방법
JP2005295413A (ja) 通信端末装置
JP2008541651A (ja) 緊急メッセージを伝送する移動通信端末機及び方法
KR100663539B1 (ko) 긴급 메시지를 전송하는 이동통신 단말기 및 방법
JP6074688B2 (ja) 無線通話システム、無線通話親機、無線通話方法、無線通話中継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100029983A (ko) 휴대단말에서 긴급문자 서비스 방법 및 장치
JP5295147B2 (ja) 通信端末
KR20140002979A (ko) 응급전화 자동 착신 방법 및 자동 착신 기능을 지원하는 단말기
JP2010103918A (ja) 緊急通報システム
JP2018152718A (ja) 携帯電話機遠隔制御機能を有する内線電話機
KR20030045245A (ko) 휴대용 단말기의 비상시 콜 방법 및 장치
KR101818719B1 (ko) 안전대화 시스템
JP2011029812A (ja) 電話システム
KR20070010313A (ko) 이동통신 시스템에서 긴급 통화 방법
KR20140052316A (ko) 휴대단말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한 긴급 호출장치 및 긴급 호출방법
JP7424187B2 (ja) クレードルおよび無線通信システム
KR100362147B1 (ko) 휴대 전화기를 이용한 자동 방범 신고 방법
KR100645013B1 (ko) 이동통신 단말기의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한 호 연결 통제시스템 및 방법
KR101886331B1 (ko) 이동통신 시스템, 이동 단말기 및 이의 긴급 신호 처리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