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905A - 용선 탈황 제어장치 및 그 방법 - Google Patents

용선 탈황 제어장치 및 그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905A
KR20140002905A KR1020120069738A KR20120069738A KR20140002905A KR 20140002905 A KR20140002905 A KR 20140002905A KR 1020120069738 A KR1020120069738 A KR 1020120069738A KR 20120069738 A KR20120069738 A KR 20120069738A KR 20140002905 A KR20140002905 A KR 201400029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mpeller
molten iron
distance
desulfurization
lad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97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중범
김종덕
위창현
Original Assignee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제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제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97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2905A/ko
Publication of KR201400029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9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0Supplying or treating molten metal
    • B22D11/108Feeding additives, powders, or the like
    • CCHEMISTRY; METALLURGY
    • C21METALLURGY OF IRON
    • C21CPROCESSING OF PIG-IRON, e.g. REFINING, MANUFACTURE OF WROUGHT-IRON OR STEEL; TREATMENT IN MOLTEN STATE OF FERROUS ALLOYS
    • C21C1/00Refining of pig-iron; Cast iron
    • C21C1/02Dephosphorising or desulfuri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7FURNACES; KILNS; OVENS; RETORTS
    • F27DDETAILS OR ACCESSORIES OF FURNACES, KILNS, OVENS, OR RETORTS, IN SO FAR AS THEY ARE OF KINDS OCCURRING IN MORE THAN ONE KIND OF FURNACE
    • F27D27/00Stirring devices for molten material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02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 G01B11/026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length, width or thickness by measuring distance between sensor and objec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tallur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finement Of Pig-Iron, Manufacture Of Cast Iron, And Steel Manufacture Other Than In Revolving Furna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래들 내 용선 탈황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 임펠러의 축을 회전시켜 래들내 용선을 교반시키는 회전구동부와, 상기 임펠러의 상부 측에 고정 배치되며, 상기 임펠러가 래들의 용선 교반시 임펠러의 위치를 측정하는 거리측정수단과, 상기 임펠러의 용선 교반시 래들로 부원료를 투입하며, 상기 부원료의 투입시 임펠러 측으로 투입구의 길이가 연장되는 부원료공급기, 및 상기 거리측정수단을 통해 측정된 임펠러까지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와 동일할 경우, 상기 부원료공급기에서 부원료가 임펠러 측으로 투입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제공한다.

Description

용선 탈황 제어장치 및 그 방법{DEVICE FOR CONTROLLING DESULFURIZATION OF MOLTEN IRON AND METHOD THEREFOR}
본 발명은 용선 탈황 제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래들 내 용선의 탈황 반응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용선 탈황 제어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철광석을 원재료로 하여 최종 제품으로 강을 제조하는 제강 공정은 철광석을 고로에서 용해하는 제선 공정으로부터 시작된다. 철광석을 용해한 형태인 용선에 탈린 등의 예비처리 공정을 수행하여 용강을 제조한다. 용강은 불순물을 제거하는 1차 정련 공정을 거친 후 용강 내 성분을 미세하게 조정하는 2차 정련 과정을 거치게 되고, 2차 정련이 완료되면 용강 내 성분 조정이 완료된다. 2차 정련이 완료된 용강은 연속주조 공정으로 이동하게 되고, 연속주조 공정을 거쳐 슬라브, 블룸, 빌릿 등의 반제품이 성형된다. 이와 같이 성형된 반제품은 압연 등의 최종 성형과정을 거쳐 압연 코일, 후판 등 목표하는 최종 제품으로 제조된다.
용선은 1차 정련 즉 탈탄과 탈산 처리 전에 예비처리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용선 예비처리는 필요에 따라 용선의 황이나 인 성분을 제거하는 탈황, 탈린 공정을 일컫는다. 용선 예비처리는 기계식 교반법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으며, 극저린 강의 제조시 탈린 전로에서 탈린 공정을 수행하기도 한다. 예비처리가 완료된 용선은 후속 공정인 1차정련을 위해 탈탄 및 탈산 공정으로 옮겨지게 된다.
기계식 교반법은 용선을 소정의 형상의 임펠러로 교반하여 주면서 탈황제를 투입하여 용선 내의 황 성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다. 이때 사용되는 임펠러는 상부에서 하강하여 장입 래들 내 용선 중으로 침적되어 회전된다. 탈황제는 기계식 교반기 상부에서 용선 내로 투입되어 임펠러의 회전에 의해 용선 내로 분산된다. 이와 같이 용선의 효율적인 탈황 공정을 위해서는 탈황제가 용선 내에서 효과적으로 분산되는 것이 중요하다.
관련된 선행기술로는 한국등록특허 제10-0398399호(등록일; 2003.09.02, 명칭: 탈황효율 향상 방법)가 있다.
본 발명은 탈황제와 같은 부원료를 임펠러의 상단면이 용선 외부로 노출되는 시점에 정확하게 투입함으로써, 래들 내 용선의 탈황 반응 효율을 높일 수 있는 용선 탈황 제어장치 및 그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용선 탈황 제어장치는, 임펠러의 축을 회전시켜 래들내 용선을 교반시키는 회전구동부; 상기 임펠러의 상부 측에 고정 배치되며, 상기 임펠러가 래들의 용선 교반시 임펠러의 위치를 측정하는 거리측정수단; 상기 임펠러의 용선 교반시 래들로 부원료를 투입하며, 상기 부원료의 투입시 임펠러 측으로 투입구의 길이가 연장되는 부원료공급기; 및 상기 거리측정수단을 통해 측정된 임펠러까지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와 동일할 경우, 상기 부원료공급기에서 부원료가 임펠러 측으로 투입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유닛은 부원료 투입시 상기 부원료공급기의 투입구가 임펠러 측으로 연장되도록 제어하며, 상기 제어유닛은 임펠러의 회전속도가 설정된 고속으로 도달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증가되도록 상기 회전구동부를 제어할 수 있다.
상기 거리측정수단은 적외선 거리 측정기이고, 상기 임펠러의 축을 기준으로 상단면 길이의 1/4 내지 2/4 지점에서 수직 상부로 위치하며, 상기 임펠러의 축을 기준으로 상단면 길이의 1/4 내지 2/4 지점에 적외선을 조사하여 임펠러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용선 탈황 제어방법은, 임펠러의 회전속도를 상승시키면서 하강하여 래들 용선에 침적시키는 단계; 상기 임펠러가 용선에 침적되면 거리측정수단을 통해 임펠러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에서 측정된 임펠러의 위치가 설정된 기준거리와 동일할 경우, 부원료공급기를 통해 부원료를 임펠러 측으로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임펠러가 설정된 회전속도에 도달될 때까지 회전속도를 지속적으로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기준거리는, 상기 거리측정수단과 상기 임펠러의 초기위치 간의 거리와 상기 용선 교반시 임펠러의 상단면이 용선 외부로 노출되는 임펠러의 하강거리가 더해진 거리로 설정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탈황제의 용선 내 분산 단계에 탈황제를 투입함으로써, 용선 상부에 표류하는 탈황제의 양을 감소시켜 탈황제의 반응 효율 향상시킬 수 있다. 탈황제의 반응 효율이 향상됨으로써 KR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기존의 탈황 패턴과는 달리 중 부원료 투입을 위한 중속 단계를 거치지 않고 임펠러 회전 속도가 저속에서 고속으로 상승 중에 부원료가 투입되기 때문에 전체 KR 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투입된 탈황제의 대부분이 용선 내로 분산됨으로써, 탈황제와 용선 간 반응 계면을 향상시켜 탈황제의 투입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용선 탈황 중 기계식 교반법을 간략하게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는 용선 내 탈황 반응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임펠러의 회전속도에 따른 탈황제의 반응 단계를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용선 탈황 제어장치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임펠러의 위치 측정을 설명하기 위해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용선 탈황 제어과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임펠러의 회전속도별 제어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 중 동일한 구성요소들은 가능한 어느 곳에서든지 동일한 부호로 표시한다. 또한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과 관련된 용선 탈황 중 기계식 교반법을 간략하게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면을 참조하면, 용선의 탈황 공정은 철광석이 용해된 형태의 용선(M)을 받아 수용하여 탈황을 수행하여 출탕하는 순서로 이루어진다. 출탕된 탈황 용선(M)은 탈탄 전로로 이동하여 본 취련에 들어가게 된다.
용선의 탈황 공정은 주로 기계식 교반법인 KR(Kanvara Reactor) 방식과 분체 취입 방식을 사용한다.
기계식 교반법은 도시된 바와 같이, 탈황을 하고자 하는 용선을 장입 래들(1)에 장입하고, 래들(1) 상부에서 호퍼(50)를 통해 주로 괴상의 탈황제를 용선으로 투입하고 표면에 내화물을 입힌 임펠러(10)를 용선에 침지하여 회전시키면서 용선을 교반하며, 이때 발생하는 교반력에 의해 용선의 유황과 탈황제가 반응하도록 한 방법이다. 또한, 분체 취입 방식(도면에 도시하지 않음)은 장입 래들(1)의 상부에 별도로 설치된 호퍼(50)에서 탈황제를 가스와 함께 랜스를 통해 용선 내부로 취입하게 된다. 즉, 장입 래들(1)의 상부에서 랜스를 통해 가스를 용선의 내부에 불어넣어 용선을 교반하여 탈황 반응을 촉진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이 탈황제를 투입하여 용선을 교반하면, 탈황된 용선(M) 상부에 슬래그가 형성된다. 탈황이 완료된 후 크레인에 의해 장입 래들(1)이 후속 공정을 위해 옮겨지게 된다.
일반적으로, 전로제강법에서 자동차 강판 등에 사용되는 저류강을 생산하기 위해 용선 중에 포함된 유황을 일정 수준(약 0.0005%) 이하까지 제거해야 하며, 그 탈황 반응은 하기 식 1과 같다.
반응식 1
CaO(s) + [S] = (CaS) + [O]
반응식 1에서와 같이 탈황이 효율적으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산소 포텐셜이 낮아야 한다. 그러므로 산화성 분위기인 전로 조업 이전, 즉 산소 포텐셜이 낮은 용선 단계에서 황을 제거해야 하는 데, 이를 용선예비처리라고 한다.
용선예비처리에는, 침적 랜스를 통해 분말 형태의 탈황제를 운반 가스와 함께 용선 속에 취입하는 분체 취입법과, 용선 중에 침적한 교반체(Impeller)를 회선시켜 발생한 볼텍스의 상부에 탈황제를 투입하여 용선 내로 분산시킴으로써 탈황제와 용선의 접촉기회를 증가시킴으로써 탈황반응을 촉진하는 기계적 교반법(이하, KR이라 함)이 있다.
KR 작업 시 용선 상부에서 투입된 탈황제는 도 2와 같이 용선 내로 빨려 들어가 부상하며 탈황 반응하는 일시적 반응(Transitory)과, 용선 상부에 표류한 채 탈황 반응하는 영구적 반응(permanent)으로 나뉘게 된다. 이와 같은 용선과 탈황제간의 일시적 반응과 영구적 반응의 총 탈황 반응 기여율은 70 : 30으로 일시적 반응이 탈황의 주된 반응이며, 탈황제의 효율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탈황제의 용선 내 분산이 필수적이다.
탈황제의 용선내 분산 거동은 임펠러(10)의 용선 교반에 의해 형성된 볼텍스의 형상에 의존한다. 임펠러(10)의 침적 깊이(용선 표면에서 임펠러(10) 하면까지의 거리)가 일정할 경우 임펠러(10)의 회전속도에 따른 볼텍스 형상은 도 3과 같다.
도 3에서와 같이, 비교적 임펠러(10)의 회전 속도가 저속일 때에는 볼텍스 오목부(凹)가 임펠러(10) 상단면 위에 위치하며 이때 탈황제는 용선 표면에서 표류하게 된다. 이를 탈황제 '미분산' 단계라고 한다. 저속보다 다소 빠른 중속으로 회전속도를 증가시킬 경우 볼텍스 오목부는 임펠러(10) 하면과 상단면 사이에 존재하게 되며, 이때 탈황제 일부가 용선내 분산된다. 이를 '천이' 단계라고 한다. 그리고, 임펠러(10)를 고속으로 회전시킬 경우에는 볼텍스 오목부는 임펠러(10) 하면 하부에 위치하게 되고 임펠러(10)의 상단면이 용선 외부로 노출되며 탈황제가 용선 내로 분산하기 시작한다. 이를 탈황제 '분산' 단계라고 한다.
현재 KR 조업은 저속으로 회전하는 임펠러(10)를 일정 위치까지 용선에 침적시킨 후 중속 단계에서 탈황제와 같은 부원료를 투입하고 고속으로 증가시키고 있다. 따라서 상기에서 언급된 고속의 탈황제 분산 단계(미분산 단계 → 천이 단계 → 분산 단계)가 순차적으로 나타난다.
따라서 부원료가 투입되는 중속 단계에서 탈황제의 용선내 분산 향상을 위해서는 분산 단계, 즉 임펠러(10) 상단면이 용선 외부로 노출되는 시기에 탈황제를 투입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임펠러(10) 마모에 따른 교반력 저하로 분산 단계를 예측하기가 어려운 실정이다.
이에 본 발명은 정확한 탈황제 분산 단계의 예측을 통해 적절한 시기에 탈황제를 투입하는 것에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용선 탈황 제어장치를 나타낸 도면으로, 제어장치는 임펠러(10), 승하강구동부(110), 회전구동부(120), 거리측정수단(130), 부원료공급기(140), 및 제어유닛(150)을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임펠러(10; Impeller)는 원주 상에 동일 간격의 방사 형태로 형성된 복수의 날개를 구비하며, 임펠러(10)의 중심에는 회전축(15)이 연결되어 있다. 임펠러(10)는 용선에 침적되어 회전에 따라 용선을 교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임펠러(10)는 승하강구동부(110)에 의해 상/하로 이동되고, 회전구동부(120)에 연결되어 모터와 같은 회전구동부(120)의 회전력을 전달받아 회전된다.
승하강구동부(110) 및 회전구동부(120)는 회전축(15)에 연결되어 회전축(15)을 상/하로 이동시킴과 아울러 회전시키게 된다.
용선을 포함한 유동성 물질은 고속으로 회전하는 임펠러(10)의 날개 사이를 지나갈 때 날개로부터 에너지를 공급받아 흐르게 된다. 일반적으로 용선은 임펠러(10)의 수직 또는 회전 방향을 따라 유동되게 된다.
임펠러(10)는 하부 측으로 갈수록 돌출된 날개의 길이가 점차 짧아지는 원추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임펠러(10)에 의해 전달되는 에너지로 인해, 용선의 움직임이 생기고, 고속으로 임펠러(10)가 회전되면 볼텍스(vortex; 소용돌이)가 형성되는 것이다.
거리측정수단(130)은 임펠러(10)의 상부 측에 고정 배치되며, 임펠러(10)가 래들(1)의 용선 교반시 임펠러(10)의 위치를 측정하게 된다. 거리측정수단(130)은 적외선 측정기로, 임펠러(10)의 축(15)을 기준으로 상단면 길이의 1/4 내지 2/4 지점에서 수직 상부로 위치하게 된다.
부원료공급기(140)는 임펠러(10)의 용선 교반시 래들(1)로 부원료를 투입하며, 부원료의 투입시 임펠러(10) 측으로 투입구(141)의 길이가 연장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투입구(141)는 부원료 투입시 임펠러(10) 측으로 길이가 연장되도록 제어되는 데, 투입구(141)는 구동수단(145)에 의해 길이가 가변될 수 있다. 구동수단(145)은 투입구(141)의 외면에 구동 로드가 연결된 에어실린더가 될 수 있으며, 로드의 작동에 따라 투입구(141)의 길이가 조절될 수 있다. 물론, 모터와 체인 등에 의해 투입구(141)의 길이가 조절될 수도 있다.
제어유닛(150)은 거리측정수단(130)을 통해 측정된 임펠러(10)까지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와 동일할 경우, 부원료공급기(140)에서 부원료가 임펠러(10) 측으로 투입되도록 제어하게 된다. 여기서, 제어유닛(150)은 부원료 투입시 부원료공급기(140)의 투입구(141)가 임펠러(10) 측으로 연장되도록 구동수단(145)를 제어하게 되고, 임펠러(10)의 회전속도가 설정된 고속으로 도달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증가되도록 회전구동부(120)를 제어하게 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펠러(10)의 초기위치에서 거리측정수단(130)과 임펠러(10)의 날개 상단면 간의 초기거리(D1)는 거리측정수단(130)으로 측정되는 것이다. 제어유닛(150)은 거리측정수단(130)로 측정된 임펠러(10)의 초기 위치(D1)와 승하강구동부(110)에 의해 목표 위치까지 하강되는 임펠러(10)의 하강거리(D2)를 더한 총 거리를 기준거리(Dref)로 저장하는 것이다.
거리측정수단(130)은 도 6과 같이 임펠러(10)의 축(15)을 기준으로 상단면 길이(ⓐ)의 1/2 이하 지점(ⓑ)에서 수직 상부로 위치하며, 임펠러(10)의 축(15)을 기준으로 상단면 길이(ⓐ)의 1/4 내지 2/4 지점(ⓑ)에 적외선을 조사하여 임펠러(10)의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임펠러(10)가 회전하면 용선의 중앙부분에서 볼텍스(vortex)가 형성되고, 용선의 중앙부에서 볼텍스의 오목부(凹)가 형성된다.
임펠러(10)가 저속으로 회전되는 경우에는, 도 3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볼텍스의 오목부가 임펠러(10)의 상부 측에 이격되게 위치하게 되며, 임펠러(10)가 점차 고속으로 회전되면서 볼텍스의 오목부는 깊어지는 것이다. 예컨대, 임펠러(10)가 용선 내에서 중저속으로 회전될 경우에는 볼텍스의 깊이가 얕아 임펠러(10)의 상단면이 외부로 노출되지 않을 것이며, 이때 거리측정수단(130)을 통해 측정된 임펠러(10)의 위치, 즉 거리측정수단(130)과 임펠러(10) 상단면 간의 측정거리(Dm)는 용선으로 인해 기준거리(Dref)보다 작을 것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용선 탈황 제어장치의 작동 과정을 도 7의 순서도를 참조하여 살펴보고자 한다.
먼저, 거리측정수단(13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임펠러(10) 초기 위치에서 거리측정수단(130)과 임펠러(10)의 상단면까지의 거리(D1)를 측정하고, 측정된 초기거리(D1)와 용선 교반시 임펠러(10)의 하강거리(D2)가 더해진 기준거리(Dref)를 제어유닛(150)에 저장한다(S10).
이어, 임펠러(10)는 회전구동부(120)의 구동에 따라 회전되기 시작하며, 승하강구동부(110)에 의해 래들(1) 내 용선측으로 하강되기 시작한다. 임펠러(10)는 하강되면서 회전속도가 증가된다(S20).
임펠러(10)는 저속에서, 예컨대 30 내지 40rpm에서 용선에 침적된다. 임펠러(10)는 침적 후에도 설정된 목표위치에 도달될 때까지 회전속도가 증가되면서 하강된다(S30). 임펠러(10)의 하강 깊이는 전체 용선 깊이의 절반 정도의 깊이로 침적되는 데, 바람직하게는 전체 용선 깊이의 2/5 지점까지 침적시킨다. 임펠러(10)가 전체 용선 깊이의 2/5 이하의 지점으로 침적되면 용선을 회전시키는데 많은 부하가 걸려 내구성에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임펠러(10)가 목표 위치까지 침적되면, 거리측정수단(130)은 임펠러(10)의 위치를 측정하게 된다(S40). 임펠러(10)의 침적 초기(미분산 단계; 저속)에는 임펠러(10)의 상단면이 용선 외부로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측정거리가 기준거리보다 작을 수밖에 없다.
이어, 임펠러(10)는 회전구동부(120)에 의해 회전속도가 계속 상승하여 천이 단계(중속)가 지나면서 임펠러(10)의 상단면이 용선 외부로 노출되기 시작한다. 한편, 제어유닛(150)은 거리측정수단(130)을 통해 측정된 임펠러(10)의 위치, 즉 즉 거리측정수단(130)과 임펠러(10) 상단면 간의 측정거리(Dm)가 기준거리(Dref)와 동일한지를 비교하고(S50), 측정된 임펠러(10)의 위치가 기준거리보다 작을 경우에는 회전속도를 증가시키면서 임펠러(10)의 위치를 반복적으로 측정한다(S60).
제어유닛(150)은 측정된 임펠러(10)의 위치가 기준거리(Dref)와 동일할 경우에는, 임펠러(10)가 회전하면서 발생하는 볼텍스의 오목부를 통해 임펠러(10)의 상단면이 용선 외부로 노출된 것으로 간주할 수 있다. 즉, 임펠러(10)의 상단면(ⓐ)이 적어도 1/4 내지 2/4 정도(ⓑ)가 노출되면 임펠러(10)의 위치(Dm)가 기준거리(Dref)와 동일해지며, 이 시기는 부원료인 탈황제가 용선 내에서 분산이 왕성하게 일어나는 탈황제 분산 단계로 볼 수 있다.
이에 따라 제어유닛(150)은 구동수단(145)을 제어하여 부원료공급기(140)의 투입구(141)가 임펠러(10) 측으로 길이 연장되도록 한 후 부원료공급기(140)의 부원료가 임펠러(10) 측으로 투입되도록 제어하게 된다(S70). 여기서, 부원료를 임펠러(10) 측으로 공급하는 이유는 볼텍스가 왕성한 부분에서 탈황제 분산 활동이 잘 일어나기 때문이다.
이어, 제어유닛(150)은 도 8에서와 같이 부원료를 용선으로 투입한 후에도 임펠러(10)가 설정된 목표 회전속도에 도달될 때까지 계속 회전속도를 증가시킨다(S80).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적용된 임펠러(10)의 회전속도는 저속에서 설정된 목표 속도까지 계속 상승되기 때문에 전체 KR 공정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탈황제의 용선 내 분산 단계에 탈황제를 투입함으로써, 용선 상부에 표류하는 탈황제의 양을 감소시켜 탈황제의 반응 효율 향상시킬 수 있다. 탈황제의 반응 효율이 향상됨으로써 KR 작업 시간을 단축할 수 있고, 기존의 탈황 패턴과는 달리 중 부원료 투입을 위한 중속 단계를 거치지 않고 임펠러(10) 회전 속도가 저속에서 고속으로 상승 중에 부원료가 투입되기 때문에 전체 KR 공정 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
또한, 투입된 탈황제의 대부분이 용선 내로 분산됨으로써, 탈황제와 용선 간 반응 계면을 향상시켜 탈황제의 투입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용선 탈황 제어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 래들 10: 임펠러
15: 회전축 110: 승하강구동부
120: 회전구동부 130: 거리측정수단
140: 부원료공급기 141: 투입구
145: 구동수단 150: 제어유닛

Claims (8)

  1. 임펠러의 축을 회전시켜 래들내 용선을 교반시키는 회전구동부;
    상기 임펠러의 상부 측에 고정 배치되며, 상기 임펠러가 래들의 용선 교반시 임펠러의 위치를 측정하는 거리측정수단;
    상기 임펠러의 용선 교반시 래들로 부원료를 투입하며, 상기 부원료의 투입시 임펠러 측으로 투입구의 길이가 연장되는 부원료공급기; 및
    상기 거리측정수단을 통해 측정된 임펠러까지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기준거리와 동일할 경우, 상기 부원료공급기에서 부원료가 임펠러 측으로 투입되도록 제어하는 제어유닛;을 포함하는 용선 탈황 제어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부원료 투입시 상기 부원료공급기의 투입구가 임펠러 측으로 연장되도록 제어하는 용선 탈황 제어장치.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어유닛은 임펠러의 회전속도가 설정된 고속으로 도달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증가되도록 상기 회전구동부를 제어하는 용선 탈황 제어장치.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거리측정수단은 적외선 거리 측정기이고, 상기 임펠러의 축을 기준으로 상단면 길이의 1/4 내지 2/4 지점에서 수직 상부로 위치하며, 상기 임펠러의 축을 기준으로 상단면 길이의 1/4 내지 2/4 지점에 적외선을 조사하여 임펠러의 위치를 감지하는 용선 탈황 제어장치.
  5. 임펠러의 회전속도를 상승시키면서 하강하여 래들 용선에 침적시키는 단계;
    상기 임펠러가 용선에 침적되면 거리측정수단을 통해 임펠러의 위치를 측정하는 단계;
    상기에서 측정된 임펠러의 위치가 설정된 기준거리와 동일할 경우, 부원료공급기를 통해 부원료를 임펠러 측으로 투입하는 단계; 및
    상기 임펠러가 설정된 회전속도에 도달될 때까지 회전속도를 지속적으로 증가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용선 탈황 제어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기준거리는, 상기 거리측정수단과 상기 임펠러의 초기위치 간의 거리와 상기 용선 교반시 임펠러의 상단면이 용선 외부로 노출되는 임펠러의 하강거리가 더해진 거리로 설정되는 용선 탈황 제어방법.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임펠러의 회전속도는 저속에서 설정된 고속에 도달될 때까지 지속적으로 증가되는 용선 탈황 제어방법.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부원료공급기는 부원료가 투입될 때 투입구가 임펠러 측으로 연장되는 용선 탈황 제어방법.
KR1020120069738A 2012-06-28 2012-06-28 용선 탈황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20140002905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738A KR20140002905A (ko) 2012-06-28 2012-06-28 용선 탈황 제어장치 및 그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9738A KR20140002905A (ko) 2012-06-28 2012-06-28 용선 탈황 제어장치 및 그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905A true KR20140002905A (ko) 2014-01-09

Family

ID=501396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9738A KR20140002905A (ko) 2012-06-28 2012-06-28 용선 탈황 제어장치 및 그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2905A (ko)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5374A (ko) 2014-04-04 2015-10-14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금속 정련장치 및 그 정련방법
KR20150135900A (ko) 2014-05-26 2015-12-04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금속 정련장치 및 그 정련방법
WO2017099285A1 (ko) * 2015-12-10 2017-06-15 주식회사 포스코 용선 처리 장치 및 용선 처리 방법
KR20210073118A (ko) * 2019-12-10 2021-06-18 주식회사 포스코 용선 탈황 장치의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283576B1 (ko) * 2020-05-29 2021-07-29 다이아몬드 엔지니어링 씨오., 엘티디. 기계 교반식 탈황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15374A (ko) 2014-04-04 2015-10-14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금속 정련장치 및 그 정련방법
KR20150135900A (ko) 2014-05-26 2015-12-04 주식회사 포스코 용융금속 정련장치 및 그 정련방법
WO2017099285A1 (ko) * 2015-12-10 2017-06-15 주식회사 포스코 용선 처리 장치 및 용선 처리 방법
CN108368559A (zh) * 2015-12-10 2018-08-03 株式会社Posco 熔融金属处理装置和熔融金属处理方法
KR20210073118A (ko) * 2019-12-10 2021-06-18 주식회사 포스코 용선 탈황 장치의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KR102283576B1 (ko) * 2020-05-29 2021-07-29 다이아몬드 엔지니어링 씨오., 엘티디. 기계 교반식 탈황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2905A (ko) 용선 탈황 제어장치 및 그 방법
JP5862738B2 (ja) 溶銑の脱硫処理用精錬容器
JP4998676B2 (ja) インペラーを用いた溶融金属の攪拌方法
KR101490189B1 (ko) 용선의 처리 방법
JP2006219695A (ja) 溶銑の脱硫処理方法
JP5265243B2 (ja) 一般銑を用いた極低炭素鋼の転炉吹錬方法
KR101185246B1 (ko) 용선 탈황 방법
JP2015218390A (ja) 機械式攪拌とガス攪拌とを併用した溶銑の脱硫方法
KR101277675B1 (ko) 탈황제 분산용 임펠러
KR101423604B1 (ko) 용탕 처리 장치 및 그 처리 방법
KR20140002830A (ko) 용강 정련 장치
CN113502367A (zh) 一种铁水脱硫预处理工艺及方法
JP5446300B2 (ja) 溶銑の脱硫処理方法
JP6416634B2 (ja) 溶銑鍋における脱珪および脱硫方法
JP5668641B2 (ja) 溶銑の脱硫方法
KR101840962B1 (ko) 탈황 처리 후의 용선의 복황 방지 방법
JP3825733B2 (ja) 溶銑の精錬方法
JP2005226127A (ja) 溶銑の精錬方法
JP6289204B2 (ja) 溶銑鍋における脱珪および脱硫方法
JP6347199B2 (ja) 溶銑の精錬方法
KR20220144626A (ko) 배출기
WO2021229263A1 (en) Stirring method of liquid metal and associated device
JP2016180133A (ja) 溶銑の脱硫方法
KR20150047221A (ko) 용선의 정련 방법
JP2015189992A (ja) 溶銑鍋における脱珪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