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788A - 커서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커서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788A
KR20140002788A KR1020137028925A KR20137028925A KR20140002788A KR 20140002788 A KR20140002788 A KR 20140002788A KR 1020137028925 A KR1020137028925 A KR 1020137028925A KR 20137028925 A KR20137028925 A KR 20137028925A KR 20140002788 A KR20140002788 A KR 2014000278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uch screen
cursor
screen display
input device
processing syste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89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호세 피 피콜로또
Original Assignee
인텔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텔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인텔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140002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78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5/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for visual indicators common to cathode-ray tube indicators and other visual indicators
    • G09G5/08Cursor circui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Controls And Circuits For Display Device (AREA)

Abstract

프로세싱 시스템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와, 트랙 패드 및/또는 마우스와 같은 다른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시스템은 커서 제어 컴포넌트를 가지는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포함하여 입력 신호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로부터 감지되는 경우 터치 스크린 상의 커서를 숨기고, 입력 신호가 다른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감지되는 경우 터치 스크린 상에 커서를 보여준다.

Description

커서 제어 방법{METHOD OF CURSOR CONTROL}
본 개시물은 전반적으로 프로세싱 시스템 내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 분야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프로세싱 시스템의 GUI에서 커서를 제어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트랙 패드, 마우스 또는 다른 포인팅 입력 디바이스를 사용할 때, 커서는 전형적으로 포인팅 디바이스의 현재 위치를 나타내도록 디스플레이 상에 보여진다. 어떤 프로세싱 시스템은 트랙 패드(a track pad), 마우스, 또는 다른 포인팅 입력 디바이스 뿐만 아니라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구비한다. 그러한 프로세싱 시스템에서, 이중 내비게이션 사용 모델(dual navigational usage models)(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및 트랙 패드, 마우스 또는 다른 포인팅 디바이스)을 구비하는 것은 커서의 불충분한 처리로 인해 좋지 못한 사용자 경험을 야기할 수 있다.
상세한 설명이 첨부된 도면에 관하여 제공된다. 상이한 도면 내 동일한 참조 번호의 사용은 유사하거나 동일한 아이템을 나타낸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싱 시스템에 관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커서를 제어하는 것에 관한 흐름도이다.
도 3 및 도 4는 본원에서 논의되는 일부 실시예들을 구현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는 프로세싱 시스템의 실시예들에 관한 예시적인 블록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이중 네비게이션 모드(a navigation mode)를 가지는 기존 프로세싱 시스템에서의 결함을 극복한다. 프로세싱 시스템이 트랙 패드, 마우스, 또는 다른 포인팅 입력 디바이스, 및 터치 스크린을 구비하는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트랙 패드, 마우스, 또는 다른 포인팅 입력 디바이스가 사용되는 경우에 디스플레이 상에 커서를 보여주고, 터치 스크린이 사용되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로부터 커서를 숨긴다.
다음의 설명에서, 다양한 실시예들에 관한 철저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 다양한 특정 세부사항이 개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은 그러한 특정 세부사항 없이도 실시될 수 있다. 다른 예시에서, 잘 알려진 방법, 절차, 컴포넌트, 및 회로는,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들을 모호하게 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 도시되지 않았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의 다양한 양태들은, 예컨대 집적 반도체 회로("하드웨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 상에 저장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으로 조직된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임의의 조합과 같은 다양한 수단들을 사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개시물의 목적을 위해, "로직"에 대한 참조 역시 하드웨어, (예를 들어 프로세서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코드를 포함하는) 소프트웨어, 펌웨어, 또는 이들의 임의의 조합을 의미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싱 시스템에 관한 도면이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싱 시스템(100)은, 퍼스널 컴퓨터(PC), 랩톱 컴퓨터, 넷북, 태블릿 컴퓨터, 핸드헬드 컴퓨터, 스마트 폰, 모바일 인터넷 디바이스(MID), 또는 임의의 다른 고정형 또는 이동형 프로세싱 디바이스일 수 있다. 도 1의 간략화된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프로세싱 시스템(100)은 하드웨어(102)(도 3 및 도 4에 관하여 더 논의될 것임)를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104)은 프로세싱 시스템 상에서 실행될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일 수 있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은, 예를 들어, 독립형 프로그램(a standalone program), 또는 다른 프로그램의 일부(예를 들어. 플러그-인)일 수 있고, 웹 브라우저에 대하여, 예를 들면, 이미지 프로세싱 애플리케이션, 게임, 또는 멀티미디어 애플리케이션일 수 있다. 오퍼레이팅 시스템(OS)(106)은, 잘 알려진 바와 같이, 프로세싱 시스템의 동작을 제어하도록 애플리케이션(104) 및 하드웨어(102)와 상호작용한다. OS(106)는 사용자와 다양한 입력 및 출력 디바이스 사이의 상호작용을 관리하도록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108)를 포함한다. 프로세싱 시스템(100)은 복수의 입력 및 출력 디바이스를 포함한다.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10)는 터치 스크린을 통해 사용자로부터 입력 신호를 수락할 뿐만 아니라 사용자에게 출력 데이터를 디스플레이하도록 시스템 내에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OS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10)로부터의 입력 데이터 및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10)로의 출력 데이터를 관리하도록 디스플레이 매니저 컴포넌트(112)를 포함할 수 있다. 마우스, 트랙 패드, 또는 다른 포인팅 입력 디바이스(114)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예컨대, 일 실시예의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10)) 상의 커서의 디스플레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 선택을 수락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다른 포인팅 입력 디바이스는 트랙볼, 포인팅 스틱, 그래픽 테이블(예를 들어, 디지타이징 태블릿(digitizing tablet)), 또는 디스플레이 상에 위치를 표시하거나 가리키기 위해 사용되는 다른 유사한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GUI(108)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의 커서의 디스플레이를 관리하도록 커서 제어 컴포넌트(116)를 포함한다. 커서 제어 컴포넌트(116)는 마우스, 트랙 패드, 또는 다른 포인팅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또는 디스플레이 매니저(112)를 경유하여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10)로부터 직접적으로 또는 간접적으로 입력 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서 제어 컴포넌트(116)는, 사용자가 프로세싱 시스템을 이용하고 있는 방법에 의존하여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커서를 디스플레이할지 아닐지를 판단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커서를 제어하는 것에 관한 흐름도(200)이다. 일 실시예에서, 도 2의 프로세싱 단계들 중 적어도 하나는 GUI(108)의 커서 제어 컴포넌트(116)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블록 202에서, 입력 신호는 프로세싱 시스템의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감지될 수 있고 입력 신호의 소스가 판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 신호의 감지 및 그 이벤트의 처리는 잘 알려진 바와 같이 인터럽트 메커니즘(interrupt mechanism)에 의해 프로세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입력 신호는, 입력 디바이스가 프로세싱 시스템에 접속되었기 때문에 또는 일부 사용자 움직임이 입력 디바이스에 의해 검출되었기 때문에 감지될 수 있다. 블록 204에서, 입력 신호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로부터 온 것이라면, 커서 제어 컴포넌트(116)는 GUI(108) 및/또는 디스플레이 매니저(112)에 커서를 숨기도록 신호를 보낸다. 즉,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는,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입력 신호를 발생시킴으로써 프로세싱 시스템을 작동시키는 경우 커서를 디스플레이하지 않는다. 입력 신호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로부터 오는 것이 아닌 경우, 입력 신호가 트랙 패드, 마우스, 또는 다른 포인팅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오는 것으로 가정될 수 있다. 이 경우, 커서 제어 컴포넌트는, 블록 206에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에 커서를 나타내도록 GUI 및/또는 디스플레이 매니저에 신호를 보낸다. 어느 경우든, 프로세싱은 그 다음 감지된 입력 신호로 블록 202에서 계속된다.
따라서, 이 커서 제어 메커니즘은, 사용자가 트랙 패드, 마우스, 또는 다른 포인팅 입력 디바이스를 작동시키는 경우에 사용자가 디스플레이 상에서 커서를 볼 수 있고, 사용자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를 작동시키는 경우에는 디스플레이 상에서 커서를 보지 않기 때문에 더 나은 사용자 경험을 제공한다.
도 3은 프로세싱 시스템(300)의 일 실시예에 관한 블록도를 도시한다.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시스템(300)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는,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 관하여 본원에서 설명된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는 다양한 전자 디바이스 내에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시스템(300)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는, 예를 들어, 본원에서 논의된 동작에 따른 명령어 프로세싱, 서브루틴 실행 등에 의해, 도 1 내지 도 2에 관하여 논의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또한, (예를 들어, 도 3 및/또는 도 4에 관하여) 본원에서 논의된 다양한 저장 디바이스는 데이터, 동작 결과 등을 저장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는 네트워크(303)를 통해(예를 들어,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330 및/또는 430)를 통해) 수신되고 프로세서(302)(및/또는 도 4의 402) 내에 존재하는 캐시(예를 들어, 일 실시예의 L1)에 저장될 수 있다. 그 이후 이러한 프로세서들은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 따라 본원에서 논의된 동작들을 적용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프로세싱 시스템(300)은, 상호접속 네트워크(또는 버스)(304)를 통해 통신하는 하나 이상의 중앙 프로세싱 유닛(들)(302) 또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런 이유로, 본원에서 논의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일부 실시예들에서 프로세서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더욱이, 프로세서(302)는 범용 프로세서, 컴퓨터 네트워크(303)를 통해 통신된 데이터를 프로세싱하는 네트워크 프로세서 또는 다른 타입의 프로세서(축소 명령 세트 컴퓨터(RISC) 프로세서 또는 복합 명령 세트 컴퓨터(CISC)를 포함함)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02)는 단일 또는 다중 코어 디자인을 가질 수 있다. 다중 코어 디자인을 가진 프로세서(302)는 동일한 집적 회로(IC) 다이 상에 상이한 타입의 프로세서 코어들을 통합할 수 있다. 또한, 다중 코어 디자인을 가진 프로세서(302)는 대칭 또는 비대칭 다중프로세서로서 구현될 수 있다. 더욱이,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논의된 동작들은 시스템(300)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가령, 프로세서 1(302-1))는, 하드와이어드 로직(hardwired logic)(예를 들어, 회로) 또는 마이크로코드로서 커서 제어(116), GUI(108), 및 OS(106)를 포함할 수 있다.
칩셋(306)은 또한 상호접속 네트워크(304)와 통신할 수 있다. 칩셋(306)은 그래픽 및 메모리 제어 허브(GMCH)(308)를 포함할 수 있다. GMCH(308)는 메모리(312)와 통신하는 메모리 컨트롤러(31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312)는 데이터 및/또는 명령어를 저장할 수 있다. 데이터는, 프로세서(302) 또는 프로세싱 시스템(300)에 포함된 임의의 다른 디바이스에 의해 실행되는 명령어의 시퀀스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712)는, 커서 제어(116), GUI(108), 및 OS(106)와 같이, 본원에서 논의된 하나 이상의 프로그램 또는 알고리즘, 실행가능한 것에 대응하는 명령어, 매핑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명령어, 및 임시 저장 어레이를 포함하는) 데이터의 일부 또는 동일한 것은 디스크 드라이브(328) 및/또는 프로세서(302) 내의 하나 이상의 캐시에 저장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메모리(312)는 하나 이상의 휘발성 저장(또는 메모리) 디바이스, 가령 RAM(random access memory), DRAM(dynamic RAM), SDRAM(Synchronous DRAM), SRAM(static RAM), 또는 다른 타입의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하드 디스크와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추가 디바이스는 상호접속 네트워크(304)를 통해 통신할 수 있고, 가령 다중 프로세서 및/또는 다중 시스템 메모리가 있다.
GMCH(308)는 또한 터치 스크린 디바이스(110)와 통신하는 그래픽 인터페이스(314)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그래픽 인터페이스(314)는 AGP(an accelerated graphics port)를 통해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10)와 통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110)는, 예를 들어, 비디오 메모리 또는 시스템 메모리와 같은 저장 디바이스에 저장된 이미지의 디지털 표현을 디스플레이(110)에 의해 해석되고 디스플레이되는 디스플레이 신호로 변환하는 신호 컨버터를 통해 그래픽 인터페이스(314)와 통신하는 평판 디스플레이일 수 있다. 인터페이스(314)에 의해 생성된 디스플레이 신호는, 해석되고 후속하여 디스플레이(110)에 디스플레이되기 전에 다양한 제어 디바이스를 통과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커서 제어(116)는 그래픽 인터페이스(314) 내 회로 또는 칩셋 내 다른 곳의 회로로서 구현될 수 있다.
허브 인터페이스(318)는 GMCH(308)와 입력/출력(I/O) 제어 허브(ICH)(302)가 통신하도록 할 수 있다. ICH(320)는 프로세싱 시스템(300)과 통신하는 I/O 디바이스에 인터페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ICH(320)는 주변장치 컴포넌트 상호접속(PCI) 브리지, USB 컨트롤러, 또는 다른 타입의 주변장치 브리지 또는 컨트롤러와 같은 주변장치 브리지(또는 컨트롤러)(324)를 통해 버스(322)와 통신할 수 있다. 브리지(324)는 프로세서(302)와 주변 디바이스 사이에 데이터 경로를 제공할 수 있다. 다른 타입의 토폴로지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복수의 버스는, 예를 들어, 복수의 브리지 또는 컨트롤러를 통해 ICH(320)와 통신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ICH(320)와 통신하는 다른 주변장치는, 통합 드라이브 전자장치(integrated drive electronics: IDE) 또는 소형 컴퓨터 시스템 인터페이스(SCSI) 하드 드라이브(들), USB 포트(들), 키보드, 마우스, 병렬 포드(들), 직렬 포트(들), 플로피 디스크 드라이브(들), 디지털 출력 서포트(예를 들어, 디지털 비디오 인터페이스(DVI)), 또는 다른 디바이스들을 포함할 수 있다.
버스(322)는 입력 디바이스(326)(가령 트랙 패드, 마우스, 다른 포인팅 입력 디바이스), 하나 이상의 디스크 드라이브(들)(328), 및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330)와 통신할 수 있고, 이는 컴퓨터 네트워크(303)(예를 들어, 인터넷)와 통신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디바이스(330)는 유선 또는 무선 통신을 할 수 있는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컨트롤러(NIC)일 수 있다. 다른 디바이스는 버스(322)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다양한 컴포넌트(가령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330))가 GMCH(308)와 통신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302), GMCH(308), 및/또는 그래픽 인터페이스(314)는 단일 칩을 형성하도록 조합될 수 있다.
더욱이, 프로세싱 시스템(300)은 휘발성 및/또는 비휘발성 메모리(또는 저장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휘발성 메모리는 다음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ROM(read only memory), PROM(programmable ROM), EPROM(erasable PROM), EEPROM(electrically EPROM), 디스크 드라이브(예를 들어, 328), 플로피 디스크, CD-ROM(a compact disk ROM), DVD(a digital versatile disk), 플래시 메모리, 자기-광학 디스크, 또는 전자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는(예를 들어, 명령어를 포함하는) 다른 타입의 비휘발성 머신 판독가능 매체.
일 실시예에서, 시스템(300)의 컴포넌트는 도 4를 참조하여 논의된 바와 같은 점대점(point-to-point: PtP) 구성으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 메모리, 및/또는 입력/출력 디바이스는 다수의 점대점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호접속될 수 있다.
더 구체적으로,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점대점(PtP) 구성으로 배치된 프로세싱 시스템(400)을 도시한다. 특히, 도 4는 프로세서, 메모리, 및 입력/출력 디바이스가 다수의 점대점 인터페이스에 의해 상호접속된 시스템을 보여준다. 도 1 내지 도 2를 참조하여 논의된 동작들은 시스템(400)의 하나 이상의 컴포넌트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시스템(400)은 복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고, 여기서는 명확성을 위해 두 개의 프로세서(402 및 404)만이 도시된다. 프로세서(402 및 404)는 메모리(410 및 412)와 연결하기 위해 (일부 실시예들에서 도 3의 GMCH(308)와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는) 로컬 메모리 컨트롤러 허브(MCH)(406 및 408)를 각각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메모리(312)를 참조하여 논의된 것과 같이 메모리(410 및/또는 412)는 다양한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402 및 404)는 도 3의 프로세서(302)에 관하여 논의된 것과 같은 임의의 적합한 프로세서일 수 있다. 프로세서(402 및 404)는 PtP 인터페이스 회로(416 및 418) 각각을 사용하는 점대점(PtP) 인터페이스(414)를 통해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프로세서(402 및 404)는 점대점 인터페이스 회로(426, 428, 430 및 432)를 사용하는 개별 PtP 인터페이스(422 및 424) 각각을 통해 칩셋(420)과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또한 칩셋(420)은, PtP 인터페이스 회로(437)를 사용하여, 고 성능 그래픽 인터페이스(436)를 통해 고성능 그래픽 회로(434)와 데이터를 교환할 수 있다. 그래픽(424)은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10)(도 4에 도시되지 않음)와 연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적어도 하나의 실시예는, 프로세서(402 및 404)를 사용하는 것으로써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402 및 404)는 도 1 내지 도 2의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은, 도 4의 시스템(400) 내 다른 회로, 로직 유닛, 또는 디바이스에 존재할 수 있다. 더욱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들은, 도 4 에 도시된 다수의 회로, 로직 유닛, 또는 디바이스 전체에 걸쳐 분산될 수 있다.
칩셋(420)은 PtP 인터페이스 회로(441)를 사용하여 버스(440)에 연결될 수 있다. 버스(440)는, 버스에 연결된 하나 이상의 디바이스, 예컨대 버스 브리지(442) 및 I/O 디바이스(443)를 가질 수 있다. 버스(444)를 통해, 버스 브리지(443)는, 키보드/마우스/트랙 패드(445), 도 3에 관하여 논의된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디바이스(430)(가령 모뎀, 네트워크 인터페이스 카드(NICs), 또는 컴퓨터 네트워크(303)에 연결될 수 있는 유사한 것), 오디오 I/O 디바이스(447), 및/또는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448)와 같은 다른 디바이스에 연결될 수 있다. 데이터 저장 디바이스(448)는,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402 및 404)에 의해 실행될 수 있는 커서 제어 명령어(449)를 저장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본원에서, 예를 들어, 도 1 내지 도 4에 관하여 논의된 동작들은 하드웨어(예를 들어, 로직 회로), 소프트웨어(예를 들어, 도 3 및 도 4에 관하여 논의된 프로세서와 같은 프로세서의 동작을 제어하는 마이크로-코드를 포함함), 펌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 있고, 이는 예컨대 본원에서 설명된 동작을 수행하도록 컴퓨터(예를 들어, 프로세서 또는 컴퓨팅 디바이스의 다른 로직)를 프로그래밍하는데 사용되는 내부에 저장된 명령어(또는 소프트웨어 절차)를 가지는 유형의 머신 판독가능 또는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머신 판독가능 매체는 본원에서 설명된 것과 같은 저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 또는 "실시예"에 대한 명세서에 참조는 실시예와 관련하여 설명된 특정 피쳐(feature), 구조, 또는 특성이 적어도 일 구현예에 포함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명세서 내 다양한 위치에서 "일 실시예에서"라는 문구의 등장은 모두 동일한 실시예를 참조하는 것일 수 있거나 참조하지 않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세한 설명 및 특허청구범위에서, "연결된(coupled)" 및 "접속된(connected)"이라는 용어는 이들의 파생물(derivatives)과 함께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들에서, "접속된"은 두 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서로와 직접 물리적으로 또는 전기적으로 접촉하고 있음을 나타내는데 사용될 수 있다. "연결된"은 두 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직접 물리적 또는 전기적 접촉 상태에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그러나, "연결된"은 두 개 이상의 구성요소가 서로 직접 접촉하고 있지는 않지만, 여전히 서로와 협력하거나 상호작용할 수 있음을 의미할 수도 있다.
추가적으로, 그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다운로드될 수 있으며, 여기서 프로그램은, 통신 링크(예를 들어, 버스, 모뎀, 또는 네트워크 접속)를 경유하여, 데이터 신호 방법으로 원격 컴퓨터(예를 들어, 서버)에서부터 요청 컴퓨터(예를 들어, 클라이언트)로 전송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구조적 피쳐 및/또는 방법론적 동작(methodological acts)에 대하여 특정 언어로 설명되었으나, 특허청구된 청구 대상은 설명된 특정 피쳐 또는 동작으로 한정되지 않을 수 있다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그 대신, 특정 피쳐 및 실행은 특허청구된 청구 대상을 구현하는 것에 관한 예시의 형태로서 개시된다.

Claims (9)

  1.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및 제 2 입력 디바이스를 가지는 프로세싱 시스템에서 커서를 제어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와 상기 제 2 입력 디바이스 중 하나로부터 입력 신호를 감지하는 단계와,
    상기 입력 신호가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로부터 온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의 커서를 숨기는 단계와,
    상기 입력 신호가 상기 제 2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온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커서를 보여주는 단계를 포함하는
    커서 제어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입력 디바이스는 마우스를 포함하는
    커서 제어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입력 디바이스는 트랙 패드(a track pad)를 포함하는
    커서 제어 방법.
  4.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포함하는 머신 판독가능 매체로서,
    상기 하나 이상의 명령어는,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및 제 2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시스템의 프로세서에서 실행될 때,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 2 입력 디바이스 중 하나로부터 입력 신호를 감지하고 상기 입력 신호가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로부터 온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의 커서를 숨기고, 상기 입력 신호가 상기 제 2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온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커서를 보여줌으로써, 상기 터치 스크린 상의 커서를 제어하는 하나 이상의 동작을 수행하는
    머신 판독가능 매체.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입력 디바이스는 마우스를 포함하는
    머신 판독가능 매체.
  6.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입력 디바이스는 트랙 패드를 포함하는
    머신 판독가능 매체.
  7. 프로세싱 시스템으로서,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와,
    제 2 입력 디바이스와,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 2 입력 디바이스에 연결된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GUI)를 포함하되,
    상기 GUI는,
    입력 신호가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로부터 감지되는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의 커서를 숨기고, 상기 입력 신호가 상기 제 2 입력 디바이스로부터 감지되는 경우 상기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상에 커서를 보여주는 커서 제어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입력 디바이스는 마우스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시스템.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제 2 입력 디바이스는 트랙 패드를 포함하는
    프로세싱 시스템.
KR1020137028925A 2011-04-08 2011-12-22 커서 제어 방법 KR2014000278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3/083,197 US20120260219A1 (en) 2011-04-08 2011-04-08 Method of cursor control
US13/083,197 2011-04-08
PCT/US2011/066966 WO2012138395A1 (en) 2011-04-08 2011-12-22 Method of cursor control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788A true KR20140002788A (ko) 2014-01-08

Family

ID=46967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8925A KR20140002788A (ko) 2011-04-08 2011-12-22 커서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120260219A1 (ko)
KR (1) KR20140002788A (ko)
CN (1) CN103502907A (ko)
TW (1) TW201241734A (ko)
WO (1) WO2012138395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2494A1 (ko) * 2019-07-02 2021-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56082B1 (ko) 2012-05-09 2019-03-11 애플 인크. 사용자 인터페이스 객체를 선택하는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KR101823288B1 (ko) 2012-05-09 2018-01-29 애플 인크. 제스처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 상태들 사이를 전이하기 위한 디바이스, 방법, 및 그래픽 사용자 인터페이스
WO2013169846A1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additional information in response to a user contact
WO2013169843A1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anipulating framed graphical objects
JP6182207B2 (ja) 2012-05-09 2017-08-16 アップル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オブジェクトのアクティブ化状態を変更するためのフィードバックを提供するためのデバイス、方法、及びグラフィカル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
WO2013169849A2 (en) 2012-05-09 2013-11-14 Industries Llc Yknots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displaying user interface objects corresponding to an application
WO2013169865A2 (en) 2012-05-09 2013-11-14 Yknots Industries Llc Device, method, and graphical user interface for moving a user interface object based on an intensity of a press input
CN104508618B (zh) 2012-05-09 2018-01-05 苹果公司 用于针对在用户界面中执行的操作提供触觉反馈的设备、方法和图形用户界面
US20130321467A1 (en) * 2012-06-01 2013-12-05 Microsoft Corporation Using snapshots to represent slow applications
CN103105932B (zh) * 2013-03-06 2015-11-04 冠捷显示科技(厦门)有限公司 一种控制信号的反馈系统及交互方式
US9632664B2 (en) 2015-03-08 2017-04-25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US10095396B2 (en) 2015-03-08 2018-10-09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interacting with a control object while dragging another object
US9639184B2 (en) 2015-03-19 2017-05-02 Apple Inc. Touch input cursor manipulation
US20170045981A1 (en) 2015-08-10 2017-02-16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Based on Their Intensities
US9860451B2 (en) 2015-06-07 2018-01-02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capturing and interacting with enhanced digital images
US9830048B2 (en) 2015-06-07 2017-11-28 Apple Inc. Devices and methods for processing touch inputs with instructions in a web page
US9880735B2 (en) 2015-08-10 2018-01-30 Apple Inc. Devices, methods, and graphical user interfaces for manipulating user interface objects with visual and/or haptic feedback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904823B2 (en) * 2003-03-17 2011-03-08 Oracle International Corporation Transparent windows methods and apparatus therefor
JP2005202887A (ja) * 2004-01-19 2005-07-28 Kyocera Mita Corp 画像処理装置
WO2006003590A2 (en) * 2004-06-29 2006-01-12 Koninklijke Philips Electronics, N.V. A method and device for preventing staining of a display device
CN100437451C (zh) * 2004-06-29 2008-11-26 皇家飞利浦电子股份有限公司 用于防止弄脏显示设备的方法与设备
CN101014927A (zh) * 2004-09-14 2007-08-08 诺基亚公司 使用指示设备的方法
CN1797296A (zh) * 2004-12-24 2006-07-05 上海乐金广电电子有限公司 实物投影仪的鼠标光标处理方法
US7605804B2 (en) * 2005-04-29 2009-10-20 Microsoft Corporation System and method for fine cursor positioning using a low resolution imaging touch screen
CN100517199C (zh) * 2005-11-25 2009-07-22 苏州宇达电通有限公司 屏蔽鼠标光标控制功能的装置
CA2674663A1 (en) * 2008-10-08 2010-04-08 Research In Motion Limited A method and handheld electronic device having dual mode touchscreen-based navigation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002494A1 (ko) * 2019-07-02 2021-01-07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2138395A1 (en) 2012-10-11
TW201241734A (en) 2012-10-16
US20120260219A1 (en) 2012-10-11
CN103502907A (zh) 2014-01-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2788A (ko) 커서 제어 방법
US9952761B1 (en) System and method for processing touch actions
AU2013352248B2 (en) Using clamping to modify scrolling
US20140282273A1 (en) System and method for assigning voice and gesture command areas
WO2015103993A1 (en) Chat window presentation control method and system
US9994993B2 (en) Automated selection of settings for an ironing device
JP2012517054A5 (ko)
KR20150068957A (ko) 애플리케이션과의 상호작용으로서의 다모드 사용자 표현 및 사용자 인텐서티 검출 기법
US10008042B2 (en) Augmented reality rendered structured content
JP2016529626A (ja) サーバ/ラックシステムのブート時ピーク消費電力の最適化
JP2014135053A (ja) 電子装置のスクロール情報の表示方法及びその装置
JP2022519981A (ja) 可変速度音素発音機械
RU2649945C2 (ru) Способ улучшения распознавания касаний и электронно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US9699093B2 (en) Migration of virtual machine based on proximity to peripheral device in NUMA environment
US20150347364A1 (en) Highlighting input area based on user input
US20160070467A1 (en) Electronic device and method for displaying virtual keyboard
US9389830B2 (en) Combined multi-source input interface
JP6662861B2 (ja) ユーザアクションに応答して直接操作の有効化を決定するためのヒットテスト
US20150363101A1 (en) Video scrolling shortcuts for touchscreen display
US20150212631A1 (en) System, method,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ultiple stimulus sensors for an input device
US11068250B2 (en) Crowdsourced API resource consumption information for integrated development environments
JP2017533501A5 (ko)
KR20200083154A (ko) 사운드 기반의 메커니즘을 기반으로 스마트 표시 장치의 디스플레이를 비활성화 방법 및 시스템
US10013789B2 (en) Computerized motion architecture
CN105373499B (zh) 移除外接设备的方法及计算机系统与非瞬态可读介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