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528U - 수분 분리 배출형 음식물 쓰레기 봉투 - Google Patents

수분 분리 배출형 음식물 쓰레기 봉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528U
KR20140002528U KR2020130008346U KR20130008346U KR20140002528U KR 20140002528 U KR20140002528 U KR 20140002528U KR 2020130008346 U KR2020130008346 U KR 2020130008346U KR 20130008346 U KR20130008346 U KR 20130008346U KR 20140002528 U KR20140002528 U KR 2014000252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od waste
line
water
food
ba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3000834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2925Y1 (ko
Inventor
유지형
Original Assignee
유지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지형 filed Critical 유지형
Publication of KR2014000252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52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2925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2925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0006Flexible refuse receptables, e.g. bags, s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1/00Refuse receptacles; Accessories therefor
    • B65F1/14Other constructional features; Accesso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26Cutt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FGATHERING OR REMOVAL OF DOMESTIC OR LIKE REFUSE
    • B65F2210/00Equipment of refuse receptacles
    • B65F2210/132Draining mean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Refuse Receptac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수분 분리 배출형 음식물 쓰레기 봉투에 관한 것으로,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내부를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공간인 메인공간부(110a)와, 음식물 쓰레기에서 나오는 수분이 모이는 공간인 저수공간부(110b)로 구획하도록 쓰레기 봉투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구획선(120)과, 구획선(120)의 상측에서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가장자리 쪽으로 형성된 제1 절취선(141)이 구비되어 있고, 구획선(120)은 닫힌 선으로 형성되며, 구획선(120)의 내부는 개방되어 있는 개방부(c1)이며, 메인공간부(110a)와 저수공간부(110b)는 봉투 하측의 연통부(110c)에 의해서 연통되어 있어서 메인공간부(110a)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면 음식물 쓰레기 중의 수분이 연통부(110c)를 통해서 저수공간부(110b)에 모이게 되며, 제1 절취선(141)을 따라서 절취된 경우 저수공간부(110b)의 끝이 개방되면서 수분 배출관(115)이 형성되고, 수분 배출관(115)을 통해서 저수공간부(110b)에 있던 수분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이에 의하면 위생적인 쓰레기 봉투 비치 환경을 제공하면서도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을 편리하게 선배출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Description

수분 분리 배출형 음식물 쓰레기 봉투{Waste food bag}
본 고안은 음식물 쓰레기 봉투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음식물 쓰레기에서 나오는 수분을 쓰레기 봉투 내에 구비된 구성에 의해서 선분리 배출할 수 있도록 하되, 음식물 쓰레기가 담겨 있는 상태에서도 음식물 쓰레기의 수분이 새거나 흘러내리지 않도록 하여 쓰레기 봉투 사용 환경을 위생적으로 할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수분 분리 배출형 음식물 쓰레기 봉투에 관한 것이다.
한국의 음식 문화의 특성상 우리 음식은 국과 찌개를 항상 먹어야 하는 식생활 문화를 가지고 있다. 그러므로 한국가정이나 공공식당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에는 상당량의 먹고 남은 국과 찌개가 혼입되어 아파트나 공동주거형태의 지역에 설치되어있는 음식물쓰레기 공동수거용기에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많은 양의 수분이 혼입되어 하절기에는 파리 등 해충과 함께 심한 악취가 발생하므로 여러 가지의 위생상 건강상 문제가 발생하고 있는 것이 현실이다
또한 어느 가정에서 얼마만큼의 음식물 쓰레기가 발생하는지 일일이 측정을 하는 것도 쉽지 않은 문제이므로 이미 일부 지자체에서 부분적으로 음식물 쓰레기 종량제에 따른 음식물 쓰레기 배출량을 쉽게 계량할 수 있는 음식물 쓰레기 봉투를 이미 사용하고 있는 것이다
등록실용신안 제20-0150927호에 의한 쓰레기용 봉투가 알려져 있는데, 위 등록실용신안은 음식물 쓰레기에서 수분을 별도로 분리하여 배출할 수 있는 기술이다.
그러나, 위 등록실용신안의 경우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면 비닐관(3)을 통해서 수분이 바로 흘러나가므로 음식물 쓰레기를 주방이나 실내에 비치하는 것이 곤란하고, 항상 싱크대에 비치하거나 별도의 용기에 담아서 보관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그리고, 위 기술은 실제로 현장에서 기계에 의해서 다량으로 제작하는 것이 매우 난이한 생산성의 문제도 있었다.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작된 것으로 본 고안에 의한 수분 분리 배출형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목적은,
첫째, 음식물 쓰레기를 쓰레기 봉투에 넣어서 담아두는 과정에서 음식물 고형물과 음식물 쓰레기에서 나온 수분(예컨대 음식물에 섞여있는 국과 찌개 등의 수분)을 분리하여 담아둘 수 있도록 하고, 시간이 경과하여 쓰레기 봉투가 음식물 쓰레기로 꽉 채워져서 음식물 쓰레기를 버려야 하는 경우, 음식물 쓰레기 봉투에 형성된 절취선을 따라서 절취만 하면 수분배출구가 형성되어서 이를 따라서 수분을 선행적으로 분리배출 할 수 있도록 하고,
둘째, 일반적으로 음식물 쓰레기 봉투에 한 번의 투입으로 음식물 쓰레기가 꽉 차는 것이 아니고, 몇 회에 걸쳐서 쓰레기를 버려야만 봉투가 쓰레기로 꽉 차기 때문에 그 기간 동안(음식물 쓰레기가 찰 때까지 모으는 기간) 음식물 쓰레기는 주방 등의 실내에 보관하여야 하는데, 이때 음식물 쓰레기에서 분리배출된 수분을 따로 분리하여 모아두고 있음으로 수분이 새거나 흘러내리지 않아서 보관 환경이 깨끗하고 위생적일 수 있도록 하고,
셋째, 절취선을 따라서 절취만 하면 바로 수분이 자동으로 배출되도록 함으로써, 수분 배출을 신속하고 간단 편리하게 할 수 있도록 하며
넷째, 음식물 쓰레기에서 수분만을 먼저 분리하여 버린 후에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으므로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줄일 수 있도록 하고, 파리 등 해충과 악취의 발생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도록 하기에 적당하도록 한 수분 분리 배출형 음식물 쓰레기 봉투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수분 분리 배출형 음식물 쓰레기 봉투는, 음식물 쓰레기를 담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봉투에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내부를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공간인 메인공간부와, 음식물 쓰레기에서 나오는 수분이 모이는 공간인 저수공간부로 구획하도록 쓰레기 봉투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구획선과, 상기 구획선의 상측에서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가장자리 쪽으로 형성된 제1 절취선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구획선은 닫힌 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구획선 내부에는 내부시트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메인공간부와 저수공간부는 봉투 하측의 연통부에 의해서 연통되어 있어서 메인공간부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면 음식물 쓰레기 중의 수분이 연통부를 통해서 저수공간부에 모이게 되며,
상기 제1 절취선에 연장되어서 제2 절취선이 내부시트에 구획선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절취선과 제2 절취선을 따라서 절취된 경우 저수공간부의 끝이 개방되면서 수분 배출관이 형성되고, 상기 수분배출관을 통해서 저수공간부에 있던 수분이 배출되는 수분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인 수분 분리 배출형 음식물 쓰레기 봉투는, 상기 제2 절취선의 하측에서 연장되어서 내부시트에는 절개선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획선의 하측에서 상기 절개선의 아래에는 절개선에 의해서 봉투가 터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보호부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인 수분 분리 배출형 음식물 쓰레기 봉투는, 음식물 쓰레기를 담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봉투에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내부를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공간인 메인공간부와, 음식물 쓰레기에서 나오는 수분이 모이는 공간인 저수공간부로 구획하도록 쓰레기 봉투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구획선과, 상기 구획선의 상측에서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가장자리 쪽으로 형성된 제1 절취선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구획선은 닫힌 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구획선의 내부는 개방되어 있는 개방부이며, 상기 메인공간부와 저수공간부는 봉투 하측의 연통부에 의해서 연통되어 있어서 메인공간부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면 음식물 쓰레기 중의 수분이 연통부를 통해서 저수공간부에 모이게 되며, 상기 제1 절취선을 따라서 절취된 경우 저수공간부의 끝이 개방되면서 수분 배출관이 형성되고, 상기 수분배출관을 통해서 저수공간부에 있던 수분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인 수분 분리 배출형 음식물 쓰레기 봉투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음식물 쓰레기를 쓰레기 봉투에 넣어서 담아두는 과정에서 음식물 고형물과 음식물 쓰레기에서 나온 수분(예컨대 음식물에 섞여있는 국과 찌개 등의 수분)을 분리하여 담아둘 수 있고, 시간이 경과하여 쓰레기 봉투가 음식물 쓰레기로 꽉 채워져서 음식물 쓰레기를 버려야 하는 경우 음식물 쓰레기 봉투에 형성된 절취선을 따라서 절취만 하면 수분배출구가 형성되어서 이를 따라서 수분을 선행적으로 분리배출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둘째, 음식물 쓰레기 봉투에 한 번에 음식물 쓰레기가 꽉 차는 것이 아니고, 몇 회에 걸쳐서 쓰레기를 버려야만 봉투가 쓰레기로 꽉 차므로 그 기간 동안(음식물 쓰레기가 찰 때까지 모으는 기간) 음식물 쓰레기는 주방 등의 실내에 보관하여야 하는데, 이때 음식물 쓰레기에서 분리배출된 수분을 따로 분리하여 모아두고 있음으로 수분이 새거나 흘러내리지 않아서 보관 환경이 깨끗하고 위생적일 수 있다는 효과가 있다.
셋째, 절취선을 따라서 절취만 하면 바로 수분이 배출되므로 수분 배출을 신속하고 간단 편리하게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넷째, 음식물 쓰레기에서 수분만을 먼저 분리하여 버린 후에 음식물 쓰레기를 처리할 수 있으므로 음식물 쓰레기의 양을 줄일 수 있고, 파리 등 해충과 악취의 발생량을 현저하게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분 분리 배출형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쓰레기 봉투(100)에 음식물 쓰레기를 담기 위해서 음식물 쓰레기를 넣는 동작도이고, 또한 쓰레기 봉투(100)에 넣어지는 음식물 쓰레기에서 나온 수분(w) 저수공간부(110b)로 옮겨가는 동작도이다.
도 3은 도 2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그림을 생략한 상태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에서 음식물 쓰레기의 그림을 생략한 상태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제1,2 절취선을 절취하여서 수분을 배출하는 동작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분 분리 배출형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정면도이다.
다음은 본 고안인 수분 분리 배출형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한 도면을 기초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분 분리 배출형 음식물 쓰레기 봉투(100)는,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내부를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공간인 메인공간부(110a)와, 음식물 쓰레기에서 나오는 수분이 모이는 공간인 저수공간부(110b)로 구획하도록 쓰레기 봉투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구획선(120)이 구비되어 있다.
즉, 상기 구획선(120)은 하측에서 이격되어서[연통부(110c)의 공간을 남겨두고] 이격되어서 쓰레기 봉투(100)의 길이방향(상하방향)으로 형성되어서 쓰레기 봉투(100)의 내부공간을 메인공간부(110a)와 저수공간부(110b)로 구획한다.
상기 구획선(120)은 대략 장방형의 닫힌 선(폐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구획선(120) 내부에는 내부시트(130)가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획선(120)을 장방형의 닫힌 선으로 형성함으로써 절취에 의해서 수분 배출관(115)을 봉투에서 분리하면서 형성할 때에 수분이 원활하게 배출되도록 온전한 관 형태를 유지하게 하고, 또한 절취에 의해서 수분 배출관(115)을 형성할 때에 메인공간부(110a)가 터지지 않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구획선(120)은 봉투(100)의 앞뒤 시트를 선을 따라서 예컨대 열융착에 의해서 접합하여서 형성할 수 있다.
상기 메인공간부(110a)와 저수공간부(110b)는 봉투 하측의 연통부(110c)에 의해서 연통되어 있어서 메인공간부(110a)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면 음식물 쓰레기 중의 수분이 연통부(110c)를 통해서 저수공간부(110b)에 모이게 된다.
저수공간부(110b)에 수분이 실제로 모이기 위해서는 메인공간부(110a)에 있는 음식물 쓰레기가 꽉 차면서 음식물에서 나온 수분에 압력을 가하여 밀어 올려야 할 것이다.
그리고, 구획선(120)은 사용 상태에 따라서 그 높이(h1)를 다양하게 변형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저수공간부(110b)의 폭(w1)도 다양한 크기로 형성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분 분리 배출형 음식물 쓰레기 봉투(100)에 있어서, 상기 구획선(120)의 상측에서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가장자리 쪽으로 사선으로 형성된 제1 절취선(14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제1 절취선(141)에 연장되어서 제2 절취선(142)이 내부시트(130)에 구획선(120)을 따라서 나란하게 형성되어 있다.
상기 제1 절취선(141)과 제2 절취선(142)을 따라서 절취한 경우 저수공간부(110b)의 끝이 개방되면서 수분 배출관(115)이 형성되고, 상기 수분 배출관(115)을 통해서 저수공간부(110b)에 있던 수분이 배출되는 수분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봉투(100)에 의한 배출관(115)은 쓰레기 봉투(100)에 절취선(141, 142)에 의해서 가부착(가접합)되어서 음식물 쓰레기에서 나오는 수분(w)을 내부의 저수공간부(110b)에 저수하고 있다가 절취선(141, 142)이 절취된 경우 입구가 개방되면서 수분을 배출하는 구성이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분 분리 배출형 음식물 쓰레기 봉투(100)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취선(142)의 하측에서 연장되어서 내부시트(130)에는 절개선(143)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절개선(143)에 의해서 절취선을 따라서 절취할 때 과도한 힘이 작용하더라도 수분 배출관(115)이 완전히 봉투에서 떨어져 나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분 분리 배출형 음식물 쓰레기 봉투(100)에 있어서, 상기 구획선(120)의 하측에서 상기 절개선(143)의 아래에는 절개선(143)에 의해서 봉투가 터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해서 상기 구획선(120)의 폭보다 크도록 만곡 형성된 보호부(120a)가 구비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보호부(120a)의 구성에 의해서 봉투(100)가 찢어지거나 터지는 것을 예방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6에는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분 분리 배출형 음식물 쓰레기 봉투(100)의 정면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수분 분리 배출형 음식물 쓰레기 봉투(100)는,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내부를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공간인 메인공간부(110a)와, 음식물 쓰레기에서 나오는 수분이 모이는 공간인 저수공간부(110b)로 구획하도록 쓰레기 봉투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구획선(120)과, 상기 구획선(120)의 상측에서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가장자리 쪽으로 사선으로 형성된 제1 절취선(14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구획선(120)은 닫힌 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구획선(120)의 내부는 개방되어 있는 개방부(c1)이며, 상기 메인공간부(110a)와 저수공간부(110b)는 봉투 하측의 연통부(110c)에 의해서 연통되어 있어서 메인공간부(110a)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면 음식물 쓰레기 중의 수분이 연통부(110c)를 통해서 저수공간부(110b)에 모이게 되며, 상기 제1 절취선(141)을 따라서 절취된 경우 저수공간부(110b)의 끝이 개방되면서 수분 배출관(115)이 형성되고, 상기 수분 배출관(115)을 통해서 저수공간부(110b)에 있던 수분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도 6에 개시된 실시예가 도 1 내지 도 5에 개시된 실시예와 다른 점은, 구획선(120) 내부가 커팅에 의해서 도려내진 점이다. 즉 구획선(120) 내부는 개방부(c1)로서 아무것도 없으며, 따라서 제1 절취선(141)을 따라서 절취하면 곧바로 개방부(c1)이기 때문에 수분 배출관(115)이 제1 절취선(141)의 절취 동작과 동시에 바로 형성되어서 옆으로 눕는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봉투(100)에 의한 수분 배출관(115)은 쓰레기 봉투(100)에 절취선(141)에 의해서 가부착되어서 음식물 쓰레기에서 나오는 수분(w)을 내부의 저수공간부(110b)에 저수하고 있다가 절취선(141)이 절취된 경우 입구가 개방되면서 수분을 배출하는 구성이다.
도 6에 개시된 실시예의 경우에는 제2 절취선(142)이 없으므로 보호부(120a)가 필요 없을 것이다.
먼저 본원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봉투(100)의 제조 공정에 대해서 기술한다.
음식물 쓰레기 봉투 원지에 열융착에 의해서 구획선(120)을 형성하고, 이후 커팅기로 제1, 2 절취선(141,142)과 절개선(143)을 형성하면 공정이 완료된다.
그리고, 본원고안의 다른 실시예에 의한 음식물 쓰레기 봉투(100)의 제조 공정의 경우에는, 음식물 쓰레기 봉투 원지에 열융착에 의해서 구획선(120)을 형성하고, 구획선 내부를 커팅기로 절단하여서 도려내고, 이후 커팅기로 제1 절취선(141)을 형성하면 제품이 완성된다.
다음은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고안의 일 실시예에 의한 수분 분리 배출형 음식물 쓰레기 봉투(100)의 동작에 대하여 기술한다.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수분 분리 배출형 음식물 쓰레기 봉투(100)의 경우,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를 투입하여 채우면 수분이 연통부(110c)를 통과하여 저수공간부(110b)에 모이게 되는데, 저수공간부(110b)에 수분이 잘 모이게 하기 위해서 메인공간부(110a)에 있는 음식물 쓰레기에 예컨대 압착판 등으로 눌러서 밀도를 높여주면 그 압력 작용에 의해서 음식물 쓰레기에서 나온 수분(w)이 저수공간부(110b)로 원활하게 모이게 된다.
이와 같이 음식물 쓰레기를 쓰레기 봉투에 버리는 것은 일회에 그치지 않고 통상 수 회에 걸쳐서 행해지고, 본원 고안에 의한 쓰레기 봉투(100)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수분이 새거나 오배수되지 않아서 보관상 매우 위생적이고 보관 환경이 깨끗해진다. 따라서 본원 고안에 의한 쓰레기 봉투(100)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굳이 주방의 개수대에 비치할 필요가 없이 실내의 어느 곳에 비치하더라도 주변 환경이 더러워지는 문제는 발생하지 않는다.
이제 음식물 쓰레기가 꽉 찬 경우, 음식물 쓰레기 봉투(100)를 예컨대 개수대에 놓고 제1, 2 절취선(141, 142)을 순차 절취하면 내부(110b)에 수분이 차 있는 수분 배출관(115)이 옆으로 넘어지면서 수분이 자연적으로 배출된다(도 5).
내부시트(130)가 절취되면서 수분 배출관(115) 쪽에 잔여시트(130b)가 남고 쓰레기 봉투 쪽에도 잔여시트(130a)가 남게 된다.
도 6에 개시된 다른 실시예의 경우에 있어서도, 제1 절취선(141)을 따라서 절취하면 도 5에 도시된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내부(110b)에 수분이 차 있는 수분 배출관(115)이 옆으로 넘어지면서 수분이 자연적으로 배출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고안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분야에 있어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며, 이에 따라 본 고안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 있다.
100 : 본 고안의 실시예에 의한 수분 분리 배출형 음식물 쓰레기 봉투
110a: 메인공간부 110b: 저수공간부
110c: 연통부 120 : 구획선
c1 : 구획선 내부의 개방부 120a: 보호부
130 : 내부시트 141 : 제1 절취선
142 : 제2 절취선 143 : 절개선

Claims (3)

  1. 음식물 쓰레기를 담기 위한 음식물 쓰레기 봉투에 있어서: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내부를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는 공간인 메인공간부(110a)와, 음식물 쓰레기에서 나오는 수분이 모이는 공간인 저수공간부(110b)로 구획하도록 쓰레기 봉투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구획선(120)과,
    상기 구획선(120)의 상측에서 음식물 쓰레기 봉투의 가장자리 쪽으로 형성된 제1 절취선(141)이 구비되어 있고,
    상기 구획선(120)은 닫힌 선으로 형성되며, 상기 구획선(120)의 내부는 개방되어 있는 개방부(c1)이며,
    상기 메인공간부(110a)와 저수공간부(110b)는 봉투 하측의 연통부(110c)에 의해서 연통되어 있어서 메인공간부(110a)로 음식물 쓰레기가 투입되면 음식물 쓰레기 중의 수분이 연통부(110c)를 통해서 저수공간부(110b)에 모이게 되며,
    상기 제1 절취선(141)을 따라서 절취된 경우 저수공간부(110b)의 끝이 개방되면서 수분 배출관(115)이 형성되고, 상기 수분 배출관(115)을 통해서 저수공간부(110b)에 있던 수분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분리 배출형 음식물 쓰레기 봉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구획선(120) 내부에는 내부시트(130)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절취선(141)에 연장되어서 제2 절취선(142)이 내부시트(130)에 구획선(120)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절취선(141)과 제2 절취선(142)을 따라서 절취된 경우 저수공간부(110b)의 끝이 개방되면서 수분 배출관(115)이 형성되고, 상기 수분 배출관(115)을 통해서 저수공간부(110b)에 있던 수분이 배출되는 수분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분리 배출형 음식물 쓰레기 봉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제2 절취선(142)의 하측에서 연장되어서 내부시트(130)에는 절개선(143)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구획선(120)의 하측에서 상기 절개선(143)의 아래에는 절개선(143)에 의해서 봉투가 터지는 것을 예방하기 위한 보호부(120a)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분 분리 배출형 음식물 쓰레기 봉투.
KR2020130008346U 2012-10-22 2013-10-10 수분 분리 배출형 음식물 쓰레기 봉투 KR200472925Y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09520 2012-10-22
KR2020120009520 2012-10-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528U true KR20140002528U (ko) 2014-04-30
KR200472925Y1 KR200472925Y1 (ko) 2014-06-03

Family

ID=514896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30008346U KR200472925Y1 (ko) 2012-10-22 2013-10-10 수분 분리 배출형 음식물 쓰레기 봉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2925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6041B1 (ko) * 2019-12-18 2021-06-17 주식회사 썬에프엘 폐수 유출구가 형성된 친환경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봉투 및 그 제조방법
CN113772288A (zh) * 2020-09-15 2021-12-10 北京沃东天骏信息技术有限公司 包装袋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9267847A (ja) * 1996-01-22 1997-10-14 Azetsukusu:Kk プラスチック・フィルム製の袋
KR19990039581U (ko) * 1998-04-15 1999-11-15 곽상호 탈수용 수거봉투
KR20000005978U (ko) * 1998-09-07 2000-04-06 백승환 배수구를 갖는 수거용 봉투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66041B1 (ko) * 2019-12-18 2021-06-17 주식회사 썬에프엘 폐수 유출구가 형성된 친환경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봉투 및 그 제조방법
CN113772288A (zh) * 2020-09-15 2021-12-10 北京沃东天骏信息技术有限公司 包装袋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2925Y1 (ko) 2014-06-0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644056B2 (ja) コーヒー飲料を抽出するためのパック
US8764990B1 (en) Liquid/refuse separation system
US6116780A (en) Disposable toilet system
US5174658A (en) Self-expanding and reclosable flexible pouch
KR101962873B1 (ko) 일회용 추출 장치 및 일회용 추출 장치의 사용방법
AU2006227828A1 (en) Feminine product disposal container
CN108349637B (zh) 袋式包装物以及用于适配此类包装物的相关联方法
KR200472925Y1 (ko) 수분 분리 배출형 음식물 쓰레기 봉투
US9375366B1 (en) Feminine hygiene product disposal pouch
US20080253700A1 (en) Refill pack
KR20090053569A (ko) 티슈 케이스
KR102266041B1 (ko) 폐수 유출구가 형성된 친환경 음식물쓰레기 종량제 봉투 및 그 제조방법
JP2010120718A (ja) 水切りごみ袋
JP3024405U (ja) 抗菌ウエットティシュペーパーと抗菌ウエットティシュペーパー収容容器
JP3229018U (ja) ごみ袋
CN218023393U (zh) 一种能固液分离的厨房沥水袋
US20100209655A1 (en) Refrigerator shelves and bin protectors come easy cleaners
KR200443679Y1 (ko) 외통을 구성한 음식물쓰레기 종량제봉투의 침출수를 쉽게 빼고 막을 수 있는 장치
KR101979900B1 (ko) 일회용 용기의 회수장치 및 이에 적용되는 일회용 용기
CN211686337U (zh) 一种火锅底料包装袋
KR200345419Y1 (ko) 수분 제거용 파스너 부착 음식물 쓰레기 수거용 자립 봉투
KR200441182Y1 (ko) 배구수를 갖는 종이포장용기
JP2597964B2 (ja) 生ゴミ処理用カセットパック
JPH0111603Y2 (ko)
EP3254649A1 (en) Packaging for condo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607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