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090053569A - 티슈 케이스 - Google Patents

티슈 케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090053569A
KR20090053569A KR1020070120458A KR20070120458A KR20090053569A KR 20090053569 A KR20090053569 A KR 20090053569A KR 1020070120458 A KR1020070120458 A KR 1020070120458A KR 20070120458 A KR20070120458 A KR 20070120458A KR 20090053569 A KR20090053569 A KR 200900535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ssue
auxiliary
folded
plate
si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701204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영구
박정순
Original Assignee
엔씨비 주식회사
주식회사 신현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엔씨비 주식회사, 주식회사 신현대 filed Critical 엔씨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701204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90053569A/ko
Publication of KR200900535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900535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6Paper towel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18Holders; Receptacles
    • A47K10/20Holders; Receptacles for piled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KSANITARY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TOILET ACCESSORIES
    • A47K10/00Body-drying implements; Toilet paper; Holders therefor
    • A47K10/24Towel dispensers, e.g.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Toilet-paper dispensers; Dispensers for piled-up or folded textile towels provided or not with devices for taking-up soiled towels as far as not mechanically driven
    • A47K10/3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 A47K10/42Dispensers for paper towels or toilet-paper dispensing from a store of single sheets, e.g. stack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ntainers And Packaging Bodies Having A Special Means To Remove Cont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티슈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적층상태로 수납된 티슈를 외부에서 인출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티슈케이스에 있어서, 상자형의 형상을 이루되 상면부에 티슈인출구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티슈수납부, 상기 티슈수납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보조수납부, 및 상기 보조수납부에 수납되는 보조물을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보조물인출구를 포함하며, 티슈를 용이하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과일껍질 등 식탁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따로 모아서 처리할 수 있도록 보조물을 수납하고 있는 티슈 케이스를 제공한다.
티슈, 케이스, 몸체, 티슈수납부, 보조수납부, 보조물, 보조물인출구

Description

티슈 케이스{TISSUE CASE}
본 발명은 티슈 케이스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티슈의 인출이 용이하고, 식탁에서 발생되는 과일껍질 등 음식물 쓰레기를 따로 모아서 처리할 수 있도록, 보조물을 수납하고 있는 티슈 케이스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가정과 음식점의 식탁 위에는 식사중에 흘린 음식물 찌꺼기 등을 닦아낼 수 있도록 휴지가 구비되는데, 종래 사용되던 두루마리 화장지에 대한 외국 관광객들의 거부감과 미관 등의 이유로 최근에는 종이냅킨이나 티슈로 대체되고 있다.
여기서, 티슈는 절첩되어 케이스에 적층되고 이를 케이스로부터 하나씩 인출하여 사용하게 되는데, 계속적인 사용에 의해 티슈의 적층 높이가 낮아지면 사용자가 케이스 내부로 손을 깊숙이 집어넣은 후 인출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이때 여러 장의 티슈가 한꺼번에 인출되는 경우도 있어 티슈의 낭비를 초래하였다.
또한, 식사중 발라낸 생선 가시나 고기뼈, 조개껍질 등 음식물 찌꺼기는, 따로 그릇을 준비하지 못하는 경우 식탁의 한쪽에 모아두게 되어 비위생적이며, 이때 티슈를 꺼내어 식탁에 접어놓은 후 여기에 음식물 찌꺼기를 모으기도 하는데, 외관상 좋지 않고, 과일껍질 등 음식물 쓰레기로 분리 수거 대상인 경우 티슈에서 음식물 쓰레기만을 다시 분리해내야 하는 불편함 때문에 티슈와 함께 일반쓰레기로 처리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일실시예는 적층상태로 수납된 티슈를 외부에서 인출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티슈케이스에 있어서, 상자형의 형상을 이루되 상면부에 티슈인출구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티슈수납부, 상기 티슈수납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보조수납부, 및 상기 보조수납부에 수납되는 보조물을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보조물인출구를 포함하며, 티슈를 용이하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을 뿐 아니라, 과일껍질 등 식탁에서 발생하는 음식물 쓰레기를 따로 모아서 처리할 수 있도록 보조물을 수납하고 있는 티슈 케이스와 관련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적층상태로 수납된 티슈를 외부에서 인출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티슈케이스에 있어서, 상자형의 형상을 이루되 상면부에 티슈인출구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티슈수납부, 상기 티슈수납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보조수납부, 및 상기 보조수납부에 수납되는 보조물을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보조물인출구를 포함하는 티슈 케이스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티슈수납부의 하부에는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티슈수납부에 수납된 티슈가 상기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상승되어 상기 티슈인출구를 통해 인출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티슈와 상기 몸체의 바닥면 사이에 개재되는 높이조절판과, 상기 티슈수납부의 바닥면 일측이 'H' 형태로 절개되어 상기 티슈수납부의 내부로 절첩되는 지지부로 구성되되, 상기 지지부의 단부가 상기 높이조절판의 저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높이조절판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끝단에는 상기 각 고정홈에 대응 결합되는 고정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보조수납부에는 상부가 개구된 함체형으로 절첩되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보조물이 수납되는 보조수납함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보조물 인출구는 상기 보조물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의 상면부 일측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보조물 인출구의 일측에는 상기 보조수납부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보조물 인출구는 상기 보조물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의 일측 하단 모서리가 절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보조물은 상부가 개구된 함체 형으로 절첩하여 조립된 상태에서, 보관이 용이하도록 다시 절첩하여 부피를 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보조물의 재질은 종이, 비닐코팅된 종이, 생분해성 수지, 식용필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함체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전후 양단에서 수직으로 절첩 형성되는 제1측면판, 상기 바닥판의 좌우 양단에서 수직으로 절첩 형성되는 제2측면판, 및 상기 제1측면판과 상기 제2측면판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판과 상기 제2측면판이 서로 맞닿는 연결부를 보강하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보강부는 일측이 제1측면판의 내측으로 절첩되고 타측이 제2측면판의 내측으로 절첩된 후, 상측이 제1측면판과 제2측면판의 외측으로 절첩되어 상기 연결부를 덮어서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함체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전후 양단에서 수직으로 절첩 형성되는 제1측면판, 상기 바닥판의 좌우 양단에서 수직으로 절첩 형성되는 제2측면판, 및 상기 제1측면판과 상기 제2측면판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판의 내측으로 절첩되는 절첩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측면판과 절첩부의 상단에 연장형성되는 결합부가 상기 절첩부를 감싸며 내측으로 절첩되어 접합되는 것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일실시예에 의하면, 상기 보조물은 상기 함체의 제1측면판과 제2측면판이 각각 상기 바닥판 방향으로 절첩된 후, 다시 상기 바닥판이 반으로 접혀서 상기 보조수납부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티슈 케이스에 의하면, 티슈의 적층높이가 조절가능하여 계속적으로 티슈를 용이하게 인출하여 사용할 수 있다.
또한, 함체형의 보조물이 티슈와 별도로 수납되어 있으므로, 식사중 발생하는 음식물 찌꺼기를 모으기 위해 별도의 그릇을 준비해야할 필요가 없고, 음식물 쓰레기의 분리 수거 역시 용이하다.
이때, 보조물은 함체형으로 절첩 조립된 상태에서 다시 접혀져서 수납되므로, 사용시에는 쉽게 펼쳐서 위생적으로 사용할 수 있고, 견고하게 절첩 조립되므로, 함체 형상의 유지와 운반이 용이하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티슈 케이스의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티슈 케이스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티슈 케이스의 전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티슈 케이스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함체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 따른 함체의 전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함체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함체의 전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티슈 케이스의 사용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티슈 케이스의 사용 상태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티슈 케이스(100)는 크게 상자형의 형상을 이루고 상면부(230)에 티슈인출구(231)가 구비되는 몸체(200)와, 몸체(200)의 내부에 구비되고 티슈(600)가 적층상태로 수납되는 티슈수납부(300)와, 보조물(700)이 수납되는 보조수납부(400), 및 보조물(700)을 인출할 수 있도록 몸체(200) 일측에 형성되는 보조물인출구(5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몸체(200)는 정면부(210), 배면부(220), 상면부(230), 하면부(240), 및 측면부(250)로 구성되어 내부에 빈 공간을 가진 상자형 형상으로 이루어진다.
이때, 몸체(200) 내부에 수납된 티슈(600)가 인출될 수 있도록 몸체(200)의 상면부(230) 일측이 절개되어 티슈인출구(231)가 형성되며, 티슈인출구(231)의 일측에는 보조물(700)을 인출하기 위한 보조물인출구(500)가 절개 형성된다.
또한, 이물질의 유입을 방지하기 위해, 절개선이 형성된 합성수지 시트(231a)가 티슈인출구(231)의 내측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보조물인출구(500)의 일측에는 덮개(510)가 구비되는데,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조물인출구(500)를 사각형으로 절개할 때 한쪽 모서리를 남겨두고 세 개의 모서리를 절개 하여, 절개된 부분을 덮개(510)로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서, 몸체(200)의 정면부(210) 하단 모서리를 절개하여 보조물인출구(500)를 형성하는 경우에는 몸체(200)의 정면 방향으로 보조물(700)을 인출할 수 있으며, 몸체(200)의 배면부(220) 또는 측면부(250) 하단 모서리에 보조물인출구(500)를 형성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이때, 보조물(700)을 파지하기 용이하도록 보조물인출구(500)를 형성하고자 하는 부분의 몸체(200) 하면부(240) 모서리도 소정의 길이와 폭으로 절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몸체(200)에 대한 전개도가 도 4에 도시되어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면상 몸체(200)의 정면부(210) 상방향으로, 티슈인출구(231)와 보조물인출구(500)를 갖는 상면부(230)가 그 경계부가 접힐 수 있도록 일체형성되고, 상면부(230)의 양측으로 측면부(250a)가 그 경계부가 접힐 수 있도록 일체형성되며, 상면부(230)의 상방향으로 배면부(220)가 그 경계부가 접힐 수 있도록 일체형성된다.
또한, 도면상 배면부(220)의 상방향으로 하면부(240)가 그 경계부가 접힐 수 있도록 일체형성되고, 하면부(240)의 양측으로 측면부(250b)가 그 경계부가 접힐 수 있도록 일체형성되며, 하면부(240)의 상측에는 절첩시 정면부(210)의 내측에 접합되는 접합부(260)가 그 경계부가 접힐 수 있도록 일체형성된다.
이때, 상면부(230)와 일체형성되는 양 측면부(250a) 및 하면부(240)와 일체 형성되는 양 측면부(250b)는 몸체(200) 조립시 서로 접합될 수 있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면부(240) 일측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지지부(312)에 관하여는 후술하기로 한다.
몸체(200) 내부에는 티슈(600)가 적층상태로 수납되도록 티슈수납부(300)가 구비된다.
여기서, 티슈(600)는 티슈수납부(300)의 바닥면부터 차례로 적층되어 상측의 티슈(600)부터 하나씩 인출하여 사용하기 때문에, 어느 정도 티슈(600)를 사용하고 나면 티슈인출구(231)로부터 티슈(600)가 낮아지게 되어, 더 이상의 티슈(600) 인출을 위해서는 손을 깊숙이 집어 넣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티슈(600)를 제대로 잡지 못해 필요한 양 이상의 티슈(600)를 인출하게 되는 경우도 있다.
이러한 불편을 해소하기 위해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의한 티슈 케이스(100)는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티슈수납부(300)의 하부에 높이조절수단(310)을 구비하여, 티슈(600)를 상승시킴으로써 내장된 티슈(600)가 티슈인출구(231) 가까이에 위치될 수 있게끔 하였다.
이 높이조절수단(310)은 티슈수납부(300)의 바닥면 상측에 구비되어 티슈(600)를 지지하는 높이조절판(311)과, 이 높이조절판(311)을 승강시키는 지지부(312)로 구성되는데, 지지부(312)는 티슈수납부(300)의 바닥면 일측이 'H'형태로 절개되어 티슈수납부(300) 내부로 절첩되도록 형성된다.
즉, 도 2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절개된 부분의 양측으로부터 지지부(312)가 티슈수납부(300) 내부로 절첩되면서 높이조절판(311)의 저면을 상측으로 밀어올리게 되고, 이에 따라 높이조절판(311)이 상승하면서 높이조절판(311) 위에 적층된 티슈(600) 역시 상승하게 되는 것이다.
이때,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이조절판(311)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홈(311a)이 형성되고, 지지부(312)의 끝단에는 이 고정홈(311a)에 대응하여 삽입결합되는 고정부(312a)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승된 높이조절판(311)이 계속하여 그 높이를 유지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고정홈(311a)에 고정부(312a)가 삽입결합됨으로써 높이조절판(311)은 지지부(312)에 의해 지지된다.
또한, 고정홈(311a)이 형성되는 위치에 따라 높이조절판(311)의 높이를 단계적으로 조절하는 것도 가능하다. 즉, 고정홈(311a)이 높이조절판(311)의 중심에 가깝게 형성될수록 지지부(312)의 절첩각도가 낮아져서 높이조절판(311)은 지지부(312)에 의해 낮게 지지되고, 고정홈(311a)이 높이조절판(311)의 모서리에 가깝게 형성될수록 지지부(312)의 절첩각도가 높아지면서 높이조절판(311)이 높게 지지되는 것이다.
한편, 티슈수납부(300)의 일측에는 보조수납부(400)가 구비되는데, 이 보조수납부(400)는 후술하는 보조물(700)을 수납하기 위한 공간으로서, 보조물(700)은 함체형의 보조수납함(410)에 수납되고 이 보조수납함(410)이 보조수납부(400) 내에 장착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보조물(700)을 용이하게 인출하기 위해서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200)의 상면부(230)에 보조물인출구(500)가 형성되는 경우, 보조수납함(410)에 보조물(700)을 수직으로 수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 11에 도시된 실시예처럼 몸체(200)의 하단에 보조물인출구(500)가 형성되는 경우에는 보조수납함(410)에 보조물(700)을 수평으로 적층하여 수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보조물(700)은 상부가 개구된 함체형으로 절첩 조립된 상태에서, 보관이 용이하도록 다시 절첩하여 부피를 줄인 것으로, 이 보조물(700)을 꺼내어 펼치면 절첩 조립된 함체(710)가 되어, 식사중 발생하는 음식물 찌꺼기를 담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때, 함체(710)에 소량의 물을 담아 재떨이로 사용하는 것도 물론 가능하다.
따라서, 보조물(700)은 절첩이 용이하고 값이 싼 종이를 재질로서 사용하는데, 음식물 찌꺼기의 수분이 투과되지 못하도록 표면에 비닐코팅 처리를 한 종이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보조물(700)의 재질로서 합성수지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한데, 땅에 매립되었을 때 쉽게 분해되도록 생분해성 수지를 재질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분리 수거 대상인 음식물 쓰레기와 함께 재활용이 가능하도록 전분, 젤라틴, 키토산 또는 폴리비닐알코올류의 식용필름을 재질로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며, 이 경우 함체(710)와 음식물 찌꺼기를 따로 분리할 필요없이 한꺼번에 음식물 쓰레기 수거통에 넣으면 되므로 식사 후 뒤처리가 간편하게 된다.
보조물(700)을 펼쳤을 때 형성되는 함체(710)는, 도 6과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바닥판(711), 도면상 바닥판(711)의 전후에 각각 연결되는 제1측면판(712), 바닥판(711)의 좌우에 각각 연결되는 제2측면판(714), 및 제1측면판(712)과 제2측면판(714) 사이에 개재되는 각각의 보강부(715)를 포함하여 형성되고, 그 크기는 사용조건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가능하다.
여기서, 함체(71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일체로 된 하나의 용지가 접혀져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한데, 제1측면판(712)은 바닥판(711)의 전후 양단에서 수직으로 절첩되어 형성되고, 바닥판(711)의 좌우 양단에서 수직으로 절첩되어 제2측면판(714)이 형성되며, 제1측면판(712)과 제2측면판(714)이 각각 수직으로 절첩된 후 서로 맞닿게 되는 연결부(713)는 보강부(715)에 의해 감싸져서 보강된다.
이때, 보강부(715)의 일측이 제1측면판(712)의 내측으로 절첩되고 타측이 제2측면판(714)의 내측으로 절첩된 후, 보강부(715)의 상측이 제1측면판(712)과 제2측면판(714)의 외측으로 절첩되어 연결부(713)를 덮음으로써, 제1측면판(712)과 제2측면판(714)이 수직으로 절첩된 상태를 유지하게 되고 함체(710) 사용시 절첩 상태가 풀리지 않고 외형을 유지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또한, 이 함체(710)의 제1측면판(712)과 제2측면판(714)을 각각 바닥판(711) 방향으로 절첩한 후, 다시 바닥판(711)을 반으로 접으면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납작한 형상의 보조물(700)이 형성되고, 이 보조물(700)이 내장된 보조수납함(410)이 보조수납부(400)에 장착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함체(710)의 전개도이다. 도면에서 일점쇄선은 용지가 외측으로 접히도록 하는 외향접힘선(720)을 가리키고, 이점쇄선은 용지가 내측으로 접히도록 하는 내향접힘선(730)을 가리킨다.
하나의 사각용지에 바닥판(711), 제1측면판(712), 제2측면판(714), 및 보강부(715)의 경계를 이루며 교차되는 내향접힘선(730)이 형성되고, 바닥판(711)의 꼭지점에서 보강부(715)의 꼭지점까지 사선으로 내향접힘선(730)이 형성되는데, 보강부(715)의 내향접힘선(730) 양 쪽으로는 각각 외향접힘선(720)이 형성되어 보강부(715)가 제1,2측면판(712,714)의 내측으로 절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보강부(715)의 각 외향접힘선(720)의 끝단을 또 다른 외향접힘선(720)이 연결하는데, 이에 따라 절첩된 보강부(715)의 상측이 제1,2측면판(712,714)의 외측으로 절첩되어 연결부(713)를 덮을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그리고, 제2측면판(714)의 테두리 중앙에서 연접하는 바닥판(711)의 양 꼭지점까지, 각각 사선으로 외향접힘선(720)이 형성되는데, 이는 함체(710)가 보조물(700) 형태로 접혀질 때 제1,2측면판(712,714)이 바닥판(711) 방향으로 접혀지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후 바닥판(711) 중앙의 외향접힘선(720)을 따라 바닥판(711)이 반으로 접히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함체(810)는 일체로 된 하나의 용지가 접혀져서 이루어지며, 바닥판(811), 바닥판(811)의 전후 양단에서 수직으로 절첩 형성되는 제1측면판(812), 바닥판(811)의 좌우 양단에서 수직으로 절첩 형성되는 제2측면판(814), 및 제1측면판(812)과 제2측면판(814) 사이에 형성되고 제1측면판(812)의 내측으로 절첩되는 절첩부(815)로 이루어지되, 각각 절첩된 제1측면판(812)과 절첩부(815)의 상단에서 연장형성되는 결합부(816)가, 절첩부(815)를 감싸며 내측으로 절첩되어 접합됨으로써 함체(810)의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이때, 함체(810)의 재질이 종이인 경우 접합방식으로는 접착제 등에 의한 본딩(bonding) 접합이 바람직하고, 그 외 코팅된 종이나 합성수지의 경우에는 열융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함체(810)가 다시 접혀서 납작한 형상의 보조물(700)이 되는 것은 전술한 예와 같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함체(810)의 전개도이다. 도면에서 일점쇄선은 용지가 외측으로 접히도록 하는 외향접힘선(820)을 가리키고, 이점쇄선은 용지가 내측으로 접히도록 하는 내향접힘선(830)을 가리킨다.
하나의 사각용지에 바닥판(811), 제1측면판(812), 제2측면판(814), 및 절첩부(815)의 경계를 이루며 교차되는 내향접힘선(830)이 형성되고, 바닥판(811)의 꼭지점에서, 연접하는 절첩부(815)의 꼭지점까지, 사선으로 외향접힘선(820)이 형성되며, 제1측면판(812)의 상단에 내향접힘선(830)이 형성되고 이와 연접하는 절첩부(815)의 상단에 외향접힘선(820)이 형성되어, 절첩부(815)가 제1측면판(812)의 내측으로 접힌 상태에서, 결합부(816)가 절첩부(815)의 내측으로 접힐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제2측면판(814)의 테두리 중앙에서 연접하는 바닥판(811)의 양 꼭지점까지, 각각 사선으로 외향접힘선(820)이 형성되는데, 이는 함체(810)가 보조물(700) 형태로 접혀질 때 제1,2측면판(812,814)이 바닥판(811) 방향으로 접혀지도록 하기 위함이며, 이후 바닥판(811) 중앙의 외향접힘선(820)을 따라 바닥판(811)이 반으로 접히게 되는 것이다.
아울러, 전술한 함체(710,810)의 표면에는 광고문 등의 문자나 그림이 인쇄될 수 있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티슈 케이스(100)의 사용상태도이며, 다음과 같이 사용된다.
티슈(600)를 사용하고자 할 때에는 몸체(200) 상면부(230)의 티슈인출구(231)를 통해 티슈(600)를 인출하여 사용하며, 사용중에 티슈(600)의 적층높이가 낮아져서 티슈인출구(231)로부터 티슈(600)가 멀어지게 되면, 티슈수납부(300) 바닥면의 지지부(312)를 티슈수납부(300) 방향으로 절첩하여, 높이조절판(311)을 밀어올림으로써 티슈(600)의 적층높이를 높여서 용이하게 인출할 수 있다.
이때, 지지부(312)의 고정부(312a)가 높이조절판(311)의 고정홈(311a)에 삽입 결합됨으로써 지지부(312)가 높이조절판(311)을 지지하게 된다.
또한, 식사중 발생하는 음식물 찌꺼기를 따로 모으고자 하는 경우에는, 보조물인출구(500)를 통해 보조물(700)을 인출하고, 이 보조물(700)을 펼쳐서 형성되는 함체(710)에 음식물 찌꺼기를 따로 모을 수 있으므로, 사용이 편리하고 위생적이 다.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즉, 그러한 변형예 또는 수정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티슈 케이스의 사시도.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티슈 케이스의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티슈 케이스의 전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티슈 케이스의 분리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함체의 사시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함체의 전개도.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함체의 사시도.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함체의 전개도.
도 10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티슈 케이스의 사용 상태도.
도 1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티슈 케이스의 사용 상태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0 : 티슈 케이스 200 : 몸체
231 : 티슈인출구 300 : 티슈수납부
310 : 높이조절수단 400 : 보조수납부
410 : 보조수납함 500 : 보조물인출구
600 : 티슈 700 : 보조물
710, 810 : 함체

Claims (14)

  1. 적층상태로 수납된 티슈를 외부에서 인출이 가능하도록 형성되는 티슈케이스에 있어서,
    상자형의 형상을 이루되, 상면부에 티슈인출구가 형성되는 몸체;
    상기 몸체의 내부 일측에 구비되는 티슈수납부;
    상기 티슈수납부의 일측에 구비되는 보조수납부; 및
    상기 보조수납부에 수납되는 보조물을 인출할 수 있도록, 상기 몸체의 일측에 형성되는 보조물인출구를 포함하는 티슈 케이스.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티슈수납부의 하부에는 높이조절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티슈수납부에 수납된 티슈가 상기 높이조절수단에 의해 상승되어 상기 티슈인출구를 통해 인출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 케이스.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수단은,
    상기 티슈와 상기 몸체의 바닥면 사이에 개재되는 높이조절판과, 상기 티슈수납부의 바닥면 일측이 'H' 형태로 절개되어 상기 티슈수납부의 내부로 절첩되는 지지부로 구성되되, 상기 지지부의 단부가 상기 높이조절판의 저면을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 케이스.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높이조절판에는 적어도 하나 이상의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부의 끝단에는 상기 각 고정홈에 대응 결합되는 고정부가 적어도 하나 이상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 케이스.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수납부에는, 상부가 개구된 함체형으로 절첩되어 형성되고 내부에 상기 보조물이 수납되는 보조수납함이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 케이스.
  6.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조물 인출구는 상기 보조물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의 상면부 일측이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 케이스.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보조물 인출구의 일측에는 상기 보조수납부에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덮개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 케이스.
  8.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보조물 인출구는 상기 보조물의 인출이 가능하도록, 상기 몸체의 일측 하단 모서리가 절개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 케이스.
  9.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보조물은,
    상부가 개구된 함체형으로 절첩하여 조립된 상태에서, 보관이 용이하도록 다시 절첩하여 부피를 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 케이스.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보조물의 재질은 종이, 비닐코팅된 종이, 생분해성 수지, 식용필름 중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 케이스.
  11.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전후 양단에서 수직으로 절첩 형성되는 제1측면판;
    상기 바닥판의 좌우 양단에서 수직으로 절첩 형성되는 제2측면판; 및
    상기 제1측면판과 상기 제2측면판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판과 상기 제2측면판이 서로 맞닿는 연결부를 보강하는 보강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 케이스.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보강부는, 일측이 제1측면판의 내측으로 절첩되고 타측이 제2측면판의 내측으로 절첩된 후, 상측이 제1측면판과 제2측면판의 외측으로 절첩되어 상기 연결부를 덮어서 보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 케이스.
  13.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함체는,
    바닥판;
    상기 바닥판의 전후 양단에서 수직으로 절첩 형성되는 제1측면판;
    상기 바닥판의 좌우 양단에서 수직으로 절첩 형성되는 제2측면판; 및
    상기 제1측면판과 상기 제2측면판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제1측면판의 내측 으로 절첩되는 절첩부로 이루어지되, 상기 제1측면판과 절첩부의 상단에 연장형성되는 결합부가 상기 절첩부를 감싸며 내측으로 절첩되어 접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 케이스.
  14. 청구항 11 또는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보조물은 상기 함체의 제1측면판과 제2측면판이 각각 상기 바닥판 방향으로 절첩된 후, 다시 상기 바닥판이 반으로 접혀서 상기 보조수납부에 수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티슈 케이스.
KR1020070120458A 2007-11-23 2007-11-23 티슈 케이스 KR200900535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458A KR20090053569A (ko) 2007-11-23 2007-11-23 티슈 케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70120458A KR20090053569A (ko) 2007-11-23 2007-11-23 티슈 케이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90053569A true KR20090053569A (ko) 2009-05-27

Family

ID=408610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70120458A KR20090053569A (ko) 2007-11-23 2007-11-23 티슈 케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90053569A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656Y1 (ko) * 2016-05-18 2016-11-01 김영찬 물이 필요없는 양치 도구
KR200487821Y1 (ko) 2017-06-23 2018-11-07 김은기 티슈 케이스
KR102112464B1 (ko) * 2020-01-03 2020-05-18 이광경 티슈 케이스의 티슈 높이 조절 구조
KR102410324B1 (ko) * 2021-11-05 2022-06-22 심정현 티슈 케이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81656Y1 (ko) * 2016-05-18 2016-11-01 김영찬 물이 필요없는 양치 도구
KR200487821Y1 (ko) 2017-06-23 2018-11-07 김은기 티슈 케이스
KR102112464B1 (ko) * 2020-01-03 2020-05-18 이광경 티슈 케이스의 티슈 높이 조절 구조
WO2021137498A1 (ko) * 2020-01-03 2021-07-08 이광경 티슈 케이스의 티슈 높이 조절 구조
KR102410324B1 (ko) * 2021-11-05 2022-06-22 심정현 티슈 케이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D564363S1 (en) Tubular container and dispenser
CA2300558C (en) Wet tissue package
MX2008002714A (es) Recipiente para surtido y desecho.
SG182227A1 (en) A combined toilet and seat apparatus
US11779168B2 (en) Multi-purpose storage and dispensing apparatus
KR20090053569A (ko) 티슈 케이스
EP2403764B1 (en) Storage box
AU2009100873A4 (en) Serving and storage container
KR102096996B1 (ko) 소형 상자로 재가공이 가능한 피자상자
CA2535044C (en) Tissue container
WO2015034554A1 (en) Systems for containing food for transport and consumption
KR20170137342A (ko) 티슈 보관케이스
KR20170106689A (ko) 티슈를 양 측면으로 인출하는 티슈박스
CN211663942U (zh) 一种桌面垃圾盒
KR101625171B1 (ko) 닭뼈 수거가 용이한 치킨 포장상자용 다용도 뚜껑
JP2004345685A (ja) 紙製のケース
CN105966720B (zh) 一种一纸成型茶具套装包装盒
USD1019288S1 (en) Dog food storage container
JP2004182283A (ja) シート収納用ケースおよび前記ケースを用いたシートパッケージ
JP3229787U (ja) トイレットペーパーボックス
USD1020255S1 (en) Feminine hygiene storage container
CN216416308U (zh) 带消毒纸巾的一次性餐盒
CN207725986U (zh) 一种适用于快速消费食品的包装结构
CN215157084U (zh) 隐藏式提耳礼盒
US20060004411A1 (en) Package containing a first housing for storing unused disposable cleaning products and a second housing for storing used cleaning produc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NORF Unpaid initial registration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