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197U - 젖병용 젖꼭지 - Google Patents

젖병용 젖꼭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197U
KR20140002197U KR2020120008573U KR20120008573U KR20140002197U KR 20140002197 U KR20140002197 U KR 20140002197U KR 2020120008573 U KR2020120008573 U KR 2020120008573U KR 20120008573 U KR20120008573 U KR 20120008573U KR 20140002197 U KR20140002197 U KR 20140002197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nipple
bottle
outside air
feeding
air infl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857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6793Y1 (ko
Inventor
백용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림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림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림스텍
Priority to KR2012000857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6793Y1/ko
Publication of KR20140002197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197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679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679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2Teats with means for supplying a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035Teats having particular shape or structur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1/00Teats
    • A61J11/04Teats with means for fastening to bottles
    • A61J11/045Teats with means for fastening to bottles with interlocking means, e.g. protrusions or indentations on the tea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젖병용 젖꼭지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에 따른 젖병용 젖꼭지는 젖병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젖꼭지의 내부에 공기를 보충시키기 위한 외기유입통로를 연결부의 외부둘레에 형성하여 젖병과의 결합시 결합압력에 의해 막히지 않게 하고, 상기 외기유입통로와 연통하도록 하부통로와 절개부를 형성함으로써, 외기를 수월하게 흡입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연결부의 표면에 점착성이 제거된 입술보호부를 형성하여 상기 점착성에 의한 피부의 손상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젖병용 젖꼭지{NIPPLE FOR NURSING BOTTLE}
본 고안은 젖병용 젖꼭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젖병은 치아가 발육되지 않은 신생아나 유아에게 모유 대신 분유를 수유하기 위하여 사용하고 있다. 이러한 젖병에는 신생아나 유아가 분유를 원활하게 수유할 수 있도록 젖꼭지를 결합하고 있는데, 상기 젖꼭지는 거부감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산모의 젖과 유사한 형상으로 제조되고 있다.
이러한 젖꼭지는 (특허문헌 1)에서 개시하고 있다. 즉 상기 (특허문헌 1)에 따르면, 젖꼭지는 젖병에 결합하기 위한 결합부를 포함하면서 상기 결합부의 상부에 라운드형성된 연결부 및 돌출형성된 돌기를 포함하고 있어 수유시 상기 결합부를 젖병에 결합한 상태에서 돌기에 형성된 수유구멍을 통해 젖병에 담겨 있는 분유를 수유하고 있다.
이때 상기 젖병과 결합하게 되는 결합부에는 공기흡입용 구멍이 형성되어 있으며, 이 공기흡입용 구멍을 통해 젖병 내에 공기를 공급하여 수유과정에서 젖꼭지가 찌그러지거나 압착되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그러나 상기 (특허문헌 1)을 포함하여 종래의 젖꼭지는 공기유입에 종종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으며, 이로 인해 원활한 수유에 지장을 초래하고 있다. 즉 종래의 젖꼭지는 돌출부의 상면에 한 쌍의 리브(Rib)를 돌출 형성하여 외기를 유입한 후 이를 공기흡입용 구멍이 흡입하는 방식을 채택하고 있어 젖병을 과도하게 결합하면 이 결합압력에 의해 상기 리브(Rib)가 찌그러지게 되고, 이로 인해 외기가 유입되는 통로가 완전히 막혀 공기가 유입되지 않는다.
다른 문제점은 신생아나 유아가 공기를 직접 흡입하게 되는 공기흡입용 구멍이 막히는 것으로, 종래 젖꼭지에 형성되어 있는 결합부는 그 두께가 일정하기 때문에 젖병과의 결합시 상기 결합부가 몸통의 상단에 압착됨으로 인해 공기흡입용 구멍에 변형이 발생하여 막히게 되며, 이에 따라 수유에 지장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한편 이와 같이 결합부의 두께가 일정한 종래의 젖꼭지는 젖병의 외부에서 잡아당길 경우 신생아나 유아의 힘만으로도 손쉽게 분리되고 있어 수유과정 또는 보관과정에서 분유가 쏟아지는 불상사를 야기할 수 있다.
KR 0397308 Y1
따라서 본 고안은 젖꼭지를 젖병에 결합하여 사용하는 과정에서 공기유입 및 흡입에 문제가 발생하여 수유에 지장을 초래하는 것을 해결하고, 나아가 젖병으로부터 젖꼭지가 쉽게 분리되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이다.
본 고안의 관점은, 원활한 공기유입 및 흡입으로 수유가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며, 아울러 분리를 방지할 수 있도록 한 젖병용 젖꼭지를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 관점을 달성하기 위해,
본 고안에 따른 젖병용 젖꼭지는 수유구멍이 형성된 수유부;
상기 수유부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통로가 측면 둘레에 형성되고, 이 외기유입통로에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는 리브(Rib)가 돌출 형성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표면의 점착성을 제거하여 형성된 입술보호부; 및
상기 연결부의 하단에 형성되어 젖병의 몸통과 이를 덮는 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기밀하며, 상기 외기유입통로와 연결된 하부통로가 형성되고, 이 하부통로에 흡입시 개폐되는 절개부가 형성된 결합부;
를 포함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젖병용 젖꼭지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몸통과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단차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젖병용 젖꼭지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외곽 하부에 걸림돌기부가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해결 수단들은 첨부된 도면에 의거한 다음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고 사전적인 의미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고안자가 그 자신의 고안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통로가 연결부의 외부둘레에 형성되고, 이 외기를 안내하기 위한 하부통로가 결합부에 형성되며, 이 하부통로에 절개부가 형성됨으로써, 외기의 유입 및 흡입이 수월하게 되고, 이로 인해 원활한 수유가 가능하다.
또한 상기 연결부에 표면의 점착성이 제거된 입술보호부이 형성됨으로써, 수유과정에서 입술이 달라붙었다 떨어지는 과정에서 피부손상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한편 상기 결합부에 단차부가 형성됨으로써, 젖병에 결합하는 과정에서 몸통에 의한 압착으로 인해 절개부의 형상이 변형되어 막히는 것을 방지하게 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 결합부에 걸림돌기부가 형성됨으로써, 수유과정에서 젖병으로부터 젖꼭지가 분리되는 것을 방지하게 되며, 이로 인해 수유안전성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젖병용 젖꼭지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2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젖병용 젖꼭지를 나타내 보인 사시도.
도 3은 도 1의 요부를 확대하여 나타내 보인 단면도.
도 4는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걸림돌기부를 나타내 보인 단면도.
본 고안의 특이한 관점, 특정한 기술적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되어 지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실시 예로부터 더욱 명백해 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번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번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하여야 한다. 또한 "제1", "제2", "일면", "타면"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상기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고안을 설명함에 있어서 본 고안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는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하, 본 고안의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젖병용 젖꼭지(1)는 합성수지를 이용하여 형성되는 공지의 수유부(10), 상기 수유부(10)로부터 하부방향으로 형성된 연결부(20) 및 상기 연결부(20)의 하단에 형성되어 젖병(2)에 결합하게 되는 결합부(30)를 포함하되, 상기 연결부(20)의 외부둘레에 외기유입통로(22), 리브(Rib) 및 입술보호부(24)가 형성되고, 상기 결합부(30)에 하부통로(31) 및 절개부(32)가 형성된다.
도 1에서 보듯이, 상기 수유부(10)는 젖꼭지(1)의 최상부에 해당하며, 신생아나 유아가 젖병(2)에 담겨 있는 분유를 용이하게 흡입할 수 있도록 산모의 유두와 유사한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수유부(10)에는 젖꼭지(1)의 외부와 내부를 관통하는 수유구멍(11)이 형성되며, 이 수유구멍(11)을 이용하여 젖병(2)에 담겨 있는 분유가 신생아나 유아에게 공급된다.
여기서 상기 수유구멍(11)은 원활한 수유작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배열 형성하되, 그 수와 형태에 관해서는 널리 알려져 있으므로 본 고안에서는 별도의 한정을 두지 않는다.
이와 같은 수유부(10)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연결부(20)는 젖꼭지(1)의 중간부에 해당하며, 상기 수유부(10)로부터 연장 형성되는 과정에서 내부공간(21)을 확장하여 산모의 젖과 유사한 형상을 갖게 함으로써, 수유시 신생아나 유아의 입술이 자연스럽게 접촉되어 안정감을 느낄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도 2에서 보듯이, 상기 연결부(20)는 외부둘레에 외부 공기를 유입시킬 수 있는 외기유입통로(22)가 홈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이 외기유입통로(22) 상에 리브(23)가 돌출 형성되며, 이때의 상기 외기유입통로(22)와 리브(23)는 한 쌍으로 하여 연결부(20)의 좌우에 각각 형성된다.
즉 상기 외기유입통로(22)는 젖꼭지(1)를 이용한 수유과정에서 신생아나 유아의 반복적인 흡입작용에 의해 부족해진 공기를 보충할 수 있도록 상기 젖꼭지(1)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게 되며, 이에 따라 공기부족에 의한 배앓이 또는 젖꼭지(1)의 과도한 수축을 방지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외기유입통로(22)가 연결부(20)의 외부둘레에 형성되는 것은 젖병(2)과의 결합시 상기 젖병(2)을 구성하는 몸통(2a)과 커버(2b)에 의한 결합압력이 발생하더라도 외기유입통로(22)가 막히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를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몸통(2a)과 커버(2b)로 구성된 젖병(2)에 젖꼭지(1)를 결합하면, 상기 젖꼭지(1)에는 상기 몸통(2a)과 커버(2b)의 결합압력이 전달되는데, 이 결합압력은 젖병(2)을 기준으로 수직방향으로 발생하여 전달된다.
따라서 이러한 수직방향의 결합압력에 전혀 영향받지 않도록 본 고안은 외기유입통로(22)를 연결부(20)의 외부둘레에 형성하는 것이며, 이를 통해 외기유입이 수월하게 이루어지는 것을 반복적인 실험결과를 통해 확인하였다.
상기 외기유입통로(22)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리브(23)가 돌출 형성되며, 이 리브(23)를 이용하여 공기의 흐름을 조절함으로써, 더욱 수월하게 외기를 유입하게 된다. 즉 상기 리브(23)는 외기유입통로(22)를 통해 유입되는 외기의 유입량에 따라 상기 외기유입통로(22)의 중앙에 단독 또는 복수로 형성하여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게 된다.
상기 연결부(20)의 표면에 형성되는 입술보호부(24)는 신생아나 유아가 수유를 하는 과정에서 입술이 연결부(20)에 달라붙었다 떨어지는 과정에서 점착성(粘着性/Viscosity)에 의해 피부가 상하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즉 상기 연결부(20)는 전술한 바와 같이, 합성수지로 형성되고, 이러한 합성수지의 특성상 끈끈하게 달라붙는 성질을 뜻하는 점착성이 있는데, 이로 인해 신생아나 유가가 수유를 하기 위해 입술을 댔다가 수유가 끝난 후 분리과정에서 입술의 피부가 상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샌딩(Sanding) 공법을 이용하여 연결부(20)의 표면의 점착성을 제거하여 입술보호부(24)를 형성하게 되며, 이때의 상기 입술보호부(24)는 연결부(20)에 위,아래로 배열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젖꼭지(1)를 이용하는 연령대를 고려한 선택이다. 따라서 상기 입술보호부(24)를 통해 신생아나 유아의 연약한 피부가 젖꼭지(1)의 점착성에 의해 손상되는 것을 염려하지 않게 되는 것이다.
한편 상기 결합부(30)는 연결부(20)의 하단에 형성되어 몸통(2a)과 이를 덮는 커버(2b) 사이에 배치되며, 이를 통해 젖꼭지(1)를 젖병(2)에 결합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즉 상기 결합부(30)는 젖꼭지(1)의 최하부에 해당되는 것으로, 젖병(2)과의 결합을 위해 연결부(20)의 하단에 형성되며, 나아가 외기유입통로(22)를 통해 유입된 외기를 최종적으로 내부에 공급하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를 위하여 상기 결합부(30)에는 하부통로(31) 및 절개부(32)를 형성하게 되는데, 상기 하부통로(31)를 결합부(30)의 상면에 형성하여 외기유입통로(22)와 연통시키고, 상기 결합부(30)의 하면에 절개부(32)가 개폐 가능하게 형성된다.
도 2 내지 3에서 보듯이, 상기 절개부(32)는 결합부(30)의 단면을 일자(-)로 절개하는 방식으로 형성되어 평상시에는 밀폐되어 내부공기가 밖으로 세는 것을 기밀하고 있다가 흡입시에는 개방되어 외기가 통과될 수 있도록 하게 된다.
따라서 흡입시 외기유입통로(22)를 통해 유입된 외기는 상기 외기유입통로(22)를 따라 하부통로(31)로 이송되고, 외기의 흡입으로 인해 개방된 절개부(32)를 통해 젖꼭지(1)의 내부로 공급되어 원활한 수유가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한편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젖병용 젖꼭지(1)는 젖병(2)과의 결합과정에서 절개부(32)의 형상이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변형방지구조를 포함한다.
상기 변형방지구조는 앞서 설명한 결합부(30)에 단차부(33)를 형성하여 달성할 수 있다. 즉 상기 단차부(33)는 결합부(30)의 두께보다 얇게 형성되는데, 상기 결합부(30)의 두께를 T1으로 정의하고, 단차부(33)의 두께를 T2으로 정의한다면, T1 > T2이 성립된다.
이러한 단차부(33)는 젖병(2)과의 결합시 몸통(2a)의 상단과 이를 덮는 커버(2b)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수직방향으로 발생하는 결합압력에 따른 작용으로 절개부(32)의 형상이 뒤틀리는 등의 변형을 방지하여 절개부(32)의 형상을 유지토록 하게 된다.
또한 본 고안의 실시 예에 따른 젖병용 젖꼭지(1)는 앞서 설명한 공기유입 및 흡입의 용이함을 제공함과 동시에 젖병(2)으로부터 젖꼭지(1)가 분리되지 않도록 분리방지구조를 포함한다. 이러한 분리방지구조는 결합부(30)에 걸림돌기부(34)를 형성하여 달성할 수 있다.
도 4에서 보듯이, 상기 걸림돌기부(34)는 결합부(30)의 외곽 하부에 삼각형 형상으로 돌출 형성하여 실시하게 되며, 이에 따라 걸림돌기부(34)가 몸통(2a)의 상단에 걸려 단속됨으로써, 신생아나 유아의 힘으로는 젖꼭지(1)를 잡아당기더라도 쉽게 분리되지 않게 되며, 이에 따라 수유안전성을 확보하게 된다.
이상 본 고안을 실시 예를 통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고안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고안에 따른 젖병용 젖꼭지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당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그 변형이나 개량이 가능함은 명백하다고 할 것이다.
본 고안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모두 본 고안의 영역에 속하는 것으로 본 고안의 구체적인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명확해질 것이다.
1 - 젖꼭지 2 - 젖병
2a - 몸통 2b - 커버
10 - 수유부 11 - 수유구멍
20 - 연결부 21 - 내부공간
22 - 외기유입통로 23 - 리브
24 - 입술보호부 30 - 결합부
31 - 하부통로 32 - 절개부
33 - 단차부 34 - 걸림돌기부

Claims (3)

  1. 수유구멍이 형성된 수유부;
    상기 수유부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외기가 유입되는 외기유입통로가 측면 둘레에 형성되고, 이 외기유입통로에 공기의 흐름을 조절하는 리브(Rib)가 돌출 형성된 연결부;
    상기 연결부의 표면의 점착성을 제거하여 형성된 입술보호부; 및
    상기 연결부의 하단에 형성되어 젖병의 몸통과 이를 덮는 커버 사이에 배치되어 기밀하며, 상기 외기유입통로와 연결된 하부통로가 형성되고, 이 하부통로에 흡입시 개폐되는 절개부가 형성된 결합부;
    를 포함하는 젖병용 젖꼭지.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몸통과 커버 사이에 배치되는 단차부가 형성된 젖병용 젖꼭지.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결합부는 외곽 하부에 걸림돌기부가 형성된 젖병용 젖꼭지.
KR20120008573U 2012-09-24 2012-09-24 젖병용 젖꼭지 KR20047679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08573U KR200476793Y1 (ko) 2012-09-24 2012-09-24 젖병용 젖꼭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08573U KR200476793Y1 (ko) 2012-09-24 2012-09-24 젖병용 젖꼭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197U true KR20140002197U (ko) 2014-04-18
KR200476793Y1 KR200476793Y1 (ko) 2015-04-08

Family

ID=52442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08573U KR200476793Y1 (ko) 2012-09-24 2012-09-24 젖병용 젖꼭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679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363945A (zh) * 2018-11-14 2019-02-22 新文越婴童用品(上海)有限公司 一种具有回气阀的奶嘴及使用该奶嘴的哺乳器
CN112022721A (zh) * 2014-05-20 2020-12-04 皇家飞利浦有限公司 用于婴幼儿喂食器皿的嘴部件
KR20210100892A (ko) 2020-02-07 2021-08-18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구강 발달 촉진용 젖병 꼭지 세트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82367B1 (ko) * 2019-04-23 2020-11-24 정승채 유아용 빨대컵
KR102608528B1 (ko) * 2023-06-27 2023-12-05 주식회사 한성컴퍼니 젖꼭지부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42627Y1 (ko) * 2007-02-13 2008-11-25 전득재 젖병용 젖꼭지
KR20120050074A (ko) * 2010-11-10 2012-05-18 최완성 유아용 젖병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2022721A (zh) * 2014-05-20 2020-12-04 皇家飞利浦有限公司 用于婴幼儿喂食器皿的嘴部件
CN112022721B (zh) * 2014-05-20 2023-08-04 皇家飞利浦有限公司 用于婴幼儿喂食器皿的嘴部件
CN109363945A (zh) * 2018-11-14 2019-02-22 新文越婴童用品(上海)有限公司 一种具有回气阀的奶嘴及使用该奶嘴的哺乳器
KR20210100892A (ko) 2020-02-07 2021-08-18 경기과학기술대학교 산학협력단 구강 발달 촉진용 젖병 꼭지 세트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6793Y1 (ko) 2015-04-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40002197U (ko) 젖병용 젖꼭지
AU2008315811B2 (en) Soother
JP6010604B2 (ja) 乳首ユニット
TWI598091B (zh) Artificial nipples and their use of the nipple and pacifier toys
US10123946B2 (en) Teat for feeding bottle
TW201534294A (zh) 具有一通氣奶嘴之嬰兒奶瓶總成
CN101730517A (zh) 安抚奶嘴
JP4813777B2 (ja) 人工乳首及び哺乳器
TWI606822B (zh) Artificial pacifier and breastfeeder with artificial pacifier (2)
KR200479362Y1 (ko) 스푼이 장착된 분유통 뚜껑
KR200486654Y1 (ko) 공기 필터 조립체 및 비강용 공기 필터링 디바이스
TW201501708A (zh) 人工奶嘴及具有人工奶嘴之哺乳器(一)
JP5265618B2 (ja) 人工乳首及び哺乳器
KR200296991Y1 (ko) 수유용 젖꼭지
TW201124129A (en) Artificial nipple and nursing container using same
CN202288911U (zh) 一种奶嘴
KR101743435B1 (ko) 젖병
JP3230441U (ja) マスクインナー収容袋
CN102309416B (zh) 一种奶嘴
KR200328696Y1 (ko) 기능성 젖병
US20200009019A1 (en) Pacifier
KR20210010259A (ko) 우유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도 록하는 기능성 젖병
KR20080004512U (ko) 마스크
KR20090007966U (ko) 생감이 있는 젖꼭지
KR20160128034A (ko) 분유공급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601 Decision of rejection after re-examin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AGAINST DECISION OF REJECT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TO DECLINE REFUSAL REQUESTED 20140403

Effective date: 20150216

S901 Examination by remand of revocation
GRNO Decision to grant (after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323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319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