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2174U - 정류기 내장형 전선 오토릴 - Google Patents

정류기 내장형 전선 오토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2174U
KR20140002174U KR2020120009029U KR20120009029U KR20140002174U KR 20140002174 U KR20140002174 U KR 20140002174U KR 2020120009029 U KR2020120009029 U KR 2020120009029U KR 20120009029 U KR20120009029 U KR 20120009029U KR 20140002174 U KR20140002174 U KR 20140002174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tifier
drum
wire
reel
elect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902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하석문
한명수
Original Assignee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902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2174U/ko
Publication of KR20140002174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2174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GINSTALLATION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R OF COMBINED OPTICAL AND ELECTRIC CABLES OR LINES
    • H02G11/00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 H02G11/02Arrangements of electric cables or lines between relatively-movable parts using take-up reel or dr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02Contact members
    • H01R13/10Sockets for co-operation with pins or bla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Landscapes

  • Finish Polishing, Edge Sharpening, And Grinding By Specific Grinding Devic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정류기 내장형 전선 오토릴에 관한 것으로,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서포터; 상기 드럼에 권취되고, 전원공급단자에 접속되는 플러그를 구비한 전선; 상기 전선의 단부와 연결된 정류기; 상기 정류기와 연결되어 정류된 직류전류를 출력하고, 전동 그라인더의 플러그가 접속되는 전원콘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류기 내장형 전선 오토릴을 제공한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정류기가 오토릴에 내장되어 있어 사용상 편의성이 증대되고, BLDC 전동 그라인더의 경우 직류를 곧바로 사용할 수 있어 정류기 단자함이 없는 작업공간에서도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이동의 편의성도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Description

정류기 내장형 전선 오토릴{RECTIFIER INCLUDING TYPE ELECTRIC CABLE AUTO REEL}
본 고안은 정류기 내장형 전선 오토릴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에어 그라인더를 BLDC 전동 그라인더로 대체할 때 전원 공급을 위한 정류기를 전선 오토릴 내부에 구비하여 고정식 정류기를 사용할 때 보다 전선 관리가 용이하고, 이동과 작업위치 제약을 극소화시킨 정류기 내장형 전선 오토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오토릴(Auto Reel)은 시계 태엽 등에서 많이 활용되는 스파이어럴 스프링의 압축 팽창을 이용하여 드럼을 회전시켜 인출된 전선을 자동으로 인입시키도록 된 유닛의 통칭으로 사용된다.
이러한 오토릴은 다양한 산업분야는 물론 가전제품, 휴대폰을 포함한 일상생활 전반에 걸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으며, 에컨대 공개특허 제2005-0036309호, 공개특허 제2011-0125307호 등에 잘 나타나 있다.
한편, 본 고안 선박 건조와 관련하여서는 주로 에어 그라인더를 사용하던 추세에서 제어의 용이성과 정확성을 위해 BLDC 전동 그라인더로 대체함으로 인해 전동 그라인더로의 전원 공급용으로 오토릴이 많이 사용된다.
그리고, 전동 그라인더는 통상 디스크 그라인더로서, 이를 테면 도 1의 예시와 같이, 구동모터(102)가 내장된 몸체(104), 상기 구동모터(102)와 연결되어 회전하는 스핀들(105), 상기 스핀들(105)에 고정설치되는 디스크(106), 상기 몸체(104)에 설치되어 구동모터(102)의 작동을 제어하는 스위치(108) 및 상기 몸체의 후단에 연결설치된 전기코드(109)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스위치(108)는 핀(108a)을 올리고 내려서 구동모터(102)의 작동을 제어하는 온/오프 스위치이고, 전기코드(109)를 통해 보통 교류를 인가하여 구동모터(102)를 회전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때, 전동 그라인더의 구동원인 구동모터(102)가 BLDC일 경우, 교류를 사용할 수 없기 때문에 DC 전원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정류기를 반드시 거쳐야 한다.
그런데, 도 2의 예시와 같이, 종래 오토릴(200)은 전원콘센트(210)만 구비하고 있기 때문에 교류 전원을 연장하는 역할만 수행할 뿐 정류 기능을 수행할 수 없기 때문에 작업 현장마다 고정식 단자함에 정류기를 별도로 설치하고, 전동그라인더의 플러그를 고정식 단자함에 꽂아 사용해야 하는 불편이 따른다.
때문에, 단자함이 없는 곳에서는 그라인드 작업이 불가능하고, 작업 가능 구역을 넓히기 위해서는 그라인더의 전선이 길어야 하므로 이동이 불편하고, 전선 관리가 어렵다는 단점이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서는, 그라인더에 정류기를 내장하면 가장 좋겠지만, 정류기를 내장하기도 어려울 뿐만 아니라, 그럴 경우 공구의 작업성이 떨어지고, 그라인더 구조 자체를 바꿔야 하므로 현실적으로 적용하기 어렵다.
본 고안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오토릴에 정류기를 내장함으로써 교류전원을 그대로 사용할 수 있고, 전선의 길이가 길어도 관리가 쉬우며, 이동도 편리하도록 개선된 정류기 내장형 전선 오토릴을 제공함에 그 주된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수단으로,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서포터; 상기 드럼에 권취되고, 전원공급단자에 접속되는 플러그를 구비한 전선; 상기 전선의 단부와 연결된 정류기; 상기 정류기와 연결되어 정류된 직류전류를 출력하고, 전동 그라인더의 플러그가 접속되는 전원콘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류기 내장형 전선 오토릴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정류기는 상기 드럼의 일측면에 매립 설치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또한, 상기 전원콘센트는 상기 드럼의 일측면에 매립 설치된 것에도 그 특징이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정류기가 오토릴에 내장되어 있어 사용상 편의성이 증대되고, BLDC 전동 그라인더의 경우 직류를 곧바로 사용할 수 있어 정류기 단자함이 없는 작업공간에서도 효율적인 사용이 가능하며, 이동의 편의성도 향상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종래 전동 그라인더의 예시도이다.
도 2는 종래 오토릴의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에 따른 오토릴의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고안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된다.
또한,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고안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고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오토릴(10)은 드럼(20)과 서포터(30)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드럼(20)은 릴(Reel)과 같은 것으로 전원을 공급하는 전선(40)이 권취되는 부재이다.
그리고, 상기 드럼(20)은 상기 서포터(30)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지지된다.
아울러, 상기 서포터(30)는 대략 삼각형상으로 형성되며, 바닥면에 안정적으로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드럼(20)이 바닥면으로부터 들 뜬 상태로 회전될 수 있도록 지지하게 된다.
또한, 상기 드럼(20)의 일측면에는 전원콘센트(50)가 고정된다.
상기 전원콘센트(50)는 기존과 달리 교류가 아닌 직류를 출력하도록 된 콘센트로서 전동 그라인더의 전원플러그(미도시)를 꽂을 수 있도록 구성된다.
뿐만 아니라, 상기 전원콘센트(50)는 정류기(60)의 출력단과 연결된다.
이 경우, 정류기(60)는 교류 전류를 직류 전류로 정류하는 수단으로, 다이오드를 포함한 정류 수단을 내장하고 있는 공지의 전기기기이다.
아울러, 상기 정류기(60)는 상기 드럼(20)에 권취된 전선(40)의 단부와 연결되며, 전선(40)을 통해 공급되는 교류 전류를 정류시켜 직류 전류로 출력하며, 출력된 전류는 전원콘센트(50)를 통해 전동 그라인더로 공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이때, 상기 정류기(60)는 상기 드럼(20)의 일측면에 매립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는데, 이는 드럼(20)이 통상 원통형상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전선(40)이 권취되는 공간과 간섭되지 않고 매립하여 외부로 노출되지 않게 함으로써 외부 간섭을 최소화하고 오토릴(10)의 외관 품위를 높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 전원콘센트(50)도 상기 정류기(60)와 동일하게 드럼(20)의 일측면에 매립되게 설치할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고안은 다음과 같은 작동관계를 갖는다.
오토릴(10)에 정류기(60)가 내장되어 있기 때문에 기존 처럼 매 작업장 마다 고정식 정류단자함을 갖추지 않아도 된다.
즉, 작업자는 작업이 필요한 공간으로 오토릴(10)을 이동시킨 다음 전선(40)을 당겨 일정길이만큼 푼 다음 전선(40)의 선단에 마련된 플러그(70)를 교류 전원의 전원공급단자(80)에 꽂는다.
그런 다음, 작업 장소에서 전동 그라인더의 플러그(미도시)를 오토릴(10)에 구비된 전원콘세트(50)에 꽂게 되면 정류기(60)를 통해 정류된 직류 전류가 전동그라인더로 인가되기 때문에 BLDC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전동 그라인더를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오토릴(10)은 정류기(60)를 내장함으로 인해 작업성이 개선되고, 고정식 정류단자함이 없는 곳에서도 작업할 수 있게 되어 편의성과 작업효율이 향상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10: 오토릴 20: 드럼
30: 서포터 40: 전선
50: 전원콘센트 60: 정류기
70: 플러그 80: 전원공급단자

Claims (3)

  1. 드럼;
    상기 드럼을 회전가능하게 지지하는 서포터;
    상기 드럼에 권취되고, 전원공급단자에 접속되는 플러그를 구비한 전선;
    상기 전선의 단부와 연결된 정류기;
    상기 정류기와 연결되어 정류된 직류전류를 출력하고, 전동 그라인더의 플러그가 접속되는 전원콘센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류기 내장형 전선 오토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정류기는 상기 드럼의 일측면에 매립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류기 내장형 전선 오토릴.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전원콘센트는 상기 드럼의 일측면에 매립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정류기 내장형 전선 오토릴.
KR2020120009029U 2012-10-09 2012-10-09 정류기 내장형 전선 오토릴 KR20140002174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029U KR20140002174U (ko) 2012-10-09 2012-10-09 정류기 내장형 전선 오토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9029U KR20140002174U (ko) 2012-10-09 2012-10-09 정류기 내장형 전선 오토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2174U true KR20140002174U (ko) 2014-04-17

Family

ID=524427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9029U KR20140002174U (ko) 2012-10-09 2012-10-09 정류기 내장형 전선 오토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2174U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520607A1 (en) Water pump and aquarium equipment comprising the water pump
CN105846605B (zh) 吊扇马达
KR20100009222U (ko) 전선 릴
KR20140002174U (ko) 정류기 내장형 전선 오토릴
CN201674079U (zh) 一种插座
CN209963652U (zh) 一种电力管道穿线器
CN202381352U (zh) 桌面型无线充电电扇
CN207522257U (zh) 一种多切边型定子铁芯用切边打磨装置
KR200469045Y1 (ko) 휴대용 전자기식 안마기
CN104993616B (zh) 变压器式旋转电源
CN103922200A (zh) 一种收线装置
CN204295448U (zh) 墙面打磨机的机头结构
CN202231544U (zh) 直流牵引电动机的出线结构
CN202211104U (zh) 一种驱鸟器及其专用安装工具
KR20140002240U (ko) 전동 그라인더의 직류전원 공급용 동축전선
CN204706686U (zh) 便携式插座
CN104328628A (zh) 一种电动遥控晾衣架
KR102092986B1 (ko) 유리창 청소 로봇
CN204741153U (zh) 一种带轴承电刷的电源盘
CN203456696U (zh) 一种卷线盘
CN208345404U (zh) 自动卷绕装置及自动卷绕系统
CN206467346U (zh) 双工位卷绕机工位转换控制系统
CN103148538A (zh) 落地式空调室内机及落地式空调器
JP2011026110A (ja) 延長コードドラム
CN202103567U (zh) 可远程控制的变频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N Withdrawal due to no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