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1990U - 잉곳 주조장치 - Google Patents

잉곳 주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1990U
KR20140001990U KR2020120008739U KR20120008739U KR20140001990U KR 20140001990 U KR20140001990 U KR 20140001990U KR 2020120008739 U KR2020120008739 U KR 2020120008739U KR 20120008739 U KR20120008739 U KR 20120008739U KR 20140001990 U KR20140001990 U KR 2014000199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ld
ingot
molten steel
ingot casting
refractory materi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8739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인철
최광수
최성호
Original Assignee
동국제강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동국제강주식회사 filed Critical 동국제강주식회사
Priority to KR2020120008739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1990U/ko
Publication of KR2014000199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99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7/00Casting ingots, e.g. from ferrous metals
    • B22D7/06Ingot moulds or their manufacture
    • B22D7/066Manufacturing, repairing or reinforcing ingot moul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7/00Casting ingots, e.g. from ferrous metals
    • B22D7/12Appurtenances, e.g. for sintering, for preventing splash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nufacture And Refinement Of Metals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한 쌍을 이루며 잉곳(INGOT)을 주조하는 주형;과 상기 주형이 상부에 안착되는 정반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주형의 내부에는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에는 내화재가 삽입 결합되는 잉곳 주조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잉곳 주조장치{APPARATUS FOR INGOT CASTING}
본 고안은 잉곳 주조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형의 침식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진 잉곳 주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조는 용강을 일정한 형상에 주입하고 응고시켜 목적하는 형상의 제품을 반복적으로 제조하는 것이다. 즉, 제강로에서 정련을 마친 용강은 주형에 투입된 후 응고처리를 거쳐 잉곳(INGOT)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주조 방법에는 상부 주조법과 하부 주조법이 있으며, 상부 주조법은 주형의 상부로 용강을 주입하는 방법이고, 하부 주조법은 주형의 저부로부터 용강을 주입하는 방법이다.
상부 주조법은 순도가 높은 재질의 제품을 주조할 때 사용되고, 하부 주조법은 용강을 주형의 내부로 천천히 주입시켜 용강의 비산을 방지하고자 할 경우에 사용된다.
도 1은 용강에 의해 침식된 종래의 주형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1에서 보는 바와 같이, 상부 주조법으로 용강이 주형의 내부로 투입되는 경우, 용해로로부터 낙하되는 용강은 포물선을 그리며 주형의 내측면에 부딪히며 주형의 내부로 투입된다.
이때, 포물선을 그리며 낙하하는 용강은 주형을 침식시키게 되며, 주형의 침식상태가 심할 경우에는 용강이 주형의 외부로 노출되어 작업자의 안전상 위험이 있고, 주변 설비를 파손시킬 우려도 있다.
도 2는 종래의 주형으로부터 제조된 잉곳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에서 보는 바와 같이, 침식된 주형으로부터 제조되는 잉곳은 주형의 침식 부위까지 잉곳이 형성되어 불균일한 표면을 갖게 된다. 따라서, 작업자는 이러한 불균일한 표면을 재가공 처리해야되는 불편함이 있다.
그리고, 침식된 주형은 재사용이 어려워 주기적으로 교체해야되는 문제가 있다.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주형의 침식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진 잉곳 주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한 쌍을 이루며 잉곳(INGOT)을 주조하는 주형;과 상기 주형이 상부에 안착되는 정반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주형의 내부에는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에는 내화재가 삽입 결합되는 잉곳 주조장치를 제공한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화재는 용강이 상기 주형의 내부로 투입될 때 용강이 상기 주형과 부딪히는 부위에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정반에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에는 보강재가 삽입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내화재는 교체 가능한 내화벽돌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의 높이는 상기 주형의 높이에 대해 2/3 높이 이하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한편,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주형은 진공 용해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잉곳을 주조할 수도 있다.
상기에서 설명한 본 고안에 따른 잉곳 주조장치의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본 고안에 따르면, 주형의 내부에는 내화재가 삽입된다. 이때, 내화재는 용강이 주형의 내부로 투입됨에 있어, 용강이 주형과 부딪히는 부위에 구비되어 주형의 침식을 방지하게 된다. 따라서, 주형의 침식으로 인해 제조되는 잉곳의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주형의 내부에는 내화재가 구비되어 주형의 침식으로 인해 용강이 주형의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용강으로부터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고, 진공 용해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둘째, 본 고안에 따르면, 주형의 내부에 구비되는 내화재는 교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내화재가 파손되는 경우, 작업자는 내화재만을 교체하여 주형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즉, 침식이 이루어진 고가의 주형이 재사용되지 못하고 폐기처리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셋째, 본 고안에 따르면, 정반에 삽입된 보강재는 교체 가능하도록 이루어져, 정반에 구비된 보강재가 파손되는 경우, 보강재만을 교체하면 정반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본 고안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 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의 구성으로부터 추론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용강에 의해 침식된 종래의 주형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종래의 주형으로부터 제조된 잉곳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용해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잉곳 주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잉곳 주조장치의 단면 예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잉곳 주조장치로부터 제조된 잉곳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진공 용해장치의 개략도이다.
도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진공 용해장치(1000)는 챔버(100), 용해로(200) 및 잉곳 주조장치(400)가 포함될 수 있다.
챔버(100)는 진공 용해장치(1000)의 외형을 형성한다. 이러한, 챔버(100)에는 진공 펌프(110)가 구비되어 챔버(1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게 된다. 즉, 진공 펌프(110)는 용해로(200)의 작동이 이루어지기 전에 챔버(1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하여 챔버(100)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이 되도록 한다.
한편, 챔버(100)의 내부에는 용해로(200)가 구비되며, 용해로(200)는 진공 펌프(110)의 작동이 이루어진 후 챔버(100) 내부의 압력이 낮아진 상태에서 가열되어 금속을 녹이게 된다. 이는, 용해로(200)에서 금속을 녹이는 과정 중 챔버(100)내의 공기와 용융 금속의 화학 반응, 즉 산화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게 위함이다.
그리고, 챔버(100) 내부는 진공 상태를 이룸으로써 수소 등 단조에 치명적인 결함을 미치는 가스의 제거가 수월하기 이루어질 수 있다. 즉, 단조용으로 주로 사용되는 잉곳은 단조에 치명적인 결함을 야기하는 수소 등의 가스 제거가 필수적이다.
이와 같이, 진공 용해장치(1000)는 주위로부터의 오염이 없고, 금속 중의 가스 함유량을 낮출 수 있으므로 청정강의 제조가 가능하다.
용해로(200)의 용강은 잉곳 주조장치(400)의 내부로 공급된 후 응고과정을 거쳐 잉곳(Ingot)으로 제조된다.
이러한, 잉곳을 형성하는 잉곳 주조장치(400)의 주형(410, 도 4참조)은 잉곳의 종류에 따라 사각형, 타원형, 항아리형 등 다양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주형(410, 도 4참조)의 재질은 변형이 적고 내구성이 큰 재질을 사용하게 된다.
도 4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잉곳 주조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잉곳 주조장치의 단면 예시도이다.
도 4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잉곳 주조장치(400)는 주형(410)과 정반(420)이 포함되어 이루어질 수 있다.
주형(410)은 한 쌍을 이루며, 잉곳을 주조하게 된다. 이러한, 주형(410)은 상하 양측이 개구되며, 내부에는 용강이 수용되는 수용 공간부(411)가 형성되어 다양한 형상의 잉곳이 제조될 수 있다.
주형(410)의 내측에는 장착홈(412)이 형성되며, 장착홈(412)에는 고온의 연소 가스, 화학 작용 등에도 충분히 견딜 수 있는 내화재(413)가 결합된다. 내화재(413)는 용강이 주형(410)의 내부로 포물선을 그리며 주입될 시 주형(410)과 부딪히는 부위에 구비되도록 한다.
이는, 용강의 주입시 주형(410)과 부딪히는 부위에 열크랙, 터짐, 침식 등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하게 위함이다. 이와 달리, 주형(410)의 내부에 내화재(413)가 구비되지 않은 상태에서 주형(410)으로 용강이 주입되는 경우, 용강과 주형(410)이 부딪히는 부위에는 침식이 일어나게 되어 주형(410)의 형상 변형을 초래한다.
즉, 주형(410)의 내부에는 내화재(413)가 구비되어 주형(410)을 일정 횟수 이상으로 반복 사용하더라도 주형(410)의 침식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주형(410)의 내측에 구비되는 내화재(413)는 주형(410)의 둘레를 따라 전체적으로 구비될 수도 있고, 주형(410)의 내측 일부분에만 한정되어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로서 주형(410)의 내측 일부분에 내화재(413)가 구비된 형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내화재(413)는 주형(410)의 장착홈(412)에 탈착가능하도록 결합되어 주형(410)의 수명을 연장시키게 된다. 일예로, 내화재(413)가 용강에 의해 침식 또는 파손된 경우, 작업자는 주형(410)을 폐기하지 않고 내화재(413)만을 선택적으로 교체하여 주형(410)을 지속적으로 사용할 수 있다.
내화재(413)가 장착되는 장착홈(412)의 높이(h1)는 주형(410)의 높이(h2)에 대해 2/3 높이 이하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는, 용강이 주형(410)의 내부로 투입될 때 용강이 주형(410)과 부딪히는 부위에 내화재(413)가 구비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대개, 주형(410)의 상부로부터 1/3 높이 부분은 용강이 채워지지 않는 부분으로 용강이 투입됨에 있어 용강과 주형(410)이 부딪힐 수 있는 지점까지만 내화재(413)가 구비되도록 한다. 이는, 내화재(413)가 불필요하게 사용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함이다.
주형(410)에 장착된 내화재(413)는 내화벽돌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작업자는 내화벽돌이 파손된 경우, 파손된 부위에 대한 유지 보수가 손쉽게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주형(410)의 외측면에는 돌기부(414)가 형성되며, 돌기부(414)는 제조된 잉곳을 주형(410)으로부터 분리시 잉곳과 주형(410)의 분리가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한다.
한편, 주형(410)은 정반(420)의 상부에 안착되어 주형(410)의 하부가 차폐(遮蔽)된 상태에서 잉곳을 제조하게 된다. 이러한, 정반(420)은 주형(410)의 하면을 지지하며 주형(410)의 내부에 수용된 용강이 주형(410)의 하측으로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게 된다.
정반(420)에는 삽입홈(421)이 형성되며, 삽입홈(421)에는 보강재(422)가 삽입되도록 이루어진다. 정반(420)에 형성된 삽입홈(421)의 크기는 주형(410)의 하부 둘레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주형(410)의 내부에 수용된 용강에 의해 보강재(422)가 침식될 경우, 보강재(422)만 교체하여 정반(420)의 수명을 연장하기 위함이다.
여기서, 정반(420)에 사용된 보강재(422)는 내화벽돌이 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진공 용해장치(1000, 도 3참조)의 내부에 구비되어 잉곳을 제조하는 잉곳 주조장치(400)에는 내화재(413)와 보강재(422)가 구비되어 용강으로부터의 침식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진다. 따라서, 잉곳 주조장치(400)의 침식으로 인해 용강이 잉곳 주조장치(400)의 외부로 누출되는 것이 방지되어 작업자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고 진공 용해장치(1000, 도 3참조)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일예로, 진공 용해장치(1000, 도 3참조)의 내부에 구비되는 잉곳 주조장치(400)가 침식되어 용강이 외부로 누출될 경우, 외부로 누출된 용강은 챔버(100, 도 3참조) 내부로 안내되는 냉각수와 접촉되어 수증기를 발생시킬 수 있으며, 챔버(100, 도 3참조) 내부에서 발생된 수증기는 챔버(100, 도 3참조)의 내부 압력을 증가시켜 진공 용해장치(1000, 도 3참조)를 폭발시킬 수도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잉곳 주조장치로부터 제조된 잉곳을 보여주는 예시도로, 주형(410)의 내부에는 내화재(413)가 구비됨에 따라 용강으로부터의 침식이 방지되어 잉곳은 균일한 형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에 반해, 도 1의 종래의 주형에 의해 제조된 잉곳은 주형의 반복적인 사용으로 인해 주형의 내부에는 침식이 발생되어 제조되는 잉곳의 형상은 불균일하다.
이와 같이, 잉곳 주조장치(400)는 주형(410)의 내부에 내화재(413)가 구비됨에 따라 주형(410)의 침식이 방지됨으로써, 균일한 표면을 갖는 잉곳을 제조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를 참고하여, 잉곳 주조장치(400)로부터 잉곳이 제조되는 과정을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먼저, 진공 용해장치(1000)는 챔버(100) 내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출시켜 챔버(100) 내부의 압력이 대기압보다 낮은 압력이 되도록 한다.
다음으로, 용해로(200)는 가열을 통해 금속을 용융시키게 된다.
다음으로, 용해로(200)로부터 용융된 용강은 주형(410)의 내부로 공급된다.
여기서, 주형(410)에는 내화재(413)가 구비되어 용해로(200)로부터 주형(410)의 내부로 용강이 공급됨에 있어, 용강은 내화재(413)와 부딪히며 주형(410)의 내부로 용강이 수용된다.
다음으로, 주형(410)의 수용 공간부(411)에 용강이 채워진 후 개구된 상측으로 보온재가 투입되어 균일한 온도 범위에서 용강은 응고된다.
다음으로, 한 쌍을 이루는 주형(410)은 분리되어 주형(410) 내부에서 용강이 응고된 잉곳을 추출하게 된다.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범위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챔버 200: 용해로
400: 잉곳 주조장치 410: 주형
411: 수용 공간부 412: 장착홈
413: 내화재 420: 정반
421: 삽입홈 422: 보강재

Claims (6)

  1. 한 쌍을 이루며 잉곳(INGOT)을 주조하는 주형;과
    상기 주형이 상부에 안착되는 정반이 포함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주형의 내부에는 장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장착홈에는 내화재가 삽입 결합되는 잉곳 주조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재는 용강이 상기 주형의 내부로 투입될 때 용강이 상기 주형과 부딪히는 부위에 구비되는 것인 잉곳 주조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정반에는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삽입홈에는 보강재가 삽입되는 잉곳 주조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내화재는 교체 가능한 내화벽돌로 이루어진 잉곳 주조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홈의 높이는 상기 주형의 높이에 대해 2/3 높이 이하로 이루어진 잉곳 주조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주형은 진공 용해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잉곳을 주조하는 것인 잉곳 주조장치.
KR2020120008739U 2012-09-27 2012-09-27 잉곳 주조장치 KR20140001990U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739U KR20140001990U (ko) 2012-09-27 2012-09-27 잉곳 주조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8739U KR20140001990U (ko) 2012-09-27 2012-09-27 잉곳 주조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990U true KR20140001990U (ko) 2014-04-04

Family

ID=524425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8739U KR20140001990U (ko) 2012-09-27 2012-09-27 잉곳 주조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199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7021B1 (ko) 2019-07-16 2021-01-26 (주)홍일티에스엠 단조 제조 공정용 에어링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07021B1 (ko) 2019-07-16 2021-01-26 (주)홍일티에스엠 단조 제조 공정용 에어링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3126076A1 (en) Improved mold for producing ingots and bars made of precious metal
RU134090U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онной продувки металла газом
KR20140001990U (ko) 잉곳 주조장치
KR100847778B1 (ko) 래들용 버블링 플러그
EP2925469B1 (en) Pressure reactor for producing materials having directed porosity
KR20220147306A (ko) 주형의 침식이 방지되도록 이루어진 잉고트 주조 장비
KR101367200B1 (ko) 이중 주조 방법 및 장치
JP2012020333A (ja) 汚染源のタンディッシュへの混入を防止する連続鋳造方法
KR20080055417A (ko) 도가니 내에 용해잔탕이 남지 않도록 하는수평연속주조장치
KR101030223B1 (ko) 다이캐스팅 전극 터미널 성형 장치
JP2016026876A (ja) インゴット鋳造装置及び鋳造方法
KR101086320B1 (ko) 열팽창 수용형 턴디쉬 커버
KR101759268B1 (ko) 경금속 용탕으로 주조된 주물품을 주형으로부터 분리하는 방법
KR101235730B1 (ko) 플럭스 용해로 및 이를 이용한 연속주조 방법
KR100952746B1 (ko) 개선된 대기 조괴 방법
JP2005016812A (ja) 溶融メタルの処理装置
KR101977359B1 (ko) 주조장치
US9101975B2 (en) Aerospace sand casting support
JP4201653B2 (ja) アルミニウム合金の製造方法
KR101301384B1 (ko) 연속주조용 몰드
JP4312217B2 (ja) 低融点材鋳物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システム
KR100964305B1 (ko) 진공 조괴법에서의 고체 핀 재용해 방지 방법
JPH08197200A (ja) 双ドラム式連続鋳造機の断気室およびドラムの保守管理方法
Cibis et al. Hot chamber Die-casting of Magnesium alloys
KR101175477B1 (ko) 턴디쉬 커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