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1875A - 기지국장치, 이동단말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 Google Patents

기지국장치, 이동단말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1875A
KR20140001875A KR1020137010324A KR20137010324A KR20140001875A KR 20140001875 A KR20140001875 A KR 20140001875A KR 1020137010324 A KR1020137010324 A KR 1020137010324A KR 20137010324 A KR20137010324 A KR 20137010324A KR 20140001875 A KR20140001875 A KR 2014000187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si
transmission
resource
muting
mobile termi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1032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부히코 미키
테츠시 아베
유스케 오와타리
사토시 나가타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엔티티 도코모
Publication of KR201400018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87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8Access point de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10Scheduling measurement reports ; Arrangements for measurement repor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JMULTIPLEX COMMUNICATION
    • H04J11/00Orthogonal multiplex systems, e.g. using WALSH codes
    • H04J11/0023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 H04J11/005Interference mitigation or co-ordination of intercell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00Arrangements for detecting or preventing errors in the information received
    • H04L1/0001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 H04L1/0023Systems modifying transmission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link quality, e.g. power backoff characterised by the signalling
    • H04L1/0026Transmission of channel quality indi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5/00Arrangements affording multiple use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3Arrangements for allocating sub-channels of the transmission path
    • H04L5/0053Allocation of signaling, i.e. of overhead other than pilot sig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04Wireless resource alloc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7/00Monitoring; Testing
    • H04B17/30Monitoring; Testing of propagation channels
    • H04B17/309Measuring or estimating channel quality paramet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12Wireless traffic schedul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6/00Connection management
    • H04W76/20Manipulation of established connections
    • H04W76/28Discontinuous transmission [DTX]; Discontinuous reception [DRX]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채널 품질의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지국장치, 이동단말장치 및 통신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하향링크 채널 추정을 위한 참조신호인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를, CSI-RS 송신용 서브프레임의 리소스에 배치하는 단계와, CSI-RS 송신용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인접 에어리어에서 CSI-RS가 배치되는 리소스를 뮤팅 리소스로 설정하는 단계와, 자 에어리어의 CSI-RS 송신용 서브프레임의 송신주기와 인접 에어리어의 CSI-RS 송신용 서브프레임의 송신주기에서, 동일 타이밍에 설정된 서브프레임의 송신간격을 나타내는 송신간격 정보를, 이동단말장치에 통지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신제어방법이다.

Description

기지국장치, 이동단말장치 및 통신제어방법{BASE STATION DEVICE, MOBILE TERMINAL DEVICE, AND COMMUNICATION CONTROL METHOD}
본 발명은, 차세대 이동통신시스템에 있어서의 기지국장치, 이동단말장치 및 통신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UMTS(Universal Mobile Telecommunications System) 네트워크에 있어서는, 주파수 이용효율의 향상, 데이터 레이트의 향상을 목적으로,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나 HSUPA(High Speeed Uplink Packet Access)를 채용함으로써,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를 베이스로한 시스템의 특징을 최대한으로 끌어내는 것이 수행되고 있다. 이 UMTS 네트워크에 대해서는, 더 나은 고속 데이터 레이트, 저지연 등을 목적으로 롱텀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이 검토되고 있다(비특허문헌 1).
제3세대 시스템은, 대체적으로 5MHz의 고정대역을 이용하여, 하향회선에서 최대 2Mbps 정도의 전송 레이트를 실현할 수 있다. 한편, LTE 시스템에서는, 1.4MHz∼20MHz의 가변대역을 이용하여, 하향회선에서 최대 300Mbps 및 상향회선에서 75Mbps 정도의 전송 레이트를 실현할 수 있다. 또, UMTS 네트워크에 있어서는, 더 나은 광대역화 및 고속화를 목적으로, LTE의 후계 시스템도 검토되고 있다(예를 들면, LTE 어드밴스트(LTE-A)). 따라서, 장래적으로는, 이들 복수의 이동통신시스템이 병존하는 것이 예상되며, 이들 복수의 시스템에 대응할 수 있는 구성(기지국장치나 이동단말장치 등)이 필요하게 되는 것이 생각되어진다.
LTE의 시스템(LTE 시스템)의 하향링크에 있어서, 셀 공통의 참조신호인 CRS(Common Reference Signal)가 정해져 있다. 이 CRS는, 송신 데이터의 복조에 이용되는 것 외에, 스케줄링이나 적응제어를 위한 하향링크의 채널품질(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측정, 및, 셀 서치나 핸드오버를 위한 하향의 평균적인 전파로 상태의 측정(모빌리티 측정)에 이용된다.
한편, LTE의 후계 시스템(LTE-A 시스템)의 하향링크에 있어서는, CRS에 더하여, CQI 측정 전용으로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가 검토되고 있다. CSI-RS는, 다지점협조(CoMP: Coordinated Multiple Point)에 의한 데이터채널 신호의 송수신을 고려하여, 복수 셀의 CQI 측정에 대응하는 것이다. CSI-RS는, 인접 셀의 CQI 측정에 이용되는 점에서, 서빙 셀만의 CQI 측정에 이용되는 CRS와 다르다.
비특허문헌 1:3GPP, TR25.912(V7.1.0), "Feasibility study for Evolved UTRA and UTRAN", Sept. 2006
그런데, CSI-RS를 이용한 CQI 측정에 있어서는, 인접 셀로부터의 간섭에 의한 채널품질의 추정 정밀도의 개선을 목적으로 뮤팅이 검토되고 있으며, 보다 높은 추정 정밀도의 실현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이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이며, 채널품질의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지국장치, 이동단말장치 및 통신제어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지국장치는, 하향링크 채널 추정을 위한 참조신호인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을, CSI-RS 송신용 서브프레임의 리소스에 배치하는 CSI-RS 배치부와, 상기 CSI-RS 송신용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인접 에어리어에서 상기 CSI-RS가 배치되는 리소스를 뮤팅 리소스로 설정하는 뮤팅 리소스 설정부와, 자 에어리어의 CSI-RS 송신용 서브프레임의 송신주기와 인접 에어리어의 CSI-RS 송신용 서브프레임의 송신주기에서, 동일 타이밍에 설정된 서브프레임의 송신간격을 나타내는 송신간격정보를, 이동단말장치에 통지하는 통지부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기지국장치로부터의 통지에 의해, 이동단말장치가 자 에어리어와 인접 에어리어에 있어서 동일 타이밍에 설정된 CSI-RS 송신용 서브프레임에서 채널 추정한다. 따라서, 복수의 에어리어에 있어서의 CSI-RS 송신용 서브프레임의 송신주기가 달라도,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의 채널품질의 추정 정밀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채널품질의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기지국장치, 이동단말장치 및 통신제어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CRS 배치 구성의 설명도이다.
도 2는 CSI-RS 서브프레임 구성의 설명도이다.
도 3은 CSI-RS 배치구성의 설명도이다.
도 4는 CSI-RS를 이용한 CQI 측정에 있어서의 뮤팅 설명도이다.
도 5는 인접 셀간의 CSI-RS 송신주기의 설명도이다.
도 6은 인접 셀의 CQI 측정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7은 이동단말장치에 의한 채널 추정 타이밍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8은 제1 뮤팅 통지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제1 뮤팅 통지방법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0은 제2 뮤팅 통지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11은 이동통신시스템 구성의 설명도이다.
도 12는 기지국장치의 전체 구성의 설명도이다.
도 13은 이동단말장치 전체 구성의 설명도이다.
도 14는 기지국장치에 의한 이동단말장치에 CQI를 측정시키기 위한 기능 블록의 설명도이다.
도 15는 이동단말장치에 의한 주로 CQI를 측정하기 위한 기능 블록의 설명도이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뮤팅 리소스의 시그널링 방법에 대해서 설명하기 전에, LTE 시스템의 하향링크에서 정해지는 CRS(Common Reference Signal) 및 LTE-A 시스템의 하향링크에 적용되는 것이 합의된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은, CRS의 구성에 대해서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도 1은, CRS의 배치구성의 설명도이다. CRS는, 모든 리소스 블록 및 모든 서브프레임에 할당되어 있다.
CRS는, 셀 공통 참조신호로서 소정의 주파수, 시간, 송신전력, 위상으로 이동단말장치로 송신된다. 이들 CRS의 주파수나 송신전력은, 후술하는 셀 ID나 알림신호에 의해 이동단말장치 측에서 인식된다. CRS는, 대체로,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의 유저데이터의 복조, 및, 하향링크의 채널 측정에 이용된다. CRS를 이용한 채널 측정에는, 스케줄링이나 적응제어를 위한 하향링크의 채널품질(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측정, 및 셀 서치나 핸드오버를 위한 하향의 평균적인 전파로 상태의 측정(모빌리티 측정)이 포함된다.
도 1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CRS는, LTE에서 규정되는 1 리소스블록에 있어서, 유저데이터나 DM-RS(Demodulation-Reference Signal)과 겹치지 않도록 배치되어 있다. 1 리소스블록은, 주파수 방향으로 연속하는 12 서브캐리어와, 시간축 방향으로 연속하는 14 심볼로 구성되어 있다. 또, 도 1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CRS는, 셀마다 주파수 방향으로 시프트되어 있어, 인접하는 셀간의 간섭이 억제되고 있다. 도 1에 도시하는 예에서는, 셀 C2에 있어서의 CRS는, 셀 C1에 있어서의 CRS에 대해서, 주파수 방향으로 1 서브캐리어만큼 시프트하여 맵핑되어 있다.
이 CRS는, 위치, 계열 및 송신전력이라고 하는 파라미터로 특정된다. 이들 파라미터 중, CRS의 할당 리소스는, 셀 ID에 관련지어져 있다. 즉, 셀 ID에 의해 주파수 방향으로 시프트되는 CRS의 위치가 정해지므로, 이동단말장치는 재권 셀의 셀 ID를 인식함으로써 CRS의 배치구성을 특정한다. CRS의 계열은 셀 ID에 관련지어지고, 송신전력은 알림신호로 통지된다. 또한, CRS의 위치 및 계열을 특정하기 위한 셀 ID는, 셀 서치에 의해 이동단말장치에 인식된다.
다음으로, LTE-A 시스템의 하향링크에서 검토되고 있는 CSI-RS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CRS는 모든 리소스 블록 및 모든 서브프레임에 할당되나, CSI-RS는 소정의 주기로 할당된다. 예를 들면, 도 2에 도시하는 서브프레임 구성에서는, 셀 C1 및 셀 C2는, 10 서브프레임마다 CSI-RS가 할당되어 있다. 또, 셀 C3는, 셀 C1 및 셀 C2에 대해서 2 서브프레임만큼 오프셋되어, 10 서브프레임마다 CSI-RS가 할당되어 있다.
또 CSI-RS는, 다지점협조에 의한 데이터 채널 신호의 송수신을 고려하여, 서빙 셀뿐만 아니라 인접 셀의 CQI 측정을 수행하는 것을 고려하여 설계되어 있다. 한편, CSI-RS는, CRS와 마찬가지로, 위치, 계열 및 송신전력이라는 파라미터로 특정된다. CSI-RS의 위치에는, 서브프레임 오프셋, 주기, 서브캐리어 심볼 오프셋(CSI-RS 인덱스)이 포함된다.
서브프레임 오프셋은, 선두 서브프레임으로부터의 어긋난 량을 나타낸다. 서브프레임 오프셋은, 셀 ID에 관련지어지거나, 또는 알림신호에 의해 통지된다. 주기는, CSI-RS 송신용 서브프레임의 반복 주기를 나타내고, 도 2에서는, 10msec로 설정되어 있다. 주기는, 알림신호에 의해 통지된다. 서브캐리어 심볼 오프셋은, 리소스 블록 내에 있어서의 CSI-RS의 할당 리소스를 나타낸다. 서브캐리어 심볼 오프셋은, CRS와 마찬가지로 셀 ID에 관련지어지거나, 또는 알림신호에 의해 통지된다.
CSI-RS의 계열은 셀 ID에 관련지어지고, 송신전력은 알림신호에 의해 통지된다. 이와 같이, 이동단말장치는, 기지국장치로부터 알림신호를 수신함과 동시에, 셀 서치에 의해 셀 ID를 인식함으로써, CSI-RS를 수신하는데 필요한 정보를 취득한다.
도 3은, CSI-RS의 배치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도이다. CSI-RS는, LTE에서 규정되는 1 리소스블록에 있어서, 유저데이터나 DM-RS와 겹치지 않도록 배치된다. PAPR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CSI-RS를 송신 가능한 리소스는, 시간축 방향으로 인접하는 2개의 리소스 엘리먼트가 세트로 할당된다. 도 3에 도시되는 CSI-RS 구성에서는, CSI-RS용 리소스로서 40 리소스 엘리먼트가 확보되어 있다. 이 40 리소스 엘리먼트에는, CSI-RS 포트 수(안테나 수)에 따라서 CSI-RS의 배치 패턴이 설정된다. 
CSI-RS 포트 수가 8인 경우, 40 리소스 엘리먼트 중의 8개의 리소스 엘리먼트에 CSI-RS가 할당된다. 예를 들면, 도 3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5패턴(인덱스 #0-#4) 중 어느 것을 선택할 수 있다. 이 경우, 1 패턴을 구성하는 리소스 엘리먼트에는 동일한 인덱스가 부여되어 있다. CSI-RS 포트 수가 4인 경우, 40 리소스 엘리먼트 중의 4개의 리소스 엘리먼트에 CSI-RS가 할당된다. 예를 들면, 도 3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10 패턴(인덱스 #0-#9) 중 어느 것을 선택할 수 있다.
CSI-RS 포트 수가 2인 경우, 40 리소스 엘리먼트 중의 2개의 리소스 엘리먼트에 CSI-RS가 할당된다. 예를 들면, 도 3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20 패턴(인덱스 #0-#19) 중 어느 것을 선택할 수 있다. CSI-RS는, 셀마다 다른 배치 패턴이 선택됨으로써, 인접하는 셀간의 간섭이 억제된다. 또, CSI-RS의 배치 패턴은, 도 3a-도 3c에 도시하는 FDD의 노멀 패턴 외에, 도 3d-도 3f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FDD의 옵션으로서 TDD의 어디셔널 패턴을 더한 패턴이어도 좋다. 또한, CSI-RS의 배치 패턴은, LTE의 Rel.10에서 검토되고 있는 노멀 패턴을 확장한 extended 패턴이어도 좋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FDD의 노멀 패턴을 예시하여 설명한다.
그런데, 상기한 바와 같이 CSI-RS는, 다지점협조에 의한 데이터채널 신호의 송수신을 고려하여, 서빙 셀뿐만 아니라 인접 셀의 CQI를 측정하도록 설계되어 있다. CSI-RS를 이용한 CQI 측정에 있어서는, 인접 셀로부터의 데이터 간섭에 의해 측정 정밀도가 열화하는 경우가 있다. 예를 들면, 도 4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셀 C1의 하향링크 리소스에 있어서, 인접 셀 C2의 CSI-RS에 대응하여 유저데이터가 배치되어 있다. 또, 셀 C2의 하향링크 리소스에 있어서, 인접 셀 C1의 CSI-RS에 대응하여 유저데이터가 배치되어 있다. 이들 유저데이터는, 각 셀에 있어서의 CSI-RS의 간섭 성분을 구성하여,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의 채널품질의 추정 정밀도를 열화시키는 요인이 된다.
이와 같은 유저데이터의 배치에 기인하는 채널품질의 추정 정밀도의 열화를 개선하기 위해, 뮤팅이 검토되고 있다. 뮤팅에 있어서는, 도 4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인접 셀의 CSI-RS에 대응하는 리소스에 유저데이터를 배치하지 않고 뮤팅 리소스가 설정된다. 셀 C1의 하향링크의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 셀 C2의 CSI-RS에 대응하여 뮤팅 리소스가 설정된다. 또, 셀 C2의 하향링크의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 셀 C1의 CSI-RS에 대응하여 뮤팅 리소스가 설정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인접 셀의 유저데이터에 기인하는 CSI-RS의 간섭성분을 배제하여,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의 채널 품질의 추정 정밀도를 개선하고 있다. 그러나, 인접 셀간에 CSI-RS의 송신주기가 다르면, 뮤팅의 설정 타이밍에 어긋남이 발생하여 채널 품질의 추정 정밀도가 열화한다는 문제가 있다. 예를 들면, 도 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셀 C1에서는 5서브프레임(5msec) 걸러 CSI-RS 송신용 서브프레임이 송신된다. 한편, 셀 C2에서는 10서브프레임(10msec) 걸러 CSI-RS 송신용 서브프레임이 송신되고, 셀 C3에서는 20 서브프레임(20msec) 걸러 CSI-RS 송신용 서브프레임이 송신된다.
이 경우, 이동단말장치가, 셀 C1으로부터는 CSI-RS 송신용 서브프레임을 수신하나, 셀 C2 및 셀 C3로부터는 CSI-RS 송신용이 아닌 서브프레임을 수신하는 타이밍이 있다. 이 타이밍에서는, 셀 C1의 CSI-RS 송신용 서브프레임에는, 셀 C2, 셀 C3에 대해서 뮤팅이 설정되어 있다. 그러나, 셀 C2, C3의 CSI-RS 송신용이 아닌 서브프레임에는, 셀 C1에 대해서 뮤팅이 설정되어 있지 않다. 이동단말장치는, 셀 C2, 셀 C3로부터의 간섭을 받은 CSI-RS에 의해 셀 C1의 채널 추정을 하므로, 추정 정밀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다.
또, 인접 셀간에 서로 뮤팅을 수행하는 경우에는 인접 셀을 위해 자 셀의 데이터채널을 무송신으로 하기 때문에, 이동단말장치에 대해서 뮤팅 리소스의 위치를 통지할 필요가 있다. 이것은, 기지국장치에 있어서 뮤팅 리소스를 피해서 레이트 매칭이 수행되므로, 이동단말장치가 뮤팅 리소스를 인식하여 딜리트 매칭을 수행할 필요가 있기 때문이다. 이동단말장치가, 뮤팅 리소스를 인식하지 않으면, 뮤팅 리소스에 대해서도 복조 처리가 이루어지므로, 복조 처리의 스루풋 및 복조 정밀도가 열화한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이들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본 발명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의 제1 골자는, 인접 셀간에 동일 타이밍에 설정된 CSI-RS 송신용 서브프레임에서 채널 추정함으로써,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의 채널 추정의 추정 정밀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제2 골자는, 뮤팅 리소스의 시그널링에 의해 이동단말장치의 복조 처리의 스루풋 및 복조 정밀도를 향상시키는 것이다.
우선, 본 발명에 따른 뮤팅 설명 전에, CSI-RS를 이용한 CQI 측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CSI-RS를 이용한 CQI 측정은, CRS를 이용한 CQI 측정과 달리, 서빙 셀뿐만 아니라 인접 셀에 대해서도 수행된다. 이와 같이, 복수 셀의 채널 품질을 측정하는 것은, 다지점협조에 의한 유저데이터의 송수신을 고려하기 위해서다.
도 6을 참조하여, 인접 셀의 CQI 측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6은, 인접 셀의 CQI 측정방법의 설명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서빙 셀에 설치된 기지국장치(20A)는, 인접 셀에 설치된 기지국장치(20B, 20C)와 CSI-RS 파라미터를 송수신 가능하게 접속되어 있다. 기지국장치(20A, 20B, 20C)의 접속형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유선접속 또는 무선접속 중 어느 것이어도 좋다. 이 시스템에 있어서, CSI-RS의 위치, 계열, 송신전력 등의 파라미터가, 인접 셀의 기지국장치(20B, 20C)로부터 서빙 셀의 기지국장치(20A)로 송신된다. 기지국장치(20A)는, 기지국장치(20B, 20C)로부터 수신한 CSI-RS의 파라미터와 자 셀의 CSI-RS의 파라미터를 포함하는 알림신호를 생성하고 이동단말장치(10)로 송신한다.
서빙 셀에 있어서의 CSI-RS의 파라미터로서는, CSI-RS의 위치, 송신전력이 포함된다. 또, 인접 셀에 있어서의 CSI-RS의 파라미터로서는, 인접 셀 ID, CSI-RS의 위치, 계열, 송신전력이 포함된다. 이동단말장치(10)는, 서빙 셀로부터의 알림신호에 의해, 인접 셀의 CSI-RS의 위치, 계열, 송신전력을 특정하여, 인접 셀의 CQI 측정을 수행한다. 서빙 셀에 있어서의 CSI-RS의 계열은, 셀 ID에 관련지어져 있으며, 셀 서치에 의해 이동단말장치(10)에 인식된다.
이동단말장치(10)는, 측정한 CQI를 서빙 셀의 기지국장치(20A) 및 인접 셀의 기지국장치(20B, 20C)로 피드백한다. 혹은, 측정한 CQI를 서빙 셀의 기지국장치(20A)로 피드백하고, 접속하고 있는 인접 셀의 기지국장치(20B, 20C)로 통지하여 공유한다. 각 기지국장치(20A, 20B, 20C)로 피드백된 CQI는, 이동단말장치(10)에 유저데이터를 송신할 때의 파라미터(예를 들면, MCS: Modulation and Coding Scheme)의 판단에 이용된다. 이와 같이, 셀간에 CSI-RS의 파라미터가 교신됨으로써, 이동단말장치(10)에 있어서 서빙 셀뿐만 아니라 인접 셀의 CQI 측정이 가능하게 된다.
CSI-RS를 이용한 CQI 측정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인접 셀로부터의 간섭에 의한 CQI 측정 정밀도의 개선으로 목적으로, 뮤팅이 유효하다. 뮤팅에서는, 인접 셀에 있어서 CSI-RS가 배치되는 리소스가 뮤팅 리소스(null)로 설정됨으로써 수행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서빙 셀과 인접 셀에서 CSI-RS의 송신주기가 다르면, 뮤팅의 설정 타이밍에 어긋남이 발생하여, 채널 품질의 추정 정밀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없다. 따라서, 이동단말장치(10)는, 복수 셀간에 CSI-RS의 송신 타이밍이 일치하는 서브프레임에서 채널 추정을 수행한다. 이동단말장치(10)는, 이 채널 추정용의 서브프레임을 기지국장치(20A)로부터 통지된 송신간격 정보에 의해 특정한다. 송신간격 정보는, 서빙 셀의 기지국장치(20A)로부터 알림채널에 의해 이동단말장치(10)로 통지된다.
또, 이동단말장치(10)는, 기지국장치(20A)로부터 통지된 뮤팅 리소스 특정정보에 기초하여 뮤팅의 유무를 인식하고, 그 위치의 데이터는 무송신이라는 것을 인식하여, 데이터가 할당되어 있는 리소스 엘리먼트 수를 인식한다. 뮤팅 리소스 특정정보는, 기지국장치(20)로부터 알림채널에 의해 이동단말장치(10)로 통지된다.
도 7을 참조하여, 이동단말장치에 의한 채널 추정의 타이밍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7은, 이동단말장치에 의한 채널 추정 타이밍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또한, 설명의 편의상, 셀 C1-셀 C3은 동기하도록 설정되는 것으로 한다.
도 7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셀 C1에서는 5 서브프레임(5msec) 걸러 CSI-RS 송신용 서브프레임이 송신되고, 셀 C2에서는 10서브프레임(10msec) 걸러 CSI-RS 송신용 서브프레임이 송신되고, 셀 C3에서는 20 서브프레임(20msec) 걸러 CSI-RS 송신용 서브프레임이 송신된다. 이 경우, 파선으로 나타내는 타이밍에서는, 셀 C1-C3로부터 CSI-RS 송신용 서브프레임이 이동단말장치로 송신된다. 이동단말장치는, 이 타이밍에서 채널 추정함으로써, 인접 셀로부터의 데이터 간섭을 받는 서브프레임을 피하여, 채널 추정의 추정 정밀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파선으로 나타내는 타이밍에서는, 셀 C1의 CSI-RS 송신용 서브프레임에는, 셀 C2, 셀 C3에 대해서 뮤팅이 설정되어 있다. 셀 C2의 CSI-RS 송신용 서브프레임에는, 셀 C1, 셀 C3에 대해서 뮤팅이 설정되어 있다. 셀 C3의 CSI-RS 송신용 서브프레임에는, 셀 C1, 셀 C2에 대해서 뮤팅이 설정되어 있다. 따라서, CSI-RS가 인접 셀의 유저데이터에 의해 간섭을 받을 일이 없다.
복수 셀 C1-C3간에서는, CSI-RS의 송신 타이밍이 일치하는 서브프레임이 정기적으로 설정된다. 도 7의 예에서는, CSI-RS의 송신 타이밍이 일치하는 서브프레임의 송신간격은, 20 서브프레임(20msec) 걸러 설정되어 있다. 이 정기적인 서브프레임의 송신간격은, 송신간격 정보에 의해 기지국장치로부터 이동단말장치로 통지된다. 이 경우, 서빙 셀의 기지국장치는, 인접 셀의 기지국장치로부터 CSI-RS의 주기를 취득하고, 서빙 셀 및 인접 셀의 CSI-RS의 주기에 기초하여 송신간격 정보를 생성한다. 이동단말장치는, 송신간격 정보의 수신에 의해, 복수 셀간에 CSI-RS의 송신 타이밍이 일치하는 서브프레임에서만 채널 추정하여, 채널 추정의 추정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기지국장치로부터 이동단말장치에 대해서, 복수 셀간에 CSI-RS의 송신 타이밍이 일치하는 서브프레임을 통지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동단말장치가, 복수 셀로부터 CSI-RS의 주기를 취득하여, 복수 셀간에 CSI-RS의 송신 타이밍이 일치하는 서브프레임을 인식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이 구성에 의해, 송신간격 정보의 시그널링이 불필요해지므로, 시그널링 비트수를 저감할 수 있다.
도 8에서 도 10을 참조하여, 뮤팅의 통지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먼저, 제1 뮤팅의 통지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8은, 제1 뮤팅 통지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도 9는, 제1 뮤팅 통지방법의 다른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제1 뮤팅 통지방법은, 복수의 CSI-RS용 리소스를 1 블록(1 단위)으로 하여, 블록 단위로 뮤팅 리소스 특정정보를 통지한다. 예를 들면, CSI-RS 포트 수가 4인 경우에는 2×1의 리소스 엘리먼트 단위로 뮤팅 리소스 특정정보가 통지되고, CSI-RS 포트 수가 8인 경우에는 2×2의 리소스 엘리먼트 단위로 뮤팅 리소스 특정정보가 통지된다. 이 경우, CSI-RS용 리소스에 넘버링되는 인덱스와 뮤팅의 유무를 1 대 1로 대응시킨 비트 맵 형식으로 뮤팅 리소스 특정정보를 통지해도 좋다.
도 8a에서는, CSI-RS 포트 수가 4인 경우의 배치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인덱스 #4, #5의 CSI-RS용 리소스가 뮤팅 리소스에 설정되어 있다. 이 경우, 인덱스 [#0-#9]에 대응시켜서, 비트 맵 정보로서 [0000110000]이 통지된다. 비트 맵 정보에서는, 뮤팅 위치에 "1"이 셋되고, 뮤팅하지 않는 위치에 "0"이 셋된다. 또, 모두 "0"으로 설정함으로써, 뮤팅없음 통지도 가능하다.
이 비트 맵 베이스의 통지방법에서는, 포트 수가 많은 CSI-RS 포트의 배치 배턴을 이용하여, 포트 수가 적은 CSI-RS 포트로 뮤팅 리소스를 통지함으로써, 시그널링 비트수를 저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2 CSI-RS 포트의 배치 패턴을 이용하여, 2 CSI-RS 포트로 뮤팅 리소스를 통지하는 경우에는, 인덱스 [#0-#19]에 대응하여 시그널링 비트수가 20비트 필요하다, 이에 대해, 도 8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4 CSI-RS 포트의 배치 패턴을 이용하여, 2 CSI-RS 포트로 뮤팅 리소스를 통지하는 경우에는, 인덱스 [#0-#9]를 이용하여, 시그널링 비트수를 10비트로 저감할 수 있다.
또, 4 CSI-RS 포트의 배치 패턴을 이용하여, 4 CSI-RS 포트로 뮤팅 리소스를 통지하는 경우에는, 인덱스 [#0-#9]에 대응하여 시그널링 비트수가 10비트 필요하다, 이에 대해, 도 8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8 CSI-RS 포트의 배치 패턴을 이용하여, 4 CSI-RS 포트로 뮤팅 리소스를 통지하는 경우에는, 인덱스 [#0-#4]를 이용하여, 시그널링 비트수를 5비트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비트 맵 정보는, 뮤팅 위치에 "0"을 셋하고, 뮤팅하지않는 위치에 "1"을 셋해도 좋다.
또한, 제1 뮤팅 통지방법에서는, 비트 맵 베이스의 통지방법에 한정되지 않고, 블록 단위로 뮤팅 리소스 특정정보를 통지하는 것이라면, 어떻게 통지해도 좋다. 예를 들면,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CSI-RS의 배치 패턴과는 별도로 뮤팅 리소스의 배치 패턴을 규정하고, 뮤팅 리소스의 배치 패턴을 이용하여 뮤팅 리소스 특정정보를 통지해도 좋다. 뮤팅 리소스의 배치 패턴으로서는, 예를 들면, 상대적으로 뮤팅 리소스 수가 적은 제1 블록 패턴과 상대적으로 뮤팅 리소스 수가 많은 제2 블록 패턴을 이용할 수 있다.
도 9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1 블록 패턴은, 심볼 #9, #10에 있어서, CSI-RS가 배치된 리소스에 대해서, 1 서브캐리어 걸러 배치된 복수의 CSI-RS용 리소스를 하나로 묶어서 블록화된다. 때문에, 1 서브캐리어 걸러, CSI-RS 또는 뮤팅 리소스가 설정된다. 제1 블록 패턴에서는, 뮤팅 리소스 수를 적게 하여, 유저데이터의 할당 리소스를 많게 확보할 수 있으나, CSI-RS에 대한 인접 셀로부터의 간섭을 억제할 수 없을 가능성이 있다.
한편, 도 9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블록 패턴은, 심볼 #9, #10에 있어서, CSI-RS가 배치된 리소스 이외의 CSI-RS용 리소스가 블록화된다. 때문에, CSI-RS가 배치된 리소스 이외의 리소스에 뮤팅 리소스가 설정된다. 제2 블록 패턴에서는, 제1 블록 패턴과 비교하여 CSI-RS에 대한 인접 셀로부터의 간섭을 억제할 수 있으나, 뮤팅 리소스가 많아져, 유저데이터의 할당 리소스가 감소된다.
뮤팅 리소스의 배치 패턴이 2종류인 경우에는, 제1 블록 패턴 및 제2 블록 패턴이 1비트로 통지된다. 예를 들면, 제1 블록 패턴에서는, 뮤팅 리소스 특정정보로서 "0"이 통지되고, 제2 블록 패턴에서는, 뮤팅 리소스 특정정보로서 "1"이 통지된다. 이와 같은 구성에 의해, 시그널링 비트 수를 대폭으로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1, 제2 블록 패턴은, 기지국장치와 이동단말장치 사이에서 미리 규정되어 있어도 좋으며, 소정의 타이밍에서 동기되어도 좋다. 또, 제1 블록 패턴에서는, 뮤팅 리소스 특정정보로서 "1"이 통지되고, 제2 블록 패턴에서는, 뮤팅 리소스 특정정보로서 "0"이 통지되어도 좋다. 또, 뮤팅 리소스의 배치 패턴은, 제1, 제2 블록 패턴에 한하지 않고, 뮤팅 리소스의 배치용으로 규정된 패턴이면 좋다.
다음으로, 제2 뮤팅 통지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0은, 제2 뮤팅 통지방법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이다.
제2 뮤팅 통지방법은, 인접 셀의 CSI-RS 포트 수와 CSI-RS용 리소스에 넘버링되는 인덱스에 의해 뮤팅 리소스 특정정보를 통지한다. 인접 셀의 CSI-RS 포트 수는, 인접 셀에 있어서의 CSI-RS의 배치 패턴을 선택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인덱스는, CSI-RS의 배치 패턴에 따른 CSI-RS용 리소스로부터, 인접 셀의 CSI-RS가 배치되는 리소스에 대응한 뮤팅 리소스를 특정하기 위해서 이용된다. 이 제2 뮤팅 통지방법에서는, CSI-RS의 시그널링이 이용되므로, 뮤팅용의 새로운 시그널의 정의가 불필요하게 된다.
도 10a에서는, 서빙 셀 및 인접 셀 모든 CSI-RS 포트 수가 8인 경우의 CSI-RS의 배치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이 배치 패턴에서는, 뮤팅 리소스가 인덱스 #0-#4에 의해 5패턴으로 설정되므로, 하나의 인덱스가 3비트로 통지된다. 또, CSI-RS 포트 수의 통지에는, CSI-RS 포트 수가 8포트, 4포트, 2포트의 3종류이므로, 최저 2비트 필요하다. 도 10a에서는, 인덱스 #1, #2의 CSI-RS용 리소스가 뮤팅 리소스로 설정되어 있다. 때문에, 뮤팅 리소스 특정정보로서, 인덱스의 통지에 6비트, CSI-RS 포트 수의 통지에 4비트 총 10비트가 통지된다.
도 10b에서는, 서빙 셀 및 인접 셀 모든 CSI-RS 포트 수가 4인 경우의 CSI-RS의 배치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이 배치 패턴에서는, 뮤팅 리소스가 인덱스 #0-#9에 의해 10패턴으로 설정되므로, 하나의 인덱스가 4비트로 통지된다. 도 10b에서는, 인덱스 #2, #3의 CSI-RS용 리소스가 뮤팅 리소스로 설정되어 있다. 때문에, 뮤팅 리소스 특정정보로서, 인덱스의 통지에 8비트, CSI-RS 포트 수의 통지에 4비트 총 12비트가 통지된다.
도 10c에서는, 서빙 셀 및 인접 셀 모든 CSI-RS 포트 수가 2인 경우의 CSI-RS의 배치 패턴을 나타내고 있다. 이 배치 패턴에서는, 뮤팅 리소스가 인덱스 #0-#19에 의해 20패턴으로 설정되므로, 하나의 인덱스가 5비트로 통지된다. 도 10c에서는, 인덱스 #4, #6의 CSI-RS용 리소스가 뮤팅 리소스로 설정되어 있다. 때문에, 뮤팅 리소스 특정정보로서, 인덱스의 통지에 10비트, CSI-RS 포트 수의 통지에 4비트 총 14비트가 통지된다.
이와 같이, 뮤팅 리소스 특정정보가, 제1, 제2 뮤팅 통지방법에 의해 이동단말장치로 통지된다. 이 경우, 뮤팅 리소스 특정정보는, 알림채널에 의해 통지된다. 이동단말장치에서는, 뮤팅 리소스의 통지에 의해, 뮤팅 리소스를 무시하고 유저데이터를 복조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단말장치의 복조처리의 스루풋 및 복조 정밀도가 향상된다.
여기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1은, 본 실시 예에 따른 무선통신시스템의 시스템 구성의 설명도이다. 또한, 도 11에 도시하는 무선통신시스템은, 예를 들면, LTE 시스템 혹은, SUPER 3G가 포함되는 시스템이다. 이 무선통신시스템에서는, LTE 시스템의 시스템대역을 1단위로 하는 복수의 기본주파수 블록을 일체로 한 캐리어 어그리게이션이 이용되고 있다. 또, 이 무선통신시스템은, IMT-Advanced라 불려도 좋으며, 4G라 불려도 좋다.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무선통신시스템(1)은, 기지국장치(20A, 20B, 20C)와, 이 기지국장치(20A, 20B, 20C)와 통신하는 복수의 이동단말장치(10(101, 102, 103, …, 10n, 은 n〉0의 정수)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기지국장치(20A, 20B, 20C)는, 상위국장치(30)와 접속되고, 이 상위국장치(30)는, 코어네트워크(40)와 접속된다. 이동단말장치(10)는, 셀 C1, C2, C3에 있어서 기지국장치(20A, 20B, 20C)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위국장치(30)에는, 예를 들면, 액세스 게이트웨이 장치, 무선 네트워크 컨트롤러(RNC), 모빌리티 매니지먼트 엔티티(MME)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각 이동단말장치(101, 102, 103, …, 10n)는, LTE 단말 및 LTE-A 단말을 포함하나, 이하에 있어서는, 특단의 단서가 없는 한 이동단말장치(10)로서 설명을 진행한다. 또, 설명의 편의상, 기지국장치(20A, 20B, 20C)와 무선통신하는 것은 이동단말장치(10)인 것으로서 설명하나, 보다 일반적으로는 이동단말장치도 고정단말장치도 포함하는 유저장치(UE: User Equipment)이어도 좋다.
무선통신시스템(1)에 있어서는, 무선 액세스 방식으로서, 하향링크에 대해서는 OFDAM(직교 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이, 상향링크에 대해서는 SC-FDMA(싱글 캐리어-주파수 분할 다원 접속)가 적용되나, 상향링크의 무선 액세스 방식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OFDMA는, 주파수대역을 복수의 좁은 주파수대역(서브캐리어)으로 분할하고, 각 서브캐리어에 데이터를 맵핑하여 통신을 수행하는 멀티캐리어 전송방식이다. SC-FDMA는, 시스템대역을 단말마다 하나 또는 연속한 리소스 블록으로 이루어지는 대역으로 분할하고, 복수의 단말이 서로 다른 대역을 이용함으로써, 단말 간의 간섭을 저감하는 싱글 캐리어 전송방식이다.
여기서, LTE 시스템에 있어서의 통신 채널에 대해서 설명한다.
하향링크의 통신 채널은, 각 이동단말장치(10)에서 공유되는 하향 데이터 채널로서 PDSCH(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과, 하향 L1/L2 제어채널(PDCCH, PCFICH, PHICH)을 갖는다. PDSCH에 의해, 송신 데이터 및 상위 제어정보가 전송된다. PDCCH(Physical Downlink Control Channel)에 의해, PDSCH 및 PUSCH의 스케줄링 정보 등이 전송된다. PCFICH(Physical Control Format Indicator CHannel)에 의해, PDCCH에 이용하는 OFDM 심볼 수가 전송된다. PHICH(Physical Hybrid-ARQ Indicator CHannel)에 의해, PUSCH에 대한 HARQ의 ACK/NACK가 전송된다.
상향링크의 통신 채널은, 각 이동단말장치에서 공유되는 상향 데이터 채널로서의 PUSCH(Physical Uplink Shared CHannel)과, 상향링크의 제어채널인 PUCCH(Physical Uplink Control CHannel)을 갖는다. 이 PUSCH에 의해, 송신 데이터나 상위 제어정보가 전송된다. 또, PUCCH에 의해, 하향링크의 무선품질정보(CQI: Channel Quality Indicator), ACK/NACK 등이 전송된다.
도 12를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장치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또한, 기지국장치(20A, 20B, 20C)는, 동일한 구성이므로, 기지국장치(20)로서 설명한다. 기지국장치(20)는, 송수신 안테나(201)와, 앰프부(202)와, 송수신부(통지부)(203)와, 베이스밴드 신호처리부(204)와, 호 처리부(205)와, 전송로 인터페이스(206)를 구비하고 있다. 하향링크에 의해 기지국장치(20)로부터 이동단말장치(10)로 송신되는 송신 데이터는, 상위국장치(30)로부터 전송로 인터페이스(206)를 통해서 베이스밴드 신호처리부(204)에 입력된다.
베이스밴드 신호처리부(204)에 있어서, 하향 데이터 채널의 신호는, PDCP 레이어의 처리, 송신 데이터의 분할·결합, RLC(Radio Link Control) 재송제어의 송신처리 등을 RLC 레이어의 송신처리, MAC(Medium Access Control) 재송제어, 예를 들면, HARQ의 송신처리, 스케줄링, 전송 포맷 선택, 채널 부호화, 역고속 푸리에 변환(IFFT: Inverse Fast Fourier Transform) 처리, 프리코딩 처리가 수행된다. 또, 하향링크 제어채널인 물리 하향링크 제어채널의 신호에 관해서도, 채널 부호화나 역 고속 푸리에 변환 등의 송신처리가 수행된다.
또, 베이스밴드 신호처리부(204)는, 알림채널에 의해, 동일 셀에 접속하는 이동단말장치(10)에 대해서, 각 이동단말장치(10)가 기지국장치(20)와의 무선통신하기 위한 제어정보를 통지한다. 해당 셀에 있어서의 통신을 위한 알림정보에는, 예를 들면, 상향링크 또는 하향링크에 있어서의 시스템 대역폭이나, PRACH(Physical Random Access CHannel)에 있어서의 램덤 액세스 프리앰블의 신호를 생성하기 위한 루트 계열의 식별정보(Root Sequence Index) 등이 포함된다.
송수신부(203)는, 베이스밴드 신호처리부(204)로부터 출력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무선주파수대로 주파수 변환한다. 앰프부(202)는, 주파수 변환된 송신신호를 증폭하여 송수신 안테나(201)로 출력한다.
한편, 상향링크에 의해 이동단말장치(10)로부터 기지국장치(20)로 송신되는 신호에 대해서는, 송수신 안테나(201)에서 수신된 무선주파수 신호가 앰프부(202)에서 증폭되고, 송수신부(203)에서 주파수 변환되어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되고, 베이스밴드 신호처리부(204)에 입력된다.
베이스밴드 신호처리부(204)는, 상향링크에서 수신한 베이스밴드 신호에 포함되는 송신 데이터에 대해서, FFT 처리, IDFT 처리, 오류정정복호, MAC 재송제어의 수신처리, RLC 레이어, PDCP 레이어의 수신처리를 수행한다. 복호된 신호는 전송로 인터페이스(206)를 통해서 상위국장치(30)로 전송된다.
호 처리부(205)는, 통신 채널의 설정이나 해방 등의 호 처리나, 기지국장치(20)의 상태관리나, 무선 리소스의 관리를 수행한다.
다음으로, 도 13을 참조하면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단말장치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설명한다. LTE 단말도 LTE-A 단말도 하드웨어의 주요부 구성은 같으므로, 구별하지 않고 설명한다. 이동단말장치(10)는, 송수신 안테나(101)와, 앰프부(102)와, 송수신부(수신부)(103)와, 베이스밴드 신호처리부(104)와, 어플리케이션부(105)를 구비하고 있다.
하향링크의 데이터에 대해서는, 송수신 안테나(101)에서 수신된 무선주파수 신호가 앰프부(102)에서 증폭되고, 송수신부(103)에서 주파수 변환되어 베이스밴드 신호로 변환된다. 이 베이스밴드 신호는, 베이스밴드 신호처리부(104)에서 FFT 처리나, 오류정정복호, 재송제어의 수신처리 등이 이루어진다. 이 하향링크의 데이터 중, 하향링크의 송신 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부(105)로 전송된다. 어플리케이션부(105)는, 물리 레이어나 MAC 레이어보다 상위의 레이어에 관한 처리 등을 수행한다. 또, 하향링크의 데이터 중, 알림정보도, 어플리케이션부(105)로 전송된다.
한편, 상향링크의 송신 데이터는, 어플리케이션부(105)로부터 베이스밴드 신호처리부(104)에 입력된다. 베이스밴드 신호처리부(104)에 있어서는, 맵핑 처리, 재송제어(HARQ)의 송신처리나, 채널 부호화, DFT 처리, IFFT 처리를 수행한다. 송수신부(103)는, 베이스밴드 신호처리부(104)로부터 출력된 베이스밴드 신호를 무선주파수대로 변환한다. 그 후, 앰프부(102)에서 증폭되어 송수신 안테나(101)로부터 송신된다.
도 14를 참조하여, 기지국장치에 의한 이동단말장치에 CQI를 측정시키기 위한 기능 블록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4는, 기지국장치에 의한 이동단말장치에 CQI를 측정시키기 위한 기능 블록의 설명도이다. 또한, 도 14의 각 기능 블록은, 주로 베이스밴드 처리부의 처리 내용이다. 또, 도 14에 도시하는 기능 블록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간략화한 것이며, 베이스밴드 처리부에 있어서 통상 구비하는 구성은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또, 이하의 설명에서는, CSI-RS가 배치된 리소스를 특정하기 위한 인덱스를 CSI-RS 인덱스로서 설명한다.
도 14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기지국장치(20)는, CSI-RS 배치부(211)와, CSI-RS 인덱스 생성부(212)와, 뮤팅 리소스 설정부(213)와, 뮤팅 리소스 특정정보 생성부(214)와, CSI-RS 파라미터 생성부(215)와, 송신간격 정보 생성부(216)와, 알림신호 생성부(217)와, 송수신부(203)를 갖고 있다.
CSI-RS 배치부(211)는, 리소스 블록에 있어서의 CSI-RS 송신용 리소스에, CSI-RS가 포트 수에 따라서 CSI-RS를 배치한다. CSI-RS 인덱스 생성부(212)는, CSI-RS 배치부(211)에 의해 CSI-RS가 배치된 리소스에 대응한 CSI-RS 인덱스를 생성한다. CSI-RS 인덱스 생성부(212)에서 생성된 CSI-RS 인덱스는, CSI-RS 파라미터의 하나로서 알림신호 생성부(217)에 입력된다.
뮤팅 리소스 설정부(213)는, 인접 셀에 있어서 CSI-RS가 배치되는 리소스에 대응한 리소스를 뮤팅 리소스로 설정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뮤팅 리소스는, 전혀 데이터가 할당되지 않는 리소스로 해도 좋으며, 인접 셀의 CSI-RS에 간섭을 주지 않을 정도로 데이터가 할당되는 리소스로 규정되어도 좋다. 또한, 뮤팅 리소스는, 인접 셀의 CSI-RS에 대해서 간섭을 주지 않을 정도의 송신전력으로 송신되는 리소스로 규정되어도 좋다.
뮤팅 리소스 특정정보 생성부(214)는, 제1, 제2 뮤팅 통지방법에서 이용되는 뮤팅 리소스 특정정보를 생성한다. 뮤팅 리소스 특정정보로서, 제1 뮤팅 통지방법에서는, 비트 맵 정보 또는 뮤팅 리소스의 배치 패턴이 생성되고, 제2 뮤팅 통지방법에서는, 뮤팅 리소스의 인덱스 및 인접 셀의 CSI-RS 포트 수가 생성된다.
뮤팅 리소스 특정정보가 이동단말장치(10)에 통지되면, 이동단말장치(10) 측에서 뮤팅 리소스 특정정보에 나타나는 리소스가 뮤팅 리소스로서 인식된다. 뮤팅 리소스 특정정보는, 뮤팅 파라미터의 하나로서 알림신호 생성부(217)에 입력된다.
CSI-RS 파라미터 생성부(215)는, CSI-RS 인덱스 이외의 CSI-RS의 계열이나 송신전력 등의 파라미터를 생성한다. CSI-RS 파라미터 생성부(215)에 생성된 CSI-RS 파라미터는, 알림신호 생성부(217)에 입력된다.
송신간격 정보 생성부(216)는, 복수 셀 간에 CSI-RS의 송신 타이밍이 일치하는 서브프레임의 송신간격을 나타내는 송신간격 정보를 생성한다. 송신간격 정보 생성부(216)는, 자 셀에 있어서의 CSI-RS의 송신주기와 인접 셀로부터 취득한 CSI-RS의 송신주기에 기초하여 송신간격 정보를 생성한다. 송신간격 정보 생성부(216)에서 생성된 송신간격 정보는, 알림신호 생성부(217)에 입력된다.
알림신호 생성부(217)는, CSI-RS 인덱스, 뮤팅 리소스 특정정보, 송신간격 정보, 기타 CSI-RS 파라미터를 포함하여 알림신호를 생성한다. 이 경우, 알림신호 생성부(217)는, 자 셀에 있어서의 CSI-RS 파라미터뿐만 아니라, 송수신부(203)를 통해서 수신한 인접 셀의 CSI-RS 파라미터를 포함하여 알림신호를 생성한다. 송수신부(203)는, CSI-RS 및 알림신호를 이동단말장치(10)로 송신한다.
도 15를 참조하여, 이동단말장치에 의한 주로 CQI를 측정하기 위한 기능 블록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5는, 이동단말장치에 의한 주로 CQI를 측정하기 위한 기능 블록의 설명도이다. 또한, 도 15의 각 기능 블록은, 주로 베이스밴드 처리부의 처리내용이다. 또 도 15에 도시하는 기능 블록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해 간략화한 것이며, 베이스밴드 처리부에 있어서 통상 구비하는 구성은 구비하는 것으로 한다.
도 15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동단말장치(10)는, 송수신부(103)와, 취득부(111)와, 측정부(112), 유저데이터 복조부(113)를 갖고 있다. 송수신부(103)는, 기지국장치(20)로부터 CSI-RS 및 알림신호를 수신한다. 취득부(111)는, 알림신호를 복조하여 신호의 내용을 해석함으로써 CSI-RS 인덱스 등의 CSI-RS 파라미터, 뮤팅 리소스 특정정보 등의 뮤팅 파라미터, 송신간격 정보를 취득한다.
측정부(112)는, 송신간격 정보에 나타나는 타이밍(서브프레임)에서 CQI를 측정한다. 이 타이밍에서는, 인접 셀간에 뮤팅 리소스가 설정되므로, 각 셀의 CSI-RS가 인접 셀의 유저데이터에 의해 간섭을 받을 일이 없다. 또, 측정부(112)는, CSI-RS의 위치정보, 계열, 송신전력 등의 파라미터로부터 서빙 셀 및 인접 셀의 CQI를 측정한다. CQI 측정에서는, 뮤팅된 리소스의 간섭성분이 고려되어도 좋다.
유저데이터 복조부(113)는, 송수신부(103)를 통해서 수신한 유저데이터를 복조한다. 유저데이터 복조부(113)는, 뮤팅 리소스 특정정보에 나타나는 뮤팅 리소스를 무시하고, 유저데이터를 복조한다. 때문에, 복조처리의 스루풋 및 복조 정밀도가 향상된다. 또한, 유저데이터 복조부(113)를 마련하는 대신에, 취득부(111)에서 유저데이터의 복조 처리가 수행되어도 좋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형태에 따른 기지국장치(20)에 따르면, 이동단말장치(10)가 복수 셀간에 있어서 동일 타이밍에 설정된 CSI-RS 송신용 서브프레임에서 채널 추정한다. 따라서, 복수 셀에 있어서의 CSI-RS 송신용 서브프레임의 송신주기가 달라도, 이동단말장치(10)에 있어서의 채널 품질의 추정 정밀도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 이동단말장치(10)에서는, 뮤팅 리소스 특정정보의 통지에 의해, 뮤팅 리소스를 무시하고 유저데이터를 복조할 수 있다. 따라서, 이동단말장치의 복조 처리의 스루풋 및 복조 정밀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상기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기지국장치가 알림신호에 의해 복수의 이동단말장치에 대해서 일제히, 송신간격 정보 및 뮤팅 리소스를 통지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기지국장치는, 이동단말장치에 대해서 개별로 송신간격 정보 및 뮤팅 리소스를 통지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상기한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복수 셀간에 뮤팅됨으로써, 채널 품질의 추정 정밀도가 개선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복수 에어리어 간에 뮤팅되면 좋으며, 예를 들어, 복수 섹터 간에 뮤팅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또, 상기한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이동단말장치에 있어서, 취득부가 알림신호로부터 뮤팅 리소스 특정정보 및 송신간격 정보를 취득하는 구성으로 하였으나, 이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뮤팅 리소스 특정정보 및 송신간격 정보는, 취득부 이외의 기능 블록, 예를 들면, 측정부에 의해 취득되는 구성으로 해도 좋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하게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한, 상기 설명에 있어서의 뮤팅 리소스의 설정위치, 처리부의 수, 처리수순, 뮤팅 리소스의 수에 대해서는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 외,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적절히 변경하여 실시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출원은, 2010년 10월 4일 출원한 특원 2010-225178에 기초한다. 이 내용은 모두 여기에 포함시켜 둔다.

Claims (13)

  1. 하향링크 채널 추정을 위한 참조신호인 CSI-RS(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를, CSI-RS 송신용 서브프레임의 리소스에 배치하는 CSI-RS 배치부;
    상기 CSI-RS 송신용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인접 에어리어에서 상기 CSI-RS가 배치되는 리소스를 뮤팅 리소스로 설정하는 뮤팅 리소스 설정부;
    자 에어리어의 CSI-RS 송신용 서브프레임의 송신주기와 인접 에어리어의 CSI-RS 송신용 서브프레임의 송신주기에서, 동일 타이밍에 설정된 서브프레임의 송신간격을 나타내는 송신간격 정보를, 이동단말장치에 통지하는 통지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지부는, 상기 뮤팅 리소스를 특정하기 위한 뮤팅 리소스 특정정보를, 상기 이동단말장치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뮤팅 리소스 설정부는, CSI-RS 송신용으로 규정된 복수의 CSI-RS용 리소스를 블록화하고, 블록 단위로 상기 CSI-RS용 리소스에 상기 뮤팅 리소스를 설정하고,
    상기 통지부는, 상기 뮤팅 리소스 특정정보로서, 상기 뮤팅 리소스가 설정된 블록을 나타내는 블록 정보를, 상기 이동단말장치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4.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CSI-RS 배치부는, CSI-RS 포트 수에 따라서 규정된 상기 CSI-RS의 배치 패턴에 의해, CSI-RS 송신용으로 규정된 CSI-RS용 리소스에 상기 CSI-RS를 배치하고,
    상기 뮤팅 리소스 설정부는, 상기 배치 패턴에 의해 블록화된 상기 CSI-RS용 리소스에 뮤팅 리소스를 설정하고,
    상기 통지부는, 상기 뮤팅 리소스 특정정보로서, 상기 블록에 상기 뮤팅 리소스의 설정위치를 대응시켜 비트 맵 형식으로 한 비트 맵 정보를, 상기 이동단말장치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5. 제 3항에 있어서,
    상기 뮤팅 리소스 설정부는, CSI-RS 송신용으로 규정된 CSI-RS용 리소스에, 뮤팅 리소스 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제1 블록 패턴 및 상대적으로 많은 제2 블록 패턴 중 어느 것에 기초하여 상기 뮤팅 리소스를 설정하고,
    상기 통지부는, 상기 뮤팅 리소스 특정정보로서, 상기 제1 블록 패턴 및 상기 제2 블록 패턴 중 어느 것을 나타내는 패턴 정보를, 상기 이동단말장치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뮤팅 리소스 설정부는, 인접 에어리어의 CSI-RS 포트 수에 따라서 규정된 상기 CSI-RS의 배치 패턴에 있어서, 상기 배치 패턴의 인덱스로 나타나는 상기 CSI-RS용 리소스에 상기 뮤팅 리소스를 설정하고,
    상기 통지부는, 상기 뮤팅 리소스 특정정보로서, 인접 에어리어의 상기 CSI-RS 포트 수 및 상기 뮤팅 리소스의 설정위치를 나타내는 인덱스를, 상기 이동단말장치에 통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지국장치.
  7. 인접 에어리어에서 하향링크 채널 추정을 위한 참조신호인 CSI-RS가 배치되는 리소스에, 뮤팅 리소스가 설정되는 CSI-RS 송신용 서브프레임의 송신주기이며, 자 에어리어의 CSI-RS 송신용 서브프레임의 송신주기와 인접 에어리어의 CSI-RS 송신용 서브프레임의 송신주기에서, 동일 타이밍에 설정된 서브프레임의 송신간격을 나타내는 송신간격 정보를, 기지국장치로부터 수신하는 수신부;
    상기 송신간격 정보에 나타나는 서브프레임의 송신간격으로, 하향링크 채널 추정을 수행하는 측정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장치.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의 유저데이터를 복조하는 복조부;를 구비하고,
    상기 수신부는, 상기 뮤팅 리소스를 특정하기 위한 뮤팅 리소스 특정정보를,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수신하고,
    상기 복조부는, 상기 뮤팅 리소스 특정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뮤팅 리소스를 특정하고, 상기 유저데이터를 복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장치.
  9.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뮤팅 리소스 특정정보로서, CSI-RS 송신용으로 규정된 복수의 CSI-RS용 리소스를 블록화한 블록이며, 상기 뮤팅 리소스가 설정된 블록을 나타내는 블록 정보를,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장치.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뮤팅 리소스 특정정보로서, CSI-RS 포트 수에 따라서 규정된 상기 CSI-RS의 배치 패턴에 의해, CSI-RS 송신용으로 규정된 복수의 CSI-RS용 리소스가 블록화된 블록에, 블록 단위로 설정되는 상기 뮤팅 리소스의 설정위치를 대응시켜 비트 맵 형식으로 한 비트 맵 정보를,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장치.
  11.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뮤팅 리소스 특정정보로서, CSI-RS 송신용으로 규정된 CSI-RS용 리소스에 설정된 블록 패턴을 나타내는 정보이며, 뮤팅 리소스 수가 상대적으로 적은 제1 블록 패턴 및 상대적으로 많은 제2 블록 패턴 중 어느 것을 나타내는 패턴 정보를,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장치.
  12. 제 8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부는, 상기 뮤팅 리소스 특정정보로서, 인접 에어리어의 CSI-RS 포트 수와, 인접 에어리어의 상기 CSI-RS 포트 수에 따라서 CSI-RS 송신용으로 규정된 상기 CSI-RS의 배치 패턴의 인덱스이며, 상기 뮤팅 리소스의 설정위치를 나타내는 인덱스를, 상기 기지국장치로부터 수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단말장치.
  13. 하향링크 채널 추정을 위한 참조신호인 CSI-RS를, CSI-RS 송신용 서브프레임의 리소스에 배치하는 단계;
    상기 CSI-RS 송신용 서브프레임에 있어서, 인접 에어리어에서 상기 CSI-RS가 배치되는 리소스를 뮤팅 리소스로 설정하는 단계;
    자 에어리어의 CSI-RS 송신용 서브프레임의 송신주기와 인접 에어리어의 CSI-RS 송신용 서브프레임의 송신주기에서, 동일 타이밍에 설정된 서브프레임의 송신간격을 나타내는 송신간격 정보를, 이동단말장치에 통지하는 단계;를 갖는 것을 통신제어방법.
KR1020137010324A 2010-10-04 2011-10-03 기지국장치, 이동단말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KR2014000187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0225178A JP4987113B2 (ja) 2010-10-04 2010-10-04 基地局装置、移動端末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JPJP-P-2010-225178 2010-10-04
PCT/JP2011/072750 WO2012046684A1 (ja) 2010-10-04 2011-10-03 基地局装置、移動端末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875A true KR20140001875A (ko) 2014-01-07

Family

ID=45927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10324A KR20140001875A (ko) 2010-10-04 2011-10-03 기지국장치, 이동단말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9173123B2 (ko)
EP (1) EP2627139A1 (ko)
JP (1) JP4987113B2 (ko)
KR (1) KR20140001875A (ko)
CN (1) CN103250455B (ko)
AU (1) AU2011313369B2 (ko)
MX (1) MX2013003669A (ko)
RU (1) RU2573581C2 (ko)
TW (1) TW201225600A (ko)
WO (1) WO2012046684A1 (ko)
ZA (1) ZA201302606B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67031A1 (ko) * 2019-02-15 2020-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Nr v2x의 사이드링크 자원 정보의 전송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681651B2 (en) * 2010-11-05 2014-03-25 Qualcomm Incorporated Reference signal reception and channel state information determination for multiple nodes in a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
JP5092026B2 (ja) * 2011-02-14 2012-12-05 株式会社エヌ・ティ・ティ・ドコモ 基地局装置、移動端末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WO2013051909A2 (ko) * 2011-10-07 2013-04-11 엘지전자 주식회사 협력 멀티 포인트 통신 시스템에서 채널상태정보 송수신 방법 및 장치
US9451488B2 (en) * 2012-01-20 2016-09-20 Lg Electronics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hannel state information feedback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JP5893999B2 (ja) * 2012-04-27 2016-03-23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通信システム、基地局装置、ユーザ端末、及び無線通信方法
ES2624486T3 (es) * 2012-05-11 2017-07-14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étodo y disposición en un sistema de comunicación inalámbrico
WO2013191437A1 (ko) * 2012-06-19 2013-12-27 엘지전자 주식회사 기지국 협력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간섭 측정을 통한 신호 송수신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US8838119B2 (en) 2012-06-26 2014-09-16 Futurewei Technologies, Inc. Method and system for dynamic cell configuration
JP6076044B2 (ja) * 2012-11-02 2017-02-08 株式会社Nttドコモ 無線通信方法、無線通信システム、無線基地局及びユーザ端末
CN105580297B (zh) 2013-09-27 2018-10-23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先进lte的发现信号的方法和装置
JP2019041135A (ja) * 2016-01-07 2019-03-14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通信方法、および、集積回路
US10680855B2 (en) 2016-05-13 2020-06-09 Huawei Technologies Co., Ltd. Measurement in non-cellular wireless networks
GB2562117B (en) 2017-05-05 2021-07-28 Samsung Electronics Co Ltd Phase tracking reference signal
CN109391458B (zh) * 2017-08-11 2021-09-24 株式会社Kt 用于在新无线电中多路复用dmrs和数据的方法及其装置
EP3711177A4 (en) * 2017-11-17 2021-07-2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OBTAINING LIGHT CARRIER ASSISTANCE INFORMATION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364043C2 (ru) * 2003-08-06 2009-08-10 Квэлкомм Инкорпорейтед Согласованное автономное и запланированное выделение ресурсов в распределенной системе связи
WO2010106725A1 (ja) * 2009-03-16 2010-09-23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無線受信装置及び無線送信装置、並びに無線通信方法
US8472539B2 (en) * 2009-04-07 2013-06-25 Lg Electronics Inc. Method of transmitting power information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KR101237666B1 (ko) * 2009-07-28 2013-02-26 엘지전자 주식회사 다중 입출력 통신 시스템에서 셀간 간섭을 제거하기 위한 기준신호 전송 방법 및 장치
CN101635950B (zh) * 2009-08-14 2015-06-10 中兴通讯股份有限公司 一种确定小区参考信号位置的方法及装置
US8305987B2 (en) * 2010-02-12 2012-11-06 Research In Motion Limited Reference signal for a coordinated multi-point network implementation
JP4667530B2 (ja) 2010-06-22 2011-04-13 キヤノン株式会社 受信装置、送信装置、受信装置の制御方法、送信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8743799B2 (en) * 2010-06-24 2014-06-03 Nokia Siemens Networks Oy Change of rate matching modes in presence of channel state information reference signal transmission
US8750887B2 (en) * 2010-07-16 2014-06-10 Texas Instruments Incorporated Multi-cell signaling of channel state information-reference signal and physical downlink shared channel mut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0167031A1 (ko) * 2019-02-15 2020-08-20 엘지전자 주식회사 Nr v2x의 사이드링크 자원 정보의 전송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250455B (zh) 2016-06-08
AU2011313369A1 (en) 2013-05-02
ZA201302606B (en) 2014-06-25
CN103250455A (zh) 2013-08-14
US20130223264A1 (en) 2013-08-29
JP2012080421A (ja) 2012-04-19
WO2012046684A1 (ja) 2012-04-12
EP2627139A1 (en) 2013-08-14
MX2013003669A (es) 2013-07-02
US9173123B2 (en) 2015-10-27
TW201225600A (en) 2012-06-16
RU2013119165A (ru) 2014-11-20
JP4987113B2 (ja) 2012-07-25
AU2011313369B2 (en) 2015-11-05
RU2573581C2 (ru) 2016-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05082B2 (ja) 基地局装置、移動端末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KR101480080B1 (ko) Csi―rs의 시그널링 방법 및 기지국장치
KR101576866B1 (ko) 시그널링 방법, 기지국장치, 이동단말장치 및 무선통신시스템
JP4987113B2 (ja) 基地局装置、移動端末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JP5437310B2 (ja) 無線基地局装置、移動端末装置、無線通信方法及び無線通信システム
CA2823145C (en)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mobile terminal apparatus and radio communication method
JP5373706B2 (ja) 基地局装置、移動端末装置および通信制御方法
EP2916585A1 (en) Wireless communication method,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wireless base station, and user terminal
KR20140012071A (ko) 기지국장치, 이동단말장치, 및 통신제어방법
JP5331787B2 (ja) 基地局装置、移動端末装置、及び通信制御方法
JP5513543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基地局装置
JP2014140237A (ja) 移動通信システム及び基地局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