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1200U - 여닫이문용 오토힌지 조립체 - Google Patents

여닫이문용 오토힌지 조립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1200U
KR20140001200U KR2020120007972U KR20120007972U KR20140001200U KR 20140001200 U KR20140001200 U KR 20140001200U KR 2020120007972 U KR2020120007972 U KR 2020120007972U KR 20120007972 U KR20120007972 U KR 20120007972U KR 20140001200 U KR20140001200 U KR 2014000120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screw hole
vertical wall
hinge assembly
scr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7972U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형태
Original Assignee
박형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형태 filed Critical 박형태
Publication of KR2014000120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200U/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04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 E05D7/0415Hinges adjustable relative to the wing or the frame with adjusting drive means
    • E05D7/0423Screw-and-nut mechanism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7/0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 E05D7/10Hinges or pivots of special construction to allow easy separation or connection of the parts at the hinge axi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00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F1/02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 E05F1/04Closers or openers for w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gravity-actuated, e.g. by use of counterweights for wings which lift during movement, operated by their own weight
    • E05F1/06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the weight of the wing
    • E05F1/061Mechanisms in the shape of hinges or pivots, operated by the weight of the wing with cams or helical tracks
    • E05F1/066Helical grooves, slots, threads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2Adjustable by manual opera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10Adjustable
    • E05Y2600/14Adjustable with position retaining mea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600/00Mounting or coupling arrangements for elements provided for in this subclass
    • E05Y2600/50Mounting methods; Positioning
    • E05Y2600/51Screwing or bolt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nge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여닫이문용 오토힌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부의 양측을 볼트로 고정하여 전체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킨 여닫이문용 오토힌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본 고안은 길이방향 부재(12)와 폭방향 부재(14)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길이방향 부재(12)에 제1나사홀(16)이 형성된 고정부(10); 중앙에 제2개구부(22a)가 형성된 판상부재(22)와, 상기 판상부재(22)가 상기 제1개구부(18)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양측에 단이지도록 형성된 윙(24)과, 상기 윙(24)의 상기 고정부(10) 제1나사홀(16)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1장공(24a)과, 상기 판상부재(22)의 제2개구부(22a) 전후방에 각각 형성된 제2나사홀(22b)과, 상기 윙(24)의 전후방에 일체로 형성된 수직벽(26)과, 상기 수직벽(26)에 상기 수직벽(26)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3나사홀(26a) 및 상기 판상부재(22)의 제2나사홀(22b) 양측에 형성된 제4나사홀(22c)로 이루어진 슬라이딩부(20);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수직벽(26) 사이에 배치되고 양측이 상기 수직벽과 평행하게 형성되고, 중앙에 힌지축(S)이 삽입된 회전부(30)를 포함하는 여닫이문용 오토힌지 조립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여닫이문용 오토힌지 조립체{Auto hinge assembly for swing door}
본 고안은 여닫이문용 오토힌지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회전부의 양측을 볼트로 고정하여 전체적인 내구성을 향상시킨 여닫이문용 오토힌지 조립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여닫이문은 건물이나 사무실의 출입구에 오토힌지가 설치되어 힌지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오토힌지는 도어를 밀거나 당겨서 개방한 도어를 놓았을 때 도어가 자동으로 닫히도록 하는 힌지이다. 이러한 오토힌지는 천정이나 도어의 상단부에 설치되는 힌지와 달리 유리, 목재, 철재 등으로 된 무거운 하중의 도어를 지지하면서 개폐시켜야 하므로 내구성이 매우 중요하다.
이러한 오토힌지 조립체의 일 예가 등록특허 제10-1109643(이하, '선행기술문헌 1'이라 함)에 개시되어 있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 1에 개시된 종래의 오토힌지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오토힌지 조립체는 도어(D)에 고정되는 케이싱(501)의 내부에 힌지축(540)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고 케이싱(501)이 도어(D)와 함께 회전한 후 원래의 상태로 복원될 수 있도록 구비된 오토힌지(500)와, 오토힌지(500)의 힌지축(540) 하단(540a)이 고정되는 베이스부(100)로 이루어진다. 여기서 베이스부(100)는 지면에 고정되는 매립체(110)와, 이 매립체(110)의 상부에 볼트로 결합되는 제1조정부재(120)와, 상기 제1조정부재(120)의 제1관통개구(122)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이동이 가능하며 볼트에 의해 제1조정부재(120)와 결합되는 제2조정부재(130)와, 상기 제2조정부재(130)의 리세스(132)에 회전가능하며 원주방향으로 위치조정이 가능하고 볼트에 의해 제2조정부재(130)와 결합되고 중앙에 오토힌지(500)의 힌지축(540) 하단(540a)이 삽입될 수 있도록 힌지축 관통개구(142)가 형성된 회전조정부재(140)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상기와 같은 종래의 오토힌지 조립체는 각 조정부재(120, 130, 140)가 볼트에 의해 결합되어 볼트의 전단력에 의해서 각 조정부재(120, 130, 140)들을 고정하므로 내구성이 떨어진다.
따라서 상기 각 조정부재(120, 130, 140)를 체결하고 있는 볼트가 헐거워지므로 문(D)이 삐뚤어지거나 정확하게 맞지 않아 사용이 불편한 문제점이 있다.
심지어 볼트가 풀리는 경우 중량의 문(D)이 전도되어 대형의 안전사고가 발생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1. 국내 등록특허공보 제10-1109643호(2012. 01. 18. 등록)
본 고안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슬라이딩부의 수직벽에 형성된 제3나사홀을 통해 나사를 삽입하여 회전부를 고정함에 따라 내구성이 향상된 여닫이문용 오토힌지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회전부의 하부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회전부를 슬라이딩부의 제2개구부에 끼울 수 있도록 함으로서 설치가 용이하도록 된 여닫이문용 오토힌지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아울러 본 고안은 슬라이딩부의 제2개구부가 장공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회전부가 폭방향으로도 유격이 발생하여 설치가 더욱 용이하도록 된 여닫이문용 오토힌지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또한 본 고안은 회전부의 제2장공을 그 중심선이 제3개구부를 중심으로 호를 이루도록 구비하여 회전각도의 조절이 용이하도록 된 여닫이문용 오토힌지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고안은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진 길이방향 부재(12)와 상기 길이방향 부재(12)와 수직을 이루며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진 폭방향 부재(14)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길이방향 부재(12)에 길이방향조절나사(41)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비된 제1나사홀(16)이 형성된 고정부(10); 상기 고정부(10)의 길이방향 부재(12)와 폭방향 부재(14)에 의해 형성된 제1개구부(18)에 수용되며 중앙에 제2개구부(22a)가 형성된 판상부재(22)와, 상기 판상부재(22)가 상기 제1개구부(18)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양측에 단이지도록 형성된 윙(24)과, 상기 윙(24)의 상기 고정부(10) 제1나사홀(16)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1장공(24a)과, 상기 판상부재(22)의 제2개구부(22a) 전후방에 각각 형성된 회전방향조절나사(42)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비된 제2나사홀(22b)과, 상기 윙(24)의 전후방에 일체로 형성된 수직벽(26)과, 상기 수직벽(26)에 상기 수직벽(26)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폭방향조절나사(43)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비된 제3나사홀(26a)과, 상기 판상부재(22)의 제2나사홀(22b)의 양측에 형성된 수직방향조절나사(44)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비된 제4나사홀(22c)로 이루어진 슬라이딩부(20);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수직벽(26) 사이에 배치되고 양측이 상기 수직벽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수직벽(26)의 제3나사홀에 치합되어 돌출하는 나사와 대응하도록 구비되고, 중앙에 힌지축(S)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3개구부(32)가 형성되며, 상기 제3개구부(32)를 중심으로 전후방에 각각 제2장공(34)이 형성된 회전부(30)를 포함하는 여닫이문용 오토힌지 조립체를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30)는 하부가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제2개구부(22a)에 삽입되도록 돌출부(36)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제2개구부(22a)는 상기 회전부(30)가 폭방향으로 유격이 발생하도록 장공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회전부(30)의 제3개구부(32)를 중심으로 형성된 제2장공(34)은 그 중심선이 상기 제3개구부(32)를 중심으로 호를 이루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이문용 오토힌지 조립체는 슬라이딩부의 수직벽에 형성된 제3나사홀을 통해 나사를 삽입하여 회전부를 고정함에 따라 내구성이 향상된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이문용 오토힌지 조립체는 회전부의 하부에 돌출부를 형성하여 회전부를 슬라이딩부의 제2개구부에 끼울 수 있도록 함으로서 설치가 용이하다.
아울러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이문용 오토힌지 조립체는 슬라이딩부의 제2개구부가 장공형상으로 이루어짐에 따라 회전부가 폭방향으로도 유격이 발생하여 설치가 더욱 용이하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이문용 오토힌지 조립체는 회전부의 제2장공을 그 중심선이 제3개구부를 중심으로 호를 이루도록 구비하여 회전각도의 조절이 용이하다.
도 1은 선행기술문헌 1에 개시된 종래의 오토힌지 조립체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용 오토힌지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용 오토힌지 조립체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4는 도 2의 A-A'선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B-B'선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이하, 본 고안에 따른 여닫이문용 오토힌지 조립체의 일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2는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용 오토힌지 조립체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일실시예에 따른 여닫이문용 오토힌지 조립체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며, 도 4는 도 2의 A-A'선을 절개한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B-B'
선을 절개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여닫이문용 오토힌지 조립체는 고정부(10)와, 상기 고정부(10)의 중앙에 형성된 제1개구부(18)에 수용되어 슬라이딩하는 슬라이딩부(20) 및 상기 슬라이딩부(20)의 내부에 배치되고 중앙에 힌지축(S)이 삽입되는 회전부(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회전부(30)에 삽입되는 힌지축(S)이 포함된 오토힌지(40)는 통상의 기술자에게 널리 공지된 것이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상기 고정부(10)는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진 길이방향 부재(12)와 상기 길이방향 부재(12)와 수직을 이루며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진 폭방향 부재(14)가 일체로 형성된다. 여기서 일체로 형성된 상기 길이방향 부재(12)와 폭방향 부재(14)에 의해 중앙에 장방형의 제1개구부(18)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길이방향 부재(12)에는 제1나사홀(16)이 형성된다. 상기 제1나사홀(16)에는 후술하는 슬라이딩부(20)의 제1장공(24a)과 대응되어 길이방향의 위치를 조절하는 길이방향조절나사(41)가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슬라이딩부(20)와 고정부(10)는 길이방향조절나사(41)에 의해 소정의 위치에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슬라이딩부(20)는 중앙에 제2개구부(22a)가 형성된 판상부재(22)와, 상기 판상부재(22)의 양측에 단이지도록 형성된 윙(24)과, 상기 윙(24)에 형성된 제1장공(24a)과, 상기 판상부재(22)의 제2개구부(22a) 전후방에 각각 형성된 제2나사홀(22b)과, 상기 윙(24)의 전후방에 일체로 형성된 수직벽(26)과, 상기 수직벽(26)에 상기 수직벽(26)을 관통하도록 형성된 제3나사홀(26a) 및 상기 판상부재(22)의 제2나사홀(22b) 양측에 형성된 제4나사홀(22c)로 이루어진다.
상기 판상부재(22)는 상기 고정부(10)의 제1개구부(18)에 수용되어 상기 제1개구부(18)를 따라 슬라이딩하도록 구비되며 중앙에 상기 회전부(30)의 돌출부(36)가 삽입될 수 있도록 제2개구부(22a)가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제2개구부(22a)는 장공형상으로 이루어지져 상기 회전부(30)가 폭방향으로 유격이 가능하므로 설치가 더욱 용이하다.
상기 윙(24)은 상기 판상부재(22)가 상기 제1개구부(18)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양측에 단이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상기 윙(24)은 앵글형상으로 수직부(24b)와 상기 수직부(24b)의 연부에서 수직으로 연장되는 수평부(24c)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상기 수평부(24c)는 고정부(10)의 길이방향 부재(12)에 안착되고 상기 수직부(24b)는 상기 길이방향 부재(12)의 내측면과 밀착되어 상기 제1개구부(18)를 따라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하게 된다.
상기 제1장공(24a)은 상기 윙(24)에 형성되며 그 위치는 상기 고정부(10) 제1나사홀(16)과 대응되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상기 제1장공(24a)과 상기 제1나사홀(16) 사이에 볼트가 체결되어 고정부(10)와 슬라이딩부(20)가 소정의 위치에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상기 제2나사홀(22b)은 상기 제2개구부(22a) 전후방에 각각 형성되며 후술하는 상기 회전부(30)의 제2장공(34)과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고 상기 제2나사홀(22b)에는 회전방향조절나사(22)가 체결된다. 따라서 상기 제2나사홀(22b)과 상기 회전부(30)의 제2장공(34) 사이에 체결된 회전방향조절나사(42)에 의해 슬라이딩부(20)와 회전부(30)가 소정의 위치에서 견고하게 고정된다.
아울러 제4나사홀(22c)은 상기 판상부재(22)의 제2나사홀(22b) 양측에 형성된다. 상기 제4나사홀(22c)에는 수직방향조절나사(44)가 삽입되어 수직방향의 위치를 조절할 수 있다.
상기 수직벽(26)은 상기 윙(24)의 전후방에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판상부재의 축선을 중심으로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나사홀(26a)은 상기 수직벽(26)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제3나사홀(26a)에는 폭방향조절나사(43)가 삽입된다. 따라서 상기 폭방향조절나사(43)가 제3나사홀(26a)을 통과하여 상기 회전부(30)의 측면에 도달하므로 회전부(30)가 슬라이딩부(20)에 더욱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다.
상기 회전부(30)는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수직벽(26) 사이에 배치되고 양측이 상기 수직벽(26)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수직벽(26)의 제3나사홀(26a)에 치합되어 돌출하는 나사와 대응하도록 구비된다. 아울러 상기 회전부(30)는 중앙에 도어(D)의 일측에서 회전하는 힌지축(S)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3개구부(32)가 형성되며, 상기 제3개구부(32)를 중심으로 전후방에 각각 제2장공(34)이 형성된 회전부(30)가 형성된다.
상기 제2장공(34)은 그 중심선이 상기 제3개구부(32)를 중심으로 호를 이루도록 구비된다. 따라서 회전부(30)의 회전각도의 조절이 용이하다. 이러한 상기 제2나사홀(22b)과의 사이에 볼트가 체결되어 슬라이딩부(20)와 회전부(30)가 소정의 위치에서 견고하게 고정되도록 한다.
아울러 상기 회전부(30)는 하부가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제2개구부(22a)에 삽입되도록 돌출부(36)가 형성되어 회전부(30)를 슬라이딩부(20)의 제2개구부(22a)에 끼울 수 있도록 함으로서 설치가 용이하다.
10 : 고정부
20 : 슬라이딩부
30 : 회전부
40 : 오토힌지
D : 도어
S : 힌지축

Claims (4)

  1.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진 길이방향 부재(12)와 상기 길이방향 부재(12)와 수직을 이루며 서로 평행하게 연장된 복수의 부재로 이루어진 폭방향 부재(14)가 일체로 형성되고 상기 길이방향 부재(12)에 길이방향조절나사(41)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비된 제1나사홀(16)이 형성된 고정부(10);
    상기 고정부(10)의 길이방향 부재(12)와 폭방향 부재(14)에 의해 형성된 제1개구부(18)에 수용되며 중앙에 제2개구부(22a)가 형성된 판상부재(22)와, 상기 판상부재(22)가 상기 제1개구부(18)에 삽입되어 길이방향으로 슬라이딩될 수 있도록 양측에 단이지도록 형성된 윙(24)과, 상기 윙(24)의 상기 고정부(10) 제1나사홀(16)과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된 제1장공(24a)과, 상기 판상부재(22)의 제2개구부(22a) 전후방에 각각 형성된 회전방향조절나사(42)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비된 제2나사홀(22b)과, 상기 윙(24)의 전후방에 일체로 형성된 수직벽(26)과, 상기 수직벽(26)에 상기 수직벽(26)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폭방향조절나사(43)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비된 제3나사홀(26a)과, 상기 판상부재(22)의 제2나사홀(22b)의 양측에 형성된 수직방향조절나사(44)가 삽입될 수 있도록 구비된 제4나사홀(22c)로 이루어진 슬라이딩부(20);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수직벽(26) 사이에 배치되고 양측이 상기 수직벽과 평행하게 형성되어 상기 수직벽(26)의 제3나사홀에 치합되어 돌출하는 나사와 대응하도록 구비되고, 중앙에 힌지축(S)이 삽입될 수 있도록 제3개구부(32)가 형성되며, 상기 제3개구부(32)를 중심으로 전후방에 각각 제2장공(34)이 형성된 회전부(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용 오토힌지 조립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30)는 하부가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제2개구부(22a)에 삽입되도록 돌출부(36)가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용 오토힌지 조립체.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20)의 제2개구부(22a)는 상기 회전부(30)가 폭방향으로 유격이 발생하도록 장공형상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용 오토힌지 조립체.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의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30)의 제3개구부(32)를 중심으로 형성된 제2장공(34)은 그 중심선이 상기 제3개구부(32)를 중심으로 호를 이루도록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여닫이문용 오토힌지 조립체.
KR2020120007972U 2012-08-16 2012-09-07 여닫이문용 오토힌지 조립체 KR20140001200U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7284 2012-08-16
KR20120007284 2012-08-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200U true KR20140001200U (ko) 2014-02-27

Family

ID=524415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7972U KR20140001200U (ko) 2012-08-16 2012-09-07 여닫이문용 오토힌지 조립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1200U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8623A (ko) * 2021-04-06 2022-10-13 주식회사 에코플러스 회전 도어용 프레임 커플러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38623A (ko) * 2021-04-06 2022-10-13 주식회사 에코플러스 회전 도어용 프레임 커플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071262B2 (ja) 隠し丁番
US8739367B2 (en) Hidden door hinge
US9670707B2 (en) Door hinge
KR101968628B1 (ko) 피봇 힌지 장치
EP3252255B1 (en) A hinge for a window, a window including a set of such hinges, and a method of installing such a window
CA2931720C (en) Connecting device and shower door assembly including the connecting device
US20130104345A1 (en) Hinge with integral stop
US20090077767A1 (en) Hinge
MXPA06014439A (es) Sistema y metodo de acoplamiento de bisagra.
KR101819485B1 (ko) 폴딩도어 경첩
KR20140001200U (ko) 여닫이문용 오토힌지 조립체
KR101068134B1 (ko) 문의 비노출식 경첩구조
EP2927407B1 (en) Hinge
US10927580B2 (en) Door closers
KR102072149B1 (ko) 3중 슬라이딩 연동 도어의 하부롤러 어셈블리
JP5586156B2 (ja) ドアのエッジ装置
KR200434477Y1 (ko) 창틀 고정용 브래키트
KR20160148785A (ko) 스톱퍼 기능이 구비된 외함용 힌지
KR200465279Y1 (ko) 샤워 부스용 도어 어셈블리
US11542738B2 (en) Door closers
KR101392231B1 (ko) 힌지조립체와 이를 포함하는 도어조립체의 설치방법
KR101774754B1 (ko) 폴딩도어 경첩
US20210355743A1 (en) Door-ready molding
KR20080040661A (ko) 방화문의 도난 방지용 경첩
KR200454836Y1 (ko) 출입문용 힌지 및 이를 구비한 출입문 조립체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