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1155A - 특히, 시스템 케이블링용 모듈 - Google Patents

특히, 시스템 케이블링용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1155A
KR20140001155A KR1020130073785A KR20130073785A KR20140001155A KR 20140001155 A KR20140001155 A KR 20140001155A KR 1020130073785 A KR1020130073785 A KR 1020130073785A KR 20130073785 A KR20130073785 A KR 20130073785A KR 20140001155 A KR20140001155 A KR 201400011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using
spring
module
housing parts
system cab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737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06706B1 (ko
Inventor
안네마리에 레에마이어
볼프강 슈아츠
유르겐 볼스키
Original Assignee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filed Critical 지멘스 악티엔게젤샤프트
Publication of KR201400011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11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067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0670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01R13/502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 H01R13/508Bases; Cases composed of different pieces assembled by a separate clip or spr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1/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 E05C1/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1/06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rectilinear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moving otherwise than rigidly with the bolt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3/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 E05C3/041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rota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3/00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 E05C3/0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 E05C3/04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 E05C3/041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rota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 E05C3/042Fastening devices with bolts moving pivotally or rotatively without latching action with operating handle or equivalent member rigid with the bolt rotating about an axis perpendicular to the surface on which the fastener is mounted the handle being at one side, the bolt at the other side or inside the wing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CBOLTS OR FASTENING DEVICES FOR WINGS, SPECIALLY FOR DOORS OR WINDOWS
    • E05C19/00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 E05C19/06Other devices specially designed for securing wings, e.g. with suction cups in which the securing part if formed or carried by a spring and moves only by distortion of the spring, e.g. sna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 1 하우징부(2) 및 제 2 하우징부(3)를 구비한 특히, 시스템 케이블링용 모듈(1)과 관련이 있으며, 이때 상기 하우징부들(2, 3) 사이에는 기계적인 결합부 이외에 전기적인 접속부도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은, 제 1 하우징부와 제 2 하우징부(2, 3) 간의 기계적인 결합력이 탄성력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특히, 시스템 케이블링용 모듈 {MODULE, IN PARTICULAR FOR SYSTEM CABLING}
본 발명은 제 1 하우징부 및 제 2 하우징부를 구비한 특히, 시스템 케이블링용 모듈에 관한 것이며, 이 경우 상기 하우징부들 사이에는 기계적인 결합부 이외에 전기적인 접속부도 포함되어 있다.
저전압 스위칭 기술 혹은 자동화 기술 분야에는 다양한 시스템 및 다양한 종류의 시스템 케이블링이 존재한다. 상기 시스템 케이블링의 목적은 종래의 와이어링 비용을 줄이는 것 그리고 결함이 있는 컴포넌트들의 교체를 용이하게 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시스템 케이블링의 경우에 사용자는 하나의 시스템 또는 하나의 설비를 설계할 때에 그리고 가동시킬 때에 시간적 경비를 상대적으로 더 적게 함으로써, 와이어링 경비를 줄임으로써, 와이어링 에러를 피함으로써 그리고 결함이 있는 컴포넌트들을 교체할 때에 정지 시간을 더 짧게 함으로써 더 많이 절약할 수 있게 된다.
시스템 케이블링은 컨트롤 박스 내에 장착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필드 내에도 장착될 수 있다. 이 경우 필드 내에서 사용하기 위한 시스템들은 상응하는 보호 수준(protection class)에 대하여 제기되는 요구 조건들을 충족시켜야만 한다. 이와 같은 시스템 케이블링은 제 1 및 제 2 하우징부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으며, 상기 하우징부들은 일반적으로 플라스틱으로부터 형성되고, 다수의 부분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하우징부들은 보호 레일 상에 장착되거나 또는 다른 방식으로 고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제 2 하우징부는 조립 플레이트로서 형성될 수 있는 제 1 하우징부 상에 장착되어 있다. 상기 조립 플레이트 또는 상기 제 1 하우징부는 시스템 케이블링을 포함하고, 그외에 예컨대 센서 입력부 또는 스위칭 출력부와 같은 모듈의 과학 기술적인 기능을 위한 접촉점 또는 접속점도 가질 수 있다.
제 2 하우징부를 조립 플레이트 상에 혹은 제 1 하우징부 상에 제공함으로써, 시스템 케이블링과 모듈 사이에서 상응하는 접촉 형성이 이루어진다. 이 경우에는 접촉을 형성하기 위하여 소위 피어싱(piercing)- 또는 관통 기술이 자주 사용되며, 이때 시스템 케이블링과의 접촉 형성은 상기 시스템 케이블링의 라인 내부로 삽입되는 날카로운 니들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그러나 예컨대 절단-클램핑-기술, 종래의 플러그형 커넥터 등과 같은 다른 종류의 접촉 형성도 가능하다.
필드에서 사용되는 시스템의 경우에는, 환경 영향에 의해서 야기되는 단락이 전혀 생성될 수 없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결합부들이 상응하는 보호 수준을 유지해야만 한다. 이 경우 조립 플레이트 혹은 제 1 하우징부와 제 2 하우징부 간의 기계적인 결합은 보호 수준이 유지될 수 있도록 기여를 한다. 상기 조립 플레이트 혹은 제 1 하우징부와 제 2 하우징부 간의 기계적인 결합은 대부분 나사 결합 또는 기계적인 로킹에 의해서 이루어진다.
상기와 같은 경우에는, 재료의 "흐름"에 의해서 혹은 재료의 노화 과정에 의해서 결합부의 강도가 약해진다는 단점이 있으며, 이와 같은 사실에 의해서는 두 개 하우징부 간의 결합이 풀어질 수 있음으로써, 시스템이 필드에서 사용되는 경우에 보호 수준이 더 이상 보증되지 않는 결과가 야기된다. 그렇기 때문에, 나사 결합의 경우에는, 접촉 안전 및 보호 수준을 보증할 수 있기 위하여 약간의 시간 후에는 나사들을 재차 조여줄 필요가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필요성은 시간- 및 비용적인 경비를 의미하게 되는데, 그 이유는 이 시점에서는 설비들이 기계- 또는 설비 제조자의 고객에게서 이미 생산 모드에 있는 경우가 빈번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조자는 상기와 같은 보증 작업을 서비스-과정을 통해서 수행할 수밖에 없거나, 이와 같은 과제를 고객에게 넘길 수밖에 없게 된다. 결합부를 조여주는 작업을 위험 없이 실행할 수 있기 위해서는, 설비 또는 기계가 스위치-오프 되어야만 한다. 설비를 정지(shut down)시키는 과정은 실행하기 어려운 경우가 많으며, 고비용 및 상당히 큰 시간적 경비와도 결부되어 있다.
나사 결합을 사용할 때의 추가의 단점들은, 이와 같은 결합을 만들기 위한 그리고 이와 같은 결합을 해체하기 위한 공구가 반드시 필요하고, 상당한 시간적 경비가 소요된다는 것이다. 그밖에, 접촉 안전 및 보호 수준을 유지하기 위해서도 전술된 이동 토크가 유지되어야만 하며, 이로써 조립시에는 토크 키가 필요하게 된다.
지금까지 어셈블리 또는 모듈은 예컨대 ASI-슬레이브(ASI-Slaves)와 같은 고도의 보호 수준으로 나사에 의해서 조립 플레이트 상에 고정되었다. 이때 상기 어셈블리 또는 모듈은 종종 니들에 의해서 상기 조립 플레이트 내부에 삽입된 도체와 접촉을 형성하게 된다. 조립 플레이트 및 어셈블리의 나사 결합에 의해서는 또한 보호 수준 IP69x에 이르기까지 접촉점의 밀봉이 이루어진다.
EP 0 821 434 B1호에서는 작동기 및/또는 센서를 연결하기 위한 모듈이 개시되며, 상기 모듈은 형상 코딩된 플랫 케이블(flat cable)을 수용하기 위한 리세스를 갖는 하부 그리고 상기 플랫 케이블과 접촉을 형성하기 위한 접촉 핀을 갖춘 접촉 형성 장치 및 회로 기판을 갖는 하우징 상부를 구비하며, 이 경우 상기 하부는 조립 플레이트로서 형성되었다. 이때 상기 하우징 상부는 적어도 두 개의 하우징 부로부터 하나의 해체 가능한 유닛으로 조합되며, 상기 유닛의 내부 공간에는 회로 기판이 해체 가능하게 고정되어 있고, 상기 조립 플레이트 및 상기 하우징 상부는 상호 적응된 상태에서 선회 수단을 구비하며, 이 선회 수단을 통해 상기 하우징 상부가 조립 플레이트 상에서 선회할 수 있고, 이와 동시에 상기 플랫 케이블과 상기 접촉 핀의 관통 접촉 형성이 이루어지게 된다.
DE 10 2005 031 708 B4호는 전기 라인, 특히 버스 라인에 연결하기 위한 하우징을 기술하고 있으며, 이때 상기 하우징은 적어도 하나의 제 1 하우징부 및 제 2 하우징부, 그리고 하나의 공동 로킹 위치에서 상기 제 2 하우징부와 상기 제 1 하우징부를 로킹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로킹 장치를 구비하며, 이 경우 상기 제 1 하우징부에는 라인을 전기 접촉시키기 위한 접촉 장치가 할당되어 있으며, 그리고 이 경우 상기 제 2 하우징부 내에는 라인을 가이드 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라인 베드(line bed)가 형성되어 있다. 이때에는 상기 라인 베드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라인 베드 캐리어 내부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접촉 장치 및 라인 베드 캐리어가 회전할 수 있음으로써, 결과적으로 라인 파형의 방위는 하우징을 기준으로 해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선행 기술에 공지된 전자 하우징의 단점은, 조립을 위해서 예를 들어 스크루 드라이버 또는 토크 키와 같은 공구가 필요한 경우가 많다는 것 그리고 고정을 위한 소정의 시간적 경비를 계산하고 있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한 가지 추가의 단점은, 재료 및 재료 노후의 "흐름"으로 인해 몇 주 후에는 상응하는 밀봉 상태를 계속 보증하기 위하여 고정 나사를 반드시 재차 조여주어야만 한다는 것이다. 이와 같은 단점은 다른 무엇보다도 설비를 발송하는 경우에 문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두 가지 컴포넌트 사이에서 지속적인 탄성력 작용이 이루어지지 않는 로킹 방식을 토대로 한 결합 기술에 의해서는 고도의 보호 수준에 도달하기가 어렵게 된다.
상기와 같은 내용에 따른 본 발명의 과제는, 간단한 조립을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밀봉도와 관련해서도 고도의 보호 수준을 지속적으로 보증해주는 모듈, 특히 시스템 케이블링용 모듈을 제조하는 것이다.
상기 과제는 특허 청구항 1의 특징들을 갖는 모듈에 의해서 해결된다. 개별적으로 사용될 수 있거나 또는 서로 조합된 상태로 사용될 수 있는 바람직한 실시예들 및 개선 예들은 종속 청구항들의 대상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과제는 제 1 및 제 2 하우징부를 갖춘 모듈, 특히 시스템 케이블링용 모듈에 의해서 해결되며, 이 경우 상기 하우징부들 사이에는 기계적인 결합부 이외에 전기적인 접속부도 포함되어 있다. 이때 본 발명은 제 1 하우징부와 제 2 하우징부 간의 기계적인 결합력이 탄성력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은 두 가지 컴포넌트 사이의, 다시 말해 상호 간에 전기적인 접속이 이루어지는 제 1 하우징부와 제 2 하우징부 사이의 기계적인 결합력이 탄성력에 의해서 지속적으로 유지되도록 하는 것이다. 탄성력에 의해서는 흐름- 및 노화 효과의 결과들이 자발적으로 보상됨으로써, 결국에는 기계적인 결합부를 재차 조이거나 리셋할 필요가 더 이상 없어지게 된다. 상기 탄성력은 예컨대 나선형 스프링, 디스크형 스프링, 스프링 클램프 등과 같은 다양한 종류의 스프링 부재에 의해서 발생 될 수 있다. 상기 스프링 부재들의 개수도 결합에 따라 변동될 수 있다. 원칙적으로 상기 탄성력은 인장- 또는 압축 원리에 의해서 발생 될 수 있다. 이러한 내용은 탄성력이 축 방향으로 작용하는 경우에 뿐만 아니라 방사 방향으로 작용하는 경우에도 적용된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 원리는 변경 없이 그대로 유지된다.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의 한 가지 추가 장점은, 기계적인 결합부를 만들기 위하여 공구가 전혀 필요 없다는 것이다. 따라서, 탄성력의 발생은 예를 들어 스프링의 스냅(snap) 연결에 의해서 이루어질 수 있다. 그와 마찬가지로, 웨지(wedge)의 삽입 또는 토글(toggle)을 이용한 회전 동작도 생각할 수 있다. 또한, 해체 작업도 공구 없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식은 강제적인 사항이 아니며, 이 경우 공구를 이용한 해체 작업의 장점은 소정의 조작 안전이 보증된다는 것이다.
탄성력을 발생하기 위해서 필요한 기계적인 컴포넌트들은 바람직하게 두 개 하우징부 중 하나의 하우징부에 설치되어 있거나 또는 분실되지 않도록 통합된 상태로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배치 상태는, 컴포넌트들이 별도로 구성된 경우와 비교할 때, 첫 번째로는 조립이 용이하다는 장점 그리고 두 번째로는 부품의 분실 가능성이 없다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모듈은 바람직하게 두 개의 하우징부를 구비하며, 상기 하우징부들은 기계적인 결합을 위해 한 측에 또는 다수의 측에 설치된 하나 또는 다수의 클램핑 스프링에 의해서 상호 고정되어 있다. 상기 하우징부들은 바람직하게 정방형으로 형성되었으며, 이 경우 상기 두 개의 하우징부 중에 하나는 조립 플레이트로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하우징부는 상호 결합 되어 하나의 직육면체를 형성하며, 상기 직육면체는 바람직하게 측면에 배치된 그리고 클램핑 스프링 또는 다른 스프링 부재의 형태로 형성된 탄성력을 통해서 상호 고정된다. 상기 클램핑 스프링 혹은 스프링 부재를 하우징부들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부들에는 리세스들이 존재하며, 상기 리세스들 내부에 클램핑 스프링 혹은 스프링 부재가 삽입 결합 된다. 바람직하게는 다수의 클램핑 스프링 및/또는 다수의 스프링 부재가 측면에 또는 모듈 내부의 중앙에 배치될 수 있다.
두 개의 하우징부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모듈은, 상기 하우징부들 사이의 기계적인 결합력이 탄성력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으로부터 나타나는 장점은, 제 1 조립 후에는 밀봉도 혹은 접촉 안전을 유지하기 위한 추가의 단계들이 반드시 필요치 않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와 같은 결합의 스프링 특성으로 인해 결합 수단을 재차 조여줄 필요가 더 이상 없게 된다. 조립을 위해서 추가의 공구가 필요치 않다는 사실도 바람직하다. 또한,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탄성력의 발생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부재들이 바람직하게 두 개 하우징부 중에 하나의 하우징부 내부에 통합되는 장점도 나타난다. 따라서, 상기 부품들이 분실될 수 있는 가능성도 배제된다.
본 발명의 추가의 장점들 및 실시들은 이하에서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그리고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도 1은 두 개의 하우징부를 기계적으로 결합하기 위하여 한 측에 설치된 클램핑 스프링을 갖춘 제 1 및 제 2 하우징부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클램핑 스프링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3은 두 개의 측에 클램핑 스프링이 고정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4는 압축 스프링을 갖춘 로킹 핀에 의해서 기계적으로 상호 고정된 두 개의 하우징부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을 로킹 되지 않은 상태에서 보여주고 있는 한 가지 추가 실시예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5는 도 4에 따른 모듈을 로킹 된 상태에서 보여주고 있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 및 도 5에 따른 압축 스프링 및 로킹 핀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며;
도 7은 스프링을 갖춘 베이어닛 조인트(bayonet joint)를 통해서 기계적으로 상호 고정된 두 개의 하우징부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의 한 가지 추가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는 개략적인 단면도이고;
도 8은 스프링을 갖춘 슬라이드를 통해서 기계적으로 상호 로킹 된 두 개의 하우징부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의 한 가지 추가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9는 스프링을 갖춘 도 8에 따른 슬라이드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0은 스프링을 갖춘 회전 조인트를 통해서 기계적으로 상호 로킹 된 두 개의 하우징부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의 한 가지 추가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11은 스프링을 갖춘 도 10에 따른 회전 조인트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2는 스프링을 갖춘 선회 구동부를 통해서 기계적으로 상호 고정된 두 개의 하우징부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의 한 가지 추가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13은 스프링을 갖춘 도 12에 따른 선회 구동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14는 스프링 및 로킹부를 갖춘 선회 구동부를 통해서 기계적으로 상호 고정된 두 개의 하우징부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의 한 가지 추가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는 개략적인 단면도이며;
도 15는 스프링 및 로킹부를 갖춘 도 14에 따른 선회 구동부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1은 기계적인 결합을 위해 바람직하게 한 측에 설치된 클램핑 스프링(4)에 의해서 상호 고정된 제 1 하우징부(2) 및 제 2 하우징부(3)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1)을 보여주고 있다. 상기 하우징부(2, 3)는 바람직하게 정방형으로 형성되었으며, 이 경우 상기 두 개 하우징부(2, 3) 중에 하나의 하우징부는 조립 플레이트로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두 개의 하우징부(2, 3)는 상호 결합 되어 하나의 직육면체를 형성하며, 상기 직육면체는 바람직하게 측면에 배치된 클램핑 스프링(4)을 통해서 상호 고정된다. 클램핑 스프링(4)을 하우징부(2, 3)에 고정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부(2, 3)에는 리세스(5, 6)가 존재하며, 상기 리세스 내부에 상기 클램핑 스프링(4)이 삽입 결합 된다. 바람직하게 상기 클램핑 스프링(4)은 또한 하우징부(2, 3)의 중앙에 배치될 수도 있다.
도 2에는 도 1에 따른 클램핑 스프링(4)이 도시되어 있다. 클램핑 스프링(4)은 바람직하게 평평한 면(7)을 가지며, 상기 면은 고정된 상태에서 직육면체로 상호 결합 된 하우징부(2, 3)의 한 측면에 부착된다. 상기 평평한 면(7)은 자체 단부에서 각각 바람직하게 S자 모양의 단부 섹션(8, 9)으로 변환되며, 상기 단부 섹션은 바람직하게 평평한 면(7)에 대하여 90°의 각도로 서있다. 이때 본 발명에 따르면, 상기 평평한 면(7)에 직접적으로 연결되는 상기 S자 모양 단부 섹션(8, 9)의 하부 섹션(10, 11)은 하우징부(2, 3)를 둘러싸는 한편, 상기 S자 모양 단부 섹션(8, 9)의 상부 섹션(12, 13)은 상기 하우징부(2, 3)에 있는 리세스(5, 6) 내부에 삽입 결합 된다.
도 3에는 두 개의 측에 클램핑 스프링이 고정되어 있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1)이 도시되어 있다. 두 개의 측에 클램핑 스프링을 고정하기 위하여, 상호 결합 된 상태에서 하우징부(2, 3)에 대하여 마주 놓인 두 개의 추가 리세스(14, 15)가 상기 하우징부(2, 3)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추가 리세스(14, 15) 내부에는 상기 클램핑 스프링(4)의 S자 모양 단부 섹션(8, 9)의 상부 섹션(12, 13)이 삽입 결합 된다.
도 4는 압축 스프링(17)을 갖춘 로킹 핀(16)에 의해서 기계적으로 상호 고정된 두 개의 하우징부(2, 3)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1)을 로킹 되지 않은 상태에서 도시한 한 가지 추가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상기 압축 스프링(17)을 갖춘 로킹 핀(16)을 수용하기 위하여 상기 하우징부(2, 3) 내에는 리세스(18, 19)가 제공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리세스(18) 내에는 하나의 돌출부(20)가 배치되어 있고, 상기 리세스(19) 내에는 서로 마주 놓인 두 개의 돌출부(21, 22)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로킹 핀(16)은 바람직하게 원통형으로 형성된 중앙 섹션(23)을 구비하며, 상기 중앙 섹션 상에서 압축 스프링(17)이 가이드 된다. 상기 로킹 핀(16)의 원통형 중앙 섹션(23)은 또한 한 단부에는 작동 헤드(24)를 구비하고, 그리고 다른 단부에는 로킹 노우즈(25)(locking nose)를 구비한다. 압축 스프링(17)을 갖춘 로킹 핀(16)은 하우징부(3)의 리세스(19) 내부에 지지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압축 스프링(17)은 상기 돌출부(21, 22)에 충돌한다. 단지 상기 로킹 핀(16)의 로킹 노우즈(25)를 갖춘 원통형의 중앙 섹션(23)만 상기 하우징부(2)의 리세스(18) 내부로 돌출한다. 비-작동 상태에서 상기 로킹 핀(16)의 로킹 노우즈(25)는 상기 하우징부(2)의 돌출부(20)에 마주 놓여 있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본 발명에 따른 모듈(1)을 로킹 된 상태에서 보여주고 있다. 로킹 핀(16)을 로킹 된 상태로 전환시키기 위해서는, 상기 로킹 핀(16)의 작동 헤드(24)가 리세스(18, 19) 내부로 밀려 들어갈 수밖에 없게 되며, 그 결과 압축 스프링(17)은 작동 헤드(24)와 돌출부(21, 22) 사이에서 정체하게 된다. 그 다음에 로킹 핀(16)이 회전되어야만 함으로써, 결과적으로 로킹 노우즈(25)는 돌출부(20) 아래에 놓이게 된다.
도 6에는 로킹 핀(16) 및 압축 스프링(17)이 도시되어 있다. 상기 로킹 핀(16)은 바람직하게 원통형으로 형성된 중앙 섹션(23)을 구비하며, 상기 중앙 섹션 상에서 상기 압축 스프링(17)이 가이드 된다. 상기 로킹 핀(16)의 원통형 중앙 섹션(23)의 단부에는 작동 헤드(24) 그리고 로킹 노우즈(25)가 배치되어 있다.
도 7에는 스프링 부재(26)를 갖춘 베이어닛 조인트를 통해서 상호 고정된 두 개의 하우징부(2, 3)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1)의 한 가지 추가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 베이어닛 조인트는 작동 헤드(28)를 갖춘 삽입 부재(27)로서 형성되었으며, 상기 작동 헤드에는 바람직하게 원통형으로 형성된 몸체(29)가 배치되어 있다. 상기 원통형 몸체(29) 상에 스프링 부재(26)가 삽입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스프링 부재(26)의 한 단부는 상기 삽입 부재(27)에 고정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 부재(26)의 자유로운 스프링 연장부(30)는 하우징부(2)의 리세스(31) 내부에 배치되어 있으며, 이때 상기 스프링 연장부에 있는 나선은 상기 원통형 몸체(29)에 있는 나선보다 더 큰 직경을 갖는다. 상기 작동 헤드(28)가 회전함으로써, 상기 삽입 부재(27)는 스프링 부재(26)와 더불어 하우징부(2, 3)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도 8로부터는 스프링 부재(33)를 갖춘 슬라이드(32)를 통해서 기계적으로 상호 고정된 두 개의 하우징부(2, 3)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1)의 한 가지 추가 실시예가 나타난다. 바람직하게 상기 스프링 부재(33)는 하우징부(2) 내에 배치되어 있고, 하우징부(3) 내부로 돌출하며, 그곳에서 상기 하우징부(3) 내부에 배치된 고정 몸체(34)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고정 몸체(34)에도 마찬가지로 슬라이드(32)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슬라이드를 통해서 고정 몸체(34) 및 스프링 부재(33)로 이루어진 로킹 장치에 외부로부터 접근할 수 있다.
도 9에는 스프링 부재(33), 고정 몸체(34) 및 슬라이드(32)를 갖춘 도 8에 따른 로킹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0은 스프링 부재(35)를 갖춘 회전 조인트(37a)를 통해서 상호 고정된 두 개의 하우징부(2, 3)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1)의 한 가지 추가 실시예를 보여주고 있다. 도 8에 도시된 실시예에서와 유사하게, 상기 스프링 부재(35)도 바람직하게 하우징부(2) 내에 배치되어 있고, 하우징부(3) 내부로 돌출하며, 그곳에서 고정 몸체(36)에 고정되어 있으며, 이 경우 상기 고정 몸체는 바람직하게 세 개의 부분으로 형성된 회전 조인트를 통해서 긴장된 상태 혹은 이완된 상태로 변위될 수 있다.
도 11에는 스프링 부재(35), 고정 몸체(36) 및 세 개의 부분으로 이루어진 회전 조인트(37a, 37b, 37c)를 갖춘 도 10에 따른 로킹 장치가 도시되어 있다.
도 12에는 스프링 부재(39)를 갖춘 선회 구동부(38)를 통해서 상호 고정된 두 개의 하우징부(2, 3)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1)의 한 가지 추가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스프링 부재(39)는 선회 구동부(38)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두 가지 부품의 조합은 하우징부(2, 3) 외부에서 시작되는 선회 동작을 통해 긴장된 상태로 변환되며, 이 경우 상기 선회 구동부(38)는 긴장된 상태에서 상기 하우징부(3)의 리세스(40) 내에 배치되어 있다.
도 13은 스프링 부재(39)를 갖춘 도 12에 따른 선회 구동부(38)를 보여주고 있다.
도 14에는 스프링 부재(42) 및 폐쇄 로킹부를 갖춘 선회 구동부(41)를 통해서 기계적으로 상호 고정된 두 개의 하우징부(2, 3)를 구비하는 본 발명에 따른 모듈(1)의 한 가지 추가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때 상기 스프링 부재(42)는 선회 구동부(41)에 고정되어 있다. 상기 두 가지 부품의 조합은 하우징부(2, 3) 외부에서 시작되는 선회 동작을 통해 긴장된 상태로 변환되며, 이 경우 상기 선회 구동부(41)는 하우징부(3)의 리세스(44) 내부에 로킹 되는 로킹 노우즈(43)를 구비한다.
도 15는 스프링 부재(42)를 갖춘 도 13에 따른 선회 구동부(41)를 보여주고 있다.
두 개의 하우징부로 구성된 본 발명에 따른 모듈은, 하우징부들 간의 기계적인 결합력이 탄성력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와 같은 특징으로부터 나타나는 장점은, 제 1 조립 후에는 밀봉도 혹은 접촉 안전을 유지하기 위한 추가의 단계들이 반드시 필요치 않다는 것이다. 다시 말하자면, 상기와 같은 결합의 스프링 특성으로 인해 결합 수단을 재차 조여줄 필요가 더 이상 없게 된다. 조립을 위해서 추가의 공구가 필요치 않다는 사실도 바람직하다. 또한, 조립을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탄성력의 발생을 위해서 반드시 필요한 부재들이 바람직하게 두 개 하우징부 중에 하나의 하우징부 내부에 통합되는 장점도 나타난다. 따라서, 상기 부품들이 분실될 수 있는 가능성도 배제된다.

Claims (7)

  1. 제 1 하우징부(2) 및 제 2 하우징부(3)를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부들(2, 3) 사이에 기계적인 결합부 이외에 전기적인 접속부도 포함되어 있는, 특히 시스템 케이블링용 모듈(1)에 있어서,
    상기 제 1 하우징부와 제 2 하우징부(2, 3) 간의 기계적인 결합력이 탄성력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히, 시스템 케이블링용 모듈.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력이 클램핑 스프링(4) 및/또는 스프링 부재(17, 26, 33, 35, 39, 42)로서 형성되고, 바람직하게는 나선형 스프링 또는 디스크형 스프링의 형태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히, 시스템 케이블링용 모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탄성력이 인장- 또는 압축 원리를 통해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히, 시스템 케이블링용 모듈.
  4. 제 2 항 또는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스프링 부재(17, 26, 33, 35, 39, 42)가 상기 두 개 하우징부(2, 3) 중에 적어도 하나의 하우징부 내부에 분실되지 않도록 통합된 상태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히, 시스템 케이블링용 모듈.
  5.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스프링(4) 또는 상기 스프링 부재(17, 26, 33, 35, 39, 42)가 모듈(1)의 한 측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히, 시스템 케이블링용 모듈.
  6.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클램핑 스프링(4) 또는 상기 스프링 부재(17, 26, 33, 35, 39, 42)가 모듈(1) 내부의 중앙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히, 시스템 케이블링용 모듈.
  7. 제 1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수의 클램핑 스프링(4) 및/또는 다수의 스프링 부재(17, 26, 33, 35, 39, 42)가 모듈(1)의 한 측에 그리고/또는 모듈(1) 내부의 중앙에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특히, 시스템 케이블링용 모듈.
KR1020130073785A 2012-06-27 2013-06-26 특히, 시스템 케이블링용 모듈 KR10160670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EP12173873.6A EP2680373A1 (de) 2012-06-27 2012-06-27 Modul mit einem Federelement für Systemverkabelungen
EP12173873.6 2012-06-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1155A true KR20140001155A (ko) 2014-01-06
KR101606706B1 KR101606706B1 (ko) 2016-03-28

Family

ID=464582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73785A KR101606706B1 (ko) 2012-06-27 2013-06-26 특히, 시스템 케이블링용 모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2680373A1 (ko)
KR (1) KR101606706B1 (ko)
CN (1) CN103515768B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1885A (en) * 1985-09-20 1986-11-11 Amp Incorporated Ribbon cable connector with improved cover latch
JP2009092087A (ja) * 2007-10-04 2009-04-30 Togo Seisakusho Corp クランプ
KR100945027B1 (ko) * 2009-10-26 2010-03-05 에스에스오토엔지니어링(주)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
JP2011047350A (ja) * 2009-08-28 2011-03-10 Ud Trucks Corp エアクリーナキャップの固定用クリップ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9630352C2 (de) 1996-07-26 2000-04-06 Siemens Ag Modul zum Anschluß von Aktoren und/oder Sensoren
DE102005031708B4 (de) 2005-07-05 2011-04-21 Ifm Electronic Gmbh Gehäuse zum Anschluß an eine elektrische Leitung
TWM388150U (en) * 2008-09-09 2010-09-01 Molex Inc A shield for housing a housing and a connector assembly
DE102009041371A1 (de) * 2009-09-11 2011-03-24 Harting Electric Gmbh & Co. Kg Verriegelungssystem für mehrteilige Gehäus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621885A (en) * 1985-09-20 1986-11-11 Amp Incorporated Ribbon cable connector with improved cover latch
JP2009092087A (ja) * 2007-10-04 2009-04-30 Togo Seisakusho Corp クランプ
JP2011047350A (ja) * 2009-08-28 2011-03-10 Ud Trucks Corp エアクリーナキャップの固定用クリップ
KR100945027B1 (ko) * 2009-10-26 2010-03-05 에스에스오토엔지니어링(주) 이중 안전 잠금 핀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3515768B (zh) 2017-08-01
EP2680373A1 (de) 2014-01-01
CN103515768A (zh) 2014-01-15
KR101606706B1 (ko) 2016-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30323957A1 (en) Connector to flex assembly
CN203553456U (zh) 插式连接器
EP2190105A2 (de) Frequenzumrichter zum Steuern eines Elektromotors
KR101278640B1 (ko) 피엘씨 입출력 모듈용 케이블 커넥터 커버장치
EP2988399B1 (en) Fastening system for a terminal box and electrical machine
KR101178898B1 (ko) 단일 조임스크류를 갖는 접지용구
CN103688412B (zh) 缆线联接构件
CN1722336B (zh) 两个电器件固定装置的锁紧机构和具有该机构的电器件
US7090526B2 (en) Lead-through terminal
US7497720B2 (en) Housing for connection to an electrical line
US9083093B2 (en) Electrical terminal, in particular terminal block, with a housing and a conductor bar held on the housing
JP4811374B2 (ja) 端子接続部構造
JP2006520524A (ja) 少なくとも一つの導体を支持片に対して電気的に接続しかつ固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
KR20140001155A (ko) 특히, 시스템 케이블링용 모듈
CN202817510U (zh) 连接组件和母线连接结构
CN211297256U (zh) 一种改进型信号隔离器
CN113766791B (zh) 模块组合结构及其导轨适配器
US20080001489A1 (en) Braking Device for Apparatuses Driven by an Electric Motor
JP2009089530A (ja) 電気接続箱
KR101715278B1 (ko) 전동공구용 배터리
JP2007026969A (ja) 回路遮断器の差込形端子装置
KR20090118537A (ko) 배터리 케이블 접속구 및 배터리 단자 연결 조립체
JP2010078113A (ja) 部品取付構造及び部品取付用座金
CA3027357C (en) Electrical plug connector for motorized rollers
CN104546140A (zh) 一种医用吊塔模块化转接机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12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1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