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965A - Blade installing system for wind turbine - Google Patents

Blade installing system for wind turbine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965A
KR20140000965A KR1020120068947A KR20120068947A KR20140000965A KR 20140000965 A KR20140000965 A KR 20140000965A KR 1020120068947 A KR1020120068947 A KR 1020120068947A KR 20120068947 A KR20120068947 A KR 20120068947A KR 20140000965 A KR20140000965 A KR 2014000096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ade
gripping
tip
root
gripp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8947A
Other languages
Korean (ko)
Other versions
KR101379723B1 (en
Inventor
조기용
김성준
김성진
김성훈
이종환
조영석
Original Assignee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89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9723B1/en
Publication of KR201400009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965A/en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972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9723B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3/00Assembly, mounting or commissioning of wind motors;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transporting wind motor components
    • F03D13/10Assembly of wind motors; Arrangements for erecting wind mo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6HOISTING; LIFTING; HAULING
    • B66CCRANES; LOAD-ENGAGING ELEMENTS OR DEVICES FOR CRANES, CAPSTANS, WINCHES, OR TACKLES
    • B66C23/00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 B66C23/18Cranes comprising essentially a beam, boom, or triangular structure acting as a cantilever and mounted for translatory of swinging movements in vertical or horizontal planes or a combination of such movements, e.g. jib-cranes, derricks, tower cranes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particular purpose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GSCAFFOLDING; FORMS; SHUTTERING; BUILDING IMPLEMENTS OR AIDS, OR THEIR USE; HANDLING BUILDING MATERIALS ON THE SITE; REPAIRING, BREAKING-UP OR OTHER WORK ON EXISTING BUILDINGS
    • E04G3/00Scaffolds essentially supported by building constructions, e.g. adjustable in height
    • E04G3/28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 E04G3/30Mobile scaffolds; Scaffolds with mobile platforms suspended by flexible supporting elements, e.g. cabl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3MACHINES OR ENGINES FOR LIQUIDS; WIND, SPRING, OR WEIGHT MOTORS; PRODUCING MECHANICAL POWER OR A REACTIVE PROPULSIVE THRUS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03DWIND MOTORS
    • F03D1/00Wind motors with rotation axis substantially parallel to the air flow entering the rotor 
    • F03D1/06Rotors
    • F03D1/0608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aerodynamic shape
    • F03D1/0633Rotors characterised by their aerodynamic shape of the bla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10/00Energy generation through renewable energy sources
    • Y02E10/70Wind energy
    • Y02E10/72Wind turbines with rotation axis in wind direc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Wind Motors (AREA)

Abstract

A blade installing system for a wind turbine is disclosed.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the blade installing system for a wind turbine comprises a gripping unit for gripping a blade for a wind turbine; and a transfer guide unit of which one end is connected to the hub of the wind turbine, of which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blade, and which guides the blade to be inserted into the hub by detect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blade to the hub.

Description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설치 시스템{BLADE INSTALLING SYSTEM FOR WIND TURBINE}Blade installation system for wind power generators {BLADE INSTALLING SYSTEM FOR WIND TURBINE}

본 발명은,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설치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풍력발전기의 허브에 블레이드를 설치함에 있어 허브에 대한 블레이드의 상대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설치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blade installation system for a wind turbine, and more particularly, to a blade installation system for a wind turbine that can detect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blade with respect to the hub in installing the blade in the hub of the wind turbine. .

일반적으로, 전기를 생산하기 위한 대표적인 발전 형태로는 화석연료를 에너지원으로 하는 화력발전 및 핵분열을 이용하는 원자력발전을 들 수 있다.Generally, typical types of power generation for generating electricity include thermal power generation using fossil fuel as an energy source and nuclear power generation using nuclear power.

그러나, 화력발전은 화석연료의 연소에 의해 발생하는 에너지를 이용함에 따른 공해유발의 문제와 함께 막대한 건설비가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However, thermal power generation has a problem of causing pollution due to utilization of the energy generated by the combustion of fossil fuel and a huge construction cost.

그리고, 원자력발전은 많은 양의 전기를 생산하는데 유리하지만 방사선 누출을 차단하기 위한 막대한 시설비가 요구됨은 물론 방사선 누출의 위험성 때문에 지역주민들의 강한 반발이 예상되며, 나아가 폐기물처리도 쉽지 않으며, 사소한 사고라할지라도 심각한 환경파괴를 초래할 수 있는 위험이 항상 존재하는 등 다양한 문제점이 있다.In addition, nuclear power generation is advantageous for producing a large amount of electricity, but it requires huge facility costs to block the radiation leakage and the strong reaction of local residents is expected due to the risk of radiation leakage, and it is not easy to dispose of waste, and it is a minor accident. However, there are various problems, such as always presenting a risk that can cause serious environmental damage.

이에, 화력이나 원자력 발전으로 인한 공해문제로부터 자유롭고 고갈될 염려없는 영구적인 에너지원으로서 풍력, 조력, 수력, 태양열 등과 같은 자연 에너지를 에너지원으로 활용하려는 연구들이 활발하게 진행되고 있다.Therefore, researches are actively conducted to utilize natural energy such as wind power, tidal power, hydroelectric power, and solar energy as an energy source as a permanent energy source free from exhaustion problems due to firepower or nuclear power generation.

특히, 자연 에너지를 이용한 발전 가운데 청정 에너지원을 이용한다는 측면에서 풍력발전이 대안으로 부각되고 있으며, 풍력발전은 구조나 설치 등이 간단함과 동시에 운영 및 관리가 용이하고 무인화 및 자동화 운전이 가능하기 때문에 최근에 도입이 비약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In particular, wind power is emerging as an alternative in terms of the use of natural energy among power generation using natural energy. Wind power generation is simple in structure and installation, easy to operate and manage, and unmanned and automated. As a result, the introduction has increased dramatically in recent years.

한편, 과거에는 풍력발전 구조물들이 주로 육상에서 이루어졌으나, 소음과 진동 등에 의한 환경피해가 속출하고 발전용량이 대형화되고, 미관, 장소의 제약 등의 여러문제로 인하여 최근에는 해상에 풍력발전단지를 집약적으로 집단화시켜 건설하는 것이 추세이다.On the other hand, in the past, wind power structures were mainly made on land, but due to various problems such as environmental damage caused by noise and vibration, increased power generation capacity, and aesthetics and limitations of place, wind farms have recently become intensive. The trend is to build them in groups.

풍력발전기는 바람에 의한 회전에너지로부터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장치로서,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복수의 블레이드(blade)가 연결되는 허브(hub)를 구비한 로터(rotor)와, 로터와 연결되는 나셀(nacelle)을 지지하면서 보호하는 나셀 커버(nacelle cover)와, 블레이드, 로터, 나셀 및 나셀커버를 지지하는 타워(tower)를 포함한다.Wind power generator is a device for producing electrical energy from the rotational energy by the wind, a rotor having a hub to which a plurality of blades (blade) rotated by the wind, and a nacelle connected to the rotor ( and a nacelle cover for supporting and protecting the nacelle, and a tower for supporting the blades, the rotor, the nacelle, and the nacelle cover.

블레이드는 공기 역학적으로 설계된 형상을 이용하여 바람 에너지에서 유용한 공력 토크(torque)를 발생시키고, 공력 토크를 이용하여 발전기를 회전시켜 전기를 발생시킨다.The blade uses aerodynamically designed geometry to generate useful aerodynamic torques in the wind energy and generates electricity by rotating the generator using aerodynamic torques.

블레이드는 전기 발생량을 증가시키기 위해 공기 역학적 형상이 중요할 뿐만 아니라, 구조적으로 그 형상으로부터 유발되는 하중을 적절히 지지할 수 있어야 한다.The blade must be able to support the load induced by its shape structurally as well as aerodynamic shape is important to increase the amount of electricity generated.

하중은 공기역학적 형상에 지배적이지만 구조적인 최적 설계를 통해 동일한 하중을 지지하면서도 최대한 가벼운 블레이드를 설계하는 것이 또 하나의 중요한 설계 기술이다.The load is dominant in the aerodynamic shape, but designing a blade that is as light as possible while supporting the same load through structural optimization is another important design technique.

한편, 허브에 블레이드를 설치하는 작업은, 블레이드 그립핑 장치를 이용하여 블레이드를 그립핑하고, 블레이드 그립핑 장치 및 블레이드를 허브에 인접하게 이송한 후, 허브에 마련된 블레이드 접속부에 블레이드를 삽입 설치한다.On the other hand, the operation of installing the blade in the hub, using the blade gripping device to grip the blade, transfer the blade gripping device and the blade adjacent to the hub, and then install the blade inserted in the blade connecting portion provided in the hub .

그리고, 블레이드 루트부와 블레이드 접속부의 결합은, 블레이드 루트부에 마련된 복수 개의 볼트를 블레이드 접속부에 마련된 복수 개의 볼트홀에 삽입한 후 볼트결합한다.The blade root portion and the blade connecting portion are coupled to each other after the plurality of bolts provided in the blade root portion are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bolt holes provided in the blade connecting portion.

그러나, 종래에는 크레인 등을 이용하여 블레이드를 허브에 인접하게 이송함에 있어, 허브 측에 탑승한 작업자의 수신호에 의존하여 블레이드를 허브에 인접하게 이송하였다.However, in the related art, when the blade is moved adjacent to the hub by using a crane or the like, the blade is transferred adjacent to the hub depending on the hand signal of the operator who boards the hub.

따라서, 허브와 블레이드 간의 거리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또한 작업자의 수신호에 의존해야 하므로 허브와 블레이드를 정렬함에 있어 작업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다.Therefore, there is a problem that can not accurately determine the distance between the hub and the blade, and also has to rely on the hand signal of the operator has a problem that takes a lot of work time in aligning the hub and the blade.

[문헌1]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2007-0116190호 (위벤 알로이즈) 2007.12.06.[Patent 1] Republic of Korea Patent Publication No. 2007-0116190 (Weeven Aloyds) 2007.12.06.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허브에 대한 블레이드의 상대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설치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Therefore, the technical problem to be solved by the present invention is to provide a blade installation system for a wind turbine generator that can accurately grasp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blade with respect to the hub.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를 그립핑하는 그립핑유닛; 및 일단부가 풍력발전기의 허브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블레이드에 연결되고, 상기 허브에 대한 상기 블레이드의 상대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허브에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블레이드 이송가이드유닛을 포함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설치 시스템이 제공될 수 있다.According to an aspect of the invention, the gripping unit for gripping the blade for the wind power generator; And a blade transfer guide uni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hub of the wind turbine,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blade, and sensing a relative position of the blade relative to the hub to guide the blade to be inserted into the hub. A mechanical blade installation system may be provided.

상기 블레이드 이송가이드유닛은, 상기 허브와 상기 블레이드를 연결하는 복수의 링크부재; 및 상기 복수의 링크부재의 링크연결부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허브에 대한 상기 블레이드의 상대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blade transfer guide unit, A plurality of link members for connecting the hub and the blade; And a position sensing unit provided at link linking units of the plurality of link members, for sensing a relative position of the blade with respect to the hub.

상기 블레이드 이송가이드유닛은, 상기 복수의 링크부재의 일단부에 각각 마련되고, 인접된 상기 복수의 링크부재가 상호 삽입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마련되고, 인접된 상기 복수의 링크부재가 상호 상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감지부는, 상기 브라켓에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복수의 로터리 엔코더를 포함할 수 있다.The blade transfer guide unit may include a bracket provided at one end of each of the plurality of link members, and the plurality of adjacent link members inserted therebetween; And a connection member provided on the bracket and the plurality of adjacent link members connected to each other so as to be rotatable relative to each other, wherein the position sensing unit is provided on the bracket and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nection member, respectively. It may include a plurality of rotary encoder for detec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connection member.

상기 그립핑 유닛은, 복수의 크레인케이블에 연결된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 전단부 측에 연결되고, 상기 블레이드의 루트부를 그립핑하는 루트그립퍼;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 후단부 측에 연결되고, 상기 블레이드의 팁부를 그립핑하는 팁그립퍼를 포함할 수 있다.The gripping unit may include a main fram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crane cables; A root gripper connected to the longitudinal front end of the main frame and gripping the root of the blade; And a tip gripper connected to the longitudinal rear end side of the main frame and gripping the tip of the blade.

상기 루트그립퍼는, 상기 블레이드 루트부가 내부에 배치되는 루트프레임부; 상기 루트프레임부에 대칭되게 마련되고, 상호 접근 및 이격되면서 상기 블레이드 루트부의 외측면에 밀착 및 밀착 해제되어 상기 블레이드 루트부를 그립핑 및 그립핑 해제하는 한쌍의 루트그립핑부; 및 상기 한쌍의 루트그립핑부의 일측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블레이드 루트부를 상기 한쌍의 루트그립핑부에 밀착한 상태에서 구름운동시켜 상기 블레이드의 피칭운동을 제어하는 피칭운동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The root gripper may include a root frame portion in which the blade root portion is disposed; A pair of root gripping portions provided symmetrically in the root frame portion, and close and clos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root portion while being approached and spaced apart to grip and release the blade root portion; And a pitching motion control unit provided at one side of the pair of root gripping portions to control the pitching motion of the blades by rolling the blade root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pair of root gripping portions.

상기 한쌍의 루트그립핑부 각각은, 상기 블레이드 루트부의 외측면을 접촉가압하는 그립핑패드; 상기 그립핑패드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그립핑패드를 지지하는 그립핑패드 지지부; 및 상기 그립핑패드 지지부에 연결되고, 신장 및 수축동작에 의해 상기 그립핑패드를 상기 블레이드 루트부의 외측면에 밀착 및 밀착 해제하는 그립핑패드 구동부를 포함할 수 있다.Each of the pair of root gripping portions may include: a gripping pad configured to contact and pressurize an outer surface of the blade root portion; A gripping pad support par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gripping pad and supporting the gripping pad; And a gripping pad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gripping pad support unit and configured to close and close the gripping pad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root part by an extension and contraction operation.

상기 피칭운동 제어부는, 상기 그립핑패드 지지부의 일측에 상기 그립핑패드 지지부의 높이방향으로 마련된 제1 가이드레일; 및 일측이 상기 그립핑패드 구동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 가이드레일에 연결되어, 상기 그립핑패드 지지부를 승강시키는 제1 구동체를 포함하며, 상기 한쌍의 그립핑패드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승강되도록 상기 한쌍의 제1 구동체를 회전시킬 수 있다.The pitching motion control unit may include: a first guide rail provided in a height direction of the gripping pad supporter on one side of the gripping pad supporter; And a first driving body having one side connected to the gripping pad driving unit and the other side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rail to lift and lower the gripping pad support, wherein the pair of gripping pads are lifted in opposite directions to each other. The pair of first driving bodies may be rotated as much as possible.

상기 팁그리퍼는, 상기 블레이드 팁부가 안착되는 팁프레임부; 상기 팁프레임부에 대향되게 마련되고, 상기 팁프레임부에 접근 및 이격되면서 상기 블레이드 팁부의 외측면을 그립핑하는 팁그립핑부; 일단부가 상기 팁프레임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팁그립핑부에 연결되고, 상기 팁그립핑부를 상기 팁프레임부에 접근 및 이격되게 구동시키는 팁그립핑 구동부; 및 상기 팁그립핑 구동부에 대향되게 마련되고, 상기 팁그립핑부가 상기 팁프레임부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팁그립핑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팁프레임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지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The tip gripper may include a tip frame part in which the blade tip part is seated; A tip gripping part provided to face the tip frame part and gripping an outer surface of the blade tip part while being approached and spaced apart from the tip frame part; A tip gripping drive uni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tip frame par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tip gripping part, the tip gripping part driving the tip gripping part to be approached and spaced apart from the tip frame part; And a support member provided opposite to the tip gripping drive unit,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tip gripp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rotatably connected to the tip frame portion such that the tip gripping portion is rotatable relative to the tip frame portion. It may include.

상기 메인프레임에 마련되고, 상기 루트그립퍼 및 상기 팁그립퍼에 연결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요잉운동 및 롤링운동을 제어하는 블레이드 운동제어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The blade may further include a blade motion control unit provided on the main frame and connected to the root gripper and the tip gripper to control the yawing motion and the rolling motion of the blade.

상기 블레이드 운동조절유닛은, 상기 루트그립퍼에 연결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요잉운동을 제어하는 요잉운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요잉운동 제어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 일측에 마련된 구동윈치;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 타측에 상기 메인프레임의 폭방향을 따라 마련된 제2 가이드레일; 상기 제2 가이드레일에 연결되어 이송되는 고정도르레; 상기 고정도르레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2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기 고정도르레를 이송시키는 제2 구동체; 및 일단부가 상기 구동윈치 및 상기 고정도르레에 순차로 권취되고, 타단부가 상기 루트그립퍼에 연결된 제1 리프팅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The blade motion control unit further includes a yawing motion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root gripper to control the yawing motion of the blade, wherein the yawing motion control unit includes a driving winch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fram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guide rail provid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frame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frame; A fixed pulley connected to and transported from the second guide rail; A second driving body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ixed pulley to transfer the fixed pulley along the second guide rail; And a first lifting cable of which one end is sequentially wound on the driving winch and the fixed pulley, and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root gripper.

상기 요잉운동 제어부는, 상기 고정도르레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도르레와 상기 루트그립퍼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상기 고정도르레에 권취된 상기 제1 리프팅케이블을 상기 고정도르레에 고정하는 케이블 풀림방지 스토퍼를 더 포함할 수 있다.The yawing motion control unit is connected to the fixed pulley, the cable loosening prevention stopper for fixing the first lifting cable wound on the fixed pulley to the fixed pulley so that the distance between the fixed pulley and the root gripper is kept constant. It may further include.

상기 블레이드 운동조절유닛은, 상기 팁그립퍼에 연결되어 상기 블레이드 롤링운동을 제어하는 롤링운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롤링운동 제어부는, 상기 구동윈치와 상기 고정도르레 사이에 상기 제1 리프팅케이블이 권취되게 마련되고, 상기 구동윈치에서 상기 제1 리프팅케이블이 권취 및 권출됨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움직도르레; 및 일단부가 상기 움직도르레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팁그립퍼에 연결된 제2 리프팅케이블을 포함할 수 있다.The blade motion adjusting unit further includes a rolling motion controller connected to the tip gripper to control the blade rolling motion, wherein the rolling motion controller includes the first lifting cable wound between the driving winch and the fixed pulley. A movable pulley configured to reciprocate in a vertical direction as the first lifting cable is wound and unwound by the driving winch; And a second lifting cabl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movable pulley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tip gripper.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허브에 대한 블레이드의 상대 위치를 감지하는 블레이드 이송가이드유닛을 구비함으로써, 허브에 대한 블레이드의 상대 위치를 정확하게 파악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레이드를 설치함에 있어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by having a blade transfer guide unit for detect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blade with respect to the hub, not only can accurately determine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blade with respect to the hub, but also shorten the time required for installing the blade can do.

도 1은 풍력발전기의 정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설치 시스템에 의해 하나의 블레이드가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설치 시스템의 그립핑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설치 시스템의 루트그립퍼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설치 시스템의 팁그립퍼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2의 A부분 확대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설치 시스템의 블레이드 이송가이드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6의 B부분 분해사시도이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설치 시스템의 블레이드 요잉운동을 나타내는 동작상태도이다.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설치 시스템의 블레이드 롤링운동을 나타내는 동작상태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설치 시스템의 블레이드 피칭운동을 나타내는 동작상태도이다.
1 is a front view of a wind turbine, showing a state in which one blade is transported by the blade installation system for a wind turb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ipping unit of the blade installation system for a wind turb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3 is a front view showing a root gripper of the blade installation system for a wind turb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front view showing the tip gripper of the blade installation system for a wind turb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in Fig.
Figure 6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blade transfer guide unit of the blade installation system for a wind turb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portion B of FIG. 6.
8 and 9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the blade yawing motion of the blade installation system for a wind turb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0 and 11 is an operating state diagram showing the blade rolling motion of the blade installation system for a wind turb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12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showing the blade pitching movement of the blade installation system for a wind turb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본 발명과 본 발명의 동작상의 이점 및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하여 달성되는 목적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 및 첨부 도면에 기재된 내용을 참조하여야만 한다.In order to fully understand the present invention, operational advantages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objects achieved by the practice of the present invention, reference should be mad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and the accompanying drawings which illustrat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참조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Hereinafter, the present invention will be described in detail with reference to the preferred embodiments of the present invention with reference to the accompanying drawings. Like reference symbols in the drawings denote like elements.

도 1은 풍력발전기의 정면도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설치 시스템에 의해 하나의 블레이드가 이송되는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설치 시스템의 그립핑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설치 시스템의 루트그립퍼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설치 시스템의 팁그립퍼를 나타내는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2의 A부분 확대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설치 시스템의 블레이드 이송가이드유닛을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도 6의 B부분 분해사시도이다.1 is a front view of a wind turbine, showing a state in which one blade is transported by the blade installation system for a wind turb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2 is a wind turb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3 is a perspective view showing a gripping unit of the blade installation system for the aircraft, Figure 3 is a front view showing a root gripper of the blade installation system for a wind turb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4 is a wind power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5 is a front view showing a tip gripper of the blade installation system for a generator, FIG. 5 is an enlarged view of a portion A of FIG. 2, and FIG. FIG. 7 is an exploded perspective view of portion B of FIG. 6.

도 1을 참고하면, 풍력발전기는 나셀(nacelle, 미도시)에 연결되고 바람에 의해 회전되는 복수의 블레이드(110, blade)와, 블레이드(110)의 회전에 따라 회전하되 블레이드(110)가 연결되는 허브(121)를 구비한 로터(120,rotor)와, 나셀, 로터(120) 및 블레이드(110)를 지지하는 타워(140)를 포함한다.Referring to FIG. 1, the wind power generator is connected to a nacelle (not shown) and rotates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blades 110 and the blades 110, which are rotated by the wind, but the blades 110 are connected. Rotor 120 having a hub 121, and a tower 140 for supporting the nacelle, the rotor 120 and the blade 110.

블레이드(110)는 바람에 의해 회전되어 회전운동을 발생시키는 일종의 날개이다. 로터(120)를 기준으로 방사상으로 배치되는 블레이드(110)는 바람에 의해 쉽게 회전될 수 있도록 유선형의 날개 형상을 가진다.Blade 110 is a kind of wing that is rotated by the wind to generate a rotational movement. The blade 110 disposed radially with respect to the rotor 120 has a streamlined wing shape to be easily rotated by the wind.

그리고, 본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는 바람의 특성을 최대한 활용하면서 안정성을 추구할 수 있도록 3개의 블레이드(110)를 구비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블레이드(110)의 개수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In addition, the wind power generator according to the present embodiment includes three blades 110 so as to pursue stability while maxim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wind,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by the number of blades 110. Is not limited.

블레이드(110)는 시계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자유롭게 회전가능한 양방향 타입의 블레이드(110)가 설치된다.The blade 110 is provided with a blade 110 of a bidirectional type that can be freely rotated in a clockwise or counterclockwise direction.

로터(120)의 허브(121)는 복수의 블레이드(110)가 연결되는 장소이다.The hub 121 of the rotor 120 is a place where the plurality of blades 110 are connected.

허브(121)는 정면에서 바라볼 때 대략 원형의 형상을 가지며, 측면에서 바라볼 때는 돔(dome)형상을 가질 수 있다.The hub 121 may have a substantially circular shape when viewed from the front, and may have a dome shape when viewed from the side.

그리고, 허브(121)의 일측에는 블레이드(110)의 회전운동을 전달받아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나셀(nacelle, 미도시)이 연결되며, 나셀은 나셀커버(130, nacelle cover)에 의해 보호된다.And, one side of the hub 121 is connected to a nacelle (nacelle, not shown) that receives the rotational movement of the blade 110 to produce electrical energy, the nacelle is protected by a nacelle cover (130, nacelle cover).

나셀은 블레이드(110)의 회전운동을 전달받아 전기에너지를 생산하는 등 풍력발전기를 구동시키는데 있어 중요한 역할을 담당하는 기계부품들, 예컨대 메인 샤프트(main shaft, 미도시), 기어박스(gear box, 미도시), 발전기(generator, 미도시)와 같은 기계부품들이 구조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구조체를 통틀어 일컫는다.The nacelle receives the rotational motion of the blade 110 to produce electrical energy such as mechanical parts, such as a main shaft (not shown), gear box (gear box) It refers to a structure in which mechanical parts such as generators and generators are structurally coupled.

이처럼, 나셀커버(130)는 나셀의 외부에 결합되어 나셀을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As such, the nacelle cover 130 is coupled to the outside of the nacelle serves to protect the nacelle.

나셀커버(130)는 외기에 그대로 노출되어 눈, 비 혹은 햇볕 등에 상시 노출되기 때문에 어느 정도의 강성이 보장되어야 한다. 따라서 나셀커버(130)는 내구성이 우수한 비금속 혹은 금속 복합 재질로 제작된다.Since the nacelle cover 130 is exposed to the outside air as it is constantly exposed to snow, rain or sunlight, a certain degree of rigidity should be ensured. Therefore, the nacelle cover 130 is made of a non-metal or metal composite material with excellent durability.

한편, 타워(140)는 상하로 길게 배치되는 축으로서, 복수의 블레이드(110), 허브(121), 나셀 및 나셀커버(130) 등의 구조물에 대한 축 방향 하중을 지지한다.On the other hand, the tower 140 is an axis extending vertically, and supports the axial load on the structure, such as a plurality of blades 110, hub 121, nacelle and nacelle cover 130.

타워(140)는 위치별로 아랫부분의 로워 타워(lower tower)와, 윗부분의 어퍼 타워(upper tower)로 구분될 수 있다.The tower 140 may be divided into a lower tower at a lower portion and an upper tower at an upper portion by position.

타워(140)는 내부가 빈 파이프(pipe) 형의 구조물이며, 타워(140)의 내부 빈 공간을 통해 케이블(cable) 등이 통과된다. 케이블은 송전용 파워 케이블(power cable), 통신용 케이블(cable) 등을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케이블일 수 있다.The tower 140 is a hollow pipe-type structure, and a cable or the like is passed through the inner empty space of the tower 140. The cable may be various kinds of cables including power cables for power transmission, cables for communication, and the like.

한편, 사이즈 혹은 크기가 작은 풍력발전기의 경우에는 풍력발전기 설치에 커다란 어려움이 없으나, 본 실시예에서와 같이 타워(140)의 길이가 대략 100 미터(m) 내외이고 블레이드(110)의 길이 역시 타워(140)에 준하는 길이를 갖는 대형 풍력발전기의 경우, 허브(121)에 인접하게 블레이드(110)를 이송하고 블레이드(110)를 허브(121)의 블레이드 접속부(123)에 삽입 및 체결하는 작업이 용이하지 않다.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a wind turbine generator having a small size or a small size, there is no great difficulty in installing a wind turbine, but as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length of the tower 140 is about 100 meters (m) and the length of the blade 110 is also a tower. In the case of a large wind power generator having a length corresponding to 140, the operation of transferring the blade 110 adjacent to the hub 121 and inserting and fastening the blade 110 into the blade connecting portion 123 of the hub 121 is performed. Not easy

따라서, 블레이드(110)를 설치함에 있어 많은 작업시간이 소요되므로, 풍력발전기 설치작업을 용이하게 할 수 있으며, 또한,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설치 시스템이 요구된다.Therefore, since the installation of the blade 110 takes a lot of work time, it is possible to facilitate the installation of the wind turbine, and also requires a wind turbine blade installation system that can shorten the working time.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설치 시스템은,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110)를 그립핑하는 그립핑유닛(200)과, 일단부가 풍력발전기의 허브(121)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블레이드(110)에 연결되고 허브(121)에 대한 블레이드(110)의 상대 위치를 감지하여 블레이드(110)가 허브(121)에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블레이드 이송가이드유닛(300)을 포함한다.1 to 7, the wind turbine blade installation system, the gripping unit 200 for gripping the wind turbine blade 110, one end is connected to the hub 121 of the wind power generator and the other end It is connected to the blade 110 and includes a blade transfer guide unit 300 for detect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blade 110 relative to the hub 121 to guide the blade 110 is inserted into the hub 121.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그립핑유닛(200)은, 복수의 크레인케이블(150)에 연결된 메인프레임(260)과, 메인프레임(260)의 길이방향 전단부 측에 연결되고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루트부(111)를 그립핑하는 루트그립퍼(210)와, 메인프레임(260)의 길이방향 후단부 측에 연결되고 블레이드 팁부(113)를 그립핑하는 팁그립퍼(250)와, 메인프레임(260)에 마련되고 루트그립퍼(210) 및 팁그립퍼(250)에 연결되어 블레이드(110)의 요잉운동(yawing motion) 및 롤링운동(rolling motion)을 제어하는 블레이드 운동제어유닛(280,290)을 포함한다.2 to 5, the gripping unit 200 is connected to the main frame 260 connected to the plurality of crane cables 150 and the longitudinal front end side of the main frame 260 for a wind power generator. A root gripper 210 for gripping the blade root 111, a tip gripper 250 connected to the longitudinal rear end side of the main frame 260, and a gripping blade tip 113, and a mainframe ( And blade motion control units 280 and 290 provided at the 260 and connected to the root gripper 210 and the tip gripper 250 to control yawing motion and rolling motion of the blade 110. .

본 실시예에서 그립핑유닛(200)은, 루트그립퍼(210)와 팁그립퍼(250)에 그립핑된 블레이드(110)의 요잉운동 및 롤링운동을 제어할 수 있어, 블레이드 접속부(123)와 블레이드(110)를 용이하게 정렬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블레이드(110) 설치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xemplary embodiment, the gripping unit 200 may control the yawing motion and the rolling motion of the blade gripper 110 gripped by the root gripper 210 and the tip gripper 250, so that the blade connecting portion 123 and the blade may be controlled. Not only can the 110 be easily aligned, but the work time required for installing the blade 110 can be shortened.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메인프레임(260)은, 길이방향을 따라 크레인케이블(150)이 복수 개 연결된다. 즉, 복수의 크레인케이블(150)은 메인프레임(210)의 길이방향 전단부 측과 후단부 측에 각각 연결되어 메인프레임(260)을 허브(121)측으로 이송한다. 1 and 2, the main frame 260 is connected to a plurality of crane cables 150 along the longitudinal direction. That is, the plurality of crane cables 150 are connected to the longitudinal front end side and the rear end side of the main frame 210 to transfer the main frame 260 to the hub 121 side.

본 실시예에서 메인프레임(260)은 사각틀 형상을 가지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메인프레임(260)의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main frame 260 has a rectangular frame shap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hape of the main frame 260.

또한, 메인프레임(260)의 전단부 측에 연결된 블레이드 루트부(111)를 그립핑하는 루트그립퍼(210)가 연결되고, 후단부 측에 연결된 블레이드 팁부(113)를 그립핑하는 팁그립퍼(250)가 연결된다.In addition, the root gripper 210 for gripping the blade root 111 connected to the front end side of the main frame 260 is connected, the tip gripper 250 for gripping the blade tip 113 connected to the rear end side ) Is connected.

본 실시예에서 루트그립퍼(210)는, 블레이드 루트부(111)를 그립핑함과 동시에 블레이드 루트부(111)를 회전시켜 블레이드(110)의 피칭운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oot gripper 210 controls the pitching motion of the blade 110 by simultaneously rotating the blade root 111 and the gripping the blade root 111.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루트그립퍼(210)는, 제1 리프팅케이블(284)에 연결되고 블레이드 루트부(111)가 내부에 배치되는 루트프레임부(220)와, 루트프레임부(220)에 대칭되게 마련되고 상호 접근 및 이격되면서 블레이드 루트부(111)의 외측면에 밀착 및 밀착 해제되어 블레이드 루트부(111)를 그립핑 및 그립핑 해제하는 한쌍의 루트그립핑부(230)와, 한쌍의 루트그립핑부(230)의 일측에 각각 마련되고 블레이드 루트부(111)를 한쌍의 루트그립핑부(230)에 밀착한 상태에서 구름운동시켜 상기 블레이드(110)의 피칭운동(pitching motion)을 제어하는 피칭운동 제어부(240)를 포함한다.2 and 3, the root gripper 210 is connected to the first lifting cable 284 and has a root frame portion 220 and a blade root portion 111 disposed therein, and a root frame portion 220. And a pair of root gripping portions 230 provided to be symmetrical to each other and closely contacted and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root portion 111 to grip and release the blade root portion 111. Pitching motion of the blade 110 is provided by rolling on the blade root portion 111 in a state in which the blade root portion 111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pair of root gripping portions 230, respectively. It includes a pitching motion control unit 240 for controlling.

루트프레임부(220)는, 한쌍의 루트그립핑부(230)와 피칭운동 제어부(240)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root frame part 220 serves to support the pair of root gripping parts 230 and the pitching motion controller 240.

본 실시예에서 루트프레임부(220)는 사각틀로 구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루트프레임부(220)의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oot frame portion 220 is configured as a rectangular frame,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hape of the root frame portion 220.

그리고, 한쌍의 루트그립핑부(230)는, 상호 접근하면서 블레이드 루트부(111)의 외측면에 밀착되어 블레이드 루트부(111)를 그립핑하거나, 상호 이격되면서 블레이드 루트부(111)의 외측면에서 밀착 해제되어 블레이드 루트부(111)를 그립핑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Then, the pair of root gripping portion 230 is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root portion 111 while approaching each other to grip the blade root portion 111, or to be spaced apart from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root portion 111 In close contact with the role of releasing the gripping blade root 111.

한쌍의 루트그립핑부(230) 각각은, 블레이드 루트부(111)의 외측면을 접촉가압하는 그립핑패드(231)와, 그립핑패드(231)의 일측에 연결되고 그립핑패드(231)를 지지하는 그립핑패드 지지부(233)와, 그립핑패드 지지부(233)에 연결되고 신장 및 수축동작에 의해 그립핑패드(231)를 블레이드 루트부(111)의 외측면에 밀착 및 밀착 해제하는 그립핑패드 구동부(235)를 포함한다.Each of the pair of root gripping parts 230 is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gripping pad 231 and a gripping pad 231 to contact and pressurize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root part 111. Grip for supporting the gripping pad support portion 233 and the gripping pad support portion 233 and the gripping pad 231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root portion 111 by extension and contraction. The ping pad driving unit 235 is included.

그립핑패드(231)는, 그립핑패드 구동부(235)의 동작에 의해 블레이드 루트부(111)의 외측면에 접촉되어 블레이드 루트부(111)를 그립핑하는 역할을 한다.The gripping pad 231 contacts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root 111 by the operation of the gripping pad driver 235 to grip the blade root 111.

본 실시예에서 그립핑패드(231)는, 고무, 우레탄 등 유연성 있는 부드러운 재질로 제작됨으로써, 블레이드 루트부(111)를 그립핑할 때 블레이드 루트부(111) 외측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블레이드 루트부(111) 표면의 원형형상에 대응되게 변형되어 블레이드 루트부(111) 표면에 면접촉됨으로써 블레이드 루트부(111)를 견고하게 그립핑할 수 있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ripping pad 231 is made of a flexible soft material such as rubber or urethane, thereby preventing the blade root 111 from being damaged when the blade root 111 is gripped. At the same time, the blade root portion 111 may be deformed to correspond to a circular shape, and thus the surface of the blade root portion 111 may be in surface contact with the surface of the blade root portion 111 to thereby firmly grip the blade root portion 111.

그리고, 그립핑패드 지지부(233)는 그립핑패드(231)의 일측면에 결합되어 그립핑패드(231)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gripping pad support 233 is coupled to one side of the gripping pad 231 to support the gripping pad 231.

또한, 그립핑패드 지지부(233)는, 후술할 그립핑패드 구동부(235)의 신장 및 수축동작에 의해 그립핑패드(231)를 블레이드 루트부(111)에 밀착 및 밀착 해제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gripping pad support 233 serves to close and close the gripping pad 231 to the blade root 111 by the stretching and contracting operation of the gripping pad driving unit 235 which will be described later.

본 실시예에서 그립핑패드 지지부(233)는 그립핑패드(231)가 결합되는 사각 플레이트 형상으로 형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그립핑패드 지지부(233)의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gripping pad support 233 is formed in a square plate shape to which the gripping pad 231 is coupl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limited by the shape of the gripping pad support 233. It doesn't work.

그리고, 그립핑패드 구동부(235)는 그립핑패드(231)가 블레이드 루트부(111)에 밀착되어 블레이드 루트부(111)를 그립핑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gripping pad driver 235 serves to provide power for the gripping pad 231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lade root 111 to grip the blade root 111.

그립핑패드 구동부(235)는, 일단부가 루트프레임부(220)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그립핑패드 지지부(233)에 연결되어 신장 및 수축하는 엑츄에이터로 구성된다.The gripping pad driving unit 235 is configured as an actuato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root frame unit 220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gripping pad support 233.

엑츄에이터가 신장되는 경우에 한쌍의 그립핑패드(231)가 상호 접근되어 블레이드 루트부(111)에 밀착되어 블레이드 루트부(111)를 그립핑하고, 엑츄에이터가 수축되는 경우에 한쌍의 그립핑패드(231)가 상호 이격되어 블레이드 루트부(111)를 그립핑 해제한다.When the actuator is extended, a pair of gripping pads 231 are approached to each other to be in close contact with the blade root 111 to grip the blade root 111, and when the actuator is contracted, a pair of gripping pads ( 231 are spaced apart from each other to release the gripping blade root 111.

본 실시예에서 피칭운동 제어부(240)는, 블레이드 루트부(111)를 그립핑한 한쌍의 그립핑패드(231) 및 그립핑패드 지지부(233)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승강시켜 블레이드 루트부(111)를 블레이드(110) 길이방향 중심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함으로써 블레이드(110)의 자세를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즉, 피칭운동 제어부(240)는 블레이드가 X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블레이드(110)의 피칭운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pitching motion control unit 240 raises and lowers the pair of gripping pads 231 and the gripping pad supporters 233 in which the blade roots 111 are gripped in opposite directions to the blade roots 111. By rotating the blade 110 about the longitudinal center axis of the blade 110 serves to control the attitude of the blade (110). That is, the pitching motion control unit 240 serves to control the pitching motion of the blade 110 is rotated about the X axis.

피칭운동 제어부(240)는, 그립핑패드 지지부(233)의 일측에 그립핑패드 지지부(233)의 높이방향으로 마련된 제1 가이드레일(241)과, 일측이 그립핑패드 구동부(235)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1 가이드레일(241)에 연결되어 그립핑패드 지지부(233)를 승강시키는 제1 구동체(242)와, 제1 구동체(242)의 일측에 마련된 구동모터(243)와, 그립핑패드 구동부(235)에 연결되고 제1 구동체(242) 및 구동모터(243)를 지지하는 제1 지지블록(244)과, 그립핑패드 지지부(233)의 일측에 제1 가이드레일(241)로부터 이격되게 마련되고 제1 구동체(242)의 동작에 의한 그립핑패드 지지부(233)의 이송을 안내하는 그립핑패드 지지부 가이드레일(245)을 포함한다.The pitching motion controller 240 may include a first guide rail 241 provided at one side of the gripping pad support 233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gripping pad support 233, and one side thereof connected to the gripping pad driver 235.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rail 241, the first drive body 242 for elevating the gripping pad support 233, the drive motor 243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rst drive body 242, A first support block 244 connected to the gripping pad driver 235 and supporting the first driving body 242 and the driving motor 243, and a first guide rail at one side of the gripping pad support 233. The gripping pad supporter guide rail 245 i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241 and guides the transfer of the gripping pad supporter 233 by the operation of the first driving body 242.

그립핑패드 지지부(233)의 그립핑패드 구동부(235)가 연결되는 일측면에는 높이방향을 따라 제1 가이드레일(241)이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가이드레일(241)은 그립핑패드 지지부(233)의 높이방향으로 배치된 랙기어를 포함한다.The first guide rail 241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gripping pad support 233 in which the gripping pad driving unit 235 is connected.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guide rail 241 includes a rack gear disposed in the height direction of the gripping pad support 233.

그리고, 제1 구동체(242)는 일측이 그립핑패드 구동부(235)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1 가이드레일(241)에 연결되어 그립핑패드 지지부(233) 및 그립핑패드(231)를 승강시킨다. 본 실시예에서 제1 구동체(242)는 랙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언기어를 포함한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first driving member 242 is connected to the gripping pad driver 235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rail 241 to lift the gripping pad support 233 and the gripping pad 231. Let's do it.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first drive body 242 includes a pinion gear meshed with the rack gear.

그리고, 구동모터(243)는 제1 구동체(242)의 일측에 마련되어 제1 구동체(242)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driving motor 243 is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irst driving body 242 to provide a driving force to the first driving body 242.

그리고, 제1 지지블록(244)은 제1 구동체(242) 및 구동모터(243)를 그립핑패드 구동부(235)의 일단부에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1 지지블록(244)은 제1 구동체(242) 및 구동모터(243)를 그립핑패드 구동부(235), 즉 엑츄에이터의 일단부에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The first support block 244 supports the first driving body 242 and the driving motor 243 at one end of the gripping pad driving unit 235. In addition, the first support block 244 serves to connect the first driving body 242 and the driving motor 243 to the gripping pad driving unit 235, that is, one end of the actuator.

그리고, 제1 구동체(242)를 구성하는 피니언기어가 제1 가이드레일(241)을 구성하는 랙기어에 치합되어 회전하는 경우, 그립핑패드 지지부(233) 및 그립핑패드(231)는 높이방향으로 승강되며, 그립핑패드 지지부 가이드레일(245)은 그립핑패드 지지부(233) 및 그립핑패드(231)의 승강을 안내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when the pinion gear constituting the first driving body 242 is engaged with the rack gear constituting the first guide rail 241 and rotates, the gripping pad support 233 and the gripping pad 231 have a height. It is elevated in the direction, the gripping pad support guide rail 245 serves to guide the lifting of the gripping pad support 233 and the gripping pad 231.

상기와 같이 구성된 피칭운동 제어부(240)에 의한 블레이드(110)의 피칭운동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The pitching motion of the blade 110 by the pitching motion controller 240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is as follows.

블레이드 루트부(111)를 기준으로 양측에 한쌍의 루트그립핑부(230)가 마련된다.A pair of root gripping portions 230 are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lade root portion 111.

그리고, 루트그립핑부(230)를 구성하는 그립핑패드 구동부(235)의 신장에 의해 그립핑패드(231) 및 그립핑패드 지지부(233)는 블레이드 루트부(111)의 외측면에 밀착된다. 즉, 블레이드 루트부(111)의 외측면에 그립핑패드(231) 및 그립핑패드 지지부(233)가 밀착되어 블레이드 루트부(111)를 그립핑한다.In addition, the gripping pad 231 and the gripping pad support 233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root 111 by the extension of the gripping pad driving unit 235 constituting the root gripping portion 230. That is, the gripping pad 231 and the gripping pad support 233 are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root 111 to grip the blade root 111.

그리고, 피칭운동 제어부(240)를 이용하여 블레이드(110)의 피칭운동을 제어하고자 하는 경우에, 그립핑패드 구동부(235)의 일단부에 연결된 제1 구동체(242)인 랙기어가 그립핑패드 지지부(233)의 일측면에 높이방향으로 배치된 제1 가이드레일(241)인 피니언기어에 치합되어 회전되면서 그립핑패드 지지부(233)를 높이방향으로 승강시킨다.When the pitching motion of the blade 110 is controlled using the pitching motion controller 240, the rack gear, which is the first driving body 242 connected to one end of the gripping pad driving part 235, is gripped. The gripping pad support 233 is elevated in the height direction while being engaged with the pinion gear which is the first guide rail 241 disposed in the height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pad support 233.

즉, 블레이드 루트부(111)를 기준으로 양측에 마련된 한쌍의 그립핑패드(231) 및 그립핑패드 지지부(233)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상승 및 하강되면 블레이드 루트부(111)가 그립핑패드(231)에서 구름운동되어 블레이드(110)가 회전된다.That is, when the pair of gripping pads 231 and the gripping pad support part 233 provided on both sides of the blade root part 111 are raised and lowered in opposite directions, the blade root part 111 is gripped by the gripping pad ( The blade 110 is rotated by rolling in 231.

이와같이, 피칭운동 제어부(240)는 블레이드(110)을 구름운동시킴으로써 블레이드(110)의 피칭운동을 제어한다.As such, the pitching motion controller 240 controls the pitching motion of the blade 110 by rolling the blade 110.

한편, 본 실시예에서 팁그립퍼(250)는, 허브(121)에 블레이드(110)를 설치하기 위해 블레이드 팁부(113)를 그립핑하는 역할을 한다.Meanwhil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ip gripper 250 serves to grip the blade tip 113 to install the blade 110 in the hub 121.

도 2 및 도 4를 참조하면, 팁그립퍼(250)는 블레이드 팁부(113)가 안착되는 팁프레임부(251)와, 제2 리프팅케이블(293)에 연결되며 팁프레임부(251)에 대향되게 마련되고 팁프레임부(251)에 접근 및 이격되면서 블레이드 팁부(113)의 외측면을 그립핑하는 팁그립핑부(253)와, 팁프레임부(251)에 대해 팁그립핑부(253)를 지지하되 팁그립핑부(253)가 팁프레임부(251)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하도록 일단부가 팁그립핑부(253)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팁프레임부(251)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지지부재(257)와, 일단부가 팁프레임부(251)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팁그립핑부(253)에 연결되고 팁그립핑부(253)를 팁프레임부(251)에 접근 및 이격되게 구동시키는 팁그립핑 구동부(255)와, 팁프레임부(251) 및 팁그립핑부(253)의 블레이드 팁부(113)에 접촉하는 면에 각각 마련되고 블레이드 팁부(113)의 외측면을 접촉가압하는 팁가압패드(259)를 포함한다.2 and 4, the tip gripper 250 is connected to the tip frame portion 251 on which the blade tip portion 113 is seated, the second lifting cable 293, and to face the tip frame portion 251. The tip gripping portion 253 and the tip gripping portion 253 that grip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tip portion 113 while being approached and spaced apart from the tip frame portion 251 are supported. A support member 257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tip gripping portion 253 and the other end rotatably connected to the tip frame portion 251 such that the tip gripping portion 253 is rotatable relative to the tip frame portion 251. The tip gripping driver 255 for driving one end portion to the tip frame portion 251, the other end portion to the tip gripping portion 253, and driving the tip gripping portion 253 to approach and space apart from the tip frame portion 251. ) And the blade tip portion 113 provided on the surface contacting the blade tip portion 113 of the tip frame portion 251 and the tip gripping portion 253. And a tip pressure pad 259 presses the contacting outer surfaces.

팁프레임부(251)에는 블레이드 팁부(113)가 안착된다. 본 실시예에서 팁프레임부(251)는 블레이드(110)가 안착되는 평판으로 구성되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팁프레임부(251)의 형상에 의해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제한되지 않는다.The blade tip portion 113 is seated on the tip frame portion 251.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tip frame portion 251 is composed of a flat plate on which the blade 110 is seated, but is not limited thereto. The scope of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by the shape of the tip frame portion 251.

그리고, 팁그립핑부(253)는 팁프레임부(251)에 대향되게 설치되며, 팁프레임부(251)에 접근하면서 팁프레임부(251)와 함께 블레이드 팁부(113)의 외측면을 그립핑하거나, 팁프레임부(251)와 이격되면서 블레이드 팁부(113)의 외측면을 그립핑 해제한다.The tip gripping portion 253 is installed to face the tip frame portion 251, and grips an outer surface of the blade tip portion 113 together with the tip frame portion 251 while approaching the tip frame portion 251. While the tip frame part 251 is spaced apart,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tip part 113 is not gripped.

그리고, 지지부재(257)는 일단부가 팁그립핑부(253)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팁프레임부(251)에 회전가능하게 힌지결합되어 팁그립핑부(253)가 팁프레임부(251)에 접근 및 이격될 수 있도록 하며, 팁프레임부(251)에 대해 팁그립핑부(253)를 지지한다.The support member 257 has one end connected to the tip gripping portion 253 and the other end rotatably hinged to the tip frame portion 251 so that the tip gripping portion 253 approaches the tip frame portion 251. And a tip gripping portion 253 with respect to the tip frame portion 251.

그리고, 팁그립핑 구동부(255)는 팁그립핑부(253)가 팁프레임부(251)에 접근 및 이격되게 하여 블레이드 팁부(113)의 외측면을 그립핑 및 그립핑 해제하는 동력을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tip gripping driver 255 serves to provide power for gripping and releasing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tip part 113 by allowing the tip gripping part 253 to approach and space the tip frame part 251. Do it.

본 실시예에서 팁그립핑 구동부(255)는 일단부가 팁프레임부(251)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팁그립핑부(253)에 연결되어 신장 및 수축하는 엑츄에이터로 구성된다. 팁그립핑 구동부(255)는 지지부재(257)가 설치된 팁프레임부(251)의 반대편 일단부에 설치된다.In this embodiment, the tip gripping driving unit 255 is configured as an actuator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tip frame part 251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tip gripping part 253. The tip gripping driving unit 255 is installed at one end opposite to the tip frame unit 251 in which the supporting member 257 is installed.

엑츄에이터가 수축되는 경우에 팁그립핑부(253)가 팁프레임부(251)에 접근하면서 팁그립핑부(253)와 팁프레임부(251)가 블레이드 팁부(113)를 그립핑하고, 엑츄에이터가 신장되는 경우에 팁그립핑부(253)가 팁프레임부(251)에서 이격되어 팁그립핑부(253)와 팁프레임부(251)가 블레이드 팁부(113)를 그립핑 해제한다.When the actuator is retracted, the tip gripping portion 253 approaches the tip frame portion 251 and the tip gripping portion 253 and the tip frame portion 251 grip the blade tip portion 113, and the actuator is extended. In this case, the tip gripping portion 253 is spaced apart from the tip frame portion 251 so that the tip gripping portion 253 and the tip frame portion 251 release the gripping the blade tip portion 113.

그리고, 팁프레임부(251) 및 팁그립핑부(253)의 블레이드 팁부(113)에 접촉하는 면에는 각각 블레이드 팁부(113)의 외측면을 접촉가압하는 팁가압패드(259)가 마련된다.In addition, a tip pressing pad 259 is provided on the surface contacting the blade tip portion 113 of the tip frame portion 251 and the tip gripping portion 253 to pressurize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tip portion 113.

팁가압패드(259)는 고무, 우레탄 등 유연성 있는 부드러운 재질로 제작됨으로써, 블레이드 팁부(113)를 그립핑할 때 블레이드 팁부(113)의 외측면이 손상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동시에 블레이드 팁부(113) 표면의 만곡형상에 대응되게 변형되어 블레이드 팁부(113)를 견고하게 그립핑할 수 있다.The tip pressing pad 259 is made of a flexible soft material such as rubber or urethane, thereby preventing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tip 113 from being damaged when the blade tip 113 is gripped, and at the same time, the blade tip 113 The surface of the blade may be deformed to correspond to the curved shape of the surface to firmly grip the blade tip 113.

한편, 도 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블레이드(110)를 블레이드 접속부(123)에 삽입 설치하기 위해서, 블레이드 접속부(123)와 블레이드(110)를 정렬되게 블레이드(110)를 요잉 또는 롤링하여야 한다.On the other hand, as shown in Figure 1, in order to insert the blade 110 in the blade connecting portion 123, the blade 110 must be yaw or roll to align the blade connecting portion 123 and the blade 110.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블레이드 접속부(123)의 위치에 맞춰 블레이드(110)의 위치 각도, 즉 요잉 각도 및 롤링 각도를 조절할 수 있도록 블레이드 운동제어유닛(280,290)이 마련된다.Therefore, 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blade motion control units 280 and 290 are provided to adjust the position angle of the blade 110, that is, the yawing angle and the rolling angle, in accordance with the position of the blade connecting portion 123.

도 2 및 도 5를 참조하면, 블레이드 운동제어유닛(280,290)은, 루트그립퍼(210) 및 팁그립퍼(250)에 연결된 블레이드(110)의 요잉운동 및 롤링운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2 and 5, the blade motion control units 280 and 290 serve to control the yawing motion and the rolling motion of the blade 110 connected to the root gripper 210 and the tip gripper 250.

본 실시예에서 블레이드 운동제어유닛(280,290)은, 루트그립퍼(210)에 연결되어 블레이드(110)의 요잉운동을 제어하는 요잉운동 제어부(280)와, 팁그립퍼(250)에 연결되어 블레이드(110)의 롤링운동을 제어하는 롤링운동 제어부(290)를 포함한다.In this embodiment, the blade motion control unit 280, 290 is connected to the root gripper 210 to control the yawing motion of the blade 110, the yawing motion controller 280, and the tip gripper 250 are connected to the blade 110. It comprises a rolling motion control unit 290 for controlling the rolling motion of the).

도 2를 참조하면, 블레이드(110)의 요잉운동은 블레이드(110)가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으로서, 메인프레임(260)의 전단부 측에 연결된 루트그립퍼(210)를 메인프레임(260)의 폭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Referring to FIG. 2, the yawing motion of the blade 110 is that the blade 110 rotates about the Z axis, and the root gripper 210 connected to the front end side of the main frame 260 is connected to the main frame 260. It can be achieved by moving in the width direction.

그리고, 블레이드(110)의 롤링운동은 블레이드(110)가 Y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으로서, 메인프레임(260)의 후단부 측에 연결된 팁그립퍼(250)를 높이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달성될 수 있다.In addition, the rolling motion of the blade 110 may be achieved by moving the tip gripper 250 connected to the rear end side of the main frame 260 in the height direction as the blade 110 rotates about the Y axis.

요잉운동 제어부(280)는 블레이드(110)가 Z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블레이드(110)의 요잉운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Yawing motion control unit 280 serves to control the yawing motion of the blade 110, the blade 110 rotates about the Z axis.

본 실시예에서 요잉운동 제어부(280)는, 메인프레임(260)의 길이방향 일측에 마련된 구동윈치(281)와, 메인프레임(260)의 길이방향 타측에 메인프레임(260)의 폭방향을 따라 마련된 제2 가이드레일(282)과, 제2 가이드레일(282)에 연결되어 이송되는 고정도르레(283)와, 일단부가 구동윈치(281) 및 고정도르레(283)에 순차로 권취되고 타단부가 루트그립퍼(210)에 연결된 제1 리프팅케이블(284)과, 고정도르레(283)에 연결되고 고정도르레(283)와 루트그립퍼(210)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고정도르레(283)에 권취된 제1 리프팅케이블(284)을 고정도르레(283)에 고정하는 케이블 풀림방지 스토퍼(285)와, 제2 가이드레일(282)에 연결되고 고정도르레(283)를 지지하는 제2 지지블록(286)과, 제2 지지블록(286)의 일측에 마련되고 제2 가이드레일(282)에 연결되어 제2 지지블록(286)을 이송시키는 제2 구동체(287)와, 메인프레임(260)에 제2 가이드레일(282)로부터 이격되게 마련되고 제2 구동체(287)의 동작에 의한 제2 지지블록(286)의 이송을 안내하는 제2 지지블록 가이드레일(288)을 포함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yawing motion control unit 280 includes a driving winch 281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frame 260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and a width direction of the main frame 260 at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frame 260. The second guide rail 282, the fixed pulley 283 connected to the second guide rail 282 and transported, one end is wound in the drive winch 281 and the fixed pulley 283 sequentially and the other end The first lifting cable 284 connected to the root gripper 210 and the fixed pulley 283 are wound on the fixed pulley 283 such that the gap between the fixed pulley 283 and the root gripper 210 is kept constant. Cable stopper 285 for fixing the first lifting cable 284 to the fixed pulley 283 and a second support block 286 connected to the second guide rail 282 and supporting the fixed pulley 283. And a second support block 286 provided at one side of the second support block 286 and connected to the second guide rail 282. The second drive body 287 and the main frame 260 is provided to be spaced apart from the second guide rail 282 to transfer the second support block 286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e body 287 Guide second guide block 288 for guiding.

메인프레임(260)의 전단부 측에는 폭방향으로 고정도르레(283)를 지지하는 제2 지지블록(286)의 이송을 안내하는 제2 가이드레일(282)이 마련된다.A second guide rail 282 is provided at the front end side of the main frame 260 to guide the transfer of the second support block 286 supporting the fixed pulley 283 in the width direction.

본 실시예에서 제2 가이드레일(282)은 랙기어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LM 가이드(미도시) 등 제2 지지블록(286)을 가이드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가능하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second guide rail 282 is illustrated as a rack gear, but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y second guide rail 282 may be used as long as it can guide the second support block 286 such as an LM guide (not shown).

그리고, 제2 구동체(287)는 일측이 제2 가이드레일(282)에 연결되고 타측이 제2 지지블록(286)에 연결된다. 따라서, 제2 구동체(287)는 제2 지지블록(286) 및 고정도르레(283)를 제2 가이드레일(282)을 따라 이송시키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one side of the second driving body 287 is connected to the second guide rail 282, and the other side of the second driving body 287 is connected to the second support block 286. Therefore, the second driving body 287 serves to transport the second support block 286 and the fixed pulley 283 along the second guide rail 282.

또한, 본 실시예에서 제2 구동체(287)는 랙기어와 치합되는 피니언 기어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LM 가이드를 따라 이동되는 LM블록(미도시)을 사용할 수도 있다.In addition, although the second driving body 287 is illustrated as a pinion gear meshed with the rack gear in this embodiment, the present invention is not limited thereto, and an LM block (not shown) moving along the LM guide may be used.

그리고, 제2 지지블록(286)은 제2 구동체(287) 및 고정도르레(283)를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또한, 제2 지지블록(286)은 제2 구동체(287)를 제2 가이드레일(282)에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second support block 286 serves to support the second driving body 287 and the fixed pulley 283. In addition, the second support block 286 serves to connect the second driving body 287 to the second guide rail 282.

그리고, 제2 구동체(287)의 동작에 의해 제2 지지블록(286)이 제2 가이드레일(282)을 따라 메인프레임(260)의 폭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경우에, 제2 지지블록(286)은 제2 지지블록 가이드레일(288)을 따라 슬라이딩됨과 동시에 제2 지지블록 가이드레일(288)에 의해 메인프레임(260)에 지지된다.In addition, when the second support block 286 reciprocat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frame 260 along the second guide rail 282 by the operation of the second driving body 287, the second support block ( 286 is slid along the second support block guide rail 288 and is supported by the main frame 260 by the second support block guide rail 288.

한편, 제2 구동체(287) 및 제2 지지블록(286)이 제2 가이드레일(282)을 따라 왕복운동하는 경우에, 고정도르레(283)도 역시 메인프레임(260)의 폭방향으로 왕복운동한다.Meanwhile, when the second driving body 287 and the second supporting block 286 reciprocate along the second guide rail 282, the fixed pulley 283 also reciprocat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frame 260. Exercise.

따라서, 고정도르레(283)가 메인프레임(260)의 폭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경우에, 제1 리프팅케이블(284)에 연결된 루트그립퍼(210)에 의해 그립핑된 블레이드 루트부(111)는 구동윈치(281)를 지점으로하여, 즉 Z축을 중심으로 소정각도 회전한다.Therefore, when the fixed pulley 283 reciprocates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frame 260, the blade root portion 111 gripped by the root gripper 210 connected to the first lifting cable 284 is driven. With the winch 281 as a point, that is, rotated a predetermined angle about the Z axis.

그리고, 고정도르레(283)가 제2 가이드레일(282)을 따라 왕복운동하는 경우에, 고정도르레(283)와 루트그립퍼(210)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제1 리프팅케이블(284)을 고정도르레(283)에 고정하는 케이블 풀림방지 스토퍼(285)가 고정도르레(283)의 일측에 마련된다.In addition, when the fixed pulley 283 reciprocates along the second guide rail 282, the first lifting cable 284 may be moved to maintain a constant distance between the fixed pulley 283 and the root gripper 210. A cable unwinding stopper 285 fixed to the fixed pulley 283 is provided on one side of the fixed pulley 283.

본 실시예에서 케이블 풀림방지 스토퍼(285)는 고정도르레(283)에서 루트그립퍼(210)까지 연결된 제1 리프팅케이블(284)의 길이를 일정하게 유지하여, 고정도르레(283)와 루트그립퍼(210) 간의 거리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는 것이면 어느 것이든 사용가능하다.In this embodiment, the cable release prevention stopper 285 maintains the length of the first lifting cable 284 connected from the fixed pulley 283 to the root gripper 210 at a constant length, such that the fixed pulley 283 and the root gripper 210 are fixed. Anything can be used as long as the distance between them can be kept constant.

롤링운동 제어부(290)는 블레이드(110)가 Y축을 중심으로 회전하는 블레이드(110)의 롤링운동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Rolling motion control unit 290 serves to control the rolling motion of the blade 110, the blade 110 is rotated about the Y axis.

본 실시예에서 롤링운동 제어부(290)는, 구동윈치(281)와 고정도르레(283) 사이에 제1 리프팅케이블(284)이 권취되게 마련되고 구동윈치(281)에서 제1 리프팅케이블(284)이 권취 및 권출됨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움직도르레(291)와, 일단부가 움직도르레(291)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팁그립퍼(250)에 연결된 제2 리프팅케이블(293)을 포함한다.In the present embodiment, the rolling motion controller 290 is provided such that the first lifting cable 284 is wound between the driving winch 281 and the fixed pulley 283, and the first lifting cable 284 at the driving winch 281. The winding and unwinding includes a pulley 291 reciproc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nd a second lifting cable 293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pulley 291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tip gripper 250.

움직도르레(291)는 구동윈치(281)와 고정도르레(283) 사이, 특히 구동윈치(281)와 고정도르레(283)의 중간 위치에 마련되며, 제1 리프팅케이블(284)에 권취된다.The movable pulley 291 is provided between the drive winch 281 and the fixed pulley 283, in particular, at an intermediate position between the drive winch 281 and the fixed pulley 283, and is wound around the first lifting cable 284.

그리고, 움직도르레(291)는 제1 리프팅케이블(284)이 구동윈치(281)에서 권취 및 권출됨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하여 팁그립퍼(250)를 Y축을 중심으로 회전되게 하는 역할을 한다.In addition, the movable pulley 291 serves to rotate the tip gripper 250 about the Y axis by reciproc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the first lifting cable 284 is wound and unwound by the driving winch 281.

메인프레임(260)의 전단부 측에 마련된 고정도르레(283)에 권취된 제1 리프팅케이블(284)의 일단부는 케이블 풀림방지 스토퍼(285)에 의해 고정되고, 고정도르레(283) 및 구동윈치(281) 사이의 제1 리프팅케이블(284)만이 구동윈치(281)에서 권취 및 권출됨에 따라 그 길이가 달라진다.One end of the first lifting cable 284 wound on the fixed pulley 283 provided on the front end side of the main frame 260 is fixed by the cable release preventing stopper 285, and the fixed pulley 283 and the driving winch ( As only the first lifting cable 284 between the 281 is wound and unwound by the drive winch 281, its length varies.

그러므로, 고정도르레(283) 및 구동윈치(281) 사이의 제1 리프팅케이블(284)의 길이를 조절함으로써 팁그립퍼(250)에 그립핑된 블레이드 팁부(113)를 블레이드 루트부(111)에 대해 상대적으로 상승 또는 하강시켜 블레이드(110)의 롤링운동을 제어할 수 있다.Therefore, by adjusting the length of the first lifting cable 284 between the fixed pulley 283 and the drive winch 281, the blade tip 113 gripped to the tip gripper 250 is rotated with respect to the blade root 111. It is possible to control the rolling motion of the blade 110 by raising or lowering relatively.

그리고, 제2 리프팅케이블(293)은 움직도르레(291)와 팁그립퍼(250)을 연결하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팁그립퍼(250)가 제2 리프팅케이블(293)에 의해 움직도르레(291)와 연결되어 있으므로, 팁그립퍼(250)는 움직도르레(291)의 상하운동에 연동하여 Y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The second lifting cable 293 serves to connect the movable pulley 291 and the tip gripper 250. Accordingly, since the tip gripper 250 is connected to the movable pulley 291 by the second lifting cable 293, the tip gripper 250 is rotated about the Y axis in conjunction with the vertical movement of the movable pulley 291. .

블레이드 이송가이드유닛(300)은, 허브(121)에 대한 블레이드(110)의 상대 위치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The blade transfer guide unit 300 serves to detect a relative position of the blade 110 with respect to the hub 121.

특히, 블레이드 이송가이드유닛(300)은, 블레이드 접속부(123)에 대한 블레이드 루트부(111)의 상대 위치를 파악하여 블레이드 접속부(123)와 블레이드 루트부(111)의 정렬을 용이하게 하기 위함이다.In particular, the blade transfer guide unit 300 is to facilitate the alignment of the blade connection portion 123 and the blade root portion 111 by grasp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blade root portion 111 with respect to the blade connection portion 123. .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에서 블레이드 이송가이드유닛(300)은, 허브(121)와 블레이드(110)를 연결하는 복수의 링크부재(310)와, 복수의 링크부재(310)의 링크연결부(311)에 각각 마련되고 허브(121)에 대한 블레이드(110)의 상대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330)와, 복수의 링크부재(310)의 일단부에 각각 마련되고 인접된 복수의 링크부재(310)가 상호 삽입되는 브라켓(350)과, 브라켓(350)에 마련되고 인접된 복수의 링크부재(310)가 상호 상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370)를 포함한다.6 and 7, in this embodiment, the blade transfer guide unit 300 includes a plurality of link members 310 connecting the hub 121 and the blade 110, and a plurality of link members 310. Respectively provided at the link connecting portions 311 and provided at one end of the plurality of link members 310 and adjacent to the position detecting unit 330 for sens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blade 110 with respect to the hub 121. The bracket 350 includes a plurality of link members 310 inserted therebetween, and a connecting member 370 provided to the bracket 350 and a plurality of adjacent link members 310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rotatable manner.

복수의 링크부재(310)는 허브와 블레이드(110) 사이에서 연결된다. 특히, 복수의 링크부재(310) 일단부는 허브(121) 측에 위치한 블레이드 접속부(123)에 고정되고, 타단부는 블레이드 루트부(111) 측에 마련된 스티프너(stiffner,미도시)에 고정된다.The plurality of link members 310 are connected between the hub and the blade 110. In particular, one end of the plurality of link members 310 is fixed to the blade connecting portion 123 located on the hub 121 side, the other end is fixed to a stiffner (not shown) provided on the blade root portion 111 side.

복수의 링크부재(310)의 링크연결부(311)에는 복수의 링크부재(310)를 상호 회동가능하게 연결하는 브라켓(350)이 마련된다.The link connecting portion 311 of the plurality of link members 310 is provided with a bracket 350 for rotatably connecting the plurality of link members 310.

브라켓(350)은 각각의 링크부재(310) 일단부에 마련되며, 인접된 링크부재(310)들이 상호 삽입되도록 "ㄷ"자 형상으로 형성된다.The bracket 350 is provided at one end of each link member 310, and is formed in a “c” shape so that adjacent link members 310 are inserted into each other.

그리고, "ㄷ"자형상의 브라켓(350)은 인접된 링크부재(310)들이 상호 상대회동 가능하도록 연결부재(370)에 의해 결합된다.And, the "c" shaped bracket 350 is coupled by the connection member 370 so that adjacent link members 310 can be relative to each other.

연결부재(370)는, 도 7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십자형 핀부재로 형성되어 Y축, Z축 방향으로 각각의 브라켓(350)에 마련된 홀부(351)에 삽입 결합된다.As shown in FIG. 7, the connecting member 370 is formed as a cross pin member and inserted into and coupled to the hole 351 provided in each bracket 350 in the Y-axis and Z-axis directions.

이하, 연결부재(370)의 일 례로, 십자형 핀부재를 예를 들어서 설명한다.Hereinafter, as an example of the connecting member 370, a cross pin member will be described as an example.

십자형 핀부재(370)의 Y축 방향 일단부 및 Z축 방향 일단부에는 핀부재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330)가 연결된다.A position detecting unit 330 for detecting a rotation angle of the pin member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ross-shaped pin member 370 in the Y-axis direction and one end of the Z-axis direction.

위치감지부(330)는 핀부재(370)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로터리 엔코더로 구성되며, 브라켓(350)의 홀부(351)에 삽입 설치된다.The position detecting unit 330 is composed of a rotary encoder that detects the rotation angle of the pin member 370, and is inserted into the hole 351 of the bracket 350.

따라서, 로터리 엔코더(330)는 핀부재(370)의 일단부에 연결되어 링크부재(310)의 회동에 따른 핀부재(370)의 회전각도를 감지한다.Accordingly, the rotary encoder 330 is connected to one end of the pin member 370 to sense the rotation angle of the pin member 370 according to the rotation of the link member 310.

로터리 엔코더(330)를 이용한 복수의 링크부재(310)의 상대적 위치는 다음과 같이 파악할 수 있다.The relative positions of the plurality of link members 310 using the rotary encoder 330 can be determined as follows.

예를들어, 도 6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왼편에 위치한 링크부재(310)의 끝단부에 대한 오른편에 위치한 링크부재(310)의 Z축에 대한 회전각도(Θ1)와, Y축에 대한 회전각도(Θ2)는 로터리 엔코더(330)를 이용하여 핀부재(370)의 회동각도를 감지함으로써 알 수 있다.For example, as shown in FIG. 6, the rotation angle Θ1 with respect to the Z axis of the link member 310 located on the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end of the link member 310 located on the left side, and the rotation about the Y axis. The angle Θ2 can be known by detecting the rotation angle of the pin member 370 using the rotary encoder 330.

그리고, Z축에 대한 회전각도(Θ1)와, Y축에 대한 회전각도(Θ2)에 대한 수학적 연산을 통해 왼편에 위치한 링크부재(310)에 대한 오른편에 위치한 링크부재(310)의 상대적 위치, 즉 (X축, Y축, Z축) 좌표를 알 수 있다.Then,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link member 310 located on the right side with respect to the link member 310 located on the left side through a mathematical operation on the rotation angle Θ1 on the Z axis and the rotation angle Θ2 on the Y axis, That is, the coordinates (X-axis, Y-axis, Z-axis) can be known.

따라서, 허브(121)에 대한 블레이드(110)의 상대적 위치는 허브(121)에 연결된 최초의 링크부재(310)에서 블레이드(110)에 연결된 링크부재(310)까지의 복수의 링크부재(310)의 상대적 위치를 순차적으로 계산하여 얻을 수 있다.Therefore,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blade 110 relative to the hub 121 is a plurality of link members 310 from the first link member 310 connected to the hub 121 to the link member 310 connected to the blade 110. It can be obtained by calculating the relative position of.

상기와 같이, 허브(121)에 블레이드(110)를 설치하는 작업 중 실시간으로 허브(121)에 대한 블레이드(110)의 상대적 위치를 알 수 있으므로, 블레이드 접속부(123)와 블레이드(110)를 용이하고 정확히 정렬할 수 있으며, 그에 따라 블레이드(110) 설치작업에 소요되는 작업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As described above, since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blade 110 with respect to the hub 121 can be known in real time during the installation of the blade 110 in the hub 121, the blade connecting portion 123 and the blade 110 is easy. And it can be aligned accurately, thereby reducing the work time required for the blade 110 installation work.

이때, 블레이드 접속부(123)와 블레이드 루트부(111)의 정렬은 요잉운동 제어부(280), 롤링운동 제어부(290) 및 피칭운동 제어부(240)에 의해 달성된다.At this time, the alignment of the blade connecting portion 123 and the blade root 111 is achieved by the yawing motion controller 280, the rolling motion controller 290 and the pitching motion controller 240.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설치 시스템의 동작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Referring to the operation of the blade installation system for a wind turb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configured as described above are as follows.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설치 시스템의 블레이드 요잉운동을 나타내는 동작상태도이고, 도 10 및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설치 시스템의 블레이드 롤링운동을 나타내는 동작상태도이고,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설치 시스템의 블레이드 피칭운동을 나타내는 동작상태도이다.8 and 9 is an operation state diagram showing the blade yawing motion of the blade installation system for a wind turb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s 10 and 11 is a blade installation system for a wind turb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Figure 12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the blade rolling motion, Figure 12 is an operational state diagram showing the blade pitching motion of the blade installation system for a wind turbine according to an embodiment of the present invention.

허브(121)에 블레이드(110)를 설치하는 작업은, 그립핑유닛(200)을 이용하여 블레이드(110)를 그립핑하고, 그립핑유닛(200) 및 블레이드(110)를 허브(121)에 인접하게 이송한 후, 허브(121)에 마련된 블레이드 접속부(123)에 블레이드(110)를 삽입한다.Installing the blade 110 in the hub 121, the gripping the blade 110 using the gripping unit 200, the gripping unit 200 and the blade 110 to the hub 121 After the adjacent transfer, the blade 110 is inserted into the blade connecting portion 123 provided in the hub 121.

그리고, 블레이드 루트부(111)에 마련된 복수 개의 볼트(미도시)를 블레이드 접속부(123)에 마련된 복수 개의 볼트홀에 삽입한 후 볼트결합한다.Then, the plurality of bolts (not shown) provided in the blade root portion 111 is inserted into the plurality of bolt holes provided in the blade connecting portion 123 and then bolted.

한편, 허브(121)에 대한 블레이드(110)의 상대적 위치를 알면 블레이드(110) 이송 및 블레이드(110) 정렬에 따른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는 바, 본 실시예에서는 블레이드 이송가이드유닛(300)을 이용하여 블레이드(110) 설치작업 중 실시간으로 허브(121)에 의한 블레이드(110)의 상대적 위치를 파악한 후, 블레이드(110) 이송방향을 결정할 수 있다.On the other hand, know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blade 110 relative to the hub 121 can shorten the working time according to the blade 110 feed and blade 110 alignment, in this embodiment the blade feed guide unit 300 After determin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blade 110 by the hub 121 in real time during the installation operation of the blade 110, it is possible to determine the blade 110 conveying direction.

블레이드 이송가이드유닛(300)은 복수의 링크부재(310)를 허브(121)에서 블레이드(110)까지 연결하고, 복수의 링크부재(310)를 연결하는 핀부재(370)의 회전각도를 로터리 엔코더(330)로 감지하여 허브(121)에 대한 블레이드(110)의 상대 위치를 수학적 계산에 의해 파악할 수 있다.The blade transfer guide unit 300 connects the plurality of link members 310 from the hub 121 to the blade 110, and rotates the rotary angle of the pin member 370 connecting the plurality of link members 310.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blade 110 with respect to the hub 121 can be detected by mathematical calculation.

이와 같이, 블레이드 이송가이드유닛(300)에 의해 파악된 블레이드(110)의 상대적 위치를 이용하여 블레이드(110)를 허브(121)에 인접하게, 특히 블레이드 접속부(123)에 인접하게 이송한 후 상호 정렬한다.As described above, the blade 110 is moved adjacent to the hub 121, in particular, adjacent to the blade connecting portion 123 by us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blade 110 identified by the blade transfer guide unit 300, and then mutually. Sort it.

허브(121)에 대한 블레이드(110)의 상대적 위치에 기초한 블레이드 접속부(123)와 블레이드(110)의 정렬은, 블레이드(110)의 요잉운동을 제어하는 요잉운동 제어부(280), 블레이드(110)의 롤링운동을 제어하는 롤링운동 제어부(290) 및 블레이드(110)의 피칭운동을 제어하는 피칭운동 제어부(240)에 의해 달성된다.The alignment of the blade connecting portion 123 and the blade 110 based on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blade 110 with respect to the hub 121 may include a yawing motion controller 280 and a blade 110 that control the yawing motion of the blade 110. It is achieved by a rolling motion controller 290 for controlling the rolling motion of the pitching motion controller 240 for controlling the pitching motion of the blade 110.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요잉운동 제어부(280)는, 블레이드 루트부(111)를 그립핑한 루트그립퍼(210)를 메인프레임(260)의 폭방향으로 왕복운동시킴으로써, 블레이드(110)의 요잉운동을 제어한다.8 and 9, the yawing motion controller 280 reciprocates the root gripper 210 in which the blade root portion 111 is gripped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frame 260, thereby allowing the blade 110 to move. To control the yawing motion of the body.

도 8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260)의 전단부 측에 폭방향을 따라 제2 가이드레일(282)이 마련되고, 제2 가이드레일(282)을 따라 이송되는 고정도르레(283)에 권취된 제1 리프팅케이블(284)의 일단부가 루트그립퍼(210)에 연결된다.As shown in FIG. 8, a second guide rail 282 is provided along the width direction at the front end side of the main frame 260, and is fixed to the fixed pulley 283 conveyed along the second guide rail 282. One end of the wound first lifting cable 284 is connected to the root gripper 210.

그리고, 도 9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도르레(283) 및 제1 리프팅케이블(284)에 연결된 루트그립퍼(210)를 제2 가이드레일(282)을 따라 메인프레임(260)의 폭방향으로 이동시켜 블레이드(110)가 Z축을 중심으로 요잉운동되게 한다.9, the root gripper 210 connected to the fixed pulley 283 and the first lifting cable 284 is moved along the second guide rail 282 in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frame 260. The blade 110 is yawing around the Z axis.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롤링운동 제어부(290)는, 블레이드 팁부(113)를 그립핑한 팁그립퍼(250)를 상하방향으로 승강운동시킴으로써, 블레이드(110)의 롤링운동을 제어한다.10 and 11, the rolling motion controller 290 controls the rolling motion of the blade 110 by lifting and lowering the tip gripper 250, which grips the blade tip 113, in the vertical direction.

도 10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메인프레임(260)의 전단부 측에 마련된 고정도르레(283)와 메인프레임(110)의 후단부 측에 마련된 구동윈치(281) 사이에 연결된 제1 리프팅케이블(284) 상에 움직도르레(291)를 설치하고, 움직도르레(291)와 팁그립퍼(250)를 제2 리프팅케이블(293)로 연결한다.As shown in FIG. 10, the first lifting cable 284 connected between the fixed pulley 283 provided at the front end side of the main frame 260 and the driving winch 281 provided at the rear end side of the main frame 110. The movable pulley (291) is installed on the), and the movable pulley (291) and the tip gripper (250) are connected with the second lifting cable (293).

그리고, 도 11에서 도시한 바와 같이, 고정도르레(283)와 구동윈치(281) 사이의 제1 리프팅케이블(284)을 구동윈치(281)에서 권출하여 움직도르레(291)를 하방으로 이동시켜 블레이드(110)가 Y축을 중심으로 롤링운동되게 한다.As shown in FIG. 11, the first lifting cable 284 between the fixed pulley 283 and the driving winch 281 is unwound from the driving winch 281 to move the movable pulley 291 downward to move the blade. Allow 110 to roll about the Y axis.

도 12를 참조하면, 피칭운동 제어부(240)는, 한쌍의 그립핑패드 지지부(233)의 일측에 각각 높이방향으로 제1 가이드레일(241)을 마련하고, 제1 가이드레일(241)에 연결되는 한쌍의 제1 구동체(242)를 회전시켜 한쌍의 그립핑패드 지지부(233)를 상호 반대방향으로 승강시켜 한쌍의 그립핑패드(231)에 밀착된 블레이드 루트부(111)를 구름운동시킴으로써, 블레이드(110)가 X축을 중심으로 피칭운동되게 한다.Referring to FIG. 12, the pitching movement control unit 240 may provide a first guide rail 241 in a height direction on one side of the pair of gripping pad support units 233, and may be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rail 241. By rotating the pair of first driving bodies 242 to lift the pair of gripping pad support 233 in the opposite direction to each other by rolling the blade root portion 111 in close contact with the pair of gripping pad 231 The blade 110 is pitched about the X axis.

이처럼, 블레이드 루트부(111)를 블레이드 접속부(123)에 삽입 설치함에 있어, 요잉운동 제어부(280), 롤링운동 제어부(290) 및 피칭운동 제어부(240)를 이용하여 블레이드(110)의 요, 롤, 피치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블레이드(110) 설치에 따른 작업시간을 단축할 수 있다.As such, in inserting and installing the blade root portion 111 into the blade connecting portion 123, the yaw of the blade 110 by using the yawing motion controller 280, the rolling motion controller 290 and the pitching motion controller 240, Roll, pitch can be adjusted to reduce the working time according to the blade 110 installation.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기재된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다양하게 수정 및 변형할 수 있음은 이 기술의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하다. 따라서 그러한 수정 예 또는 변형 예들은 본 발명의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하여야 할 것이다.It will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various modifications and variations can be made in the present invention without departing from the spirit or scope of the invention. Accordingly, such modifications or variations are intended to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appended claims.

110: 블레이드 120: 로터
121: 허브 123: 블레이드 접속부
130: 나셀커버 140: 타워
150: 크레인케이블 200: 그립핑유닛
210: 루트그립퍼 220: 루트프레임부
230: 루트그립핑부 231: 그립핑패드
233: 그립핑패드 지지부 235: 그립핑패드 구동부
240: 피칭운동 제어부 250: 팁그립퍼
251: 팁프레임부 253: 팁그립핑부
255: 팁그립핑 구동부 259: 팁가압패드
260: 메인프레임 280: 요잉운동 제어부
283: 고정도르레 285: 케이블 풀림방지 스토퍼
290: 롤링운동 제어부 291: 움직도르레
300: 블레이드 이송가이드유닛 310: 링크부재
330: 위치감지부 350: 브라켓
370: 연결부재
110: blade 120: rotor
121: hub 123: blade connection
130: nacelle cover 140: tower
150: crane cable 200: gripping unit
210: root gripper 220: root frame portion
230: root gripping portion 231: gripping pad
233: gripping pad support 235: gripping pad drive
240: pitching motion control unit 250: tip gripper
251: tip frame portion 253: tip gripping portion
255: tip gripping drive unit 259: tip pressure pad
260: main frame 280: yawing motion control unit
283: high pulley 285: cable release prevention stopper
290: rolling motion control unit 291: movable pulley
300: blade feed guide unit 310: link member
330: position detection unit 350: bracket
370:

Claims (12)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를 그립핑하는 그립핑유닛; 및
일단부가 풍력발전기의 허브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블레이드에 연결되고, 상기 허브에 대한 상기 블레이드의 상대 위치를 감지하여 상기 블레이드가 상기 허브에 삽입되도록 안내하는 블레이드 이송가이드유닛을 포함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설치 시스템.
A gripping unit for gripping a blade for a wind power generator; And
One end is connected to the hub of the wind turbine, the other end is connected to the blade, the wind turbine comprising a blade transfer guide unit for guiding the blade is inserted into the hub by sens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blade relative to the hub Blade installation system.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이송가이드유닛은,
상기 허브와 상기 블레이드를 연결하는 복수의 링크부재; 및
상기 복수의 링크부재의 링크연결부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허브에 대한 상기 블레이드의 상대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감지부를 포함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설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
The blade transfer guide unit,
A plurality of link members connecting the hub and the blades; And
The wind turbine generator blade installation system is provided in each of the link connecting portion of the plurality of link members, the position sensing unit for detecting the relative position of the blade with respect to the hub.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이송가이드유닛은,
상기 복수의 링크부재의 일단부에 각각 마련되고, 인접된 상기 복수의 링크부재가 상호 삽입되는 브라켓; 및
상기 브라켓에 마련되고, 인접된 상기 복수의 링크부재가 상호 상대 회동가능하게 연결되는 연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위치감지부는, 상기 브라켓에 마련되고, 상기 연결부재의 일단부에 각각 연결되어 상기 연결부재의 회전각도를 감지하는 복수의 로터리 엔코더를 포함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설치 시스템.
3. The method of claim 2,
The blade transfer guide unit,
Brackets respectively provided at one end of the plurality of link members, and the plurality of adjacent link members are inserted to each other; And
A connection member provided on the bracket, wherein the plurality of adjacent link members are connected to each other in a rotatable manner;
The position detecting unit is provided in the bracket, the blade installation system for a wind turbine comprising a plurality of rotary encoders respectively connected to one end of the connection member to sense the rotation angle of the connection member.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핑 유닛은,
복수의 크레인케이블에 연결된 메인프레임;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 전단부 측에 연결되고, 상기 블레이드의 루트부를 그립핑하는 루트그립퍼; 및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 후단부 측에 연결되고, 상기 블레이드의 팁부를 그립핑하는 팁그립퍼를 포함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설치 시스템.
4. The method according to any one of claims 1 to 3,
Wherein the gripping unit comprises:
A mainframe connected to a plurality of crane cables;
A root gripper connected to the longitudinal front end of the main frame and gripping the root of the blade; And
And a tip gripper connected to the longitudinal rear end side of the main frame and gripping a tip of the blade.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루트그립퍼는,
상기 블레이드 루트부가 내부에 배치되는 루트프레임부;
상기 루트프레임부에 대칭되게 마련되고, 상호 접근 및 이격되면서 상기 블레이드 루트부의 외측면에 밀착 및 밀착 해제되어 상기 블레이드 루트부를 그립핑 및 그립핑 해제하는 한쌍의 루트그립핑부; 및
상기 한쌍의 루트그립핑부의 일측에 각각 마련되고, 상기 블레이드 루트부를 상기 한쌍의 루트그립핑부에 밀착한 상태에서 구름운동시켜 상기 블레이드의 피칭운동을 제어하는 피칭운동 제어부를 포함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설치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root gripper,
A root frame portion in which the blade root portion is disposed;
A pair of root gripping portions provided symmetrically in the root frame portion, and close and close to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root portion while being approached and spaced apart to grip and release the blade root portion; And
Each of the pair of root gripping portions is provided on one side, the blade generator for a wind turbine comprising a pitching mo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pitching movement of the blade by rolling the blade root portion in close contact with the pair of root gripping portion system.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루트그립핑부 각각은,
상기 블레이드 루트부의 외측면을 접촉가압하는 그립핑패드;
상기 그립핑패드의 일측에 연결되고, 상기 그립핑패드를 지지하는 그립핑패드 지지부; 및
상기 그립핑패드 지지부에 연결되고, 신장 및 수축동작에 의해 상기 그립핑패드를 상기 블레이드 루트부의 외측면에 밀착 및 밀착 해제하는 그립핑패드 구동부를 포함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설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Each of the pair of root gripping portions,
A gripping pad contacting and pressing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root portion;
A gripping pad support part connected to one side of the gripping pad and supporting the gripping pad; And
And a gripping pad driving unit connected to the gripping pad supporting unit, the gripping pad driving unit being in close contact with the outer surface of the blade root unit by extension and retraction.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피칭운동 제어부는,
상기 그립핑패드 지지부의 일측에 상기 그립핑패드 지지부의 높이방향으로 마련된 제1 가이드레일; 및
일측이 상기 그립핑패드 구동부에 연결되고 타측이 상기 제1 가이드레일에 연결되어, 상기 그립핑패드 지지부를 승강시키는 제1 구동체를 포함하며,
상기 한쌍의 그립핑패드가 상호 반대방향으로 승강되도록 상기 한쌍의 제1 구동체를 회전시키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설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5,
The pitching motion control unit,
A first guide rail provided on one side of the gripping pad supporter in a height direction of the gripping pad supporter; And
One side is connected to the gripping pad driving unit and the other side is connected to the first guide rail, including a first driving body for elevating the gripping pad support,
Blade installation system for a wind turbine for rotating the pair of first driving body so that the pair of gripping pads are lifted in opposite directions.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팁그리퍼는,
상기 블레이드 팁부가 안착되는 팁프레임부;
상기 팁프레임부에 대향되게 마련되고, 상기 팁프레임부에 접근 및 이격되면서 상기 블레이드 팁부의 외측면을 그립핑하는 팁그립핑부;
일단부가 상기 팁프레임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팁그립핑부에 연결되고, 상기 팁그립핑부를 상기 팁프레임부에 접근 및 이격되게 구동시키는 팁그립핑 구동부; 및
상기 팁그립핑 구동부에 대향되게 마련되고, 상기 팁그립핑부가 상기 팁프레임부에 대해 상대 회전가능하도록 일단부가 상기 팁그립핑부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팁프레임부에 회전가능하게 연결된 지지부재를 포함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설치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The tip gripper is,
A tip frame part in which the blade tip part is seated;
A tip gripping part provided to face the tip frame part and gripping an outer surface of the blade tip part while being approached and spaced apart from the tip frame part;
A tip gripping drive unit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tip frame part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tip gripping part, the tip gripping part driving the tip gripping part to be approached and spaced apart from the tip frame part; And
A support member provided opposite the tip gripping drive unit, one end of which is connected to the tip gripping portion and the other end of which is rotatable relative to the tip frame portion such that the tip gripping portion is rotatable relative to the tip frame portion. Blade installation system for a wind turbine comprising.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프레임에 마련되고, 상기 루트그립퍼 및 상기 팁그립퍼에 연결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요잉운동 및 롤링운동을 제어하는 블레이드 운동제어유닛을 더 포함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설치 시스템.
5. The method of claim 4,
And a blade motion control unit provided on the main frame and connected to the root gripper and the tip gripper to control a yawing motion and a rolling motion of the blade.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운동조절유닛은,
상기 루트그립퍼에 연결되어 상기 블레이드의 요잉운동을 제어하는 요잉운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요잉운동 제어부는,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 일측에 마련된 구동윈치;
상기 메인프레임의 길이방향 타측에 상기 메인프레임의 폭방향을 따라 마련된 제2 가이드레일;
상기 제2 가이드레일에 연결되어 이송되는 고정도르레;
상기 고정도르레의 일측에 마련되고, 상기 제2 가이드레일을 따라 상기 고정도르레를 이송시키는 제2 구동체; 및
일단부가 상기 구동윈치 및 상기 고정도르레에 순차로 권취되고, 타단부가 상기 루트그립퍼에 연결된 제1 리프팅케이블을 포함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설치 시스템.
10. The method of claim 9,
The blade movement control unit,
It is connected to the root gripper further comprises a yawing motion control unit for controlling the yawing motion of the blade,
The yawing motion control unit,
A driving winch provided at one side of the main frame in a longitudinal direction;
A second guide rail provided along the width direction of the main frame on the other side in the longitudinal direction of the main frame;
A fixed pulley connected to and transported from the second guide rail;
A second driving body provided at one side of the fixed pulley to transfer the fixed pulley along the second guide rail; And
And a first lifting cable having one end wound in the drive winch and the fixed pulley sequentially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root gripper.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요잉운동 제어부는,
상기 고정도르레에 연결되고, 상기 고정도르레와 상기 루트그립퍼 사이의 간격이 일정하게 유지되게 상기 고정도르레에 권취된 상기 제1 리프팅케이블을 상기 고정도르레에 고정하는 케이블 풀림방지 스토퍼를 더 포함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설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The yawing motion control unit,
Wind power generation further comprising: a cable release prevention stopper connected to the fixed pulley and fixing the first lifting cable wound on the fixed pulley to the fixed pulley such that a gap between the fixed pulley and the root gripper is maintained constant. Blade installation system.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블레이드 운동조절유닛은,
상기 팁그립퍼에 연결되어 상기 블레이드 롤링운동을 제어하는 롤링운동 제어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롤링운동 제어부는,
상기 구동윈치와 상기 고정도르레 사이에 상기 제1 리프팅케이블이 권취되게 마련되고, 상기 구동윈치에서 상기 제1 리프팅케이블이 권취 및 권출됨에 따라 상하방향으로 왕복운동하는 움직도르레; 및
일단부가 상기 움직도르레에 연결되고 타단부가 상기 팁그립퍼에 연결된 제2 리프팅케이블을 포함하는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설치 시스템.
The method of claim 10,
The blade movement control unit,
A rolling motion control unit connected to the tip gripper to control the blade rolling motion;
The rolling motion control unit,
A movable pulley provided between the driving winch and the fixed pulley so that the first lifting cable is wound and reciprocating in the vertical direction as the first lifting cable is wound and unwound by the driving winch; And
And a second lifting cable having one end connected to the movable pulley and the other end connected to the tip gripper.
KR1020120068947A 2012-06-27 2012-06-27 Blade installing system for wind turbine KR101379723B1 (en)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947A KR101379723B1 (en) 2012-06-27 2012-06-27 Blade installing system for wind turbin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8947A KR101379723B1 (en) 2012-06-27 2012-06-27 Blade installing system for wind turbin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965A true KR20140000965A (en) 2014-01-06
KR101379723B1 KR101379723B1 (en) 2014-03-28

Family

ID=501386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8947A KR101379723B1 (en) 2012-06-27 2012-06-27 Blade installing system for wind turbine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9723B1 (en)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40962A (en) * 2017-06-12 2020-01-31 西门子歌美飒可再生能源公司 Wind turbine lifting device
CN112299231A (en) * 2020-10-15 2021-02-02 上海电气风电集团股份有限公司 Single-blade lightering-free mounting equipment and method thereof
CN114228946A (en) * 2021-11-09 2022-03-25 山东宏洲海洋工程有限公司 Pre-assembly process of offshore wind turbine
CN117780563A (en) * 2024-02-26 2024-03-29 广东阳硕绿建科技股份有限公司 Single-blade installation equipment and process for large-scale wind driven generator on mountain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303555B4 (en) * 2003-01-29 2007-01-25 Aloys Wobben Method for craneless mounting of a rotor blade of a wind energy plant
JP4796391B2 (en) * 2006-01-11 2011-10-19 株式会社駒井ハルテック Wind power generator installation mechanism and installation method
EP2014917B1 (en) * 2007-07-10 2017-08-30 Siemens Aktiengesellschaft Minimising wind turbine generator air gap with a specific shaft bearing arrangement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740962A (en) * 2017-06-12 2020-01-31 西门子歌美飒可再生能源公司 Wind turbine lifting device
US11339033B2 (en) 2017-06-12 2022-05-24 Siemens Gamesa Renewable Energy A/S Wind turbine lifting arrangement
CN112299231A (en) * 2020-10-15 2021-02-02 上海电气风电集团股份有限公司 Single-blade lightering-free mounting equipment and method thereof
CN114228946A (en) * 2021-11-09 2022-03-25 山东宏洲海洋工程有限公司 Pre-assembly process of offshore wind turbine
CN114228946B (en) * 2021-11-09 2024-01-12 山东宏洲海洋工程有限公司 Pre-assembling process for offshore wind turbine
CN117780563A (en) * 2024-02-26 2024-03-29 广东阳硕绿建科技股份有限公司 Single-blade installation equipment and process for large-scale wind driven generator on mountain
CN117780563B (en) * 2024-02-26 2024-04-26 广东阳硕绿建科技股份有限公司 Single-blade installation equipment and process for large-scale wind driven generator on mountai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9723B1 (en) 2014-03-2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46180B1 (en) Blade installing system for wind turbine
EP2832988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handling a rotor blade
EP2559890B1 (en) A device for handling a wind turbine rotor blade and a method for handling wind turbine rotor blades
KR101334339B1 (en) Blade gripping apparatus for wind turbine
KR101358229B1 (en) Blade gripping apparatus for wind turbine
KR101379723B1 (en) Blade installing system for wind turbine
KR101390851B1 (en) Blade maintenance platform for wind turbine
WO2016007241A1 (en) Tall wind turbine tower erection with climbing crane
CN106853580B (en) A kind of manipulator and the method using manipulator progress fan blade installation
KR101368679B1 (en) Blade maintenance platform for wind turbine
EP3431751A1 (en) System and method for suspending a rotor blade of a wind turbine uptower
CN111453629A (en) Single-blade installation robot for offshore wind turbine generator system
EP3828121B1 (en) Crane and method for erecting a tower
KR101346179B1 (en) Blade gripping apparatus for wind turbine
KR101358233B1 (en) Blade installing apparatus and method of installing blade using thereof for wind turbine
KR101378961B1 (en) Blade gripping apparatus for wind turbine
CN117120211A (en) System for handling structural members of blades of a wind turbine
KR101358232B1 (en) Blade installing apparatus and method of installing blade using thereof for wind turbine
EP3167186A1 (en) Tall wind turbine tower erection with climbing crane
CN106246474A (en) A kind of blade docking adjusting means
KR101358230B1 (en) Blade installing apparatus and method of installing blade using thereof for wind turbine
KR101346175B1 (en) Assembly robot for windmill blade
KR101346176B1 (en) Assembly robot for windmill blade
KR20140001638A (en) Blade installing apparatus and method of installing blade using thereof for wind turbine
KR101313206B1 (en) Assembly robot for windmill bla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