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761U - 선박용 계류 로우프 - Google Patents

선박용 계류 로우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761U
KR20140000761U KR2020120006693U KR20120006693U KR20140000761U KR 20140000761 U KR20140000761 U KR 20140000761U KR 2020120006693 U KR2020120006693 U KR 2020120006693U KR 20120006693 U KR20120006693 U KR 20120006693U KR 20140000761 U KR20140000761 U KR 2014000076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rands
braid
strand
rope
bra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6693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5026Y1 (ko
Inventor
최중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평화산업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평화산업 filed Critical 주식회사평화산업
Priority to KR2020120006693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026Y1/ko
Publication of KR2014000076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76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026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026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14Ropes or cables with incorporated auxiliary elements, e.g. for marking, extending throughout the length of the rope or cable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1/00Constructional features of ropes or cables
    • D07B1/02Ropes built-up from fibrous or filamentary material, e.g. of vegetable origin, of animal origin, regenerated cellulose, plasti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1/00Tying-up; Shifting, towing, or pushing equipment; Anchoring
    • B63B21/20Adaptations of chains, ropes, hawsers, or the like, or of parts thereof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10Rope or cable structures
    • D07B2201/1012Rope or cabl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ir internal structure
    • D07B2201/1014Rope or cabl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ir internal structure characterised by being laid or braided from several sub-ropes or sub-cables, e.g. hawser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10Rope or cable structures
    • D07B2201/1028Rope or cable structures characterised by the number of strand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10Rope or cable structures
    • D07B2201/104Rope or cable structures twisted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10Rope or cable structures
    • D07B2201/1096Rope or cable structures braided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201/00Ropes or cables
    • D07B2201/20Rope or cable components
    • D07B2201/2083Jackets or coverings
    • D07B2201/209Jackets or coverings comprising braided structures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401/00Aspects related to the 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 D07B2401/20Aspects related to the problem to be solved or advantage related to ropes or cables
    • D07B2401/2065Reducing wear
    • D07B2401/2075Reducing wear externally
    • DTEXTILES; PAPER
    • D07ROPES; CABLES OTHER THAN ELECTRIC
    • D07BROPES OR CABLES IN GENERAL
    • D07B2501/00Application field
    • D07B2501/20Application field related to ropes or cables
    • D07B2501/2061Ship mooring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Ropes Or Cables (AREA)

Abstract

본 고안이 적용된 선박용 계류 로우프는 중간 직조단계에서 브레이딩 스트랜드의 직조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로우프의 외표면이 매끈해지면 가닥간의 결합력이 높아 로우프를 반복적으로 굴곡시켜도 가닥이 풀리지 않아 요철의 날카로운 끝부분에 얀이 걸려 끊어지는 경우가 없어, 로우프의 내마모성이 개선된 것으로, 본 고안의 선박용 계류 로우프는 여러 가닥의 섬유를 모아서 한 방향으로 꼬아 얀(yarn)이 구성되고, 이어서 복수의 상기 얀을 직조하여 스트랜드(strand)가 구성되며, 이어서 복수의 상기 스트랜드를 한 가닥씩 또는 두 가닥 이상을 한 조로 묶어 이웃하는 것과 교차해서 직조하는 브레이드(braid)체로서의 계류 로우프로서, 상기 브레이드체는 로우프의 심을 이루는 내부 브레이드와, 이 내부 브레이드의 외주를 둘러싸는 외부 브레이드로 구성되며, 상기 내부 브레이드는, 먼저 복수의 얀을 한 방향으로 직조하여 야닝(yarning) 스트랜드를 형성하고나서, 이 야닝 스트랜드를 8가닥 이상 8 배수로 모아 한 가닥씩 이웃하는 가닥과 교차해서 직조되고, 상기 외부 브레이드는, 복수의 얀을 서로 이웃하는 얀끼리 교차해서 직조하여 브레이딩 스트랜드를 형성하고나서, 이 브레이딩 스트랜드를 16가닥 이상 8 배수로 모으고 다시 브레이딩 스트랜드의 두 가닥씩을 한 조로 하여 이웃하는 조끼리 교차해서 직조하여 형성된다.

Description

선박용 계류 로우프{MOORING ROPE FOR SHIP}
본 고안은 선박용 계류 로우프에 관한 것으로, 내마모성을 크게 향상시킨 로우프에 관한 것이다.
선박에는, 예를 들어 선미와 선두에 각각 계류 로우프가 구비되는데, 선박을 접안 및 계류시에 이 계류 로우프를 접안 시설에 설치된 직주(直柱) 또는 곡주(曲柱) 형태의 계선주에 걸어 계류 정박하게 된다.
이 계류 로우프의 소재로서, 종래에는 마닐라삼이나 사이잘삼 등 천연소재가 사용되었으나 내구성과 고비용의 문제로 인해 점차 나일론 등의 합성섬유로 교체되었으며, 현재는 고급 사양에서는 주로 나일론이, 보급형에는 폴리프로필렌이 사용되고 있다.
소형 선박용 계류 로우프는 가늘고 가벼운 것을 사용하고 기상악화 등 큰 외력이 작용할 때는 여러 개를 사용하여 대응할 수 있지만, 중대형 선박의 경우에는 큰 인장 강도가 요구되므로, 선박의 하중에 비례해서 상대적으로 큰 직경과 자체 하중을 갖는다.
이러한 중대형 선박용 계류 로우프는 단일층으로 형성되기보다 겹을 이룬 다층 구조로 형성되는 것이 인강 강도 보강에 유리한데, 이러한 다층 구조 로우프의 종래의 제조 과정을 살펴 보면, 우선 복수 개의 섬유 가닥을 모아 한 방향으로 꼬아서 얀(yarn)을 형성하고, 이 얀을 다시 한 방향으로 꼬아 스트랜드(strand)를 형성한다. 이어서 이 스트랜드를 8가닥이상 8배수로 모아 한 가닥씩 교차하여 로우프의 심을 이루는 내부 브레이드를 형성한다. 그리고, 이 내부 브레이드의 외주면에는, 상기 스트랜드를 16가닥이상 8배수로 모아, 2가닥씩 교차해서 외부 브레이드가 입혀져 2중 구조의 로우프를 완성된다.
그런데, 최근 신조된 선박의 갑판 상에는 선원의 통로를 중심으로 미끄럼 방지를 위해 요철판이 깔리는 경우가 많은데, 이 요철판에 인취되는 계류 로우프가 긁히고 마모되는 경우가 있다. 로우프의 직경이 가늘고 하중이 가벼우면 통상적인 사용환경에서 단기간에 로우프가 심각하게 마모되지 않고, 설령 마모되더라도 교체비용도 저렴하다. 그러나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중대형 선박용 계류 로우프는 그 직경이 크고 고가이며 로우프 자체의 하중이 많이 나가기 때문에, 통상적인 인취과정에서 상기 요철판에 긁혀 마모가 일어나고, 이때의 마모로 인해 로우프의 수명이 크게 단축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중 대형선박뿐만 아니라, 소형 선박이라도 많은 장비를 탑재하는 해군 또는 해경의 전투·경비함정은 계류 로우프에 큰 하중이 걸리며, 이러한 특수 용도의 선박의 경우, 특히 긴급 출동시에 계류 로우프가 거칠게 다루어지고 상기 요철갑판은 물론 갑판 상의 다른 구조물과도 마찰 마모를 일으키는 등 로우프의 단수명 현상이 두드러진다.
종래의 계류 로우프의 외표면이 마찰에 의해 마모가 쉽게 일어나는 원인을 살펴보면, 우선 외부 브레이드를 이루는 스트랜드가 한방향으로 꼬여 스트랜드간의 결합력이 약하고 치밀하지 못해 돌기에 걸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가닥이 이완되어 나와 결국 끊어지는 경우가 있고, 또한, 로우프 자체의 하중 때문에 로우프 저부가 눌리면, 외부 브레이드 자체의 형상 유지력이 약하기 때문에, 요철면과 접하는 면적이 커져, 부분적인 마모로 끝나지 않는다.
그리고, 스트랜드를 한 방향으로 꼬아 형성한 종래의 외부 브레이드는, 로우프가 구부려졌을 때, 구부려지는 부분의 안쪽은 이완되어 느슨해지고, 구부려지는 부분의 바깥쪽은 팽팽하게 당겨져서 당겨진 부분만 그 길이가 늘어나며, 따라서 안쪽과 바깥쪽 간의 불균형이 생기게 되는데, 이러한 굴곡이 반복되는 과정에서 스트랜드 가닥 간의 결합력 저하가 더욱 심화되어, 로우프의 취화와 단수명으로 이어진다.
이러한 종래 계류 로우프의 내마모성 향상을 위한 방안으로서, 스트랜드를 구성하는 얀의 직경을, 꼬임을 많이 줌으로써, 작게 하여 더 미세하고 더 조밀하게 꼬아 쉽게 풀리지 않도록 하는 방안이 강구될 수 있다. 그러나, 조밀한 꼬기 가공은 기술적으로 실현 가능하나 제조시간의 증가로 인해 생산성 저하와 비용 상승을 초래할 수 있으며, 한 방향으로만 많이 꼬게 되면 작업도중에 킹크(kink)현상이 일어나 비틀어지고 변형되어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설령, 얀을 조밀하게 꼬아 형성하더라도, 이어지는 스트랜드 제조단계에서 동일한 한 방향 꼬기가 적용되면, 제조 중에도 밀고 당기는 과정에서 가닥간의 이완의 발생은 불가피하며, 결국 형태를 계속 유지하기가 어렵다.
따라서 이에 대한 대응방안으로서, 외부 브레이드의 리이드 간격(스트랜드의 직조과정에서 브레이드의 둘레상의 동일 위치에 되돌아오는 두 지점간의 (피치)간격, 도 3 참조)을 짧게 하여 이완과 긴축을 반복하는 로우프의 측면으로부터 올이 풀려 이탈되는 것을 최소화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방안도 로우프의 단수명을 일으키는 복합적인 요인에 대해 충분한 해결방안으로 되지 않는데, 예컨대, 로우프 위에 하중이 큰 물건이 놓이거나 탑승 선원이 밟고 지나가면 그 부분이 납작해졌다가, 다시 원상태로 복귀되지 않는데, 이것은 외부 브레이드를 이루는 가닥간의 결합력이 약하기 때문이며, 납작해져 거의 편평하게 된 부분과 요철면 사이의 접촉면적이 늘어나고, 이 상태에서 인취되어 이동되는 동안 마모 손실과 함께 가닥들의 이완 및 분리가 더 진행되며, 여기에 요철의 뾰족한 끝에 얀이 걸려 로우프 처리가 지연되고, 무리하게 진행하면 가닥이 끊어지게 된다.
또 다른 대응방안으로 로프 표면을 다른 물질로 코팅하는 방안을 생각해 볼 수 있겠으나, 코팅 작업에 따른 제조비용의 증가와 함께, 코팅에 의해 로프가 뻣뻣해짐으로써 사용상 매우 불편하게 된다.
따라서, 상술한 바와 같이 종래의 계류 로우프에 있어서의 내마모성 저하의 문제는 여전히 해결되지 않고 있다.
본 고안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 된 것으로, 내구성 및 내마모성을 강화하면서 저비용으로 제조할 수 있는 선박용 계류 로우프의 제공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으로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고안의 제1 고안은, 여러 가닥의 섬유를 모아서 한 방향으로 꼬아 얀(yarn)이 구성되고, 이어서 복수의 상기 얀을 직조하여 스트랜드(strand)가 구성되며, 이어서 복수의 상기 스트랜드를 한 가닥씩 또는 두 가닥 이상을 한 조로 묶어 이웃하는 것과 교차해서 직조하는 브레이드 (braid)체로서의 계류 로우프로서, 상기 브레이드체는 로우프의 심을 이루는 내부 브레이드와, 이 내부 브레이드의 외주를 둘러싸는 외부 브레이드로 구성되며, 상기 내부 브레이드는, 먼저 복수의 얀을 한 방향으로 직조하여 야닝(yarning) 스트랜드를 형성하고나서, 이 야닝 스트랜드를 8가닥 이상 8 배수로 모아 한 가닥씩 이웃하는 가닥과 교차해서 직조되고, 상기 외부 브레이드는, 복수의 얀을 서로 이웃하는 얀끼리 교차해서 직조하여 브레이딩 스트랜드를 형성하고나서, 이 브레이딩 스트랜드를 16가닥 이상 8 배수로 모으고 다시 브레이딩 스트랜드의 두 가닥씩을 한 조로 하여 이웃하는 조끼리 교차해서 직조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계류 로우프에 관한 것이다.
그리고, 제2 고안은 상기 야닝 스트랜드는 상기 브레이딩 스트랜드보다 큰 직경을 갖는다.
또한, 제3 고안은 상기 외부 브레이드는, 동심원상으로 이중 구조로 되어, 최외측의 외부 브레이드와, 이 외부 브레이드에 둘러싸이는 중간 브레이드로 형성되며, 상기 외부 브레이드의 브레이딩 스트랜드는 상기 중간 브레이드의 브레이딩 스트랜드보다 직경이 작다.
그리고, 제4 고안은 상기 브레이딩 스트랜드의, 1 리이드를 그 직경으로 나눈 리이드 비를 2.5~5.5로 한다.
상기 제1 고안이 적용된 선박용 계류 로우프는 중간 직조단계에서 브레이딩 스트랜드의 직조 구조를 개선함으로써, 로우프의 외표면이 매끈해지면 가닥간의 결합력이 높아 로우프를 반복적으로 굴곡시켜도 가닥이 풀리지 않아 요철의 날카로운 끝부분에 얀이 걸려 끊어지는 경우가 없어, 로우프의 내마모성이 개선되고, 또한 로우프가 위로부터 눌려져서 일시적으로 변형되더라도 형상 복원력이 높아, 외력이 제거됨과 동시에 원 형상으로의 복귀가 신속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선박 갑판의 요철면과의 접촉면적이 최소화되어, 로우프 처리시에 긁히더라도 마모를 최소화할 수 있고 또한 로우프 정리작업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따라서, 기동성이 요구되는 경비 또는 전투함정이 출항시 신속하고 원활한 로우프 인취가 이루어져, 기동력 향상에 도움이 되고, 또한 탁월한 내마모성 및 내구성을 갖추게 되어 교체 회수를 줄일 수 있으며, 악천후로 파고가 높아져 계류 로우프에 큰 힘이 작용하는 경우에 적은 로우프수로도 대응할 수 있고 탁월한 인장강도에 의해 이용자의 재산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의한 계류 로우프는 얀에서 스트랜드, 스트랜드에서 브레이드의 각 공정에서 원료 가닥을 8배수로 증감하도록 규정하고 있는데, 이에 의해 새로운 직조기계를 제작하지 않고 종래의 직조기계를 그대로 활용할 수 있어, 경제적이다.
아울러, 상기 제2 고안에 의해,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브레이딩 스트랜드로 조밀하게 직조해서 외부 브레이드를 형성하여 로우프의 외표면이 매끈하게 되고, 한편으로, 상대적으로 큰 직경을 갖는 야닝 스트랜드로 내부 브레이드를 형성하여, 로우프의 굵기가 크고 2중 구조임에도 불구하고 로우프의 유연성이 확보되고, 후술하는 바와 같이 다양한 조합을 통해 계류 로우프의 자체 하중도 줄일 수 있어 사용자의 취급편의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3 고안에 의해, 외부 브레이드와 내부 브레이드 사이에 중간 브레이드를 추가하여 고도의 인장 강도를 갖춘 로우프를 제공할 수 있으며, 후술에 자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외부 브레이드와 내부 브레이드의 두께 차이가 클 경우에 예상되는 내구성 저하를 막을 수 있는 동시에, 로우프의 유연성도 확보하여 고도의 인장 강도를 갖추면서 사용자의 취급 편의도 도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4 고안에 의해, 후술에 자세하게 설명된 바와 같이, 그 용도에 따라 다양한 제품군을 제작할 때 리이드 비의 상한치와 하한치 사이에서, 그 용도에 맞는 기계적 강도를 얻으면서 생산성도 함께 고려되어 적절한 직조 조밀도를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고안의 얀의 꼬임 양상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야닝 스트랜드의 꼬임 양상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브레이딩 스트랜드의 직조 양상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의한, 내부 브레이드와 외부 브레이드로 이루어지는 로우프의 이중 구조를 설명하는 부분 절단 측면도이다.
도 5는 종래의 계류 로우프에서 외부 브레이드가 훼손된 일례를 나타내는 부분 절단 측면도이다.
도 6은 도 4의 로우프의 이중 구조를 설명하는 로우프의 정단면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의한 로우프의 정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더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얀의 꼬임 양상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먼저, 본 실시예의 로우프(1) 제조 과정에 대해 설명하면, 상기 로우프(1)의 기본 소재로서 합성섬유 필라멘트(10)가 사용된다.
로우프(1)의 전반적인 직조과정은, 먼저, 상기 합성섬유 필라멘트(10)를 합연하여 얀(20)을 만들고, 이 얀(20)들을 모아 스트랜드를 형성하며, 이 스트랜드들을 모아 브레이드를 형성되며, 이 브레이드는 심재인 내부 브레이드(40)와 외피재인 외부 브레이드(41)로 나뉘어져 내부 브레이드(40)에 외부 브레이드(41)가 입혀짐으로써 최종적으로 로우프(1)가 형성된다.
상기 스트랜드를 꼬는 수단인 스트랜드 합연기(도시 생략)는 스트랜더 또는 레이어(layer)라고도 하며, 그 생산율과 유직기의 보빈 캐리어의 속도는 물론, 연이어 얼마나 굵고 긴 스트랜드를 만들 수 있는지에 따라 그 규격과 형태가 다양하다.
그런데 상기 얀(20)은 내부 브레이드에 로우프(1)상의 부위별로 꼬임 굵기를 달리하는데, 예컨대 내부 브레이드(40)용으로 사용되는 얀은 외부에 노출되지 않아 마찰 마모의 우려가 없으므로, 합성섬유 필라멘트(10)를 상대적으로 많이 모아 얀 직경을 상대적으로 크게 하는데, 이로써 로우프가 굴곡될 때, 유연하게 구부러져서, 외부 브레이드와의 사이가 벌어짐 없이 외부 브레이드를 안쪽에서부터 지지하도록 한다.
아울러, 외부 브레이드(41)용으로 사용되는 얀의 경우에는 외부 마찰에 노출되므로, 합성섬유 필라멘트(10)를 상대적으로 적게 사용해서 얀 직경을 줄여, 도 3에 도시된 리이드(L)를 작게 하여 조밀하고 치밀한 직조 조직을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 내부 브레이드(40)는 야닝 스트랜드(30)를 직조하여 형성되는데, 여기서 야닝 스트랜드(30)라 함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섬유 필라멘트(10)들을 한 방향으로 꼬아 얀을 만든 것처럼, 복수의 얀을 모아 한 방향으로 직조해서 형성된 스트랜드를 말하는데, 후술하는 외부 브레이드용 스트랜드와 구별하기 위해 명명되었다.
상기 야닝 스트랜드(30)는 각각의 얀(20) 가닥간의 결합이 느슨하기 때문에, 길이방향으로 당기면 팽팽해지면서 직경은 줄어들고, 그 반대방향으로 모으면 이완되면서 섬유간 거리가 벌어지고, 따라서 직경은 크게 늘어난다. 그러므로, 상술한 바와 같이 로우프(1)를 굴곡시켰을 때, 굴곡 내측은 이완되어 야닝 스트랜드(30)의 직경이 늘어나면서 외부 브레이드에 밀착되게 되고, 이와 반대로 굴곡 외측은 팽팽하게 되어 야닝 스트랜드(30)의 직경이 줄어들면서, 그만큼 외부 브레이드의 내측면에 걸리는 밀어내는 힘이 줄어드는데, 따라서 로우프(1)가 굴곡되더라도 내부 브레이드(40)와 외부 브레이드(41) 간의 보완적인 상호 작용에 의해 로우프(1) 전체의 내구성 향상에 야닝 스트랜드(30)가 기여한다.
한편, 본 실시예에 있어서 외부 브레이드(41)는 브레이딩 스트랜드(31)를 직조하여 형성되는데, 여기서 브레이딩 스트랜드(31)라 함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레이드 직조의 방식과 동일하게, 즉 얀을 8배수로 모아 이웃하는 얀끼리 차례차례 교차시켜 조밀하게 직조한 스트랜드로서, 전술한 야닝 스트랜드(30)와 구별하기 위해 명명되었다.
상기 브레이딩 스트랜드(31)는 각각의 얀(20) 가닥간의 결합이 견고하게 유지되기 때문에, 당기거나 모아도 길이방향으로 그다지 신축되지 않으며, 그 직경도 거의 일정하게 유지된다. 그러므로, 로우프(1)를 반복적으로 굴곡시켜도, 외형이 크게 변형되거나 가닥간의 결합이 느슨해서 비롯되는 올풀림이 발생할 우려가 거의 없다.
본 고안자는, 마모 저감과 로우프 제품의 생산성 확보를 양립시키기 위해 상기 브레이딩 스트랜드(31)에 대한 최적의 직조 조건을 발견하였는 바, 리이드 비를, 한 리이드(L) 길이에 대한 직경의 비로 규정하면, 리이드 비가 2.5 ~ 5.5인 범위에서 마모 저감과 함께 로우프 제품의 생산성 확보가 담보된다.
상기 수치범위와 관련하여, 리이드 비를 하한치인 2.5보다 적게 설정하면, 직조 공정에 시간이 지나치게 소요되어 생산성이 떨어지고 직조조직이 지나치게 조밀하여 로우프(1)의 완성품이 경직되어 굴곡저항이 커진다. 한편으로, 리이드 비를 상한치인 5.5보다 크게 하면 직조조직이 지나치게 느슨하여 소정의 저마모 특성을 얻을 수 없게 된다.
한편, 상술한 바와 같이 야닝 스트랜드(30)와 브레이딩 스트랜드(31)가 각각 준비되면, 야닝 스트랜드(30)로서 내부 브레이드(40)를 먼저 직조하고나서 이 내부 브레이드(40)의 둘레를 에워싸도록, 브레이딩 스트랜드(31)로서 외부 브레이드(41)를 직조한다.
상기 야닝 스트랜드(30)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자체는 가닥간의 결합력이 약한데, 이들을 복수로 모아 이웃하는 야닝 스트랜드(30)를 한 가닥씩 교차하는 직조방식을 통해 내부 브레이드(40)로 직조되고나면, 각 가닥은 직조 방향을 따라 노출과 구속이 번갈아가며 이루어져 결과적으로 야닝 스트랜드(30)의 각 가닥간의 결합력이 확보되면서, 야닝 스트랜드(30) 특유의 유연성에 의해 내부 브레이드(40)의 유연성도 또한 확보된다.
그리고, 내부 브레이드(40)는 로우프(1)의 단면적의 67~75%를 이루며, 따라서 로우프 제품의 직경을 다양화하는 방법에는, 개개의 야닝 스트랜드(30)의 직경을 크게 또는 작게 조절하는 방법과, 내부 브레이드(40)로 직조되는 야닝 스트랜드(30)의 가닥수를 늘리거나 줄이는 방법이 있다. 예를 들어 큰 직경을 가지면서 유연성을 갖춘 로우프(1) 제품을 만들고자 하면, 전자 방법인, 개별 야닝 스트랜드(30)의 직경을 작게 하고 야닝 스트랜드(30)의 가닥수를 늘리면서, 상기 리이드 비도 다소 적게 해서 내부 브레이드(40)를 직조하면 된다. 반대로, 큰 직경을 가지면서 다소 굽힘성이 저하되지만 부하하중이 크게 걸려 고도의 인장 강도가 요구되는 로우프(1) 제품의 경우에는 후자 방법인, 내부 브레이드(40)로 직조되는 야닝 스트랜드(30)의 가닥수를 줄이고 또한, 상기 리이드 비도 가능한 한 크게 하여 느슨하게 직조하면 된다.
한편, 상기 브레이딩 스트랜드(31)는 상술한 바와 같이, 그 자체는 가닥간의 결합력이 강하면서도 직경이 작다. 따라서, 내부 브레이드(40)의 전체 둘레를 에워싸도록 외부 브레이드(41)를 직조할 때 종래보다 취급이 용이하다.
그리고, 외부 브레이드(41)는 로우프(1)의 단면적의 25~33%에 불과하지만 외피를 이루기 때문에, 로우프 제품에 부가가치를 첨가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는데, 예컨대, 고부가가치의 내마모성이 극대화되면서 무게도 가볍고 상대적으로 작은 직경을 갖는 제품을 만들고자 하면, 작은 직경의 브레이딩 스트랜드(31)를 한 가닥씩으로만 교차해서 조밀하게 직조하면 외부 브레이드(41)의 마찰 강도나 인장 강도가 크게 신장되면서 우수한 제품성을 갖추게 된다. 하지만, 외부 브레이드(41)의 직조에 걸리는 제조시간이 길어지는 만큼 로우프(1)의 제조비용은 상승된다.
이와 반대로, 생산성을 높여 제조비용을 낮추고자할 때는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브레이딩 스트랜드(31)를 두 가닥씩 한 조로 묶어 이웃하는 한 조씩 교차시켜 직조하면, 직조시간은 줄어들어 생산비용을 줄일 수 있게 때문에 저렴하면서도 내마모성과 기계적 강도도 적절히 겸비된 로우프(1) 제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브레이딩 스트랜드(31)를 두 가닥씩 한 조로 묶는 경우에도 브레이딩 스트랜드(31)의 직경을 작게 하는 한편, 가닥수를 늘림으로써, 외부 브레이드(41)의 표면상에 요철을 줄여 외표면을 매끈하게 직조하게 되면 외부 마찰에 대해 강한 내마모성을 갖추게 된다. 이처럼 다양한 조합을 통해 원하는 품질의 로우프(1)를 제조할 수 있다.
도 4는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1 실시예에 의한, 내부 브레이드(40)와 외부 브레이드(41)로 이루어진 로우프의 구조를 설명하는 부분 절단 측면도이다.
브레이드(40, 41)의 직조단계에서도 스트랜드 형성기와 다른 방식의 직조기계(도시 생략)가 사용된다. 보빈(도시 생략)에 감긴 야닝 스트랜드(30)는 집속 가이드(도시 생략)를 통과하면서 당겨진 뒤, 회전하는 유직기의 보빈 캐리어에 의해 내부 브레이드(40)로 직조된다. 이렇게 직조된 내부 브레이드(40)는 다시 유직기가 돌리는 보빈에 감겨진 후 상기 집속 가이드보다 더 큰 내경의 집속 가이드에 브레이딩 스트랜드(31)가 통과하면서 회전하는 유직기의 보빈 캐리어에 의해, 내부 브레이드(40)의 둘레에 외부 브레이드(41)가 직조되어 최종적으로 로우프(1)가 완성되게 된다.
도 6는 도 4의 로우프의 이중 구조를 설명하는 로우프의 정단면도이다.
도 6에는 내부 브레이드(40)가 8가닥의 야닝 스트랜드(30)로 직조되고, 외부 브레이드(41)가 2가닥을 1조로 16조, 총 32가닥의 브레이딩 스트랜드(31)로 직조되는데, 내부 브레이드(40)와 외부 브레이드(41) 모두 8배수로 모은 스트랜드로 직조된다. 그러나, 본 고안은 로우프의 가닥수가 이에 한정되는 것으로 의도된 것은 아니며, 상술한 바와 같이, 로우프(1)의 직경이나 용도에 따라 내부 브레이드(40)를 이루는 야닝 스트랜드(30)의 개별 굵기를 조절할 수도 있고, 야닝 스트랜드(30)의 가닥수를 조절할 수도 있으며, 가닥수를 조절할 때 8배수로 증감시킴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외부 브레이드(41)도 최종 로우프의 직경에 따라 브레이딩 스트랜드(31)의 가닥수를 8배수로 증감시키는데, 이처럼 내부 브레이드(40)와 외부 브레이드(41)를 각기 8배수의 스트랜드로 직조하도록 규정함으로써, 본 고안을 위한 전용 직조기계를 제작할 필요없이 범용 직조기계를 활용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제조비용 절감의 측면에서 유리하게 된다.
이처럼 제1 실시예는, 로우프(1)의 심부를 이루는 내부 브레이드(40)에 있어서, 야닝 스트랜드(30)는 상대적으로 굵게 형성된 얀(20)을 사용하여 한 방향 꼬임으로 스트랜드를 직조한 다음, 이 스트랜드를 한 가닥씩 교차하는 브레이딩 직조방식을 통해 내부 브레이드(40)를 형성함으로써, 야닝 스트랜드(30)의 가닥간의 결합력을 적절히 유지하면서 유연성을 확보하였고, 한편, 이 내부 브레이드(40) 위에 직조되는 외부 브레이드(41)는, 얀(20)을 한 가닥씩 교차해서 조밀하게 직조해서 브레이딩 스트랜드(31)를 형성한 다음, 이 브레이딩 스트랜드(31)를 2가닥씩 1조로 묶고 이 1조씩을 교차해서 외부 브레이드(41)를 형성함으로써, 매끈한 표면을 구현하여 내마모성을 향상시키고, 직조구조상 다소 뻣뻣하더라도 두께가 얇아 로우프의 유연성도 동시에 확보할 수 있다.
도 7은 본 고안의 바람직한 제2 실시예에 의한 로우프의 정단면도이다.
제2 실시예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브레이드(40)와 외부 브레이드(41) 사이에 중간 브레이드(42)를 추가한 경우이다.
중간 브레이드(42)는 브레이딩 스트랜드(31)로 직조되며, 두께와 가닥수 모두 외부 브레이드와 내부 브레이드의 중간 정도로서, 브레이딩 스트랜드(31) 2가닥을 1조로 8배수로 모아 이웃하는 조끼리를 교차해서 직조하는데, 도 7은 중간 브레이드(42)를 24가닥으로 직조한 경우를 나타낸다.
중간 브레이드(42)는, 로우프(1)의 직경을 크게 할 경우 내부 브레이드(40)의 직경을 크게 늘리게 되면 내부 브레이드(40)와 외부 브레이드(41) 간의 두께차이가 벌어져 일개 층의 외부 브레이드(41)만으로 하중 대비 마찰력을 극복하기 어려워 내구성이 저하되는 것을 보완하기 위해 적용된다.
중간 브레이드(42)가 적용되면, 로우프(1)의 인장강도는 크게 향상되는데, 외부 브레이드(41)와 중간 브레이드(42)를 동일한 브레이딩 스트랜드(31)로 직조하여 양자의 두께를 동일하게 하면 로우프(1)가 뻣뻣하게 되므로, 중간 브레이드(42)의 브레이딩 스트랜드(32)는 외부 브레이드(41)의 브레이딩 스트랜드(31)보다 직경을 크게 하고 또한 리이드 비도 상술한 범위의 상한치인 5.5에 근접하도록 하여 유연성을 부여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 브레이드(42)가 적용된 로우프(1)는 대형 선박의 계류용으로 탁월한 상품성을 갖게 된다.
10: 합성섬유 필라멘트 20: 얀
30: 야닝 스트랜드 31, 32: 브레이딩 스트랜드
40: 내부 브레이드 41: 외부 브레이드
42: 중간 브레이드

Claims (4)

  1. 여러 가닥의 섬유를 모아서 한 방향으로 꼬아 얀(yarn)이 구성되고, 이어서 복수의 상기 얀을 직조하여 스트랜드(strand)가 구성되며, 이어서 복수의 상기 스트랜드를 한 가닥씩 또는 두 가닥 이상을 한 조로 묶어 이웃하는 것과 교차해서 직조하는 브레이드(braid)체로서의 계류 로우프로서, 상기 브레이드체는 로우프의 심을 이루는 내부 브레이드와, 이 내부 브레이드의 외주를 둘러싸는 외부 브레이드로 구성되며, 상기 내부 브레이드는, 먼저 복수의 얀을 한 방향으로 직조하여 야닝 (yarning) 스트랜드를 형성하고나서, 이 야닝 스트랜드를 8가닥 이상 8 배수로 모아 한 가닥씩 이웃하는 가닥과 교차해서 직조되고, 상기 외부 브레이드는, 복수의 얀을 서로 이웃하는 얀끼리 교차해서 직조하여 브레이딩 스트랜드를 형성하고나서, 이 브레이딩 스트랜드를 16가닥 이상 8 배수로 모으고 다시 브레이딩 스트랜드의 두 가닥씩을 한 조로 하여 이웃하는 조끼리 교차해서 직조하여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계류 로우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야닝 스트랜드는 상기 브레이딩 스트랜드보다 큰 직경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계류 로우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브레이드는, 동심원상으로 이중 구조로 되어, 최외측의 외부 브레이드와, 이 외부 브레이드에 둘러싸이는 중간 브레이드로 형성되며, 상기 외부 브레이드의 브레이딩 스트랜드는 상기 중간 브레이드의 브레이딩 스트랜드보다 직경이 작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계류 로우프.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브레이딩 스트랜드의, 1 리이드를 그 직경으로 나눈 리이드 비를 2.5~5.5로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박용 계류 로우프.
KR2020120006693U 2012-07-26 2012-07-26 선박용 계류 로우프 KR200475026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693U KR200475026Y1 (ko) 2012-07-26 2012-07-26 선박용 계류 로우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693U KR200475026Y1 (ko) 2012-07-26 2012-07-26 선박용 계류 로우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761U true KR20140000761U (ko) 2014-02-05
KR200475026Y1 KR200475026Y1 (ko) 2014-11-12

Family

ID=522878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693U KR200475026Y1 (ko) 2012-07-26 2012-07-26 선박용 계류 로우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026Y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597476B2 (en) * 2020-08-25 2023-03-07 Thomas W. Fields Controlled failure point for a rope or mooring loop and method of use thereof
KR102619432B1 (ko) * 2020-09-23 2023-12-29 (주)한국반생 반생로프 및 그 제조방법
EP4148181A1 (en) * 2021-09-14 2023-03-15 Lankhorst Euronete Portugal, S.A. Cut resistant jacket
WO2023041580A1 (en) 2021-09-14 2023-03-23 Lankhorst Euronete Portugal, S.A. Cut resistant jacket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50006372Y1 (ko) * 1993-05-19 1995-08-08 주식회사 평화산업 선박용 복합로우프
JPH1161661A (ja) * 1997-08-22 1999-03-05 Naigai Seiko Kk 曳船用ロープ
JP2007119933A (ja) 2005-10-25 2007-05-17 Tokyo Seiko Seni Rope Kk 長尺繊維ロープの製造法および長尺繊維ロープ
CN102892946B (zh) 2010-05-17 2015-05-13 东京制纲株式会社 混合绳及其制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026Y1 (ko) 2014-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51447B2 (en) Jacket for a lengthy body
AU2010353318B2 (en) Hybrid rope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KR102098417B1 (ko) 하이브리드 로프 또는 하이브리드 스트랜드
EP2913433A1 (en) Synthetic-fiber rope
CN100427673C (zh) 无极绳
EP3143196B1 (en) Cut resistant rope
NO173250B (no) Kabel med fiberkjerne
EP2822887B1 (en) Spliced rope apparatus and method
KR200475026Y1 (ko) 선박용 계류 로우프
NO20210582A1 (no) Omflettet tau for pelagiske tråler
EP1456462B1 (en) Cable
JP3246495U (ja) 繊維ロープ
CN216765225U (zh) 一种耐老化的涤纶渔网线
CN219450249U (zh) 一种纤维绳索及其编织带护套
CN109215866B (zh) 一种分段式橄榄形铅条配重港机吊线控制缆及其制造方法
CN210008427U (zh) 一种新型钓鱼线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02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