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713A - Lte 및 bt 구성 상의 간섭 식별 방법 및 장치 - Google Patents

Lte 및 bt 구성 상의 간섭 식별 방법 및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713A
KR20140000713A KR1020137024686A KR20137024686A KR20140000713A KR 20140000713 A KR20140000713 A KR 20140000713A KR 1020137024686 A KR1020137024686 A KR 1020137024686A KR 20137024686 A KR20137024686 A KR 20137024686A KR 20140000713 A KR20140000713 A KR 2014000071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terference
wireless component
bluetooth
measuring
received sign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702468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28693B1 (ko
Inventor
창회 구
허윤형
지준 카이
Original Assignee
블랙베리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블랙베리 리미티드 filed Critical 블랙베리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4000071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71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286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286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06Receivers
    • H04B1/10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 H04B1/1027Means associated with receiver for limiting or suppressing noise or interference assessing signal quality or detecting noise/interference for the received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5/00Suppression or limitation of noise or interferen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2215/00Reducing interference at the transmission system level
    • H04B2215/061Reduction of burst noise, e.g. in TDMA systems
    • H04B2215/062Reduction of burst noise, e.g. in TDMA systems by inhibiting burst transmiss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디바이스내 상호 동작 모드를 제공하는 LTE 및 비LTE 컴포넌트를 구성할 때에 블루투스 컴포넌트 간섭 활성화를 추정하고 식별함으로써 동일 디바이스 상의 인접 대역에서 전개된 서로 다른 무선 기술들 간의 디바이스내 상호간섭을 회피할 수 있는 방법, 시스템 및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Description

LTE 및 BT 구성 상의 간섭 식별 방법 및 장치{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ERENCE IDENTIFICATION ON CONFIGURATION OF LTE AND B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통신 시스템과 그 동작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 양상에서, 본 발명은 인접 대역들에서 전개된 다양한 무선 기술 간의 상호간섭을 관리하는 방법, 시스템 및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관련 출원의 상호 인용
본 출원은 U.S.C §119(e)에 따라 미국 임시 특허출원 61/444,628[출원일: 2011년 2월 18일, 발명의 명칭: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erence Identification on Configuration of LTE and BT"]의 우선권을 주장한다. 이 미국 임시 특허출원 61/444,628은 예시적인 시스템과 방법을 포함하며, 그 전체 내용은 본 명세서에 원용된다.
스마트 접속 디바이스 시장이 성장하려면 이러한 디바이스가 그 내장 플랫폼 상에서 복수의 무선 기술을 지원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디바이스내 상호간섭(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으로 인해 심각한 성능 저하를 겪는 디바이스가 있을 수 있다. 예컨대, LTE(Long Term Evolution), (Bluetooth 및/또는 WLAN과 같은) ISM(Industrial, Science and Medical) 기술 및/또는 GNSS(Global Navigation Satellite System) 기술 모두를 지원하는 디바이스는 이런 무선 기술을 동시에 작동시키는 경우가 있다. 인접 대역들에서 전개되는 ISM 및/또는 GNSS 기술과 LTE 간에는 상호간섭 문제가 생긴다. 하기의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ISM 전송이 LTE 수신기와 간섭을 일으키는 경우에 상호간섭이 생기며, 또 LTE 전송이 ISM 수신기와 간섭을 일으키는 경우에도 상호간섭이 생긴다.
LTE TDD(2.3-2.4GHz, 대역 40)
LTE UL(2.5-2.6GHz, 대역 7)
ISM
(2.4-2.4835GHz)
상호간섭
Rx Tx LTE: 간섭됨
ISM: 정상
Tx Rx LTE: 정상
ISM: 간섭됨
디바이스내 구성 상의 LTE 컴포넌트와 ISM 컴포넌트의 간섭
LTE 컴포넌트와 GNSS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디바이스에서도 비슷한 상호간섭이 생긴다. 하기의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LTE 컴포넌트와 GNSS 컴포넌트가 동일 디바이스에서 작동하고 있는 경우에, 인접 주파수 대역 동작 또는 고조파 주파수로 인한 간섭이 있을 것이며, 이러한 간섭은 부고조파 주파수의 보호 대역을 할당하더라도 피할 수 없는 것이다.
LTE
(777-787MHz/746-756MHz, 대역 13)
(788-798MHz/758-768MHz, 대역 14)
GNSS
(1575.42MHz)
상호간섭
Rx Tx LTE: 정상
GNSS: 간섭됨
디바이스내 구성 상의 LTE 컴포넌트와 GNSS 컴포넌트의 간섭
잘 알겠지만, 현 수준의 필터 기술로는 단말 필터가 인접 채널 간섭을 충분히 걸러내지 못하기 때문에 상호간섭 문제를 해결하는 것은 어려운 일이다. 이러한 어려움은 이들 컴포넌트가 LTE 컴포넌트가 특정 대역에서 전송되고 있을 때에 간섭이 발생하는 단일 디바이스에서 구성된 경우에 특히 매우 크다. 따라서,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서로 다른 무선 기술들 간의 상호간섭을 관리할 수 있는 개선된 방법, 시스템 및 디바이스가 필요하다.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종래의 프로세스와 기술의 다른 제약과 단점은 당업자에게 명백히 드러날 것이다.
본 발명은 첨부 도면을 참조한 하기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잘 이해될 수 있으며, 그 목적, 특징 및 이점들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피코네트에서 하나의 SCO 링크와의 SCO HV1 패킷 전송 타이밍을 보여주는 도.
도 2는 피코네트에서 2개의 SCO 링크와의 SCO HV2 패킷 전송 타이밍을 보여주는 도.
도 3은 UE가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주기적으로 측정함으로써 BT 컴포넌트로부터 간섭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는 LTE 전송과 BT 전송 간의 예시적인 타이밍 관계를 보여주는 도.
도 4는 BT의 패킷 전송에 기초한 BT-RSSI 측정을 보여주는 도.
도 5는 LTE 컴포넌트와 BT 컴포넌트를 가진 디바이스내 상호간섭 시스템으로부터 간섭을 식별하는 간섭 검출 및 판정 모듈의 기능 블록도.
도 6은 사용자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 노드에서 디바이스내 상호간섭을 구현하는데 적합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터 시스템을 도시한 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동작할 수 있는 사용자 에이전트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 상에서 구현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환경을 보여주는 도.
도 8은 본 발명의 선택된 실시예에서 이용될 수 있는 이동 무선 통신 디바이스의 예시적인 컴포넌트를 보여주는 개략 블록도.
동일 디바이스 상에서 전개된 서로 다른 무선 기술들 간의 디바이스내 상호간섭을 회피할 수 있는 방법, 시스템 및 디바이스가 제공된다. 선택된 실시예에서는, 디바이스내 상호 동작 모드를 제공하는 LTE(Long Term Evolution) 및 BT(Bluetooth) 컴포넌트를 구성하는데 이용되는 SCO(Synchronous Connection Oriented) 또는 eSCO(Extended Synchronous Connection Oriented)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컴포넌트로부터의 간섭을 추정하고 식별하는 방법과 장치가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예시적인 실시예에 대해 첨부도면을 참조로 상세히 설명한다. 하기 설명에서는 여러 가지 세부 사항이 기재되지만, 본 발명은 이러한 특정의 세부 사항이 없더라도 실시될 수 있으며, 구현마다 다를 처리 기술 또는 설계 관련 제약의 준수와 같은 디바이스 설계자의 특정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여기서 설명되는 본 발명에 대해 많은 구현 특정 판단이 이루어질 수 있다. 그러한 개발 노력은 복잡하고 시간이 많이 걸릴 수 있으나, 본 발명의 이익을 누리는 당업자에게는 일상적인 것일 것이다. 예컨대, 선택된 양상은 본 발명을 한정하거나 애매하게 하는 것을 피하기 위해 세부적으로가 아니라 블록도와 플로우 차트 형태로 나타낸다. 게다가, 여기서 제공되는 상세한 설명의 일부는 컴퓨터 메모리 내의 데이터에 대한 알고리즘 또는 동작으로 표현된다. 당업자는 그와 같은 설명과 표현을 이용하여 작업 내용을 다른 당업자에게 기술하여 전달한다. 이하, 본 발명의 여러가지 예시적인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로 설명한다.
현재 진행 중인 3GPP 논의는 복수의 무선 기술의 동시 동작에 의해 유발되는 간섭을 다루는 것과 관련된 기술적 난제에 관한 것이었다. 여기서 난제는, ISM 송신기가 LTE 수신기와 간섭하는 경우 또는 LTE 송신기가 ISM 또는 GNSS 수신기 동작과 간섭을 일으키는 경우와 같이 서로 간섭할 수 있는 ISM(예컨대, 블루투스 및/또는 WLAN) 및/또는 GNSS 기술을 가지고 LTE 기술을 지원하는 단일 디바이스의 예를 참조로 이해될 수 있다. 예컨대, "LS on in-device coexistence interface"라는 제목의 3GPP report R4-102268에서 보고된 바와 같이, LTE 컴포넌트가 어떤 블루투스(BT) 컴포넌트 채널 조건에 대해 밴드 7 또는 밴드 40의 일부 채널에서 작동하고 있다면 BT 컴포넌트 에러율은 허용될 수 없다. 따라서, LTE 컴포넌트에 질적 저하가 없더라도, 이 컴포넌트가 BT 컴포넌트와 동시 동작하면 BT 헤드셋에서 종결되는 음성 서비스가 두절된다. LTE 전송이 GNSS 컴포넌트와 간섭할 때에도 유사한 문제가 존재한다. 현재로서는, LTE 스스로는 어떠한 질적 저하를 겪지 않기 때문에 이 문제를 해결할 RRM(Radio Resource Management) 메커니즘은 없다. 또한, 비LTE 컴포넌트에 의해 유발되는 LTE 컴포넌트 간섭 시나리오도 있다. 예컨대, 3GPP report R4-102268에서 보고된 바와 같이, BT 컴포넌트가 작동하고 있고 LTE가 밴드 40에서 전개된다면 LTE 다운링크(DL) 에러율은 매우 높을 수 있다(PDSCH에서 44-55%).
기존의 RRM(Radio Resource Management) 메커니즘과, RSRQ(Reference Signal Received Quality) 측정, 주파수간/RAT간 핸드오버, 셀 (재)선택, RLF(Radio Link Failure) 모니터링 및 접속 (재)설정과 같은 시그널링 절차를 이용하여 간섭 문제를 해결하는 시도가 있었다. 주요 문제와 논의는 1) 디바이스내 상호간섭을 어떻게 식별하는 가, 2) 디바이스내 상호간섭의 네트워크를 어떻게 통지하는 가, 3) 디바이스내 상호간섭을 피하기 위해서는 어떤 종류의 시그널링, 동작 및 절차가 필요한 가, 그리고 4) 디바이스내 상호간섭을 피하기 위한 최상의 방식이 무엇인가(즉, FDM(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인가 아니면 TDM(Time Division Multiplexing)인가)이다. 그러나, 기존의 절차는 상호간섭을 처리할 수 있고 필요한 서비스 품질(QoS)을 보장할 수 있는 지를 판단하기 위한 평가를 더 필요로 한다. 예컨대,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 교환을 이용하는 통상의 LTE 핸드오버 절차는, LTE DL 간섭이 있을 때에는 높은 DL 에러율이 DL RLF(Radio Link Failure)로 이어질 수 있고, 따라서 UE가 다른 주파수에 액세스하여 접속을 재설정하려고 시도하면 용인될 수 없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성공할 것으로 보장할 수 없다.
기존 RRM 메커니즘의 이용에 따른 그와 같은 한 가지 문제는 극한적인 상황에서만 이용하기로 되어 있으나 상시(on-going) 접속의 QoS 보증을 유지하도록 설계되어 있지는 않은 RLF로부터의 복구 지연에 의해 유발된 QoS 저하이다. 기존 RRM 메카니즘 이용의 다른 문제는 새로운 주파수 채널에서의 재설정된 접속으로부터 디바이스내 간섭에 의해 오류가 생긴 원 주파수 채널으로의 제2 핸드오버가 있을 때에 생기는 핑퐁(ping-pong) 효과이다. 예컨대, 오류가 생긴 채널의 원하는 신호 강도가 새로운 주파수 채널보다 높을 때엔 핑퐁 상황이 생길 수 있다. 핸드오버 판정이 UE(10)로부터의 RSRP 기반 측정 보고에 기초한다면, 핑퐁 효과는, 특히 반송 주파수마다 커버리지(coverage)가 다른 경우에 오류 채널과 원하는 채널 간에 UE(10)를 이리 저리 이전시키면서 오류 채널이 가장 강한 채널이 되게 한다. 소스 eNB(12)가 RSRP 대신에(또는 이에 더하여) RSRQ 측정을 이용하여 핸드오버 판정을 한다면 핑퐁 효과를 피할 수 있지만, eNB(12)가 어느 UE가 자신의 ISM 비(ratio)를 이용할 수 있는 지를 식별할 수 없기 때문에, eNB(12)는 셀 내의 모든 UE를 RSRQ 측정을 이용하도록 구성해야 할 것이며, 이는 추가적인 원치않는 구성/보고 경비를 요하게 된다.
비LTE 컴포넌트에 대한 시그널링 방식의 특성에 따른 추가적인 문제도 있다. 예컨대, 블루투스 컴포넌트에는 2종류의 패킷 전송 프로토콜(즉, ACL(Asynchronous Connection Link)과 SCO(Synchronous Connection-oriented Link))이 이용되는데, 이들은 그 시그널링 특성이 달라서 상호간섭 문제가 서로 다르다. 일반적으로 말하면, ACL 접속은 다음과 같은 특징을 갖고 있다. 먼저, ACL은 폴링(polling) TDMA 방식을 이용하여 일반적인 데이터 패킷에 이용되는 통상적인 형태의 무선 링크이다. 게다가, ACL은 원전송이 확인되지 않으면 재전송을 지원한다. ACL 접속은 엄격한 QoS 요건을 갖지 않으며, 따라서 완전히 재전송되고 연기될 수 있다. ACL 접속은 FEC(Forward Error Correction)도 지원한다. 그에 반해서, SCO와 eSCO(enhanced SCO)는 음성 데이터 패킷에 이용되는 통상적인 형태의 무선 링크이다. 게다가, SCO 링크는 기존 ACL 상의 예비 타임슬롯 세트를 갖고 있으며, 그에 따라 각 컴포넌트는 인코딩된 음성을 그 예비 타임슬롯에서 전송한다. eSCO는 재전송을 지원하지만, SCO 링크는 재전송을 지원하지 않는다. 마지막으로, SCO/eSCO 링크는 선택적인 FEC 지원을 제공한다. ACL 프로토콜과 eSCO/SCO 프로토콜 간의 주요 차이는 비동기적(ACL) 또는 동기적(SCO) 접속인 패킷 전송 타임슬롯 위치이다. BT 상의 애플리케이션이 엄격한 QoS(예컨대 음성)를 요구한다면, SCO가 최상의 프로토콜이 될 것이나, 이 애플리케이션이 재전송과 유연(flexible) 전송을 요구한다면, ACL 프로토콜이 이용된다.
SCO 링크 특성을 고려하면, BT 마스터는 디바이스로의 SCO 링크를 구축하고, 같은 슬레이브이거나 서로 다른 슬레이브일 수 있는 3개의 SCO 링크까지 지원할 수 있다. 이 링크들은 대칭적이어서, 각 방향에서의 데이터 레이트는 같고 패킷들은 항상 1 타임슬롯 길이를 갖는 규칙적인 간격으로(예컨대 2, 4 또는 6 슬롯마다) 미리결정된 타임슬롯 상에서 전송된다. FEC는 에러 정정에 이용된다. 표 3은 SCO 링크 특성을 보여준다.
타입 슬롯 목적 FEC 페이로드 전송 데이터 레이트
HV1 1 슬롯 HQ 음성 1/3 10바이트 2 슬롯마다 64Kbps
HV2 1 슬롯 HQ 음성 2/3 20바이트 4 슬롯마다 64Kbps
HV3 1 슬롯 HQ 음성 N/A 30바이트 6 슬롯마다 64Kbps
SCO 링크 특성
eSCO 패킷은 항상 미리 정해진 타임 슬롯에서 전송되기 때문에, 링크가 구축되면 eSCO 패킷들 간의 규칙적 간격이 특정된다. 패킷 길이는 1 또는 3 슬롯 길이일 수 있으며 특정 슬레이브에 통지되고 그리고/또는 이로부터 통지를 받는다. FEC는 에러 정정에 이용된다. 표 4는 eSCO 링크 특성을 보여준다.
타입 슬롯 목적 FEC 페이로드 전송 데이터 레이트
EV3 1 슬롯 확장 음성 N/A 30바이트까지 4 슬롯마다 96Kbps
EV4 3 슬롯 확장 음성 2/3 120바이트까지 8 슬롯마다 192Kbps
EV5 3 슬롯 확장 음성 N/A 180바이트까지 8 슬롯마다 288Kbps
eSCO 링크 특성
도 1과 도 2를 참조로 SCO 전송 방식과 eSCO 전송 방식 간의 차이를 설명한다. 도 1은 피코네트에서 하나의 슬레이브(11)를 가진 SCO HV1 링크의 패킷 전송 타이밍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마스터(10)와 슬레이브(11) 노드는 미리 정해진 동기화된 타임슬롯 상에서 2 타임슬롯마다 패킷(13/14)을 송수신하고 있다. 도 2는 피코네트에서 2개의 슬레이브(21, 22)를 가진 SCO HV2 링크의 패킷 전송 타이밍도이다. 여기서는 마스터 노드(20)는 패킷(23, 25)을 미리 정해진 동기화된 타임슬롯 상에서 2 타임슬롯마다 서로 다른 슬레이브 노드(21, 22)로 전송하고 있다. eSCO에 있어서는 서로 다른 슬레이브 노드로는 전송은 4 타임슬롯마다 회전하고 있다. 그러므로, 슬레이브(21, 22)는 패킷을 4 타임슬롯마다 수신(23, 25)하고 송신(24, 26)하고 있다.
디바이스내 상호간섭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고문, 제안서 및 문제가 많이 제시되어 있으나, 아직 최종 결론에는 도달하지 못했다. 예컨대, "Study on signalling and procedure for interference avoidance for in-device coexistence"(Release 10)라는 제목의 3GPP TR36.816 v1.0.0.1에 개시된 바와 같이, 3가지 서로 다른 동작 모드("Uncoordinated", "Coordinated within UE only" 및 "Coordinated within UE and Network")와 기본적인 해법(FDM 및 TDM)이 제안되어 있다. "Uncoordinated" 모드에서는, 동일 UE 내의 서로 다른 컴포넌트들이 서로 다른 컴포넌트들(LTE, ISM 및 GNSS) 간의 내부 조정없이 서로 독립적으로 동작한다. "Coordinated within UE only" 모드에서는, 동일 UE 내의 서로 다른 컴포넌트들 간에 내부 조정이 있으며, 이는 적어도 일 무선 장치의 활동이 다른 컴포넌트의 무선 장치에게 알려져 있지만, eNB는 UE가 겪을 수 있는 상호간섭 문제를 알지 못하며 따라서 조정에 포함되지 않는 다는 것을 의미한다. "Coordinated within UE and with Network" 모드에서는, UE 내의 서로 다른 컴포넌트들은 가능한 상호간섭 문제를 알고 있으며 UE는 eNB에게 그와 같은 정보와 문제를 알릴 수 있으며, 따라서 상호간섭 문제를 회피하는 방법을 결정하는 것은 주로 네트워크의 일이다. 제안된 바와 같이, FDM은 2가지 서로 다른 가능한 해법, 즉 1) LTE 신호를 ISM 주파수 대역으로부터 이동시키는 것과 2) ISM 신호를 LTE 주파수 대역으로부터 이동시키는 해법을 갖고 있다. 이러한 잠재적인 해법에 기초하여, 초기 논의와 연구의 토대로서 몇 가지 제안과 결정이 이루어졌지만, 윈리적으로 개념과 문제만이 소개되고 포착되었으며, 더 자세한 해법과 제안은 장래의 회합에서 제출되고 제시될 것이다.
FDM 해법
FDM 해법에서는, UE는 E-UTRAN에게 LTE 또는 다른 무선 신호의 송수신이 특정 반송파 또는 주파수 자원을 이용하지 않는 LTE로부터 이익을 얻거나 더 이상 이익을 얻지 못하는 때를 알린다. 이 방식에 따르면 FDM 해법의 기준 방식으로서 UE 판정이 이루어진다. 즉, UE는 디바이스내 상호간섭으로 인해 어느 주파수가 이용가능(또는 불가능)한 지를 표시할 것이다. 이 표시는 UE가 그 스스로 해결할 수 없는 ISM DL 수신 문제를 가질 때마다 UE에 의해 전송될 수 있다. 또, 이 표시는 UE가 그 스스로 해결할 수 없는 LTE DL 수신 문제를 가질 때마다 UE에 의해 전송될 수 있으며, eNB는 RRM 측정에 기초한 동작을 아직 행하지 않았다. LTE DL 송신이 ISM/GNSS DL 수신과 간섭하면, LTE 측정은 문제를 감지하는데 이용될 수 있으며, 문제를 보고하는 UE의 트리거의 세부 사항이이 아마도 3GPP에서는 특정되지 않을 것이다. ISM UL 송신이 LTE DL 수신과 간섭하면, 더 상세한 LTE DL 측정 또는 트리거가 특정될 필요가 있는 때(예컨대, ISM 송신에 관련한 측정을 행할 때에 대해)를 판단할 필요가 있다.
문제가 발생하는 UE로부터의 표시는 반응적(reactive)(문제가 검지된 때에만 보고되는 것을 의미)이거나 예방적(proactive)(잠재적 문제가 보고되는 것을 의미)인 것으로 분류될 수 있다. 반응적 표시는 기준으로서 지원되며, LTE DL 측정에 기초하지 않은 예방적 표시가 허용되어야 하는 지가 판단된다. 예방적이란 UE가, ISM 송신기가 그 활동을 증가시킨다면 주파수(제공 주파수 또는 후보 주파수)가 용인할 수 없는 높은 간섭을 겪을 수 있다는 것을 보고하는 경우를 말한다. 예방적 표시는 다음과 같은 2가지 경우, 즉 1) UE가 네트워크에게 자신을 (예컨대 ISM 트래픽의 증가로 인해) 상호간섭 문제를 겪을 수 있는 특정의 비제공(non-serving) 주파수로 핸드오버하지 말 것을 요청하는 경우와 2) 상호간섭 문제가 ISM 트래픽 증가로 인해 더 심각하게 될 수 있기 때문에 UE가 네트워크에게 현재 제공 주파수를 변경할 것을 요청하는 경우에 전송될 수 있다.
표준 그룹들은 이러한 표시(예컨대, 새로운 보고, CQI 더미값, 더미 RSRP 측정값 등)를 어떻게 전송할 지와 실제 해석기에 기초한 eNB에서의 서로 다른 핸드오버 폴리시를 가능하게 하는 보고에 추가 정보가 유용할 것인 지를 아직 결정하지 못하고 있다. 보조 정보 수신 시의 E-UTRAN 동작의 세부 사항은 아직 정해지지 않았으며, 이러한 FDM 방식들은 표시 메시지를 생성하고 처리하는데 상당히 많은 오버헤드 비용이 든다. 이러한 FDM 시나리오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의 선택된 실시예는 오버헤드를 저감할 수 있는 바람직한 주파수 해법을 제시한다.
TDM 해법
TDM 해법에서는, LTE-BT 상호간섭에 대한 TDM 해법을 분석할 때에 SCO, eSCO, A2DP 및 ACL 프로토콜이 디바이스내 BT 무선의 지원을 받는다고 가정한다. 그 외에도, LTE-WiFi 상호간섭에 대한 TDM 해법을 분석할 때에 비콘, 전력 절감 및 DCF 프로토콜이 디바이스내 WiFi 무선의 지원을 받는다고 가정한다. UE 제시 패턴이 없는 TDM 해법의 경우, UE는 필요한 정보(예컨대 해석기 종류, 모델 및 적당한 오프셋)를 서브프레임 단위로 eNB에 전송한다. 이 정보에 기초하여 TDM 패턴(즉, 스케쥴링 기간 및 스케쥴되지 않은 기간)이 eNB에 의해 구성된다. UE 제시 패턴이 있는 TDM 해법의 경우, UE는 이 패턴을 eNB에 제시하고, 그러면 eNB는 최종 TDM 패턴을 결정해야 한다. 3GPP TR36.816 v1.0.0.1에는 2가지 TDM 해법(DRX(Discontinuous Reception) 방식 해법과 H-ARQ 프로세스 예약 방식 해법)이 제안되어 있다.
DRX 방식 해법에서는 UE는 eNB에게 원하는 TDM 패턴을 제공한다. 예컨대, TDM 패턴에 관련된 파라미터는 (1) TDM 패턴의 주기성과 (2) 스케쥴된 기간(또는 스케쥴되지 않은 기간)으로 구성될 수 있다. UE 제시 TDM 패턴과 기타 다른 가능한 기준(예컨대 트래픽 타입)에 따라서 최종 DRX 구성을 결정하여 UE에 전송하는 것은 eNB의 일이다. 스케쥴링 기간은 DRX 동작의 활동 시간에 대응하며, 스케쥴링되지 않은 기간은 비활동 시간에 대응한다. eNB는 적당한 UL/DL 스케쥴링, SRS 전송 구성, DRX 커맨드 MAC 제어 요소 이용 등에 의해 상기 스케쥴링되지 않은 기간을 보증하려고 해야 한다. 비활동 시간 동안에는 UE는 전용 스케쥴링 요청 및/또는 RACH 절차의 개시를 연기할 수 있다.
H-ARQ 프로세스 예약 방식 해법에서는 LTE 동작을 위해 다수의 LTE HARQ 프로세스가 예비되며, 나머지 서브프레임은 ISM/GNSS 트래픽을 수용하는데 이용된다. 이 TDM 시나리오를 처리하기 위해 본 발명의 선택된 실시예는 LTE 및 BT 컴포넌트에 대한 간섭 검출 및 식별 방법에서 eSCO/SCO 프로토콜을 이용하는 것을 제안하며, 이러한 제안은 FDM 해법에도 마찬가지로 적용될 것이다.
핸드오버 키핑 타임
디바이스내 상호간섭을 관리하는 다른 방식은 핸드오버 동작의 성능을 개선하기 위해 핸드오프 후에도 비간섭 네트워크 노드가 간섭 네트워크 노드로 다시 전환하지 않도록 "키핑 타임" 파라미터를 상호간섭 모드 핸드오버 절차의 일부로서 설정하는 것이다. 동작 시, UE는 디바이스내 상호간섭으로 인한 간섭을 겪을 때에 "Keeping Time" 및 "Reason IDC(In-Device Coexistence)"를 가진 측정 보고 메시지를 트리거하여 전송하고, 그런 다음에, 비LTE 컴포넌트로부터 원치 않는 간섭을 피하기 위해 RAT간 또는 주파수간 핸드오버와 같은 핸드오버 절차를 개시한다. 핸드오버 완료 후에는, LTE와 비LTE 컴포넌트는 상호간섭없이 함께 작동할 수 있다. 게다가, 타겟 eNB(T-eNB)는 키핑 타임 기간 동안에는 소스 eNB(S-eNB)/셀의 이전 주파수로 다시 핸드오버하지 못한다. 이 키핑 타임 중에는 UE는 측정 보고를 트리거하지 못할 수 있으며, 또는 UE는 측정 보고를 위해 이전 S-eNB/셀로부터 그 주파수를 배제할 수 있다. 그러나, 키핑 타임이 경과한 후에는, 비LTE 컴포넌트가 작동불능으로 되었다면, T-eNB는 UE에게 S-eNB/셀의 이전 주파수로 다시 핸드오버하라고 지시할 수 있으며, 비LTE 컴포넌트가 작동불능으로 되지 않았다면 UE에서 간섭이 생길 수가 있다. 조기(premature) 핸드오버의 가능성을 처리하기 위해, 본 발명의 선택된 실시예는 원치 않는 간섭 또는 핑퐁 문제를 방지하기 위해 UE로부터의 요청에 기초하여 S-eNB를 통해 T-eNB에 초기에 표시된 키핑 타임을 확장하기 위한 시그널링, 절차 및 정보 요소를 제안한다.
기존 해법으로부터의 상호간섭 문제와 제한을 해결하기 위해, 여기서는 eSCO/SCO를 가진 LTE 및 BT의 구성에 대한 간섭을 식별하는 기술과, 잠재적으로 충동하는 시그널링 동작들이 서로 분리되는 디바이스내 상호간섭 플랫폼 상에서 키핑 타임을 갱신하는 시그널링 및 정보 요소가 개시된다.
LTE 및 BT의 구성 상에서의 간섭 식별
선택된 실시예에서, 블루투스 컴포넌트로부터의 디바이스내 공존 간섭은 BT 컴포넌트가 이용하는 eSCO/SCO 프로토콜의 동기 신호 전송 특성에 기초하여 식별된다. 동일 플랫폼 상의 LTE 컴포넌트의 관점에서, BT 신호로부터의 신호는 이 신호 전력의 주기적 시간 및 유사 임계 레벨을 가진 잡음 신호로 가정될 수 있다. 이러한 BT 신호의 특성에 기초하여, LTE 컴포넌트는, 간섭이 디바이스내 상호간섭으로 인해 나오는 것이든 아니면 로컬 간섭으로부터 나오는 것이든 상관없이, 기존의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 측정 방식 또는 새로운 측정 방법을 이용하여 그 간섭을 추정하여 식별할 수 있다.
방식 1: 기존 RSSI 측정을 이한 BT 간섭 식별
디바이스내 상호간섭 플랫폼 내의 BT 컴포넌트가 작동되는 선택된 실시예들에서, UE는 X개의 서브프레임(X는 eNB에 의해 구성됨)마다 RSSI를 측정하고, 측정된 RSSI가 미리결정된 임계값보다 크다면, 디바이스내 상호간섭 표시자를 더 높은 계층으로 전송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들 실시예에서는, 수신 신호의 측정은 "Evolved Universal Terrestrial Radio Access (E-UTRA); Physical layer, Measurements"(Rel-8)라는 제목의 3GPP TS36.214에 정의된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에 대응함을 알 것이다.
RSSI 정의 따라서, UE는 안테나 포트 0에 대한 기준 심볼을 포함하는 OFDM 심볼 상의 RSSI를 측정한다. 그러나, LTE 전송과 BT 전송 간의 비교 타이밍 관계를 보여주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서브프레임 기간은 LTE(30)에서 1ms이고, 슬롯 기간은 BT(31)에서 0.625ms이다. LTE와 BT는 서로 다른 서브프레임/슬롯 기간을 갖고 있으므로, 일부 서브프레임에서의 RSSI는 BT로부터의 간섭을 의미할 것이다. BT 측정 서브프레임은 LTE 서브프레임과 BT 슬롯이 중첩되기 때문에 BT 간섭이 정확하게 측정될 수 있는 LTE 서브프레임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UE는 RSSI를 측정함으로써 5ms마다(32) BT 컴포넌트로부터 간섭을 정확하게 검출할 수 있고, 이들 서브프레임은 BT 측정 서브프레임으로 간주될 수 있다. 만일 UE가 BT 간섭을 5ms마다(즉, 8 슬롯마다) 측정한다면, 이는 표 3과 4에 기술된 패킷 주기성의 대부분을 커버하고, UE 복잡성을 감소시킬 것이다.
대안으로서, LTE UE는 BT 측정 서브프레임을, BT 슬롯이 안테나 포트 0에 대한 기준 심볼을 포함하는 OFDM 심볼과 중첩되는 임의의 서브프레임으로서 결정될 수 있다. 이 방식은 LTE 및 BT 서브프레임이 동기화될 수 없는 경우에 유리할 것이다.
임계값을 초과하는 전력 레벨이 BT 측정 서브프레임 내에서 RSSI에서 측정된다면, UE는 간섭이 BT 컴포넌트로부터 나오는 것이라고 간주할 수 있다. 따라서, 하위 계층은 상위 계층에 BT 상호간섭을 표시한다. RSSI 측정 구현에 따라서는, RSSI는 복수의 서브프레임에 걸쳐 평균될 수 있다. 만일 BT 측정 서브프레임과 비BT 측정 서브프레임 모두에 걸쳐 간섭 평균화가 행해지면 BT 간섭을 검출하기 어려울 수 있으므로, 순간 RSSI 측정을 이용하여 BT 간섭을 검출함으로써 측정 정확도가 증가될 수 있다. 대안으로서, 간섭 평균화는 BT 측정 서브프레임 내에서 제한될 수도 있다.
임계값의 전력 레벨은 BT 컴포넌트의 최대 허용 전력에 기초한 고정값 또는 가변 레벨을 가지고 정의될 수 있다. 정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 UE는 BT 측정 서브프레임과, BT 측정 서브프레임으로서 포함되지 않은 비BT 측정 서브프레임 간에 RSSI 값들을 비교할 수 있다. 비교차가 미리결정된 임계값보다 크다면, 이는 BT로부터의 간섭이 있다는 것을 암시한다. 대안으로서, UE는 아무런 제약없이 통상적인 RSSI 측정을 수행할 수 있으므로 UE는 BT 측정 서브프레임 중에 RSSI값만을 측정하고 이 특정된 RSSI값을 임의의 서브프레임에서 측정된 통상적인 UE RSSI 측정값과 비교할 수 있다. 그러므로, 비BT 측정 서브프레임 중에 RSSI값을 측정할 필요는 없다.
UE측에서, UE는 먼저 BT 측정 서브프레임을 식별하고, 그런 다음에, 그 통상적인 RSSI 측정 이외에, 이 서브프레임 세트에 걸쳐 RSSI 측정을 수행한다. 그 다음, UE는 이들 2개의 값을 비교하고, 비교차가 미리결정된 임계값을 넘으면, BT 상호간섭이 표시된다. 선택된 실시예에서, 평균화 기간과 임계값은 UE에 미리 구성되거나 네트워크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더욱이, 표 3과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eSCO/SCO 링크 프로토콜에는 6개의 서로 다른 전송 모드가 있다. 측정 정확도를 개선하기 위해 LTE 컴포넌트는 상기 전송 모드에 각각 연관된 복수의 BT 측정 서브프레임 세트에서 RSSI 측정을 수행할 수 있다.
방식 2: 새로운 측정을 이용한 BT 간섭 식별
기존 RSSI 측정을 이용하여 BT 간섭을 식별하는 것은 현재 RSSI 측정 방법의 변형을 요하지 않기 때문에 구현하기가 비교적 간단하다. 그러나, RSSI 측정을 이용함으로써 UE는, BT 슬롯이 안테나 포트 0에 대한 기준 심볼을 포함하는 OFDM 심볼과 중첩될 때에, BT 간섭만을 검출할 수 있다. 더 빠르고 더 확실한 검출을 수행하기 위해, 본 발명의 선택된 실시예는 BT-RSSI(Bluetooth-RSSI) 측정값을 간섭원을 식별하는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로서 이용하는 새로운 수신 신호 측정 및 식별법을 제공한다. 개시된 바와 같이, BT-RSSI 측정값은 인접 셀로부터의 다른 간섭을 포함할 수 있으나, UE 수신에서의 각 수신 신호의 정확한 발생원을 구별하는 것이 가능하지 않을 수 있다.
이제, BT 컴포넌트의 패킷 전송에 기초한 BT-RSSI 측정을 보여주는 도 4를 참조로 새로운 측정 방식의 예시적인 실시예를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BT 마스터 디바이스(40)는 정해진 주기성을 가진 미리결정된 타임슬롯에서 전송하고 있다. 마스터 노드(40)로부터 슬레이브 노드(41)로의 이러한 전송은, LTE 컴포넌트가 수신 모드에 있다면, 이 LTE 컴포넌트와 간섭할 것이다. 게다가, 주기적 패킷 전송은 LTE 컴포넌트로의 주기적 간섭 발생으로 해석될 수 있다. LTE 컴포넌트는 패킷 주기 중의 간섭을 측정하기 위해 일 슬롯 타임으로 정의된 측정 윈도우를 이용하여 BT-RSSI를 측정한다. 이 방식은 LTE 및 BT 컴포넌트의 타이밍이 프레임 경계에서 정렬되지 않는 경우에 유리하다. 동작 시에, LTE 컴포넌트는 BT 간섭의 존부를 검출하기 위해 측정 윈도우(T_shift)를 이동시킨다. 피크 BT-RSSI를 정확하게 검출하기 위해서 측정 윈도우(T_shift)는 BT 슬롯(즉, 1 슬롯)보다 작을 필요가 있을 수 있다. 대안으로서, 이 윈도우의 기간은 eSCO 링크에서의 전송을 위해 3개 슬롯을 이용하는 경우에 최적화되도록 3개 슬롯일 수 있다.
간섭이 BT 컴포넌트로부터 나오는 지를 알아내기 위해, 여기서는 BT-RSSI 기간(42)과 임계값의 전력 레벨(43)에 대한 시그널링 파라미터가 개시된다. 먼저, "BT-RSSI 기간" 파라미터(42)는 2개의 연속한 패킷 전송으로부터 나오는 2개의 BT-RSSI 피크 간의 기간을 정의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BT-RSSI 기간 = Int_gap +/- Marginal_gap이다. 여기서, "Int_gap"은 BT-RSSI 시간차이고, "Marginal_gap"은 2개의 BT-RSSI 피크(잡음) 간의 시간 조정값이다.
두 번째 "BT-RSSI 임계값" 파라미터(43)는 BT-RSSI 피크의 임계값의 전력 레벨을 정의한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BT-RSSI 임계값 = Int_th +/- Marginal_th이다. 여기서, "Int_th"는 마진을 가진 최대 허용 Tx 전력, "Marginal_th"는 임계 조정의 전력 레벨, "Int_th_off"는 BT 트래픽의 오프 타임(off-time)의 전력 레벨이다.
측정 윈도우를 가지고 복수의 타이밍 인스턴스(instance)를 측정함으로써, LTE 컴포넌트는 피크 BT-RSSI 레벨을 찾고, 규칙적 패턴을 가진 복수의 피크가 검출되면, BT 컴포넌트로부터 간섭을 검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UE는 먼저 BT-RSSI 피크의 전력 레벨이 BT-RSSI 임계값보다 큰 지를 검사한다. 피크 BT-RSSI 레벨이 미리결정된 임계값보다 크고 2개의 연속한 피크의 시간차가 Int_gap과 Marginal_gap으로 정의된 간섭 기간과 일치한다면, UE는 이것이 BT로부터의 간섭이라고 판정하고, 상위 계층에 BT 상호간섭을 표시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BT 전송 패턴으로 인해 피크 및 오프 피크 BT-RSSI가 선택적으로 검출되기 때문에 "오프 피크의 전력 레벨" 파라미터도 다른 검출 파라미터로 이용될 수 있다. 하나의 측정 기간 중에 피크 BT-RSSI 레벨이 검출되고 나면, 다음 기간 중의 BT-RSSI 레벨은 최소 간섭 레벨(오프 피크 간섭)인 것으로 예상될 수 있다. 검출 정확도를 증가시키기 위해, LTE 컴포넌트는 오프 피크 간섭의 전력 레벨을 이용하고 또 피크와 오프 피크 BT-RSSI 레벨 간의 비교를 이용하여 간섭원을 식별할 수 있다. LTE와 BT 컴포넌트가 내부 통신 구성을 알고 있다면, BT-RSSI의 피크인 BT 슬롯마다 측정 윈도우없이 측정이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를 참조로 설명하면, 간섭 기간은 SCO 링크 프로토콜에서 고정 및 동기화되는 간섭 시간차(Int_gap)를 참조하여 정해진다. 그 결과, BT-RSSI 측정은 주기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인접 로컬 잡음이 없다면, 간섭 시간차는 주기적 잡음을 측정하기 위한 정확한 간섭 기간이 될 것이다. 그러나, (BT 패킷들일 수 있는) BT-RSSI 피크들 간의 시간 조정을 설명하기 위해서 마진 차이(marginal_gap)도 정해질 수 있다. 그 외에도, 간섭 임계값도 제공된다. 선택된 실시예에서, 임계값의 간섭 전력 레벨(Int_th)은 BT 구성과 커버리지 가능 범위에 따라서 다를 수 있다. 예컨대, 하기의 표 5는 각 BT 클래스에 대한 임계값의 여러 가지 전력 레벨을 보여준다. 대부분의 경우, 클래스 2 디바이스는 클래스 1 송수신기에 접속되면 그 유효 범위는 순수한 클래스 2 네트워크에 비해 확장된다. 그러나, 표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임계값의 전력 레벨은 클래스마다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최대 허용 전력에 기초하여, 특정 전력 레벨을 가진 간섭이 주기적으로 측정될 수 있다. 인접 로컬 잡음이 없다면, 간섭 임계값(Int_th)는 신호의 정확한 전력 레벨이 될 것이지만, 잡음이 있는 펄스들(패킷들) 간의 전력 조정을 설명하기 위해서 마진 임계값(marginal_th)도 정해질 수 있다.
클래스
최대 허용 전력 범위(근사)
mW dBm
클래스 1 100 20 100미터까지
클래스 2 2.5 4 10미터까지
클래스 3 1 0 1미터까지
BT 클래스
제안된 BT 간섭 식별 모듈
도 5는 LTE 컴포넌트(50)와 BT 컴포넌트(60)를 가진 디바이스내 상호간섭 시스템으로부터 나오는 간섭을 상기 새로운 BT-RSSI 측정을 이용하여 식별하는 간섭 검출 및 판정 모듈의 기능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컴포넌트(50, 60)는 대역통과 필터 스위치 및 안테나(70-72)를 공유하며, 송수신 전력 증폭기(57/58, 64/65), 무선 장치(56/63), PHY(53/62), 상위 계층(51/61)(예컨대 MAC 및 RRC 계층)과 같은 각자의 RF 체인 및 프로토콜 블록을 갖고 있다. 그러나, LTE 컴포넌트(50)는 수신 신호를 검출하고 이 수신 신호가 임계값보다 큰 지를 주기적으로 확인하는 추가적인 기능 블록(54, 55)을 갖고 있다. 비LTE 컴포넌트(60)가 그 Tx RF 모듈로부터 간섭(예컨대 패킷)을 발생하면, LTE 컴포넌트(50)는 에너지 또는 간섭 검출법을 이용하여 간섭을 식별할 수 있다. 간섭 검출 및 식별을 위해 LTE PHY(53)는 정의된 간섭 기간 및 임계값 파라미터를 이용한다. 특히, LTE 컴포넌트(50)는 제1 기능 블록(54)을 이용하여 비LTE 컴포넌트인 BT(60)로부터 나오는 더 높은 수신 신호 전력 레벨을 인식한다. 제2 기능 블록(55)에서는, LTE 컴포넌트(50)는 Int_gap과 marginal_gap 파라미터를 가지고 수신 신호의 주기를 측정한다. 이 검출 방식에 따라서, eSCO/SCO를 이용하는 BT 컴포넌트(60)는 평탄한(flat) 전력 레벨과 주기성을 가진 신호를 발생한다. 측정된 파라미터(예컨대 Int_th, marginal_th, Int_gap 및 marginal_gap)에 기초하여, LTE 컴포넌트(50)는 간섭이 BT 컴포넌트로부터 나오는 것인 지를 판정할 수 있다.
간섭이 BT 컴포넌트로부터 나오는 것으로 판단하면, LTE 컴포넌트(50)는 BT 상호간섭 표시자를 상위 계층(51)으로 전송한다. 오검출을 피하기 위해 상위 계층(51)은 BT 타이머(T_bt) 또는 카운터(N_bt)(52)를 적용한다. 그러므로, 상위 계층(51)이 T_bt 동안 또는 N_bt 이상 동안 BT 상호간섭 표시자들을 연속적으로 수신한다면, 상위 계층(51)은 디바이스내 상호간섭 표시 메시지를 생성하여 eNB에 전송한다. 대안으로서, 오검출은 하위 계층에서 끝나며(이는 하위 계층이 BT 간섭이 특정 시간 동안 발생한다고 판단할 때만을 의미함), 그런 다음에 표시자가 상위 계층으로 전송되고 메시지가 생성될 것이다. 표시 메시지를 수신하면, eNB는 예컨대 적절한 FDM 또는 TDM 해법을 적용하여 간섭을 피하도록 UE를 지원하는 적절한 동작을 수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타이머가 만료된 후에 제1 BT 상호간섭 표시자가 수신되면 타이머는 개시된다. T_bt 또는 N-bt는 eNB에 의해 미리 결정되거나 구성될 수 있다. 시그널링을 더 빠르고 효율적으로 하기 위해, BT 간섭 표시자에 대해 새로운 MAC CE가 정의되거나, 이 목적으로 다른 MAC CE의 일부 기존 예비 비트가 이용될 수 있다. 이는 다른 RRC 메시지 내의 IE로서 전송될 수도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각 측정 기간 동안의 측정 결과에 L3 필터가 적용되고 미리결정된 임계값와 비교될 수도 있다. 비교 결과가 연속 N_bt에 대해 더 크다면, 그 표시가 상위 계층에 전송된다.
UE가 DL에 대해 또는 DRX 모드의 비활동 시간에서 스케쥴링되지 않으면, UE는 전력 소비를 절감하고 원치 않는 시그널링을 피하기 위해 간섭을 측정하거나 표시 메시지를 전송하는 것을 그만 두도록 구성될 수 있다. 게다가, eNB는 적당한 식별 파라미터를 할당하기 위해 UE로부터 식별 관련 파라미터와 디바이스내 상호간섭의 구성 상태를 요청할 수 있다. 이 절차는 후술하는 바와 같은 UEInformationRequest 메시지와 같은 기존의 RRC 시그널링 메시지를 가지고 수행될 수 있다.
지금까지는 단일 플랫폼 상에서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예컨대 LTE 컴포넌트)와 제2 무선 기술 컴포넌트(예컨대 GNSS 또는 ISM)을 가진 사용자 장비(UE)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NB)에서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하였다. 개시된 시스템과 방법에서는, 기존의 RSSI 측정 또는 미리 정해진 측정 파라미터(예컨대 Int_gap, Marginal_gap, Int_th, Marginal_th 및 Int_th_off)를 이용하여 블루투스 컴포넌트로부터의 간섭을 식별하는 블루투스 컴포넌트 간섭 식별 방법이 제공된다. 그 외에도, 간섭을 식별하고 표시 메시지를 생성하기 위한 소정의 측정 파라미터(N_bt와 T_bt)를 이용하는 방식이 제공된다. 또한, BT 컴포넌트로부터의 간섭을 식별하기 위한 제시된 파라미터를 가진 간섭 검출 및 판정 모듈이 제공된다.
여기서 설명된 사용자 디바이스와 네트워크 요소는 필요한 작업부하를 처리할 수 있는 충분한 처리 능력, 메모리 자원 및 네트워크 처리 기능을 가진 범용 또는 전용의 컴퓨터를 포함할 수 있다. 도 6은 여기서 개시된 하나 이상의 실시예를 구현하는데 적합할 수 있는 예시적인 컴퓨터 시스템(1000)을 보여준다. 컴퓨터 시스템(1000)은 입/출력(I/O) 디바이스(1002),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1006), 선택적인 2차 스토리지(1008), RAM(Random Access Memory)(1010) 및 ROM(Read Only Memory)(1012)와 통신하는 프로세서(1004)(중앙 처리 장치(CPU)라고 할 수 있음)를 포함한다. 이 프로세서는 하나 이상의 CPU 칩으로 구현될 수 있다.
2차 스토리지(1008)는 선택적으로 포함되며, 통상적으로는, RAM(1010)이 모든 작업 데이터를 유지하기에 충분히 크지 않을 경우에 데이터의 불휘발성 저장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디스크 드라이브 또는 탭 드라이브 및/또는 오버플로우 데이터 저장 장치를 포함한다. 2차 스토리지(1008)는 RAM(1010)으로 로드되는 프로그램이 실행을 위해 선택될 때에 그 프로그램을 저장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ROM(1012)은 프로그램 실행 중에 읽어진 명령과 데이터를 저장하는데 이용된다. ROM(1012)은 통상적으로 2차 스토리지의 메모리 용량보다 작은 메모리 용량을 가진 불휘발성 메모리 디바이스이다. RAM(1010)은 휘발성 데이터와 명령을 저장하는데 이용된다. ROM(1012)과 RAM(1010)에의 액세스는 통상적으로 2차 스토리지(1008)보다 빠르다.
I/O 디바이스(1002)는 하나 이상의 프린터, 비디오 모니터, 액정 디스플레이(LCD),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키보드, 키패드, 스위치, 다이얼, 마우스, 트랙볼, 음성 인식기, 카드 판독기, 종이 테이프 판독기 또는 기타 공지의 입력 디바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1006)는 모뎀, 모뎀 뱅크, 이더넷 카드, USB(Universal Serial Bus) 인터페이스 카드, 시리얼 인터페이스, 토큰 링 카드, FDDI(Fiber Distributed Data Interface) 카드, W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카드,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및/또는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무선 송수신기 카드와 같은 무선 송수신기 카드, 및 다른 공지의 네트워크 디바이스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이들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1006)에 의해 프로세서(1004)는 인터넷 또는 하나 이상의 인트라넷과 통신할 수 있다. 그와 같은 네트워크 접속을 이용하면, 프로세서(1004)는 전술한 방법 단계들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네트워크로부터 정보를 수신하거나 네트워크에 정보를 출력할 수 있을 것이다. 그와 같은 정보(대개는 프로세서(1004)를 이용하여 실행될 명령 계열로 표현됨)는 반송파, 또는 RAM, ROM 또는 기타 다른 메모리 저장 디바이스와 같은 비일시적(non-transitory) 컴퓨터 판독 저장 매체로 구체화된 컴퓨터 데이터 신호의 형태로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거나 이에 출력될 수 있다.
그와 같은 정보는 예컨대 프로세서(1004)를 이용하여 실행될 명령 또는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컨대 컴퓨터 데이터 베이스밴드 신호 또는 반송파로 구체화된 신호의 형태로 네트워크로부터 수신되거나 이에 출력될 수 있다.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1006)에 의해 발생된 베이스밴드 신호 또는 반송파로 구체화된 신호는 전기 도선 내 또는 그 표면 상, 동축 케이블 내, 도파관 내, 광매체(예컨대 광파이버) 내, 또는 공중이나 자유 공간에서 전파할 수 있다. 베이스밴드 신호 또는 반송파로 구체화된 신호에 포함된 정보는 정보를 처리 또는 생성하거나 정보를 송신 또는 수신하는데 바람직할 수 있는 여러 가지 순서에 따라서 지시될 수 있다. 베이스밴드 신호 또는 반송파로 구체화된 신호, 또는 현재 이용되고 있거나 후에 개발될 다른 형태의 신호(이들 신호들은 여기서는 전송 매체라 함)는 당업자에 공지된 몇 가지 방법에 따라서 발생될 수 있다.
프로세서(1004)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광 디스크(이들 디스크 방식 시스템은 모두 2차 스토리지(1008)라고 생각할 수 있음), ROM(1012), RAM(1010) 또는 네트워크 접속 디바이스(1006)로부터 액세스하는 명령어, 코드, 컴퓨터 프로그램, 스크립트를 실행한다. 한 개의 프로세서(1004)만 도시되어 있지만, 복수의 프로세서가 존재할 수 있다. 따라서, 명령은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것으로 설명될 수 있지만, 명령은 동시에 또는 직렬로, 또는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으로서, 임의의 필요한 처리 기능은 암호화 엔진 또는 기타 다른 하드웨어 액셀러레이터(accelerator) 회로(미도시)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부 실시예에서 동작할 수 있는 통신 디바이스 및/또는 네트워크 노드 상에서 구현될 수 있는 소프트웨어 환경(1100)을 보여준다. 도시된 바와 같이, 통신 디바이스 또는 네트워크 노드에 있는 하나 이상의 처리 자원은 운영 체제 이외의 소프트웨어가 동작하는 플랫폼을 제공하는 운영 체제 드라이버(1104)를 실행한다. 운영 체제 드라이버(1104)는 애플리케이션 소프트웨어에 액세스할 수 있는 표준화된 인터페이스를 가진 디바이스 하드웨어용 드라이버를 제공한다. 운영 체제 드라이버(1104)는 디바이스 상에서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들 간에 제어를 전환시키는 AMS(Application Management Service)(1106)를 포함한다. UE 경우에, 소프트웨어 환경(1102)은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으로서 제공되는 웹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1108), 미디어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1110) 및 자바 애플릿(1112)을 포함한다. 웹브라우저 애플리케이션(1108)은 UE 디바이스가 웹브라우저로서 동작하도록 구성하며, 따라서 사용자는 정보를 서식에 입력하고 링크를 선택하여 웹페이지를 검색하여 볼 수 있다. 미디어 플레이어 애플리케이션(1110)은 UE가 오디오 또는 오디오비쥬얼 미디어를 검색하여 재생하도록 구성한다. 자바 애플릿(1112)은 UE 디바이스가 게임, 유틸리티 및 기타 다른 기능을 제공하도록 구성한다. 마지막으로, 컴포넌트(114)는 여기서 설명된 디바이스내 상호간섭 관리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선택된 실시예에서 이용될 수 있는 이동 무선 통신 디바이스(101)의 예시적인 컴포넌트를 보여주는 개략 블록도이다. 무선 디바이스(101)는 전술한 특징을 구현하기 위한 특정 컴포넌트를 갖고 있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무선 디바이스(101)는 예시적인 목적으로만 특정 세부 사항을 갖는 것으로 도시됨을 알아야 한다.
처리 디바이스(예컨대 마이크로프로세서(128))는 키보드(114)와 디스플레이(126) 사이에 연결된 것으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128)는 사용자에 의한 키보드(114) 상의 키 작동에 응답하여 디스플레이(126)의 동작은 물론 무선 디바이스(101)의 전체 동작을 제어한다.
무선 디바이스(101)는 수직으로 연장될 수 있는, 또는 다른 사이즈와 형태(클램셀(clamshell) 하우징 구조를 포함)를 취할 수 있는 하우징을 갖고 있다. 키보드(114)는 모드 선택키, 또는 텍스트 입력과 전화 입력 간의 전환을 위한 다른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를 포함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128) 이외에도, 무선 디바이스(101)의 다른 파트들도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이들 파트는 통신 서브시스템(170); 단거리 통신 서브시스템(102); 키보드(114); 디스플레이(126); LED 세트(104), 보조 I/O 디바이스(106), 시리얼 포트(108), 시피커(111) 및 마이크로폰(112)을 포함한 다른 입/출력 디바이스; 플래시 메모리(116) 및 RAM(Random Access Memory)(118)을 포함한 메모리 디바이스; 및 기타 다른 여러 가지 디바이스 서브시스템(120)을 포함한다. 무선 디바이스(101)는 무선 디바이스(101)의 능동 소자에 전력을 공급하는 배터리(121)를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무선 디바이스(101)는 음성 및 데이터 통신 기능을 가진 양방향 무선 주파수(RF) 통신 디바이스이다. 그 외에도, 일부 실시예에서, 인터넷을 통해 다른 컴퓨터 시스템과 통신할 수 있는 기능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마이크로프로세서(128)에 의해 실행되는 운영 체제 소프트웨어는 플래시 메모리(116)와 같은 영구적 저장 장치에 저장되나, ROM(Read Only Memory)이나 그 유사 저장 장치와 같은 다른 형태의 메모리 디바이스에 저장될 수 있다. 그 외에도, 시스템 소프트웨어, 특정 디바이스 애플리케이션 또는 그 일부는 RAM(118)과 같은 휘발성 저장 장치에 임시로 로드될 수 있다. 무선 디바이스(101)가 수신한 통신 신호도 RAM(118)에 저장될 수 있다.
마이크로프로세서(128)는 그 운영 체제 기능 이외에도 무선 디바이스(101) 상에서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의 실행을 가능하게 한다. 음성 통신 모듈(130A)이나 데이터 통신 모듈(130B)과 같이 기본적인 디바이스 동작을 제어하는 미리결정된 세트의 소프트웨어 애플리케이션은 제조 중에 무선 디바이스(101)에 설치될 수 있다. 게다가, PIM(Personal Information Manager) 애플리케이션 모듈(130C)도 제조 중에 무선 디바이스(101)에 설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PIM 애플리케이션은 e-메일, 캘린더 이벤트, 음성 메일, 약속 및 과제 항목과 같은 데이터 항목을 구성하고 관리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PIM 애플리케이션은 무선 네트워크(110)를 통해 데이터 항목을 송수신할 수도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PIM 애플리케이션이 관리하는 데이터 항목은 무선 네트워크(110)를 통해 이음새없이(seamlessly) 집적되고, 동기화되고, 갱신되며, 디바이스 사용자의 대응 데이터 항목은 호스트 컴퓨터 시스템에 저장 또는 연관된다. 또한, 다른 소프트웨어 모듈(130N)로 나타낸 추가적인 소프트웨어 모듈도 제조 중에 설치될 수 있다.
데이터 및 음성 통신을 포함하는 통신 기능은 통신 서브시스템(170)과 단거리 통신 서브시스템(102)을 통해 수행된다. 통신 서브시스템(170)은 수신기(150), 송신기(152), 그리고 수신 안테나(154)와 송신 안테나(156)으로 나타낸 하나 이상의 안테나를 포함한다. 게다가, 통신 서브시스템(170)은 DSP(Digital Signal Processor)(158)와 같은 처리 모듈과, LO(Local Oscillator)(160)도 포함한다. 일부 실시예에서 통신 서브시스템(170)은 각 RAT에 대해 (안테나(154, 156)와 유사한) 별도의 안테나 구성과 (수신기(150), LO(160) 및 송신기(152)와 유사한) RF 처리 칩/블록을 포함하지만, (DSP(158)와 유사한) 공통의 베이스밴드 신호 프로세서는 복수의 RAT에 대한 배이스밴드 처리에 이용될 수 있다. 통신 서브시스템(170)의 특정 설계와 구현은 무선 디바이스(101)가 동작하는 통신 네트워크에 따라 다르다. 예컨대, 무선 디바이스(101)의 통신 서브시스템(170)은 Mobitex™, DataTAC™ 또는 GPRS(General Packet Radio Service) 이동 데이터 통신 네트워크로 동작하도록 설계될 수 있으며, 또, AMPS(Advanced Mobile Phone Service),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PCS(Personal Communications Service), GSM(G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등과 같은 다양한 음성 통신 네트워크로 동작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CDMA의 예는 1X와 1x EV-DO를 포함한다. 또한, 통신 서브시스템(170)은 802.11 Wi-Fi 네트워크 및/또는 802.16 WiMAX 네트워크로 동작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다른 형태의 데이터 및 음성 네트워크도 독립형이나 집적형 모두 무선 디바이스(101)에 이용될 수 있다.
네트워크 액세스는 통신 시스템의 형태에 따라 다를 수 있다. 예컨대, Mobitex™와 DataTAC™ 네트워크에서는 무선 디바이스는 각 디바이스와 연관된 고유 PIN(Personal Identification Number)을 이용하여 네트워크에 등록된다. 그러나, GPRS 네트워크에서는 네트워크 액세스는 통상적으로 가입자 또는 디바이스 사용자와 연관된다. 그러므로 GPRS 디바이스는 통상적으로 GPRS 네트워크 상에서 동작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SIM(Subscriber Identity Module) 카드라 불리는 가입자 신원 모듈을 갖는다.
네트워크 등록 또는 활성화 절차가 완료되면, 무선 디바이스(101)는 통신 네트워크(113)를 통해 통신 신호를 송수신할 수 있다. 수신 안테나(154)가 통신 네트워크(113)로부터 수신한 신호는 수신기(150)로 보내지고, 수신기(150)는 신호 증폭, 주파수 다운컨버젼, 필터링, 채널 선택 등을 수행하고, 또 아날로그-디지털 변환도 수행할 수 있다. 수신 신호의 아날로그-디지털 변환에 의해 DSP(158)는 복조와 디코딩과 같은 더 복잡한 통신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네트워크(113)로 송신될 신호는 DSP(158)에 의해 처리되어(예컨대 변조 및 인코딩되어) 송신기(152)로 제공되고, 이 송신기(152)는 이 신호에 대해 디지털-아날로그 변환, 주파수 업컨버젼, 필터링, 증폭, 및 송신 안테나(156)를 통한 통신 네트워크(113)(또는 네트워크들)로의 송신을 수행한다.
DSP(158)는, 통신 신호를 처리하는 것 이외에도, 수신기(150)와 송신기(152)를 제어한다. 예컨대, 수신기(150)와 송신기(152)에서 통신 신호에 적용된 이득은 DSP(158)에서 구현된 자동 이득 제어 알고리즘을 통해 적응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데이터 통신 모드에서, 텍스트 메시지나 웹페이지 다운로드와 같은 수신 신호는 통신 서브시스템(170)에 의해 처리된 다음에 마이크로프로세서(128)에 입력된다. 그런 다음, 이 수신 신호는 마이크로프로세서(128)에 의해 더 처리된 후에 디스플레이(126) 또는 다른 어떤 보조 I/O 디바이스(106)로 출력된다. 디바이스 사용자는 키보드(114) 및/또는, 터치 패드, 로커 스위치, 썸휠 또는 기타 다른 형태의 입력 디바이스와 같은 다른 보조 I/O 디바이스(106)를 이용하여 e-메일과 같은 데이터 항목을 작성할 수도 있다. 작성된 데이터 항목은 통신 서브시스템(170)을 통해 통신 네트워크(113) 상으로 전송될 수 있다.
음성 통신 모드에서는 디바이스의 전체 동작은 데이터 통신 모드와 거의 유사하지만, 수신 신호가 스피커(111)로 출력되고, 송신할 신호가 마이크로폰(112)에 의해 발생된다는 점이 다르다. 음성 메시지 녹화 서브시스템과 같은 다른 음성 또는 오디오 I/O 서브시스템도 무선 디바이스(101) 상에 구현될 수 있다. 그 외에, 디스플레이(126)도 음성 통신 모드에서, 예컨대 호출측의 신원, 음성호의 지속 기간 또는 기타 다른 음성호 관련 정보를 표시하는데 이용될 수 있다.
단거리 통신 서브시스템(102)은 무선 디바이스(101)와 다른 근접한 시스템이나 디바이스(반드시 무선 디바이스(101)와 유사한 디바이스일 필요는 없음) 간의 통신을 가능하게 한다. 예컨대, 단거리 통신 서브시스템은 유사 작동(similarly-enabled) 시스템 및 디바이스와의 통신을 제공하는 적외선 디바이스 및 그 관련 회로와 컴포넌트 또는 Bluetooth™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지금까지는 단일 플랫폼 상에서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예컨대 LTE 컴포넌트)와 제2 무선 기술 컴포넌트(예컨대 GPS 또는 ISM)를 가진 사용자 장비(UE)가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NB)에서 이용하는 방법에 대해 개시하였다. 개시된 시스템과 방법에서,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는 eSCO/SCO 프로토콜의 미리결정된 신호 특성에 기초하여 BT 컴포넌트로부터의 간섭을 식별한다. 그 외에도, 전술한 바와 같이 상호간섭 모드에서 사용자 장비(UE) 및/또는 무선 액세스 네트워크(eNB)를 동작시키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실행되도록 구성된 명령이 구체화된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를 가진 컴퓨터 판독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개시된다.
또한, 단일 플랫폼 상에 LTE 컴포넌트일 수 있는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와 BT 컴포넌트일 수 있는 제2 무선 기술 컴포넌트를 가진 사용자 장비(UE)에서 블루투스 간섭을 식별하는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방법에서,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에서의 신호 간섭은, 예컨대 제2 무선 기술 컴포넌트가 이용하고 있는 소정의 SCO 또는 eSCO 전송 모드에 대응하는 미리결정된 시구간에서 RSSI를 측정함으로써, 미리결정된 시구간에서 수신 신호 전력으로서 검출 및 측정되어 BT SCO 또는 eSCO 전송에 대응하는 복수의 측정값을 생성한다. 선택된 실시예에서 수신 신호 전력은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시스템 파라미터로서 UE에 수신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간섭 식별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동기 전송 패턴을 식별하기 위해 제1 무선 컴포넌트에서 신호 간섭을 처리함으로써 측정된다. 식별 관련 파라미터와 구성 상태는 하나 이상의 간섭 식별 파라미터를 할당하기 위해 eNB에 의해 RRC(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예컨대 UEInformationRequest)에서 요청될 수 있다. 예컨대, 수신 신호 전력은 미리결정된 안테나 포트에서 기준 심볼을 포함하는 OFDM 심볼 상에서 미리결정된 서브프레임에서(예컨대, 제2 무선 기술 컴포넌트가 작동될 때에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된 RSSI 서브프레임마다, 또는 블루투스 전송 슬롯과 중첩되는 서브프레임마다) RSSI를 측정함으로써 측정된다. 복수의 측정값이 임계 전력 레벨값을 초과하면, 디바이스내 상호간섭 표시자 메시지는 제1 무선 컴포넌트로부터 상위 계층으로 전송되어 제2 무선 무선 컴포넌트로부터의 SCO 또는 eSCO 간섭을 표시한다. 대안으로서, 미리결정된 시구간에서 취한 복수의 측정값의 평균이 제2 무선 기술 컴포넌트에 대한 전송 클래스에 따라서 고정되거나 변할 수 있는 임계 전력값을 초과하면 디바이스내 상호간섭 표시자 메시지가 전송된다. 일부 실시예에서, BT 측정 서브프레임과 비BT 측정 서브프레임에서 RSSI값을 측정하고, 그런 다음에 BT 측정 서브프레임과 비BT 측정 서브프레임 간에 RSSI값을 비교하여 차이값을 계산함으로써 수신 신호 전력이 측정된다. 이 차이값이 미리결정된 임계값을 넘으면 디바이스내 상호간섭 표시자 메시지가 전송된다. 이 구성에서, BT 측정 서브프레임은 BT 전송 슬롯과 중첩되는 서브프레임이고, 비BT 측정 서브프레임은 BT 측정 서브프레임에 포함되지 않은 서브프레임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BT 측정 서브프레임에서 RSSI값을 측정하고, BT 측정 서브프레임과 임의의 서브프레임에서 측정된 정규의 UE RSSI 측정값 간의 RSSI값을 비교하고, 그 차이값이 미리결정된 임계값을 넘으면 디바이스내 상호간섭 표시자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수신 신호 전력이 측정된다.
다른 실시예에 따라서, 개시된 방법은 E-UTRA Carrier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로서의 BT SCO 또는 eSCO 전송에 대응하는 복수의 측정값을 생성하기 위해 소정의 전력 임계값와 주기수값을 이용하여 동기 신호 패턴을 식별하기 위해 제1 무선 컴포넌트에서 신호 간섭을 처리함으로써 수신 신호 전력을 측정한다. 이들 실시예에서, E-UTRA Carrier RSSI 측정값은 모든 소스 중 N개 자원 블록에 걸쳐 특정 측정 대역폭에서 소정의 블루투스 타임 슬롯 동안에 관찰된 총 수신 전력의 선형적 평균을 측정한다. 개시된 바와 같이, 미리결정된 전력 임계값와 주기수값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시스템 파라미터로서 UE에 수신될 수 있다. 게다가, 미리결정된 전력 임계값은 제2 무선 기술 컴포넌트에 대한 전송 클래스에 따라서 가변적일 수 있으며, 하나 이상의 상위 계층에 의해 구성되는 최대 허용 송신 전력값과 마진 임계 조정값의 조합(예컨대, 최대 허용 송신 전력값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 마진 임계 조정값)로서 계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주기수값은 고정 간섭 시간차값과 마진 조정 시간차값의 조합(예컨대 고정 간섭 시간차값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 마진 조정 시간차값)으로 계산될 수 있다. 이 방식에 따라서, 제1 무선 컴포넌트에서의 수신 신호 전력은, 제1 무선 컴포넌트에 조정가능한 측정 윈도우를 적용하여 미리결정된 시구간에서 수신 신호 전력을 측정하는 것과 같이, 각각이 미리결정된 전력 임계값을 넘는 복수의 피크 신호를 식별하기 위해 연속한 블루투스 타임 슬롯에 걸쳐 측정된다. 이런 식으로,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와 제2 무선 기술 컴포넌트 간의 전송 타이밍이 조정되지 않을 때에 각 피크 수신 신호는 블루투스 RSSI(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로서 식별될 수 있다. 그 외에도, 2개의 연속한 피크 신호 간의 시간차가 측정되며, 이 시간차가 SCO 전송 또는 eSCO 전송에 대응하는 지 판단된다. 선택된 실시예에서, 이 판단은 SCO 전송 또는 eSCO 전송에 대응하는 조정가능한 기준 차이값을 상위 계층에 의해 구성된 마진 조정 시간차와 고정된 간섭 시간차의 조합으로서 계산하고 이 조정가능한 기준 차이값이 이 시간차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함으로써 판단이 이루어진다. 더 정확하게 하기 위해, 수신 신호 강도 측정은 연속한 블루투스 타임 슬롯에 걸쳐 제1 무선 컴포넌트에서 수신 신호 전력을 측정하여 복수의 피크 신호에 인접한 복수의 오프 피크 신호를 식별할 수도 있다. UE 상태를 질의하기 위해, E-UTRAN 네트워크 노드는, UE가 검출된 블루투스 간섭으로 인해 디바이스내 상호간섭 동작 모드를 요청하였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In-DeviceCoexistenceReq 정보 요소를 포함하는 UEInformationRequest 메시지를 전송한다.
그 외에도, 제1 및 제2 무선 기술 컴포넌트를 공유 UE 플랫폼에서 동작시키는 UE 디바이스와 방법이 개시된다. 개시된 바와 같이, UE 디바이스는 하나 이상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 복수의 RF 프로토콜 계층을 가진 LTE 컴포넌트, 및 복수의 RF 프로토콜 계층을 가진 BT 컴포넌트를 포함한다. 또한, UE는 신호 간섭을 검출하고, BT SCO 또는 eSCO 전송에 대응하는 복수의 측정값을 생성하기 위해 미리결정된 시 구간에서 LTE 컴포넌트에서 수신 신호 전력을 측정함으로써 BT 컴포넌트에 의해 유발된 LTE 컴포넌트에서의 블루투스 간섭을 식별하도록 구성된 프로세서 제어 로직 및/또는 회로도 포함한다. 이를 위해, 프로세서 제어 로직 및/또는 회로는 (전력 임계값을 초과하는 복수의 측정값을 식별하는) 간섭 검출 모듈과(주기수값을 만족하는 복수의 측정값을 식별하는) 간섭 판정 모듈을 포함한다. 선택된 실시예에서, 전력 임계값은 하나 이상의 상위 계층에 의해 구성될 수 있는 마진 임계 조정값와 최대 허용 송신 전력의 조합으로서 계산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주기수값은 하나 이상의 상위 계층에 의해 구성될 수 있는 마진 조정 시간차와 고정 간섭 시간차의 조합으로서 계산될 수 있다. 그 외에도, 프로세서 제어 로직 및/또는 회로는 복수의 측정값이 임계 전력 레벨값을 초과한다면 제1 무선 컴포넌트로부터 디바이스내 상호간섭 표시자 메시지를 전송하여 제2 무선 컴포넌트로부터의 SCO 또는 eSCO 간섭을 표시하도록 구성된다.
또 다른 형태에서, 단일 플랫폼 상에서 제1 및 제2 무선 기술 컴포넌트를 가진 사용자 장비(UE)에서 블루투스 간섭을 식별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실행되도록 구성된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가 구체화 되어 있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저장 매체로서 구현된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이 개시된다. 개시된 바와 같이,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신호 간섭을 검출하고, 블루투스 SCO(Synchronous Connection Oriented) 전송 또는 eSCO(Extended Synchronous Connection Oriented) 전송에 대응하는 복수의 측정값을 생성하기 위해 미리결정된 시 구간에서 제1 무선 기술 컴포넌트에서 수신 신호 전력을 측정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한다. 그 외에도,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은 복수의 측정값이 임계 전력 레벨값을 초과한다면 제1 무선 컴포넌트로부터 디바이스내 상호간섭 표시자 메시지를 전송하여 제2 무선 컴포넌트로부터의 SCO 또는 eSCO 간섭을 표시하기 위한 명령을 포함한다.
특정 실시예의 전체적인 맥락에서 명백하듯이, 신호 통신에서 "결합된", "접속된", 전기적으로 접속된" 등과 같은 여기서 사용된 용어는 컴포넌트들 간 직접적 접속, 컴포넌트들 간 간접적 접속 또는 이 둘 다를 포함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용어 "결합된"은 직접적인 전기적 접속을 포함하는 것이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은 상기 교시에 따라 다양하게 변형 및 수정할 수 있다. 그러므로 청구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는 본 명세서에 구체적으로 기재되어 있지 않더라도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알아야 한다.
상기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서로 다른 시그널링 컴포넌트들이 상호간섭을 피하기 위해 시간적으로 분리되는 상호간섭 동작 모드에 대해서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은 매우 다양한 시그널링 방식 및 응용 분야에 적용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발명적 양상을 보여주는 예시적인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그 교시의 혜택을 누리는 당업자에 명백한 다양한 등가적 방식으로 변형 실시될 수 있으므로, 상기 특정 실시예들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으로 보아서는 않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을 기재된 그 형태로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첨부된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본질과 범위 내에 포함될 수 있는 대안, 변형 및 등가를 포함하는 것이며, 따라서, 당업자는 본 발명의 본질과 범위로부터 벗어남이 없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치환 및 변경할 수 있음을 알아야 한다.
부록
이 부록은 디바이스내 상호간섭의 관리와 회피에 관한 선택된 3GPP TS 리포트와 사양의 변경에 대한 것이다
Figure pct00001
Figure pct00002

Claims (52)

  1. 단일 플랫폼 상에서 제1 무선 컴포넌트 및 제2 무선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에서 블루투스 간섭을 식별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컴포넌트에서 신호 간섭을 검출하는 단계;
    블루투스 동기식 접속 지향(SCO; Synchronous Connection Oriented) 전송 또는 확장된 동기식 접속 지향(eSCO; Extended Synchronous Connection Oriented) 전송에 대응하는 복수의 측정값을 생성하기 위해 미리결정된 시 구간(time intervals)에서 상기 제1 무선 컴포넌트에서 수신 신호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측정값이 임계 전력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2 무선 컴포넌트로부터 SCO 또는 eSCO 간섭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제1 무선 컴포넌트로부터 디바이스내 상호간섭 표시자(in-device coexistence indicator)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간섭 식별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컴포넌트는 LTE 컴포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2 무선 컴포넌트는 블루투스(BT; Bluetooth)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간섭 식별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무선 컴포넌트에서 수신 신호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는 미리결정된 서브프레임에서 상기 수신 신호 전력의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RSSI; Received Signal Strength Indicator)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간섭 식별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RSSI를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무선 컴포넌트가 작동(enable)될 때에 네트워크에 의해 구성된 서브프레임마다 RSSI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간섭 식별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는 블루투스 전송 슬롯과 중첩되는 서브프레임마다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RSSI)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간섭 식별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는 미리결정된 안테나 포트에서 기준 심볼을 포함하는 OFDM 심볼 상에서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RSSI)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간섭 식별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내 상호간섭 표시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디바이스내 상호간섭 표시자를 상위 계층(higher layer)에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간섭 식별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내 상호간섭 표시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미리결정된 시 구간에서 취한 복수의 측정값의 평균이 상기 임계 전력값을 초과하면 상기 디바이스내 상호간섭 표시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간섭 식별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전력값은 고정된 것인 블루투스 간섭 식별 방법.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임계 전력값은 상기 제2 무선 컴포넌트에 대한 전송 클래스에 기초하여 가변적인 것인 블루투스 간섭 식별 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는
    블루투스(BT) 측정 서브프레임과 비BT(non-BT) 측정 서브프레임에서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RSSI)값을 측정하는 단계; 및
    차이값을 계산하기 위해 상기 BT 측정 서브프레임과 상기 비BT 측정 서브프레임 간에 RSSI값을 비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간섭 식별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차이값이 미리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디바이스내 상호간섭 표시자 메시지가 전송되는 블루투스 간섭 식별 방법.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는,
    블루투스(BT) 측정 서브프레임에서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RSSI)값을 측정하는 단계; 및
    차이값을 계산하기 위해 상기 BT 측정 서브프레임과 임의 서브프레임에서 측정된 정규의(normal) UE RSSI 측정값 간에 RSSI값을 비교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간섭 식별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차이값이 미리결정된 임계값을 초과하면 상기 디바이스내 상호간섭 표시자 메시지가 전송되는 블루투스 간섭 식별 방법.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2 무선 컴포넌트가 이용하고 있는 미리결정된 SCO 또는 eSCO 전송 모드에 대응하는 미리결정된 시 구간에서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RSSI)를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간섭 식별 방법.
  1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는 미리결정된 전력 임계값와 주기수값(periodicity value)을 이용하여 동기 전송 패턴을 식별하기 위해 상기 제1 무선 컴포넌트에서의 상기 신호 간섭을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간섭 식별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결정된 전력 임계값은 최대 허용 송신 전력값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 마진 임계 조정값(marginal threshold adjustment value)인 블루투스 간섭 식별 방법.
  18.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수값은 고정 간섭 시간차값 플러스(fixed interference time gap value) 또는 마이너스 마진 조정 시간차값(marginal adjustment time gap value)인 블루투스 간섭 식별 방법.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는
    각각이 미리결정된 전력 임계값을 초과하는 복수의 피크 신호를 식별하기 위해 연속한 블루투스 타임 슬롯에 걸쳐 상기 제1 무선 컴포넌트에서 수신 신호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
    2개의 연속한 피크 신호 간의 시간차를 측정하는 단계; 및
    상기 시간차가 SCO 전송 또는 eSCO 전송에 대응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간섭 식별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는 미리결정된 시 구간에서 상기 신호 간섭을 측정하기 위해 상기 제1 무선 컴포넌트에 조정가능한 측정 윈도우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간섭 식별 방법.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결정된 전력 임계값은 최대 허용 송신 전력값과 마진 임계 조정값의 조합으로서 계산되는 블루투스 간섭 식별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값은 상기 제2 무선 컴포넌트에 대한 전송 클래스에 기초하여 가변적인 것인 블루투스 간섭 식별 방법.
  23.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결정된 전력 임계값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하나 이상의 상위 계층 또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설정되는 블루투스 간섭 식별 방법.
  24.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시간차가 SCO 전송 또는 eSCO 전송에 대응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SCO 전송 또는 eSCO 전송에 대응하는 조정가능한 기준 차이(gap)값을 고정 간섭 시간차와 마진 조정 시간차의 조합으로서 계산하는 단계; 및
    상기 조정가능한 기준 차이값이 상기 시간차와 일치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간섭 식별 방법.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간섭 시간차와 마진 조정 시간차는 하나 이상의 상위 계층에 의해 구성되는 블루투스 간섭 식별 방법.
  26.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피크 신호에 인접한 복수의 오프 피크(off-peak) 신호를 식별하기 위해 연속한 블루투스 타임 슬롯에 걸쳐 상기 제1 무선 컴포넌트에서 수신 신호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루투스 간섭 식별 방법.
  27.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측정값은 복수의 E-UTRA 반송파(Carrier)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RSSI) 측정값을 포함하는 블루투스 간섭 식별 방법.
  28.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E-UTRA 반송파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RSSI) 측정값을 측정하는 단계는 모든 소스로부터의 N개의 자원 블록에 걸쳐 특정 측정 대역폭에서 미리결정된 블루투스 타임 슬롯 동안에 관측된 총 수신 전력의 선형 평균을 측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간섭 식별 방법.
  29.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피크 신호를 식별하기 위해 수신 신호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무선 컴포넌트와 상기 제2 무선 컴포넌트 간의 전송 타이밍이 조정(coordinate)되지 않을 때에 피크 수신 신호를 블루투스 수신 신호 강도 표시자(RSSI)로서 식별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간섭 식별 방법.
  3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UE가 검출된 블루투스 간섭으로 인해 디바이스내 상호간섭 동작 모드를 요청하였는지를 판단하기 위해, In-DeviceCoexistenceReq 정보 요소(information element)를 포함하는 UEInformationRequest 메시지를 E-UTRAN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루투스 간섭 식별 방법.
  31.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결정된 전력 임계값와 주기수값 중 어느 하나 또는 둘 다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UE에 시스템 파라미터로서 수신되는 블루투스 간섭 식별 방법.
  3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는 하나 이상의 간섭 식별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동기 전송 패턴을 식별하기 위해 상기 제1 무선 컴포넌트에서 하나 이상의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간섭 식별 방법.
  3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신 신호 전력을 측정하는 단계는 네트워크 노드로부터 상기 UE에 시스템 파라미터로서 수신된 하나 이상의 간섭 식별 파라미터를 이용하여 동기 전송 패턴을 식별하기 위해 상기 제1 무선 컴포넌트에서 하나 이상의 신호를 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간섭 식별 방법.
  34. 제33항에 있어서,
    상기 하나 이상의 간섭 식별 파라미터를 할당하기 위해 상기 UE로부터 상기 디바이스내 상호간섭의 식별 관련 파라미터와 구성 상태를 요청하는 무선 자원 제어(RRC; Radio Resource Control)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블루투스 간섭 식별 방법.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RRC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는 상기 UE로부터 상기 디바이스내 상호간섭의 식별 관련 파라미터와 구성 상태를 요청하는 UEInformationRequest 메시지를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간섭 식별 방법.
  3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BT 측정 서브프레임은 BT 전송 슬롯과 중첩되는 서브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비BT 측정 서브프레임은 BT 측정 서브프레임에 포함되지 않은 서브프레임을 포함하는 블루투스 간섭 식별 방법.
  3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내 상호간섭 표시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최소 특정 기간 중에 연속적으로 상기 복수의 측정값이 임계 전력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1 무선 컴포넌트로부터 상기 디바이스내 상호간섭 표시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간섭 식별 방법.
  3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내 상호간섭 표시자 메시지 전송 단계는
    상기 제2 무선 컴포넌트로부터 SCO 또는 eSCO 간섭의 제1 표시를 검출하면 특정 타이머 기간(T_bt)을 가진 타이머를 개시하는 단계; 및
    오검출을 방지하기 위해 상기 특정 타이머 기간(T_bt) 중에 상기 제2 무선 컴포넌트로부터 SCO 또는 eSCO 간섭의 제2 표시가 수신되면 상기 디바이스내 상호간섭 표시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간섭 식별 방법.
  39. 제38항에 있어서,
    상기 특정 타이머 기간(T_bt)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설정되는 블루투스 간섭 식별 방법.
  40.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미리결정된 전력 임계값 또는 주기수값 중 적어도 하나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설정되는 블루투스 간섭 식별 방법.
  4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바이스내 상호간섭 표시자 메시지를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무선 컴포넌트로부터 상기 디바이스내 상호간섭 표시자 메시지를 전송하기 전에 오검출을 피하기 위해 타이머 또는 카운터를 적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루투스 간섭 식별 방법.
  42.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타이머의 타이머 기간(T_bt)은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 또는 MAC CE 메시지를 이용하여 사용자 장비(UE) 또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설정되는 블루투스 간섭 식별 방법.
  43. 제41항에 있어서,
    상기 카운터의 타이머 카운트(N_bt)는 무선 자원 제어(RRC) 메시지 또는 MAC CE 메시지를 이용하여 사용자 장비(UE) 또는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설정되는 블루투스 간섭 식별 방법.
  44. 단일 플랫폼 상에서 제1 무선 컴포넌트 및 제2 무선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에 있어서,
    제1 하나 이상의 신호를 송수신하는 하나 이상의 안테나;
    복수의 RF 프로토콜 계층을 포함하는 제1 무선 컴포넌트;
    제2 복수의 RF 프로토콜 계층을 포함하는 제2 무선 컴포넌트; 및
    프로세서 제어 로직 및/또는 회로를 포함하고,
    프로세서 제어 로직 및/또는 회로는,
    상기 제1 무선 컴포넌트에서 신호 간섭을 검출하고,
    블루투스 동기식 접속 지향(SCO; Synchronous Connection Oriented) 전송 또는 확장된 동기식 접속 지향(eSCO; Extended Synchronous Connection Oriented) 전송에 대응하는 복수의 측정값을 생성하기 위해 미리결정된 시 구간에서 상기 제1 무선 컴포넌트에서 수신 신호 전력을 측정하고,
    상기 복수의 측정값이 임계 전력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2 무선 컴포넌트로부터 SCO 또는 eSCO 간섭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제1 무선 컴포넌트로부터 디바이스내 상호간섭 표시자 메시지를 전송함으로써,
    상기 제2 무선 컴포넌트에 의해 유발된 상기 제1 무선 컴포넌트에서의 블루투스 간섭을 식별하도록 구성된,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
  45.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 제어 로직 및/또는 회로는,
    전력 임계값을 초과하는 복수의 측정값을 식별하는 간섭 검출 모듈; 및
    주기수값을 만족하는 복수의 측정값을 식별하는 간섭 판정 모듈
    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
  46.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임계값은 최대 허용 송신 전력값과 마진 임계 조정값(marginal threshold adjustment value)의 조합으로서 계산된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
  47. 제46항에 있어서,
    상기 최대 허용 송신 전력값과 마진 임계 조정값(marginal threshold adjustment value)은 하나 이상의 상위 계층에 의해 구성된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
  48. 제45항에 있어서,
    상기 주기수값은 고정 간섭 시간차와 마진 조정 시간차의 조합으로서 계산된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
  49. 제48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간섭 시간차와 마진 조정 시간차는 하나 이상의 상위 계층에 의해 구성된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
  50.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임계값은 하나 이상의 상위 계층에 의해 구성된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
  51. 제44항에 있어서,
    상기 전력 임계값은 네트워크 노드에 의해 설정된 사용자 장비 디바이스.
  52.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가 구체화되어 있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저장 매체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으로서, 단일 플랫폼 상에서 제1 무선 컴포넌트 및 제2 무선 컴포넌트를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UE; user equipment)에서 블루투스 간섭을 식별하는 방법을 구현하기 위해 실행되도록 구성되는 것인,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에 있어서,
    상기 컴퓨터 판독가능 프로그램 코드는,
    상기 제1 무선 컴포넌트에서 신호 간섭을 검출하기 위한 명령어;
    블루투스 동기식 접속 지향(SCO; Synchronous Connection Oriented) 전송 또는 확장된 동기식 접속 지향(eSCO; Extended Synchronous Connection Oriented) 전송에 대응하는 복수의 측정값을 생성하기 위해 미리결정된 시 구간에서 상기 제1 무선 컴포넌트에서 수신 신호 전력을 측정하기 위한 명령어; 및
    상기 복수의 측정값이 임계 전력값을 초과하면 상기 제2 무선 컴포넌트로부터 SCO 또는 eSCO 간섭을 표시하기 위해 상기 제1 무선 컴포넌트로부터 디바이스내 상호간섭 표시자 메시지를 전송하기 위한 명령어
    를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 제품.
KR1020137024686A 2011-02-18 2012-02-17 Lte 및 bt 구성 상의 간섭 식별 방법 및 장치 KR1015286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161444628P 2011-02-18 2011-02-18
US61/444,628 2011-02-18
US13/069,751 2011-03-23
US13/069,751 US8547867B2 (en) 2011-02-18 2011-03-23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erence identification on configuration of LTE and BT
PCT/US2012/025594 WO2012112858A1 (en) 2011-02-18 2012-02-17 Method and apparatus for interference identification on configuration of lte and b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713A true KR20140000713A (ko) 2014-01-03
KR101528693B1 KR101528693B1 (ko) 2015-06-15

Family

ID=466526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7024686A KR101528693B1 (ko) 2011-02-18 2012-02-17 Lte 및 bt 구성 상의 간섭 식별 방법 및 장치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8547867B2 (ko)
EP (1) EP2676521B1 (ko)
KR (1) KR101528693B1 (ko)
CN (1) CN103430618B (ko)
CA (1) CA2826395C (ko)
TW (1) TWI526012B (ko)
WO (1) WO2012112858A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310A (ko) * 2014-06-24 2016-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무선신호 수신 방법 및 그것을 구비한 시스템
KR20180031690A (ko) * 2015-07-29 2018-03-28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Lte-u와 wlan 사이에서 안테나의 공유
KR102177201B1 (ko) * 2020-06-09 2020-11-10 (주)한성기술단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송수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197942B1 (ko) * 2020-06-09 2021-01-04 (주)한성기술단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송수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07405B1 (en) 1999-04-28 2004-10-19 Isco International, Inc. Method and a device for maintaining the performance quality of a code-division multiple access system in the presence of narrow band interference
US8385483B2 (en) 2008-11-11 2013-02-26 Isco International, Llc Self-adaptive digital RF bandpass and bandstop filter architecture
US8838046B2 (en) * 2010-06-18 2014-09-16 Mediatek Inc. System and method of hybrid FDM/TDM coexistence interference avoidance
US8457020B2 (en) * 2010-08-20 2013-06-04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s and apparatus for providing communications with use of first and second RF transceiver modules
CA2813247C (en) 2010-10-01 2018-06-12 Research In Motion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voiding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MX2013003423A (es) 2010-10-01 2013-10-28 Research In Motion Ltd Metodo y aparato para evitar interferencia de coexistencia dentro del dispositivo.
US8908656B2 (en) 2011-01-10 2014-12-09 Qualcomm Incorporated Support for multi-radio coexistence during connection setup
US9578649B2 (en) 2011-01-20 2017-02-21 Qualcomm Incorporated Method and apparatus to facilitate support for multi-radio coexistence
US8805303B2 (en) 2011-02-18 2014-08-12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apparatus for avoiding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with preferred frequency notification
WO2012134193A2 (en) * 2011-04-01 2012-10-04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system of handling in-device coexistence in various wireless network technologies
JP5943068B2 (ja) * 2011-04-29 2016-06-29 マーベル ワールド トレード リミテッド Ibssネットワークのための複数の技術の共存
WO2012151316A1 (en) * 2011-05-02 2012-11-08 Ziva Corporation Distributed co-operating nodes using time reversal
CN103636256B (zh) * 2011-05-11 2018-01-16 诺基亚通信公司 用于具有共存无线电的设备的切换的方法和装置
US8914019B1 (en) * 2011-08-09 2014-12-16 Marvell International Ltd. Feedback spoofing for coexistence among multipl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US9014751B1 (en) * 2011-08-10 2015-04-21 Marvell International Ltd. Using signal power levels for coexistence among multipl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US8787293B2 (en) * 2011-09-01 2014-07-22 Marvell World Trade Ltd. Packet type spoofing for coexistence among multiple wireless communication technologies
US9078271B2 (en) * 2011-09-28 2015-07-07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to train a personal area network component
US8917619B2 (en) * 2011-10-14 2014-12-23 Pantech Co., Ltd.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9826524B2 (en) * 2011-12-15 2017-11-21 Avago Technologies General Ip (Singapore) Pte. Ltd. Dynamic space, frequency and time domain coexistence
WO2013112014A1 (ko) * 2012-01-27 2013-08-01 삼성전자 주식회사 무선통신시스템에서 휴면 모드 제어 방법 및 장치
US9094999B2 (en) * 2012-04-02 2015-07-28 Intel Deutschland Gmbh Radio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 for operating a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9307414B2 (en) 2012-05-03 2016-04-05 Blackberry Limited Co-existence aware rate support
CN103384179B (zh) 2012-05-04 2017-08-11 电信科学技术研究院 使用时分双工通信制式的系统中的上下行配置方法和设备
US9042823B2 (en) * 2012-06-07 2015-05-26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disconnection
US8995986B2 (en) 2012-06-29 2015-03-31 At&T Mobility Ii Llc Detection of scrambling code confusion
US9219563B2 (en) * 2012-09-24 2015-12-22 Blackberry Limited Method and system for addressing interference between co-existing radios of differing radio access technologies
WO2014070321A1 (en) * 2012-11-01 2014-05-08 Maruti Gupta Signaling qos requirements and ue power preference in lte-a networks
US9832778B2 (en) 2012-11-05 2017-11-28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in a communications network
US9154241B2 (en) 2012-11-13 2015-10-06 Apple Inc. Method for validating radio-frequency performance of wireless electronic devices
WO2014075717A1 (en) * 2012-11-14 2014-05-22 Telefonaktiebolaget L M Ericsson (Publ) Method, network device, computer progra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determining power state parameters
US20140141824A1 (en) * 2012-11-16 2014-05-22 Research In Motion Limited Communicating information relating to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US9042829B2 (en) * 2013-01-04 2015-05-26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wireless short-range communication
US9319916B2 (en) 2013-03-15 2016-04-19 Isco International, Llc Method and appartus for signal interference processing
WO2014152816A2 (en) * 2013-03-18 2014-09-25 Marvell World Trade Ltd Systems and methods for lte interference detection
US9161278B2 (en) 2013-04-04 2015-10-13 Blackberry Limited Communicating an indication relating to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US20140313910A1 (en) * 2013-04-19 2014-10-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Coexistence interference detection, tracking, and avoidance
US20140341100A1 (en) * 2013-05-15 2014-11-20 Qualcomm Incorporated Access point-aided coexistence/concurrency at mobile devices
US9451436B2 (en) 2013-05-31 2016-09-20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wireless device discovery
US9426662B2 (en) 2013-06-26 2016-08-23 Cable Television Laboratories, Inc. Capacity sharing between wireless systems
WO2015061984A1 (zh) * 2013-10-30 2015-05-07 华为技术有限公司 一种系统间邻频干扰的消除方法及设备
US9521432B2 (en) * 2014-04-22 2016-12-13 Cable Television Laboratories, Inc. Correction of over-the-air signals
US9794888B2 (en) 2014-05-05 2017-10-17 Isco International,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performance of a communication link of a communication node
US9860297B2 (en) 2014-06-02 2018-01-02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media selection for moving user
US9635690B2 (en) 2014-06-24 2017-04-25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improving security for wireless communication
US9730196B2 (en) 2014-07-29 2017-08-08 Cable Television Laboratories, Inc. LTE control channel reservation in RF bands with competing communication systems
EP3193525B1 (en) * 2014-09-12 2021-02-24 Nec Corporation Wireless station, wireless terminal and method for terminal measurement
US9660678B2 (en) * 2014-09-15 2017-05-23 Qualcomm Incorporated Adaptive radio frequency local oscillator tuning
US9713018B2 (en) * 2014-10-24 2017-07-18 Qualcomm Incorporated LTE cell search and bluetooth eSCO coexistence using shared antenna
US10694496B2 (en) 2014-11-07 2020-06-23 Samsung Electronics Co.,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transmitting group message to user equipment (UE)
US9736875B2 (en) 2014-11-19 2017-08-15 Qualcomm Incorporated Device to-device radio coexistence management
CN107439034B (zh) * 2014-12-01 2020-10-27 三星电子株式会社 无线通信系统中支持授权辅助接入技术的方法和装置
US9787569B2 (en) 2014-12-15 2017-10-10 Qualcomm Incorporated Radio access technology co-existence using adaptive energy detection
US9686676B2 (en) 2015-01-16 2017-06-20 Nokia Technologies Oy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a server controlled device wakeup
EP3651386B1 (en) 2015-05-04 2023-08-23 ISCO International,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the performance of communication paths for communication nodes
CA2984453C (en) 2015-05-14 2022-01-25 Cable Television Laboratories, Inc. Hybrid automatic repeat request (harq) in listen before talk systems
US10721694B2 (en) 2015-05-18 2020-07-21 Mediatek Inc. Methods and electronic device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US20160345276A1 (en) * 2015-05-18 2016-11-24 Mediatek Inc. Methods and electronic devices for controlling transmission power
WO2017014111A1 (ja) * 2015-07-22 2017-01-26 シャープ株式会社 端末装置、基地局装置、測定方法および集積回路
US9949204B2 (en) 2015-08-07 2018-04-17 Provenance Asset Group Llc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low power data delivery
US9936400B2 (en) 2015-09-12 2018-04-03 Qualcomm Incorporated Channel selection in a shared communication medium
JP6594212B2 (ja) * 2016-01-15 2019-10-23 キヤノン株式会社 通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通信システム
US10757550B2 (en) * 2016-04-07 2020-08-25 Lg Electronics Inc. Method for performing sensing during terminal-specific sensing period in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and terminal using same
CA3024175A1 (en) 2016-06-01 2017-12-07 Isco International,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performing signal conditioning to mitigate interference detected in a communication system
US11595164B2 (en) 2016-09-30 2023-02-28 Huawei Technologies Co., Ltd. Self-contained subframe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KR102472989B1 (ko) * 2016-11-30 2022-12-01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제어 방법 및 전자 장치
US10298279B2 (en) 2017-04-05 2019-05-21 Isco International,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increasing performance of communication paths for communication nodes
CN107147450B (zh) 2017-05-23 2019-03-26 Oppo广东移动通信有限公司 射频干扰处理方法、装置、存储介质及终端
EP3631996A1 (en) 2017-06-02 2020-04-08 Intel IP Corporation Beamformed measurement for new radio (nr)
US10812121B2 (en) 2017-08-09 2020-10-20 Isco International,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and analyzing passive intermodulation interference in a communication system
US10284313B2 (en) 2017-08-09 2019-05-07 Isco International,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monitoring, detecting, testing, diagnosing and/or mitigating interference in a communication system
EP3689048B1 (en) * 2017-09-28 2023-08-30 Sony Group Corporation Base station and user equipment
CN108234372A (zh) * 2018-03-29 2018-06-29 成都亿佰特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带测距功能的多调制高速无线传输系统及其工作方法
CN112369111A (zh) * 2018-07-09 2021-02-12 瑞典爱立信有限公司 用于预期d2d传输的无线电资源状态的多级指示符
CN112437957A (zh) 2018-07-27 2021-03-02 杜比实验室特许公司 用于全面收听的强加间隙插入
US20220110063A1 (en) * 2019-02-14 2022-04-07 Sony Group Corporation Terminal device, system and methods
CN110495203B (zh) * 2019-06-27 2023-04-11 北京小米移动软件有限公司 共存干扰上报方法及装置、移动终端及存储介质
US11889434B2 (en) * 2019-09-23 2024-01-30 Mediatek Inc.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ing one or more throughput enhancement techniques
WO2023015571A1 (en) * 2021-08-13 2023-02-16 Nokia Shanghai Bell Co., Ltd. Dynamic communication configuration for subnetworks

Family Cites Families (2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060459A (ko) 2002-12-30 2004-07-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블루투스를 이용한 무선 랜의 송신기
CN101253735A (zh) * 2005-07-11 2008-08-27 高通股份有限公司 针对并置于单个电子装置中的多个无线通信协议协调通信
US20070165754A1 (en) * 2006-01-17 2007-07-19 Niko Kiukkonen Method for avoiding interference from a cellular transmitter to the 2.4/5GHz ISM band
FI20065699A0 (fi) 2006-11-06 2006-11-06 Nokia Corp HARQ-vastaanotto moniradiolaitteessa
KR100842712B1 (ko) 2006-11-28 2008-07-01 삼성전자주식회사 휴대용 단말기에서 통화 중 간섭 회피 방법 및 장치
US8204036B2 (en) * 2007-02-28 2012-06-19 Motorola Mobilit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oexistence
EP2160920B1 (en) * 2007-05-22 2018-04-11 Telefonaktiebolaget LM Ericsson (publ) Method and system for inter-system interference based radio control
EP2169840B1 (en) 2007-06-13 2016-09-21 Panasonic Corporation Radio communication device
US8693439B2 (en) 2007-09-04 2014-04-08 Nokia Siemens Networks Oy Reduced ping pong occurrence during handover
US8085737B2 (en) 2008-05-06 2011-12-27 Intel Corporation Multi-transceiver mobile communication device and methods for negative scheduling
FI20085480A0 (fi) 2008-05-21 2008-05-21 Nokia Corp Radioliityntälaitteiden samanaikaisuus
KR20100004766A (ko) 2008-07-04 2010-01-13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레임 할당을 이용한 공존 통신 수행방법
US8462622B2 (en) * 2009-12-08 2013-06-11 Qualcomm Incorporated Detection of co-located interference in a multi-radio coexistence environment
EP2604085B1 (en) * 2010-08-13 2015-01-21 InterDigital Patent Holdings, Inc. In-device interference mitigation
US8780880B2 (en) * 2010-10-01 2014-07-15 Mediatek Singapore Pte, Ltd. Method of TDM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avoidance
US8873480B2 (en) * 2010-10-01 2014-10-28 Intel Corporation Techniques for dynamic spectrum management, allocation, and sharing
KR101928448B1 (ko) * 2010-10-11 2018-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내에 복수 개의 이종 통신 모듈이 있을 경우, 시분할 방식으로 간섭을 회피하는 방법 및 장치
US10123345B2 (en) * 2010-12-22 2018-11-06 Google Technology Holdings LLC Interference mitigation in a device supporting multiple radio technologies communicating in overlapping time periods
US8537799B2 (en) * 2010-12-31 2013-09-17 Qualcomm Incorporated Coexistence mechanism for collocated WLAN and WWAN communication devices
US8934362B2 (en) * 2011-01-06 2015-01-13 Mediatek Inc. Power control method to mitigate interference for in-device coexistence
KR20120099568A (ko) * 2011-01-18 2012-09-11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기 내에 복수 개의 이종 통신 모듈이 있을 경우 간섭을 측정하는 방법 및 장치
US20120195248A1 (en) * 2011-02-01 2012-08-02 Innovative Sonic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to avoid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in a wireless communication system
US8599709B2 (en) * 2011-02-10 2013-12-03 Apple Inc. Methods and apparatus for wireless coexistence based on transceiver chain emphasis
US9144084B2 (en) * 2011-06-13 2015-09-22 Qualcomm Incorporated Multi-radio coexistence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00310A (ko) * 2014-06-24 2016-01-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장치, 무선신호 수신 방법 및 그것을 구비한 시스템
KR20180031690A (ko) * 2015-07-29 2018-03-28 퀄컴 인코포레이티드 Lte-u와 wlan 사이에서 안테나의 공유
US10447332B2 (en) 2015-07-29 2019-10-15 Qualcomm Incorporated Sharing an antenna for wireless communication
KR102177201B1 (ko) * 2020-06-09 2020-11-10 (주)한성기술단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송수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KR102197942B1 (ko) * 2020-06-09 2021-01-04 (주)한성기술단 무선 통신시스템에서 데이터의 송수신 방법, 장치 및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826395C (en) 2016-12-06
KR101528693B1 (ko) 2015-06-15
TW201240372A (en) 2012-10-01
CA2826395A1 (en) 2012-08-23
CN103430618A (zh) 2013-12-04
US8547867B2 (en) 2013-10-01
WO2012112858A1 (en) 2012-08-23
EP2676521B1 (en) 2018-10-17
TWI526012B (zh) 2016-03-11
EP2676521A1 (en) 2013-12-25
US20120213116A1 (en) 2012-08-23
CN103430618B (zh) 2016-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28693B1 (ko) Lte 및 bt 구성 상의 간섭 식별 방법 및 장치
US9504057B2 (en) Methods and apparatus for in-device coexistence detection and mitigation
CA2813292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voiding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JP6046823B2 (ja) ユーザ機器、ネットワークノード及びその中の方法
US8842602B2 (en) Enhancement of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avoidance
CA2813247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voiding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CA2813290C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voiding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US10123345B2 (en) Interference mitigation in a device supporting multiple radio technologies communicating in overlapping time periods
KR101579697B1 (ko) 디바이스 내 공존 간섭 회피의 향상
US20120314598A1 (en) Multi-radio coexistence
CN106849973B (zh) 无线电通信装置和用于控制无线电通信装置的方法
KR101568946B1 (ko) 미리 결정된 다운링크 채널을 사용하여 향상된 디바이스 내 공존 간섭 회피
TW201242275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avoiding in-device coexistence interference with preferred frequency notification
EP3254382A1 (en) Coexistence interference mitigation management for multi-user mimo system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8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530

Year of fee payment: 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