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620U - 자전거용 안장 - Google Patents

자전거용 안장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620U
KR20140000620U KR2020120006416U KR20120006416U KR20140000620U KR 20140000620 U KR20140000620 U KR 20140000620U KR 2020120006416 U KR2020120006416 U KR 2020120006416U KR 20120006416 U KR20120006416 U KR 20120006416U KR 20140000620 U KR20140000620 U KR 20140000620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addle
bicycle
coupling
seat
coupling h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6416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1943Y1 (ko
Inventor
이세룡
Original Assignee
이세룡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세룡 filed Critical 이세룡
Priority to KR2020120006416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943Y1/ko
Publication of KR20140000620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620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943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943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10Internal adjustment of sad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02Saddles having a seating area with a central cavity or depres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005Saddles having a seating area with multiple separate weight bearing surfa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Abstract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편안함을 제공하고, 장거리 주행과 고속 주행에 모두 적합한 자전거용 안장을 제공한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안장은 안장 본체부, 시트부 그리고 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안장 본체부는 전방으로 코가 연장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후방에는 마운트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자전거의 안장 결합부에 결합되는 결합구가 구비된다. 시트부는 한 쌍을 이루어 구비되고, 안장 본체부의 후방 상측에 독립적으로 구비된다. 그리고, 조절부는 마운트에 구비되며, 시트부와 결합되어 한 쌍의 시트부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킨다.

Description

자전거용 안장{SADDLE FOR BICYCLE}
본 고안은 자전거용 안장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편안함을 제공하고, 장거리 주행과 고속 주행에 모두 적합한 자전거용 안장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전거는 사람이 타고 앉아 두 다리의 힘으로 바퀴를 돌려서 가게 된 탈것으로서, 안장에 올라앉아 두 손으로 핸들을 잡고 두 발로 페달을 교대로 밟아 체인으로 바퀴를 돌리게 되어 있다.
바퀴는 흔히 두 개이며 한 개짜리나 세 개짜리도 있다.
이러한 자전거는 인력을 이용한 대표적인 교통수단의 하나로서 널리 사용되어 왔고, 특히 최근에는 운동기구로서의 건강증진효과와 함께 레크레이션 수단으로서의 다양한 응용이 가능한 한편, 환경친화적인 특성에 의해 수요가 점차 확산 되고 있다.
종래의 자전거의 구조는, 지면에 접촉하여 회전함으로써 자전거를 이동시키는 앞바퀴 및 뒷바퀴와, 이 앞바퀴와 뒷바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며 전방 상부에 앞바퀴를 조향하는 핸들을 갖는 프레임과, 뒷바퀴와 체인으로 연결되어 뒷바퀴를 회전시키는 패달과, 프레임의 후방 상부에 결합되어 탑승자가 착석하는 안장을 포함한다.
한편, 종래의 자전거에는 탑승자의 신체조건에 맞추어 다양한 형상의 안장을 사용하고 있다.
즉, 속도를 즐기는 탑승자는 고속 주행에 적합한 안장을 선택해서 사용하고 있으나, 이러한 안장의 대부분은 폭이 좁아 장거리 주행이나 일반 주행시에는 탑승자에게 불편함을 줄 수가 있다.
또한, 장거리 주행을 즐기는 탑승자는 장거리 주행에 적합한 안장을 주로 선택해서 사용하고 있는데, 이러한 안장 중에는 안장 코가 없고, 회음부의 압박이 적은 형태를 이루는 것이 있으나, 사용자가 고속으로 주행하고자 하는 경우에는 탑승자의 무게를 효과적으로 지지해주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일반적으로 자전거 사용자는 고속 주행과 장거리 주행의 어느 한 쪽에 치우치지 않고 때에 따라 고속 주행과 장거리 주행을 병행하는 만큼, 이러한 주행 현실에 잘 부합될 뿐만 아니라, 어떠한 주행에서도 편리한 안장이 요구되고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고안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편안함을 제공하고, 장거리 주행과 고속 주행에 모두 적합한 자전거용 안장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의 일실시예는 전방으로 코가 연장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후방에는 마운트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자전거의 안장 결합부에 결합되는 결합구가 구비되는 안장 본체부; 상기 안장 본체부의 후방 상측에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시트부; 그리고 상기 마운트에 구비되며, 상기 시트부와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시트부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전거용 안장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시트부의 상면은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보다 상측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절부는 상기 마운트에 구비되며, 상기 안장 본체부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안내홀이 형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안내홀에 구비되고, 외측면에는 제1나사산이 형성되는 조절바와, 상단부는 상기 시트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나사산에 대응되는 제2나사산을 가지는 제1결합공이 형성되는 하단부는 상기 조절바의 양단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조절바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제1결합지지대와, 상기 조절바의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조절바가 회전하도록 외력을 전달하는 조절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부의 하부에는 상기 안장 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2결합공을 가지는 제2결합지지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결합지지대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2결합공에 대응되는 제3결합공이 더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시트부가 각각 독립적으로 좌우로 회동하도록 상기 제2결합공과 상기 제3결합공은 회전축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나사산은 상기 조절바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방향으로 서로 반대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안장 본체부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마운트에 구비되는 안내프레임과, 상단부는 상기 시트부에 결합되고, 하단부에는 내측에 상기 안내프레임이 위치되도록 제4결합공이 관통 형성되는 하우징을 가지며, 상기 안내프레임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안내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제3결합지지대와, 상기 하우징에 관통 형성된 체결공에 나사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제3결합지지대의 이동을 구속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시트부의 하부에는 상기 안장 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5결합공을 가지는 제4결합지지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3결합지지대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5결합공에 대응되는 제6결합공이 더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시트부가 각각 독립적으로 좌우로 회동하도록 상기 제5결합공과 상기 제6결합공은 회전축에 의해 결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시트부를 덮는 제1커버와, 상기 시트부 및 상기 안장 본체부를 모두 덮는 제2커버가 선택적으로 더 구비될 수 있다.
본 고안에 따르면, 안장 본체부의 후방 상부에 시트부가 구비되기 때문에, 탑승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안장 본체부가 전방으로 연장 형성되는 코를 가지고 있어 고속으로 주행시에 탑승자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또한, 본 고안에 따르면, 시트부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수평방향으로 조절이 가능하기 때문에, 탑승자에게 맞게 시트부의 간격이 조절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시트부가 독립적으로 좌우로 회동도 할 수 있기 때문에, 자전거를 타는 동안에 신체의 움직임에 따라 회동되면서 더욱 편안하게 탑승자를 받칠 수 있게 된다.
본 고안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고안의 상세한 설명 또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기재된 고안의 구성으로부터 추론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안장이 장착된 자전거를 나타낸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안장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안장을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안장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안장의 조절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안장의 조절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안장의 조절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안장의 조절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고안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고안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고안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고안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안장이 장착된 자전거를 나타낸 예시도이고, 도 2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안장을 나타낸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안장을 나타낸 정면도이고, 도 4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안장을 나타낸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고안의 제1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안장의 조절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도 1 내지 도 5에서 보는 바와 같이, 자전거용 안장(10)은 안장 본체부(20), 시트부(30) 그리고 조절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자전거에 결합될 수 있는 안장 본체부(20)는 전방으로 코(24)가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수용홈(23)이 형성되며, 후방에는 마운트(22)가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시트부(30)는 안장 본체부(20)의 후방 상측에 독립적으로 한 쌍을 이루면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조절부(50)는 마운트(22)에 구비되고, 시트부(30)와 결합되어 시트부(30)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이동시킬 수 있다. 이를 통해, 시트부(30)는 탑승자의 체형에 맞게 조절될 수 있어 장거리 주행 등에 있어서 탑승자에게 편안함을 제공할 수 있으며, 안장 본체부(20)에는 코(24)가 연장 형성되어 탑승자의 하중을 받쳐줄 수 있기 때문에 고속 주행에도 적합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세히, 자전거용 안장(10)은 안장 본체부(20), 시트부(30) 그리고 조절부(50)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안장 본체부(20)의 하부에는 자전거의 안장 결합부(500)에 결합되는 결합구(21)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안장 본체부(20)의 후방에는 마운트(22)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마운트(22)의 전방으로, 안장 본체부(20)의 중앙부에는 수용홈(23)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홈(23)은 탑승자가 남성인 경우, 남성의 음낭이 수용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안장 본체부(20)의 중앙부에서 전방으로는 코(24)가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코(24)는 안장 본체부(2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탑승자가 고속으로 주행하기 위하여 무게 중심을 앞으로 두거나 상체를 앞으로 숙이는 경우 등에 탑승자를 효과적으로 지지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마운트(22)는 안장 본체부(20)의 전체 높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는, 수용홈(23)의 바닥면보다 낮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마운트(22)에 시트부(30)가 장착되었을 때, 시트부(30)의 상면의 높이가 수용홈(23)의 바닥면보다 높게 위치될 수 있어 남성의 음낭이 자연스럽게 수용홈(23)에 수용될 수 있게 된다.
또한, 마운트(22)에 시트부(30)가 장착되었을 때, 시트부(30)의 상면이 안장 본체부(20)의 상면보다 약간 더 높게 위치될 수 있어 탑승자가 시트부(30)에 앉았을 때 안정감을 가질 수 있게 된다.
그리고, 시트부(30)는 탑승자의 좌우 엉덩이가 안착되도록 서로 대칭되는 형상을 이루면서 한 쌍으로 구비될 수 있으며, 한 쌍의 시트부(30)는 각각 독립적으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마운트(22)에는 조절부(5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조절부(50)는 시트부(30)와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조절부(50)는 베이스(51), 조절바(60), 제1결합지지대(31) 그리고 조절구(65)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베이스(51)는 마운트(22)에 구비될 수 있으며, 안장 본체부(20)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안내홀(52)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안내홀(52)에는 조절바(6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조절바(60)는 안내홀(52)의 길이방향을 따라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조절바(60)의 외측 지름은 안내홀(52)의 내측 지름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조절바(60)는 안내홀(52)의 내측에서 자유롭게 회전이 가능할 수 있다.
또한, 조절바(60)의 외측면에는 제1나사산(61)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나사산(61)은 조절바(60)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방향으로 서로 반대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시트부(30)의 하부에는 제1결합지지대(31)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결합지지대(31)는 상단부가 시트부(3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제1결합지지대(31)의 하단부는 조절바(60)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결합지지대(31)의 하단부에는 제1결합공(32)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결합공(32)의 내측면에는 제1나사산(61)에 대응되는 제2나사산(33)이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조절바(60)의 양단부에 각각 결합된 제1결합지지대(31)의 제2나사산(33)은 서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그리고, 조절바(60)의 양단부에 나사결합된 제1결합지지대(31)는, 조절바(60)가 회전하게 되면 조절바(60)의 길이 방향을 따라 왕복 이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조절바(60)의 중앙에는 결합홈(53)이 형성될 수 있으며, 결합홈(53)에는 조절구(65)가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조절구(65)에는 축방향으로 제1관통공(66)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1관통공(66)의 내측으로는 조절바(60)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조절구(65)에는 제2관통공(67)이 형성될 수 있으며, 제2관통공(67)을 통해 핀(68)이 삽입됨으로써 조절구(65)는 조절바(60)에 결합될 수 있다.
그리고, 조절구(65)의 외측면에는 사용자의 손 등과의 마찰을 높이기 위한 널(knurl)(69)이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가 조절구(65)를 회전시키면, 조절구(65)에 가해진 외력이 조절구(65)와 일체로 결합된 조절바(60)에 전달되어 조절바(60)가 회전하게 된다.
그리고, 조절바(60)가 회전하게 되면서, 조절바(60)와 나사결합된 제1결합지지대(31)는 조절바(60)의 길이방향을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때, 조절바(60)에 형성된 제1나사산(61)이 중앙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으로 형성되기 때문에, 조절바(60)가 일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조절바(60)의 양단부에 결합된 각각의 제1결합지지대(31)는 서로 멀어지도록 수평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조절바(60)가 반대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각각의 제1결합지지대(31)는 서로 가까워지도록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서, 조절구(65)를 조절하여 조절바(60)가 회전하게 되면, 각각의 제1결합지지대(31)와 결합된 시트부(30)도 연동하여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수평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게 되며, 사용자는 자신에게 맞는 위치로 시트부(30)의 간격을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자전거용 안장(10)은 시트부(30)를 덮는 제1커버(미도시)와, 시트부(30) 및 안장 본체부(20)를 모두 덮는 제2커버(미도시)가 선택적으로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커버는 한 쌍의 시트부(30)를 모두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2커버는 한 쌍의 시트부(30) 뿐만 아니라, 안장 본체부(20)도 포함하여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1커버 및 제2커버에는 각각 시트부(30) 또는, 시트부(30)와 안장 본체부(20)를 덮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테두리에 탄성끈 또는 체결버튼 등과 같은 다양한 고정용 부재들이 더 부착될 수 있다.
이때, 제2커버는 제1커버와 개별적으로 구성되거나, 제1커버에 안장 본체부(20)를 덮기 위한 부분이 더 형성됨으로써 이루어질 수도 있다.
또한, 제1커버 및 제2커버는 특정한 재질에 한정됨이 없이 다양한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6은 본 고안의 제2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안장의 조절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안장에서는 제2결합지지대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6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트부(130)와 제1결합지지대(131)의 사이에는 제2결합지지대(17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2결합지지대(170)는 상단부가 시트부(13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를 위해, 제2결합지지대(170)는 시트부(1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결합지지대(170)에는 안장 본체부(20, 도 2 참조)의 길이방향으로 제2결합공(17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1결합지지대(131)의 상단부에는 제2결합공(171)에 대응되는 제3결합공(135)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2결합공(171)과 제3결합공(135)을 관통하여서는 회전축(18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한 쌍의 시트부(130)는 각각 회전축(180)을 중심으로 해서 독립적으로 좌우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시트부(130)는 조절바(160)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이동을 할 수 있으며, 동시에 독립적으로 좌우로 회동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에게 맞게 시트부(13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전거를 타는 동안에 신체의 움직임에 따라 시트부(130)가 좌우로도 회동하게 되어 장거리 주행 등에 있어서 더욱 편안하게 자전거를 탈 수 있게 된다.
도 7은 본 고안의 제3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안장의 조절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안장에서는 조절부의 구성이 다를 수 있으며,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1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도 7에서 보는 바와 같이, 조절부(250)는 안내프레임(210), 제3결합지지대(270) 그리고 스토퍼(274)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안내프레임(210)은 안장 본체부(20, 도 2 참조)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마운트(22, 도 2 참조)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제3결합지지대(270)는 상단부가 시트부(230)에 결합될 수 있으며, 하단부에는 하우징(271)이 구비되어 안내프레임(210)의 양단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하우징(271)에는 내측에 안내프레임(210)이 위치되도록 제4결합공(272)이 관통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3결합지지대(270)는 안내프레임(210)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할 수 있게 된다.
그리고, 하우징(271)에는 체결공(273)이 관통 형성될 수 있으며, 체결공(273)으로는 스토퍼(274)가 선택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스토퍼(274)는 나사와 같은 체결부재일 수 있으며, 스토퍼(274)가 체결공(273)에 나사결합되어 안내프레임(210)의 외측면을 가압하게 되면 하우징(271)의 이동이 구속되면서 제3결합지지대(270)의 이동도 구속되어 고정될 수 있게 된다.
도 8은 본 고안의 제4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안장의 조절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다. 본 고안의 실시예에 따른 자전거용 안장에서는 제4결합지지대가 더 구비될 수 있으며, 다른 구성은 전술한 제3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설명은 생략한다.
도 8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시트부(330)와 제3결합지지대(370)의 사이에는 제4결합지지대(390)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제4결합지지대(390)는 상단부가 시트부(330)에 연결될 수 있으며, 이때, 제4결합지지대(390)는 시트부(33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4결합지지대(390)에는 안장 본체부(20, 도 2 참조)의 길이방향으로 제5결합공(39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3결합지지대(370)의 상단부에는 제5결합공(391)에 대응되는 제6결합공(375)이 더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제5결합공(391)과 제6결합공(375)을 관통하여서는 회전축(380)이 결합될 수 있다.
이를 통해, 한 쌍의 시트부(330)는 각각 회전축(380)을 중심으로 해서 독립적으로 좌우로 회동할 수 있게 된다.
즉, 시트부(330)는 안내프레임(310)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이동과 함께, 독립적으로 좌우로 회동도 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사용자는 자신에게 맞게 시트부(330)의 간격을 조절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자전거를 타는 동안에 신체의 움직임에 따라 시트부(330)가 좌우로도 회동하게 되어 더욱 편안하게 자전거를 탈 수 있게 된다.
전술한 본 고안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고안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고안의 범위는 후술하는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실용신안등록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고안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자전거용 안장 20: 안장 본체부
22: 마운트 23: 수용홈
24: 코 30,130,230,330: 시트부
31,131: 제1결합지지대 50,250: 조절부
51: 베이스 60,160: 조절바
61: 제1나사산 65: 조절구
170: 제2결합지지대 180,380: 회전축
210,310: 안내프레임 270,370: 제3결합지지대
271: 하우징 274: 스토퍼
390: 제4결합지지대 500: 안장 결합부

Claims (8)

  1. 전방으로 코가 연장 형성되고, 중앙부에는 수용홈이 형성되며, 후방에는 마운트가 형성되고, 하부에는 자전거의 안장 결합부에 결합되는 결합구가 구비되는 안장 본체부;
    상기 안장 본체부의 후방 상측에 독립적으로 구비되는 한 쌍의 시트부; 그리고
    상기 마운트에 구비되며, 상기 시트부와 결합되어 상기 한 쌍의 시트부가 서로 가까워지거나 멀어지도록 수평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조절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자전거용 안장.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의 상면은 상기 수용홈의 바닥면보다 상측에 위치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안장.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마운트에 구비되며, 상기 안장 본체부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안내홀이 형성되는 베이스와,
    상기 안내홀에 구비되고, 외측면에는 제1나사산이 형성되는 조절바와,
    상단부는 상기 시트부에 결합되고, 상기 제1나사산에 대응되는 제2나사산을 가지는 제1결합공이 형성되는 하단부는 상기 조절바의 양단부에 나사결합되어 상기 조절바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제1결합지지대와,
    상기 조절바의 중앙에 구비되어 상기 조절바가 회전하도록 외력을 전달하는 조절구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안장.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의 하부에는 상기 안장 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2결합공을 가지는 제2결합지지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1결합지지대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2결합공에 대응되는 제3결합공이 더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시트부가 각각 독립적으로 좌우로 회동하도록 상기 제2결합공과 상기 제3결합공은 회전축에 의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안장.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나사산은 상기 조절바의 중앙을 기준으로 양방향으로 서로 반대모양으로 형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안장.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안장 본체부의 길이 방향과 수직한 방향으로 상기 마운트에 구비되는 안내프레임과,
    상단부는 상기 시트부에 결합되고, 하단부에는 내측에 상기 안내프레임이 위치되도록 제4결합공이 관통 형성되는 하우징을 가지며, 상기 안내프레임의 양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안내프레임의 길이 방향으로 왕복 이동하는 제3결합지지대와,
    상기 하우징에 관통 형성된 체결공에 나사결합되어 선택적으로 상기 제3결합지지대의 이동을 구속하는 스토퍼를 포함하여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안장.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의 하부에는 상기 안장 본체부의 길이방향으로 형성된 제5결합공을 가지는 제4결합지지대가 더 구비되고, 상기 제3결합지지대의 상단부에는 상기 제5결합공에 대응되는 제6결합공이 더 형성되며, 상기 한 쌍의 시트부가 각각 독립적으로 좌우로 회동하도록 상기 제5결합공과 상기 제6결합공은 회전축에 의해 결합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안장.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시트부를 덮는 제1커버와, 상기 시트부 및 상기 안장 본체부를 모두 덮는 제2커버가 선택적으로 더 구비됨을 특징으로 하는 자전거용 안장.
KR2020120006416U 2012-07-19 2012-07-19 자전거용 안장 KR200471943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416U KR200471943Y1 (ko) 2012-07-19 2012-07-19 자전거용 안장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6416U KR200471943Y1 (ko) 2012-07-19 2012-07-19 자전거용 안장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620U true KR20140000620U (ko) 2014-01-29
KR200471943Y1 KR200471943Y1 (ko) 2014-03-24

Family

ID=524414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6416U KR200471943Y1 (ko) 2012-07-19 2012-07-19 자전거용 안장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943Y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4499A1 (en) * 2014-12-12 2016-06-16 Altr Ergo, Llc Adjustable-width cycling saddle
KR20190034445A (ko) 2017-09-23 2019-04-02 박문경 얼음흡입이 용이한 컵
KR102141304B1 (ko) * 2019-03-31 2020-09-14 주식회사 한국노바스텍 시트폭 조절형 자전거 안장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3782Y1 (ko) 2005-09-16 2005-12-14 전용식 자전거 안장
KR101048550B1 (ko) 2009-10-06 2011-07-11 강희인 발전기로 충전하는 2륜구동 자전거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094499A1 (en) * 2014-12-12 2016-06-16 Altr Ergo, Llc Adjustable-width cycling saddle
KR20190034445A (ko) 2017-09-23 2019-04-02 박문경 얼음흡입이 용이한 컵
KR102141304B1 (ko) * 2019-03-31 2020-09-14 주식회사 한국노바스텍 시트폭 조절형 자전거 안장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943Y1 (ko) 2014-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045190B2 (en) Two-wheeled self-balancing motorized personal vehicle with tilting wheels
US20130032422A1 (en) Two-wheeled self-balancing motorized personal vehicle with tilting wheels
US9815518B2 (en) Prostration-type dual drive bicycle
US9033356B2 (en) Shilly-car
BR112015002654B1 (pt) Bicicleta
US9139248B2 (en) Hand-swing type shilly-car
US5876309A (en) Jogging exercise stroller
US8083247B2 (en) Arm supporter of bicycle
KR200471943Y1 (ko) 자전거용 안장
KR101042540B1 (ko) 자전거용 안장 조립체
KR20090090743A (ko) 헬스 자전거
EP2832629A1 (en) Bicycle provided with movable saddle
JP2015096398A (ja) 乗り物
KR101564677B1 (ko) 볼 운동 겸용 헬스자전거
KR101027253B1 (ko) 자전거 안장축 스프링 장치
US9205856B2 (en) Vehicle
KR101599637B1 (ko) 헬스형 승마자전거
JP2018047048A (ja) 身体補助装置
KR101075843B1 (ko) 핸들의 상하왕복운동에 의해 보조동력이 발생하는 자전거
CN201971099U (zh) 可变形单车
CN104787156A (zh) 可左右摆动的仿生自行车车座结构
KR20200133470A (ko) 자전거 안장 어셈블리
CN204641961U (zh) 可左右摆动的仿生自行车车座结构
CN103961842B (zh) 运动用自行车支撑台
JPH05112269A (ja) ペダル操作装置用の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111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117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10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206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