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456A - 체내 이동방지 수단이 구비된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 - Google Patents

체내 이동방지 수단이 구비된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456A
KR20140000456A KR1020120067428A KR20120067428A KR20140000456A KR 20140000456 A KR20140000456 A KR 20140000456A KR 1020120067428 A KR1020120067428 A KR 1020120067428A KR 20120067428 A KR20120067428 A KR 20120067428A KR 20140000456 A KR20140000456 A KR 201400004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al material
coated
biocompatible polymer
biocompatible
radioisotop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742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예성준
최영빈
이현석
최성윤
Original Assignee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서울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2006742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40000456A/ko
Priority to PCT/KR2013/005510 priority patent/WO2013191510A1/ko
Publication of KR201400004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456A/ko
Priority to US14/579,662 priority patent/US20150148669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08Wound clamps or clips, i.e. not or only partly penetrating the tissue ; Devices for bringing together the edges of a woun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2Inorganic materials
    • A61L31/022Metals or alloy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08Materials for coatings
    • A61L31/10Macromolecular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4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resorbable by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31/00Materials for other surgical articles, e.g. stents, stent-grafts, shunts, surgical drapes, guide wires, materials for adhesion prevention, occluding devices, surgical gloves, tissue fixation devices
    • A61L31/14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e.g. injectable or lubricating compositions, shape-memory materials, surface modified materials
    • A61L31/18Materials at least partially X-ray or laser opaq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NELECTROTHERAPY; MAGNETOTHERAPY; RADIATION THERAPY; ULTRASOUND THERAPY
    • A61N5/00Radiation therapy
    • A61N5/10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 A61N5/1001X-ray therapy; Gamma-ray therapy; Particle-irradiation therapy using radiation sources introduced into or applied onto the body; brachytherap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400/00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2400/18Modification of implant surfaces in order to improve biocompatibility, cell growth, fixation of biomolecules, e.g. plasma treat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Pathology (AREA)
  • Radiology & Medical Im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For Medical 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되거나, 생체적합성 접착제가 코팅되거나, 접이식 앵커가 구비되는 체내 이동방지 수단이 구비된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른 체내 조직에 삽입시 그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상기 금속물질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은 체내 삽입 후 이동이 방지되므로, 방사선근접치료에 사용하는 방사선동위원소 선원, 영상유도방사선치료의 정밀성을 위해 사용되는 기점마커, 수술실에서 사용되는 외과수술용 클립, RF(radio frequency) 발생용 트랜스폰더(transponder) 등과 같은 체내에 삽입되는 의료용 금속물질에 유용할 수 있다.

Description

체내 이동방지 수단이 구비된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Implantable medical metal materials with means of migration prevention}
본 발명은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되거나, 생체적합성 접착제가 코팅되거나, 접이식 앵커가 구비되는 체내 이동방지 수단이 구비된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에 관한 것이다.
유방암, 전립선암 등과 같은 종양을 방사선으로 치료하기 위한 방법은 선형가속기(linear accelerator)와 같은 방사선치료장비를 이용하여 생체 외부에서 종양 부위에 국소적으로 방사선을 조사하는 영상유도방사선치료(Image Guided Radiation Therapy : IGRT) 방법과 종양 조직 내에 I-125, Ir-192, Cs-137, Pd-103 등과 같은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을 직접 삽입하는 방사선근접치료(brachytherapy) 방법 두 가지가 있다.
기존의 방사선치료 시에는 치료 전에만 환자 영상을 이용하여 치료계획을 수립할 뿐 그 이후에는 영상이 이용되지 않았다. 방사선 치료를 위해 환자를 눕히고 셋업을 하는 경우에도 몸의 표면에 표시해 둔 마커를 레이저에 맞춘 후 그대로 방사선을 조사하여 치료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경우에, 환자를 셋업하는 과정에서 치료계획을 세울 당시와 비교할 때 작게는 수 mm, 크게는 1 cm가 넘는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가 있었다.
상기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치료 전이나 치료 과정 중에도 암조직의 위치 및 모양 변화를 직접 확인하고자 하는 노력이 계속되어 왔고, 이를 해결하는 방안으로 영상유도방사선치료(Image Guided Radiation Therapy : IGRT)가 개발되었다.
상기 영상유도방사선치료에는 치료부위를 정확하게 찾아내기 위한 기점마커(fiducial marker)를 사용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마커들은 인공 마커로서, 수술의에 의해 인체 내에 삽입되어 이상부위에 또는 인접한 위치에 고정되어, CT 와 MRI 기술과 같은 가시화 기술을 이용한 스캔시 가시화 가능한 명백하고 정확한 참고 지점을 제공한다.
상기 기점마커는 금 또는 탄탈륨과 같은 방사선 불투과성이 높은 금속물질로 이루어진 도선이나 비드(beads)의 형태로 이용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체내 삽입 후 시간 경과에 따라 조직 내에서 조금씩 이동하게 되어, 정확한 치료위치를 제공하지 못하는 문제가 있다. 특히, 전립선 조직에 기점마커를 삽입할 경우 시간 경과에 따라서 요도를 통해 소변으로 배출되어, 정확한 치료위치 셋업에 오차가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다.
방사선근접치료(brachytherapy) 방법은 방사선동위원소 선원(seed)을 치료부위에 직접 삽입(임플란트)하여 종양을 치료하는 방사선 치료방법의 하나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상기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은 일반적으로 작은 막대 형태로 사용하는데, 상술한 기점마커와 유사한 형태와 크기를 갖는다.
상술한 영상유도방사선치료 및 방사선근접치료에서 사용하는 기점마커와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은 일반적으로 대략 3.0-5.0 mm 길이와 0.5-1.0 mm 지름의 막대형태이다.
상기 기점마커와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은 의료인이 방사선치료를 위해 사용할 경우, 그 크기가 작고 금속물질이라 체내 삽입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서 조직 내에서 이동하는 문제가 알려져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의 표면에 흡수율이 우수한 생체적합성 고분자를 코팅하거나,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을 삽입한 후에 생체적합성 접착제를 주입하거나,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의 표면에 접이식 앵커(anchor)를 도입하는 수단을 이용함으로써,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이 삽입 후 일정시간이 경과하여도 이동하지 않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체내 조직에 삽입시 그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부착되어 있는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에 있어서,
체내 조직에 삽입시 그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상기 금속물질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수단은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된 생체적합성 고분자,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된 생체적합성 접착제 또는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의 표면에 구비된 접이식 앵커(anchor)이다.
본 발명에 따른 체내 조직에 삽입시 그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상기 금속물질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은 체내 삽입 후 이동이 방지되므로, 방사선근접치료에 사용하는 방사선동위원소 선원, 영상유도방사선치료의 정밀성을 위해 사용되는 기점마커, 수술실에서 사용되는 외과수술용 클립, RF(radio frequency) 발생용 트랜스폰더(transponder) 등과 같은 체내에 삽입되는 의료용 금속물질에 유용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적어도 일부에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 또는 기점마커의 이미지(a)와, 체내 이동 방지 수단이 적용되지 않은 종래의 방사선동위원소 선원 또는 기점마커가 조직 내에서 이동하는 이미지(b)와,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적어도 일부에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 또는 기점마커가 체내 삽입된 후 체액 흡수를 통해 부피가 증가하여 주변 조직에 의해 단단히 조여지는 것을 나타낸 이미지(c)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 또는 기점마커를 체내에 삽입한 다음, 그 주변에 삽입보조기구(카테터)를 이용하여 생체적합성 접착제를 주입함으로써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의 이동을 방지함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라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 또는 기점마커의 표면에 접이식 앵커(anchor)가 구비된 이미지(a)와, 이를 삽입보조기구를 이용하여 체내에 삽입하고, 조직 내에 앵커링(anchoring)되어 이동을 방지함을 나타내는 이미지이다(b).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에 있어서,
체내 조직에 삽입시 그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상기 금속물질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에 있어서, 상기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은 방사성동위원소 선원, 기점마커, 외과수술용 클립, RF(radio frequency) 발생용 트랜스폰더(transponder)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체내에 삽입하는 의료용 금속물질이라면 모두 적용 가능하다.
이때, 상기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의 예로는 I-125, Pd-103, Ir-192, Au-198, Yb-169, Cs-131, Cs-137, Co-60 등이 있고, 암의 방사선근접치료(brachytherapy)에 사용되는 선원이라면 아무런 제약 없이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기점마커는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에 있어서,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을 체내 조직에 삽입 후 그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으로는 3가지 수단이 있으며, 이하 각각의 수단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첫 번째 수단은,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된 생체적합성 고분자로서,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체액흡수를 통해 부피가 늘어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단(생체적합성 고분자 코팅)이 적용된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이 조직 내에서 이동을 방지하는 원리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적어도 일부에 코팅된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은 체내 삽입 후 체액을 흡수하여 부피가 증가하는 특징을 갖는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역할로 인하여 주변 조직에 의해 단단하게 조여지게 되면서 조직 내 이동이 방지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체액흡수를 통해 부피가 늘어나는 생체적합성 고분자의 예로는 키토산(chitosan), 전분(starch), 구아검(guargum), 젤라틴(gelatin), 콜라겐(collagen) 등의 하이드로겔; 체액흡수율을 증가시키는 다공성의 구조를 가지도록 제작된 폴리락타이드(Polylactide, PLA), 폴리글라이콜라이드(Polyglycolide, PGA) 또는 이들의 공중합체인 폴리(락틴-코-글리콜산)(Poly(lactic-co-glycolic acid), PLGA); 폴리에스테르(Polyester), 폴리오르토에스테르(Polyorthoester), 폴리안하이드라이드(Polyanhydride), 폴리아미노산(Polyamino acid), 폴리하이드록시부티르산(Polyhydroxybutyric acid),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알킬카보네이트(Polyalkylcarbonate), 에틸셀룰로즈(Ethyl cellulose) 등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일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로는 체액 흡수를 통한 부피 증가율이 높은 키토산(chitosan), 전분(starch), 구아검(guargum), 젤라틴(gelatin), 콜라겐(collagen) 등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방사선치료에 소요되는 기간이 약 60일인 점을 고려할 때,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체내 삽입일로부터 적어도 60일 이후에 생분해되는 것이 금속물질을 체내 삽입 후 방사선치료가 종료되는 시점까지 이동을 방지한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방사선 치료 후 치료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CT 또는 X-ray를 약 1-2년 후에 다시 촬영하므로, 약 1-2년간 생분해되지 않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두 번째 수단은,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된 생체적합성 접착제로서, 상기 생체적합성 접착제는 금속물질과 생체 조직 모두에 접착성이 우수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단(생체적합성 접착제 코팅)이 적용된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이 조직 내에서 이동을 방지하는 원리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생체적합성 접착제가 적어도 일부에 코팅된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은 금속물질을 체내에 삽입하는 전 또는 후에 삽입보조기구(예를 들면, 내시경, 어프리케이터(applicator), 카테터 등)를 이용하여 생체적합성 접착제를 주입함으로써, 조직 내에 삽입되는 금속물질이 주변 조직과 접착하게 되면서 조직 내 이동이 방지되게 된다.
여기서, 상기 생체적합성 접착제의 예로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 피브린글루, 단백질글루, 폴리우레탄, PEG 함유 실란트, 해양생체접착제 등이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 다른 생체적합성 접착제의 예로는 액상 또는 용액 상태의 고분자를 외부적 요인(예:UV 조사, pH 변화 등)으로 반응시킴으로써 접착력을 부가할 수 있는 Az-키토산 등의 접착제를 사용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나아가, 방사선치료에 소요되는 기간이 약 60일인 점을 고려할 때, 상기 생체적합성 접착제는 체내 삽입일로부터 적어도 60일 이후에 생분해되는 것이 금속물질을 체내 삽입 후 방사선치료가 종료되는 시점까지 이동을 방지한다는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또한, 방사선 치료 후 치료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CT 또는 X-ray를 약 1-2년 후에 다시 촬영하므로, 약 1-2년간 생분해되지 않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세 번째 수단은,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의 표면에 구비된 접이식 앵커(anchor)로서, 상기 앵커는 체내 삽입 중에는 접혀있고 소정의 위치에 삽입한 후에는 펴져 주변 조직에 앵커링(anchoring)되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수단(접이식 앵커)이 적용된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이 조직 내에서 이동을 방지하는 원리는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다.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접이식 앵커(anchor)가 구비된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은 삽입보조기구(예를 들면, 내시경, 어프리케이터(applicator), 카테터 등) 내에서는 앵커 구조물이 접혀있다가, 소정의 위치에 삽입 후에는 앵커 구조물이 펴지면서 주변 조직에 앵커링(anchoring)되어, 조직 내에 삽입되는 금속물질의 이동이 방지되게 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체내 조직에 삽입시 그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상기 금속물질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은 체내 삽입 후 이동이 방지되므로, 방사선근접치료에 사용하는 방사선동위원소 선원, 영상유도방사선치료의 정밀성을 위해 사용되는 기점마커, 수술실에서 사용되는 외과수술용 클립, RF(radio frequency) 발생용 트랜스폰더(transponder) 등과 같은 체내에 삽입되는 의료용 금속물질에 유용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의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 실시예 1a>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의 제조 1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으로 I-125(직경 0.5-1 mm)를 사용하였고,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을 사용하여, 표준 도선 코팅 기법으로 선원을 코팅하였다. 다음으로, 코팅된 선원을 5-10 mm 길이로 잘라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b>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의 제조 2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전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c>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의 제조 3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구아검(guargum)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d>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의 제조 4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젤라틴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e>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의 제조 5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콜라겐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f>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의 제조 6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폴리락타이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g>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의 제조 7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폴리글라이콜라이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h>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의 제조 8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폴리(락틴-코-글리콜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i>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의 제조 9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j>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의 제조 10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폴리오르토에스테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k>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의 제조 11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폴리안하이드라이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l>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의 제조 12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폴리아미노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m>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의 제조 13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폴리하이드록시부티르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n>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의 제조 14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폴리카프로락톤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o>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의 제조 15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폴리알킬카보네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1p>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의 제조 16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에틸셀룰로즈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a>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의 제조 17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으로 Pd-103(직경 0.5-1 mm)를 사용하였고,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을 사용하여, 표준 도선 코팅 기법으로 선원을 코팅하였다. 다음으로, 코팅된 선원을 5-10 mm 길이로 잘라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b>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의 제조 18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전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c>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의 제조 19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구아검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d>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의 제조 20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젤라틴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e>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의 제조 21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콜라겐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f>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의 제조 22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폴리락타이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g>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의 제조 23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폴리글라이콜라이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h>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의 제조 24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폴리(락틴-코-글리콜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i>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의 제조 25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j>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의 제조 26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폴리오르토에스테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k>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의 제조 27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폴리안하이드라이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l>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의 제조 28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폴리아미노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m>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의 제조 29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폴리하이드록시부티르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n>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의 제조 30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폴리카프로락톤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o>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의 제조 31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폴리알킬카보네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2p>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의 제조 32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에틸셀룰로즈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3a>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의 제조 33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으로 Ir-192(직경 0.5-1 mm)를 사용하였고,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을 사용하여, 표준 도선 코팅 기법으로 선원을 코팅하였다. 다음으로, 코팅된 선원을 5-10 mm 길이로 잘라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3b>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의 제조 34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전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3c>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의 제조 35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구아검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3d>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의 제조 36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젤라틴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3e>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의 제조 37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콜라겐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3f>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의 제조 38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폴리락타이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3g>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의 제조 39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폴리글라이콜라이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3h>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의 제조 40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폴리(락틴-코-글리콜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3i>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의 제조 41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3j>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의 제조 42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폴리오르토에스테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3k>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의 제조 43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폴리안하이드라이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3l>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의 제조 44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폴리아미노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3m>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의 제조 45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폴리하이드록시부티르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3n>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의 제조 46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폴리카프로락톤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3o>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의 제조 47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폴리알킬카보네이트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3p>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의 제조 48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에틸셀룰로즈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3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을 제조하였다.
< 실시예 4a>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기점마커의 제조 1
기점마커로 스테인레스 스틸 도선(직경 0.5-1 mm)를 사용하였고,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을 사용하여, 표준 도선 코팅 기법으로 기점마커를 코팅하였다. 다음으로, 코팅된 기점마커를 5-10 mm 길이로 잘라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기점마커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4b>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기점마커의 제조 2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전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기점마커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4c>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기점마커의 제조 3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구아검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기점마커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4d>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기점마커의 제조 4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젤라틴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기점마커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4e>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기점마커의 제조 5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콜라겐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기점마커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4f>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기점마커의 제조 6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폴리락타이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기점마커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4g>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기점마커의 제조 7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폴리글라이콜라이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기점마커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4h>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기점마커의 제조 8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폴리(락틴-코-글리콜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기점마커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4i>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기점마커의 제조 9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기점마커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4j>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기점마커의 제조 10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폴리오르토에스테르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기점마커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4k>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기점마커의 제조 11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폴리안하이드라이드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기점마커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4l>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기점마커의 제조 12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폴리아미노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기점마커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4m>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기점마커의 제조 13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폴리하이드록시부티르산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기점마커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4n>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기점마커의 제조 14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폴리카프로락톤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기점마커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4o>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기점마커의 제조 15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전분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기점마커를 제조하였다.
< 실시예 4p> 흡수율이 뛰어난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기점마커의 제조 16
생체적합성 고분자로 키토산 대신에 에틸셀룰로즈를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4a에서 사용한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생체적합성 고분자가 코팅된 기점마커를 제조하였다.

Claims (13)

  1.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에 있어서,
    체내 조직에 삽입 후 그 이동을 방지할 수 있는 수단이 상기 금속물질 표면에 부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은 방사성동위원소 선원, 기점마커, 외과수술용 클립 및 RF(radio frequency) 발생용 트랜스폰더(transponder)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선동위원소 선원은 I-125, Pd-103, Ir-192, Au-198, Yb-169, Cs-131, Cs-137 또는 Co-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기점마커는 방사선 불투과성 물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된 생체적합성 고분자로서,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체액흡수를 통해 부피가 늘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키토산(chitosan), 전분(starch), 구아검(guargum), 젤라틴(gelatin), 콜라겐(collagen), 폴리락타이드 (Polylactide, PLA), 폴리글라이콜라이드 (Polyglycolide, PGA), 폴리(락틴-코-글리콜산)(Poly(lactic-co-glycolic acid), PLGA), 폴리에스테르 (Polyester), 폴리오르토에스테르(Polyorthoester), 폴리안하이드라이드(Polyanhydride), 폴리아미노산(Polyamino acid), 폴리하이드록시부티르산(Polyhydroxybutyric acid), 폴리카프로락톤(Polycaprolactone), 폴리알킬카보네이트(Polyalkylcarbonate) 및 에틸셀룰로즈(Ethyl cellulose)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적합성 고분자는 생체 내 삽입일로부터 적어도 60일 이후에 생분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의 적어도 일부에 코팅된 생체적합성 접착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제의 코팅은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을 소정의 위치에 삽입하기 전 또는 후에 코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적합성 접착제는 시아노아크릴레이트, 피브린글루, 단백질글루, 폴리우레탄, PEG 함유 실란트, 해양생체접착제 및 Az-키토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생체적합성 접착제는 생체 내 삽입일로부터 적어도 60일 이후에 생분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단은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의 표면에 구비된 접이식 앵커(ancho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앵커는 체내 삽입 중에는 접혀있고 소정의 위치에 삽입한 후에는 펴져 주변 조직에 앵커링(anchoring)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
KR1020120067428A 2012-06-22 2012-06-22 체내 이동방지 수단이 구비된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 KR20140000456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428A KR20140000456A (ko) 2012-06-22 2012-06-22 체내 이동방지 수단이 구비된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
PCT/KR2013/005510 WO2013191510A1 (ko) 2012-06-22 2013-06-21 체내 이동방지 수단이 구비된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
US14/579,662 US20150148669A1 (en) 2012-06-22 2014-12-22 Medical metal material for in vivo insertion, comprising in vivo movement-preventing means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7428A KR20140000456A (ko) 2012-06-22 2012-06-22 체내 이동방지 수단이 구비된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456A true KR20140000456A (ko) 2014-01-03

Family

ID=501383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7428A KR20140000456A (ko) 2012-06-22 2012-06-22 체내 이동방지 수단이 구비된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40000456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17744A1 (ko) * 2015-01-22 2016-07-28 주식회사 바이오알파 생체 흡수용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술용 물품
WO2023191250A1 (ko) * 2022-03-28 2023-10-0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혈류조절용 혈관클립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6117744A1 (ko) * 2015-01-22 2016-07-28 주식회사 바이오알파 생체 흡수용 방사선 불투과성 마커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수술용 물품
WO2023191250A1 (ko) * 2022-03-28 2023-10-05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혈류조절용 혈관클립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52361B2 (en) Diagnostic or therapeutic procedure using implantable targets
JP6849635B2 (ja) 軟組織をマーキングするための外科インプラント
US11337772B2 (en) Implant for targeting therapeutic procedure
US10653496B2 (en) Apparatus and methods for implanting objects, such as a bronchoscopically implanting markers in the lung of patients
US8454489B2 (en) Implant comprising radioactive seeds
JP5629698B2 (ja) 侵入型マーカー及びマーカーを画像技術によって視認可能にする装置
US6709381B2 (en) Brachytherapy systems and methods
US8170647B2 (en) Fiduciary markers and method of use thereof
US20100228074A1 (en) Therapeutic and Directionally Dosed Implants
AU2004224423B2 (en) Arrangement of seeds and spacers for brachytherapy
US20150148669A1 (en) Medical metal material for in vivo insertion, comprising in vivo movement-preventing means
KR20140000456A (ko) 체내 이동방지 수단이 구비된 체내 삽입 의료용 금속물질
KR101544490B1 (ko) 체내 이동방지 수단이 구비된 체내삽입용 의료용구
US20230211176A1 (en) Radiation shielding apparatus for implantable radioactive seed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WITB Written withdrawal of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