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308U - 통기성을 가진 차양용 직물 - Google Patents

통기성을 가진 차양용 직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308U
KR20140000308U KR2020120005928U KR20120005928U KR20140000308U KR 20140000308 U KR20140000308 U KR 20140000308U KR 2020120005928 U KR2020120005928 U KR 2020120005928U KR 20120005928 U KR20120005928 U KR 20120005928U KR 20140000308 U KR20140000308 U KR 20140000308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uminum
aluminum strip
strip
present
aw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5928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1659Y1 (ko
Inventor
이희도
Original Assignee
이희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희도 filed Critical 이희도
Priority to KR2020120005928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1659Y1/ko
Publication of KR20140000308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308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165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165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42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inorganic, e.g. basalt
    • D03D15/25Metal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13/00Protecting plants
    • A01G13/02Protective coverings for plants; Coverings for the ground; Devices for laying-out or removing coverings
    • A01G13/0256Ground coverings
    • A01G13/0268Mats or sheets, e.g. nets or fabric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GHORTICULTURE; CULTIVATION OF VEGETABLES, FLOWERS, RICE, FRUIT, VINES, HOPS OR SEAWEED; FORESTRY; WATERING
    • A01G9/00Cultivation in receptacles, forcing-frames or greenhouses; Edging for beds, lawn or the like
    • A01G9/22Shades or blinds for greenhouses, or the like
    • A01G9/222Lamellar or like blind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HFURNISHINGS FOR WINDOWS OR DOORS
    • A47H23/00Curtains; Draperies
    • A47H23/02Shapes of curtains; 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for curtains
    • A47H23/08Selection of particular materials
    • DTEXTILES; PAPER
    • D02YARNS;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WARPING OR BEAMING
    • D02GCRIMPING OR CURLING FIBRES, FILAMENTS, THREADS, OR YARNS; YARNS OR THREADS
    • D02G3/00Yarns or threads, e.g. fancy yarns; Processes or apparatus for the production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2G3/44Yarns or threads characterised by the purpose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D02G3/441Yarns or threads with antistatic, conductive or radiation-shielding properti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00Woven fabrics designed to make specified articles
    • D03D1/06Curtain heading tap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3/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special disposition of the warp or weft threads, e.g. with curved weft threads, with discontinuous warp threads, with diagonal warp or wef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2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 D03D15/283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the fibres or filaments constituting the yarns or threads synthetic polymer-based, e.g. polyamide or polyester fibr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4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44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structure of the yarns or threads with specific cross-section or surface shape
    • D03D15/46Flat yarns, e.g. tapes or fil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15/0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 D03D15/50Woven fabric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structure or properties of the fibres, filaments, yarns, threads or other warp or weft elements used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yarns or threads
    • D03D15/593Stiff materials, e.g. cane or slat
    • EFIXED CONSTRUCTIONS
    • E06DOORS, WINDOWS, SHUTTERS, OR ROLLER BLINDS IN GENERAL; LADDERS
    • E06BFIXED OR MOVABLE CLOSURES FOR OPENINGS IN BUILDINGS, VEHICLES, FENCES OR LIKE ENCLOSURES IN GENERAL, e.g. DOORS, WINDOWS, BLINDS, GATES
    • E06B9/00Screening or protective devices for wall or similar openings, with or without operating or securing mechanisms; Closures of similar construction
    • E06B9/24Screens or other constructions affording protection against light, especially against sunshine; Similar screens for privacy or appearance; Slat blinds
    • E06B9/26Lamellar or like blinds, e.g. venetian blinds
    • E06B9/38Other detail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101/00Inorganic fibres
    • D10B2101/20Metallic fibre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1/00Physical properties
    • D10B2401/22Physical properties protective against sunlight or UV radiation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3Shape features
    • D10B2403/031Narrow fabric of constant wid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rchitectur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ven Fabric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알루미늄 스트립을 포함하여 차광성을 높이되 통기성이 증대되어 습도 및 온도조절에 유용한 차양용 직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알루미늄 스트립은 폭이 0.7mm 이상 1.3mm 이하이고, 두께가 30㎛ 이상 40㎛ 이하이며, 씨줄은 300 데니아 이상 600 데니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씨줄 둘레와 날줄 사이의 틈으로 인해 통기성이 향상된다.

Description

통기성을 가진 차양용 직물 {BREATHABLE TEXTILE FOR AWNING}
본 고안은 차양용 직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알루미늄 스트립을 포함하여 차광성을 높이되 통기성이 증대되어 습도 및 온도조절에 유용한 차양용 직물에 관한 것이다.
차양용 직물은 흔히 시설재배에서 낮에는 차양을 통한 일조 시간 조절, 야간에는 보온재의 목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이를 위해 차양용 직물의 소재로서 차광성이 우수한 알루미늄 박판이 채택되는데, 알루미늄 박판은 표면의 광택으로 인해 적외선과 같은 복사선을 반사시키므로, 열복사를 차단하는 기능까지 충족시킬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종래기술에 따른 차양용 직물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161487호가 개시되어 있다. 이 등록실용신안의 '보온 및 차광 겸용 차양망지'는 알루미늄 스트립을 포함하는 직물로서, 알루미늄의 우수한 차광성으로 인해 전통적인 시설재배용 차양으로 널리 사용되고 있지만, 테라스, 베란다, 발코니 등에서 햇빛 가림막으로도 활용되며, 보온성으로 인해 대형 할인 매장과 같은 곳에서 사용되는 냉장 진열장을 위한 가림막으로도 사용되는 등 그 용도가 확대되고 있다.
이와 같이 차양용 직물의 용도가 확대됨에 따라 요구되는 특성 또한 다양해지고 있다. 예컨대, 시설재배에서 차양으로 사용될 때에는 시설 내부의 습도조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적절한 통기성이 요구되기도 한다. 냉장 진열장의 가림막으로 사용될 때에는 외부와의 온도차 및 습도차로 인해 가림막에 결로 현상이 생기는 것이 보통인데,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는 적절한 통기성이 필요한 동시에, 에너지 절약을 위해서는 보온성을 확보하여야 할 필요도 있다.
통기성이 증대된 차양용 직물의 일례로서 등록실용신안 제20-0155235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 등록실용신안의 '보온단열 차양망지'는 날줄들 사이, 씨줄들 사이에 각각 간격을 두어 직조함으로써 공간부를 형성하고, 이 공간부를 통해 공기가 통과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그런데, 이와 같이 공간부가 형성된 부분은 실질적으로 망사(網紗)가 되는데, 직조된 망사는 그 형태를 유지하기 위해 날줄과 씨줄이 교차하는 지점을 접착하는 등의 추가 조치가 필요하므로 제조 공정이 복잡해지는 문제가 있다. 또한, 망사와 같은 부분은 알루미늄 스트립이 날실로 사용된 부분에 비해 내구성이나 강도가 떨어지므로 차양망지 전체의 수명을 떨어뜨리는 원인이 되는 문제도 있다. 아울러, 이와 같은 공간부는 통기성은 증대시키는 데에 기여할 수는 있겠으나, 통기성이 증가하는 만큼 대류에 의한 열전달이 증가함으로써 보온성이 떨어지게 마련인데, 이를 보상할 수단이 없다. 즉, 공간부를 형성하는 것은 보온성을 희생하여 통기성을 확보하는 것일 뿐이므로, 통기성과 보온성을 모두 확보할 수 있는 해결책이 필요해진다.
등록실용신안 제20-0161487호 등록실용신안 제20-0155235호
본 고안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차광성과 내구성을 유지하면서도 통기성을 향상시킨 차양용 직물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고안의 다른 목적은 통기성 향상에도 불구하고 보온성을 확보할 수 있는 차양용 직물을 제공하는 데에 있다.
본 고안의 그 밖의 목적, 특정한 장점들 및 신규한 특징들은 첨부된 도면들과 연관된 이하의 상세한 설명과 바람직한 실시예들로부터 더욱 분명해질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고안에 따른 통기성을 가진 차양용 직물은, 날줄로써 알루미늄 스트립을 포함하는 직물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스트립은 폭이 0.7mm 이상 1.3mm 이하이고, 두께가 30㎛ 이상 40㎛ 이하이며, 씨줄은 300 데니아 이상 600 데니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고안에 따른 통기성을 가진 차양용 직물은, 상기 알루미늄 스트립과 교번하여 상기 날줄로써 배치된 플라스틱 스트립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고안에 따른 통기성을 가진 차양용 직물에 있어서, 상기 씨줄은 연사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고안에 따르면 씨줄의 굵기에 따라 날줄과의 사이에 빈틈이 형성되므로 통기성이 향상된다. 그러면서도 알루미늄 스트립의 밀도에는 변함이 없으므로 차광성이나 내구성이 종래 기술에 비해 떨어지지 않는다. 아울러, 통기성 향상에도 불구하고 보온성은 유지하거나 향상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통기성을 가진 차양용 직물의 일실시예의 평면도,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고안에 따른 통기성을 가진 차양용 직물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고안에 따른 통기성을 가진 차양용 직물의 일실시예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실시예의 부분확대 사시도이다.
본 고안에 따른 통기성을 가진 차양용 직물은 날줄로써 알루미늄 스트립(110)을 사용한다. 알루미늄 스트립(110)은 알루미늄 박판을 길다란 띠 모양으로 재단한 것을 가리킨다. 알루미늄 스트립(110)의 폭은 필요에 따라 임의로 정할 수 있으나, 원활한 직조 작업, 경제성 및 완성된 직물의 유연성 등을 고려할 때 그 폭이 0.7mm 이상 1.3m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적으로는 알루미늄 스트립(110)의 폭이 좁을수록 같은 면적당 통기구의 수가 늘어나므로 통기성도 향상된다. 그러나 알루미늄 스트립(110)의 폭은 이와 같은 기능적인 측면 이외에 외양이나 질감에도 영향을 주는 한편, 폭이 넓을수록 사용수명이 향상되는 효과가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더 넓은 폭이 선택될 수 있는 것이다. 그러나 알루미늄 스트립의 폭이 1.3mm 보다 큰 경우에는 제직이 현저히 곤란해진다.
알루미늄 스트립(110)은 알루미늄 박판을 그대로 재단하여 이루어질 수도 있으나, 열전도 차단 및 인장강도 향상 등의 목적을 위해 알루미늄 박판의 일면 또는 양면에 합성수지를 합지한 것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예컨대 9㎛ 두께의 알루미늄 박판의 양면에 12㎛ 두께의 합성수지 필름을 코팅하여 총 두께 33㎛의 알루미늄 스트립을 만들 수 있다. 알루미늄 박판에 코팅된 합성수지 필름은 알루미늄 박판을 통한 열전도를 억제함으로써 보온성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알루미늄 박판의 인장강도를 향상시키고, 알루미늄 박판이 외부 환경에 직접 노출되는 것을 억제하여 부식되는 것을 방지하는 등 내구성을 향상시킨다. 알루미늄 스트립(110)의 두께는 두꺼울수록 우수한 보온성을 확보할 수 있지만 그만큼 제조단가가 상승되므로, 30㎛ 이상 40㎛ 이하의 범위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날줄은 이와 같은 알루미늄 스트립(110)만으로 이루어질 수 있으나, 차광성을 조절하기 위해 투광성을 가진 합성수지로 된 플라스틱 스트립(120)이 추가로 사용될 수 있다. 여기서 투광성을 가진 합성수지의 예로는 PE, PP, PET, PVC, PS 등을 들 수 있다. 이와 같이 투광성을 가진 플라스틱 스트립(120)과 차광성을 가진 알루미늄 스트립(110)을 교번하여 날줄로써 배치하면 광선은 일부가 차단되고 일부가 투과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는데, 알루미늄 스트립(110)과 플라스틱 스트립(120)의 사용 비율을 조절함으로써 차광성을 높이거나 낮출 수 있다. 예컨대, 알루미늄 스트립 6개와 플라스틱 스트립 4개를 순차로 배열한 것을 날줄로 삼아 직조한 경우에 비해 알루미늄 스트립 4개와 플라스틱 스트립 6개를 순차로 배열한 것을 날줄로 삼아 직조한 경우가 차광성이 낮다. 사용자는 시설재배할 작물의 특성과 같은 사용목적에 맞추어 차광성이 서로 다른 것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씨줄(210)로써 연사 또는 무연사를 사용할 수 있는데, 어느 경우이든 씨줄(210)의 굵기는 300 데니아 이상 600 데니아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씨줄(210)의 굵기가 굵을수록 씨줄 둘레에서 날줄 사이의 간격이 벌어져 통기공(S)이 확대되는 효과가 있으므로 통기성이 향상된다. 아울러, 씨줄이 무연사인 경우에는 날줄 사이에 직조되었을 때 날줄에 의해 압박되어 그 단면 형상이 원형에서 타원형으로 변형되므로 통기공(S)을 크게 확보하기 어렵지만, 연사인 경우에는 꼬임에 의해 원형 단면인 형태를 유지할 수 있으므로 통기공(S)을 안정적으로 확보할 수 있어서, 동일한 데니아인 경우라면 무연사보다 연사를 사용하는 것이 통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씨줄의 굵기는 알루미늄 스트립(110)의 폭에 따라 선택될 수 있다. 예컨대 알루미늄 스트립(110)의 폭이 좁을 때에는 단위면적당 보다 많은 수의 통기공(S)이 형성되므로, 보다 가는 굵기의 씨줄을 선택할 수 있으나, 알루미늄 스트립(110)의 폭이 넓어지면 같은 면적당 통기공(S)의 수가 줄어들게 되므로, 보다 굵은 씨줄을 선택하여 개별 통기공(S)의 크기를 크게 확보할 필요가 있다. 한편 씨줄이 굵어지면 알루미늄 스트립이나 플라스틱 스트립의 두께를 증가시키지 않고도 씨줄이 굵어진 만큼 본 고안에 따른 차양용 직물의 전체 두께도 증가하는데, 그 두께가 증가한 만큼 전도열을 차단하는 효과가 향상된다. 따라서 통기성이 향상됨에 따라 수반되는 대류에 의한 열손실 증가를 보상할 수 있으므로, 전체적인 보온성은 그대로 유지하거나 오히려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고안의 실시예들은,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본 고안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고안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고안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고안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3)

  1. 날줄로써 알루미늄 스트립을 포함하는 직물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스트립은 폭이 0.7mm 이상 1.3mm 이하이고, 두께가 30㎛ 이상 40㎛ 이하이며,
    씨줄은 300 데니아 이상 600 데니아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을 가진 차양용 직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알루미늄 스트립과 교번하여 상기 날줄로써 배치된 플라스틱 스트립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을 가진 차양용 직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씨줄은 연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통기성을 가진 차양용 직물.
KR2020120005928U 2012-07-06 2012-07-06 통기성을 가진 차양용 직물 KR20047165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928U KR200471659Y1 (ko) 2012-07-06 2012-07-06 통기성을 가진 차양용 직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928U KR200471659Y1 (ko) 2012-07-06 2012-07-06 통기성을 가진 차양용 직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308U true KR20140000308U (ko) 2014-01-15
KR200471659Y1 KR200471659Y1 (ko) 2014-03-07

Family

ID=5148410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5928U KR200471659Y1 (ko) 2012-07-06 2012-07-06 통기성을 가진 차양용 직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165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373B1 (ko) * 2017-12-22 2019-04-22 (주)한솔아이엠비 광반사율 및 보온성이 우수한 블라인드용 직물의 제조방법
KR20230061748A (ko) * 2021-10-29 2023-05-09 안세라 알루미늄 차광-통풍 구조를 포함하여 차광성 및 통풍성이 우수한 모자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38364Y2 (ja) * 1989-11-29 1997-06-11 万能工業株式会社 自動車のシフトレバー装置
JPH0616494U (ja) * 1992-08-10 1994-03-04 萩原工業株式会社 アルミニウム蒸着フラットヤーンクロス
JP3076721U (ja) 2000-10-02 2001-04-20 小泉製麻株式会社 遮光スクリーン
JP4338556B2 (ja) 2004-03-10 2009-10-07 三京化成工業株式会社 遮光遮熱ネット
JP4773908B2 (ja) * 2006-07-27 2011-09-14 帝人テクノプロダクツ株式会社 赤外反射耐熱布帛及びそれらからなる耐熱性防護服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71373B1 (ko) * 2017-12-22 2019-04-22 (주)한솔아이엠비 광반사율 및 보온성이 우수한 블라인드용 직물의 제조방법
KR20230061748A (ko) * 2021-10-29 2023-05-09 안세라 알루미늄 차광-통풍 구조를 포함하여 차광성 및 통풍성이 우수한 모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1659Y1 (ko) 2014-03-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1384790B (zh) 通过编织结成的百叶窗
KR100913057B1 (ko) 차광부와 투과부가 반복된 블라인드지를 이용한 버티컬 블라인드의 제조 방법 및 베니션 블라인드의 제조 방법
JPS59501973A (ja) 温室用カ−テン
AU2009245034B2 (en) Vertical blind which is integrated by weaving, and a production method therefor
KR200471659Y1 (ko) 통기성을 가진 차양용 직물
KR101908979B1 (ko) 커튼 일체형 버티컬 블라인드
US2601326A (en) Fabric cover
KR101020403B1 (ko) 유리온실의 커튼용 원단
JP2020005576A (ja) 遮熱ネット
JP3143513U (ja) 粘着メッシュシート
KR101124297B1 (ko) 반사효율을 높인 차광망
WO2017149129A1 (en) Light pollution screening arrangement
KR102059778B1 (ko) Uv코팅층과 방습코팅층을 구비한 농업용 단열원단
JP3158042U (ja) 農業用ネット
KR20140001601U (ko) 이층 구조의 차양용 및 보온용 원단
KR100930300B1 (ko) 단열용 원단
WO2018080016A1 (ko) 커튼식 버티컬 블라인드
CN203938817U (zh) 窗饰面料
CN218535919U (zh) 防晒抗uv涤粘布
CN218171686U (zh) 一种防霉防潮型全遮光印花窗帘布
US20130032301A1 (en) Curtain fabric material
KR20160051028A (ko) 열차단율이나 투광율 조절 직조가 가능한 직물
JP7094630B2 (ja) 眩しさ抑制効果の指標化方法、評価方法
CN217892093U (zh) 单向导气防风面料
JP6940070B2 (ja) ハウス用防風ネッ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1210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1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218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