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40000041U - 스텝운동기구 - Google Patents

스텝운동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40000041U
KR20140000041U KR2020120005517U KR20120005517U KR20140000041U KR 20140000041 U KR20140000041 U KR 20140000041U KR 2020120005517 U KR2020120005517 U KR 2020120005517U KR 20120005517 U KR20120005517 U KR 20120005517U KR 20140000041 U KR20140000041 U KR 20140000041U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p plate
exercise
plate
support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20120005517U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475269Y1 (ko
Inventor
이종애
Original Assignee
이종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종애 filed Critical 이종애
Priority to KR2020120005517U priority Critical patent/KR200475269Y1/ko
Publication of KR20140000041U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40000041U/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200475269Y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475269Y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0458Step exercisers without moving part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3/00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 A63B23/03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 A63B23/04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 A63B23/0405Exercising apparatu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parts of the body for limbs, i.e. upper or lower limbs, e.g. simultaneously for lower limbs involving a bending of the knee and hip joints simultaneously
    • A63B23/0464Walk exercisers without moving par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 고안은 스텝운동기구를 다양하게 가변시켜 이용자들의 신체조건이나 운동하고자 하는 목적에 맞게 수행할 수 있고, 분해 조립을 통하여 쉽게 설치가 가능하고 보관을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한 스텝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운동을 위하여 걷는 동작 또는 계단을 오르내리는 동작을 취할 수 있도록 판상으로 구비되는 스텝플레이트와, 상기 스텝플레이트와 결합 되어 스텝플레이트를 지지하여 주는 연결수단으로 구성하고;
상기 스텝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는 연결홀을 형성한 연결링을 고정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관체형상으로 구비되어 스텝플레이트의 하측에 결합되어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 결합되어 운동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이나 하중을 지지하는 받침대와, 상기 스텝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어 여러 단으로 구성할 때 연결기능을 수행하는 연결대와, 인접한 지지대의 중간부위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대 벌어지거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유지링을 포함하는 것이 특징이다.

Description

스텝운동기구{STEP EXERCIES EQUIPMENT}
본 고안은 스텝운동기구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운동하고자 하는 스텝을 자유롭게 가변시켜 운동량이나 운동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도록 개선한 스텝운동기구의 제공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운동은 무산소운동 또는 유산소운동 등을 통해 근력, 지구력 등을 향상시켜 신체를 단련시키는 것을 말하며, 무산소운동은 통상 근력의 향상과 함께 근육 증가 및 근육 선명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주된 목적이므로 근육에 자극이 가해질 수 있도록 중량물을 들어올리고 내리는 것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유산소운동은 걷기, 달리기, 수영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는 특별한 운동기구가 없이도 누구나 손쉽게 운동할 수 있으나, 실내에서도 쉽게 걷거나 뛰거나 계단오리기 등과 같은 운동을 수행할 수 있도록 제공되는 운동기구가 다수 개발되고 사용되고 있다.
실내에서 유산소 운동을 위하여 사용하는 운동기구는 런닝머신, 스텝머신, 싸이클머신, 웨이트머신 등이 있으나 이들은 부피가 크기 때문에 전문적인 운동공간에서 적합하게 고안되어 있으므로 가정이나 사무실과 같은 실내에서 사용하기에는 부적합하다.
이와 같은 가정이나 사무실의 좁은 공간에 비치한 상태에서 걷거나 계단 오르기와 같은 운동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제공되는 것이 스텝운동기구이며, 종래에도 이러한 스텝운동기구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며 대표적인 예를 도 7을 통하여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종래 기술이 적용되는 스텝운동기구(50)는, 축(12)을 갖는 기저부(10)에 피벗 가능하게 만곡된 전방부(21)가 부착되고, 풋 지지대(20) 상에 피벗 가능하게 레버(22)가 연결되며, 상기 풋 지지대(20)와 기저부(10) 사이에 피벗 가능하게 한 쌍의 엑츄에이터(30)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각각의 액츄에이터(30)는 풋 지지대(20)의 측부에 피벗 가능하게 상단부(32)가 부착되고, 상기 기저부(10)의 후방부에 피벗 가능하게 하단부(31)가 부착된다.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스텝운동기구는, 운동기구의 사용자가 양측 풋 페달에 올라서 좌우 양측을 번갈아가면서 가압하게 되면 풋 페달에 연결된 액츄에이터의 로드가 피스톤 왕복 운동하게 됨으로써 스텝 운동을 수행할 할 수 있게 된다.
이때 풋 페달의 가압과 가압 해제 작용을 담당하는 액츄에이터가 스텝운동기구의 좌우 양측에 각각 설치됨으로써, 액츄에이터 설치에 따른 제품 제조 비용이 증가되어 원가가 상승하고, 생산과 조립이 어렵게 되어 생산성이 저하되는 것은 물론 소비자들이 이용하고자 할 경우 금전적인 부담이 크게 된다.
또한, 먼지나 이물질 등이 운동기구 표면은 물론 액츄에이터와 로드 사이에 쉽게 쌓이게 되고 수분이 침투한 경우에는 액츄에이터의 고장 우려가 높고, 노약자들이 액츄에이터를 무리하게 조작하거나 또는 운동 과정에서 손이나 발과 같은 신체 일부분이 운동기구에 끼여 안전사고가 발생하는 현상이 빈번하게 일어나고 있는 실정이다.
기타 유사한 스텝운동기구가 다수 있으나 기구적인 조작에 의하여 발로 밟는 힘의 강약을 조절하는 형태이기 때문에 운동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과도하게 다리에 힘을 주게 되므로 운동보다는 다리에 무리가 발생하게 되는 원인이 되고 있는 실정이다.
즉, 편안한 상태로 걷는 것과 같은 운동효과 또는 계단을 오르고 내리는 일상적인 생활과 같은 운동효과를 기대하는 것이 많음에도 불구하고 실질적으로는 근력운동에 가깝기 때문에 몇 번 사용한 후에는 피로누적 등으로 인하여 사용하지 않게 되므로 불필요한 비용을 낭비하게 되는 등 여러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는 실정이다.
이에 본 고안에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하여 고안한 것으로서, 운동을 위하여 걷는 동작 또는 계단을 오르내리는 동작을 취할 수 있도록 판상으로 구비되는 스텝플레이트와, 상기 스텝플레이트와 결합 되어 스텝플레이트를 지지하여 주는 연결수단으로 구성하고;
상기 스텝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는 연결홀을 형성한 연결링을 고정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관체형상으로 구비되어 스텝플레이트의 하측에 결합되어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 결합되어 운동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이나 하중을 지지하는 받침대와, 상기 스텝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어 여러 단으로 구성할 때 연결기능을 수행하는 연결대와, 인접한 지지대의 중간부위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대 벌어지거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유지링을 포함하여;
스텝운동기구를 다양하게 가변시켜 이용자들의 신체조건이나 운동하고자 하는 목적에 맞게 수행할 수 있고, 분해 조립을 통하여 쉽게 설치가 가능하고 보관 또한 용이하여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목적 달성이 가능하다.
본 고안은 스텝운동기구를 조립식으로 구성하여 다양한 형태로 가변시켜 사용할 수 있도록 하고, 가변을 통하여 스텝운동을 다양하게 수행할 수 있으면서 일상적으로 걷거나 계단을 오르내리는 것과 동일한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함으로서 이용자들에게 운동으로 인한 신체적인 피로를 경감하고 이용에 따르는 경제적인 부담을 경감할 수 있는 등 다양한 효과를 가지는 고안이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스텝운동기구를 도시한 예시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스텝운동기구를 도시한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스텝운동기구를 도시한 다른 예의 사용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스텝운동기구를 도시한 또 다른 예의 사용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스텝운동기구의 B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스텝운동기구의 C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구성도.
도 7은 종래 기술이 적용된 스텝운동기구를 도시한 구성도.
이하 첨부되는 도면과 관련하여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고안의 바람직한 구성과 작용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1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스텝운동기구를 도시한 예시적인 사시도, 도 2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스텝운동기구를 도시한 A - A선을 따라서 취한 단면도, 도 3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스텝운동기구를 도시한 다른 예의 사용 예시도, 도 4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스텝운동기구를 도시한 또 다른 예의 사용 예시도, 도 5는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스텝운동기구의 B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구성도, 도 6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스텝운동기구의 C부위를 발췌하여 도시한 구성도로서 함께 설명한다.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되는 스텝운동기구(100)는, 이용자가 운동을 위하여 걷는 동작 또는 계단을 오르내리는 동작을 취할 수 있도록 발을 디딜 수 있도록 판상으로 구비되는 스텝플레이트(101)와, 상기 스텝플레이트(101)와 결합 되어 스텝플레이트(101)를 지지하여 주는 연결수단(102)으로 구성한다.
상기 스텝플레이트(101)의 가장자리에는 다수개의 연결홀(103)을 형성한 연결링(104)을 일체로 또는 별도로 형성하여 결합시켜 고정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하고, 상기 스텝플레이트(101)는 목재 또는 금속 등 다양한 재질로 구성할 수 있으나 플라스틱(합성수지)재질로 사출성형하는 것이 제조의 용이성을 제공하여 형상을 다양하게 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스텝플레이트(101)의 상면에는 다양한 형상과 무늬를 가지도록 하여 시각적 및 외관상 미감을 고조시키고, 안정된 스텝동작을 유지할 수 있도록 쿠션재질의 스텝패드(105)를 가지도록 하여도 되고, 저면에는 강도를 보강할 수 있도록 보강림 등과 같은 보강수단을 강구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연결수단(102)은, 관체형상으로 구비되어 바닥면과 연접되어 스텝플레이트(101)의 하측에 결합되어 전체를 지지하는 지지대(110)와, 상기 지지대(110)의 하단에 결합되어 받침대 역할을 하면서 운동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이나 하중을 지지하는 받침대(111)와, 스텝플레이트(101)의 상부에 결합되어 여러 단으로 구성할 때 연결기능을 수행하는 연결대(112)와, 상기 지지대(110)와 지지대(110)의 중간부위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대(110)가 하중에 의하여 벌어지는 것을 방지하도록 하는 유지링(113)으로 구성한다.
상기 지지대(110)의 높이(길이)는 지지하고자 하는 스텝플레이트(101)의 높이에 대응하여 여러 종류로 구비될 수 있음은 당연할 것이며, 연결대(112)의 높이는 일정한 규격을 유지하여 스텝플레이트(101)를 다단으로 구성할 때 각단의 스텝플레이트(101) 간의 높이를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지지대(110)의 상단과 연결대(112)의 상,하단에는 연결링(104)의 절반 깊이로 삽입될 수 있도록 삽입관체(114)를 돌출시키고, 상기 지지대(110) 및 연결대(112)와 삽입관체(114)와는 걸림턱(115)을 두어 지지대(110) 및 연결대(112)가 연결링(104)을 관통하는 것이 방지되도록 한다.
상기 삽입관체(114)의 중심에는 나사공(116)을 형성하여 지지대(110) 또는 연결대(112) 중 어느 하나에 축의 중심에서 양측으로 나사방향을 달리한 단속볼트(117)를 이용하여 지지대(110)와 연결대(112)를 견고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받침대(111)는 하측이 넓고 상측이 좁은 형상의 받침대바디(118)를 구비하여 안정성을 확보하고, 상기 받침대바디(118)의 상측에는 지지대(110)의 하단부가 수용될 수 있는 지지대홈(119)을 형성하여 구성한다.
상기 받침대바디(118)는 플라스틱 계열의 재질이 좋고, 바닥면에는 미끄러짐을 방지할 수 있도록 마찰력이 우수한 고무 또는 우레탄 재질의 미끄럼방지패드를 더 부착하여도 된다.
상기 유지링(113)은, 높이가 낮은 지지대(110) 보다는 스텝플레이트(101)를 여러단으로 구성할 때 제일 후측에서 지지 되는 가장 높은 지지대(110)의 중간을 인접한 지지대(110)와 연결하여 유동하는 것을 방지하여 전체 스텝운동기구(100)를 안정되게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유지링(113)은 지지대(110)의 외경과 동일한 내경을 가지는 지지대홀(120)을 형성한 홀바디(121)를 구비하고, 상기 홀바디(121)와 홀바디(121) 사이를 유지바(122)로 일체로 형성하여 지지대(110)을 벌어지지 않게 잡아줄 수 있도록 한다.
물론, 상기 홀바디(121)에는 볼트와 같은 단속수단을 이용하여 움직이지 않도록 단속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은 당연할 것이며, 홀바디(121)의 어느 한 측을 개방시키고 개방면에 통상적인 클램프를 구비하여 지지대(110)와의 결합과 해제를 용이하게 할 수 있도록 하여도 무방할 것이다.
상기 연결대(112)가 연결되지 않는 스텝플레이트(101) 상면에 노출되는 연결링(104)에는 마감캡(125)을 결합시켜 외관을 채치지 않도록 하여도 된다.
상기와 같은 본 고안의 기술이 적용된 스텝운동기구(100)의 사용상태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1단 형태의 스텝운동기구(100)를 만들고자 할 경우에는 스텝플레이트(101)에 형성되는 연결링(104)의 연결홀(103)에 지지대(110)를 저면에서 결합하고, 연결링(104)의 상면은 마감캡(125)을 결합하여 연결홀(103)이 노출되지 않은 상태를 유지하도록 한다.
2단 또는 3단 형태의 스텝운동기구(100)를 만들고자 할 경우에는 1단 형태 또는 2단 형태의 스텝운동기구(100)의 후방 스텝플레이트(101)의 상면에 노출된 연결홀(103)에 연결대(112)를 결합하고, 상기 연결대(112)의 상측에는 1,2단보다 높은 단을 형성하고자 하는 스텝플레이트(101)에 구비되는 연결링(104)의 연결홀(103) 저면과 결합 되도록 한다.
그리고, 최종단계의 스텝플레이트(101) 후방 저면에는 지지대(110)를 결합하고, 스텝플레이트(101)의 상면에 노출되는 연결홀(103)에는 마감캡(125)을 결합하고, 지지대(110)의 저면에는 받침대(111)를 결합하여 완성하게 된다.
물론, 상기 지지대(110)의 상부에 여러 단을 구성하기 위하여 연결대(112)를 결합할 때에는, 지지대(110)와 연결대(112)의 상,하측에 돌출된 삽입관체9114)가 연결홀(103)에 결합되고, 걸림턱(115)에 의하여 필요 이상 연결홀(103)로 진입하는 것이 방지됨과 아울러 삽입관체(114)에 형성된 나사공(116)에 단속볼트(117)를 이용하여 지지대(110)와 연결대(112)를 견고한 연결상태를 유지하게 하므로 스텝플레이트(101)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최상단을 유지하는 스텝플레이트(101)의 후방 저면에 결합되는 지지대(110)의 경우에는 유지링(113)을 이용하여 인접위치의 지지대(110)와 서로 연결된 상태를 유지하여 일정한 간격을 유지하면서 움직이지 않도록 잡아주게 되므로 스텝운동기구(100) 전체를 안정된 상태로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이 완성된 스텝운동기구(100)를 이용하여 운동하고자 할 경우, 1단으로 구성한 경우에는 이용자가 발을 이용하여 스텝플레이트(101)로 오르고 내리는 동작을 반복하게 되고, 1단 이상 구성한 상태에서는 계단을 오르고 내리는 것과 같은 동작을 취함으로써 스텝운동을 수행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본 고안은 스텝운동기구를 다양하게 가변시켜 이용자들의 신체조건이나 운동하고자 하는 목적에 맞게 수행할 수 있고, 분해 조립을 통하여 쉽게 설치가 가능하고 보관 또한 용이하여 이용자들의 편의성을 증대시킬 수 있는 등의 장점을 가진다.
100; 스텝운동기구
101; 스텝플레이트
102; 연결수단
110; 지지대
111; 받침대
112; 연결대
113; 유지링
125; 마감캡

Claims (2)

  1. 운동을 위하여 걷는 동작 또는 계단을 오르내리는 동작을 취할 수 있도록 판상으로 구비되는 스텝플레이트와;
    상기 스텝플레이트와 결합 되어 스텝플레이트를 지지하여 주는 연결수단으로 구성하고;
    상기 스텝플레이트의 가장자리에는 연결홀을 형성한 연결링을 고정하고;
    상기 연결수단은, 관체형상으로 구비되어 스텝플레이트의 하측에 결합되어 지지하는 지지대와;
    상기 지지대의 하단에 결합되어 운동과정에서 발생하는 충격이나 하중을 지지하는 받침대와;
    상기 스텝플레이트의 상부에 결합되어 여러 단으로 구성할 때 연결기능을 수행하는 연결대와;
    인접한 지지대의 중간부위를 서로 연결하여 지지대 벌어지거나 움직이는 것을 방지하는 유지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운동기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대가 연결되지 않는 스텝플레이트 상면에 노출되는 연결링에는 마감캡을 결합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텝운동기구.
KR2020120005517U 2012-06-27 2012-06-27 스텝운동기구 KR200475269Y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517U KR200475269Y1 (ko) 2012-06-27 2012-06-27 스텝운동기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0120005517U KR200475269Y1 (ko) 2012-06-27 2012-06-27 스텝운동기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40000041U true KR20140000041U (ko) 2014-01-06
KR200475269Y1 KR200475269Y1 (ko) 2014-11-21

Family

ID=5229175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120005517U KR200475269Y1 (ko) 2012-06-27 2012-06-27 스텝운동기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0475269Y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04892A (zh) * 2022-01-25 2022-04-29 信阳市第四人民医院 一种多功能的妇产科用辅助装置
KR102538969B1 (ko) 2022-10-04 2023-05-31 주식회사케이스텝박스 운동용 스텝박스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36696Y1 (ko) 2003-05-23 2003-12-24 구본호 알루미늄 프로파일재를 이용한 다단식 조립식 화분대
KR200404151Y1 (ko) 2005-10-07 2005-12-19 최두영 계단식 스텝퍼
KR20070000164U (ko) * 2007-01-16 2007-02-05 박장현 조립형 다단 화분 받침대
KR20100006535U (ko) * 2008-12-18 2010-06-28 류세현 4개의 발판을 가진 계단오르기 헬스스텝퍼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404892A (zh) * 2022-01-25 2022-04-29 信阳市第四人民医院 一种多功能的妇产科用辅助装置
CN114404892B (zh) * 2022-01-25 2022-11-04 信阳市第四人民医院 一种多功能的妇产科用辅助装置
KR102538969B1 (ko) 2022-10-04 2023-05-31 주식회사케이스텝박스 운동용 스텝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475269Y1 (ko) 2014-1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519958B (zh) 一种手动自助登梯器
JP2009261905A (ja) 腰捻り式健康器
KR200475269Y1 (ko) 스텝운동기구
KR101619485B1 (ko) 계단 탄력 발판
US10004944B2 (en) Hooking and locking device for elevating footboard of pull-up exercise machine
CN203663353U (zh) 踏步健腿机
KR101578447B1 (ko) 하체 운동기구
CN201190435Y (zh) 泳池组合扶梯结构
CN213942019U (zh) 一种可调节运动器械
US7520841B2 (en) Foldable aquatic stepper
CN105854223A (zh) 脚踏式健身器械
CN210251061U (zh) 一种运动康复腿部力量训练装置
CN206660440U (zh) 一种跑步机自适应智能减震装置
CN201115765Y (zh) 腿部伸展健身器
CN201192548Y (zh) 登高器
JP2013169385A (ja) 被介護者の筋力値を測定し、その筋力に合わせたリハビリができるリハビリ機。
KR20150132658A (ko) 운동 기구
CN211158460U (zh) 一种礼仪体位训练装置
CN203417441U (zh) 一种折叠式多功能健身器
KR101245074B1 (ko) 헬스자전거용 안장의 높낮이 조절기구
CN210439584U (zh) 稳固型铜楼梯
CN214860896U (zh) 踩踏荷重可调的平衡踏步机
CN215995493U (zh) 一种能调节位移的踏板结构及椭圆机
CN215025737U (zh) 一种芭蕾舞体型训练辅助装置
CN110302501A (zh) 一种用于体育训练的弹跳力训练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GI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