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3497A - 잠수함 - Google Patents

잠수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3497A
KR20130143497A KR1020130069526A KR20130069526A KR20130143497A KR 20130143497 A KR20130143497 A KR 20130143497A KR 1020130069526 A KR1020130069526 A KR 1020130069526A KR 20130069526 A KR20130069526 A KR 20130069526A KR 20130143497 A KR20130143497 A KR 201301434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udder
submarine
ship
iii
blad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695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614894B1 (ko
Inventor
란돌프 테프너
Original Assignee
티센크루프 마린 시스템즈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티센크루프 마린 시스템즈 게엠베하 filed Critical 티센크루프 마린 시스템즈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301434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34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61489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61489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14Control of attitude or depth
    • B63G8/18Control of attitude or depth by hydrofoi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GOFFENSIVE OR DEFENSIVE ARRANGEMENTS ON VESSELS; MINE-LAYING; MINE-SWEEPING; SUBMARINES; AIRCRAFT CARRIERS
    • B63G8/00Underwater vessels, e.g. submarines; Equipment specially adapted therefor
    • B63G8/14Control of attitude or depth
    • B63G8/20Steer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Laying Of Electric Cables Or Lines Outside (AREA)
  • Electric Cable Installation (AREA)
  • Toys (AREA)
  • Hydraulic Turbines (AREA)

Abstract

잠수함은 그것의 선박 몸체상에 배치된 방향타 블레이드들을 포함한다. 이 선박 몸체의 바깥면 및 이 선박과 마주하는 방향타 블레이드들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은 서로 배치되고 중립위치 밖의 피봇 영역 내의 방향타 블레이드가 자유공간이 없는 식으로 선박 몸체의 바깥면에 접속되는 식으로 설계된다.

Description

잠수함{Submarine}
본 발명은 청구항 1에 특정된 구성을 갖는 잠수함에 관한 것이다.
추진력으로서 선미에 프로펠러를 포함하는 잠수함들이 알려져 있는데, 여기서 측면 및 깊이제어를 위한 방향타 블레이드들(rudder blades)이 선미의 방향으로 원형 또는 타원형 단면을 가지고 테이퍼져 있는 선박 후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잠수함의 선미의 방향으로 테이퍼져 있는 선박 후단부 때문에, 방향타 블레이드들과 선박 후단부 사이에 의미 있는 자유 공간이 중립위치에 존재하지 않도록, 잠수함에 직접적으로 면하고 있는 방향타 블레이드의 측면을 후미방향으로 선박 후단부의 바깥면의 형상에 일치하는 형상으로 설계하든지, 또는 방향타 블레이드들의 중립위치에 즉 방향타 블레이드과 선박 후단부의 바깥면 사이에 존재하는 자유공간을 채우는 소위 말하는 데드우드(deadwood)를 사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이들 두 설계들에도 모두 문제점이 발생하는데, 만약 방향타 블레이드들이 방향타위치로 회전되면, 선박과 면하고 있는 방향타 블레이드들의 측면의 형상과 함께, 이것은 중립위치로부터 다르게 됨은 물론, 데드우드의 사용에 있어서, 비교적 큰 중간 공간이 관통 유동되고 이것은 방향타 블레이드들 및 선박 후단부의 바깥면 사이에서 소용돌이 형태의 결과를 가져온다. 한편 이 소용돌이의 결과는 방향타의 효과를 감소시키고 다른 한편으로는 프로펠러 상의 흐름에 조화를 이루지 못한다. 이것은 프로펠러의 효력을 감소시키고, 기본적으로 군용잠수함에 바람직하지 않은 음향신호를 수반하는 프로펠러 날 진동을 초래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위와 같은 단점들을 해소하고 방향타 효과를 향상시키고 선박 후단부에서 그것의 앞에 배치된 방향타 블레이드들로 인한 잠수함의 선미에 배치된 프로펠러상의 조화되지 못하는 역류가 방지되거나 또는 적어도 고려할만한 범위로 감소되는 잠수함을 제공하는 것이다.
위와 같은 목적은 청구항 1에 특정된 구성을 갖는 잠수함에 의해 달성된다. 이 잠수함의 다른 이점 있는 향상 점들은 종속항들, 상세한 설명 및 도면으로부터 알 수 있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르면, 종속항들에 특정된 구성들은 각 경우 그 자체는 물론 적절한 조합을 통해 본 발명 및 청구항 1에 따른 해결책을 더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잠수함은, 본질적으로 알려져 있는 식으로, 그것의 선박 몸체의 바깥에 배치된 방향타 블레이드들을 포함하고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내용에 있어서의 선박 몸체는 잠수함의 어떤 외벽으로 이해되는 것이다. 방향타 블레이드들과 관련하여, 그것은 잠수함의 타워 상에 또는 잠수함의 정상적인 항해방향으로 전방에 있는 선박 몸체 영역 상에 배치되는 전방깊이방향타들일 수 있고, 또는 선박 후단부에 배치되는 조종방향타들 및 깊이방향타들의 경우일 수 있다. 잠수함과 마주하는 선박 몸체의 바깥면과 적어도 하나의 방향타 블레이드들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모든 방향타 블레이드들의 측면은 서로 배치되고 방향타 블레이드의 중립위치에 인접하는 적어도 피봇영역 내의 방향타 블레이드는, 이들 방향타 블레이드들의 효과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그리고, 선박 후단부에 배치된 방향타 블레이드들과 함께, 또한 잠수함의 선미에서 방향타 블레이드들의 뒤에 배치된 프로펠러 상에서, 방향타 블레이드들의 정상 흐름 방향으로, 이들 방향타 블레이드들에서의 소용돌이를 피하기 위하여 그리고 이것에 의해 수반된 비균질 흐름을 방지하기 위하여, 어떤 자유공간도 없는 식으로 선박 몸체의 바깥면에 접속된다. 즉, 가능한 한 각 영역이 크도록, 예를 들면 방향타 블레이드들의 각 영역이 잠수함의 작동 동안 회전될 수 있는 방향타 블레이드들의 중립위치에 대하여 약 ± 30°의 각 영역으로, 선박 몸체의 바깥면의 기하학적 표면과 선박 몸체와 직접적으로 반대로 놓여 있는 방향타 블레이드들의 측면의 윤곽은, 방향타 블레이드들과 선박 몸체의 바깥면과의 사이에 관통흐름이 자유로운 식의 공간이 형성되지 않도록 또는 소용돌이와 관련하여 무시해도 될 정도로, 서로 일치되어진다.
방향타 블레이드들과 선박 몸체 사이에 자유공간을 피하기 위한 바람직한 설계는, 각 경우에 있어서 회전표면 부분으로서 그리고 바람직하게는 구형으로 만곡된(아치형의) 식으로, 적어도 영역의 일부분에 있어서 그 위로 방향타 블레이드들이 회전가능한, 선박 몸체의 바깥면을 설계하는데 놓여 있고, 여기서 선박 몸체의 바깥면과 마주하는 방향타 블레이드들의 측면들은 선박 몸체의 바깥면의 곡률에 일치하는 곡률을 갖는다. 여기서, 방향타 블레이드들의 방향타 축은 유용하게 선박 몸체의 곡률 상에 탄젠트 각(tangent bearing)으로 정상적으로 배열된다. 특히 구면 곡률에 있어서, 선박 몸체의 바깥면 상에 형성된 곡률은 선택적으로 순방향으로 따라서 바깥으로 볼록하게 만곡 될 수 있으며, 여기서 이 경우에 있어서 선박 몸체와 직접적으로 반대로 놓여 있는 방향타 블레이드들의 측면은 오목하게 안으로 만곡 되어 있고, 또는 그것은 역방향으로 따라서 오목하게 안쪽으로 만곡 될 수 있고, 여기서 선박 몸체와 직접적으로 반대로 놓여 있는 측면은 일치하는 볼록 곡률을 갖는다.
이점 있게, 선박 몸체의 구형으로 설계된 영역의 곡률반경 및 방향타 블레이드의 측면의 일치하는 곡률반경, 선박 몸체의 바깥면과 직접적으로 반대로 놓여 있는 상기 측면은, 선박 몸체의 구형으로 형성된 영역들로부터 거기에 인접한 선박 몸체의 비-구형으로 형성된 영역들로의 전이가 가능한 한 흐르는 식으로 선택되고, 따라서 바람직하지않는 경우로서 그렇지 않으면 가판대가 되는 큰 가장자리가 형성되지 않는다.
방향타 블레이드들 및 선박 몸체 사이의 자유공간을 피하기 위한 또 다른 바람직한 설계에 따르면, 각 경우에 있어서 선박 몸체의 바깥면은, 적어도 방향타 블레이드들이 회전가능한 영역들 상에, 방향타 블레이드들의 방향타 축의 하류에 제1 곡률반경을 갖는 구형 곡률을 가지고 그리고 방향타 블레이드들의 방향타 축들의 상류에 제2 곡률반경을 갖는 구형 곡률을 가지며, 여기서 선박 몸체의 바깥면을 마주하는 방향타 블레이드들의 측면들은 선박 몸체의 바깥면의 곡률에 일치하는 곡률들을 갖는다. 따라서, 방향타 블레이드들의 방향타 축들로부터 출발하는 방향타 블레이드들의 부분이 잠수함의 후미방향으로 가르치는 영역 내의 선박 몸체는 제1반경을 갖는 구형형상을 가질 수 있고, 방향타 블레이드들의 방향타 축들로부터 출발하는 방향타 블레이드들의 부분이 잠수함의 선단 방향으로 가르치는 영역 내의 선박 몸체는 제1반경과는 다른 제2반경을 갖는 구형형상을 가질 수 있다. 이것에 보완적으로, 선박 몸체와 직접적으로 마주하는 방향타 블레이드들의 측면들은, 방향타 축으로부터 잠수함의 선미 방향으로 가르치는 부분에 있어서, 제1 곡률반경을 갖는 내향 곡률(오목함)을 가지고, 방향타 축으로부터 잠수함의 선단 방향으로 가르치는 부분에 있어서, 제2 곡률반경을 갖는 내향 곡률을 갖는다.
제조기술과 관련하여 특히 간단히 실현될 수 있는, 방향타 블레이드들을 회전함에 있어서 방향타 블레이드들 및 선박 몸체 사이의 자유공간을 방지하기 위한 또 다른 이점 있는 대책은, 각 경우에 있어서 방향타 블레이드들의 피봇영역들의 적어도 일부가 평편한 식으로 선박 몸체의 바깥면을 설계하는 데 있다. 이처럼, 그 위로 방향타 블레이드들이 이들 방향타 블레이드들의 방향타 축의 상류 및 하류에서 회전되는 선박 몸체의 바깥면의 영역들은 평면으로 설계될 수 있고, 여기서 선박 후단부에서의 이들 평면은 이 선박 후단부의 테이퍼 형상에 적합한 식으로 잠수함의 길이방향 축에 대하여 비스듬히 배열될 수 있다. 유용하게, 선박 몸체와 직접적으로 마주하는 방향타 블레이드들의 측면들은 곧은 식으로 설계되고, 여기서 방향타 블레이드들의 방향타 축들에 대하여 이들 곧은 측면들은 이들 측면들이 자유공간이 없는 식으로 선박 몸체의 평편한 바깥면 영역들과 접하는 식으로 배열된다.
더 이점 있게, 선박 후단부의 바깥 단면 윤곽은, 적어도 방향타 블레이드들의 배열의 영역에 있어서, 적절한 또는 둥근 다각형의 형상을 가질 수 있고, 즉 적어도 방향타 블레이드들이 배치되어 있는 영역 내의 선박 후단부의 단면은 코너들이 바람직하게 둥글게 되는 식으로 각지게 설계될 수 있다. 경우가 있을 수 있는 것으로서, 그것은, 적절한 다각형 형상 및 다각형 배열이 있다면, 선박 후단부를 잠수함의 수중 음파탐지 위치를 더 어렵게 하는 잠행특성을 제공하기 위하여, 다각형 단면이 제공되는 완전한 선박 후단부를 위하여 이점이 있을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선박 후단부의 다각형 단면은 선박 후단부 상에 설치된 방향타 블레이드들의 수와 관련된다. 따라서, 만약 세 개의 방향타 블레이드들이 선박 후단부 상에 제공된다면, 본 발명에 따른 잠수함은, 적어도 방향타 블레이드들이 배치되어 있는 선박 후단부의 영역 내에, 적절한 또는 둥근 삼각형 단면 윤곽을 가질 수 있고, 여기서 각 경우에 있어서 하나의 방향타 블레이드가 따라서 형성된 세 개의 바깥면들의 각각 상에 배치된다.
만약 본 발명에 따른 잠수함이 그것의 선박 후단부에 배치된 네 개의 방향타 블레이드들을 갖는다면, 이 잠수함은 이점 있게 적어도 방향타 블레이드들이 배치되어 있는 선박 후단부의 영역 내에, 적절한 또는 둥근 사각형 바깥 단면 윤곽을 가질 수 있다.
유용하게, 선박 후단부 상에 배치된 네 개의 방향타 블레이드들은 십자 방향타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이 십자 방향타는, 잠수함의 정상적 수평 부동 위치 또는 수직위치와 함께 두 개의 방향타 블레이드들은 공통 평면에서 수직으로 배열되고 두 개의 방향타 블레이드들은 공통평면에서 수평으로 배열되어 있는, 방향타 블레이드들의 배열과 같은 것으로 이해되는 것이다. 설계에 있어서, 선박 후단부의 영역 내의 잠수함이 적절한 또는 둥근 사각형 바깥 단면을 가짐과 함께, 이 단면의 바깥면들은 쌍으로 수평 및 수직으로 배열될 수 있다.
한편으로, 십자 방향타에 대한 이점 있는 설계로서, 본 발명에 따른 잠수함은 선박 후단부의 영역 내에 X-방향타를 형성하는 네 개의 방향타 블레이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즉, 이 설계의 방향타 블레이드들은 각 경우에 있어서, 성 앤드류(Andrew) 십자가로서, 십자 방향타의 방향타 블레이드들에 대하여 30 - 60°의 각으로 비켜 배열된다. X-방향타의 사용과 함께, 적어도 선박 후단부의 영역은 적절한 또는 둥근 사각형 바깥 단면을 가질 수 있고, 여기서 잠수함의 수평부동 또는 항해 위치와 함께, 적절한 또는 둥근 사각형 바깥 단면의 두 코너들은 수직선상에 배치되고 단면의 다른 두 코너들은 수평선상에 배치된다. 이 설계는 잠수함의 잠행위치를 더 어렵게 하므로 이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잠수함은 방향타 효과를 향상시키고 잠수함의 선미에 배치된 프로펠러 상의 조화되지 못하는 역류가 방지되거나 또는 적어도 고려할만한 범위로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보다 좋은 관찰을 이유로 단지 하나의 방향타만 도시된, 잠수함의 선박 후단부의 측면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선박 후단부의 단면도이고,
도 3은 제2 설계에 있는 잠수함의 선박 후단부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보다 좋은 관찰을 이유로 단지 하나의 방향타만 도시된, 제3 설계에 있어서의 잠수함의 선박 후단부의 측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선박 후단부의 단면도이고,
도 6은 제4 설계에 있는 잠수함의 선박 후단부의 단면도이고,
도 7은 보다 좋은 관찰을 이유로 단지 하나의 방향타만 도시된, 제5 설계에 있어서의 잠수함의 선박 후단부의 측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따른 선박 후단부의 단면도이고,
도 9는 제6 설계에 있는 잠수함의 선박 후단부의 단면도이고,
도 10은 선박 후단부의 제7 설계에 있어서의 방향타 블레이드이고, 및
도 11은 도 10에 따른 방향타 블레이드의 피봇 영역이다.
이하에서, 도면에 도시된 실시 예들을 통해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는 잠수함의 선박 후단부(2)를 보여준다. 이 선박 후단부(2)는 잠수함의 선미(4)와 맞닿는다. 이 선미(4) 상에 프로펠러(6)가 배치된다. 각각 방향타 축(A)에 회전가능한 네 개의 방향타 블레이드들(8)이 선박 후단부(2)의 바깥 상에 배치된다. 이 방향타 블레이드들(8)은 십자 방향타를 형성하고, 여기서 잠수함의 수평부동 또는 항해위치에 있어서, 두 개의 방향타 블레이드들(8)이 공통 수직평면으로 되고 두 개의 방향타 블레이드들(8)은 공통 수평평면으로 된다.
방향타 블레이드들(8)의 배치의 영역에 있는 선박 후단부(2)는 만곡된 형상의 사각 단면을 가지고, 여기서 사각의 코너들은 둥글게 되어 있다. 이들 코너들 사이에 놓인 선박 후단부(2)의 네 영역들은 길이방향으로 선박 후단부(2)의 곡률반경에 일치하는 곡률반경(R)을 갖는 구면을 갖는다. 선박 후단부(2)의 구면에 일치하는 식으로, 선박 후단부(2)에 직접 반대로 놓여 있는 측면(10)에서의 네 방향타 블레이드들(8)은 곡률반경(R)에 상호보완적인 곡률반경으로 만곡되어 있다. 선박 후단부(2)와 직접 마주하는 방향타 블레이드들(8)의 측면(10)의 대응하는 곡률과 함께 선박 후단부(2)의 바깥면의 곡률반경은 방향타 블레이드들(8)의 회전 동안 선박 후단부(2) 및 방향타 블레이드들(8) 사이에 자유공간이 형성될 수 없다는 것을 보장한다.
도 3에 도시된 선박 후단부(2I)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선박 후단부(2)와는 방향타 블레이드들(8)이 X-방향타를 형성하고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선박 후단부(2) 상의 방향타 블레이드들(8)에 대하여 45°로 어긋나게 배치된 사실에 있어서 다르다. 또한 이 선박 후단부(2I)는 방향타 블레이드들(8)이 회전될 수 있는 영역에 만곡된 사각 단면을 갖는다. 방향타 블레이드들(8)의 배열에 일치하는 식으로, 그러나 단면 형상은, 잠수함의 수평부동 위치에 있어서, 사각 단면의 두 코너들이 공통 수직평면으로 배치되고 나머지 두 코너들이 공통 수평평면으로 배치되는 형태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선박 후단부(2)에서와 같이, 코너들 사이에 놓인 선박 후단부(2I)의 영역들의 바깥면들은 길이방향으로 선박 후단부의 곡률반경에 일치하는 곡률반경(R)을 갖는 구면으로 설계된다.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선박 후단부(2II)는 둥근 식으로 설계된 코너들과 함께 완전한 사각 단면을 가지고 이들 단면영역은 선미(4) 방향으로 계속 감소한다. 따라서, 선박 후단부(2II)는 잠수함의 선미(4)로 테이퍼지는 사각형의 끝을 잘라버린 피라미드의 형상을 갖는다. 각 경우에 있어서 그 위에 방향타 블레이드(8II)가 각 바깥면에 정상적으로 배열된 회전축(A)에 대하여 회전가능한 식으로 배치되어 있는 선박 후단부(2II)의 평면 바깥면들은 네 방향타 블레이드들(8II)이 십자방향타를 형성하는 식으로 배열되어 있다. 선박 후단부(2II)와 직접 면하고 있는 방향타 블레이드들(8II)의 측면들은 선박 후단부(2II)의 네 바깥면들의 평면설계에 대응하는 똑바른 식으로 설계되고 방향타 축(A)에 정상적으로 정렬된다.
도 6에 단면도로 도시된 선박 후단부(2III)는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선박 후단부(2II)와는, 선박 후단부(2III)의 네 평면 바깥면들 상에 배치된 방향타 블레이드들(8II)이 X-방향타를 형성하도록, 끝이 잘린 피라미드 형상의 선박 후단부(2III)가 선박 후단부(2III)의 중심축과 관련하여 선박 후단부(2II)에 대하여 45°각으로 회전되어 있다는 사실에 있어서 다르다.
도 7 및 도 8은, 선박 후단부(2IV)가 필연적으로 사면체의 절두체를 형성하도록, 잠수함의 선미(4) 방향으로 계속적으로 감소되는 등변 삼각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잠수함의 선박 후단부(2IV)를 보여준다. 여기서, 선박 후단부(2IV)는 곡률반경(RI)과 함께 그것의 세 바깥면들에서 선미(4)의 방향으로 테이퍼져 있다. 각 경우에 있어서 그 위에 방향타 블레이드들(8III)이 배치되어 있는 단면의 바깥면들은, 그 바깥면들이 방향타 블레이드들(8III)의 영역 내에서 밖으로 구형으로 만곡 되도록, 그들의 한계를 정하고 둥근 식으로 설계된 코너들에 대하여 동일한 곡률반경(RI)을 갖는다. 선박 후단부(2IV)와 직접 면하고 있는 그들의 측면들에서 방향타 블레이드들(8III)은 각각, 방향타 블레이드들(8III)의 회전 상에 선박 후단부(2IV) 및 방향타 블레이드들(8III) 사이에 자유공간이 형성되지 않는 식으로, 곡률반경(RI)에 대응하는 곡률반경을 갖고 안쪽으로 향하여 만곡된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선박 후단부(2IV)에 있어서, 평편하게 만곡된 바깥면은 선박 후단부(2IV)의 상부 면을 형성한다. 도 9에 도시된 선박 후단부(2V)는, 선박 후단부(2V)의 바깥면들 상에 배치된 세 방향타 블레이드들(8III)의 배열을 전형적으로 변경하는 수단에 의해, 평편하게 만곡된 바깥면이 선박 후단부(2V)의 하부면을 형성하고, 그리고 선박 후단부(2V)의 삼각 단면의 하나의 코너가 상부로 향하고 있다는 내용이 선박 후단부(2IV)와는 다르다.
도 10에 도시된 방향타 블레이드들(8IV)은 도시되지 않은 선박 후단부와 직접 면하고 있는 그것의 측면(10I)에 방향타 축(A)의 하류가 방향타 축(A)의 상부곡률과 다른 곡률을 갖는다. 이처럼, 방향타 축(A)의 상부부분(흐름 측상)에 있어서의 측면(10I)은 곡률반경(RII)과 함께 만곡되고, 방향타 축(A)의 하류는 곡률반경(RIII)으로 만곡되며, 여기서 곡률반경(RIII)은 곡률반경(RII)보다 더 크다.
도 11로부터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방향타 블레이드(8IV)는, 또한 방향타 블레이드들(8, 8II, 및 8III)도 마찬가지로, 60°의 각 영역으로 회전가능하다. 따라서, 도 10 및 도 11에 도시된 실시 예에 있어서의 선박 후단부의 바깥면에 걸쳐 방향타 블레이드(8IV)는 방향타 축(A)의 상류 영역(X) 및 방향타 축(A)의 하류 영역(Y)에 걸쳐 회전된다. 측면(10I)의 곡률반경들(RII 및 RIII)에 일치하는 식으로, 선박 후단부의 바깥면은 그러므로 영역(X) 내에서 곡률반경(RII)에 상호보완반경으로 밖을 향하여 구면으로 만곡되고 영역(Y) 내에 있어서는 곡률반경(RIII)에 상호보완반경으로 밖을 향하여 구면으로 만곡되어진다.
2, 2I, 2II, 2III, 2IV, 2V: 선박 후단부
4: 선미
6: 프로펠러
8, 8II, 8III, 8IV: 방향타 블레이드
10, 10I: 측면
A: 방향타 축
R, RI, RII, RIII: 곡률반경

Claims (10)

  1. 잠수함의 선박 몸체상에 배치된 방향타 블레이드들(8, 8II, 8III, 8IV)을 갖는 잠수함에 있어서, 선박 몸체의 바깥면 및 이 선박과 마주하는 방향타 블레이드들(8, 8II, 8III, 8IV)의 적어도 하나의 측면(10, 10I)은 서로 배치되고 방향타 블레이드들(8, 8II, 8III, 8IV)의 중립위치에 인접하는 적어도 피봇 영역들 내의 방향타 블레이드들(8, 8II, 8III, 8IV)은 자유공간이 없는 식으로 선박 몸체의 바깥면에 접속되는 식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2. 제 1항에 있어서, 그 위에 걸쳐 방향타 블레이드들(8, 8III)이 회전가능한 적어도 영역들 내에 있어서 선박 몸체의 바깥면은 회전표면의 부분으로서 설계되고, 여기서 선박 몸체의 바깥면을 마주하는 방향타 블레이드들(8, 8III)의 측면들은 피봇 영역들의 적어도 부분들 내에 선박 몸체의 바깥면의 곡률에 일치하는 곡률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3. 제 2항에 있어서, 그 위에 걸쳐 방향타 블레이드들(8, 8III)이 회전가능한 적어도 영역들 내에 있어서 선박 몸체의 바깥면은 구형으로 만곡되는 식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4. 제 1항에 있어서, 그 위에 걸쳐 방향타 블레이드들(8, 8III)이 회전가능한 적어도 피봇 영역들의 부분들 내에 있어서 선박 몸체의 바깥면은 회전표면의 부분으로서 설계되고, 방향타 블레이드들(8IV)의 방향타 축(A)의 하류는 제1 곡률반경을 갖는 구형 곡률을 갖고 방향타 블레이드들(8IV)의 방향타 축(A)의 상류는 제2 곡률반경을 갖는 구형 곡률을 가지며, 여기서 선박 몸체의 바깥면과 마주하는 방향타 블레이드들(8, 8III)의 측면들은 선박 몸체의 바깥면의 곡률에 일치하는 곡률들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5. 제 1항에 있어서, 선박 몸체의 바깥면은 각 경우에 있어서 방향타 블레이드들(8II)의 피봇 영역들의 적어도 부분들 내에 평면 식으로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6. 제 1항 또는 제 5항에 있어서, 적어도 방향타 블레이드들(8, 8I, 8II, 8III)의 영역 내에 있어서 잠수함의 선박 후단부(2, 2I, 2II, 2III, 2IV)의 바깥 단면형상은 적절한 또는 둥근 다각형의 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7. 제 1항, 제 5항 또는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향타 블레이드들(8III)의 적어도 영역 내에 있어서 선박 후단부(2IV, 2V)는 적절한 또는 둥근 삼각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8. 제 1항, 제 5항 또는 제 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방향타 블레이드들(8, 8II)의 적어도 영역 내에 있어서 선박 후단부(2, 2I, 2II, 2III)는 적절한 또는 둥근 사각형의 단면형상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9. 제 8항에 있어서, 선박 후단부(2I, 2II)의 영역 내에 있어서의 잠수함은 십자방향타를 형성하는 네 개의 방향타 블레이드들(8)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10. 제 8항에 있어서, 선박 후단부(2III)의 영역 내에 있어서의 잠수함은 X-방향타를 형성하는 네 개의 방향타 블레이드들(8II)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잠수함.
KR1020130069526A 2012-06-21 2013-06-18 잠수함 KR10161489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2210499A DE102012210499A1 (de) 2012-06-21 2012-06-21 Unterseeboot
DE102012210499.2 2012-06-2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3497A true KR20130143497A (ko) 2013-12-31
KR101614894B1 KR101614894B1 (ko) 2016-04-22

Family

ID=4866975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69526A KR101614894B1 (ko) 2012-06-21 2013-06-18 잠수함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2676876B1 (ko)
KR (1) KR101614894B1 (ko)
DE (1) DE10201221049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92325A (zh) * 2017-10-12 2018-03-13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〇九研究所 适用于微型无人潜航器的尾部集成结构及其操舵方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9533259A (zh) * 2018-10-26 2019-03-29 北京精密机电控制设备研究所 一种auv用操纵一体化装置
US20210179243A1 (en) * 2019-12-13 2021-06-17 Current Power Energy Systems, Inc. Current power energy systems
WO2023039876A1 (zh) * 2021-09-18 2023-03-23 深圳先进技术研究院 舵控操纵装置及方法
CN113734392A (zh) * 2021-09-18 2021-12-03 深圳先进技术研究院 舵控操纵装置及方法
DE102021214827A1 (de) 2021-12-21 2023-06-22 Atlas Elektronik Gmbh Vorrichtung mit einem Rumpf, der in einem Schwenkbereich eines Ruders einen Querschnitt aufweist, der von einer Kreisform abweicht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448714A (en) * 1968-01-22 1969-06-10 Us Navy Fin and revolving cylinder bidirectional steering actuator
GB2164612B (en) * 1979-09-10 1986-09-03 British Aerospace Vehicles fitted with thrust vector control systems
DE3242290C2 (de) * 1982-11-16 1986-03-20 Howaldtswerke - Deutsche Werft AG Hamburg und Kiel, 2300 Kiel Abweiser an Antriebs- und Steuereinrichtungen von Schiffen
US4919066A (en) * 1989-01-19 1990-04-24 Allied-Signal, Inc. Hydrodynamic configuration for underwater vehicle
US5487351A (en) * 1995-01-13 1996-01-30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Control surface for underwater vehicle
US6223676B1 (en) * 1999-11-23 2001-05-01 Newport News Shipbuilding And Dry Dock Company Control for X-stern vehicle
JP2007276609A (ja) * 2006-04-06 2007-10-25 Osaka Prefecture Univ 水中グライダー
DE102008031044B4 (de) * 2008-06-26 2014-08-21 Thyssenkrupp Marine Systems Gmbh Vorrichtung für U-Boote als Abweiser
ES2386442B1 (es) * 2009-11-27 2013-07-09 Airbus Operations S.L. Carena de timón de profundidad de aeronav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792325A (zh) * 2017-10-12 2018-03-13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〇九研究所 适用于微型无人潜航器的尾部集成结构及其操舵方法
CN107792325B (zh) * 2017-10-12 2020-04-14 中国船舶重工集团公司第七一九研究所 适用于微型无人潜航器的尾部集成结构及其操舵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2676876A3 (de) 2016-12-21
DE102012210499A1 (de) 2013-12-24
EP2676876B1 (de) 2019-03-20
KR101614894B1 (ko) 2016-04-22
EP2676876A2 (de) 2013-12-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43497A (ko) 잠수함
JP4571658B2 (ja) 船舶用舵
ES2361440T3 (es) Timón para embarcaciones.
ES2393657T3 (es) Timón para un barco
KR102463848B1 (ko) 선박
KR20160096195A (ko) 선미용 덕트, 선미용 부가물, 선미용 덕트의 설계 방법, 및 선미용 덕트를 장착한 선박
KR200395385Y1 (ko) 선박용 방향타
KR20160075493A (ko) 트윈스케그선
US9021970B2 (en) Propulsion device and ship using the same
JP2015524771A (ja) フォワードスキューを有するリングプロペラ
JP6548062B2 (ja) 船尾用ダクト、船尾用付加物、船尾用ダクトの設計方法、及び船尾用ダクトを装備した船舶
CN104884347A (zh) 管道装置以及使用该管道装置的船舶
WO2021014919A1 (ja) 船尾フィン
KR20140131767A (ko) 선박용 방향타
JP2012131475A (ja) 船舶用舵
KR101886920B1 (ko) 선박용 키
JP7049144B2 (ja) 船尾フィン及び船舶
JP2017165376A (ja) 舵構造と船の製作方法
KR20150008568A (ko) 선박용 러더
ES2735086T3 (es) Disposición de timón
KR20140145242A (ko) 선박용 방향타
EP2626290B1 (en) Propulsion arrangement in a ship
KR102448983B1 (ko) 선박용 러더
KR20190004565A (ko) 선박용 추진 장치
KR102026500B1 (ko) 선박용 방향타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404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