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2981A - 다리의 재활을 위한 침대형 재활장치 - Google Patents

다리의 재활을 위한 침대형 재활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2981A
KR20130142981A KR1020130152160A KR20130152160A KR20130142981A KR 20130142981 A KR20130142981 A KR 20130142981A KR 1020130152160 A KR1020130152160 A KR 1020130152160A KR 20130152160 A KR20130152160 A KR 20130152160A KR 20130142981 A KR20130142981 A KR 2013014298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rehabilitation
variable
mattress
le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1521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15504B1 (ko
Inventor
조순철
Original Assignee
(주)신우아이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신우아이엠에스 filed Critical (주)신우아이엠에스
Priority to KR10201301521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15504B1/ko
Publication of KR201301429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29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155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155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18Drawing-out devices
    • A61H1/0222Traction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GTRANSPORT, PERSONAL CONVEYANCES, OR ACCOMMODATION SPECIALLY ADAPTED FOR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OPERATING TABLES OR CHAIRS; CHAIRS FOR DENTISTRY; FUNERAL DEVICES
    • A61G7/00Beds specially adapted for nursing; Devices for lifting patients or disabled persons
    • A61G7/05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beds
    • A61G7/06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61G7/07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the limbs
    • A61G7/0755Res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for the limbs for the legs or f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1/00Apparatus for passive exercising; Vibrating apparatus ; Chiropractic devices, e.g. body impacting devices, external devices for briefly extending or aligning unbroken bones
    • A61H1/02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 A61H1/0237Stretching or bending or torsioning apparatus for exercising for the lower limb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19Support for the device
    • A61H2201/0138Support for the device incorporated in furniture
    • A61H2201/0142Beds
    • A61H2201/0146Mattr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01Constructive details
    • A61H2201/0192Specific means for adjusting dimens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1/00Characteristics of apparatu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codes
    • A61H2201/12Driving means
    • A61H2201/1207Driving means with electric or magnetic drive
    • A61H2201/1215Rotary driv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0L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HPHYSICAL THERAPY APPARATUS, e.g. DEVICES FOR LOCATING OR STIMULATING REFLEX POINTS IN THE BODY; ARTIFICIAL RESPIRATION; MASSAGE; BATHING DEVICES FOR SPECIAL THERAPEUTIC OR HYGIENIC PURPOSES 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00Devices for specific parts of the body
    • A61H2205/12Fee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pidemi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ehabilitation Therapy (AREA)
  • Nursing (AREA)
  • Rehabilitation Tools (AREA)

Abstract

본원 발명은 침대형 재활장치에 있어서, 프레임의 일측 상부에 구성되는 고정매트리스와, 프레임의 타측 상부에 구성되고 양분되어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는 가변매트리스와; 제1베이스에 연결되고 가변매트리스를 좌우 분리되게 하는 가변수단과, 제1베이스를 프레임에 슬라이동되게 하는 승,하강수단과, 제1,2베이스를 연결하는 엘엠가이드와 제2베이스에 연결되는 구동벨트와 풀리로 구성되고 프레임에 슬라이동되는 제1베이스에 지지되고 이동 가능한 좌,우이송수단과, 힌지 연결되는 제1파이프에 링크되면서 제2파이프 및 제2베이스의 일측에 양단이 연결되는 제2실린더와 제2베이스에 구성된 가변블럭과 제2파이프와 제2베이스의 타측과 가변블럭을 연결하는 앵글가이드바와 제2베이스에 설치되고 가변블럭에 나사 관통 결합되는 볼스크로로 구성되고 제1베이스의 상부에서 폭방향 연결되는 제2베이스에 가변 구성되는 다단각도조절수단으로 구성되고, 가변매트리스의 하측에 내장 구성되는 재활장치로 구성된 다리의 재활을 위한 침대형 재활장치로서 평상 시는 침대로 다리의 재활운동 시는 재활장치에 의하여 환자가 침대를 사용한 상태에서 다리관절, 고관절 및 발목의 재활운동을 동시에 할 수 있고, 재활장치가 환자의 다리 위치에 따라 조절되는 등의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다리의 재활을 위한 침대형 재활장치 {BED TYPE APPARATUSES FOR REHABILITATION EXERCISE OF LEG}
본원 발명은 다리의 재활을 위한 침대형 재활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침대 하부에 재활장치를 구성하여 평상 시는 일반적인 침대로 활용되게 하고, 다리의 재활운동 시는 하반신 부분의 매트리스(mattress)가 분리되면서 상승되는 재활장치에 의하여 다리의 재활운동이 가능하게 하는 다리의 재활을 위한 침대형 재활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뇌졸중이나 각종 사고 등에 의해 뇌로 부터의 명령 계통이 경미한 손상을 받아 본인의 의지에도 불구하고 다리를 움직일 수 없게 되는 거동 불편자가 매우 빈번히 발생되고 있다.
이와같이 다리의 원활한 동작이 불가능하여 거동이 불편한 환자들은 무릎관절이나 대퇴부 및 발목의 퇴행을 막기위하여 대부분이 환자의 보호자의 집에서 거동 환자의 다리를 손으로 잡고 반강제적으로 무릎관절이나 대퇴부 및 발목을 접었다 폈다 하는 식으로 무릎관절운동을 시켜주거나 또는 별도의 물리치료 전문병원을 찾아 물리치료사들에 의하여 다리 재활운동을 받고 있다.
상기와 같이 보호자나 물리치료사에 의한 다리 재활운동은 환자 이외에 보호자 또는 물리치료사가 일일이 환자의 한쪽 다리를 잡고 무릎관절이나 대퇴부 또는 발목을 움직이기 위한 동작을 반복해야 하는데 따른 엄청난 수고가 요구되고 있으며 이러한 수고를 줄이기 위하여 다리 재활운동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다.
상기 다리 재활운동장치의 종래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285023호 다리 재활운동장치(2001년 11월 22일)는
도 1에서와 같이, 쿠션재로 되는 매트(d)가 상측에 설치되는 기대(a)에는, 외주에 다수의 홈(11a)을 형성한 회전구(11)를 일측에 설치한채 타측의 구동부(12)가 통상의 회로장치(e)에 의해 프로그램 구동되는 서보모터(3)와 벨트(31)에 의해 연결되어 정,역회전하도록 양 지지판(13)에 굴대 설치되는 스크류봉(1)과, 스크류봉(1)과 나란하게 설치되는 가이드봉(2)과, 스크류봉(1)의 회전에 의해 가이드봉(2)(2)에 끼워진채 이동되는 작동부(4)와, 작동부(4)의 장착구(41)에 대향측에 설치되는 고정부(5)로 되는 구동수단(b)을 설치하고; 상기 구동수단(b)의 회전구(11) 및 스크류봉(1)일측에는 각각 회전상태 검출센서(6) 및 위치제어센서(7, 8)를 각각 설치하며; 링크부(91)에 의해 절첩되는 링크본체(9) 양단에 연결다리(92, 93)를 그 펼침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설치하되, 연결다리(92)에는 발받침(92b)을 설치하여 되는 절첩운동수단(c)의 연결다리(92, 93)를 구동수단(b)의 장착구(41)와 고정부(5)에 각각 연결설치하여 절첩운동수단(c)이 상기 매트(d)상으로 돌출된 상태에서 절첩 작동되도록 하는 구성으로 이루어 진다.
그러나, 상기 종래기술은 매트에 절첩운동수단이 항상 노출되는 구성으로서 일반적인 매트로 사용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환자가 침대 생활을 하는 경우에는 매트로서 사용할 수 없으므로 필요 시에 침대와 다리 재활운동장치를 각각 별도 구비하여야 하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재활운동장치가 하나만 구성되어 양쪽 다리의 재활운동을 동시에 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다.
또한, 종래기술은 침대와 다리 재활운동장치를 각각 별도 구비함에 따른 경제적인 손실이 따르는 간접적인 문제점이 있다.
본원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안한 것으로서, 하반신 부분의 매트리스가 분리되는 가변매트리스를 구성하고 가변매트리스의 하측 내부에 승,하강수단의 승강되고 좌,우이송수단에 의하여 좌우 이송되는 다단각도조절수단을 구성한 재활장치를 구성하여 평상 시는 가변매트리스가 합치되어 일반적인 침대로 활용되게 하고, 다리의 재활운동 시는 가변매트리스가 분리되면서 상승되는 재활장치에 의하여 다리관절, 고관절 및 발목의 운동을 할 수 있는 다리의 재활을 위한 침대형 재활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원 발명은 다리의 재활을 위한 침대형 재활장치에 있어서, 프레임(110)의 일측 상부에 구성되는 고정매트리스(120)와, 프레임(110)의 타측 상부에 구성되고 고정매트리스(120)에서 양분되어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는 가변매트리스(123)로 구성되는 매트리스와; 상기 가변매트리스(123)의 하측에 내장 구성되고, 프레임(110)에 슬라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베이스(210)에 지지되고 좌우 이동가능한 좌,우이송수단(240)과, 제1베이스(210)의 상부에서 폭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베이스(230)에 구성되고 가변되는 다단각도조절수단(260)으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제1베이스(210)에 연결되고 제1베이스(210)의 상승시 가변매트리스(123)를 좌우 분리되게 하는 가변수단(280)이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재활장치(200)는 제1베이스(210)를 프레임(110)에 슬라이동되게 하는 승,하강수단(220)이 더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좌,우이송수단(240)은, 제1,2베이스(210, 230)를 연결하는 엘엠가이드(241)와 제2베이스(230)에 연결되는 구동벨트(243)와 구동벨트(243)를 제1베이스에 연결하는 풀리(245)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다단각도조절수단(260)은 힌지 연결되는 제1,2파이프(263, 265)와, 제1파이프(263)에 링크로서 연결되면서 제2파이프(265) 및 제2베이스(230)의 일측에 양단이 연결되는 제2실린더(269)와, 제2베이스(230)에 구성된 가변블럭(264)과, 제2파이프(265)와 제2베이스(230)의 타측과 가변블럭(264)을 연결하는 앵글가이드바(266)와, 제2베이스(230)에 설치되고 가변블럭(264)나사 관통 결합되는 볼스크류(268)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제2베이스(230)는 양단에 보강재(271)가 일체로 구비되는 시트(273)와, 시트(273)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시트(273)를 권취하거나 해권하는 권취기(275)가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가변수단(280)은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가이드슬롯(281)과 가변매트리스(123)에 연결되어 가이드슬롯(281)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돌기(281)와 일단이 프레임(110)에 연결되면서 타단이 가변매트리스(123)에 연결된 스프링(287)과 일단이 제1베이스(210)에 연결되면서 타단이 스프링(287)이 연결된 프레임(110)에 연결되는 구동와이어(289)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승,하강수단(220)은 프레임(110)에 지지되는 가이드바(221)와 가이드바(221)에 연결되도록 제1베이스(21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223)과 제1베이스(210)의 저면과 프레임(110)에 양단이 연결되는 제1실린더(225)로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제1,2파이프(263, 265)의 상부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다단매트리스(250)가 더 구성되는 것이다.
또한, 본원 발명은, 상기 제1파이프(263)의 일측은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발판(255)이 더 구성되는 것이다.
본원 발명은 평상 시는 가변매트리스가 합치되고 재활장치가 침대 하측에 위치되어 일반적인 침대로 사용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다리의 재활운동 시는 가변매트리스가 분리되면서 상승되는 재활장치에 의하여 환자가 침대를 사용한 상태에서 다리의 재활운동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재활장치가 좌,우이송수단에 의하여 좌우 이송되어 환자의 다리 위치에 따라 적절하게 그 위치를 조절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재활장치의 다단각도조절수단에 의하여 다리관절, 고관절 및 발목의 운동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재활장치가 2개로 구성되어 양쪽 다리의 재활운동을 동시에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재활장치를 사용할 경우에는 가변매트리스가 자동적으로 분리되어 가변매트리스의 분리에 따른 노력이 필요 없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원 발명은 하나의 장치로서 침대와 재활장치를 겸용으로 사용함으로써 침대 생활을 하는 환자의 경우에는 침대와 다리 재활운동장치를 각각 별도 구비하지 아니하여되 되는 효과가 있다.
도 1: 종래기술의 다리 재활운동 장치의 사시도.
도 2: 본원 발명의 사시도.
도 3: 본원 발명에서 가변매트리스가 분해된 상태의 사시도.
도 4: 본원 발명의 재활장치의 동작상태 사시도.
도 5: 본원 발명에 따른 좌,우이송수단의 사시도.
도 6: 본원 발명에 따른 재활장치의 승,하강상태의 측면도.
도 7: 본원 발명에 따른 재활장치의 좌,우이송상태의 측면도.
도 8: 본원 발명에 따른 재활장치의 가변매트리스 동작상태의 측면도.
본원 발명을 도 2의 본원 발명의 사시도, 도 3의 본원 발명에서 가변매트리스가 분해된 상태의 사시도, 도 4의 본원 발명의 재활장치의 동작상태 사시도, 도 5의 본원 발명에 따른 좌,우이송수단의 사시도, 도 6의 본원 발명에 따른 재활장치의 승,하강상태의 측면도, 도 7의 본원 발명에 따른 재활장치의 좌,우이송상태의 측면도 및 도 8의 본원 발명에 따른 재활장치의 가변매트리스 동작상태의 측면도에 의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원 발명은 침대에 침대 하부 내에 재활장치를 구성하여 평상 시는 일반적인 침대로 활용되게 하면서 재활장치에 의하여 다리의 재활운동이 가능하게 하는 다리의 재활을 위한 침대형 재활장치(100)에 관한 것으로서 프레임(110) 및 프레임(110)의 상부에서 분리토록 연결되는 가변매트리스(123)와 가변매트리스(123) 하부 내부와 프레임(110) 내에 재활장치(200)가 구비된다.
본원 발명의 다리의 재활을 위한 침대형 재활장치(100)는 육면체 등의 형상 등으로 구성되는 프레임(110)과 프레임(110)의 상부에 안치되고 사람이 잠을 잘 수 있게 구성되는 매트로 된 매트리스로 구성된다.
그리고, 상기 매트리스(120)는 고정매트리스(121)와 양분되는 가변매트리스(123)로 이루어져 사용자의 다리 부분에 위치하는 가변매트리스(123)가 개방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본원 발명의 재활장치(200)는 승하강수단(220), 좌우이송수단(240), 다단각도조절수단(260) 및 가변수단(280) 등의 큰 구성과 이들의 세부 구성과 다단매트리스(250) 및 발판(255)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매트리스는 프레임(110)의 일측에 안치 구성되어 머리 및 허리 부분을 눕힐 수 있는 고정매트리스(120)와 프레임(110)의 타측에 안치 구성되어 고정매트리스(120)에서 양분되어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는 가변매트리스(123)로 구성된다.
상기 가변매트리스(123)는 고정매트리스(120)의 일측에 구성되면서 프레임(110)의 타측 상부에 구성되고 고정매트리스(120)에서 양분되어 분리 가능한 좌우 2개의 1쌍으로 구성되어 재활장치 사용 시에는 좌우의 가변매트리스(123)가 분리되면서 침대의 상부 일부면을 개방한다.
상기 가변매트리스(123)는 고정매트리스(120)의 일측에 구성되면서 프레임(110)의 타측 상부에 구성되되 제1베이스(210)와 연결되는 가변수단(280)을 통하여 제1베이스(210)의 상승 이동시 프레임(110)에서 좌우 분리되게 구성되어 환자가 침대를 사용한 상태에서 침대의 가변매트리스(123)이 개방되고 재활장치(200)가 개방된 부분으로 상승되어 노출됨으로서 재활장치(200)에 의하여 다리의 재활운동을 할 수 있다.
상기 재활장치(200)는 프레임(110) 내부의 가변매트리스(123)의 하측에 내장 구성되고, 프레임(110)에 슬라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베이스(210)에 지지되고 좌우 이동가능한 좌,우이송수단(240)과, 제1베이스(210)의 상부에서 폭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베이스(230)에 구성되고 가변되는 다단각도조절수단(260)으로 구성된다.
본원 발명의 다단각도조절수단(260)은 2개로 구성 즉, 환자의 좌,우 다리 마다 각각 재활운동을 할 수 있게 2개가 평행하게 구성될 수도 있고 1개로 구성될 수도 있으나 도면의 작성 등의 편리성 등을 감안하여 다단각도조절수단(260)은 관련 도면에는 1개로 도시하였다.
상기 재활장치(200)는 프레임(110)에 연결되면서 승,하강수단(220)을 통하여 지지되는 제1베이스(210) 및 제1베이스(210)의 상부에서 좌,우이송수단(240)을 통하여 폭방향으로 이송토록 연결되는 제2베이스(230)로 구성된다.
상기 가변수단(280)은 제1베이스(210)에 연결되고 제1베이스(210)의 상승시 가변매트리스(123)가 좌우 분리되게 하는 구성으로서 가변수단(280)의 작동에 의하여 가변매트리스(123)가 좌우로 분리되면서 침대는 가변매트리스(123) 부분이 개방된다.
침대 위에 누워있거나 앉아 있는 환자가 재활장치(200)를 사용할 경우에는 가변매트리스(123) 하부에 안치 구성되어 있는 재활장치(200)를 활용하기 위해서는 재활장치(200)가 매트리스 상부에 위치되게 하여야 한다.
이를 위하여 가변매트리스(123)가 분리되면서 매트리스의 상부의 빈공간을 형성하게 되면서 가변수단(280)이 재활장치(200)를 가변매트리스(123)의 자리까지 이송시켜 노출되게 된다.
상기 가변수단(280)은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가이드슬롯(281)과, 가변매트리스(123)에 연결되어 가이드슬롯(281)을 따라 이동되는 복수의 가이드돌기(281)와, 일단이 프레임(110)에 연결되면서 타단이 가변매트리스(123)에 연결된 원통 코일 스프링(287)과, 일단이 제1베이스(210)에 연결되면서 타단이 스프링(287)이 연결된 프레임(110)에 연결되는 구동와이어(289)로 구성된다.
또한, 상기 가이드돌기(281)가 구성된 가변매트리스(123)의 면에 구성되고 가이드슬롯(281)에 인접하게 구성되는 아이들로울러(285)가 구성되며 아이들로울러(285)가 구동와이어(289)의 일측을 지지 안내하게 되고 구동와이어(289)는 아이들로울러(285)를 통하여 일측의 일단이 제1베이스(210)에 연결되면서 타측의 타단이 스프링(287)을 통하여 프레임(110)에 연결 구성된다.
상기 재활장치(200)가 프레임(110)의 상부로 상승되면 재활장치(200)와 매트리스와 간격이 줄어들게 되고 이로 인하여 신연된 원통 코일 스프링(287)이 원위치로 복귀하게 복원력에 의하여 스프링(287)이 코일간격이 감소되면서 가변매트리스(123)를 프레임(110) 하측 방향으로 당기게 된다.
상기 스프링(287)의 복원력에 의하여 구동와이어(289)가 아이들로울러(285)의 안내를 받으면서 당김을 당하게 되면서 가변매트리스(123)의 가이드돌기(283)가 가이드슬롯(281) 내에서 이동하게 되면서 좌우 가변매트리스(123)가 분리되면서 개방하게 되고 좌우 가변매트리스(123)는 프레임(110) 내의 좌우 측면에 위치되며, 재활장치(200)의 사용이 중지되어 제1베이스(210)가 하강할 때 구동와이어(289)를 당겨 가변매트리스(123)가 닫히게 된다.
즉, 상기 가변매트리스(123)는 제1베이스(210)와 연결되는 가변수단(280)의 작동에 의하여 제1베이스(210)가 상승 이동시 분리토록 개방되게 설치된다.
상기 재활장치(200)는 제1베이스(210)를 프레임(110)에 슬라이동되게 하는 승,하강수단(220)이 더 구성되어 승,하강수단(220)의 작동에 의하여 좌,우이송수단(240) 및 다단각도조절수단(260)이 동일하게 상하 이동된다.
상기 승,하강수단(220)은 프레임(110)에 지지되는 가이드바(221)와 가이드바(221)에 연결되도록 제1베이스(21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223)과 제1베이스(210)의 저면과 프레임(110)에 양단이 연결되는 제1실린더(225)로 구성되어 제1실린더(225)의 작동에 의하여 가이드바(221)를 따라 제1베이스(210)가 이동하면서 승,하강수단(220)이 승강되어 재활장치(200)가 승강한다.
상기 승,하강수단(220)은 별도로 구성되는 유압펌프 및 유압모터 등이 구성되어 유압모터의 작동에 유압펌프가 작동하여 유압유를 제1실린더(225)로 압송하게 되면 제1실린더(225) 내에 구성된 피스톤이 인출되면서 피스톤의 끝단과 힌지 연결된 제1베이스(210)가 가이드바(221)의 안내를 받으면서 가이드바(221)를 따라 상부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제1베이스(210)의 이동에 의하여 제1베이스(210)와 좌,우이동수단(240) 및 다단각도조절수단(260)이 상승하게 되면서 가변수단(280)도 작동하게 되어 가변매트리스(123)가 개방된다.
상기 제1실린더(225)의 유압유가 제1실린더(225)에서 인출되면 즉 피스톤이 제1실린더(225) 내부로 삽입되면 좌,우이동수단(240) 및 다단각도조절수단(260)이 상승하게 되면서 가변수단(280)이 원위치되고 가변매트리스(123)도 원위치로 복귀된다.
상기 좌,우이송수단(240)은 제1베이스(210)와 제2베이스(230)를 연결하는 엘엠가이드(241)와 제2베이스(230)에 연결되는 구동벨트(243)와 구동벨트(243)를 제1베이스(210)에 연결하는 풀리(245) 및 풀리(245)를 구동하는 구동모터(247)로 구성되어 구동모터(247)의 동작시 구동벨트(243)가 이동할 때 제1베이스(210)의 상측에서 제2베이스(230)가 폭방향으로 이동토록 구성된다.
상기 구동모터(247)의 회전운동이 풀리(245)에 전달되어 풀리(245)를 구동하게 되고 풀리(245)의 회전에 의하여 풀리(245)에 감겨진 구동벨트(243)가 회전하게 되면서 구동벨트(243)에 연결된 엘엠가이드(241)가 제1베이스(210) 상에서 좌우 이동된다.
상기 좌,우이송수단(240)의 엘엠가이드(241)의 좌우 이동에 의하여 제2베이스(230)에 연결 구성된 결국에는 다단각도조절수단(260)이 좌우로 이동하게 된다.
상기 다단각도조절수단(260)의 좌우 이동에 의하여 환자의 다리 위치에 따라 적절하게 그 위치를 조절할 수 있게 된다.
즉, 침대에 안치된 환자의 위치가 어느 한편으로 치우쳐 있을 경우에 환자를 중앙으로 옮기는 것이 아니라 좌,우이송수단(240)에 의하여 다단각도조절수단(260)을 환자의 다리가 위치한 곳으로 이동하게 함으로써 환자의 이동의 불편함이 감소되는 것이다.
상기 다단각도조절수단(260)은 힌지 연결되는 제1,2파이프(263, 265)와, 제1파이프(263)에 링크로서 연결되면서 제2파이프(265) 및 제2베이스(230)의 일측에 양단이 연결되는 제2실린더(269)와, 제2베이스(230)에 구성된 가변블럭(264)과, 제2파이프(265)와 제2베이스(230)의 타측과 가변블럭(264)을 연결하는 앵글가이드바(266)와, 제2베이스(230)에 설치되고 가변블럭(264)나사 관통 결합되는 볼스크류(268)로 구성된다.
상기 볼스크류(268)는 볼스크류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볼스크류 구동모터의 작동에 의하여 회전하게 되며 볼스크류(268)가 회전하게 되면 볼스크류(268)에 스크류에 의하여 상호 결합 즉 연결된 가변블럭(264)은 제2베이스(230)에 고정되어 볼스크류(268)를 따라 회전하지 못하고 전후진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볼스크류(268)의 회전에 의하여 가변블럭(264)이 전후진 이동되면 가변블럭(264)이 가변블럭(264)의 제2베이스(230)의 타측과의 간격이 변화된다.
즉, 가변블럭(264)의 제2베이스(230)의 타측과의 거리가 멀어지나 가깝게 되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제2실린더(269) 내의 피스톤이 신연되거나 줄어들게 되면서 제2실린더(269)가 입설하게 되거나 눕게 되고 이로 인하여 제1파이프(263)와 제2파이프(265)가 링크된 힌지(261)를 중심으로 절곡하게 되거나 펴지게 된다.
따라서, 상기 제2실린더(269)와 가변블럭(264)의 선택적인 동작으로 다단각도조절수단(260)이 각도 조절되어 다단각도조절수단(260)에 안치되는 환자의 무릎의 굽힘 각도 등이 조절되며 다음에 설명하는 제1파이프(263) 및 제2파이프(265)의 상부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다단매트리스(250)가 제1파이프(263) 및 제2파이프(265)와 연동되어 높이 조절되어 다단매트리스(250)에 안치되는 환자의 무릎의 굽힘 각도 등이 조절된다.
한편, 상기 제2베이스(230)의 상부에 다단각도조절수단(260)을 통하여 연결되는 다단매트리스(250)가 더 구성 상세하게는 제1파이프(263) 및 제2파이프(265)의 상부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다단매트리스(250)가 더 구성되어 제1파이프(263) 및 제2파이프(265)의 각도 조절 시에 연동하여 각도 조절이 되게 구성된다.
환자의 다리를 제1파이프(263) 및 제2파이프(265)에 올려 놓게 되면 제1파이프(263) 및 제2파이프(265)가 금속 재질의 파이프로 구성되어 접촉 감각이 싸늘하여 환자에 도움이 되지 못하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여 제1파이프(263) 및 제2파이프(265)의 둘레 또는 상부면에 촉감이 좋은 다단매트리스(250)를 구성하는 것이다.
상기 재활장치(200)는 프레임(110)에 연결되면서 승,하강수단(220)을 통하여 지지되는 제1베이스(210) 및 상기 제1베이스(210)의 상부에서 좌,우이송수단(240)을 통하여 폭방향으로 이송토록 연결되는 제2베이스(230)와 제2베이스(230)의 상부에 다단각도조절수단(260)을 통하여 연결되는 다단매트리스(250)에 사용자의 다리를 올려 놓으면 다단매트리스(250)가 승,하강과 좌,우이송 및 각도조절되면서 재활운동이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제1파이프(263)의 일측에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발판(255)이 더 구성되어 발판(255)에 발을 고정밴드 등으로 고정하여 발목의 재활운동이 가능하게 한다.
즉, 상기 제2베이스(230)의 상부에 다단각도조절수단(260)을 통하여 연결되는 다단매트리스(250)가 더 구성되고, 다단매트리스(250)에는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발판(255)이 더 연결 구성하여 발판(255)에 고정밴드 등으로 발을 고정할 때 발목의 재활운동이 가능하게 한다.
상기 발판(255)은 제1파이프(263)의 일측 뿐 만아니라 다단매트리스(250)의 일측의 둘 중에서 어느 하나에 구성할 수 있다.
상기 발판(255)은 제1파이프(263)의 일측과 힌지로 연결하되 힌지의 양측 내면은 시계방향 및 반 시계방향으로 회전 즉 양방향의 회전이 가능하게 3각형 형상의 클로우 클러치같은 치면을 형성하여 힌지를 조이면 힌지의 양 치면이 상호 물려서 발판(255)이 제1파이프(263)에서 일정한 각도를 유지되게 하고 힌지를 풀면 힌지의 양 치면이 이격되어 발판(255)이 제1파이프(263)로부터 자유롭게 회전되게 하여 발판(255)과 제1파이프(263)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게 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제2베이스(230)는 양단에 보강재(271)가 일체로 구비되는 시트(273)와, 시트(273)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시트(273)를 권취하거나 해권하는 권취기(275)가 구성된다.
상기 시트(273)가 폭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되면서 시트(273)가 권취기(275)에 연결되어 제2베이스(230)의 이동에 따라 제2베이스(230)의 양측의 권취기(275)가 시트(273)를 권취하거나 해권하여 재활운동을 하지 않는 다리의 지지가 가능한다.
상기 제2베이스(230)는 양단에 보강재(271)가 일체로 구비되는 시트(273)가 폭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되면서 시트(273)가 권취기(275)에 연결되어 제2베이스(230)의 움직임에 따라 제2베이스(230)의 양측에서 시트(273)가 펼쳐지거나 수납된다.
즉, 상기 좌,우이송수단(240)이 좌우 이송됨에 따라 다단각도조절수단(260)도 좌우 이동되게 이로 인하여 다단각도조절수단(260)가 침대의 어느 한 측면으로 위치되게 되면 다른 한 측면과는 거리가 멀게 되어 간격이 형성되게 되는데 이때 환자의 다리 중에서 재활치료를 하지 아니하는 다리 또는 재활치료가 필요없는 이상이 없는 다리를 침대 상에 펴게 되면 이 다리는 가변매트리스(123)의 좌우 개방에 의하여 형성된 어느 하나의 가변매트리스(123)의 공간 자리에 위치되게 된다.
이때, 환자의 다리를 보호하고 다리의 편안함을 주기 위하여 사용하지 아니하는 부분에 대해서 시트(273)가 구성되게 하여 시트(273)에 환자의 다리를 올릴 수 있게 구성하는 것이다.
즉, 상기 제2베이스(230)와 중앙과 제2베이스(230)의 양측 끝단에 시트(273)가 구성되게 하면서 다단각도조절수단(260)가 침대의 어느 한 측면으로 위치되게 되면 다른 한 측면과는 거리가 멀게 형성된 곳은 권취기(275)가 시트(273)를 권취하게 하고 다른 한 측면은 거리가 가깝게 형성된 곳은 권취기(275)가 시트(273)를 해권하면서 양 측의 시트(273)가 팽팽하게 하는 것이다.
따라서, 본원 발명은 평상 시는 침대로 다리의 재활운동 시는 재활장치(200)에 의하여 환자가 침대를 사용한 상태에서 다리의 재활운동을 할 수 있고, 재활장치(200)가 환자의 다리 위치에 따라 조절되고, 다리관절, 고관절 및 발목의 운동을 동시에 할 수 있고, 양쪽 다리의 재활운동을 동시에 할 수 있고, 가변매트리스(280)가 자동적으로 분리되어 가변매트리스(280)의 분리에 따른 노력이 필요 없는 등의 효과가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본원 발명 침대형 재활장치 110: 프레임
120: 고정매트리스 123: 가변매트리스
200: 재활장치 210: 제1베이스
220: 승,하강수단 221: 가이드바
223: 가이드홈 225: 제1실린더
230: 제2베이스 240: 좌,우이송수단
241: 엘엠가이드 243: 구동벨트
245: 풀리 247: 구동모터
250: 다단매트리스 255: 발판
260: 다단각도조절수단 261: 힌지
263: 제1파이프 264: 가변블럭
265: 제2파이프 266: 앵글가이드바
267: 링크 268: 볼스크류
269: 제2실린더 271: 보강재
273: 시트 275: 권취기
280: 가변수단
281: 가이드슬롯 283: 가이드돌기
285: 아이들로울러 287: 스프링
289: 구동와이어

Claims (10)

  1. 다리의 재활을 위한 침대형 재활장치에 있어서,
    프레임(110)의 일측 상부에 구성되는 고정매트리스(120)와, 프레임(110)의 타측 상부에 구성되고 고정매트리스(120)에서 양분되어 분리 가능하게 구성되는 가변매트리스(123)로 구성되는 매트리스와;
    상기 가변매트리스(123)의 하측에 내장 구성되고, 프레임(110)에 슬라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제1베이스(210)에 지지되고 좌우 이동가능한 좌,우이송수단(240)과, 제1베이스(210)의 상부에서 폭방향으로 연결되는 제2베이스(230)에 구성되고 가변되는 다단각도조절수단(260)으로 구성되는 재활장치(200)로 구성되어;
    환자가 침대를 사용한 상태에서 재활장치(200)에 의하여 다리의 재활운동을 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의 재활을 위한 침대형 재활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베이스(210)에 연결되고 제1베이스(210)의 상승시 가변매트리스(123)를 좌우 분리되게 하는 가변수단(280)이 구성되어;
    상기 가변매트리스(123)가 가변수단(280)의 작동에 의하여 좌우로 분리되면서 침대는 가변매트리스(123) 부분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의 재활을 위한 침대형 재활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재활장치(200)는 제1베이스(210)를 프레임(110)에 슬라이동되게 하는 승,하강수단(220)이 더 구성되어;
    상기 승,하강수단(220)의 작동에 의하여 좌,우이송수단(240) 및 다단각도조절수단(260)이 동일하게 상하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의 재활을 위한 침대형 재활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이송수단(240)은, 제1,2베이스(210, 230)를 연결하는 엘엠가이드(241)와 제2베이스(230)에 연결되는 구동벨트(243)와 구동벨트(243)를 제1베이스에 연결하는 풀리(245)로 구성되어;
    구동모터(247)의 회전운동이 풀리(245), 구동벨트(243)로 전달되어 제2베이스(230)가 엘엠가이드(241)에서 좌우 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의 재활을 위한 침대형 재활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다단각도조절수단(260)은 힌지 연결되는 제1,2파이프(263, 265)와, 제1파이프(263)에 링크로서 연결되면서 제2파이프(265) 및 제2베이스(230)의 일측에 양단이 연결되는 제2실린더(269)와, 제2베이스(230)에 구성된 가변블럭(264)과, 제2파이프(265)와 제2베이스(230)의 타측과 가변블럭(264)을 연결하는 앵글가이드바(266)와, 제2베이스(230)에 설치되고 가변블럭(264)나사 관통 결합되는 볼스크류(268)로 구성되어;
    상기 볼스크류(268)의 회전에 의하여 가변블럭(264)이 이송되어 다단각도조절수단(260)이 각도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의 재활을 위한 침대형 재활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베이스(230)는 양단에 보강재(271)가 일체로 구비되는 시트(273)와, 시트(273)의 폭방향 양측에 각각 설치되고 시트(273)를 권취하거나 해권하는 권취기(275)가 구성되어;
    상기 제2베이스(230)의 이동에 따라 제2베이스(230)의 양측의 권취기(275)가 시트(273)를 권취하거나 해권하여 재활운동을 하지 않는 다리의 지지가 가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의 재활을 위한 침대형 재활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가변수단(280)은 프레임(110)에 설치되는 가이드슬롯(281)과 가변매트리스(123)에 연결되어 가이드슬롯(281)을 따라 이동되는 가이드돌기(281)와 일단이 프레임(110)에 연결되면서 타단이 가변매트리스(123)에 연결된 스프링(287)과 일단이 제1베이스(210)에 연결되면서 타단이 스프링(287)이 연결된 프레임(110)에 연결되는 구동와이어(289)로 구성되어;
    상기 재활장치(200)가 프레임(110)의 상부로 상승되면 가변수단(280)이 작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의 재활을 위한 침대형 재활장치.
  8.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승,하강수단(220)은 프레임(110)에 지지되는 가이드바(221)와 가이드바(221)에 연결되도록 제1베이스(210)에 형성되는 가이드홈(223)과 제1베이스(210)의 저면과 프레임(110)에 양단이 연결되는 제1실린더(225)로 구성되어;
    상기 제1실린더(225)의 작동에 의하여 재활장치(200)가 승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의 재활을 위한 침대형 재활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2파이프(263, 265)의 상부에 각도 조절이 가능한 다단매트리스(250)가 더 구성되어;
    상기 제1,2파이프(263, 265)의 각도 조절 시에 연동하여 각도 조절이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의 재활을 위한 침대형 재활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파이프(263)의 일측은 각도 조절이 가능한 발판(255)이 더 구성되어;
    상기 발판(255)에 발을 고정밴드 등으로 고정하여 발목의 재활운동이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리의 재활을 위한 침대형 재활장치.
KR1020130152160A 2013-12-09 2013-12-09 다리의 재활을 위한 침대형 재활장치 KR1015155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160A KR101515504B1 (ko) 2013-12-09 2013-12-09 다리의 재활을 위한 침대형 재활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30152160A KR101515504B1 (ko) 2013-12-09 2013-12-09 다리의 재활을 위한 침대형 재활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981A true KR20130142981A (ko) 2013-12-30
KR101515504B1 KR101515504B1 (ko) 2015-05-04

Family

ID=499864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2160A KR101515504B1 (ko) 2013-12-09 2013-12-09 다리의 재활을 위한 침대형 재활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15504B1 (ko)

Cited B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137607A (zh) * 2016-08-15 2016-11-23 深圳市顺利普科技有限公司 康复床
KR20160145123A (ko) * 2014-04-13 2016-12-19 리액티브 로보틱스 게엠베하 병상에 누운 환자를 위한 재활 기구 및 재활 기구를 포함하는 침대
KR20170003061U (ko) 2016-02-23 2017-08-31 김현옥 누워서 운동할 수 있는 운동장치
CN108464904A (zh) * 2018-04-26 2018-08-31 湖南理工学院 一种腿部骨科术后康复理疗床
CN109620619A (zh) * 2019-01-21 2019-04-16 郑州大学第三附属医院(河南省妇幼保健院) 一种腿部局部麻醉辅助装置
CN109806103A (zh) * 2019-02-22 2019-05-28 广州哈罗博康复机器人生产有限公司 康复床体装置及康复系统
KR102155312B1 (ko) * 2020-04-10 2020-09-11 유한회사 우리에듀 보행보조기구
CN113143644A (zh) * 2021-04-02 2021-07-23 四川省人民医院 一种用于骨科病人患处的防压护理装置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75354B1 (ko) 2018-08-08 2020-02-10 이남이 발목 재활 운동 장치
KR102042474B1 (ko) 2018-08-14 2019-11-08 정광욱 누운 자세에서 하지의 근력강화 및 무릎 구부림 운동이 가능한 기립형 침대
US20230113371A1 (en) * 2021-10-13 2023-04-13 Oxefit, Inc. Multipurpose exercise bench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029408A (ja) * 1999-07-19 2001-02-06 Yaskawa Electric Corp 下肢駆動装置

Cited B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45123A (ko) * 2014-04-13 2016-12-19 리액티브 로보틱스 게엠베하 병상에 누운 환자를 위한 재활 기구 및 재활 기구를 포함하는 침대
KR20170003061U (ko) 2016-02-23 2017-08-31 김현옥 누워서 운동할 수 있는 운동장치
CN106137607A (zh) * 2016-08-15 2016-11-23 深圳市顺利普科技有限公司 康复床
CN108464904A (zh) * 2018-04-26 2018-08-31 湖南理工学院 一种腿部骨科术后康复理疗床
CN108464904B (zh) * 2018-04-26 2024-04-12 湖南理工学院 一种腿部骨科术后康复理疗床
CN109620619A (zh) * 2019-01-21 2019-04-16 郑州大学第三附属医院(河南省妇幼保健院) 一种腿部局部麻醉辅助装置
CN109620619B (zh) * 2019-01-21 2020-09-11 郑州大学第三附属医院(河南省妇幼保健院) 一种腿部局部麻醉辅助装置
CN109806103A (zh) * 2019-02-22 2019-05-28 广州哈罗博康复机器人生产有限公司 康复床体装置及康复系统
KR102155312B1 (ko) * 2020-04-10 2020-09-11 유한회사 우리에듀 보행보조기구
CN113143644A (zh) * 2021-04-02 2021-07-23 四川省人民医院 一种用于骨科病人患处的防压护理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15504B1 (ko) 2015-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130142981A (ko) 다리의 재활을 위한 침대형 재활장치
US5870784A (en) Adjustable articulated bed
US7998040B2 (en) Force assistance device for walking rehabilitation therapy
CN107854245B (zh) 一种康复护理床
US6526606B2 (en) Supine position assist apparatus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 person on a bed
US20120265114A1 (en) Stretcher and method of stretching lower body
US10780312B2 (en) Bed exercise apparatus
JPH04288160A (ja) ベッド装置およびその使用方法
US20060241536A1 (en) Chair-type massage machine
US10022291B2 (en) Sensory furniture system for treatments, method of use, and method of manufacture
BR102018009509A2 (pt) arranjo de colchão, como uma cama, com firmeza ajustável
KR20040111228A (ko) 스트레칭 운동기구
KR101319127B1 (ko) 허리 교정용 승하강 침대
KR100727474B1 (ko) 슬관절 굴곡근 스트레칭 장치
CN111727028A (zh) 自动化按摩设备
JPH04122362A (ja) ベッド装置
US7141010B2 (en) Variable radius flexibility apparatus
KR102263658B1 (ko) 침대형 재활운동장치
US11701287B1 (en) Microtraction bed
KR200274482Y1 (ko) 환자용 침대
KR101976125B1 (ko) 길이조절 및 각도조절이 가능한 전동침대
CN111407587B (zh) 一种按摩椅小腿机构
KR100336413B1 (ko) 물리치료기
KR100398625B1 (ko) 신장 스트레칭 머신
WO2008107858A1 (en) A bed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521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