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2355A -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콘센트 장치 - Google Patents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콘센트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2355A
KR20130142355A KR20120065510A KR20120065510A KR20130142355A KR 20130142355 A KR20130142355 A KR 20130142355A KR 20120065510 A KR20120065510 A KR 20120065510A KR 20120065510 A KR20120065510 A KR 20120065510A KR 20130142355 A KR20130142355 A KR 2013014235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outlet
pair
electrode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20120065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2538B1 (ko
Inventor
김오중
Original Assignee
김오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오중 filed Critical 김오중
Priority to KR20120065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2538B1/ko
Priority to CN201380031871.3A priority patent/CN104584336B/zh
Priority to JP2015518317A priority patent/JP6175133B2/ja
Priority to EP13806264.1A priority patent/EP2863491B1/en
Priority to US14/409,018 priority patent/US9362669B2/en
Priority to PCT/KR2013/000692 priority patent/WO2013191350A1/ko
Publication of KR201301423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23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253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253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6Structural association with built-in electrical component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2933Comprising exclusively pivoting lever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01R13/633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 H01R13/6335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for disengagement only comprising a handl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5/00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 H01R25/003Coupling parts adapted for simultaneous co-operation with two or more identical counterparts, e.g. for distributing energy to two or more circuits the coupling part being secured only to wires or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4Means for preventing access to live contacts
    • H01R13/447Shutter or cover plate
    • H01R13/453Shutter or cover plate opened by engagement of counterpart
    • H01R13/4538Covers sliding or withdrawing in the direction of engagement

Landscapes

  • Details Of Connecting Devices For Male And Female Coupling (AREA)
  • Connector Housings Or Holding Contact Memb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콘센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유닛은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구와,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저면을 형성하며 판면에 상기 플러그의 단자가 삽입되는 한 쌍의 단자구가 형성된 저면 플레이트와, 상기 저면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플러그의 단자가 접속되는 한 쌍의 전극을 갖는 콘센트 본체와; 판면에 상기 플러그의 단자가 통과하는 한 쌍의 플러그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의 단자가 상기 플러그 통과공 및 상기 단자구를 통해 상기 전극에 접속 가능하도록 하강하는 접속 위치와 상기 플러그의 단자가 상기 전극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플러그를 상승시키는 접속 해제 위치 간을 이동 가능하게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분리 플레이트와; 상기 분리 플레이트가 상기 접속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분리 플레이트를 상기 접속 해제 위치로 상승시키는 분리 조작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따라, 콘센트 유닛으로부터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콘센트 유닛 단위로 제작이 가능하여 2개 또는 그 이상의 콘센트 유닛으로 구성되는 멀티 콘센트 장치의 제작이 용이하게 된다.

Description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콘센트 장치{CONCENT UNIT FOR EASILY SEPARATING PLUG FROM CONCENT UNIT AND MULTI CONCENT APPARATUS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콘센트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콘센트 유닛으로부터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하면서도, 콘센트 유닛 단위로 제작이 가능하여 2개 또는 그 이상의 콘센트 유닛으로 구성되는 멀티 콘센트 장치의 제작이 용이한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콘센트 장치에 관한 것이다.
콘센트는 옥외로부터 공급되는 전기공급원과 연결되어 전원을 공급받고 그 공급받은 전원을 각 플러그를 통하여 실내의 각 목적지에 공급하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각종 전기기구의 플러그를 삽입하는 형태로 제작된다.
도 1은 통상적인 콘센트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통상적인 콘센트(20)는 상부에 요입부(25)가 형성된 상부케이스(23)와 상기 상부케이스(23)의 하부로 체결되는 하부케이스(21)로 이루어진다.
상기 요입부(25)에는 각종 전기기구에 연결된 플러그(30)의 접속봉(31)이 삽입되는 접속구(21)가 형성되며, 상기 하부케이스(21)의 내측에는 상기 플러그(30)의 접속봉(31)과 접속되는 복수의 접속단자(미도시)가 구비된다.
사용자는 플러그(30)의 손잡이(35)를 잡고 접속봉(31)을 콘센트(20)의 접속구멍([0004] 21)으로 삽입하면, 상기 접속봉(31)은 접속구멍(21) 하부의 접속단자와 접속되면서 전원을 연결하게 되는바, 이와 같은 접속상태는 감전예방 또는 플러그(30)의 이탈을 방지하기 위해 상당한 긴밀성을 유지하고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기기구의 사용 후 플러그(30)를 콘센트(20)에서 분리하고자 할 경우 상당한 힘을 필요로 하고 있다.
통상 플러그(30)를 콘센트(20)에서 분리하고자 할 때 한 손으로 콘센트(20)를 잡고, 다른 한 손으로는 플러그(30)를 잡아 힘껏 잡아당겨야 한다. 그러나, 상기 접속봉(31)과 접속단자가 긴밀성을 유지하므로 분리하기가 쉽지 않으며, 특히 주부들의 경우 자칫 물에 젖은 손으로 콘센트(20)로부터 플러그(30)를 분리하다가 감전사고가 발생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유닛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하나의 플러그를 접속하는 콘센트를 유닛 단위로 제작하여 2개 또는 그 이상의 콘센트 유닛으로 구성되는 멀티 콘센트 장치의 제작이 용이한 멀티 콘센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은 멀티 콘센트 장치을 제작하는데 있어, 구조를 간소화하여 제작이 용이한 멀티 콘센트 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은 본 발명에 따라,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유닛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구와,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저면을 형성하며 판면에 상기 플러그의 단자가 삽입되는 한 쌍의 단자구가 형성된 저면 플레이트와, 상기 저면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플러그의 단자가 접속되는 한 쌍의 전극을 갖는 콘센트 본체와; 판면에 상기 플러그의 단자가 통과하는 한 쌍의 플러그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의 단자가 상기 플러그 통과공 및 상기 단자구를 통해 상기 전극에 접속 가능하도록 하강하는 접속 위치와 상기 플러그의 단자가 상기 전극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플러그를 상승시키는 접속 해제 위치 간을 이동 가능하게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분리 플레이트와; 상기 분리 플레이트가 상기 접속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분리 플레이트를 상기 접속 해제 위치로 상승시키는 분리 조작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유닛에 의해 달성된다.
여기서, 상기 분리 조작 모듈은 상기 분리 플레이트의 하부면과 접촉되는 플레이트 접촉부와, 상기 콘센트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축부와, 상기 회동축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플레이트 접촉부의 반대측에 마련되는 푸시 접촉부를 갖는 작동 레버와; 상기 콘센트 본체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 접촉부가 상기 분리 플레이트를 상기 접속 해제 방향으로 상승시키도록 상기 푸시 접촉부를 하강시켜 상기 작동 레버를 상기 회동축부를 축으로 회동시키는 푸시 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플러그의 접속시 상기 플러그를 접지시키는 접지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지 부재는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내측 벽면으로 노출되어 상기 플러그가 접지되는 한 쌍의 접지부와, 상기 저면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상기 한 쌍의 접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작동 레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작동 레버에는 상기 한 쌍의 접지부 중 어느 하나가 통과하는 접지 통과공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저면 플레이트에는 상기 작동 레버의 상기 플레이트 접촉부가 상기 분리 플레이트의 하부면과 접촉 가능하게 상기 플레이트 접촉부가 통과하는 레버 통과공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콘센트 본체는 상기 플러그 삽입구 및 상기 저면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부 본체와, 상기 상부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 레버의 상기 회동축부는 상기 상부 본체와 상기 하부 본체 사이에 회동 가능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승강 가이드바의 하부 가장자리 영역에 마련되는 걸림턱부와; 상기 승강 가이드홈에 형성되어, 상기 승강 가이드바의 승강 이동시 상기 분리 플레이트의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상부로의 이탈이 저지되도록 상기 걸림턱부가 걸리는 걸림홈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목적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라,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멀티 콘센트 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콘센트 유닛과, 상기 복수의 콘센트 유닛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각 콘센트 유닛이 상부로 노출되는 유닛 노출공이 형성된 상부 케이스와, 상기 복수의 콘센트 유닛을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 케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콘센트 유닛을 수용 지지하는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콘센트 유닛에 적용되는 한 쌍의 전극은 상기 하부 케이스의 판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멀티 콘센트 장치에 의해서도 달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콘센트 유닛의 각각의 상기 저면 플레이트의 하부에 상호 대향하게 복수의 콘센트 유닛의 설치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한 쌍의 전원 라인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각 콘센트 유닛에 적용될 한 쌍씩의 상기 전극은 상기 한 쌍의 전원 라인 부재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각 콘센트 유닛은 상기 저면 플레이트의 하부에 마련되어 한 쌍씩의 상기 전극이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전극 결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각 전극은 상기 전극 삽입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의 단자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원통 형상의 전극 연결부와, 상기 전극 연결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상호 대향하게 연장된 한 쌍의 탄성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 전극 결합부는 상기 전극 연결부가 삽입되는 내경이 원통 형상의 전극 삽입홀과, 상기 전극 삽입홀의 일 영역이 절취되어 형성되며, 상기 전극 연결부가 상기 전극 삽입홀에 삽입될 때 상기 한 쌍의 전극 삽입홀에 탄성적으로 끼워지는 결합 절취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각 전극 결합부는 상기 전극 삽입홀의 일 영역이 절취되어 형성되며, 상기 전극 연결부가 상기 전극 결합홀에 삽입될 때 상기 전원 라인 부재가 삽입되는 라인 절취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콘센트 유닛은 원형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의 외경은 원형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외경을 따라 전원 케이블의 권선을 위한 케이블 권선부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상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반경 방향 내측 및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 권선부에 권선된 전원 케이블을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가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르면,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콘센트 장치가 제공된다.
또한, 하나의 플러그를 접속하는 콘센트를 유닛 단위로 제작하여 2개 또는 그 이상의 콘센트 유닛으로 구성되는 멀티 콘센트 장치의 제작이 용이하게 된다.
그리고, 멀티 콘센트 장치을 제작하는데 있어, 구조를 간소화하여 제작이 용이한 멀티 콘센트 장치가 제공된다.
도 1은 통상적인 콘센트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콘센트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멀티 콘센트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유닛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콘센트 유닛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유닛의 작동 레버와 접지 부재 간의 결합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콘센트 장치에서 저면 플레이트의 하부에 전극이 설치되는 구성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멀티 콘센트 장치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콘센트 장치(1)의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멀티 콘센트 장치(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콘센트 장치(1)는 복수의 콘센트 유닛(200) 및 이를 수용하는 본체 케이스(100)를 포함한다. 여기서, 본체 케이스(100)는 상부 케이스(110) 및 하부 케이스(120)를 포함한다.
복수의 콘센트 유닛(200) 각각에는 플러그가 삽입되어 외부로부터의 전원이 각 콘센트 유닛(200)을 통해 플러그로 공급된다. 여기서, 복수의 콘센트 유닛(200)은 독립적으로 분리된 상태로 상부 케이스(110) 및 하부 케이스(120)에 수용된다. 도 2 및 도 3에서는 4개의 콘센트 유닛(200)이 상부 케이스(110)와 하부 케이스(120)에 수용되는 것을 예로 한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유닛(200)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유닛(200)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Ⅴ-Ⅴ선에 따른 단면도이고, 도 6은 도 4의 콘센트 유닛(200)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유닛(200)은 콘센트 본체(210,220), 분리 플레이트(230) 및 분리 조작 모듈을 포함한다.
콘센트 본체(210,220)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유닛(200)이 플러그의 삽입을 통해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기본 구성을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본체(210,220)는 플러그 삽입구(214), 저면 플레이트(212) 및 한 쌍의 전극(261)을 포함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본체(210,220)는 상부 본체(210)와 하부 본체(220)를 포함하는 것을 예로 한다.
상부 본체(210)에는 플러그 삽입구(214) 및 저면 플레이트(212)가 형성된다. 플러그 삽입구(214)에는 플러그가 삽입되는데, 플러그 삽입구(214)의 내부 형상은 플러그의 외부 형상, 즉 규격화된 플러그가 삽입 가능한 형상을 갖는다.
저면 플레이트(212)는 플러그 삽입구(214)의 저면을 형성한다. 그리고, 저면 플레이트(212)의 판면에는 플러그의 단자가 삽입되는 한 쌍의 단자구(212a)가 형성되어 플러그의 삽입시 단자구(212a)를 통과한 플러그의 단자가 저면 플레이트(212)의 하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전극(261)에 접속하게 된다.
하부 본체(220)는 상부 본체(210)의 하부에 결합된다. 그리고, 하부 본체(220)에는 저면 플레이트(212)의 단자구(212a)에 대응하는 위치에 한 쌍의 전극(261)이 설치됨으로써, 플러그의 삽입시 단자구(212a)를 통과한 플러그의 단자가 그 하부에 위치하는 한 쌍의 전극(261)에 접속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한 쌍의 전극(261) 구조의 상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한편, 분리 플레이트(230)는 저면 플레이트(212)에 대향하게 플러그 삽입구(214) 내부에 설치된다. 그리고, 분리 플레이트(230)의 판면에는 플러그의 단자기 통과하는 한 쌍의 플러그 통과공(231)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플러그가 플러그 삽입구(214)에 삽입될 때, 플러그의 단자는 분리 플레이트(230)의 플러그 통과공(231)과 저면 플레이트(212)의 단자구(212a)을 통과하여 저면 플레이트(212)의 하부에 위치하는 전극(261)에 접속된다.
또한, 분리 플레이트(230)는 플러그 삽입구(214)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분리 플레이트(230)는 플러그 삽입구(214) 내부에서 접속 위치와 접속 해제 위치 간을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여기서, 분리 플레이트(230)의 접속 위치는 플러그가 플러그 삽입구(214)에 삽입되어 플러그의 단자가 플러그 통과공(231) 및 단자구(212a)를 통해 전극(261)에 접속 가능하게 하강하는 위치에 해당한다. 그리고, 분리 플레이트(230)의 접속 해제 위치는 플러그의 단자가 전극(261)으로부터 분리되도록 플러그를 승강시키는 위치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서는 분리 플레이트(230)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승강 가이드바(233)가 마련되고, 상부 본체(210)의 상기 플러그 삽입구(214)의 내측 벽면에 한 쌍의 승강 가이드바(233)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는 승강 가이드홈(213)이 마련되어, 분리 플레이트(230)의 승강 이동시 승강 가이드홈(213)에 승강 가이드바(233)가 삽입된 상태로 가이드되어 분리 플레이트(230)의 승강 이동이 가이드되는 것을 예로 한다.
또한, 승강 가이드바(233)의 하부 가장자리에는 걸림턱부(234)가 형성되어 승강 가이드바(233)가 일정 높이로 승강하는 경우 걸림턱부(234)가 승강 가이드홈(213)에 형성된 걸림홈(214)에 걸림으로써, 분리 플레이트(230)가 플러그 삽입구(214)로부터 상부로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게 된다.
상기 구성을 통해, 사용자가 플러그를 플러그 삽입구(214)에 삽입시키면 분리 플레이트(230)가 접속 위치로 하강하여 플러그의 단자가 전극(261)에 접속하게 되고, 사용자가 플러그를 콘센트 유닛(200)으로부터 분리하기 위해 후술할 방법으로 분리 조작 모듈을 조작하게 되면 분리 플레이트(230)가 접속 해제 위치로 상승하게 되어 플러그가 플러그 삽입구(214)로부터 분리됨으로써 사용자가 쉽게 플러그를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분리 조작 모듈은 분리 플레이트(230)가 접속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분리 플레이트(230)를 접속 해제 위치로 상승시킴으로써, 플러그를 플러그 삽입구(214)로부터 분리시킨다.
여기서, 본 발명에 따른 분리 조작 모듈은, 도 5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레버(242)와 푸시 버튼(241)을 포함하는 것을 예로 한다.
작동 레버(242)는 콘센트 본체(210,220)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작동 레버(242)는 플레이트 접촉부(243), 회동축부(245) 및 푸시 접촉부(244)를 포함할 수 있다.
플레이트 접촉부(243)는 작동 레버(242)의 일측 가장자리 영역에 마련되어 분리 플레이트(230)의 하부면과 접촉한다. 그리고, 푸시 접촉부(244)는 작동 레버(242)의 타측 가장자리 영역, 즉 회동축부(245)를 사이에 두고 플레이트 접촉부(243)의 반대측에 마련되어 푸시 버튼(241)의 하부면과 접촉한다.
여기서, 회동축부(245)는 플레이트 접촉부(243)와 푸시 접촉부(244) 사이에 마련되는데, 작동 레버(242)는 회동축부(245)를 축으로 하여 회동 가능하게 콘센트 본체(210,220)에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작동 레버(242)의 회동축부(245)가 콘센트 본체(210,220)의 상부 본체(210)와 하부 본체(220) 사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하며, 상부 본체(210)와 하부 본체(220) 중 어느 일측에는 회동축부(245)를 축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회동축 지지부가 형성된다.
푸시 버튼(241)은 콘센트 본체(210,220)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된다. 본 발명에서는 콘센트 본체(210,220)의 상부 본체(210)에 푸시 버튼(241)의 승강 이동을 지지하는 버튼 지지부(215)가 마련되는 것을 예로 한다.
여기서, 버튼 지지부(215)는 푸시 버튼(241)이 삽입되는 버튼 삽입홀(215a)이 형성되어, 푸시 버튼(241)의 하부면이 작동 레버(242)의 푸시 접촉부(244)와 접촉하고, 푸시 버튼(241)의 상부가 버튼 삽입홀(215a)을 통해 버튼 지지부(215)의 상부로 노출된다.
그리고, 푸시 버튼(241)은 플레이트 접촉부(243)가 분리 플레이트(230)를 접속 해제 방향으로 상승시키도록 푸시 접촉부(244)를 하강시킨다.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플러그가 플러그 삽입구(214)에 삽입된 상태, 즉 분리 플레이트(230)가 접속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가 푸시 버튼(241)을 눌러 푸시 버튼(241)을 하강시켜 푸시 접촉부(244)를 하강 시키게 되면, 작동 레버(242)가 회동축부(245)를 축으로 회동하여 푸시 접촉부(244)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플레이트 접촉부(243)가 상승하게 된다. 이 때, 플레이트 접촉부(243)가 분리 플레이트(230)를 접속 해제 방향으로 상승시키게 됨으로써, 분리 플레이트(230)가 플러그를 플러그 삽입구(214)로부터 분리시키게 된다.
여기서, 저면 플레이트(212)에는 그 하부에 위치하는 작동 레버(242)의 플레이트 접촉부(243)가 그 상부에 위치하는 분리 플레이트(230)의 하부면과 접촉 가능하도록 플레이트 접촉부(243)가 통과하는 레버 통과공(212b)이 형성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사용자는 푸시 버튼(241)을 누르는 동작만으로 콘센트 유닛(200)에 결합된 플러그를 쉽게 분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푸시 버튼(241)의 조작에 따라 분리 플레이트(230)가 플러그의 표면 전체를 밀어 올리게 되어 보다 안정적으로 플러그의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버튼 지지부(215)에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푸시 버튼(241)을 상승하는 방향으로 가압하는 탄성 부재(247)가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한다. 이에 따라, 플러그가 삽입되지 않은 상태에서도 탄성 부재(247)의 탄성력에 의해 분리 플레이트(230)는 접속 위치에 위치하게 되는데, 플러그가 삽입된 후 사용자가 푸시 버튼(241)을 눌러 플러그를 분리한 후에도 다시 분리 플레이트(230)가 접속 위치로 이동하게 되어 플러그 삽입구(214)의 내부가 통상적인 콘센트의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유닛(200)에는 플러그의 접속시 플러그를 접지시키는 접지 부재(25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접지 부재(250)는 플러그 삽입구(214)에 내측 벽면으로 노출되어 플러그가 접지되는 한 쌍의 접지부(251)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한 쌍의 접지부(251)는 저면 플레이트(212)의 하부에서 연결부(252)에 의해 연결된다. 즉, 본 발명에 따른 접지 부재(250)는 한 쌍의 접지부(251)와 이를 연결하는 연결부(252)가 일체로 형성된다.
그리고, 연결부(252)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작동 레버(2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데, 작동 레버(242)에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접지부(251) 중 어느 하나가 통과하는 접지 통과공(246)이 형성된다.
이에 따라, 연결부(252)가 저면 플레이트(212)의 하부에 위치하면서 작동 레버(242)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될 때, 하나의 접지부(251)가 연결부(252)의 상부에 위치하는 작동 레버(242)의 접지 통과공(246)을 통과하여 저면 플레이트(212)의 상부로 연장되어 플러그 삽입구(214) 내측 벽으로 노출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한 쌍의 접지부(251)가 플러그 삽입구(214) 내부로 연장될 수 있도록, 저면 플레이트(212)와 분리 플레이트(230)에는 각각 접지부(251)가 통과하는 제1 접지 통과공(232) 및 제2 접지 통과부(미도시)가 형성됨은 물론이다. 도 6에서는 분리 플레이트(230)에 제1 접지 통과공(232)이 판면의 내측 반향으로 함몰되어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하고 있다.
한편, 각각의 콘센트 유닛(200)에 적용되는 한 쌍의 전극(261)은 저면 플레이트(212)의 하부에 설치된다. 도 8 및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콘센트 장치(1)에서 저면 플레이트(212)의 하부에 전극(261)이 설치되는 구성의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콘센트 장치(1)는 한 쌍의 전원 라인 부재(260)를 포함할 수 있다. 전원 라인 부재(260)는 복수의 콘센트 유닛(200)의 각각의 저면 플레이트(212)의 하부에 상호 대향하게 콘센트 유닛(200)의 설치 방향을 따라 설치된다. 그리고, 각 콘센트 유닛(200)에 적용될 한 쌍씩의 전극(261)은 한 쌍의 전원 라인 부재(260)에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각 콘센트 유닛(20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면 플레이트(212)의 하부에 마련되어 한 쌍씩의 전극(261)이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전극 결합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각 전극(261)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전극 연결부(261a)와, 한 쌍의 탄성 결합부(261b)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 연결부(261a)는 전극 결합부(270)에 삽입된 상태에서 플러그의 단자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그리고, 한 쌍의 탄성 결합부(261b)는 전극 연결부(261a)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상호 대향하게 연장된다.
본 발명에서는 전극 연결부(261a)의 원통 형상 일부가 단절된 형상을 가지고, 한 쌍의 탄성 결합부(261b)가 단절된 영역으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각각 연장되어 형성되는 것을 예로 한다.
그리고, 콘센트 유닛(200)의 각 전극 결합부(270)는 전극 삽입홀(273)과, 결합 절취부(272)를 포함할 수 있다. 전극 삽입홀(273)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전극 연결부(261a)가 삽입될 수 있도록 내경이 원통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결합 절취부(272)는 전극 삽입홀(273)의 일 영역이 절취되어 형성되는데, 전극 연결부(261a)가 전극 삽입홀(273)에 삽입될 때 한 쌍의 전극 삽입홀(273)에 탄성적으로 끼워진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따라, 복수의 콘센트 유닛(200)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한 쌍씩의 전극(261)이 한 쌍의 전원 라인 부재(260)에 형성되고, 각 전극(261)의 전극 연결부(261a)가 전극 결합부(270)의 전극 삽입홀(273)에 삽입되어 저면 플레이트(212)에 형성된 단자구(212a)를 통해 플러그의 단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전극(261)을 구성하는 한 쌍의 탄성 결합부(261b)가 탄성적으로 결합 절취부(272)에 끼워짐으로써,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콘센트 유닛(200)의 하부에 한 쌍의 전극(261)이 결합 가능하게 된다.
여기서, 전극 결합부(270)는 전극 삽입홀(273)의 일 영역이 절취되어 형성되는 라인 절취부(271)를 포함할 수 있다. 라인 절취부(271)에는 전극 연결부(261a)가 전극 삽입홀(273)에 삽입될 때 전원 라인 부재(260)가 삽입됨으로써, 전극 결합부(270)가 전극 삽입홀(273)에 삽입 가능하게 한다.
또한, 저면 플레이트(212)의 하부에는 전원 라인 부재(260)가 보다 안정적으로 각 콘센트 유닛(200)의 하부에 위치하도록 전원 라인 부재(260)가 끼워지는 라인 삽입부(280)가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멀티 콘센트 장치(1)에 대해 설명한다.
상부 케이스(110)에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콘센트 유닛(200)에 각각 대응하여 각 콘센트 유닛(200)이 상부로 노출되는 유닛 노출공(111)이 형성된다. 그리고, 하부 케이스(120)는 각각의 콘센트 유닛(200)을 사이에 두고, 상부 케이스(110) 결합하여 복수의 콘센트 유닛(200)을 수용 지지하게 된다.
그리고, 도 2 및 도 3의 미설명 참조번호 400은 멀티 콘센트 장치(1)에 전원 공급 여부를 단속하는 전원 스위치이고, 133은 상부 케이스(110)에 형성되어 전원 스위치(400)를 상부 케이스(110)에 노출시키는 스위치 노출공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 형태에 따른 멀티 콘센트 장치(1a)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에 도시된 멀티 콘센트 장치(1a)는 복수의 콘센트 유닛(200)이 원형 형태로 배치되는 것을 예로 하고 있다.
그리고 상부 케이스(110a) 및 하부 케이스(120a)의 외경이 원형 형상으로 마련되는 것을 예로 하고 있다. 여기서, 멀티 콘센트 장치(1a)에는 상부 케이스(110a)와 하부 케이스(120a)의 외경을 따라 전원 케이블의 권선을 위한 케이블 권선부(130a)가 마련되는 것을 예로 하고 있다.
이에 따라, 멀티 콘센트 장치(1)에 전원을 공급하기 위한 전원 케이블의 길이를 길게 마련되는 경우, 해당 전원 케이블을 케이블 권선부(130a)에 권선한 상태로 보관이 가능하게 되고, 필요한 길이만큼 전원 케이블을 풀어 이용할 수 있게 된다.
여기서, 상부 케이스(110a) 및 하부 케이스(120a)에는 반경 방향 내측 및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케이블 가압부(111a,121a)가 마련될 수 있다. 케이블 가압부(111a,121a)는 케이블 권선부(130a)에 권선된 전원 케이블을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가압하여 전원 케이블이 케이블 권선부(130a)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저지하게 된다.
도 10에서는 상부 케이스(110a) 및 하부 케이스(120a)의 반경 방향 외측에 4개씩의 케이블 가압부(111a,121a)가 설치되는 것을 예로 하고 있으나, 케이블 가압부(111a,121a)의 구성이 그 개수에 국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또한, 상부 케이스(110a)와 하부 케이스(120a) 중 어느 일측에만 케이블 가압구(111a,121a)가 마련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비록 본 발명의 몇몇 실시예들이 도시되고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당업자라면 본 발명의 원칙이나 정신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 본 실시예를 변형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 균등물에 의해 정해질 것이다.
1 : 멀티 콘센트 장치 100 : 본체 케이스
110 : 상부 케이스 120 : 하부 케이스
200 : 콘센트 유닛 210 : 상부 본체
212 : 저면 플레이트 220 : 하부 본체
230 : 분리 플레이트 241 : 푸시 버튼
242 : 작동 레버 243 : 플레이트 접촉부
244 : 푸시 접촉부 245 : 회동축부
246 : 접지 통과공 250 : 접지 부재

Claims (15)

  1.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유닛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가 삽입되는 플러그 삽입구와,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저면을 형성하며 판면에 상기 플러그의 단자가 삽입되는 한 쌍의 단자구가 형성된 저면 플레이트와, 상기 저면 플레이트의 하부에 설치되어 상기 플러그의 단자가 접속되는 한 쌍의 전극을 갖는 콘센트 본체와;
    판면에 상기 플러그의 단자가 통과하는 한 쌍의 플러그 통과공이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의 단자가 상기 플러그 통과공 및 상기 단자구를 통해 상기 전극에 접속 가능하도록 하강하는 접속 위치와 상기 플러그의 단자가 상기 전극으로부터 분리되도록 상기 플러그를 상승시키는 접속 해제 위치 간을 이동 가능하게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분리 플레이트와;
    상기 분리 플레이트가 상기 접속 위치에 위치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조작에 따라 상기 분리 플레이트를 상기 접속 해제 위치로 상승시키는 분리 조작 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유닛.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조작 모듈은
    상기 분리 플레이트의 하부면과 접촉되는 플레이트 접촉부와, 상기 콘센트 본체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동축부와, 상기 회동축부를 사이에 두고 상기 플레이트 접촉부의 반대측에 마련되는 푸시 접촉부를 갖는 작동 레버와;
    상기 콘센트 본체에 승강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플레이트 접촉부가 상기 분리 플레이트를 상기 접속 해제 방향으로 상승시키도록 상기 푸시 접촉부를 하강시켜 상기 작동 레버를 상기 회동축부를 축으로 회동시키는 푸시 버튼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유닛.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의 접속시 상기 플러그를 접지시키는 접지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지 부재는 상기 플러그 삽입구에 내측 벽면으로 노출되어 상기 플러그가 접지되는 한 쌍의 접지부와, 상기 저면 플레이트의 하부에서 상기 한 쌍의 접지부를 연결하는 연결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유닛.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는 상기 작동 레버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되며;
    상기 작동 레버에는 상기 한 쌍의 접지부 중 어느 하나가 통과하는 접지 통과공이 상하 방향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유닛.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저면 플레이트에는 상기 작동 레버의 상기 플레이트 접촉부가 상기 분리 플레이트의 하부면과 접촉 가능하게 상기 플레이트 접촉부가 통과하는 레버 통과공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유닛.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본체는
    상기 플러그 삽입구 및 상기 저면 플레이트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상부 본체와,
    상기 상부 본체의 하부에 결합되는 하부 본체를 포함하며;
    상기 작동 레버의 상기 회동축부는 상기 상부 본체와 상기 하부 본체 사이에 회동 가능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유닛.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 플레이트로부터 상기 저면 플레이트를 향해 연장되는 한 쌍의 승강 가이드바와;
    상기 상부 본체의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내측 벽면에 형성되어, 상기 분리 플레이트의 승강 이동시 상기 한 쌍의 승강 가이드바의 승강 이동을 안내하는 승강 가이드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유닛.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승강 가이드바의 하부 가장자리 영역에 마련되는 걸림턱부와;
    상기 승강 가이드홈에 형성되어, 상기 승강 가이드바의 승강 이동시 상기 분리 플레이트의 상기 플러그 삽입구의 상부로의 이탈이 저지되도록 상기 걸림턱부가 걸리는 걸림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유닛.
  9.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멀티 콘센트 장치에 있어서,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복수의 콘센트 유닛과,
    상기 복수의 콘센트 유닛에 각각 대응하여 상기 각 콘센트 유닛이 상부로 노출되는 유닛 노출공이 형성된 상부 케이스와,
    상기 복수의 콘센트 유닛을 사이에 두고 상기 상부 케이스와 결합되어 상기 복수의 콘센트 유닛을 수용 지지하는 하부 케이스를 포함하며;
    상기 각각의 콘센트 유닛에 적용되는 한 쌍의 전극은 상기 하부 케이스의 판면에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멀티 콘센트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콘센트 유닛의 각각의 상기 저면 플레이트의 하부에 상호 대향하게 복수의 콘센트 유닛의 설치 방향을 따라 설치되는 한 쌍의 전원 라인 부재를 더 포함하며;
    상기 각 콘센트 유닛에 적용될 한 쌍씩의 상기 전극은 상기 한 쌍의 전원 라인 부재에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멀티 콘센트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각 콘센트 유닛은
    상기 저면 플레이트의 하부에 마련되어 한 쌍씩의 상기 전극이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전극 결합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멀티 콘센트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전극은
    상기 전극 삽입부에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플러그의 단자가 삽입되어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원통 형상의 전극 연결부와,
    상기 전극 연결부로부터 반경 방향 외측으로 상호 대향하게 연장된 한 쌍의 탄성 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각 전극 결합부는
    상기 전극 연결부가 삽입되는 내경이 원통 형상의 전극 삽입홀과,
    상기 전극 삽입홀의 일 영역이 절취되어 형성되며, 상기 전극 연결부가 상기 전극 삽입홀에 삽입될 때 상기 한 쌍의 전극 삽입홀에 탄성적으로 끼워지는 결합 절취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멀티 콘센트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각 전극 결합부는 상기 전극 삽입홀의 일 영역이 절취되어 형성되며, 상기 전극 연결부가 상기 전극 결합홀에 삽입될 때 상기 전원 라인 부재가 삽입되는 라인 절취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멀티 콘센트 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콘센트 유닛은 원형 형태로 배치되고;
    상기 상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의 외경은 원형 형상으로 마련되며;
    상기 상부 케이스와 상기 하부 케이스의 외경을 따라 전원 케이블의 권선을 위한 케이블 권선부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멀티 콘센트 장치.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케이스 및 상기 하부 케이스 중 적어도 어느 일측에 반경 방향 내측 및 외측으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상기 케이블 권선부에 권선된 전원 케이블을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가압하는 적어도 하나의 케이블 가압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멀티 콘센트 장치.
KR20120065510A 2012-06-19 2012-06-19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콘센트 장치 KR10137253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5510A KR101372538B1 (ko) 2012-06-19 2012-06-19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콘센트 장치
CN201380031871.3A CN104584336B (zh) 2012-06-19 2013-01-29 容易分离插头的插座单元以及利用该插座单元的多功能插座装置
JP2015518317A JP6175133B2 (ja) 2012-06-19 2013-01-29 プラグの脱離が容易なコンセントユニット及びこれを利用したマルチタップコンセント装置
EP13806264.1A EP2863491B1 (en) 2012-06-19 2013-01-29 Outlet unit facilitating plug separation, and multi-outlet device using same
US14/409,018 US9362669B2 (en) 2012-06-19 2013-01-29 Outlet unit facilitating plug separation, and multi-outlet device using same
PCT/KR2013/000692 WO2013191350A1 (ko) 2012-06-19 2013-01-29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콘센트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20065510A KR101372538B1 (ko) 2012-06-19 2012-06-19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콘센트 장치

Related Child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157678A Division KR101366844B1 (ko) 2013-12-17 2013-12-17 일체형 접지 부재가 구비된 플러그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KR1020130157680A Division KR101402351B1 (ko) 2013-12-17 2013-12-17 전극 결합이 용이한 멀티 콘센트
KR1020130157681A Division KR101402352B1 (ko) 2013-12-17 2013-12-17 일체형 전극을 갖는 멀티 콘센트
KR1020130157679A Division KR101366846B1 (ko) 2013-12-17 2013-12-17 분리 플레이트 이탈 방지 구조를 갖는 플러그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355A true KR20130142355A (ko) 2013-12-30
KR101372538B1 KR101372538B1 (ko) 2014-03-13

Family

ID=49768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120065510A KR101372538B1 (ko) 2012-06-19 2012-06-19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콘센트 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9362669B2 (ko)
EP (1) EP2863491B1 (ko)
JP (1) JP6175133B2 (ko)
KR (1) KR101372538B1 (ko)
CN (1) CN104584336B (ko)
WO (1) WO20131913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72538B1 (ko) 2012-06-19 2014-03-13 김오중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콘센트 장치
KR101698907B1 (ko) 2015-06-10 2017-01-23 주식회사 아이디어스 플러그 삽입 방향의 확인이 용이한 콘센트
CN105140749A (zh) * 2015-09-29 2015-12-09 洛阳轴研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便于插拔的插接转换器
KR102501787B1 (ko) * 2020-10-30 2023-02-20 이지환 사용성이 향상된 멀티 플러그 장치
JP2022080809A (ja) * 2020-11-18 2022-05-30 博之 松田 指先一本でブラグが簡単に抜ける装置。
KR20220155081A (ko) 2021-05-14 2022-11-22 정대훈 콘센트
KR102608898B1 (ko) 2021-10-13 2023-11-30 정윤태 선택적 전류 흐름을 구현할 수 있는 콘센트
KR20240135271A (ko) 2023-03-03 2024-09-10 신세욱 플러그 분리가 용이한 멀티탭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775564A (en) * 1928-02-24 1930-09-09 Avis L Goodspeed Electric plug
US2053386A (en) * 1933-10-06 1936-09-08 Frederic E Wheeler Electric push plug
US2051425A (en) * 1934-06-25 1936-08-18 Otto W Schlums Electric plug
US2551533A (en) * 1946-02-21 1951-05-01 Gernheuser Ind Inc Plug ejector for electrical outlets
US2571046A (en) * 1949-11-21 1951-10-09 John J Maisey Self-ejecting electric plug
US2696594A (en) * 1953-08-27 1954-12-07 Harrington Pete Electric plug having a conductor operated ejector
US2817825A (en) * 1956-06-20 1957-12-24 Zettle Hallard Electric plug ejecting mechanism
US3737623A (en) * 1971-10-14 1973-06-05 Gen Electric Grounded probe ejector
US3926494A (en) * 1973-12-12 1975-12-16 Narducci Michael C Safety electrical male plug having normally recessed manually extendable contacts
US4045106A (en) * 1976-02-17 1977-08-30 Borg John P Automatic electrical plug release
US4619492A (en) * 1985-02-04 1986-10-28 Corblick Robert F Electrical connector with one-hand disconnect
US4973255A (en) * 1989-09-11 1990-11-27 Itt Corporation Locking/ejecting mechanism for connector system
JPH0637583Y2 (ja) * 1990-02-19 1994-09-28 株式会社ピーエフユー 外部電子装置
US5106315A (en) * 1991-09-18 1992-04-21 Amp Incorporated Dual row simm socket ejector
FR2827086B1 (fr) 2001-07-04 2003-10-10 Legrand Sa Socle de prise de courant a moyens de deconnexion de fiche
KR200302411Y1 (ko) 2002-11-01 2003-02-05 최선주 절전형 콘센트
KR200341326Y1 (ko) * 2003-10-31 2004-02-11 김금택 콘센트
TWM251346U (en) * 2003-11-19 2004-11-21 Powertech Ind Co Ltd Easy access plug
TWM275588U (en) * 2005-03-16 2005-09-11 Ta-Yu Chen Ejection device
JP2007149492A (ja) * 2005-11-28 2007-06-14 Chiyuuden Plant Kk 複数のコンセントを有する電源機器およびこの電源機器の取外し可否の判断方法
KR200419477Y1 (ko) 2006-04-05 2006-06-21 경성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러그 분리수단을 구비한 멀티탭
CN201000964Y (zh) * 2006-12-06 2008-01-02 冀智薇 可弹出插头的插座
US8083531B1 (en) * 2008-12-31 2011-12-27 Manour Ourasanah Power connector
KR100950600B1 (ko) 2009-07-13 2010-05-03 주식회사 그린나라 콘센트
WO2011065622A1 (ko) * 2009-11-30 2011-06-03 (주)큐티 플러그 인출이 용이한 콘센트
US8226423B1 (en) * 2011-04-14 2012-07-24 Exito Electronics Co., Ltd Electric connector having a deplugging assistant device
CN202145512U (zh) * 2011-08-11 2012-02-15 李境杰 改良结构的电源插座
KR101372538B1 (ko) 2012-06-19 2014-03-13 김오중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콘센트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4584336A (zh) 2015-04-29
US9362669B2 (en) 2016-06-07
EP2863491A4 (en) 2015-11-25
CN104584336B (zh) 2017-10-24
EP2863491A1 (en) 2015-04-22
JP6175133B2 (ja) 2017-08-02
US20150140845A1 (en) 2015-05-21
WO2013191350A1 (ko) 2013-12-27
JP2015524153A (ja) 2015-08-20
KR101372538B1 (ko) 2014-03-13
EP2863491B1 (en) 2017-08-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72538B1 (ko)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유닛 및 이를 이용한 멀티 콘센트 장치
EP2385588B1 (en) Safe electrical outlet
CN201752056U (zh) 插座
KR101301250B1 (ko) 감전사고를 방지하는 공동주택용 절연 콘센트
KR101366844B1 (ko) 일체형 접지 부재가 구비된 플러그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WO2011065622A1 (ko) 플러그 인출이 용이한 콘센트
KR100950600B1 (ko) 콘센트
KR101239222B1 (ko) 플러그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KR101366846B1 (ko) 분리 플레이트 이탈 방지 구조를 갖는 플러그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KR200341326Y1 (ko) 콘센트
KR101402352B1 (ko) 일체형 전극을 갖는 멀티 콘센트
KR101402351B1 (ko) 전극 결합이 용이한 멀티 콘센트
US20040147163A1 (en) Electrical socket
KR20160133663A (ko) 플러그 자동 인출형 콘센트
CN109216074B (zh) 一种单刀单掷式跷板开关
KR101132892B1 (ko) 플러그의 분리가 용이한 콘센트 및 어댑터
KR101282944B1 (ko) 로터리 콘센트
WO2019035687A1 (ko) 전기 플러그
KR20110087686A (ko) 뒤집어진 멀티탭
WO2014003374A1 (ko) 콘센트
KR101819319B1 (ko) 콘센트
KR101247009B1 (ko) 콘센트
KR20130017268A (ko) 콘센트
KR101437036B1 (ko) 전원연결장치
KR101258032B1 (ko) 전원 플러그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206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1226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124

Year of fee payment: 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2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