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2267A - 듀얼 모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듀얼 모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2267A
KR20130142267A KR1020120065335A KR20120065335A KR20130142267A KR 20130142267 A KR20130142267 A KR 20130142267A KR 1020120065335 A KR1020120065335 A KR 1020120065335A KR 20120065335 A KR20120065335 A KR 20120065335A KR 20130142267 A KR20130142267 A KR 2013014226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munication
mobile terminal
data communication
data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53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19789B1 (ko
Inventor
최진영
김태윤
성기웅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200653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19789B1/ko
Publication of KR2013014226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226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197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197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61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ing power supply demand, e.g. depending on battery leve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e Func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듀얼 모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듀얼 모드 이동 단말기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 데이터 통신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을 적용하도록 하여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제 1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제 1 통신 모듈; 제 2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제 2 통신 모듈; 및 데이터 통신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통신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 1 통신 모듈 및 제 2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 통신의 종류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데이터 통신 및 사용자의 요청 없이 수행되는 백그라운드 데이터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듀얼 모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DUAL MODE MOBILE TERMINAL AND METHOD FOR CONTROLLING THEREOF}
본 발명은 듀얼 모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히는 듀얼 모드 이동 단말기가 데이터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 데이터 통신의 종류에 따라 서로 다른 통신 방식을 적용하도록 하여 전력 소모를 감소시킬 수 있는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에 관한 것이다.
단말기는 이동 가능 여부에 따라 이동 단말기(mobile/portable terminal) 및 고정 단말기(stationary terminal)으로 나뉠 수 있다. 다시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의 직접 휴대 가능 여부에 따라 휴대(형) 단말기(handheld terminal) 및 거치형 단말기(vehicle mount terminal)로 나뉠 수 있다.
이와 같은 단말기(terminal)는 기능이 다양화됨에 따라 예를 들어, 사진이나 동영상의 촬영, 음악이나 동영상 파일의 재생, 게임, 방송의 수신 등의 복합적인 기능들을 갖춘 멀티미디어 기기(Multimedia player) 형태로 구현되고 있다.
이러한 단말기의 기능 지지 및 증대를 위해, 단말기의 구조적인 부분 및/또는 소프트웨어적인 부분을 개량하는 것이 고려될 수 있다.
최근, 일반적인 통화기능 외에,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스마트 기기 형태의 이동 단말기가 보급되고 있으며, 여기에는 둘 이상의 서로 다른 방식(예를 들어, WCDMA와 LTE)을 통하여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기능이 탑재되기도 한다. 이러한 이동 단말기를 듀얼 모드(Dual Mode) 이동 단말기라 칭할 수 있다.
한편, 이러한 이동 단말기에는 다양한 종류의 어플리케이션(application)이 설치 및 구동될 수 있는데, 일부 어플리케이션은 사용자의 요청에 따라, 또는 요청이 없는 경우라도 데이터 통신을 통하여 새로운 정보를 획득하고, 그를 이용하여 동작 상태를 갱신/변경(즉, 서버의 최신 정보와 동기화)할 수 있다.
사용자의 요청없이 어플리케이션이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경우, 사용자가 이를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경우가 많다. 따라서, 이를 백그라운드(background) 데이터 통신이라 칭할 수 있다. 멀티 모드 이동 단말기가 백그라운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의 일례를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의 데이터 통신 연결 요청(즉, 명령 입력)이 없는 상태에서 스마트형 이동 단말기(100)에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 주기적으로 기지국(200)에 동기화를 요청할 수 있다(S101).
이동 단말기(100)의 요청에 따라, 기지국(200)은 이동 단말기에 수신 대기를 명하고(S103),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은 곧 백그라운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S105).
이때, 멀티 모드 이동 단말기가 지원하는 서로 다른 통신 방식 중 어떤 통신 방식을 통해 데이터 통신이 수행되는지가 문제된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경우 이동 단말기의 임의 선택이 아닌, 이동 단말기와 기지국 간에 상호 등록되어 있는 현시점에서의 통신 방식이 이용된다. 그런데, 멀티 모드 이동 단말기의 백그라운드 데이터 통신은 사용자가 요청한 데이터 통신과 달리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한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동작이고, LTE 등의 4 세대(4G) 고속 대용량 데이터 통신 방식이 아니더라도 WCDMA/EVDO 등의 3 세대(3G) 데이터 통신 방식으로도 충분한 사용 영역이다. 그럼에도, 이동 단말기는 사용자 요청 통신 접속 및 백그라운드 데이터 통신을 구분하지 않고 이동단말기와 기지국 간에 상호 등록되어 있는 현시점에서의 기지국 우선순위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게 된다. 이러한 경우, 일반적으로 이동 단말기는 상위 통신 방식(예를 들어, 4G)을 우선하여 망에 접속함에 따라 이동 단말의 배터리가 비효율적으로 소모되는 문제점이 있다.
본 발명은 보다 효율적으로 동작할 수 있는 멀티 모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백그라운드 데이터 통신을 보다 낮은 전력을 소모하여 수행할 수 있는 멀티 모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와 같은 일반적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기는 제 1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제 1 통신 모듈; 제 2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제 2 통신 모듈; 및 데이터 통신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통신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 1 통신 모듈 및 제 2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 통신의 종류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데이터 통신 및 사용자의 요청 없이 수행되는 백그라운드 데이터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 1 통신 방식은 상기 제 2 통신 방식보다 데이터 전송 속도 및 데이터 전송 용량 중 적어도 하나가 우수한 방식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 상기 요구되는 데이터 통신이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데이터 통신인 경우 상기 제 1 통신 모듈을 이용하고, 상기 요구되는 데이터 통신이 상기 백그라운드 데이터 통신인 경우 상기 제 2 통신 모듈을 이용하도록 제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요구되는 데이터 통신에 소요되는 전력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 2 통신 모듈의 소요 전력이 상기 제 1 통신 모듈의 소요 전력보다 더 큰 경우, 상기 요구되는 데이터 통신을 상기 제 1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1 통신 방식은 4세대(4G) 통신 방식이고, 상기 제 2 통신 방식은 3세대(3G) 통신 방식인 것일 수 있다.
아울러,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요구되는 데이터 통신의 수행이 완료되면, 소정의 조건에 따라 상기 제 1 통신 방식 및 상기 제 2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지원하는 망에 등록하고, 다음 데이터 통신 발생을 대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통신 방식별 전력 소모량에 따라 통신 방식이 결정되어 멀티 모드 이동 단말기의 전력이 효율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둘째, 그에 따라 이동 단말기의 배터리 소모가 감소하고 사용 대기 시간이 증가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일반적인 멀티 모드 이동 단말기가 백그라운드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의 종류에 따라 통신 방식이 결정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다른 양상에 따른 데이터 통신의 종류 및 전력 소모량에 따라 통신 방식이 결정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이하의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구성요소들과 특징들을 소정 형태로 결합한 것들이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별도의 명시적 언급이 없는 한 선택적인 것으로 고려될 수 있다. 각 구성요소 또는 특징은 다른 구성요소나 특징과 결합되지 않은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일부 구성요소들 및/또는 특징들을 결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서 설명되는 동작들의 순서는 변경될 수 있다. 어느 실시예의 일부 구성이나 특징은 다른 실시예에 포함될 수 있고, 또는 다른 실시예의 대응하는 구성 또는 특징과 교체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기지국과 이동 단말기 간의 데이터 송수신 관계 및 해당 철자에서의 이동 단말기의 동작과정을 중심으로 설명되었다. 여기서, 기지국은 단말과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는 네트워크의 종단 노드(terminal node)로서의 의미를 갖는다. 본 문서에서 기지국에 의해 수행되는 것으로 설명된 특정 동작은 경우에 따라서는 기지국의 상위 노드(upper node)에 의해 수행될 수도 있다.
즉, 기지국을 포함하는 다수의 네트워크 노드들(network nodes)로 이루어지는 네트워크에서 단말과의 통신을 위해 수행되는 다양한 동작들은 기지국 또는 기지국 이외의 다른 네트워크 노드들에 의해 수행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기지국(BS: Base Station)'은 고정국(fixed station), Node B, eNode B(eNB), 억세스 포인트(AP: Access Point), ABS (Advanced BS) 등의 용어에 의해 대체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기(Mobile Terminal)'는 UE(User Equipment), MS(Mobile Station), MSS(Mobile Subscriber Station), AMS (Advanced MS) 또는 SS(Subscriber Station) 등의 용어로 대체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다양한 수단을 통해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하드웨어, 펌웨어(firmware), 소프트웨어 또는 그것들의 결합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하드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ASICs(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s), DSPs(digital signal processors), DSPDs(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PLDs(programmable logic devices), FPGAs(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프로세서, 콘트롤러, 마이크로 콘트롤러, 마이크로 프로세서 등에 의해 구현될 수 있다.
펌웨어나 소프트웨어에 의한 구현의 경우,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방법은 이상에서 설명된 기능 또는 동작들을 수행하는 모듈, 절차 또는 함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코드는 메모리 유닛에 저장되어 프로세서에 의해 구동될 수 있다. 상기 메모리 유닛은 상기 프로세서 내부 또는 외부에 위치하여, 이미 공지된 다양한 수단에 의해 상기 프로세서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무선 접속 시스템들인 IEEE 802 시스템, GSM 시스템, 3GPP 시스템, 3GPP LTE 시스템 및 3GPP2 시스템 중 적어도 하나에 개시된 표준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예들 중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명확히 드러내기 위해 설명하지 않은 단계들 또는 부분들은 상기 문서들에 의해 뒷받침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각 시스템의 구분에 따라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언급되는 통신 방식이 구분될 수 있다. 물론, 하나의 시스템이 복수의 하위 시스템으로 구분되는 경우, 각 하위 시스템의 구분에 따라 이하의 실시예들에서 언급되는 통신 방식이 구분될 수도 있다. 다만,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멀티 모드 단말이 지원하는 통신 방식은 편의상 3G 방식(예를 들어, WCDMA/EVDO)과 4G 방식(예를 들어, LTE)인 것으로 가정한다. 즉, 본 명세서의 이동 단말기는 LTE(4G)+WCDMA/EVDO(3G) 듀얼 모드 이동 단말기인 것으로 가정한다. 물론,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보다 다양한 통신 방식들 간의 조합을 지원하는 이동 단말기에 적용될 수 있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특정 용어들은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이며, 이러한 특정 용어의 사용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형태로 변경될 수 있다.
데이터 통신의 종류에 따른 통신 방식 결정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 단말기는 통신 사용 환경의 전계 강도 조건에 따라 4G 또는 3G 망에 등록되어 접속 대기 상태를 유지하게 된다. 패킷 스위치 방식의 데이터 통신은 기본적으로 사용자의 접속 요청에 의해서 통신 접속이 이루어지게 되지만, 스마트(smart)형 듀얼 모드 이동 단말기의 경우 설치 및 구동되는 애플리케이션의 동작 형태에 따라 주기적 데이터 송수신 또는 수신 대기 등의 동작이 수반되어 백그라운드 데이터 동기화 작업이 활성화된다. 즉, 데이터 통신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데이터 통신과 백그라운드 데이터 통신의 두 종류로 구분될 수 있는데,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데이터 통신의 종류에 따라 통신 방식이 결정되도록 할 것을 제안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데이터 통신의 종류에 따라 통신 방식이 결정되는 형태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2를 참조하면, 이동 단말기(100)는 4G/3G 방식의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때,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통신 접속 시도인지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백그라운드 데이터 통신 접속 시도인지를 판단한다. 판단 결과, 사용자 요청에 의한 데이터 통신인 경우에는 상위 통신 방식으로 데이터 통신 접속을 진행한다. 반면,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백그라운드 데이터 통신을 위한 접속 요청으로 판단될 경우에는 상대적으로 전류 소모량이 많은 상위 통신 방식(4G) 적용을 막고, 하위 통신 방식(3G)을 이용하여 백그라운드 데이터 통신 작업이 이루어지도록 전환한다.
백그라운드 데이터 통신이 완료되면, 이동 단말기는 일반적인 통신 사용 환경 전계 강도 조건에 따른 망 등록 방식에 따라 현시점에서 가장 유리한 통신 방식으로 기지국(200)과 상호 등록을 실시할 수 있다. 이때, 통신 방식에 따라 기지국이 물리적으로 상이할 수도 있고, 하나의 기지국이 서로 다른 무선 자원 영역을 통해 둘 이상의 통신 방식을 지원할 수도 있다.
이후 이동 단말기는 차후 발생할 수 있는 사용자 요청에 의한 데이터 통신 시도 또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백그라운드 데이터 통신 시도를 대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동작을 통해 사용자 요청에 의한 (즉, 사용자가 인지하는 상태의) 데이터 통신 접속일 경우에는 고속, 대용량의 4G 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사용자를 만족시킬 수 있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즉,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상태의) 백그라운드 데이터 통신 접속일 경우에는 4G에 비해 느리고 용량도 적지만 상대적으로 전류 소모량이 적은 3G 망을 이용하여 데이터를 송수신함으로써 전체적인 배터리 소모량의 효율성을 향상시켜 전반적인 배터리 사용시간 연장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전력 소모량에 따른 통신 방식 결정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다른 양상에 의하면, 전력 소모량이 더욱 고려되어 데이터 통신에 사용되는 통신 방식이 결정될 수 있다. 이를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다른 양상에 따른 데이터 통신의 종류 및 전력 소모량에 따라 통신 방식이 결정되는 과정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먼저 듀얼 모드 이동 단말기(100)는 네트워크 환경상에서 4G와 3G 중 어떤 망에 등록될지 결정하기 위해 기본적으로 구동되는 알고리즘을 적용하여, 판단 시점의 채널 상태나 기지국(200) 상황 등의 조건에 따라 등록하게 될 망을 결정할 수 있다(S310).
망 선정 알고리즘의 동작 결과에 따라, 선정된 망에 등록된 이동 단말기(100)는 사용자 요청 데이터 접속 및 백그라운드 데이터 통신 접속 모두를 포함한 데이터 통신 시도를 대기한다(S320).
이러한 상태에서 이동 단말기(100)가 데이터 통신 시도를 인지하게 되면(S330), 현재 등록되어 있는 망이 4G인지 여부를 확인한다(S340).
이때, 이동 단말기는 자신이 등록되어 있는 망이 4G인 경우, 인지된 데이터 통신 시도가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것인지, 아니면 이동단말기 내부에 설치/운용되는 애플리케이션에 의한 백그라운드 데이터 통신인지 여부를 판단한다(S350).
판단 결과가 백그라운드 데이터 통신 동기화를 위한 것으로 확인될 경우에는 현 상태에서 4G 망으로 통신할 경우와 3G 망으로 통신할 경우 중 전력 소모 조건이 우수한 쪽을 구별/선택하기 위한 제어 동작을 수행한다(S360). 이는, 현재 3G 망의 상태가 좋지 않음에도 3G 망으로 접속 시도를 하는 경우 4G 망을 이용하는 경우보다 더 많은 전력이 소모되는 상황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3에서는 전력 소모 조건의 우수성을 판별하기 위한 예로, 각 망의 네트워크 셀 수신전력(Cell Power, 전계강도)을 비교하는 방법이 예시되었다. 즉, 네트워크 인자의 우선순위나 망 선정 알고리즘 상의 구조 등으로 인해 이동 단말기가 현재 4G 망으로 등록되어 있더라도, 3G 망의 셀 수신전력(전계 강도)이 큰 통신 환경으로 판단되면 백그라운드 데이터 통신을 위해 3G 망이 선택될 수 있다. 그에 따라, 이동 단말기는 백그라운드 데이터 통신을 위해 3G 망에 대한 접속을 활성화하고(S370a) 해당 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380a).
백그라운드 데이터 통신의 송수신이 완료되면, 이동 단말기는 데이터 통신을 수행한 망과의 접속을 종료하고, S310 단계로 복귀, 즉, 망 선정 알고리즘 동작을 수행하여 등록하게 될 망을 선택하고 해당 망에 등록하여 데이터 접속 대기 상태로 진입할 수 있다.
반대로, S340 단계의 판단 결과 등록된 망이 3G 망인 경우, S350 단계의 판단 결과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인위적 접속 시도인 경우, 또는 S360 단계의 판단 결과 4G 망의 전력 소모 조건이 우수한 경우에는 이동 단말기는 현재 등록되어 있는 4G 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진행하여(S370b) 해당 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송수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S380b).
이와 같은 동작 흐름을 통해 이동단말기는 사용자가 인지하지 못하는 상태에서 이루어지는 백그라운드 데이터 통신시 전류 소모량을 최적화할 수 있고, 이를 바탕으로 배터리 사용 대기 시간을 연장할 수 있다.
한편, 전력 소모 조건의 우수성을 판별하기 위한 방법으로 본 실시예에서는 셀 수신전력을 비교하는 방법을 가정하였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전력 소모량을 판별할 수 있는 어떠한 조건 범위로도 확정 적용 가능하다.
물론, 어플리케이션 단위로, 또는 이동 단말기 전체로 데이터 통신의 종류에 따라 통신 방식을 사용자가 미리 설정해두도록 할 수도 있다. 이러한 경우, 설정을 위한 메뉴가 이동 단말기 상으로 디스플레이될 수 있다.
단말 및 기지국 구조
이하,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과 관련된 이동 단말기는 휴대폰, 스마트 폰(smart phone), 노트북 컴퓨터(laptop computer), 디지털방송용 단말기,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네비게이션 등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에 따른 구성은 이동 단말기에만 적용 가능한 경우를 제외하면, 디지털 TV, 데스크탑 컴퓨터 등과 같은 고정 단말기에도 적용될 수도 있음을 본 기술분야의 당업자라면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관련된 이동 단말기의 블록 구성도(block diagram)이다.
상기 이동 단말기(100)는 무선 통신부(110), 사용자 입력부(130), 출력부(150), 제어부(180) 및 전원 공급부(190)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구성요소들이 필수적인 것은 아니어서, 그보다 많은 구성요소들(예를 들어, 저장수단, 정보 입/출력 수단, 감지 수단 등)을 갖거나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들을 갖는 이동 단말기가 구현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 자명하다.
무선 통신부(110)는 이동 단말기(100)와 무선 통신 시스템 사이 또는 이동 단말기(100)와 이동 단말기(100)가 위치한 네트워크 사이의 무선 통신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무선 통신부(110)는 본 명세서의 가정에서와 같이 3G 방식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3G 모듈(111)과 4G 방식의 통신을 수행할 수 있는 4G 모듈(112)을 포함할 수 있다. 물론, 각 모듈은 일체형(one-chip)으로 구성될 수도 있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130)는 키 패드(key pad) 돔 스위치 (dome switch), 터치 패드(정압/정전),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출력부(150)는 시각, 청각 또는 촉각 등과 관련된 출력을 발생시키기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151), 음향 출력 모듈(152)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이동 단말기(1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출력)한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가 통화 모드인 경우 통화와 관련된 UI(User Interface) 또는 GUI(Graphic User Interface)를 표시한다. 이동 단말기(100)가 화상 통화 모드 또는 촬영 모드인 경우에는 촬영 또는/및 수신된 영상 또는 UI, GUI를 표시한다.
디스플레이부(151)는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thin film transistor-liquid crystal display, TFT LCD),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emitting diode, OLED), 플렉시블 디스플레이(flexible display), 3차원 디스플레이(3D display)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들 중 일부 디스플레이는 그를 통해 외부를 볼 수 있도록 투명형 또는 광투과형으로 구성될 수 있다. 이는 투명 디스플레이라 호칭될 수 있는데, 상기 투명 디스플레이의 대표적인 예로는 TOLED(Transparant OLED) 등이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의 후방 구조 또한 광 투과형 구조로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 의하여, 사용자는 단말기 바디의 디스플레이부(151)가 차지하는 영역을 통해 단말기 바디의 후방에 위치한 사물을 볼 수 있다.
이동 단말기(1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151)이 2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기(100)에는 복수의 디스플레이부들이 하나의 면에 이격되거나 일체로 배치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면에 각각 배치될 수도 있다.
디스플레이부(151)와 터치 동작을 감지하는 센서(이하, '터치 센서'라 함)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는 경우(이하, '터치 스크린'이라 함)에, 디스플레이부(15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예를 들어, 터치 필름, 터치 시트, 터치 패드 등의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터치 센서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가해진 압력 또는 디스플레이부(151)의 특정 부위에 발생하는 정전 용량 등의 변화를 전기적인 입력신호로 변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는 터치 되는 위치 및 면적뿐만 아니라, 터치 시의 압력까지도 검출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터치 센서에 대한 터치 입력이 있는 경우, 그에 대응하는 신호(들)는 터치 제어기로 보내진다. 터치 제어기는 그 신호(들)를 처리한 다음 대응하는 데이터를 제어부(180)로 전송한다. 이로써, 제어부(180)는 디스플레이부(151)의 어느 영역이 터치 되었는지 여부 등을 알 수 있게 된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방송수신 모드 등에서 무선 통신부(110)로부터 수신되거나 이동 단말기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152)은 이동 단말기(100)에서 수행되는 기능(예를 들어, 호신호 수신음, 메시지 수신음 등)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하기도 한다. 이러한 음향 출력 모듈(152)에는 리시버(Receiver), 스피커(speaker), 버저(Buzzer)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제어부(controller, 180)는 통상적으로 이동 단말기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예를 들어 음성 통화, 데이터 통신, 화상 통화 등을 위한 관련된 제어 및 처리를 수행한다. 특히, 본 발명에서 제어부(180)는 상황에 따라 도 2 또는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한 과정을 통해 통신 방식을 결정하고, 그에 따라 무선 통신부(110)를 활성화시킬 수 있다.
전원 공급부(190)는 제어부(18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하면, 전술한 방법은, 프로그램이 기록된 매체에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프로세서가 읽을 수 있는 매체의 예로는, ROM, RAM, CD-ROM, 자기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으며, 캐리어 웨이브(예를 들어, 인터넷을 통한 전송)의 형태로 구현되는 것도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설명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이 한정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Claims (5)

  1. 제 1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제 1 통신 모듈;
    제 2 통신 방식을 지원하는 제 2 통신 모듈; 및
    데이터 통신이 요구되는 경우, 상기 데이터 통신의 종류에 따라 상기 제 1 통신 모듈 및 제 2 통신 모듈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고, 상기 선택된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상기 데이터 통신을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되,
    상기 데이터 통신의 종류는,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데이터 통신 및 사용자의 요청 없이 수행되는 백그라운드 데이터 통신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방식은 상기 제 2 통신 방식보다 데이터 전송 속도 및 데이터 전송 용량 중 적어도 하나가 우수한 방식이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데이터 통신을 수행함에 있어,
    상기 요구되는 데이터 통신이 상기 사용자의 요청에 의한 데이터 통신인 경우 상기 제 1 통신 모듈을 이용하고, 상기 요구되는 데이터 통신이 상기 백그라운드 데이터 통신인 경우 상기 제 2 통신 모듈을 이용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각 통신 모듈을 통해 상기 요구되는 데이터 통신에 소요되는 전력을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제 2 통신 모듈의 소요 전력이 상기 제 1 통신 모듈의 소요 전력보다 더 큰 경우, 상기 요구되는 데이터 통신을 상기 제 1 통신 모듈을 이용하여 수행하도록 제어하는, 이동 단말기.
  4.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통신 방식은 4세대(4G) 통신 방식이고,
    상기 제 2 통신 방식은 3세대(3G) 통신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이동 단말기.
  5.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요구되는 데이터 통신의 수행이 완료되면, 소정의 조건에 따라 상기 제 1 통신 방식 및 상기 제 2 통신 방식 중 어느 하나를 지원하는 망에 등록하고, 다음 데이터 통신 발생을 대기하는, 이동 단말기.
KR1020120065335A 2012-06-19 2012-06-19 듀얼 모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KR1019197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335A KR101919789B1 (ko) 2012-06-19 2012-06-19 듀얼 모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5335A KR101919789B1 (ko) 2012-06-19 2012-06-19 듀얼 모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2267A true KR20130142267A (ko) 2013-12-30
KR101919789B1 KR101919789B1 (ko) 2018-11-19

Family

ID=4998588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5335A KR101919789B1 (ko) 2012-06-19 2012-06-19 듀얼 모드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1978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6038A (ko) * 2003-10-14 2005-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모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셀 재선택 방법
KR20090085120A (ko) * 2006-11-21 2009-08-06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멀티-모드 단말에 대한 동적인 동작 모드 관리
KR20100021647A (ko) * 2007-06-15 2010-02-25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애플리케이션 요구조건들 및 선호도들에 기초한 시스템 선택
KR20110066320A (ko) * 2009-12-11 2011-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모드 단말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45343A (ko) * 2010-10-29 2012-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모드 단말기에서 다중 네트워크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6038A (ko) * 2003-10-14 2005-04-20 삼성전자주식회사 듀얼 모드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의 셀 재선택 방법
KR20090085120A (ko) * 2006-11-21 2009-08-06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무선 멀티-모드 단말에 대한 동적인 동작 모드 관리
KR20100021647A (ko) * 2007-06-15 2010-02-25 콸콤 인코포레이티드 애플리케이션 요구조건들 및 선호도들에 기초한 시스템 선택
KR20110066320A (ko) * 2009-12-11 2011-06-17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통신 시스템에서 멀티모드 단말을 지원하기 위한 방법 및 시스템
KR20120045343A (ko) * 2010-10-29 2012-05-09 엘지전자 주식회사 멀티 모드 단말기에서 다중 네트워크 제어 방법 및 이를 위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19789B1 (ko) 2018-11-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00351764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 receiving signals in proximity network and electronic device thereof
US8725200B2 (en) Communication operating method for dual standby mobile terminal and dual standby mobile terminal supporting the same
US8855087B2 (en) Wireless access point supporting control by multiple applications
EP2749988B1 (en) Method and device for application program operation, mobile terminal
KR101901720B1 (ko) 더미 장치와의 연동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US11646856B2 (en) Timing configuration method and apparatus
US8959557B2 (en) Mobile terminal, displa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WO2019047067A1 (zh) 非连续接收的实现方法、装置、用户设备和基站
CN112449745B (zh) 一种trs/csi-rs配置方法和装置
US20100150112A1 (en) Mobile terminal and method of moving network thereof
KR20150022335A (ko) 이동 통신 시스템에서 전자 장치의 통신 수행 방법 및 장치
KR102043641B1 (ko) 통신 기능 처리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전자 장치
CN105335517A (zh) 选择热度多媒体的方法及终端
US20090249099A1 (en) Information apparatus and controlling method thereof
KR20120134230A (ko)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절전모드 관리방법
US20160241472A1 (en) Method, system, control device and node device for data transmission
WO2020042178A1 (zh) 载波激活方法、装置、设备、系统及存储介质
JP2019185771A (ja) ブルートゥーススピーカーデータ処理の方法、装置及びブルートゥーススピーカー
US20230180126A1 (en) Methods, and apparatuses for controlling terminal
CN105722142A (zh) 移动终端及基于多链路的数据分流方法
KR20240004933A (ko) 물리적 다운링크 제어 채널 모니터링 방법, 장치 및 저장 매체
US10050660B2 (en) Electronic device with radio function and operating method thereof
KR20140089645A (ko) 심카드를 구비한 휴대 단말기 및 이의 배터리 관리 방법
KR20110085767A (ko)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20110076030A (ko) 이동단말기 및 그 제어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