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1845A - 액화 가스가 저장된 고압용기의 잔량측정기 및 이를 장착한 고압용기의 관리시스템 - Google Patents

액화 가스가 저장된 고압용기의 잔량측정기 및 이를 장착한 고압용기의 관리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1845A
KR20130141845A KR1020120064878A KR20120064878A KR20130141845A KR 20130141845 A KR20130141845 A KR 20130141845A KR 1020120064878 A KR1020120064878 A KR 1020120064878A KR 20120064878 A KR20120064878 A KR 20120064878A KR 20130141845 A KR20130141845 A KR 2013014184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as
main body
container
stored
gas contain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6487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373046B1 (ko
Inventor
장진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청안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청안테크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청안테크
Priority to KR102012006487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373046B1/ko
Publication of KR201301418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18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3730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3730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7STORING OR DISTRIBUTING GASES OR LIQUIDS
    • F17CVESSELS FOR CONTAINING OR STORING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FIXED-CAPACITY GAS-HOLDERS; FILLING VESSELS WITH, OR DISCHARGING FROM VESSELS, COMPRESSED, LIQUEFIED, OR SOLIDIFIED GASES
    • F17C13/00Details of vessels or of the filling or discharging of vessels
    • F17C13/02Special adaptations of indicating, measuring, or monitoring equipment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13/00Portable extinguishers which are permanently pressurised or pressurised immediately before use
    • A62C13/76Details or 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62LIFE-SAVING; FIRE-FIGHTING
    • A62CFIRE-FIGHTING
    • A62C37/00Control of fire-fighting equip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illing Or Discharging Of Gas Storage Vesse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압 가스용기에 충전되어 있는 액화 가스의 양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가스용기의 외벽에 부착한 잔량측정기에 표시해 줄 뿐만 아니라 다수 개가 연결되어 보관되고 있는 고압 가스용기 보관유닛에서 각 가스용기의 상태를 중앙통제센터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어서 관리가 매우 용이한 액화 가스가 저장된 고압용기의 잔량측정기 및 이를 장착한 고압용기의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화 가스가 저장된 고압용기의 잔량측정기는, 고압 가스용기의 외벽면과 동일한 곡률을 갖고, 후면이 가스용기의 외벽면에 밀착해서 부착되며, 평면이 직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인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위치하고, 본체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LED 소자가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액화 소화가스가 저장된 부분의 LED 소자가 점등됨으로써, 가스용기에 저장되어 있는 액화 소화가스의 양(액면의 위치)을 현시해 주는 LED 표시부; 상기 LED 표시부와 대응하는 위치의 본체 후면에 위치하고, 상기 LED 소자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열(온도)센서가 부착되어, 가스용기의 외벽에 밀착해서 부착되는 온도센서부; 상기 본체의 후면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비되는 영구자석; 상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입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액화 가스가 저장된 고압용기의 잔량측정기 및 이를 장착한 고압용기의 관리시스템{Measuring device for remaining quantity of high-pressure container and monitoring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액화 가스가 저장된 고압용기의 잔량측정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고압 가스용기에 충전되어 있는 액화 가스의 양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가스용기의 외벽에 부착한 잔량측정기에 표시해 줄 뿐만 아니라 다수 개가 연결되어 보관되고 있는 고압 가스용기 보관유닛에서 각 가스용기의 상태를 중앙통제센터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어서 관리가 매우 용이한 액화 가스가 저장된 고압용기의 잔량측정기 및 이를 장착한 고압용기의 관리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화재진압을 위한 소화기는 사용되는 소화 약제의 종류에 따라 분말소화기, 가스소화기, 포소화기로 분류하는데, 유류화재나 전기화재와 같은 대형화재에 많이 사용되는 가스소화기는 액화된 가스를 소화 약제로 사용하여 주로 설비용 소화기로 사용되고 있고, 독립적으로 하나의 가스용기만 사용되지 않고 복수의 가스용기가 연결되어 사용되고 있으며(도 1a 참조), 선박 뿐만 아니라 아파트 기계실, 병원 발전실, 대형 건물의 변전실과 기계실, 전산센터, 대형공장, 전화국, 지하철역사 등 설치되어야 할 대상건물이 법에 명시되어 있으며, 소방법과 고압가스관리법에 의해 1년에 1∼3회 점검을 받도록 되어 있다.
그런데, 가스소화기는 가스용기에 저장된 고압의 액화 가스의 양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가 없기 때문에 현재까지의 측정 방법은 저울로 가스용기의 무게를 측정하는 방법을 주로 사용하고 있는데, 선박이나 건물에 소화용으로 비치된 가스용기는 기계실 등에 주로 비치되어 있기 때문에 운반장비를 이용할 수 없어서 무게가 180kg 정도인 가스용기를 수작업으로 옮겨서 무게를 측정하는 것도 어려운 작업이지만, 시스템으로 연결 설치되어 있는 수 백개의 가스용기에서 개별 용기의 무게 측정을 위해서는 소방시스템을 정지한 상태에서 측정해야 하기 때문에, 측정을 위해 일시적으로 시스템을 중단시킨다는 자체가 소방법 위반일 뿐만 아니라 만일 측정하는 도중에 화재가 발생한다면 소방설비로서의 기능을 전혀 할 수 없게 된는 심각한 문제가 있다.
다른 방법으로는 초음파 측정법이 사용되고 있는데, 이 방법은 가스용기에 초음파 투과용 젤을 칠한 상태에서만 측정이 가능할 뿐만 아니라 용기의 재질이 금속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초음파 투과가 용이하지 아니하여 오차가 많이 발생하므로 용기에 저장된 가스의 정확한 양을 측정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또한, X선 투과법이 있는데, 측정장비 자체가 고가(高價)이고 취급이 간단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측정시 방사능 유출문제가 있고, X선 취급 인가자 이외의 일반 설비관리자는 측정할 수 없어서 사용상 많은 문제가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출현한 기술 중 하나가 실용신안등록 제399166호 "액화 소화가스가 충전된 가스실린더"인데, 도 1b를 참조하여 간략히 설명하면, 액화 소화가스가 충전된 가스용기(1)는 용기 내부에 액화 소화가스(2)와 그 상부에 액화 소화가스가 기화된 불활성가스(3)가 차있고, 액화 소화가스가 외부로 유출되도록 연결시켜 주는 싸이폰관(4)과 용기의 상면에 결합되는 밸브(5)를 구비하여 구성되는데, 충전되어 있는 액화 소화가스의 양을 표시하기 위해 용기의 길이방향 외면에 눈금선(7)을 부착하고, 눈금선 옆으로는 온도가 변함에 따라 색상이 변하는 감온 변색부재(8)를 부착한 것이다.
하지만, 상기 변색부재를 취부한 가스용기는 다음과 같은 문제가 있다.
첫째, 일반적으로 선박이나 건물의 규모에 따라 200∼600개의 가스용기가 서로 연결되어 시스템으로 설치되어 있는데, 연결된 다수의 가스용기를 방재센터에서 모니터링할 수 없으므로 상시 관리도 할 수 없을 뿐만 아니라 관리자가 다니면서 육안으로 각 가스용기를 일일이 점검해야만 하기 때문에 다른 가스용기에 둘러쌓여 가운데 배치된 가스용기는 점검마저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둘째, 감온 변색부재는 열을 받으면 변색되었다가 방열을 하면 다시 원래의 색으로 바뀌게 되어 있어서, 변색부재가 정상적으로 작동되고 있는지 여부를 시험하기 위해서는 변색부재에 히터 또는 드라이어로 열을 일정하게 가하면서 정상작동 여부를 시험하는데, 시험자가 가열기구를 손으로 들고 움직이면서 열을 가해야 하므로 변색부위가 정확하지 않아서 정확한 작동시험을 할 수 없다는 문제가 있다.
세째, 변색부재를 구성하는 감온 색소가 외부환경 변화에 매우 민감하기 때문에 가스용기의 운반 도중 직사광선을 받는다든가 외부 열이 가해지면 가스용기에 충전되어 있는 액화가스의 양에 상관없이 변색되어 버린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고압 가스용기에 충전되어 있는 액화 가스의 양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가스용기의 외벽에 부착한 잔량측정기에 표시해 줌으로써, 저장되어 있는 액화 가스의 양을 쉽게 파악할 수 있어서 관리 및 유지 보수가 매우 편리한 액화 가스가 저장된 고압용기의 잔량측정기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선박이나 건물의 규모에 따라 수 백개의 가스용기가 연결되어 비치되어 있는 가스용기 보관유닛에서 각 가스용기의 충전상태와 전체 가스량을 중앙통제센터(방재센터)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어서 관리가 매우 용이한 액화 가스가 저장된 고압용기의 관리시스템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 해결을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액화 가스가 저장된 고압용기의 잔량측정기는, 고압 가스용기의 외벽면과 동일한 곡률을 갖고, 후면이 가스용기의 외벽면에 밀착해서 부착되며, 평면이 직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인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위치하고, 본체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LED 소자가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액화 소화가스가 저장된 부분의 LED 소자가 점등됨으로써, 가스용기에 저장되어 있는 액화 소화가스의 양(액면의 위치)을 현시해 주는 LED 표시부; 상기 LED 표시부와 대응하는 위치의 본체 후면에 위치하고, 상기 LED 소자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열(온도)센서가 부착되어, 가스용기의 외벽에 밀착해서 부착되는 온도센서부; 상기 본체의 후면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비되는 영구자석; 상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입력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체 내부에 온도센서부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열선과, 열선에 전원을 공급/차단하는 점검스위치를 더 구비하여, 잔량측정기의 정상작동 여부를 체크할 수 있도록 한다.
바람직하게는, 본체는, 인접하는 가스용기와 연결되는 스타트신호입력단자와 스타트신호출력단자를 각각 구비하고, 각 가스용기의 충전상태를 방재센터로 송신하는 상태신호출력단자를 더 구비하여 방재센터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액화 가스가 저장된 고압용기의 관리시스템은, 고압 가스용기가 서로 연결되어 보관되고, 중앙통제센터(방재센터)와 각 가스용기의 외벽에 부착된 상기 잔량측정기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집중 관리되는데, 상기 잔량측정기의 본체에는, 인접하는 가스용기와 연결되는 스타트신호입력단자와 스타트신호출력단자를 각각 구비하고, 각 가스용기의 충전상태를 중앙통제센터(방재센터)로 송신하는 상태신호출력단자를 구비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특징을 갖는 본 발명에 따른 액화 가스가 저장된 고압용기의 잔량측정기는 고압 가스용기의 외벽에 부착 설치되어, 액화 소화가스가 기화하면서 변하는 온도를 감지하여 표시해 줌으로써 고압 가스용기에 충전되어 있는 액화 가스의 양(액면의 위치)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표시해주기 때문에 외부에서 각 가스용기에 충전되어 있는 액화 가스의 양을 쉽게 파악할 수 있어서 유지 보수를 위한 관리가 매우 편리하다.
또, 본 발명의 액화 가스가 저장된 고압용기 관리시스템은, 잔량측정기마다 통신모듈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선박이나 건물의 규모에 따라 200∼600개의 고압 가스용기가 연결되어 비치된 가스용기 보관유닛에서 각 가스용기의 충전상태 및 전체 가스량을 중앙통제센터(방재센터)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으므로 관리가 매우 용이하다.
또한, 본 발명의 잔량측정기는 가스용기에서 탈착이 가능하기 때문에, 기존에 사용하고 있는 가스용기에 저장되어 있는 액화 가스(액화 소화가스, LPG 등)의 양을 점검하기 위해서 본 잔량측정기를 부착하면 가스용기의 무게를 측정하지 않더라도 해당 가스용기에 충전되어 있는 액화 가스의 양을 쉽게 파악할 수 있게 된다.
도 1a는 소방용 액화 소화가스의 가스용기가 보관된 가스용기 보관유닛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b는 종래의 액화 소화가스의 충전 잔량을 표시하는 수단을 구비한 가스용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잔량측정기가 가스용기에 부착된 상태와 잔량측정기의 전면과 후면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잔량측정기 본체에 내장된 마이크로 프로세서와 LED 표시부 및 센서부의 연결관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가스용기 보관유닛을 중앙통제센터(방재센터)에서 모니터링하는 상태를 개괄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액화 가스가 저장된 고압용기의 잔량측정기 및 이를 장착한 고압용기 관리시스템의 가장 큰 기술적 특징은, 액화 가스가 기화하면서 온도가 변한다는 사실을 이용하여 가스용기에 충전되어 있는 액화 가스의 양을 시각적으로 인지할 수 있도록 가스용기의 외벽에 부착한 잔량측정기에 표시해 준다는 점과, 잔량측정기마다 통신모듈을 장착시킴으로써 가스용기 보관유닛에 다수 개의 고압 가스용기가 비치되어 있어도 각 가스용기의 충전상태를 중앙통제센터(방재센터)에서 모니터링 할 수 있게 했다는 점이다.
본 발명의 명세서에서는 소방용 액화 소화가스를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발명에서 '액화 가스'라 함은 고압 가스용기에 저장된 소방용 액화 소화가스 뿐만 아니라 가정이나 업소에서 연료용 또는 난방용으로 사용하는 LPG(액화 석유가스) 등을 모두 포함한다.
선박이나 대형 건물에는 액화된 가스를 소화 약제로 사용하는 가스소화기를 비치하도록 소방법에 규정되어 있는데, 본 발명의 잔량측정기(20)는 액화 소화가스가 저장된 가스용기(10)의 상단부 외벽면에 밀착해서 부착되어 현재 가스용기(10)에 저장되어 있는 소방용 액화 소화가스의 양(즉, 액화 소화가스의 액면)을 현시해 주는 장치이다. 가스용기(10)는 상단부까지 액화 소화가스를 충전할 경우 외부온도가 올라가거나 운반 도중 직사광선을 받으면 팽창하여 가스용기가 폭발할 가능성이 있기 때문에 가스용기의 일정 높이까지만 액화 소화가스를 채우고, 그 상부는 기화된 가스로 충전하도록 규정되어 있다.
본 잔량측정기(20)는 곡률을 갖는 플레이트 형상의 본체(21)와, 다수의 LED 소자가 배치되어 액화 소화가스의 액면을 현시해 주는 LED 표시부(24)와, LED 소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열센서가 배치되어 용기의 외벽면에 밀착해서 부착되는 온도센서부(25)와, 본체(21)를 가스용기(10)의 외벽면에 부착시기키 위한 영구자석(23) 및 본체(21)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입력부(22)를 기본적인 구성으로 구비한다.
본체(21)는 평면이 직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인데, 플레이트 전체 또는 후면이 가스용기(10)의 외벽면과 동일한 곡률로 형성되어 있고, 본체(21)의 후면 상단과 하단에 각각 영구자석(23)을 구비하고 있어서, 본체(21)의 후면이 가스용기(10)의 외벽면에 밀착해서 부착되게 된다. 본 잔량측정기(20)는 가스용기(10)에 탈착할 수 있기 때문에 현재 사용되고 있는 가스용기의 무게를 측정하지 않더라도 본 잔량측정기(20)만 부착하면 얼마든지 기존의 가스용기에 충전된 액화 소화가스의 양을 파악할 수 있다.
LED 표시부(24)는 본체(21)의 전면에 배치되어 있는데, 본체(21)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등간격으로 복수 개의 LED 소자가 배치되어 있으면서, 본체(21)의 후면에 LED 표시부(24)의 각 LED 소자와 대응하는 높이에 위치하는 열(온도)센서에 감지된 신호에 의해 액화 소화가스가 저장되어 있는 부분이 점등됨으로써, 가스용기(10)에 현재 저장되어 있는 액화 소화가스의 액면을 현시하여 외부에서 가스용기(10)에 저장되어 있는 액화 소화가스의 양을 파악할 수 있게 해준다. 소화가스는 온도에 따라 팽창/수축하여 액면의 높이가 달라지므로 LED 소자도 액화 소화가스의 액면을 따라 점등되는 부분이 변하게 된다.
온도센서부(25)는 상기 LED 표시부(24)와 대응하는 위치의 본체(21) 후면에 위치하는데, 본체(21)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등간격으로 복수 개의 열(온도)센서가 LED 소자와 대응되는 위치에 각각 배치되어 있고, 본체(21)가 가스용기(10)의 외벽에 밀착해서 부착되면 온도센서부(25)도 가스용기(10)의 외벽에 밀착해서 부착되게 된다.
필름 형태인 열선(26)은 본체(21) 내부에 온도센서부(25)와 인접하여 배치되는데, 소방설비 점검시 온도센서부(25)와 LED 표시부(24)가 정상적으로 작동하고 있는지 여부를 테스트하기 위한 구성이며, 본체(21)에는 열선(26)에 전기를 공급/차단하기 위해 점검스위치(도면부호 미지정)를 구비한다. 점검시 스위치를 눌러 전기를 공급하여 열선(26)에서 발열되면 온도센서부(25)에서 열(온도)센서가 감지하여 LED 표시부(24)의 해당 LED 소자가 점등되고, 전기를 차단하면 열선(26)이 식으면서 가스부분과 액체부분이 방열온도 차이가 나므로 이를 열(온도)센서가 감지하여 LED 표시부(24)의 해당 LED 소자가 소등되면 정상적으로 작동하는 것으로 판단한다.
가스용기(10)는 선박이나 건물의 규모에 따라 수 백개씩 보관유닛에 서로 연결되어 보관되어 있으므로, 중앙통제센터(방재센터)에서 모니터링하기 위해서는 각 가스용기의 상태 정보가 한꺼번에 방재센터로 송신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각 가스용기의 상태 정보가 시분할로 순차적으로 연동하여 송신되도록 본체(21)에는 인접한 가스용기(10)와 연결되는 스타트신호입력단자(27)와 스타트신호출력단자(28)가 각각 구비되고, 각 가스용기(10)의 충전상태 정보를 방재센터로 송신하기 위한 상태신호출력단자(29)가 구비되어 있다.
전원입력부(22)는 본체(21)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하는 구성인데, 외부전원을 연결하여 사용할 수도 있지만, 본체(21)에 배터리(미도시)를 내장시켜 배터리 전원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본 잔량측정기(20)는 휴대하고 다니면서 가스용기에 저장된 액화 가스의 양을 측정할 수도 있기 때문에 배터리 전원을 사용할 경우 매우 편리하다.
본 발명의 액화 가스가 저장된 고압용기의 관리시스템은, 가스용기 보관유닛에서 서로 연결되어 보관되고 있는 각 가스용기(10)의 외벽에 지금까지 설명한 잔량측정기(20)를 부착 설치하고, 각 잔량측정기(20)가 중앙통제센터(방재센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중앙통제센터(방재센터)에서 집중 관리하는 시스템이다.
또한, 중앙통제센터(방재센터)에서는, 서로 연결 보관된 각 가스용기(10)로부터 각 가스용기(10)에 저장된 액화 가스의 양을 송신받으며, 보관 관리되고 있는 가스용기(10) 전체에 저장된 액화 가스의 양을 파악할 수 있도록 관리되며, 중앙통제센터(방재센터)에서는 물론 인터넷과 연결되어 외부에서도 모니터링이 가능하도록 관리 및 제어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런 실시예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가스용기
20 : 잔량측정기 21 : 본체
22 : 전원입력부 23 : 영구자석
24 : LED 표시부 25 : 온도센서부
26 : 열선 27 : 스타트신호입력단자
28 : 스타트신호출력단자 29 : 상태신호출력단자

Claims (8)

  1. 고압 가스용기에 저장되어 있는 액화 가스의 양을 현시해 주는 잔량측정기에 있어서,
    상기 잔량측정기는,
    가스용기의 외벽면과 동일한 곡률을 갖고, 후면이 가스용기의 외벽면에 밀착해서 부착되며, 평면이 직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인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위치하고, 본체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LED 소자가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액화 소화가스가 저장된 부분의 LED 소자가 점등됨으로써, 가스용기에 저장되어 있는 액화 가스의 양(액면의 위치)을 현시해 주는 LED 표시부;
    상기 LED 표시부와 대응하는 위치의 본체 후면에 위치하고, 상기 LED 소자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열(온도)센서가 부착되어, 가스용기의 외벽에 밀착해서 부착되는 온도센서부;
    상기 본체의 후면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비되는 영구자석;
    상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입력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 가스가 저장된 고압용기의 잔량측정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 내부에 온도센서부와 인접하여 배치되는 열선을 더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 가스가 저장된 고압용기의 잔량측정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인접하는 가스용기와 연결되는 스타트신호입력단자와 스타트신호출력단자를 각각 구비하고, 각 가스용기의 충전상태를 중앙통제센터(방재센터)로 송신하는 상태신호출력단자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 가스가 저장된 고압용기의 잔량측정기.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에는 열선에 전원을 공급하는 점검스위치를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 가스가 저장된 고압용기의 잔량측정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전원은 배터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 가스가 저장된 고압용기의 잔량측정기.
  6. 고압 가스용기가 서로 연결되어 보관되고, 중앙통제센터(방재센터)에서 집중 관리되고 있는 액화 가스가 저장된 고압용기의 관리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관리시스템은, 중앙통제센터(방재센터)와 각 가스용기의 외벽에 부착된 잔량측정기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구성되고,
    상기 잔량측정기는,
    가스용기의 외벽면과 동일한 곡률을 갖고, 후면이 가스용기의 외벽면에 밀착해서 부착되며, 평면이 직사각형 형상의 플레이트인 본체;
    상기 본체의 전면에 위치하고, 본체의 상부와 하부 사이에 LED 소자가 등간격으로 배치되어 액화 소화가스가 저장된 부분의 LED 소자가 점등됨으로써, 가스용기에 저장되어 있는 액화 가스의 양(액면의 위치)을 현시해 주는 LED 표시부;
    상기 LED 표시부와 대응하는 위치의 본체 후면에 위치하고, 상기 LED 소자와 대응하는 위치에 각각 열(온도)센서가 부착되어, 가스용기의 외벽에 밀착해서 부착되는 온도센서부;
    상기 본체의 후면 상단과 하단에 각각 구비되는 영구자석;
    상기 본체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입력부;
    를 포함하여 구성되며,
    상기 본체는, 인접하는 가스용기와 연결되는 스타트신호입력단자와 스타트신호출력단자를 각각 구비하고, 각 가스용기의 충전상태를 중앙통제센터(방재센터)로 송신하는 상태신호출력단자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 가스가 저장된 고압용기의 관리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액화 가스는 소방용 액화 소화가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 가스가 저장된 고압용기의 관리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중앙통제센터(방재센터)에서는, 서로 연결 보관된 상기 각 가스용기로부터 저장된 액화 가스의 양을 송신받아, 보관 관리되고 있는 전체 액화 가스의 양을 파악할 수 있도록 관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액화 가스가 저장된 고압용기의 관리시스템.
KR1020120064878A 2012-06-18 2012-06-18 액화 가스가 저장된 고압용기의 잔량측정기 및 이를 장착한 고압용기의 관리시스템 KR1013730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878A KR101373046B1 (ko) 2012-06-18 2012-06-18 액화 가스가 저장된 고압용기의 잔량측정기 및 이를 장착한 고압용기의 관리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4878A KR101373046B1 (ko) 2012-06-18 2012-06-18 액화 가스가 저장된 고압용기의 잔량측정기 및 이를 장착한 고압용기의 관리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1845A true KR20130141845A (ko) 2013-12-27
KR101373046B1 KR101373046B1 (ko) 2014-03-11

Family

ID=499856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64878A KR101373046B1 (ko) 2012-06-18 2012-06-18 액화 가스가 저장된 고압용기의 잔량측정기 및 이를 장착한 고압용기의 관리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373046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922B1 (ko) 2019-10-30 2020-04-03 (주)나이스엔테크 액화 가스가 저장된 고압용기의 잔량측정기 및 이를 장착한 고압용기의 관리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51115B1 (ko) * 1997-10-24 2000-04-15 류득룡 용접선 안내장치
JP2001349765A (ja) * 2000-06-06 2001-12-21 Erumekku Denshi Kogyo Kk 液位測定装置
JP2005308670A (ja) * 2004-04-26 2005-11-04 Aichi Electric Co Ltd 液面レベル測定方法および測定装置
JP5237787B2 (ja) * 2008-12-25 2013-07-17 エア・ウォーター・プラント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液化ガスタンクローリの液量表示装置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96922B1 (ko) 2019-10-30 2020-04-03 (주)나이스엔테크 액화 가스가 저장된 고압용기의 잔량측정기 및 이를 장착한 고압용기의 관리시스템
US20220252223A1 (en) * 2019-10-30 2022-08-11 Nice En Tech Co., Ltd. Device for measuring residual amounts in high-pressure container in which liquefied gas is stored, and high-pressure container management system in which same is mounte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373046B1 (ko) 2014-03-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53821B2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reporting liquid nitrogen container level
KR100773517B1 (ko) 소화용기내 소화약제의 모니터링 자동 감지장치
RU2561841C2 (ru) Противопожарная управляющая система
TW201808748A (zh) 包含裝置及通訊設備之容器
KR101114294B1 (ko) 실시간 소화약제 무게감지장치 및 그 방법
KR101373046B1 (ko) 액화 가스가 저장된 고압용기의 잔량측정기 및 이를 장착한 고압용기의 관리시스템
KR101025538B1 (ko) 열배관 리크 감시 장치
US20220196514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and reporting liquid nitrogen container level
CN203101652U (zh) 一种放射源在线监测仪
CN212539365U (zh) 一种灭火器称重报警装置
KR102096922B1 (ko) 액화 가스가 저장된 고압용기의 잔량측정기 및 이를 장착한 고압용기의 관리시스템
KR20160001170U (ko) 접점식 압력 게이지를 포함하는 소화 설비용 기동 용기함
CN209564554U (zh) 一种灭火器消防箱
KR20160026278A (ko) 가스연료통 모니터링 시스템
CN209154976U (zh) 一种高压二氧化碳灭火气瓶失重无线报警监测系统
WO2023082237A1 (zh) 智能复合瓶结构
KR200399166Y1 (ko) 액화소화가스가 충전된 가스실린더
CN219551729U (zh) 温度显示表头通电检验装置
GB2546272A (en) A system comprising a transportable gas supply cylinder for pressurised gas and a method of monitoring such a cylinder
Bhuvaneswari et al. Wireless Sensor Network (WSN) based smart and safe home
JPH06241875A (ja) 消火薬剤量監視装置
CN219016581U (zh) 一种便携式监测雷达
CN219798601U (zh) 一种智能物联灭火器压力表
CN205785438U (zh) 一种磁浮液位计
CN111076839A (zh) 一种可逆感温贴片型电池模组安全监测系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200305

Year of fee payment: 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