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40950A - 밧테리를 이용하여 모드 절전이 가능한 시간 교정 시스템 - Google Patents

밧테리를 이용하여 모드 절전이 가능한 시간 교정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40950A
KR20130140950A KR1020120052808A KR20120052808A KR20130140950A KR 20130140950 A KR20130140950 A KR 20130140950A KR 1020120052808 A KR1020120052808 A KR 1020120052808A KR 20120052808 A KR20120052808 A KR 20120052808A KR 20130140950 A KR20130140950 A KR 2013014095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time
clock
mode
batter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0528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용광
Original Assignee
김용광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용광 filed Critical 김용광
Priority to KR10201200528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130140950A/ko
Publication of KR2013014095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4095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02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radio waves
    • G01S5/14Determining absolute distances from a plurality of spaced points of known loc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9/00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Determining position, velocity or attitude using signals transmitted by such systems
    • G01S19/01Satellite radio beacon positioning systems transmitting time-stamped messages, e.g. GPS [Global Positioning System], GLONASS [Global Orbiting Navigation Satellite System] or GALILEO
    • GPHYSICS
    • G04HOROLOGY
    • G04GELECTRONIC TIME-PIECES
    • G04G5/00Setting, i.e. correcting or changing, the time-indication
    • GPHYSICS
    • G04HOROLOGY
    • G04RRADIO-CONTROLLED TIME-PIECES
    • G04R20/00Setting the time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carried or implied by the radio signal
    • G04R20/02Setting the time according to the time information carried or implied by the radio signal the radio signal being sent by a satellite, e.g. GP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Remote Sen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Electric Clocks (AREA)

Abstract

전기 공급이 어려운 모시계와 자시계에서 절전 효율을 높여 동작시킬 수 있는 시간 교정 시스템이 개시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조물의 내외부의 경계지점에 설치된 하나의 모시계와 상기 구조물의 내부에 설치되어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모시계와 연결되는 복수 개의 자시계를 포함하고, 밧테리를 이용하여 상기 모시계와 자시계를 모드 절전으로 운영하는 시간 교정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에, 본 발명은 밧테리를 이용한 모드 절전(필요시 동작 모드로 불필요시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택일적 동작에 의한 결과)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곳에서도 모시계와 자시계가 배치되더라도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불필요한 소비 전력 낭비와 밧테리 교체 시간을 절감하는 효과가 달성된다.

Description

밧테리를 이용하여 모드 절전이 가능한 시간 교정 시스템{Time correction system capable of mode power save using battery}
본 발명은 시간 교정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전기 공급이 어려운 모시계와 자시계에서 절전 효율을 높여 동작시킬 수 있는 시간 교정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모시계(母子時計)는 큰 건물, 공장 등에 설치된 전기 설비, 서버 및 시스템을 정확하게 동작시키도록 전기 설비, 서버 및 시스템에 보다 정확한 시간 데이터를 공급하기 위해 마련되는 장치이다. 이러한 자모시계의 구비로 인하여, 전기 설비, 서버 및 시스템을 시간에 따라 일괄적으로 통제가 가능하였다.
그러나, 건물 안쪽, 지하 및 터널과 같은 환경에 설치된 자모시계는 배선 공사를 통하여 표준 시간 데이터를 전송받기 때문에 배선 공사의 어려움과 함께 배선 공사의 공사 비용이 많이드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개선하고자, 최근에는 배선 공사 대신 무선통신 기술을 이용하여 표준 시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방식이 채택되고 있으나, 소비 전력이 많이드는 관계로 전원이 설치된 곳을 중심으로 자모시계를 설치해야만 했었다.
이럴 경우, 주위 환경의 특성상 전원이 설치된 곳에 자모시계를 설치하게 되면, 무선 송수신이 불가능하거나 전파 장애로 인하여 정확한 시간 데이터를 제공받을 수 없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밧테리를 이용하여 전원을 공급받아 필요시에만 동작하도록 하고, 평상시에는 대기 모드로 동작되도록 하여, 전원이 공급되지 않는 환경에서도 모시계와 자시계를 장시간 사용이 가능한 시간 교정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비록 전원이 공급되지 않더라도 밧테리와 모드 절전 동작에 의해 무선 송수신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는 지점에 모시계와 자시계를 적절히 배치하여 지피에스와 모시계간 및 모시계와 자시계간 안정적인 시간 데이터 송수신과 시간 교정이 가능하도록 하는 시간 교정 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고, 후술하는 본 발명의 특징적인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본 발명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르면, 구조물의 내외부의 경계지점에 설치된 하나의 모시계와 상기 구조물의 내부에 설치되어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모시계와 연결되는 복수 개의 자시계를 포함하고, 밧테리를 이용하여 상기 모시계와 자시계를 모드 절전으로 운영하는 시간 교정 시스템이 제공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모시계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복수 개의 가동 시간을 기록하는 타이머 유닛과; 상기 복수 개의 가동 시간에 대응하여 지피에스(GPS)로부터 표준시간 정보만을 취득하는 시간체크 유닛과; 상기 취득된 표준시간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경유하여 전송하는 제1 무선 유닛과; 상기 타이머 유닛, 시간체크 유닛 및 제1 무선 유닛에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는 제1 밧테리 유닛과; 상기 제1 밧테리 유닛의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상기 타이머 유닛, 시간체크 유닛 및 제1 무선 유닛의 동작이 필요할 때, 소비 전력을 최소하하는 대기 모드의 상태에서 작동 모드로 전환시키는 제1 모드전환 유닛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자시계는,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표준시간 정보에 대한 요청을 감지하는 시간감지 유닛과; 상기 감지된 표준시간 정보와 내부 시계에 표시되는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다를 경우, 상기 표준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시간 정보를 교정하는 시간교정 유닛과; 상기 제1 무선 유닛과의 데이터 신호를 주고받는 제2 무선 유닛과; 상기 시간감지 유닛, 시간교정 유닛 및 제2 무선 유닛에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는 제2 밧테리 유닛과; 상기 제2 밧테리 유닛의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상기 시간감지 유닛, 시간교정 유닛 및 제2 무선 유닛의 동작이 필요할 경우, 대기 모드의 상태에서 작동 모드로 전환시키는 제2 모드전환 유닛을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자시계는, 상기 제1 모드전환 유닛의 작동 모드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강제 송신 명령을 인식하고, 상기 강제 송신 명령을 상기 시간체크 유닛에게 알려주는 사용자 체크 유닛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복수 개의 자시계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강제 송신 명령을 인식할 경우 상기 제2 모드전환 유닛에 의해 대기 모드에서 작동 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전환에 대응하여 상기 표준시간 정보를 전송하여 주도록 상기 모시계로 요청 명령 신호를 상기 제2 무선 유닛을 통해 송신하는 시간조정 유닛을 더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관점에 따른 상기 무선 통신망은, 블루투수, 지그비 및 WIFI 통신을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망 및 JJY 통신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사용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은, 밧테리를 이용한 모드 절전(필요시 동작 모드로 불필요시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택일적 동작에 의한 결과)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지 않은 곳에서도 모시계와 자시계가 배치되더라도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게 되어 불필요한 소비 전력 낭비와 밧테리 교체 시간을 절감하는 효과가 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은 구조물의 내외부의 경계지점에 모시계가 설치되고, 구조물의 내부에 자시계를 설치하여 지피에스와 모시계간 및 모시계와 자시계간 무선 통신을 원활하게 이루어져, 안정적인 표준시간 데이터의 공급과 시간 교정이 가능한 효과가 달성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 교정 시스템(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시계(110)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자시계(120)중 임의의 자시계(122)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식계(110)의 동작 과정(S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식계(120)의 동작 과정(S2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시간 교정 시스템의 예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 교정 시스템(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간 교정 시스템(100)은 모시계(110)와 자시계(120), 지피에스(130) 및 무선 통신망(140)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모시계(110)는 구조물(101)의 내외부의 경계지점에 설치되어 지피에스(130, GPS)로부터 표준시간을 제공받아 자체내의 내부 시계를 교정하고, 이후에 설명될 자시계(120)로 표준시간을 전달한다. 여기서, 구조물(101)이 건물이나 공장인 경우에는 공장이나 건물에 설치된 창문, 문 등을 경계지점이라 설정하고, 상기 경계지점에 모시계(110)를 설치하게 된다.
또, 구조물(101)이 터널인 경우에는 터널의 내부와 외부의 경계가 되는 터널 입구 부근을 경계지점이라 설정하고, 상기 터널의 경계지점에 모시계(110)를 설치하게 된다. 이와 같이, 구조물(101)의 일례로서 공장, 건물 및 터널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지피에스(GPS)의 수신이 어렵거나 장애가 있는 곳이라면 그곳의 대상체를 구조물(101)의 개념안에 포함된 것으로서 이해될 수 있다.
만약, 본 발명에 따른 모시계(110)가 구조물(101)의 내부에 설치될 경우, 지피에스(130)로부터 표준시간을 수신하기가 어렵거나, 빈번한 장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정확한 시간을 제공해야 하는 모시계(110)의 목적이 퇴쇠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모시계(110)가 구조물(101)의 외부에 설치된 경우에는 지피에스(130)로부터 표준시간을 수신하기가 수월하고, 장애가 발생되지 않는라는 장점을 갖는 반면, 구조물(101)의 내부에 설치된 자시계(120)로의 무선 통신이 어렵거나, 배선 공사를 통한 유선의 설치 비용이 증가되기 때문에 이 또한 모시계(110)의 설치가 부적절하다.
이와 같은 이유로 인하여, 본 발명에 따른 모시계(110)는 지피에스(130)와의 무선 통신과 구조물(101)의 내부에 위치한 자시계(120)와의 무선 통신이 모두 가능하도록 구조물(101)의 내외부의 경계지점에 설치되고 있는 것이다. 그러나, 구조물(101)의 내외부의 경계지점에는 전원 공급이 수월하지 않는 장소이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모시계(110)는 밧테리(미도시)를 장착한다.
전기를 충전하는 밧테리는 오랜 시간동안 사용이 불가능하다는 것이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져 있다. 특히, 지피에스(130)로부터 표준시간 데이터를 지속적으로 받기 위해서는 소비 전력의 소비가 심각하다. 이런 까닭으로, 본 발명에 따른 모시계(110)는 밧테리를 이용하여 각 유닛의 동작을 수행하되, 불필요하게 지속적으로 표준시간을 내려받거나, 이후에 설명될 자시계(120)들로 표준시간 데이터를 전송하는 등, 최소한의 유닛 동작만을 수행하도록 한다.
이를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모시계(110)는 밧테리를 이용한 전력 소모를 줄이고자 각 유닛이 동작되지 않는 대기 모드 상태를 각 유닛이 동작되도록 하는 동작 모드의 상태로 전환시키거나, 동작 모드의 상태에서 대기 모드의 상태로 수시로 전환시키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로써, 소비 전력이 최대한 억제됨으로써, 밧테리 교환 시간이 절약되어 모시계(110)를 장시간 사용이 가능하다. 한편, 대기 모드와 동작 모드간의 절환 기능('모드 절전'이라고도 지칭함)을 이용하는 각 유닛의 대해서는 이후의 도 2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자시계(120)는 무선 통신망(140)을 통해 하나의 모시계(110)와 연결되도록 복수 개(121, 122, 123)로 구비된다. 복수 개의 자시계(120)는 구조물의 내부, 예컨대 건물 내부의 전기 설비실, 터널 내부의 벽면, 방송국 내부의 상황실과 같이 정확한 표준시간의 교정이 필요한 장소에 설치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자시계(120)는 모시계(110)와 마찬가지로 밧테리를 장착하여 모드 절전의 기능으로서 동작된다. 밧테리의 장착 이유와 모드 절전의 기능으로서 수행 이유는 앞서 모시계(110)에서 충분히 설명되었기 때문에 생략한다. 그러나, 그 유유는 본 발명의 복수 개의 자시계(110)에도 동일하게 적용됨은 물론일 것이다.
복수 개의 자시계(120)에 설치된 시계에서 정확한 시간으로 설정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복수 개의 자시계(120)는 무선 통신망을 통해 모시계(110)로부터 표준 시간 정보를 수신하여 시간 교정에 활용한다.
이때, 복수 개의 자시계(120)는 모드 절전 기능으로 동작되고자, 표준 시간 정보의 요청(예: 사용자의 인인적인 요청)을 필요에 따라 수행하여 모시계(110)로부터 제공받거나, 일방적으로 진행하는 모시계(110)의 요청(예: 표준시간 정보 전송)에 감응하여 표준시간 정보를 취득함으로써, 최소한의 각 유닛 동작을 억제함으로써, 모드 절전의 기능을 성취될 수 있는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지피에스(130, GPS)는 통상적으로 널리 알려진바와 같이 네비게이션이나 모바일 기기 등의 용도에 맞게 좌표나 시간(표준시간 등), 위치 정보등을 제공하는 위성을 의미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의 지피에스(130)는 표준시간 정보만을 모시계(110)의 요청에 따라 제공하는데 특징이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망(140)은 모시계(110)와 복수 개의 자시계(120) 사이에 원활하게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무선 기술이 적용된 망으로서, 근거리 통신, 예컨대 수백미터까지 커버리지가 가능한 블루투수, 지그비 및 WIFI 통신이거나, 일본 표준인 JJY 무선 통신일 수 있다.
이때, 무선 전송을 원활하게 하고자, 본 발명에 따른 무선 통신망(140)은 근거리 통신이거나 JJY 무선 통신에 맞는 무선 중계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중계는 구조물의 내부 구조가 복잡하여 전파 장애가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이를 극복하고자 설치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따른 무선 통신망(140)이 구비되면, 기존의 배선 공사에 따른 유선 통신망보다 설치 비용이 줄여듬과 동시에 유선 통신망 설치가 어려운 구조물의 내부 구조에 맞게 효율적으로 대체 가능하며, 무엇보다도, 구조물의 내부 구조가 복잡하더라도 안정적으로 데이터 송수신을 할 수 있다.
모시계의 예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시계(110)의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시계(110)는 밧테리를 이용한 모드 절전 기능과 표준시간 교정 기능을 원활히 수행하고자, 타이머 유닛(111), 시간체크 유닛(112), 제1 무선 유닛(113), 제1 밧테리 유닛(114), 제1 모드전환 유닛(115), 사용자 체크 유닛(116) 및 제1 제어 유닛(117)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타이머 유닛(111)은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복수 개의 가동 시간을 기록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가동 시간은 시간 교정이 필요한 경우 시간 교정에 필요한 표준시간을 제공받기 위한 호출 시간을 의미하는 것으로서, 1일을 기준으로 임의의 특정 시간을 포함한 복수 개로 설정되어질 수 있다. 이러한 타이머 유닛(111)의 가동 시간의 기록은 작동 모드에서 동작되어진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간체크 유닛(112)은 타이머 유닛(111)에 기록된 복수 개의 가동 시간에 대응하여 표준시간 정보를 요청하는 메시지를 지피에스(130, GPS)로 보내고, 그 응답으로서 지피에스(130, GPS)로부터 그 시간에 맞는 표준시간 정보를 제공받음으로써, 표준시간 정보를 취득하게 된다. 이때, 가동 시간의 설정값에 따라 한번 내지 여러번으로 표준시간 정보를 취득함은 물론일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1 무선 유닛(113)은 시간체크 유닛(112)에 의해 취득된 표준시간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경유하여 복수 개의 자시계(120)로 전송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표준시간 정보를 복수 개의 자시계(120)로 보내기전, 알림 메시지를 복수 개의 자시계(120)로 보낸후, 복수 개의 자시계(120)가 받을 준비가 된후에 표준시간 정보를 전송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무선 유닛(113)은 수신 강도가 양호할 경우에만 표준시간 정보를 전송함으로써, 소비 전력을 최대한 줄이는데 일조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1 밧테리 유닛(114)은 앞서 설명한 타이머 유닛(111), 시간체크 유닛(112) 및 제1 무선 유닛(113)에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1 모드전환 유닛(115)은 제1 밧테리 유닛(114)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앞서 설명한 타이머 유닛(111), 시간체크 유닛(112) 및 제1 무선 유닛(113)의 동작이 필요할 때, 소비 전력을 최소화하는 대기 모드의 상태에서 작동 모드로 전환시켜 타이머 유닛(111), 시간체크 유닛(112) 및 제1 무선 유닛(113)의 동작이 진행되도록 한다.
그러나, 타이머 유닛(111), 시간체크 유닛(112) 및 제1 무선 유닛(113)의 고유 기능이 수행되지 않을 경우에는 타이머 유닛(111), 시간체크 유닛(112) 및 제1 무선 유닛(113)으로 공급되는 전압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대기 모드 상태의 상태로 바꾸어 최소한의 전압을 공급한다. 다시 말해, 각 유닛의 고유 동작이 이루어지는 전후에는 대기 모드 상태로 전환시키도록 한다.
이와 같이, 모시계(110)에 구비된 각각의 유닛(111, 112, 113)으로 공급되는 전압을 대기 모드 상태와 작동 상태로, 작동 상태에서 대기 모드 상태(모드 절환)로 수시로 전환시켜 소비 전력의 소모를 최대한 억제함으로써, 불필요한 밧테리 교환과 교체 시간을 줄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체크 유닛(116)은 복수 개의 가동 시간에 관계없이 사용자의 강제 송신 명령을 인식하고, 상기 강제 송신 명령에 반응하여 이 결과를 시간체크 유닛(112)에게 알려주는 역할을 한다. 이러한 사용자 체크 유닛(116)의 고유 기능은 대기 모드를 작동 모드로 전환시키는 제1 모드전환 유닛(115)의 명령에 따라 실시된다.
이로써, 시간체크 유닛(112)은 사용자 체크 유닛(116)에서 보내온 강제 송신 명령에 대응하여 지피에스(130)로부터 표준시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체크 유닛(116)의 구비로 인하여, 가동 시간에 따라 시간 교정에 필요한 표준 시간을 체크하는 한계를 극복하여 유통성이 있게 시간 교정이 가능하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1 제어 유닛(117)은 타이머 유닛(111), 시간체크 유닛(112), 제1 무선 유닛(113), 제1 밧테리 유닛(114), 제1 모드전환 유닛(115) 및 사용자 체크 유닛(116)의 각 고유 기능이 수행되도록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모드 절환이 이루어질때, 모드 절환과 관련한 신호를 해당 유닛으로 보냄으로써, 모드 절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데 촛점을 둔다.
자시계의 예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복수 개의 자시계(120)중 임의의 자시계(122)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시계(120)는 시간감지 유닛(122a), 시간교정 유닛(122b), 제2 무선 유닛(122c), 제2 밧테리 유닛(122d), 제2 모드전환 유닛(122e), 시간조정 유닛(122f) 및 제2 제어 유닛(122g)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시간감지 유닛(122a)은 무선 통신망, 예컨대 블루투스 통신이 적용된 무선 통신망을 통해 모시계(110)로부터 요청된 신호를 감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모시계(110)로부터 요청된 신호는 표준시간 정보의 전송과 관련된 신호일 것이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간교정 유닛(122b)은 시간감지 유닛(122a)으로부터 전달받은 표준시간 정보를 가지고, 내부 시계에 표시되고 있는 시간 정보와 비교하는 역할을 한다. 즉, 표준시간 정보와 내부 시계에 표시되거나 표시될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일치 여부를 확인하게 된다.
확인 결과 다르다고 판단될 경우, 본 발명에 따른 시간교정 유닛(122b)은 제공받은 표준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 정보를 교정함으로써, 내부 시계의 시각을 정확하게 표시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만약 같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시간 정보를 내부 시계에 그대로 적용하여 유지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2 무선 유닛(122c)은 모시계(110)의 제1 무선 유닛(113)과의 데이터 신호를 원활하게 주고받을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하는 역할을 한다. 예를 들면, 모시계(110)로부터 오는 데이터를 전송받거나, 자시계(120)에서 발생된 신호, 사용자의 요청에 의해 발생된 신호를 모시계(110)로 원활하게 전송할 수 있도록 인터페이스의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2 밧테리 유닛(122d)은 앞서 설명한 시간감지 유닛(122a), 시간교정 유닛(122b), 제2 무선 유닛(122c)과 이하에서 설명될 제2 모드전환 유닛(122e), 시간조정 유닛(122f) 및 제2 제어 유닛(122g)으로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다음으로, 제2 모드전환 유닛(122e)은 제2 밧테리 유닛(122d)의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시간감지 유닛(122a), 시간교정 유닛(122b) 및 제2 무선 유닛(122c)의 동작이 필요한 경우, 대기 모드의 상태에서 작동 모드로 전환시키는 역할을 한다.
따라서, 작동 모드하에서 시간감지 유닛(122a), 시간교정 유닛(122b) 및 제2 무선 유닛(122c)의 고유 기능이 수행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각 유닛이 고유 기능을 수행하지 않을 경우에는 제2 모드전환 유닛(122e)에 의해 소비 전력을 줄이는 대기 모드 상태에서 각 유닛이 유지되도록 한다. 이러한 제2 모드전환 유닛(122e)의 기능은 앞서 도 2의 제1 모드 전환 유닛(115)에서 충분히 논의되었으므로 보다 구체적인 역할과 효과는 생략한다.
다음으로, 본 발명에 따른 시간조정 유닛(122f)은 사용자의 강제 송신 명령을 인식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인식되는 강제 송신 명령은 필요시 내부 시계의 시간 교정을 위하여 표준시간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조치이다. 이럴 경우 먼저, 시간조정 유닛(122f)은 인식된 강제 송신 명령을 제2 모드 전환 유닛(122e)으로 알려준다.
상기 제2 모드 전환 유닛(122e)이 강제 송신 명령이 왔음을 확인한 후, 소비 전력의 대기 모드를 작동 모드로 전환시키고, 이 결과를 응답으로서 시간조정 유닛(122f)에게 알려준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시간조정 유닛(122f)은 제2 모드 전환 유닛(122e)의 작동 모드에 반응하여 표준시간 정보를 전송하여 주도록 제2 무선 유닛(122c)에게 알려준다. 그러면, 제2 무선 유닛(122c)은 비로서 표준시간 정보를 요청하기 위한 메시지를 근거리 통신망 또는 JJY 통신망을 경유하여 모시계(110)로 보내 표준시간 정보를 획득하게 된다. 획득된 표준시간 정보는 앞서 설명한 시간교정 유닛(122b)에게 보내줘 내부 시계의 시간 교정에 사용되어진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에 따른 제2 제어 유닛(122g)은 시간감지 유닛(122a), 시간교정 유닛(122b), 제2 무선 유닛(122c), 제2 밧테리 유닛(122d), 제2 모드전환 유닛(122e) 및 시간조정 유닛(122f)의 각 고유 기능이 수행되도록 데이터 흐름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모드 절환이 이루어질때, 모드 절환과 관련한 신호를 해당 유닛으로 보냄으로써, 모드 절환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제어하는데 촛점을 둔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작동 상태에서 대기 모드 상태(모드 절환)로 수시로 전환시켜 소비 전력의 소모를 최대한 억제함으로써, 불필요한 밧테리 교환과 교체 시간을 줄일 수 있으며, 필요(예: 사용자의 표준시간 요청 또는 모시계의 표준시간 전송 요청)에 따라 시간 교정이 가능한 메카니즘을 제공한다.
모시계의 동작 예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식계(110)의 동작 과정(S1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모식계(110)의 동작 과정(S100)은 타이머 유닛(111)에서 자신이 저장하고 있는 가동 시간이 도래되었음을 인지한다(S105). 가동 시간이 인지되면 이를 제1 모드전환 유닛(115)으로 알려준다.
이후, 가동 시간을 확인한 제1 모드전환 유닛(115)은 대기 모드 상태를 작동 모드 상태로 전환(S115)하여 시간체크 유닛(120)으로 알려준다. 그러면, 시간체크 유닛(120)은 작동 모드 상태에서 시작(대기)한다(S120).
이와는 다르게, 사용자에 의해 강제 작동 요청이 발생되면, 사용자 체크 유닛(116)에서 사용자의 강제 작동 신호를 인식하게 된다(S110). 그러면, 인식된 강제 작동 신호를 제1 모드전환 유닛(115)으로 알려준다.
이후, 강제 작동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확인한 제1 모드전화 유닛(115)은 대기 모드 상태를 작동 모드 상태로 전환하고(S115), 이를 시간 체크 유닛(120)으로 알려준다. 그러면, 시간체크 유닛(120)은 작동 모드 상태에서 시작(대기)한다(S120).
이후, 작동 모드 상태에 있는 시간체크 유닛(112)은 지피에스(130)에서 보내온 표준시간 정보를 수신한다(S125). 수신된 신호가 양호할 때가지 기다린 후 양호한 경우에만 표준시간 정보를 확인하여 획득한다(S130). 이는 소비 전력의 감소를 위하여 다시 수신하는 것을 피하기 위함이다.
이후, 표준시간 정보를 획득한 시간체크 유닛(112)은 이를 제1 무선 유닛(113)으로 알려준다. 이를 확인한 제1 무선 유닛(113)은 표준시간 정보를 복수 개의 자시계(120)로 전송한다(S135). 이때, 근거리 통신 또는 JJY 통신망을 이용하여 표준시간 정보를 전송한다(S140).
이와 함께, 표준시간 정보를 획득한 시간체크 유닛(112)은 내부 시계(미도시)로 표준시간 정보를 보내준다. 그러면, 내부 시계는 자신이 표시하고 있는 시간 정보와 제공받은 표준시간 정보를 비교한 후 일치하지 않을 경우에만 표준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표시될 시간을 교정하게 된다(S150).
교정이 완료되면, 이 결과를 가동 시간을 감지하는 타이머 유닛(111)에게 알려준다. 그러면, 타이머 유닛(111)은 S105 단계를 다시 반복하게 된다.
또한, 표준시간 정보의 전송이 완료되었음을 확인한 제1 무선 유닛(113)은 이를 제1 모드전환 유닛(115)으로 알려준다. 그러면, 제1 모드전환 유닛(115)은 작동 모드 상태를 대기 모드로 전환하여 소비 전력을 줄인다(S145).
이후, 제1 모드전환 유닛(115)은 대기 모드 상태를 타이머 유닛(111)에게 알려준다. 그러면, 타이머 유닛(111)은 S105 단계를 다시 반복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식계(110)의 동작 과정(S100)은 대기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동작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밧테리에 의한 소비 전력을 절전할 수 있기 때문에 밧테리의 사용성을 늘려 모시계의 사용을 가능하게 만들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에서는, 대기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동작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과정을 일례로 보여준 것일 뿐, 다른 형태로도 모드 절전을 수행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자시계의 동작 예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식계(120)의 동작 과정(S200)을 예시적으로 나타낸 순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먼저, 본 발명에 따른 자식계(120)의 동작 과정(S200)은 모시계(110)에서 신호를 보내올 경우 시간감지 유닛(122a)은 모시계(110)에서 보낸온 신호를 제2 무선 유닛(122c)를 통하여 감지한다(S205). 감지된 신호는 표준시간 정보의 전송과 관련되있음은 물론일 것이다. 신호가 감지되면, 이를 제2 모드전환 유닛(122e)에 알려준다.
이후, 신호의 감지를 확인한 제2 모드전환 유닛(122e)은 시간감지 유닛(122a)의 대기 모드 상태를 작동 모드 상태로 전환(S210)한 후, 이를 시간감지 유닛(122a)에게 알려준다.
이후, 작동 모드 상태로 전환되었음을 확인한 시간감지 유닛(122a)은 작동 모드 상태에서 시작(대기)한다(S225).
이와는 다르게, 사용자에 의해 강제 작동 요청(예: 표준시간 정보를 보내달라는 요청)이 발생되면, 시간조정 유닛(122f)에서 사용자의 강제 작동 신호를 인식하게 된다(S215). 그러면, 인식된 강제 작동 신호를 제2 모드전환 유닛(122e)으로 알려준다.
그러면, 강제 작동 신호가 수신되었음을 확인한 제2 모드전화 유닛(122e)은 대기 모드 상태를 작동 모드 상태로 전환하고(S220), 이를 시간감지 유닛(122a)으로 알려준다. 그러면, 시간감지 유닛(122a)은 작동 모드 상태에서 시작(대기)한다(S225).
이후, 작동 모드 상태에 있는 시간감지 유닛(122a)은 모시계(110)에서 보내온 표준시간 정보를 수신한다(S230). 수신된 신호가 양호할 때가지 기다린 후 양호한 경우에만 표준시간 정보를 확인하여 획득한다(S235). 이는 소비 전력의 감소를 위하여 다시 수신하는 것을 피하기 위함이다.
이후, 표준시간 정보를 획득한 시간감지 유닛(122a)은 이를 시간교정 유닛(122b)으로 알려준다. 이를 확인한 시간교정 유닛(122b)은 제공받은 표준시간 정보와 내부 시계에 표시되는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다를 경우에만 표준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시간 정보를 교정하도록 내부 시계(미도시)에게 알려준다. 그러면, 내부 시계는 교정할 준비가 되었음을 시작한다(S240).
이후, 내부 시계가 시간의 교정이 작동되면, 이를 제2 무선 유닛(122c)에게 알려준다. 그러면, 제2 무선 유닛(122c)은 더이상의 수신을 중지한다(S245). 이와 함께, 내부 시계는 전달받은 교정 시간에 맞추어 자신의 시간을 교정하여 표시하게 된다(S250).
이후, 내부 시계가 표준시간에 맞추어 교정이 완료되면, 이를 제2 모드전환 유닛(122e)으로 알려준다. 그러면, 제2 모드전환 유닛(122e)은 작동 상태 모드를 대기 모드 상태로 전환하여 동작된다(S255). 그러면, 앞서 설명한 S205 단계 또는 S215 단계를 반복 수행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자식계(120)의 동작 과정(S200)은 대기 모드에서 동작 모드로, 동작 모드에서 대기 모드로 동작하는 일련의 과정을 통하여 밧테리에 의한 소비 전력을 절전할 수 있기 때문에, 밧테리의 사용성을 늘려 모시계의 사용이 가능하게 되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이다.
100 : 시간 교정 시스템 101 : 구조물
102 : 경계 지점 110 : 모시계
111 : 타이머 유닛 112 : 시간체크 유닛
113 : 제1 무선 유닛 114 : 제1 밧테리 유닛
115 : 제1 모드전환 유닛 116 : 사용자 체크 유닛
117 : 제1 제어 유닛 120 : 자시계
121 : 제1 자시계 122 : 제2 자시계
123 : 제3 자시계 122a : 시간감지 유닛
122b : 시간교정 유닛 122c : 제2 무선 유닛
122d : 제2 밧테리 유닛 122e : 제2 모드전환 유닛
122f : 시간조정 유닛 122g : 제2 제어 유닛
130 : 지피에스 140 : 무선 통신망

Claims (4)

  1. 구조물의 내외부의 경계지점에 설치된 하나의 모시계와 상기 구조물의 내부에 설치되어 무선 통신망을 통해 상기 모시계와 연결되는 복수 개의 자시계를 포함하고, 밧테리를 이용하여 상기 모시계와 자시계를 모드 절전으로 운영하는 시간 교정 시스템으로서,
    상기 모시계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복수 개의 가동 시간을 기록하는 타이머 유닛과; 상기 복수 개의 가동 시간에 대응하여 지피에스(GPS)로부터 표준시간 정보만을 취득하는 시간체크 유닛과; 상기 취득된 표준시간 정보를 무선 통신망을 경유하여 전송하는 제1 무선 유닛과; 상기 타이머 유닛, 시간체크 유닛 및 제1 무선 유닛에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는 제1 밧테리 유닛과; 상기 제1 밧테리 유닛의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상기 타이머 유닛, 시간체크 유닛 및 제1 무선 유닛의 동작이 필요할 때, 소비 전력을 최소하하는 대기 모드의 상태에서 작동 모드로 전환시키는 제1 모드전환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자시계는, 상기 무선 통신망을 통해 전송되는 표준시간 정보에 대한 요청을 감지하는 시간감지 유닛과; 상기 감지된 표준시간 정보와 내부 시계에 표시되는 시간 정보를 비교하여 다를 경우, 상기 표준시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시간 정보를 교정하는 시간교정 유닛과; 상기 제1 무선 유닛과의 데이터 신호를 주고받는 제2 무선 유닛과; 상기 시간감지 유닛, 시간교정 유닛 및 제2 무선 유닛에 충전된 전원을 공급하는 제2 밧테리 유닛과; 상기 제2 밧테리 유닛의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고, 상기 시간감지 유닛, 시간교정 유닛 및 제2 무선 유닛의 동작이 필요할 경우, 대기 모드의 상태에서 작동 모드로 전환시키는 제2 모드전환 유닛;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교정 시스템.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자시계는, 상기 제1 모드전환 유닛의 작동 모드에 기초하여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강제 송신 명령을 인식하고, 상기 강제 송신 명령을 상기 시간체크 유닛에게 알려주는 사용자 체크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교정 시스템.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자시계는, 사용자에 의해 입력된 강제 송신 명령을 인식할 경우 상기 제2 모드전환 유닛에 의해 대기 모드에서 작동 모드로 전환되고, 상기 전환에 대응하여 상기 표준시간 정보를 전송하여 주도록 상기 모시계로 요청 명령 신호를 상기 제2 무선 유닛을 통해 송신하는 시간조정 유닛;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교정 시스템.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무선 통신망은,
    블루투수, 지그비 및 WIFI 통신을 포함하는 근거리 통신망 및 JJY 통신망 중 어느 하나의 방식을 사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간 교정 시스템.
KR1020120052808A 2012-05-18 2012-05-18 밧테리를 이용하여 모드 절전이 가능한 시간 교정 시스템 KR20130140950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808A KR20130140950A (ko) 2012-05-18 2012-05-18 밧테리를 이용하여 모드 절전이 가능한 시간 교정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52808A KR20130140950A (ko) 2012-05-18 2012-05-18 밧테리를 이용하여 모드 절전이 가능한 시간 교정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40950A true KR20130140950A (ko) 2013-12-26

Family

ID=499851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52808A KR20130140950A (ko) 2012-05-18 2012-05-18 밧테리를 이용하여 모드 절전이 가능한 시간 교정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130140950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82493A (zh) * 2018-03-05 2018-07-13 深圳市兴威帆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时钟模块及无线校时方法
KR20200003981A (ko) * 2018-07-03 2020-01-13 삼익전자공업 주식회사 환경 상태를 표출하는 지능형 모자시계 시스템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8282493A (zh) * 2018-03-05 2018-07-13 深圳市兴威帆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时钟模块及无线校时方法
CN108282493B (zh) * 2018-03-05 2024-01-30 深圳市兴威帆电子技术有限公司 一种无线时钟模块及无线校时方法
KR20200003981A (ko) * 2018-07-03 2020-01-13 삼익전자공업 주식회사 환경 상태를 표출하는 지능형 모자시계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7811B2 (en) Architecture of managing beacons using access points
US8379608B2 (en) Radio communication method, radio communication system and wireless terminal
US5995838A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EP3213561B1 (en) Apparatus and method for enabling broadcast of a wireless signal when switching operation mode
CN102474817A (zh) 休眠模式操作的更新方法和装置
US11469623B2 (en) Power receiver, power transmitter, power transceiver, and power transmission system
JP2001309418A (ja) 携帯電話システム
US9185645B2 (en) Mobile communication system,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and radio base station apparatus
US20220104120A1 (en) Signal-repeater device operable in low-power repeater-operational mode
US20120315885A1 (en) Mobile communication terminal, network-side device, mobile communication system, program and method of changing operation period of mobile communication system
US20030027583A1 (en) Portable terminal device having a position information detection function and position information notifying method
KR20130140950A (ko) 밧테리를 이용하여 모드 절전이 가능한 시간 교정 시스템
KR101592899B1 (ko) 원격검침 시스템 장치 및 구동방법
EP3312997B1 (en) Fire alarm and fire alarm system
JP2005229399A (ja) 無線通信制御装置およびその制御方法
JP5136301B2 (ja) 通話品質測定装置、そのシステム、その方法及びそのプログラム
CN110971328B (zh) 时钟和信息传输系统
KR20160086590A (ko) 무선 네트워크 시스템, 무선 통신 장치 및 이의 웨이크업 방법
JP2007235344A (ja) 無線通信システム
JP2005236835A (ja) 移動通信端末
JP4527520B2 (ja) 親機および時刻情報共有システム
JP7380929B1 (ja) ワイヤレス給電通信システム
CN111478830A (zh) 远程操作系统、通信装置以及计算机程序
JP2017163396A (ja) 無線通信端末機
JP2001167376A (ja) 無線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