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30139756A - 인코딩된 팀 정보 통신 방법 - Google Patents

인코딩된 팀 정보 통신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30139756A
KR20130139756A KR1020130025959A KR20130025959A KR20130139756A KR 20130139756 A KR20130139756 A KR 20130139756A KR 1020130025959 A KR1020130025959 A KR 1020130025959A KR 20130025959 A KR20130025959 A KR 20130025959A KR 20130139756 A KR20130139756 A KR 201301397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
bitmap
encoded
tim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3002595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561114B1 (ko
Inventor
정양석
김주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케이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케이티
Priority to PCT/KR2013/005104 priority Critical patent/WO2013187649A1/en
Priority to JP2015517175A priority patent/JP5925963B2/ja
Priority to EP13803889.8A priority patent/EP2862292B1/en
Priority to EP18159297.3A priority patent/EP3355487B1/en
Priority to US14/406,576 priority patent/US9980221B2/en
Publication of KR201301397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301397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611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61114B1/ko
Priority to JP2016081790A priority patent/JP6400624B2/ja
Priority to US15/959,639 priority patent/US10341951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12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 H04W52/0216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managed by the network, e.g. network or access point is master and terminal is slave using a pre-established activity schedule, e.g. traffic indication fra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52/00Power management, e.g. TPC [Transmission Power Control], power saving or power classes
    • H04W52/02Power saving arrangements
    • H04W52/0209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 H04W52/0225Power saving arrangements in terminal devices using monitoring of external events, e.g. the presence of a sign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7/00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 H04B7/24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 H04B7/26Radio transmission systems, i.e. using radiation field for communication between two or more posts at least one of which is mobil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4/00Supervisory, monitoring or testing arrangements
    • H04W24/02Arrangements for optimising operational condi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72/00Local resource management
    • H04W72/20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 H04W72/23Control channels or signalling for resource management in the downlink direction of a wireless link, i.e. towards a terminal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D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CT],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AIMING AT THE REDUCTION OF THEIR OWN ENERGY USE
    • Y02D30/0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 Y02D30/70Reducing energy consumption in communication networks in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Abstract

불필요한 디코딩 프로세스를 줄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인코딩된 팀 정보 통신 방법이 개시된다. 페이지, 블록 및 서브 블록으로 구성된 계층적 구조로 인코딩된 TIM을 단말이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인코딩된 TIM 을 수신하는 단계와, 인코딩된 TIM 에서 페이지 인덱스를 추출하는 단계 및 페이지 인덱스에 의해 지정되는 페이지에 속한 블록들에 대한 비트맵 포함 여부를 지시하는 블록 비트맵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따라서, 매 디팀 비컨(DTIM beacon)에 대한 불필요한 디코딩 프로세스를 줄여 저전력 단말의 소모 전력을 줄일 수 있다.

Description

인코딩된 팀 정보 통신 방법{METHOD FOR COMMUNICATING OF INFORMATION OF TRAFFIC INDICATION MAP ENCODED}
본 발명은 무선 통신 기술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불필요한 디코딩 프로세스를 줄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인코딩된 팀(Traffic Indication Map, TIM) 정보 통신 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통신 기술의 발전과 더불어 다양한 무선 통신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 중에서 무선랜(wireless local area network, WLAN)은 무선 주파수 기술을 바탕으로 개인용 휴대 정보 단말기(personal digital assistant, PDA),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휴대형 멀티미디어 플레이어(portable multimedia player, PMP) 등과 같은 휴대형 단말기를 사용하여 가정이나 기업 또는 특정 서비스 제공지역에서 무선으로 인터넷에 접속할 수 있도록 하는 기술이다.
무선랜 기술에 대한 표준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표준으로서 개발되고 있다. IEEE 802.11a는 5 GHz에서 비면허 대역(unlicensed band)을 이용하여, 54 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IEEE 802.11b는 2.4 GHz에서 직접 시퀀스 방식(direct sequence spread spectrum, DSSS)을 적용하여, 11 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IEEE 802.11g는 2.4 GHz에서 직교 주파수 분할 다중화(orthogonal frequency division multiplexing, OFDM)를 적용하여, 54 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IEEE 802.11n은 다중입출력 OFDM(multiple input multiple output-OFDM, MIMO-OFDM)을 적용하여, 4 개의 공간적인 스트림(spatial stream)에 대해서 300 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IEEE 802.11n에서는 채널 대역폭(channel bandwidth)을 40 MHz까지 지원하며, 이 경우에 600 Mbps의 전송 속도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무선랜의 보급이 활성화되고 이를 이용한 어플리케이션이 다양화됨에 따라, IEEE 802.11n이 지원하는 데이터 처리 속도보다 더 높은 처리율을 지원하기 위한 새로운 무선랜 기술에 대한 필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초고처리율(very high throughput, VHT) 무선랜 기술은 1 Gbps 이상의 데이터 처리 속도를 지원하기 위하여 제안되고 있는 IEEE 802.11 무선랜 기술 중의 하나이다. 그 중, IEEE 802.11ac는 6 GHz 이하 대역에서 초고처리율 제공을 위한 표준으로서 개발되고 있고, IEEE 802.11ad는 60 GHz 대역에서 초고처리율 제공을 위한 표준으로서 개발되고 있다.
이러한 무선랜 기술을 기초로 한 시스템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는 단말에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 비컨(Beacon)의 팀 요소(TIM element) 중 비트맵 컨트롤(Bitmap Control)과 파셜 버츄얼 비트맵(Partial Virtual Bitmap)에 각 단말의 AID(association ID)에 대응하는 비트(bit)를 설정함으로써 단말이 전송될 데이터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게 한다.
팀 요소 포맷(TIM element format)의 길이(Length) 필드가 1 옥텟(octet)을 가지므로, 파셜 버츄얼 비트맵(Partial Virtual Bitmap)은 최대 251 옥텟(octet)까지 가질 수 있어, 총 2007개(8ㅧ251-1)의 단말을 표현할 수 있다.
한편, 2007개 이상의 단말을 팀 비트맵(TIM bitmap)으로 표현하고 관리하기 위해서 계층적 AID(association ID) 구조를 갖고, 팀 비트맵(TIM bitmap)을 블록(block) 단위로 인코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기존의 비트맵 컨트롤(Bitmap Control)에는 페이지 아이디(Page ID)를 표시하고, 파셜 버츄얼 비트맵(Partial Virtual Bitmap)에는 블록(Block) 단위로 인코딩된 비트맵 블록(Encoded Bitmap Block)들을 연속적으로 표시한다.
하나의 인코딩된 비트맵 블록(Encoded Bitmap Block)은 3 비트(bits)의 블록 컨트롤, 5 비트(bits)의 블록 오프셋(block offset), 1 옥텟(octet)의 블록 비트맵(Block Bitmap)으로 구성된 2 옥텟(octet) 고정 길이 부분과 가변 길이의 서브 블록 비트맵(sub-block bitmap) 부분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N 번째(여기서, N은 1 이상의 자연수) 블록(block)에 존재하는 단말이 자신의 팀 비트(TIM bit)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N 번째 블록(block)의 블록 컨트롤(Block control) 위치를 찾고, 블록 인코딩 모드(Block encoding mode)에 따라 실제 비트맵 위치를 확인해야 한다. 또한, 각 블록(block)이 가변길이 이므로, N 번째 블록 컨트롤(Blcok control)의 위치를 고정위치에서 찾을 수 없고, 첫 번째 블록(block)부터 N-1 번째 블록을 순차적으로 디코딩(decoding) 해야한다.
즉, 실제로 전송될 데이터가 있는 경우 모든 블록(block)의 비트맵(bitmap)을 모두 디코딩하는 것이 의미 있겠으나, 센서 네트워크와 같은 소량의 데이터가 간헐적으로 전송되는 환경에서는 대부분 데이터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 모든 DTIM 비컨들에 대해서 모든 블록(block)을 디코딩해야하는 문제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불필요한 디코딩 프로세스를 줄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인코딩된 팀 정보 수신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불필요한 디코딩 프로세스를 줄여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는 인코딩된 정보 전송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된 TIM 정보 수신 방법에 따르면, 페이지(page), 블록(block) 및 서브 블록(sub-block)으로 구성된 계층적 구조로 인코딩된 TIM(Traffic Indication Map)를 단말이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인코딩된 TIM 을 수신하는 단계와, 상기 인코딩된 TIM 에서 페이지 인덱스(page index)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페이지 인덱스에 의해 지정되는 페이지에 속한 블록들에 대한 비트맵 포함 여부를 지시하는 블록 비트맵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블록 비트맵 정보는 상기 인코딩된 TIM 내에서 상기 블록 또는 서브 블록을 지정하는 비트맵 정보보다 앞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추출된 블록 비트맵 정보에서 상기 단말의 AID(association ID)가 포함된 블록을 지정하는 비트가 설정된 경우, 상기 단말의 AID(association ID)가 포함된 블록의 비트맵을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추출된 블록 비트맵 정보에서 상기 단말의 AID(association ID)가 포함된 블록을 지정하는 비트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블록 또는 서브 블록을 지정하는 비트맵을 디코딩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추출된 블록 비트맵 정보에서 상기 단말의 AID(association ID)가 포함된 블록을 지정하는 비트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블록 또는 서브 블록을 지정하는 비트맵을 디코딩하지 않고, 전력 절감 상태(power save mode)로 진입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된 TIM 정보 전송 방법에 따르면, 페이지(page), 블록(block) 및 서브 블록(sub-block)으로 구성된 계층적 구조로 인코딩된 TIM(Traffic Indication Map)를 액세스 포인트가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페이지 인덱스에 의해 지정되는 페이지에 속한 블록들에 대한 비트맵 포함 여부를 지정하는 블록 비트맵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와, 상기 페이지 인덱스와 상기 블록 비트맵 정보를 포함한 TIM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TIM을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블록 비트맵 정보는 상기 인코딩된 TIM 내에서 상기 블록 또는 서브 블록을 지정하는 비트맵 정보보다 앞부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디지털 인코딩된 팀 정보 통신 방법에 따르면,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된 인코딩된 TIM에서 페이지 인덱스(page index)를 추출하고, 상기 페이지 인덱스에 의해 지정되는 페이지에 속한 블록들에 대한 비트맵 포함 여부를 지시하는 블록 비트맵 정보를 추출한 후 추출된 블록 비트맵 정보에서 상기 단말의 AID가 포함된 블록을 지정하는 비트가 설정되었는지 여부에 따라 디코딩을 진행할지 여부를 미리 판단한다.
따라서, 디팀 비컨(Delivery Traffic Indication Map beacon)의 블록 비트맵(Block bitmap) 부분만을 읽고서 전체 TIM map의 디코딩 여부를 판별할 수 있도록 하여, 매 디팀 비컨(DTIM beacon)에 대한 불필요한 디코딩 프로세스를 줄여 저전력 단말의 소모 전력 개선을 가져올 수 있다.
도 1은 비컨의 팀 요소 포맷(TIM element format)을 나타낸다.
도 2는 계층적 AID 구조를 나타낸다.
도 3은 블록 단위로 인코딩된 트래픽 인디케이션 비트맵(Traffic Indication bitmap)을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블록 비트맵 4 옥텟이 추가된 블록 단위 팀 비트맵 인코딩을 나타낸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블록 비트맵 4 옥텟을 추가하고 공통 블록 컨트롤 필드를 사용하는 팀 인코딩 모드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된 TIM 정보 수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된 TIM 정보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기재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항목을 포함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진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이하, 첨부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전체적인 이해를 용이하게 하기 위하여 도면상의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고 동일한 구성요소에 대해서 중복된 설명은 생략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스테이션(station, STA)은 IEEE(Institute of Electrical and Electronics Engineers) 802.11 표준의 규정을 따르는 매체 접속 제어(medium access control, MAC)와 무선 매체(medium)에 대한 물리 계층(physical layer) 인터페이스(interface)를 포함하는 임의의 기능 매체를 의미한다. 스테이션(STA)은 액세스 포인트(access point, AP)인 스테이션(STA)과 비-액세스 포인트(non-AP)인 스테이션(STA)으로 구분할 수 있다. 액세스 포인트(AP)인 스테이션(STA)은 단순히 액세스 포인트(AP)로 불릴 수 있고, 비-액세스 포인트(non-AP)인 스테이션(STA)은 단순히 단말(terminal)로 불릴 수 있다.
단말(terminal)은 프로세서(Processor)와 트랜시버(transceiver)를 포함하고, 사용자 인터페이스와 디스플레이(display) 장치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전송할 프레임을 생성하거나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수신된 프레임을 처리하도록 고안된 유닛(unit)을 의미하며, 스테이션(STA)을 제어하기 위한 여러 가지 기능을 수행한다. 트랜시버는 프로세서와 기능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며, 스테이션(STA)을 위하여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프레임을 송수신하도록 고안된 유닛을 의미한다.
액세스 포인트(AP)는 집중 제어기, 기지국(base station, BS), 노드-B(node-B), e노드-B, BTS(base transceiver system), 또는 사이트 제어기 등을 지칭할 수 있고, 그 것들의 일부 또는 전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단말은 무선 송수신 유닛(wireless transmit/receive unit, WTRU), 사용자 장비(user equipment, UE), 사용자 단말(user terminal, UT), 액세스 단말(access terminal, AT), 이동국(mobile station, MS), 휴대용 단말(mobile terminal), 가입자 유닛(subscriber unit), 가입자 스테이션(subscriber station, SS), 무선 기기(wireless device), 또는 이동 가입자 유닛(mobile subscriber unit) 등을 지칭할 수 있고, 그 것들의 일부 또는 전부 기능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말로 통신이 가능한 데스크탑 컴퓨터(desktop computer), 랩탑 컴퓨터(laptop computer), 태블릿(tablet) PC, 무선전화기(wireless phone), 모바일폰(mobile phone), 스마트폰(smart phone), e-book 리더기,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휴대용 게임기, 네비게이션(navigation) 장치, 디지털 카메라(digital camera), DMB (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재생기, 디지털 음성 녹음기(digital audio recorder), 디지털 음성 재생기(digital audio player), 디지털 영상 녹화기(digital picture recorder), 디지털 영상 재생기(digital picture player), 디지털 동영상 녹화기(digital video recorder), 디지털 동영상 재생기(digital video player)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후술할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된 TIM 정보 통신 방법은 상기에서 설명한 IEEE 802.11 무선랜 시스템에 적용될 수 있으며, 더불어 IEEE 802.11 무선랜 시스템뿐만 아니라 WPAN(Wireless Personal Area Network), WBAN(Wireless Body Area Network) 등과 같은 다양한 네트워크에 적용될 수 있다.
도 1은 비컨의 팀 요소 포맷(TIM element format)을 나타내고, 도 2는 계층적 AID 구조를 나타내며, 도 3은 블록 단위로 인코딩된 트래픽 인디케이션 비트맵을 나타낸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무선랜 시스템에서 비컨(Beacon)의 팀 요소 포맷(TIM element format)은 요소 아이디(element ID), 길이(Length), 디팀 카운트(DTIM count), 디팀 피리어드(DTIM period), 비트맵 컨트롤(Bitmap Control), 파셜 버츄얼 비트맵(Partial Virtual Bitmap)으로 구성된다.
액세스 포인트는 단말에 전송할 데이터가 있는 경우 비컨의 팀 요소(TIM element) 중 비트맵 컨트롤(Bitmap Control)과 파셜 버츄얼 비트맵(Partial Virtual Bitmap)에 각 단말의 AID(association ID)에 대응하는 비트(bit)를 설정함으로써 단말에 전송할 데이터가 있음을 알린다.
팀 요소 포맷(TIM element format)의 길이(Length) 필드가 1 옥텟(octet)을 가지므로, 파셜 버츄얼 비트맵(Partial Virtual Bitmap)은 최대 251 옥텟(octet)까지 가질 수 있어, 총 2007개(8ㅧ251-1)의 단말을 표현할 수 있다.
또한, 2007개 이상의 단말을 팀 비트맵(TIM bitmap)으로 표현하고 관리하기 위해 도 2와 같은 계층적 AID(association ID) 구조를 갖고, 도 3과 같이 팀 비트맵(TIM Bitmap)을 블록(block) 단위로 인코딩하는 방법이 제안되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제안된 팀 비트맵(TIM Bitmap)을 블록(block) 단위로 인코딩 하는 방법은 기존의 비트맵 컨트롤(Bitmap Control)에는 페이지 아이디(Page ID)를 표시하고, 파셜 버츄얼 비트맵(Partial Virtual Bitmap)에는 블록(Block) 단위로 인코딩된 비트맵 블록(Encoded Bitmap Block)들을 연속적으로 표시한다.
또한, 하나의 인코딩된 비트맵 블록(Encoded Bitmap Block)은 3 비트(bits)의 블록 컨트롤(block control), 5 비트(bits)의 블록 오프셋(Block offset), 1 옥텟(octet)의 블록 비트맵(Block Bitmap)으로 구성된 2 옥텟(octet) 고정 길이 부분과 가변 길이의 서브 블록 비트맵(sub-block bitmap) 부분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블록 컨트롤(Block control) 필드는 블록 비트맵(Block Bitmap)과 서브 블록 비트맵(sub-block bitmap) 필드가 어떻게 사용되는지 제어한다. 또한, 블록 오프셋(Block Offset)은 블록(Block)의 오프셋(offset) 값을 나타낸다. 또한, 블록 비트맵(Block Bitmap)은 AID 비트(bit) 설정이 되어 있는 서브 블록(sub-block)의 위치 비트맵(Bitmap)을 나타낸다. 또한, 서브 블록(Sub-blocks)은 서브 블록(sub-block) 내 AID의 위치 비트맵(bitmap)을 나타낸다.
N 번째(여기서, N은 1 이상의 자연수) 블록(Block)에 존재하는 단말이 자신의 팀 비트(TIM bit)가 설정되어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는 N 번째 블록(Block)의 블록 컨트롤(Block control)의 위치를 찾고, 블록 인코딩 모드(Block encoding mode)에 따라 실제 비트맵(bitmap) 위치를 확인해야 한다.
또한, 각 블록(block)이 가변 길이이므로, N 번째 블록 컨트롤(block control)의 위치를 고정 위치에서 찾을 수 없고, 첫 번째 블록(Block)부터 N-1 번째 블록을 순차적으로 디코딩 해야한다.
즉, 실제로 전송될 데이터가 있는 경우 모든 블록(block)의 비트맵(bitmap)을 모두 디코딩하는 것이 의미가 있지만, 센서 네트워크와 같은 소량의 데이터가 간헐적으로 전송되는 환경에서는 대부분 데이터가 없음에도 불구하고, 데이터가 있는지 확인하기 위해서 모든 디팀 비컨(DTIM beacon)들에 대해서 모든 블록(block)을 디코딩해야 하는 문제점이 발생한다.
이하,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디팀 비컨(DTIM beacon)의 팀 요소(TIM element) 일부만 보고 단말 자신으로 전송될 데이터가 없는 것으로 판단하여 추가적인 디코딩을 중지할 수 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블록 비트맵 4 옥텟이 추가된 블록 단위 팀 비트맵 인코딩을 나타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블록 비트맵 4 옥텟을 추가하고 블록 컨트롤 필드를 사용하는 팀 인코딩 모드를 나타낸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팀 비트맵(TIM bitmap)에 4 옥텟(octet)의 블록 비트맵(Block bitmap)을 추가한다.
즉, 단말은 자신의 AID(association ID)가 속한 블록 인덱스(block index)를 기준으로 1차적으로 팀 요소(TIM element)의 블록 비트맵(block bitmap) 전체 디코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블록 비트맵(Block bitmap)은 데이터 전송 대상 단말의 AID(association ID)가 포함된 블록(block)들의 오프셋(offset)에 대응되는 비트맵(bitmap)을 의미한다.
또한, 상기 블록 비트맵은 인코딩된 팀(TIM) 내에서 블록 또는 서브 블록을 지정하는 비트맵 정보보다 앞부분에 위치한다.
구체적으로,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팀 비트맵(TIM Bitmap)은 블록(block) 단위로 인코딩하며, 기존의 비트맵 컨트롤(Bitmap Control)에는 페이지 아이디(Page ID)를 표시하고, 파셜 버츄얼 비트맵(Partial Virtual Bitmap)에는 특정 블록의 인코딩 여부를 표시하는 블록 비트맵(Block Bitmap)과 블록(Block) 단위로 인코딩된 비트맵 블록(Encoded Bitmap Block)들을 연속적으로 표시한다.
또한, 하나의 인코딩된 비트맵 블록(Encoded Bitmap Block)은 3 비트(bits)의 블록 컨트롤(block control), 5 비트(bits)의 블록 오프셋(Block offset), 1 옥텟(octet)의 서브 블록 비트맵(Sub-Block Bitmap)으로 구성된 2 옥텟(octet) 고정 길이 부분과 가변 길이의 서브 블록(sub-block) 부분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블록 컨트롤(Block control) 필드는 서브 블록 비트맵(Sub-Block Bitmap)과 서브 블록(sub-block) 필드가 어떻게 사용되는지 제어한다. 또한, 블록 오프셋(Block Offset)은 블록(Block)의 오프셋(offset) 값을 나타낸다. 또한, 서브 블록 비트맵(Sub-Block Bitmap)은 AID 비트(bit) 설정이 되어 있는 서브 블록(sub-block)의 위치 비트맵(Bitmap)을 나타낸다. 또한, 서브 블록(Sub-blocks)은 서브 블록(sub-block) 내 AID의 위치 비트맵(bitmap)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팀 비트맵(TIM Bitmap)은 블록(block) 단위로 인코딩하며, 기존의 비트맵 컨트롤(Bitmap Control)에는 페이지 아이디(Page ID)와 블록 컨트롤(Block control)로 구성되고, 파셜 버츄얼 비트맵(Partial Virtual Bitmap)에는 특정 블록의 인코딩 여부를 표시하는 블록 비트맵(Block Bitmap)과 블록(Block) 단위로 인코딩된 비트맵 블록(Encoded Bitmap Block)들을 연속적으로 표시한다.
또한, 하나의 인코딩된 비트맵 블록(Encoded Bitmap Block)은 1 옥텟(octet)의 고정 길이 서브 블록 비트맵(Sub-Block Bitmap) 부분과 가변 길이의 서브 블록들(sub-blocks) 부분으로 구성된다.
여기서 블록 컨트롤(Block control)은 3 bit 길이를 가지며, 서브 블록 비트맵(Sub-Block Bitmap)과 서브 블록들(Sub-Blocks)이 어떤 방식으로 인코딩되었되는지를 제어한다. 또한 서브 블록 비트맵(Sub-Block Bitmap)은 AID 비트(bit) 설정이 되어 있는 서브 블록(sub-block)의 위치 비트맵(Bitmap)을 나타낸다. 또한, 서브 블록(Sub-blocks)은 서브 블록(sub-block) 내 AID의 위치 비트맵(bitmap)을 나타낸다.
구체적으로, 단말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인코딩된 팀(TIM)을 수신하고, 수신된 인코딩된 팀(TIM)에서 우선 블록 비트맵(Block bitmap) 정보를 추출하여 단말의 AID(association ID)가 포함된 인코딩된 비트맵 블록을 지정하는 비트가 설정되었는지 판단할 수 있다.
단말은 추출된 블록 비트맵 정보에 단말의 AID가 포함된 인코딩된 비트맵 블록을 지정하는 비트가 설정된 경우, 단말의 AID가 포함된 인코딩된 비트맵 블록의 비트맵을 디코딩한다.
또는, 단말은 추출된 블록 비트맵 정보에 단말의 AID가 포함된 인코딩된 비트맵 블록을 지정하는 비트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블록 또는 서브 블록을 지정하는 인코딩된 비트맵 블록의 비트맵 디코딩을 중지한다.
또한, 전체 인코딩 블록(block)을 동일한 모드(mode)로 사용할 수 있는 경우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인코딩 블록의 블록 컨트롤(block control) 필드와 블록 오프셋(Block Offset) 필드를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수신된 인코딩된 팀(TIM)에서 블록 비트맵(Block bitmap) 정보를 추출하고, 추출된 블록 비트맵 정보에 단말의 AID(association ID)가 포함된 인코딩된 비트맵 블록을 지정하는 비트가 설정되지 않는 경우 블록 또는 서브 블록을 지정하는 인코딩된 비트맵 블록의 비트맵 디코딩을 중지할 수 있어, 저전력 단말의 전력 소모를 줄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된 TIM 정보 수신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은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인코딩된 팀(Traffic Indication Map, TIM)을 수신한다(S610).
단말은 단계 610을 통해 수신된 인코딩된 팀(TIM)에서 페이지 인덱스(page index)를 추출한다(S620).
이후, 단말은 단계 620을 통해 추출된 페이지 인덱스에 의해 지정되는 페이지에 속한 블록들에 대한 비트맵 포함 여부를 지시하는 블록 비트맵 정보를 추출한다(S630).
여기서, 블록 비트맵 정보는 상기 인코딩된 팀(TIM) 내에서 블록 또는 서브 블록을 지정하는 비트맵 정보보다 앞부분에 위치한다.
단말은 추출된 블록 비트맵 정보에서 단말의 AID가 포함된 인코딩된 비트맵 블록을 지정하는 비트가 설정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S640).
단말은 단계 640을 통해 추출된 블록 비트맵 정보에서 단말의 AID가 포함된 인코딩된 비트맵 블록을 지정하는 비트가 설정된 경우, 단말의 AID가 포함된 인코딩된 비트맵 블록의 비트맵을 디코딩한다(S650).
또는, 단말은 단계 640을 통해 추출된 블록 비트맵 정보에서 단말의 AID가 포함된 인코딩된 비트맵 블록을 지정하는 비트가 설정되지 않는 경우, 블록 또는 서브 블록을 지정하는 인코딩된 비트맵 블록의 비트맵을 디코딩하지 않는다(S660).
또한, 단말은 단계 660을 통해 블록 또는 서브 블록을 지정하는 인코딩된 비트맵 블록의 비트맵을 디코딩하지 않고, 전력 절감 상태(power save mode)로 진입한다(S670).
여기서, 단계 660 및 단계 670은 설명의 편의상 블록 또는 서브 블록을 지정하는 인코딩된 비트맵 블록의 비트맵을 디코딩하지 않는 단계를 우선적으로 수행하였으나, 단계 660과 단계 670은 순차적인 단계뿐 아니라 역순 및 동시에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된 TIM 정보 수신 방법에 따르면, 블록 비트맵 정보를 인코딩된 팀 내에서 블록 또는 서브 블록을 지정하는 비트맵 정보보다 앞부분에 위치시켜, 블록 비트맵 정보에 단말의 AID가 포함된 인코딩된 비트맵 블록을 지정하는 비트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블록 또는 서브 블록을 지정하는 인코딩된 비트맵 블록의 비트맵을 디코딩 하지 않을 수 있어 저전력 단말의 소모 전력을 줄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된 TIM 정보 전송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액세스 포인트는 페이지 인덱스에 의해 지정되는 페이지에 속한 블록들에 대한 비트맵 포함 여부를 지정하는 블록 비트맵 정보를 생성한다(S710).
여기서, 블록 비트맵 정보는 단말이 디팀 비컨(DTIM beacon)의 팀 요소(TIM element)의 앞부분만 보고 단말 자신으로 전송될 데이터가 있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도록 인코딩된 TIM 내에서 블록 또는 서브 블록을 지정하는 비트맵 정보보다 앞부분에 위치한다.
액세스 포인트는 단계 710을 통해 생성한 페이지 인덱스와 블록 비트맵 정보를 포함한 팀(TIM)을 생성한다(S720).
이후, 액세스 포인트는 단계 720을 통해 생성한 팀(TIM)을 단말에게 전송한다(S730).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인코딩된 TIM 정보 전송 방법에 따르면, 블록 비트맵 정보를 인코딩된 팀 내에서 블록 또는 서브 블록을 지정하는 비트맵 정보보다 앞부분에 위치시켜, 블록 비트맵 정보에 단말의 AID가 포함된 인코딩된 비트맵 블록을 지정하는 비트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블록 또는 서브 블록을 지정하는 인코딩된 비트맵 블록의 비트맵을 디코딩 하지 않을 수 있어 저전력 단말의 소모 전력을 줄일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페이지(page), 블록(block) 및 서브 블록(sub-block)으로 구성된 계층적 구조로 인코딩된 TIM(Traffic Indication Map)를 단말이 수신하는 방법에 있어서,
    액세스 포인트로부터 인코딩된 TIM 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인코딩된 TIM 에서 페이지 인덱스(page index)를 추출하는 단계; 및
    상기 페이지 인덱스에 의해 지정되는 페이지에 속한 블록들에 대한 비트맵 포함 여부를 지시하는 블록 비트맵 정보를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된 TIM 정보 수신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블록 비트맵 정보는 상기 인코딩된 TIM 내에서 상기 블록 또는 서브 블록을 지정하는 비트맵 정보보다 앞부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된 TIM 정보 수신 방법.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블록 비트맵 정보에서 상기 단말의 AID(association ID)가 포함된 블록을 지정하는 비트가 설정된 경우, 상기 단말의 AID(association ID)가 포함된 블록의 비트맵을 디코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된 TIM 정보 수신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블록 비트맵 정보에서 상기 단말의 AID(association ID)가 포함된 블록을 지정하는 비트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블록 또는 서브 블록을 지정하는 비트맵을 디코딩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된 TIM 정보 수신 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추출된 블록 비트맵 정보에서 상기 단말의 AID(association ID)가 포함된 블록을 지정하는 비트가 설정되지 않은 경우, 상기 블록 또는 서브 블록을 지정하는 비트맵을 디코딩하지 않고, 전력 절감 상태(power save mode)로 진입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된 TIM 정보 수신 방법.
  6. 페이지(page), 블록(block) 및 서브 블록(sub-block)으로 구성된 계층적 구조로 인코딩된 TIM(Traffic Indication Map)를 액세스 포인트가 전송하는 방법에 있어서,
    페이지 인덱스에 의해 지정되는 페이지에 속한 블록들에 대한 비트맵 포함 여부를 지정하는 블록 비트맵 정보를 생성하는 단계;
    상기 페이지 인덱스와 상기 블록 비트맵 정보를 포함한 TIM을 생성하는 단계; 및
    상기 TIM을 단말에게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한 인코딩된 TIM 정보 전송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블록 비트맵 정보는 상기 인코딩된 TIM 내에서 상기 블록 또는 서브 블록을 지정하는 비트맵 정보보다 앞부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인코딩된 TIM 정보 전송 방법.

KR1020130025959A 2012-06-13 2013-03-12 인코딩된 팀 정보 통신 방법 KR101561114B1 (ko)

Priority Applications (7)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PCT/KR2013/005104 WO2013187649A1 (en) 2012-06-13 2013-06-11 Method for communicating encoded traffic indication map information
JP2015517175A JP5925963B2 (ja) 2012-06-13 2013-06-11 エンコードされたtim情報通信方法
EP13803889.8A EP2862292B1 (en) 2012-06-13 2013-06-11 Method for communicating encoded traffic indication map information
EP18159297.3A EP3355487B1 (en) 2012-06-13 2013-06-11 Method for communicating encoded traffic indication map information
US14/406,576 US9980221B2 (en) 2012-06-13 2013-06-11 Method for communicating encoded traffic indication map information
JP2016081790A JP6400624B2 (ja) 2012-06-13 2016-04-15 エンコードされたtim情報通信方法
US15/959,639 US10341951B2 (en) 2012-06-13 2018-04-23 Method for communicating encoded traffic indication map information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063372 2012-06-13
KR20120063372 2012-06-13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1105A Division KR101932112B1 (ko) 2012-06-13 2014-09-12 인코딩된 팀 정보 통신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30139756A true KR20130139756A (ko) 2013-12-23
KR101561114B1 KR101561114B1 (ko) 2015-10-16

Family

ID=49984853

Famil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30025959A KR101561114B1 (ko) 2012-06-13 2013-03-12 인코딩된 팀 정보 통신 방법
KR1020140121105A KR101932112B1 (ko) 2012-06-13 2014-09-12 인코딩된 팀 정보 통신 방법

Family Applications After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1105A KR101932112B1 (ko) 2012-06-13 2014-09-12 인코딩된 팀 정보 통신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9980221B2 (ko)
EP (2) EP2862292B1 (ko)
JP (2) JP5925963B2 (ko)
KR (2) KR101561114B1 (ko)
WO (1) WO2013187649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9457A (ko) 2022-10-08 2024-04-16 김민주 온도조절 샤워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6411460B (zh) * 2011-11-01 2019-11-19 英特尔公司 用于无线网络中业务指示映射的方法和设置
US9237481B2 (en) * 2012-07-09 2016-01-12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traffic indication map segmentation in wireless networks
EP3089460A1 (en) 2015-04-30 2016-11-02 Advanced Digital Broadcast S.A. A system and a method for distributing content via static channel assignment in a mobile content gateway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901606B2 (en) * 2003-05-20 2005-05-31 Nielsen Media Research,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detecting time-compressed broadcast content
KR100801870B1 (ko) 2004-06-15 2008-02-12 모토로라 인코포레이티드 멀티캐스트 메시지를 전송하는 방법 및 장치
KR100617731B1 (ko) 2004-06-19 2006-08-28 삼성전자주식회사 통신 시스템에서 트래픽 통보 메시지를 송수신하는 장치 및 방법
JP4319654B2 (ja) * 2004-08-13 2009-08-26 三星電子株式会社 移動通信システムにおけるパケット受信結果報告方法
DE102004052331A1 (de) 2004-10-27 2006-05-04 Nec Europe Ltd. Verfahren zur Steuerung der Kommunikation mit mobilen Stationen in einem Netzwerk
KR20060040243A (ko) * 2004-11-04 2006-05-10 삼성전자주식회사 무선 통신 시스템에서 단말과 기지국간의 효율적인 데이터송수신 방법과 그 단말 및 기지국
US20080029208A1 (en) 2006-08-02 2008-02-07 Man Suk Paek Bead locator and a method of producing decorative sequences of beads for garments with the locator
US8849315B2 (en) * 2006-12-19 2014-09-30 Conexant Systems, Inc. Systems and methods for retrieving buffered data from an access point
BRPI0721311B1 (pt) 2007-02-27 2019-09-24 Thomson Licensing Método para transmitir dados em uma rede local sem fios e método para receber dados em uma rede local sem fios
US7991409B2 (en) 2007-03-05 2011-08-02 Intel Corporation Wake-on-WLAN for stationary wireless stations
US7740395B2 (en) 2007-05-31 2010-06-2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Illuminated air treatment device
US20090016306A1 (en) 2007-07-12 2009-01-15 Qi Wang METHOD AND SYSTEM FOR AN EFFICIENT TIM ELEMENT SUPPORTING MULTIPLE BSSes IN A WIRELESS LAN
EP2048823A1 (en) 2007-10-12 2009-04-15 Thomson Licensing Method and apparatus for power management in communication system
WO2013052076A1 (en) * 2011-10-07 2013-04-11 Intel Corporation Methods and arrangements for traffic indication mapping in wireless networks
US8824440B2 (en) * 2012-05-02 2014-09-02 Nokia Corporation Method, apparatus,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for efficient TIM compression and decoding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49457A (ko) 2022-10-08 2024-04-16 김민주 온도조절 샤워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15529024A (ja) 2015-10-01
EP2862292B1 (en) 2018-04-11
US20150146597A1 (en) 2015-05-28
KR101561114B1 (ko) 2015-10-16
US9980221B2 (en) 2018-05-22
EP3355487A1 (en) 2018-08-01
US20180242244A1 (en) 2018-08-23
JP6400624B2 (ja) 2018-10-03
KR20140124343A (ko) 2014-10-24
EP2862292A4 (en) 2016-01-06
EP2862292A1 (en) 2015-04-22
US10341951B2 (en) 2019-07-02
JP5925963B2 (ja) 2016-05-25
JP2016178649A (ja) 2016-10-06
EP3355487B1 (en) 2019-09-25
KR101932112B1 (ko) 2019-03-20
WO2013187649A1 (en) 2013-12-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321480B2 (en) Channel access method in wireless LAN system
US10674537B2 (en) Method of accessing channel in wireless local area network system
US10341951B2 (en) Method for communicating encoded traffic indication map information
KR20150007252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데이터 전송 방법 및 장치
EP3249977B1 (en) Method of active scanning and associating based on configuration information
KR20140011976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능동 검색 방법
KR20140003322A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aid 재할당 방법
US10708915B2 (en) Control channel in WLAN OFDMA
KR101561115B1 (ko) 무선랜 시스템에서 액세스 포인트의 검색 방법
KR20140003342A (ko) 팀 비트맵 스케줄링 방법 및 팀 비트맵 스케줄링 방법을 수행하는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1001

Year of fee payment: 4